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주지역 동학농민군과 의병

        이병규 동학학회 2018 동학학보 Vol.0 No.49

        1894년 원주에서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미약하였지만 원주가 동학과 관련이 많고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왕성하였다는 전제위에서 논의를 전개함으로서 그 방향성을 상실하고 있다. 원주는 강원감영이 있었던 곳이다. 그래서 이서층의 세력이 강력한 편이었다. 조세수취 과정에서 이서층의 수탈로 많은불만이 있었고 이것이 원주민란으로 표출되었다. 한편 원주를 근거로 한 사족들도 다수 있었다. 서울에서 가까워 재기를 노리는 많은 사족들이 원주에서 터를 잡고 후일을 도모하였다. 이러한 조건은 원주에서 동학포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웠고 동학농민군의 활동도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대체로 감영이 있던 곳에서 동학농민군 자체적인 활동이 이루어진 곳은 거의 없다. 전라감영이 있던 전주성은 동학농민군이 점령한 것이고, 경상감영이 있던 대구에는 동학농민군 활동이 없었고, 충청감영이 있던 공주역시 동학농민군 세력이 활발하기 보다는 동학농민군이 점령하고자 했던 곳이다. 원주에서 동학농민군의 활동은 동학농민혁명 2차 봉기 시에 있었으며그들은 원주의 반농민군에게 철저하게 공격당하였다. 동학농민군들은 대부분이 원주의 반농민군에게 체포당하였다. 결국 원주지역에서 동학교도의 활동과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활발하지 못하였다. 한편으로 눈여겨볼 것은 원주민란, 동학농민혁명, 의병운동 과정에서 대립과 갈등양상이 일반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1885년 원주민란에서는 농민과 재지사족이 같은 편으로 이서층과 대립하였고, 1894년 동학농민혁명에서는 동학농민군이 사족과 이서층이 중심이 반농민군과 대립하였고, 1896년 의병운동 단계에서는 재지사족, 이서층 포군이 같은 편으로 하여 정부군과 일본군과대립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1894년을 전후한 시기에 원주라는 지역에서이서층, 농민, 재지사족, 동학교도, 동학농민군, 포군 등 다양한 세력들은 역사적 사건에 따라 입장과 태도가 다르게 표출되고 있다. 그것은 절대적 기준, 즉 선악이나, 시비, 정의와 부정의 등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당사자들은 자신들의 입장에서 최선을 다했을 것이다. 그러나 동학농민혁명과 의병이 충돌하고 이를 우리는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해야 한다. 이재화와 이철화의 예를 통해 우리는 이 문제에 새롭게 접근할 수 있다. 이재화와 이철화는 사촌 간으로원주민란 당시에 이재화가 농민들의 입장을 대변하였다. 그러나 1894년 동학농민혁명 당시 이철화는 반농민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동학농민군토벌에 앞장섰다. 그리고 그는 1896년 의병운동에 적극적으로 가담하였다. 상황이 변하자 농민들의 입장을 대변한 이재화와 이철화는 다시 반농민군이되어 동학농민군을 공격하였고, 다시 일본의 침탈이 격해지자 의병활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한국사 전개과정에서 동학농민혁명이 역사발전에 공헌한 만큼 의병활동 역시 한국 역사발전에 공헌하였다. 그러나 이철화의 경우에서, 그리고 원주라는 지역에서 동학농민혁명과 의병이 충돌하는 지점을 발견하게 된다. 이러한 충돌은 당시 조선 전역에서 발생하였다. 우리는 이러한 역사적 사실에 대해 각각의 입장에서 가치와 의미를 부여해야 할 것이다. In 1894, Donghak peasant army activities in Wonju were weak. However, the debate has been lost due to the fact that Wonju is related to Donghak and the activities of Donghak peasant army were active. Wonju is where Gangwon provincial office was located. So the forces of clerks were powerful. There was a lot of dissatisfaction with clerks’ abduction in the tax receipt and this was expressed by the revolt of aboriginal people.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many nobles based on Wonju. Because Wonju is close to Seoul, many nobles aiming for status recovery were planning to catch up later in Wonju. Because of this condition, Donghak missionary work in Wonju was not active and Donghak peasant army was limited in activity. In most places where there was a provincial office, there are very few places where the Donghak peasant army had its own activities. Jeonju where Jeolla provincial office was located was occupied by Donghak peasant army and Daegu with Gyeongsang provincial office had no Donghak peasant army activity. Gongju, where the Chungcheong Provincial Office was located, was where Donghak peasant army hoped to occupy the Donghak peasant army, not where the forces were active. The activitie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n Wonju were in the second uprising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y were thoroughly attacked by Wonju’s anti-peasant army. Most Donghak peasant armies were arrested by Wonju’s anti-peasant army. In the end, activities of Donghak followers and activities of Donghak peasant army were not active in Wonju area. One thing to keep in mind is that conflicts are not common in Wonju Uprising,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Righteous Army movement. In 1885, in Wonju, the peasant and intellectuals were confronted with clerks. In 1894,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opposed the anti-peasant army of the nobles and clerks. In the Righteous Army movement in 1896, intellectuals, clerks, and artillery were on the same side, showing confrontation with government and Japanese forces. In the area around Wonju in 1894, various forces such as clerks, farmers, intellectuals, Donghak followers, Donghak peasant army, and artillery forces have different attitudes and attitudes according to historical events. It is not accounted for by absolute standards, namely, good and evil, justice, and injustice. The parties would have done their best in their own terms. However, since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 Righteous Army are in conflict, we must interpret it and give meaning to it. The example of Lee Jae-Hwa and Lee Chul-Hwa gives us a new approach to this problem. Lee JaeHwa and Lee Chul-Hwa were cousins and Lee Jae-Hwa at the time of Wonju people represented the position of the farmers. However, a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1894, Lee Chul-Hwa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antipeasant army activities, leading the Donghak peasant army subjugation. And in 1896 he actively took part in the Righteous Army movement. As circumstances changed, Lee Jae-Hwa and Lee Chul-Hwa, representing the farmers’ position, attacked the Donghak peasant army again as an anti-peasant army,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Righteous Army activities when Japan’s invasion intensified. Since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Righteous Army activities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However, in the case of Lee Chul-Hwa, we find a point where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Righteous Army collide in Wonju. These conflicts occurred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We must give value and meaning to each of these historical facts.

