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몰트만의 만유구원론과 선교

        이찬석 ( Chanseok Lee ) 한국조직신학회 2015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1 No.-

        융/복합, 통섭, 통합학문, 혼종성이라는 말들은 이 시대의 유행어 처럼 번져가고 있다. 인문학과 과학의 경계선을 넘나드는 학문적 연구가 각광을 받고 있으며, 신학과 사회복지를 융합하여 ‘디아코니아학’이 새로운 신학의 전공으로 부상하고 있다. 어울릴 것 같지 않은 것들을 융합시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것이 이 시대의 창조성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서 애석하게도 신학의 다양한 전공들의 경계선을 넘나드는 간학문적 연구와 접근은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신학과 다른 학문의 간학문적 접근보다는 신학 안에서 조직신학과 선교학의 간학문적 연구를 시도하여 보려고 한다. 조직신학으로서 위르겐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을 선택하였고, 이 만유구원론이 지니고 있는 선교학적 의미를 선교학의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와‘통전적 선교’를 중심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은 영원한 천국과 영원한 지옥을 가져오는 ‘심판의 이중결과설’을 비판하면서 온 만물의 화해와 구원을 주장한다. 몰트만의 눈에, 심판의 이중결과설은 하나님이 아니라 인간을 구원의 주체로 만들었지만, 만유구원론은 구원의 주체를 하나님으로 세워간다. 빌링겐(Willingen) 세계선교대회와 칼 하르텐슈타인(K. Hartenstein)에 의하여 형성된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라는 개념은 선교의 주체가 교회가 아니라 하나님이라고 선언한다. 하나님을 선교와 구원의 주체로 각각 세워간다는 측면에서 만유구원론과 ‘하나님의 선교’는 공통분모를 지니고 있다. 현대 선교학에서 전개되고 있는 선교는 ‘통전적 선교’이다. 통전적선교는 개인의 회심과 성화, 복음전도를 강조하는 복음주의적 선교와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에큐메니칼 선교로 나누어져 있는 선교의 이분법적 구조를 해체하면서 두 영역을 통전시키려는 선교이다.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은 최후의 심판을 통한 영원한 천국과 영원한 지옥이라는 이분법적 구조를 해체시키면서 천국과 지옥을 종말론적으로 통전시킨다. 몰트만의 만유구원론과 통전적 선교는 공통성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은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이 함축하고 있는 선교학적 첫 번째 의미를 선교에 있어서 하나님의 심판과 징계보다는 하나님의 사랑이 선교의 중심 내용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고, 두 번째 의미로 서구제국주의적 선교관인 정복주의적 선교관으로부터 해방되어 천국과 지옥을 종말론적으로 통전하면서 만유화해에 근거한 선교가 전개되어져야 함을 제시하려고 한다. 마지막으로 ‘하나님의 선교’는 호켄다이크(J.C. Hoekendijk)와 세계교회협의회(World Council of Church)에의하여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면서 교회적 정체성을 상실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유사하게 몰트만의 만유구원론도 믿음 없는 구원을 이야기함으로 기독교적 정체성을 약화시킨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러나 ‘하나님의 선교’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제시한 칼 하르텐슈타인은 교회적 정체성을 견지하고 있었으며, 몰트만의 만유구원론도 죽음이전에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적 결단을 내리지 못하였던 사람들도 죽음 이후에 예수 그리스도를 주님으로 고백하게 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오직 신앙으로’라는 종교개혁적 신앙을 견지함으로 기독교적 정체성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기독교의 선교는 기독교적 정체성을 상실하지 않는 ‘열린 정체성’을 전제로 전개되어야 함을 마지막으로 제시하여 보려고 한다. Convergence, consilience, and hybridity are very prevalent in this time. This article will try to interdisciplinary in theology focusing on missi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Especially, this article will articulate Jurgen Moltmann’s notion of universal salvation and Mission. Among missiological concepts, this article will concentrate on ‘missio dei’ and ‘wholistic mission.’ Moltmann’s universal salvation denies the eternal aspect of Hell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octrine in Christian tradition. According to the universal salvation, God wants to save all creations, all lives will be saved finally. Moltmann insists that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the Last Judgement suggests human being as the subject of salvation. However, the universal salvation establishes God as the subject of salvation like missio dei. The missio dei which was formed by Willingen IMC and K. Hartenstein clearly declaims the subject of mission as God rather church. In this point, the universal salvation and missio dei have common ground. Therefore, the first missiological implication of the universal salvation is that the central point of mission should be God’s love rather than God’s judgement. The wholistic mission is dominant in modern missiology. It tries to deconstruct the dualistic structure which means the evangelical mission and the ecumenical mission. The evangelical mission emphasizes an individual repentance and sanctification, but the ecumenical mission emphasizes social aspect of the Gospel. Similarly, the universal salvation deconstruct the dualistic structure which defines the eternal life and the eternal fall. Therefore, this article will suggest that the wholistic mission should develop the wholistic perspective which deconstruct the dualistic structure divided into the eternal life and the eternal fall. Finally, this article will suggest that Christian mission should be developed under ‘the opened identity.’

      • KCI등재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에 대한 고찰

        이찬석 ( Chan Seok Lee ) 한국조직신학회 2014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9 No.-

        예수의 복음은 철저히 종말론적이었지만, 현대신학은 계몽주의 이후에 종말론을 신학의 부록으로 취급하여 왔다. 그러나 몰트만에 의하여 종말론은 회복되면서 신학적으로 현세와 내세의 조화를 도모하고 있다. 몰트만의 종말론 중에서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주제는 만유구원론’이다. 만유구원론은 최후의 심판이후에 영원한 천국와 영원한 지옥이 존재한다는 기독교의 전통적인 고백을 거부하면서, 지옥의 영원성을 부정한다. 만유구원론에 따르면, 하나님은 만물의 회복을 원하시며, 최종적으로 하나님의 모든 피조물들이 구원을 받는다고 주장한다.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에 대하여 한국 신학자 중에서 김영한과 김도훈은 부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으며, 김명용은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다. 본 논문은 김명용의 관점을 확대 해석함으로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이 지니고 있는 긍정적인 측면을 찾아보려고 한다. 본 논문은 우선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이 출현하기 이전에 만유구원의 역사를 간단하게 살펴본다. 김명용이 지적하듯이, 몰트만의 종말론과 만유구원론은 바르트의 종말론과 만유화해론의 발전적 해석이고 완성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바르트의 만유화해론을 고찰한 후에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을 살펴보려고 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이 지니고 있는 긍정적인 측면을 두 가지로 제시하여 보려고 한다. 첫째로, 종교신학의 올바른 방향은 배타주의가지니고 있는 기독교의 정체성과 실재중심적 다원주의가 지니고 있는 수용성을 발전적으로 끌어안아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이 던져주고 있는 긍정적인 의미를 제시하여 보려고 한다. 두번째로,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은 위로의 기쁨을 주고 있다고 평가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 위로의 측면을 비기독교인들에게로 제한하고 있다. 본 논문은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이 기독교인들에게도 위로의 기능을 할 수 있음을 제시하여 보려고 한다. 결론적으로 몰트만의 만유 구원론은 이 시대에 적합하게 새롭게 해석되어짐으로 보편적이고 통전적인 구원의 지평을 만들어야 함을 본 논문은 제시하려고 한다. Although Jesus emphasized the aspect of the Kingdom of God, modern theology regarded eschatology as a supplement of theology after the Enlightenment. However, modern theology is trying to harmonize the dimension of this world and the next by Jurgen Moltmann. It is his universal salvation that many theologians are focusing on among Moltmann’s theology. The universal salvation denies the eternal aspect of Hell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octrine in Christian tradition. According to the universal salvation of Moltmann, God want to save all creatures, all lives will be saved finally. This subject is becoming as one of theological issues with which Korean theologians deals. Kim Younghan and Kim Dohoon are negatively criticize the universal salvation. However, this article will try to interpret the positive aspect of the universal salvation like Kim Myeongyoung. Firstly, this article will articulate the aspect of religious theology of Moltmann’s notion of the universal salvation. Secondly, this article will articulate the comforting aspect of it for Christians as well as non-Christians. After all, this article will imply that Moltmann’s notion of the universal salvation should be positively interpreted for the wholistic salvation.