      • KCI등재

        韓國史의 展開過程에서의 原州의 位相

        지배선(Ji, Bae-Sun),(토)최근영 백산학회 2008 白山學報 Vol.- No.80

        The year 2008 marks the 1331st year since the establishment of Buk-Won-Kyung (北原京). Around the mid 18th century, Yi Jungwhan described Wonju as the base for the distribution of goods. He stated, ‘There are fields in between the mountain valleys that make the place light and graceful, not closed up and threatening. Situated between Gyeonggi-do and Yeungnam, the fish, salts, ginseng and lumbar for the palace passing through developed the formation of a town.’ Wonju has geographic significance in being accessible from all directions, expressed as having “open ranges and large fields.” It also has a advantageous routes to Seoul, with the channel of the Namhan river and the development of the roads leading to Yeoju and Yangpyung. From old, Wonju has always been close to Seoul, and with mount Chiak and other mountains in the back, Wonju’s clan(氏姓) could maintain their indigenous life and go to Seoul to take up positions as officials. Thus, central culture of Seoul flowed into Wonju before any other region in Gangwondo. Because of its geographical proximity, Wonju is considered as having been unable to form or reveal its own identity. Its location as the center of the peninsula made Wonju a place ‘not to settle down in’ but to ‘pass by or stay a short while’. This fact is often pointed out in such chronicle records as the Bi-byun-sa-dung-rok(備邊司남錄). However, because of this, Wonju was able to have the merit of embracing and opening the way for diverse cultural phenomena. As Wonju was always open, it has a long history of many people coming and going. This has given the Wonju people wisdom in accepting without discrimination of background or culture, and in embracing and living harmoniously. Even today, people from elsewhere who have moved to Wonju say that ‘of all places, Wonju is the least discriminating and most open’. This feature wasn’t suddenly born but grown from old. Wonju, where the Gangwon-Gamyoung is established, has for the past 500 years been the political, economic, cultural, and military center of Gangwon-do. Today, not only does it have a large population but it is leading Gangwon-do in every way.

      • <원주어리랑>과 원주오리골농요 연구 -연출을 중심으로-

        남강연 ( Nam Gang-yeon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19 지역문화연구 Vol.18 No.1

        원주오리골농요는 지금의 원주시 행구동 신월랑과 반곡동의 오리골, 봉대, 뒷골, 영랑, 입춘내 등지에서 불리던 소리로 신세타령, 갈꺽기소리, 원주어리랑, 모심기소리, 김매기소리 등이 있다. 원주오리골농요는 농악이 성행 하였던 행구동과 반곡동 인근 마을 주민들이 모여서 농악과 함께 이러한 농요를 불렀다. 박희완은 원주어리랑을 비롯하여 이러한 농요를 기억하고 계시는 분으로 입춘내에 살았다. 그는 오리골 농악에서 태평소를 연주하며 근 30여 년 활동 하였으며 지역에서 위와 같은 소리를 ‘원주오리골농요’라 불려지게 되었다. 원주오리골농요는 연구자 남강연이 농자천하지대본을 바탕으로 스토리텔링하여 민속작품으로 재현 연출, 2015년 제26회 강원민속예술축제에서 우수상, 2017년 제58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서 동상을 수상하였다. 원주오리골농요는 예전에 비료나 거름 등이 부족하여 산에서 갈을 뜯어 거름으로 사용하던 시절이 있었는데 그때 부르던 농요이다. 원주는 행구동, 흥업면, 호저면 등 여러 지역에서 갈을 뜯어 논농사의 거름으로 사용하였다. 원주어리랑을 비롯하여 원주오리골농요는 원주지역의 민속예술작품으로 보전 전승되어야 한다. As the songs enjoyed in Origol, Bongdae, Doitgol, Yeongrang, and Ipchunnae of Bangok-dong, and Sinwolrang of Haenggu-dong in the current Wonju-si, the Wonju Origol Farming Songs include the Sinsetaryeong(one’s hard-luck story), Galggeokgi-Song, Wonju Eorirang, Rice Planting Song, and Weeding Song. The Wonju Origol Farming Songs were sung together with Nongak(Korean traditional farming music) by village residents around Haenggu-dong and Bangok-dong where the Nongak was popular. As a person who remembered these farming songs including Wonju Eorirang, Park, Hee-Wan lived in Ipchunnae. He actively performed in the Origol Nongak for almost 30 years by playing the Taepyeongso. And the songs above have been called ‘Wonju Origol Farming Songs’ in this region. The Wonju Origol Farming Songs were represented/directed as a folk work by the researcher Nam, Gang-Yeon through storytelling based on the ‘Agriculture is the prop of the country’. They received the excellence award at the 26th Gangwon Folk Arts Festival in 2015, and the bronze prize at the 58th Korean Folk Arts Festival in 2017. The Wonju Origol Farming Songs were sung when collecting reeds from mountain to use them as fertilizer. In many areas of Wonju such as Haenggu-dong, Heungeop-myeon, and Hojeo-myeon, the reeds were used as fertilizer of rice farming. The Wonju Origol Farming Songs including Wonju Eorirang should be preserved and inherited as a folk artistic work of Wonju region.

      • KCI등재

        사라져가는 군사도시의 장소기억 : 강원도 원주시를 중심으로

        김대범(Kim Daebeo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6

        이 연구는 군사문화를 기억할 수 있는 원주의 군사시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장소성을 확보하고 군사도시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전쟁 이후 원주는 제1야전군 사령부가 이전해 오면서 우리나라를 대표할 만한 군 시설과 군 문화시설이 생겨났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도시에 군이 전쟁피해 복구사업을 실시하면서 군에 의해 도시가 형성되었다. 미국으로부터 군사원조를 받아 대민지원이 지속되어 꾸준히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이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원주시가 불과 10여 년 만에 신흥도시로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이기도 했다. 또한 역대 대통령들의 원주시찰도 주목할 만하다. 국가적으로 중요성을 가진 장소를 시찰하는 대통령은 원주지역을 군사적 요충지이자 떠오르고 있는 신흥도시였기에 집권세력의 정치적 전략의 지역으로 생각했다. 원주는 제1야전군 사령부 및 예하부대는 물론 미군부대 캠프롱(Camp Long)이 주둔하면서 국가안보를 책임지고 있었기에 단순히 정치적 전략뿐 아니라 중요한 국가통치의 장소로 생각했던 것이다. 그렇게 1990년대까지 군인들을 위한 군사도시로 꾸준히 발전하였지만 2000년대 이후 원주에서 군 부대가 이전하게 되고, 새로운 도시개발정책이 시행됨에 따라 과거 원주를 있게 한 각종 군사시설은 사라지게 되었다. 과거 군사도시 원주의 사라져가는 장소를 기억하고 흔적을 발견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일은 원주의 도시 정체성 확보는 물론 미래 유산의 보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organize military facilities in Wonju that remember the military culture, to secure the location, and secure the identity of Wonju as a military city. After the Korean War, the headquarters of the first Field Army moved to Wonju, and military facilities representing Korea were created. Afterwards, a city was formed in Wonju, which was ruined by the war, and a war damage restoration project was carried out by the military. Wonju has been able to develop steadily until today because support for Wonju continued through U.S. military aid. This is the background of Wonju City, which was devastated by the war but developed into a new emerging city in little over a decade. Former presidents of South Korea have always visited Wonju-a military hub and a rising emerging city. However, it has been judged as a strategic political area. Wonju is home to the security of South Korea with the presence of the First Field Army Command, subordinate units and the U.S. Army s Camp Long; it was considered not only a strategic political area but also an important city for national governance. Wonju continued to develop as a military city for soldiers until the 1990s. However, after the 2000s, military units moved from Wonju to other areas, and new urban development policies began to be implemented. As various military facilities were established during this period, Wonju began to disappear.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e past of the disappearing military city of Wonju and recover traces and organize them systematically, as well as to secure the identity of the city of Wonju and preserve future heritage.