      • KCI등재

        천지공사의 구원론적 특징 연구

        오석(吳錫)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6 No.-

        구원은 세계 대부분의 종교에서 큰 중요성을 지니며, 그 구원의 내용과 구원 과정의 차이는 그 종교를 다른 종교와 구별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이에 본 논문은 대순사상에서의 신과 인간에 대한 이해와 구원행위로서의 천지공사를 통해 대순사상에 나타난 구원론의 사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순사상의 모든 이론은 천지공사(天地公事)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천지공사는 기존의 전통종교나 사유체계로 인간과 세계를 구원하기에는 한계를 가지기에 전통종교의 진액을 뽑아 새로운 종교적 이상세계를 열어 삼계의 새로운 질서를 확립하고자 하는 일련의 종교행위이며 이상실현의 현실화 작업이다. 대순사상에 나타난 변혁사상의 배경은 개벽사상이라 할 수 있다. 선천의 세계가 상극적 질서가 중심이었다면 새로운 후천의 세계는 상생적 질서가 중심이 되는 인류문명의 대전환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개벽사상은 동서양의 우주론적 세계관의 요인들을 개방적으로 수용하면서도, 고유한 형태의 시간관을 창조한 것이다. 증산은 공사를 행할 때 종도의 의견을 물어 이상적인 결정으로 유도하고 이로써 미래의 이상세계를 제시하고 있다. 인간의 주체적이고 올바른 자각을 통한 의사결정은 신의 세계의 가치에도 부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천지공사에 동참한 인간은 전체 인류를 대변하는 상징적 존재로서 역할을 하며, 그들의 결정을 신들이 행함으로써 인간의 세계는 인간의 판단에 의해 변혁되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나아가 인간세계의 변화를 통해 신의 세계까지 변화·구원된다. 그리고 인간이 신과 조화한다는 것은 존재의 본성적 가치에 있어서 동일한 지위를 획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화는 단순한 당위의 길로서의 신과 인간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신과 인간이 함께 대등한 가치를 지닌 존재로 설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대순사상의 구원론은 종교전통과 공유되는 부분이 있다. 그러나 신과 인간에 대한 재해석을 기반으로 세계의 변혁과 신과 인간의 조화이념을 주창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종교전통과 차이가 보인다. Salvation has a great significance in most of religions of the world, the difference in the content of process of salvation becomes the standard to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religion. Hereupon,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Doctrine of Salvation in Daesoon Thoughts through the understanding about God and human in Daesoon Thoughts and the reordering of the universe as the salvation act. All theory of Daesoon Thoughts is based on the reordering of the universe. The reordering of the universe is a series of religious act and the realization work of ideal realization to establish a new order of the three worlds by opening a new religious ideal world by extracting the essence of traditional religion, since the existing traditional religion or thinking system has limit to save the human and the world. The background of revolution idea which appears in Daesoon Thoughts can be said to be the great open idea. It means that a great transformation of mankind civilization will be realized in the new world of post heaven where the order of sangsaeng is centered, if the world of the previous heaven was centered with the order of sanggeuk. The great open idea created a view of time of an intrinsic form, while openly accepting the elements of cosmological view of the world of the East and the West. Jeungsan induces affairs to an ideal decision by asking his followers" opinion, and suggests future ideal world. It implies that the decision making made by human independent and right self-awareness accords with the value of God"s world. It shows the possibility, that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reordering of the universe take the role as the symbolic existence who represent the whole human race and God, and the human world can be transformed by human decision through God"s conduction of their decision. Furthermore, God"s world can be transformed and saved through the change of human world. Johwa between people and God implies that it is possible to acquire the equal position in the intrinsic value of the existence. Johwa does not stop at the point of suggesting direction of God and human as the simple way of duty, furthermore, show the possibility that human and God can stand as the existence with equal value. The Doctrine of Salvation of Daesoon Thoughts has shared part with the existing religious tradition. However, it also has a different point in regard that it advocates transformation of the world and ideology of Johwa between God and human based on reinterpretation of God and human.