      • KCI등재

        원주지역의 동학 포교와 원주 출신 동학인의 동학농민운동

        조규태 동학학회 2018 동학학보 Vol.0 No.49

        This article is about the spread of Donghak in Wonju, Gangwon-do, and the Donghak Peasants’ movement of natives of Wonju. After reviewing the spread of Donghak into Gangwon-do during Choi Je-woo and Choi Si-hyung of Donghak leader, I reviewed about the acceptance of Donghak by a person from Wonju. Then, I examined the activities of Donghak believers from Wonju in Kangwon-do such as Gangneung and Hongcheon, and them in Chungcheong-do such as Gongju. It was Jang Ki-Seo that accepted Donghak first as a native of Wonju. He believed Donghak in the late 1860s through Lee Gyeong-hwa, who had been in exile in Yeongwol. Then, after the “Lee Pil-je’s Rebellion” in 1871, Choi Sihyung and other leaders of Donghak came to Gangwon-do and published the Donghak Bible and expanded the missionary work. In the early 1890s, Im Soon-ho, Lee Won-pal, Ewha Womans, Shin Taek-woo, Kim Hwa-bo, Lee Gyu-hwa, Lee Jong-tae, Im Myung-hwa, Im Seok-hwa, and others worked in Wonju. Donghak Believers in Wonju occupied Gangneung-bu on September 4 with Donghak Believers of Kangwon-do, protesting the occupation of Gyeongbok Palace by the Japanese army on August 20, 1894. Some of the Donghak Believers from Wonjufought in Ugeumchi, Chungcheong Province. After the Donghak Farmers Movement, Donghak believers from Wonju contributed the leaders of Donghak as Choi Si-hyung and Son Byung-hee to hide and engage in missionary work in Wonju. After Choi Sihyung’s death in 1898, Wonju Donghak believers supported Sohn Byunghee in general. And in 1904, the Donghak believers of Wonju founded the Jin-bo-hoe and launched a movement for civilization in 1904, socalled “the Gap-jin Gae-hwa Movement.” 이 글은 강원도 원주지역의 동학 전파와 원주 출신 동학인의 동학농민운동에 관한 연구이다. 먼저 최제우와 최시형이 교주로 활동하던 시기, 강원도 원주 출신 인물의 동학 수용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동학농민운동기 원주 출신 동학인의 강릉·홍천 등 강원도에서의 동학농민운동과 그 성격에 대해서 알아보고, 충청도에서 벌인 활동에 대해 검토하였다. 강원도 원주인으로 처음 동학을 수용한 사람은 장기서였다. 그는 1860년대후반 영월에 유배 와 왔던 이경화를 통하여 동학에 입교하였다. 그리고 1871 년 ‘이필제의 난’ 이후 최시형 등 동학 지도부의 인물들이 강원도에 피난을 와서 경전을 간행하고 포교를 확대하자, 원주지역에도 점차 동학이 확산되었다. 1890년대 초 강원도 원주에는 임순호, 이원팔, 이화경, 신택우, 김화보, 이규하, 이종태, 임명화, 임석화 등이 교인으로 활동하고 있었다. 강원도 원주의 동학인들은 1894년 음력 8월 20일 경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에 항거하며 봉기하여 음력 9월 4일 강릉부 관아를 점령하고 제2차 동학농민운동을 전개하였다. 일부의 동학인들은 최시형, 손병희와 함께 충청도 우금치 등지에서 관군과 전투를 벌였다. 동학농민운동 후 원주의 동학인들은 최시형과 손병희 등 동학 지도부의 인사들이 원주에 와서 은거하며 포교활동을하는 것을 도왔다. 1898년 최시형의 사망 후 원주이 동학인들은 대체로 손병희를 지지하였다. 그리고 1904년 원주의 동학인들은 진보회를 설립하고 소위 갑진개화운동을전개하였다. 1904년 소위 갑진개화운동 시 원주의 동학인들은 진보회를 설립하고 개화운동을 전개하였다.

      • KCI등재후보

        설화에 나타난 원주의 장소성과 문학지리

        김금숙(Gum-suk Kim) 운곡학회 2023 운곡논총 Vol.13 No.-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원주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설화 속 공간과 실제 지리적 공간 을 비교해 봄으로써 원주 설화에 나타난 문학지리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원주 지역 에서 전승되고 있는 설화에 나타난 원주는 우선 서울에서 강원도의 여러 곳으로 가는 관 문 또는 강원도에서 서울로 가는 관문으로서 그려지는 경우가 많았다. 또 설화 속에는 원 주가 중앙 즉 서울과 물리적으로, 심리적으로 인접한 곳이라는 인식이 나타나 있었고, 그 래서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서울을 오갈 수 있는 곳이라는 인식도 내재되어 있었다. 이렇 게 중앙과 인접한 곳이라고 여겼기에 원주는 조선의 유교적 이데올로기의 영향권 안에 있는, 그래서 전통적 가치를 중시하는 곳이라는 인식도 설화에는 함께 나타나 있었다. 설 화에 나타나는 이러한 공간 인식은 원주라고 하는 실제의 지리적 공간이 가지고 있는 특 징들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원주라는 실제 공간의 특징이 설화에 그대로 드러나기 도 하고, 특징 중 일부가 부각되거나 배제되는 방식으로 공간 이미지가 재구축되기도 한 다. 원주 지역의 설화 전승 집단이 오랜 세월 동안 원주라는 지리적 공간이 지니는 속성을 직간접적으로 인지하고 있었고, 이것이 자연스럽게 설화 전승 과정에서 설화 속 원주라고 하는 공간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도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geography in Wonju folk tales by comparing the actual geographical space in folktales, which has been passed down in Wonju, Kangwon-do. The characteristics of Wonju in the folktales handed down in the Wonju area are as follows. First of all, Wonju was expressed as a gateway from Seoul to various places in Kangwon-do, or a gateway from Kangwon-do to Seoul. In addition, there was a perception that Wonju was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close to the center, that is, Seoul. Therefore, there was also an inherent perception that I could go to Seoul anytime I wanted. Wonju was within the sphere of influence of Joseon(朝鮮)'s Confucian ideology because it was thought to be adjacent to the center. Therefore, there was also an idea that it was a place that valued traditional values. This spatial perception in the folktale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geographical space called Wonju.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space called Wonju are also revealed in the story. In addition, spatial images are reconstructed in a way that some of the features are highlighted or excluded. For a long time, the folktale transmission group in Wonju has recognized the attributes of the geographical space of Wonju directly or indirectly. In addition, this natural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identity of the space called Wonju in the folktale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folktale.

      • KCI등재

        原州地域 朝鮮白磁의 生産과 供給

        金京中(Kim, Kyong-Joong) 한국상고사학회 2007 한국상고사학보 Vol.55 No.-

        현재까지 원주지역에서 확인된 42개소의 조선시대 백자가마터(분청사기가마터 포함, 고려시대 자기가마터 8개소, 옹기가마 2개소 제외)는 사회적·정치적 중심지인 강원감영에 있었던 원주읍내에 공급하기 용이한 곳인 귀래면과, 경제적 중심지인 부론면과 문막읍, 강천면(현재 여주군에 편입)에 대부분 분포되어 있다. 원주지역에 이처럼 많은 수의 백자가마가 설치·운영될 수 있었던 요인으로는 중앙관요인 경기도 광주 분원에 공급할 정도의 양질의 태토를 보유하고 있었다는 점과 땔나무가 풍부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즉 이상의 요인은 원주지역에서 조선시대 전 시기에 걸쳐 가마가 운영될 수 있었던 밑바탕이 되기도 하였으며, 지표조사로 확인된 조선시대 백자가마터가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원주지역에서 확인된 백자가마터의 시기별, 읍·면별 분포현황 및 생산된 백자의 품질, 원주지역의 인구현황 등을 분석한 결과 몇 가지의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원주지역 백자가마는 지표수습된 유물을 분석한 결과, 양질백자와 조질백자가 같이 확인되는 백자가마터와 양질백자만 확인되는 백자가마터, 조질백자만 확인되는 백자가마터로 구분할 수 있다. 이는 생산방식이 다른 백자가마가 모두 존재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요인은 다양한 수요계층에서 비롯된다. 원주는 강원도의 정치적·문화적 중심지로 여타 지역보다 많은 인구가 밀집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 있었으며, 조선 후기에는 상업의 발달로 인해 섬강과 남한강 주변에 위치한 부론면과 문막읍·강천면에 다양한 계층이 거주할 수 있는 바탕이 되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다양한 수요층을 대상으로 한 양질백자와 조질백자를 생산하는 가마를 운영할 수 있었던 것이다. 둘째, 원주지역 백자가마를 생산한 백자를 수요층에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인구가 밀집한 주변지역에 입지하였다. 이는 인구가 밀집한 원주읍내와 부론면과 문막읍, 강천면은 정치적·상업적 중심지로써 사람의 왕래가 잦았기 때문에 교통로가 발달한 데서 그 이유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발달된 교통로를 중심으로 장시가 활성화되었기 때문에 원주지역에서 생산된 백자는 장시라는 공간에서 수요자에게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었다. 이것을 부론면과 문막읍, 강천면, 귀래면에서 조선시대 전 시기에 걸쳐 백자가마의 운영이 가능했던 이유이다. 셋째, 원주지역의 조선시대 백자가마의 운영은 대규모가 아닌 독립적인 소규모생산체제로 설치·운영되었던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점은 공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 근거로는 원주지역에서 확인된 42개소의 조선시대 백자가마터 중 귀래1리에 5개소, 손곡3리에 2개소, 손곡2리에 4개소, 단강리에 3개소가 근접거리에 시기를 달리하는 백자가마터가 분포하고 있는 양상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 A total of 44 White Porcelain Kiln Sites confirmed in Wonju are distributed throughout around the town of Wonju was the social, political center and Puron-myon, Munmak-up and Kangchen-myon were the center of economy. The main reasons many of Kilns could be installed and managed in Wonju are possession of good qualified white clay enough to supply to Central Government Kiln in Gwangju, Kyunggido and the abundance of firewood. Also this main reason would be the foundation that could be managed the Kiln during the whole period of Joseon in Wonju. There are some of the features as the results of analysis of distribution data that is confirmed in Wonju, quality of white porcelain, population data confirmed in Wonju. First, it is confirmed White Porcelain Kilns in Wonju produced superior quality white porcelain with low quality : or good and low quality white porcelain kilns are separated. It is the condition that Wonju would be a densely populated district as the political and cultural center of Kangwondo as compared with other area.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It caused people of every class could resided in Puron-myon, Munmak-up and Kangchen-myon were located around SeomRiver and NamhanRiver. In other words, the residence of various demand classes caused management of Kiln produced good and poor quality White Porcelain. Second, White Porcelain Kilns were located in a densely populated district for effective supplying of White Porcelain to the demand class. The traffic route was developed in the town of Wonju, Puron-myon, Munmak-up and Kangchen-myon were the areas of frequent comings and goings as the political and commercial center. Because of the markets was reinvigorated on the well-developed traffic route, White Porcelain produced in Wonju well supplid to the consumers in the market. This is the reason why the management of White Porcelain Kiln in Wonju was not a large scale but an independent small scale production system. It is closely connected with supply. It is confirmed by the aspects of White Porcelain Kiln Sites that has different periods with Among the 44 Joseon White Porcelain Kiln Sites confirmed in Wonju, 5 Kilns in Gyrael-ri, 2 Kilns in Songok3-ri, 4 Kilns in Songok2-ri, 3 Kilns in Dankang-ri There are White Porcelain Kiln Sites have different periods around close district. Above all, not body and firewood but the aspects of production, supply and demand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ocation of Joseon White Porcelain Kiln.