      • KCI등재

        민족문학, 제3세계 문학, 그리고 구원의 문학 — 구중서의 민족문학론 연구 —

        이진형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7 No.1

        his papar aims at the reconstruction of Ku jung-suh’s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and the examination of its significance. Ku jung-suh discussed the national literature in oppositional or differentiated relation to the contemporary critics such as Kim Hyun, Back Nak-cheong, etc. On the definition of national literature as the “recognition through the knowledge of world literature”, he tried to actualize the terminology of national literature, and emphaseized the recognition of Korean literary tradition and its spirit. And he insisted the regional particularity and global universality of Korean literature through the recognition of Korean literature as the third world literature. This argumentation aimed at the historicization of the concept of national literature, that is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national literature in the 1970s which diffentiated from the national literature in the 1920s, the nationalist literature in the 1930s, and the Korean literature after the 1945 Liberation. Particularly, he stressed the literary tradition and spirit in Hyangga, Goryeo Songs, Pansori novels, and Korean modern literary works. Then he thought that the universal humanism of “the thought of peace and nudity” was the core of national literary tradition. And he also thought that the global universality of Korean national literature could proved by means of the contribution of the spirit of the third world literature(universal humanism) to the reconfiguration of world literature led by the West(tricontinentalism). The Ku jung-suh’s argumentation on national literature was developed on the background of the rise of Koreanology,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history, and at the same time on the base of religional source(Catholicism). His belief on “national literature=the literature of salvation” originated from that religional source. On that belief, he also insisted the effectivity of national literature over the context of the 1970s. But the highlight on the universal humanism involved the danger of the marginalization of regional particularity and the centralization of ‘western universality’, and the mission of national literature involved the danger of abstraction of literary discourse. On the other hand, it said that his try to actualize the terminology of national literature and recognize the literature as the literature of salvation was the important moment to consider the meaning and the task of national literature today.

      • KCI등재

        마태복음 18:12-14에 나타난 ‘한 마리 잃어버린 양’의 구속사적인 상징

        서동수(Seo, Dong-Su) 한국신약학회 2023 신약논단 Vol.30 No.1

        잃어버린 한 마리 양을 끝까지 찾으려는 어떤 사람(하나님)에 대한 비유는 부의 축적과 사유재산에 대하여 부정적인 입장을 보여주는 일반적인 예수 그리스도의 태도에 모순을 보여준다. 그래서 이 모순을 해소하기 위하여 우리에게는 비유에 대한 세심한 주의력과 이해가 촉구된다. 잃어버린 한 마리 양의 비유는 거시적인 인류구속사의 전망을 보여준다. 그래서 마태복음 18:12-14의 작은 자 중의 하나인 잃어버린 한 마리의 양은 이 작은 자(소자) 중의 하나라는 동일한 신학용어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마태복음 10:6, 10; 10:42; 18:10의 문맥과는 다르게 사회학적, 혹은 교회론적, 혹은 선교론적 차원의 의미와 구별되어야 한다. 즉 99(정)와 1(반), 100(합)사이에 헤겔적인 변증법의 구도를 보이는 비유는 아담부터 종말에 이르는 전 인류에 대한 보편구원의 은총사상을 제시한다. 비유에서 한 마리 잃어버린 양은 보편구원의 근거를 제시하는 존재의 유일성, 존재가치의 절대성, 모든 인간존재의 동일 귀속성, 구원받은 자(99)가 구원받지 못한 자(1)보다 월등히 크다는 인류 구속사의 역설을 보여주고 있다. 하나님은 전체 인류공동체를 보존하시고 구원하신다는 메시지가 잃어버린 한 마리 양의 비유가 함축하고 있는 신학적인 핵심에 해당한다. The parable of a man(God) to seek a lost sheep to the end is inconsistent with general attitude and stance of Jesus Christ who strongly rejects accumulating wealth and private property in the Synoptic Gospels. To solve this conflict, we need to pay close attention and comprehension to the parable. The parable of a lost sheep shows us macroscopic prospect for the salvific history of all mankind. Therefore, one of these little ones as a lost sheep in Matthew 18:12-14 should be, despite the same use of theological terminology, one of these little ones, distinguished from the meanings of sociological, ecclesiological and missionary dimension in contrast with the contexts of Matthew 10:6, 10; 10:42; 18:10. The parable in Matthew 18:12-14 forming a structure of Hegelian dialectic between 99(thesis) and 1(antithesis) and 100(synthesis) demonstrates the universal grace of God for all human beings from Adam to the eschaton of human history. A lost sheep presenting the theological grounds of the theory of universal redemption in the parable of Matthew 18:12-14 is revealing univocity of being, absoluteness of value of being, belongingness of all mankind to the ideal salvation-community of God and paradox of salvation-history of humanity that the saved(99) is much less than the unsaved(1) in the salvation-history so far. The message that God would preserve and redeem the whole community of all human beings is the crux of the theological matter in the parable of a lost sheep.