      • KCI등재후보

        원주지역 시인의 작품에 나타난 장소성 연구

        정연수 운곡학회 2023 운곡논총 Vol.14 No.-

        본고는 원주지역의 문단 현황과 원주지역 문학이 지닌 정체성을 살펴보았다. 원주지역 문학의 정체성으로는 원주문협이 추진하는 생명문학에 주목하였다. 원주지역문학이 지향하는 생명문학은 김지하·오탁번·장영수 등이 치악산을 통해 전달 하는 사상과 연계할 때 원주문학의 정체성이 더 공고해질 것이다. 김지하의 치악산은 고 통을 상기하는 장소이자 동시에 고통을 다독이는 장소로 기능했다. 독재에 저항하다 옥 살이를 마치고 돌아온 김지하의 ‘집’과 ‘치악산’이 동질성을 지닌다는 점에서, 원주지역의 생명사상이 지닌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오탁번의 치악산은 성장통의 무게를 투영한 동 반자이자 경외의 대상이었다. 한편, 박경리의 시 중에서는 단구동과 회촌지역의 장소들을 살폈다. 작가와 작품이 장 소의 변화를 가져온다는 점에서 원주의 상징적인 공간으로 볼 수 있다. 박경리의 시에서 는 단구동과 회촌이 각각 다른 정서로 드러난다. 단구동 지역에는 고단한 삶이 담겨있고, 회촌 지역에는 연민과 서정적 삶이 담겨 있다. 특히 회촌 지역의 시작품에 나타난 박경리 의 시세계는 생태주의적 애정이 담겨 있어, 원주문학이 지향하는 생명문학과 연계할 수 있는 접점이 있다. 본고는 원주문학이 생명문학을 정체성을 더 강화하기 위해서는 생명사상을 반영한 장 소와 인물들을 연계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김지하의 생명사상은 장일순·지학 순이라는 현대적 인물에서부터 동학운동의 최시형까지 거슬러 올라가서 살펴보는 것도 가능하다고 보았다. 김지하를 비롯하여 원주지역 시인들이 다룬 장소, 고산리와 가리파재는 생명문학과 연계하여 살펴볼 수 있는 곳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literature in the Wonju region and the identity of Wonju literature. As the identity of Wonju regional literature, I focused on the life literature promoted by the Wonju Literary Association. The life-literature that Wonju regional literature aims for will be more solidified when it is linked to the ideas conveyed by Kim Ji-ha, Oh Tak-beon, and Jang Young-soo through Mount Chiak. Kim Ji-ha's Mt. Chiak functioned as both a reminder of suffering and a place of healing. The homogeneity of Kim Ji-ha's 'home' and 'Chiaksan' after his imprisonment for resisting the dictatorship confirms the value of Wonju's idea of life. Oh Tak-beon's Mount Chiak was a companion and an object of reverence that projected the weight of growing pains. Meanwhile, Park Kyung-ri's poems examine places in the Dangu-dong and Hoechon neighborhoods. It can be seen as a symbolic space of Wonju in that the writer and his work bring about the transformation of the place. In her poems, Dangudong and Hoechon are represented by different sentiments. Dangudong reflects a hard life, while Hoechon reflects a compassionate and lyrical life. In particular, Park Kyung-ri's poetic world in the early works of the Hoechon area contains ecological affection, and there is a point of contact with the life literature that Wonju literature aims for. This paper has confirmed that in order for Wonju literature tofurther strengthen its identity as life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link places and figures that reflect life ideas. Kim Ji-ha's lifethought can be traced back to the contemporary figures of JangIl-soon and Ji-hak-soon, as well as to Choi Si-hyung of theDonghak movement. Gosan-ri and Garipajae, the places that KimJi-ha and other Wonju poets wrote about, can be examined inrelation to life literature.