      • KCI등재

        종교와 정치의 긴장과 타협: 한국 개신교 대통령의 구원귀족 역할

        정태식(Jung Tai-Sik)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2 신학사상 Vol.0 No.156

        종교와 정치의 본질적 긴장의 관계는 역사 속에서는 타협을 거듭한다. 정책과 전략 중심의 정치와 정직과 도덕성 중심의 종교는 기본적으로 대립한다. 따라서 정치와 종교가 결합하면 타협을 미덕으로 하는 정치는 절대화되고 종교적으로 승화되며, 종교는 정치의 수단인 타협을 수용함으로써 종교의 절대성을 잃어버리고 정치의 특수성에 함몰되어 보편주의를 상실한 상대적 가치로 전락한다. 또한 종교인이 정치를 할 때, 또는 정치인이 종교적 신념을 바탕으로 정치를 할 때, 정치인이든 종교인이든 이들 모두는 구원귀족이 되어, 즉 구원을 달성하기 위해 정치 행위의 주요 수단인 물리력(또는 폭력)을 구원사업에 적용한다. 이때 종교는 보편성을 상실하고 개인적 차원에서는 주술이, 사회정치적 차원에서는 근본주의가 출현한다. 한국의 개신교 출신 대통령인 이승만, 김영삼, 이명박은 구원귀족의 모습을 적극 전개하였다. 이승만은 자기가 중심이 되어 한국을 기독교 국가로 만들어 한국의 사회정치적 구원을 시도했지만 결국은 독재정치로 정권을 마감하였다. 김영삼과 이명박은 직, 간접적으로 기독교 중심적 정치 행위를 보여주었다. 특히 주변 인물들과 기독교 보수주의자들의 심정적 동조자로서 기독교 자체를 절대화 하면서 경제적 차원에서는 신자유주의의 자본 독점적인 지향을 지지하였고 사회정치적으로는 한국 기독교 근본주의의 등장과 준동의 주체가 되기도 하고 배경이 되기도 함으로써 개신교 구원귀족의 역할을 보여주었다. Through the world history the immanent tension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has very often been solved in a way of compromise. Essentially, the politics centered on policy and strategy stands opposite to honesty and morality centered religion. Thus, when religion and politics join each other, politics with compromise as its virtue is to be absolute and sublimated to the level of religion, while religion, by way of accepting compromise, the means of politics, is to lose its absoluteness, and degrade into a relative value because it becomes subsidized into the particularity that is characteristic of politics. Also, when religious persons practice politics, or politicians do politics in the name of religious conviction, they all become salvation aristocracy, who take advantage of the physical force(or violence), the main means of political power for the sake of the realization of socio-political salvation. Then, as religion loses its universalism, there emerge magic on the level of individual, and fundamentalism on the socio-political level. Rhee, Syngman, Kim, Young-sam, and Lee, Myung-bak, the Korean presidents of Korea as Protestant Christians has unfolded actively the feature of salvation aristocracy in the midst of their being presidency. Rhee, Syngman tried to build Korea into a Christian country, but his regime ended with the name of dictator. Kim, Young-sam and Lee, Myung-bak showed directly or indirectly Protestantism-centered political actions. Especially, as the mental sympathizers of surrounding conservative Protestants, they have absolutized the Christianity, supported the neo-liberalist monopoly of capital, and become the main body or background of the emergence and maneuvering of Christian fundamentalism. Thus they have acted as salvation aristocracy of Korean Protestantism.

      • 조지 휫필드와 존 웨슬리의 신학체계 비교연구

        고명석,남호연 안양대학교 신학연구소 2019 신학지평 Vol.32 No.-

        본 연구는 조지 휫필드의 개혁 신학체계와 존 웨슬리의 신학체계를 비교하여 그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각각 알아보고, 이들의 신학을통해 우리가 지향해야할 신학은 무엇인지 연구하였다. 첫째, 기본적인 신학체계로 휫 필드는 칼빈의 '제한적 속죄론' 을 주장했고, 웨슬리는 아르미니우스적인 '보편구원론' 을 주장하였다. 둘째, 휫필드는 하나님의 선택과 예정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고 고백한다. 반면, 웨슬리는 하나님의 예정보다는 본 인의 신앙적인 노력과 성화가 구원을 결정 짓는 요인으로 보았다. 셋째, 우리는 이들의 신학 체계를 신앙생활 의 현실에서는 잘 조화시컥야할 필요성이 있다. 즉 우리는 휫필드처럼 전적으로 하나님의 선택과 예정으로 구 원이 이루어진다고 믿어야 한다. 다만 웨슬리의 주장처럼 구하지 않는 자에게 주어지는 것도 아니다. 예수님 도 우리에게 말씀하시길 '구하라' 고 분명히 말씀하셨기 때문이다. This study compares George Whitefield' s reformed theological system with John Wesley' s theological system examines their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and studies what theology we should pursue through their theology. First, as a basic theological system, Whitefield insisted on Calvin' s "limited atonement," and Wesley insisted on the Arminisian "universal salvation." Second, Whitefield confesses that he had to accept God' s unconditional election and predestination. Wesley, on the other hand, sees his religious effort and sanctification as the deciding factor of salvation rather than God' s predestination. Third, we must believe that salvation is accomplished entirely by God' s unconditional election and predestination, as in Whitefield. Jesus also told us clearly, 'Ask!'.

      • KCI등재

        최인훈 문학 초기 중단편의 원형적 성격과 그 확산의 양상

        김성렬 ( Sung Youl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11 한민족문화연구 Vol.38 No.-

        『광장』 이전 최인훈의 초기 중단편은 작가의 문학 세계 전반에 수원지적 역할을 하는 텍스트들이다. 이 중단편들의 성격은 최인훈 문학 초기의 낭만주의적 성향과 역사에 대한 통찰력, 사회 현실에 대한 참섭 의지, 모더니스트적 자질, 자기 완성의 욕망에 담긴 나르시시즘적 성향들로 정리된다. 이 글은 우선적으로 이러한 특성의 규명에 집중한 뒤에 이 특성들이 작가의 향후 창작 세계에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어 나가는가를 살펴보았다. 『광장』은 그의 현실 참섭 욕망이 4.19와 만남으로써 폭죽처럼 터져 나온 작품이다. 유토피아를 갈구하는 낭만주의적 성향이 다분한 이 작품은 상상계적 자아와 상징계 진입의 경계 지점에 위치하는 작가의식을 보여준다. 정치적 관심에 경도되어 있던 그의 문제의식이 한국사회와 문학의 주체성 정립이라는 근대기획으로 뻗어 나가는 것은 5.16에 의한 4.19의 좌절 이후부터이다. 『구운몽』은 바로 이러한 상징계 진입의 고투- 4.19의 좌절 이후 선험적 총제성이 사라진 현대인의 자아 분열, 혼돈과 위기 속에 빠진 한국사회를 반영하면서 한국사회/한국인의 정체성을 모색하는 고고학적 탐사의 첫발을 내딛는 작품이다. 이러한 탐사는 『회색인』, 『서유기』,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태풍』으로 이어지면서 하나의 완성된 체계를 이룬다. 이 작품들은 한국적 문화형을 탐색하고 문학예술이 갖는 절대적 현존성을 자각하는 과정이면서 동시에 타자들이 주체 안에 스미는 여정의 산물들이다. 이 탐색이 구체화된 작품이 주체의 희생으로 타자를 구하는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같은 희곡 작품이었던 바, 이 희곡에서 작가는 자기 완성의 욕망을 인간 구원이라는 보편적 주제의식과 일치시키는 율리시즈적 여정을 결산한다. Choi In-hoon`s Early novella and short stories before 『Square』 are texts having characters as sources of waters througout his author life. These works have romantic tendencies and an insight into the history, will of engagement to the social reality, modernistic quality, narcissistic tendency in his desire to be perfect self. This article researches how Choi In-hoon`s Early novella and short stories to evolve various aspects after primarily focusing on the identification of these attributes. The Square is a work his engagement will explodes like fireworks as his desire to participate social reality after meeting the 4·19. This work shows romantic tendency for utopia and the writer`s consciousness of this work located on the boundary points between imaginative world and symbolic world. His interest having critical mind on political problems is stretched to the modern planning wants to establish subjectivity of the Korean Society and the literature since 4.19 is frustrated by 5.16. The Nine dreams like clouds not only shows suffer of struggle into the entry of symbolic world but modern man`s self-division, chaos and crisis disappeared priori totality affter frusteration of 4.19. This work is the first step of archaeological exploration to seek the identity of the Korean society and Man. This exploration is continued Grey man, Journey for westwad, A day of novelist Kubo, storm and attains one complete system. These works explore the Korean culture and artistic type, and are the courses to aware absolut existence of literary works in addition to being products of journey others penetenerate into subject. This exploring is materialized by a play like Once upon a time, Whaai Whai to rescue others at the expense of the Self. This drama complets the artist`s journey like ulysess matching the theme of self perfectness with universal salvation.