      • KCI등재

        일반논문 : 원주지역 전기의병의 학문적 배경과 참여세력

        심철기 ( Chul Ki Sim ) 한국사상사학회 2011 韓國思想史學 Vol.0 No.38

        원주지역은 학문에 대한 열의가 높은 곳으로 학문과 절의를 숭상하고, 독창성과 비판정신으로 실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던 원천석, 한백겸, 허후, 정시한 등이 서원에 배향되어 있었다. 또한 서원이 설치되었던 지역은 원주지역 유력가문들의 동족마을이 형성되어 있었다. 이들 가문은 주로 한백겸, 정시한, 김창일 등의 학통을 이어받은 남인계열이었다. 즉, 원주지역 서원 및 상당수 유력가문은 남인계열로 그들의 학문적 전통이 원주지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원주지역은 南人계열을 중심으로 道學的 전통에 따라 反西學의 척사론을 표방하고 있었으며, 일본 역시 척사의 대상으로 보았다. 특히, 친일내각에서 추진한 지방제도개혁으로 강원감영이 폐지되자 양반사회 뿐만 아니라 이서, 포군 등 대소민인의 개화파에 대한 반발과 반일감정이 한층 더 고조되었다. 이는 의병운동에 참여하게 되는 한 원인이 되었다. 강원·경기·충청지역 의병운동의 사상적 기반은 화서학파였으나 원주지역과 화서학파의 관계는 그다지 알려진 것이 없었다. 그런데 1881년 관동연명유소의 소수를 정하는 중요한 모임이 원주에서 개최되었다. 이는 원주지역에 화서학파의 근거지가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이소응 등이 원주에 상당기간 거주하였던 것을 볼 때 더욱 분명해 지는 것이다. 이들은 제천·영월 및 여주·지평 경계지역으로 화서학파와 교류하기 용이한 곳에 거주하였다. 즉, 원주지역은 제천, 영월, 지평, 여주 경계지역을 중심으로 화서학파의 근거지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노론으로 남인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있던 화서학파와 남인계열이었던 상당수 원주지역 유력가문과는 연계하기 어려웠다. 원주지역에서 전기의병운동 참여층을 양반유생층과 포군층으로 나눠볼 수 있다. 양반유생층은 화서학파와 직·간접적으로 연계된 인물 중심으로 의병운동에 참여하였다. 그들은 의병을 모집하거나 격문·통문 등을 작성하여 의병을 독려하였으며, 수성장으로 관할지역을 통치하였다. 또 중군장이나 독립부대 의병장으로 전투를 직접 수행하기도 하였다. 이외에도 군자금 등을 후원하고 있었다. 그러나 주로 핵심 참모로 활동하면서 인적·물적자원을 지원하는 군수지원 역할을 수행하였다. 포군층은 의병의 실질적인 무력기반으로 선봉에 서서 전투를 수행하였다. 뿐만 아니라 포군의 모집, 의병에 비협조적인 인사의 체포, 적 포군의 포섭 등 전투 외적인 부분에서도 큰 활약을 하였다. 그런데, 포군이 의병의 무력기반이라는 것을 알고 있던 정부 측에서는 포군을 의병에서 이탈시키고자 강경책과 회유책을 병행하여 시행하였다. 이는 칙령으로 포수 설치를 반포하고 친일내각의 개혁정책이 폐기되면서 실질적인 효과를 보게 되었다. 의병지도부에서 활동하고 있던 원주지역과 관련된 인물들은 친일내각을 몰락시키고자 하였던 여흥민씨, 심상훈, 김세기 등 반일적 중앙정치세력과 연계되어 있었다. 특히 이춘영은 조모를 통해 여흥민씨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처가가 원주의 유력가문이며, 김세기의 가문이었던 연안김씨였던 점, 지평에 세거하면서 안승우 등 화서학파와 연계되어 있었던 점에서 중앙정치세력의 후원과 원주, 지평, 제천 등지의 유생 및 화서학파와 연합할 수 있는 인물이었다. 즉, 반일적 중앙정치세력은 자신들과 관련이 있고 의병운동에 적극적이었던 이춘영, 김사정 등을 후원하였다. Wonju(原州) is in high passion for learning. the spirit of criticism and creativity in Hanbaekgyeom(한백겸)·Heohu(허후)·Jeongsihan(정시한) had effect on Silhak scholar(實學者). they were sacred to seowon(書院). aristocratic town where the seowon(書院) are installed. his nobility is Hanbaekgyeom(한백겸)·Jeongsihan(정시한)·Gimchangil(김창일) inherited the study of Nam in(南人). In other words, Nam in(南人) had an impact on the studies Wonju Wonju, led by Nam in(南人) in the Confucian tradition, as opposed to Western Learning(西學). Japan was also the target of criticism. Especially, fierce anti-Japan sentiment among Wonju people was spread is abolished the Gangwon gamyun(江原監營). This has caused the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of the rise the righteous armies(義兵運動). in Wonju Gangwon(강원), Chungcheong(충청), Gyeonggi(경기) The rise the righteous armies(義兵) is ideological base was a Hwaseo school(華西學派). However, Hwaseo school(華西學派) did not affect in Wouju. But the meeting at Wonju was held to elect gwandong-yeonmyeong-yuso(關東聯名儒疏) representatives. It will have a base for Hwaseo school(華西學派) in Wonju. Wonju, a base of Hwaseo school(華西學派) in the vicinity of Yeoju(여주)·Yeongwol(영월)·Jecheon(제천)·Jipyeong(지평) has been formed. But Hwaseo school(華西學派) to criticize Nam in(南人). So Hwaseo school(華西學派) and Wonju aristocracy was difficult to cooperate each other.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of the rise the righteous armies(義兵運動) are separated by the Confucian scholar(兩班儒生) and rifleman(砲軍). Confucian scholar(兩班儒生) as a person associated with the Hwaseo school(華西學派) were involved in The activities of the rise the righteous armies(義兵運動). They recruitment the rise the righteous armies(義兵) or was encouraged to send a circular, a declaration to the rise the righteous armies(義兵). occupied territories was ruled by Suseongjang(守城將). Confucian scholar(兩班儒生) has been appointed as Suseongjang(守城將). and has been appointed as the Junggunjang(中軍將) was performing combat. In addition to the, Has sponsored a war funds. rifleman(砲軍) was involved in fighting in the vanguard. As well as the rifleman(砲軍)` mission: 1. recruiting rifleman(砲軍), 2. Key figures arrested, 3. win an enemy over. rifleman(砲軍) performed his duties diligently. So the government in order to conciliate the rifleman(砲軍) were use the carrot and the stick. This government policy had seen effect since the local army establishment. Participants in the Wonju area the rise the righteous armies(義兵) was linked with the anti-japanese central political power. Especially Yichunyoung(李春永), central political forces, local forces, Hwaseo school(華西學派), and it was linked.

      • KCI등재

        관광자원을 활용한 관광 브랜드 개발 : 원주시를 중심으로

        박재범(Park, Jae-Beom)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4

        본 사업는 2020년 원주시 관광 자원의 브랜드화 사업의 일환으로 원주시청의 의뢰에 의해 연구 개발한 ‘원주관광 대표 브랜드 개발 및 관광슬로건 콘텐츠 BI 구축’의 개발 과정 및 결과물들을 통해 우리나라 지역의 문화 관광 자원을 어떻게 구조화하고 이를 시각적 표상으로 구체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한다. 본 사업에서 현재 원주시가 가지고 있는 관광 자원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원주관광의 아이덴티티를 추출하여 이를 언어화, 시각화하는 과정을 거쳐 브랜드를 개발하였고, 나아가 기존 원주8경 외에 원주시가 추가적으로 관광자원화할 수 있는 요소를 개발하여 인지하기 쉬운 관광브랜드 일환으로써 관광 아이콘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원주시의 새로운 관광 브랜드를 통해 원주시가 ‘관광 원주’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As part of the project to brand tourism resources in Wonju in 2020,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t the request of Wonju City Hall to research and develop the project Development of Wonju Tourism Representative Brand and Building Content BI for Tourism Slogan . And through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project and the result of the project, we would like to enhance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how to structure cultural and tourism resources in our country and shape them into visual representation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tourism resources currently owned by Wonju City, extracted the identity of Wonju Tourism through this, and developed the brand through the process of linguistic and visualizing them. Furthermore, in addition to the existing eight scenery of Wonju, Wonju City developed additional elements that could become a tourism resource so that it can function as a tourism icon. We hope that the new tourism brand of Wonju Cit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for Wonju City to take a step closer to Tourism Wonj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