      • KCI등재

        타종교 구원의 가능성에 대한 복음주의적 고찰

        박운조 한국선교신학회 2023 선교신학 Vol.71 No.-

        전통적으로 기독교의 구원에 관한 견해는 전 인류를 두 진영으로, 즉 구원받은 자와 구원받지 못한 자로 나누어왔다. 하지만 20세기에 들어서 많은 사람들이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 그분의 주권으로 인해 모든 인류의 미래를 낙관하는 신념을 공유하기 시작했다. 이 주장을 지지하는 신학적 근거는 하나님의 무한한 사랑이나 구원의 전능성과 같은 하나님의 본성에 기초한다. 심지어 복음주의자들 사이에서도 타종교인과 비종교인들의 운명에 대한 명확한 신학적 합의가 없다. 하나님은 그분의 자유로운 의지와 은혜를 통하여 특정 종교전통 안에 있는 개인들을 구원하실 수 있을까? 여기서 기독교인으로서 반드시 인식해야 하는 가장 우선적인 것은, 타종교의 가르침이나 종교적 관행 들이 근본적으로 하나님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어떻게 인간을 구원하셨고, 그리고 어떻게 구원하시는지에 대한 기독교인의 인식과 분명히 다르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리스도인으로서 모든 인간의 궁극적인 구원에 대한 하나님의 능력과 자비에 대해서 어떤 시각을 가져야 하는지 다양한 신학적 견해들을 조사한 후, 연구자의 개인적인 신학적 결론을 제안하였다. Periodically, in the course of the church’s history, a view has arisen that is sharply opposed to the orthodox doctrine of salvation. Rather than dividing the human race into two camps, the saved and the lost, this view asserts that eventually all persons will be saved through various means. In the 20th century, however, many people are bound together by the common belief that the future is optimistic for all human beings, Even among evangelicals, there is not a clear consensus on the destiny of people of other faiths. Can God save people of other religious faiths based on His rich blessings and infinite mercies? This study examines various theological views on how Christians should view God’s saving grace in other religious traditions, and then proposes the researcher’s personal theological conclusion.

      • KCI등재후보

        자기긍정의 서사와 소설창작

        정한아 ( Jung Han-ah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8 문학치료연구 Vol.8 No.-

        이 글은 한국문학치료학회 제51회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것으로, 필자의 소설을 창작자의 입장에서 분석해 본 것이다. 출판된 텍스트를 기본으로 한 편의 장편소설과 일곱 편의 단편소설을 근거로 소설 속에 총 다섯 개의 모티프를 추출해 냈다. 이는 가족의 문제, 해외 공간, 사회 소수자, 우주적 시선, 구원의 원이라는 공통의 문제의식으로 묶어 볼 수 있었다. 이들 다섯 가지 모티프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필자의 소설이 근본적인 뿌리로 자기 긍정의 서사를 추출해 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삶의 어두운 부분을 직접 체험하고 난 뒤 그 실상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소설의 갈등과 해결은 본디 성숙한 인식에 이르는 결과를 그리는 일련의 과정과 같다. 이 글에서는 필자의 소설이 그와 같은 주제의식을 갖고 있는 까닭을 삶의 경험을 토대로 한 세계관의 입장에서 분석해보았다. 소설 창작은 개인 서사를 기록한 것으로 작가 자신의 세계관을 그대로 담고 있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필자의 소설을 이루는 가장 중요한 모티프를 중심으로 그 형상화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을 통하여 문학의 생성 과정을 생생히 따라가 보고 그 실현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는 것에 이 글의 목적이 있다.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novels I wrote as a creator. Based on published texts-one long novel and seven short novels-, I extract five motif. There are family affair, overseas, social minority, a view of the universe, and the circle of salvation. Focusing on those five motif, I found that my own novel is based on self-positivity which understands reality after experiencing the dark side of life. The solution and conflict of novel is to reach the mature awareness. After analyzing my own novels, I found that the reason I have those five motif is related to my own experience in real life. Creating novel is to record the creator`s personal epic which includes the view of the world. I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five motif which is the basis of novels and my real life. Also I confirm that my actual experience has effect on my no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