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허무효심판에서의 심판물(subject matter) = 청구취지(특정 청구항) + 청구이유(무효사유+주요증거)

        왕로(Lu WANG),정차호(Chaho JUNG)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圓光法學 Vol.37 No.4

        소송에서 소송물이 무엇인지가 매우 중요하듯이, 특허무효심판에서도 심판물이 무엇인지가 매우 중요하다. 그 심판물을 기준으로 기판력(일사부재리), 기속력, 중복심판 등이 판단된다. 특허무효심판의 심판물을 청구취지로 넓게 보는 견해와 청구취지 및 청구이유로 좁게 보는 견해가 존재하나, 그 쟁점에 대해 본격적으로 논의된 바는 없는 것으로 관측된다. 이 글은 특허무효심판에서의 심판물을 이해하기 위해, 우리 민사소송법에서의 소송물 이론 및 주요국에서의 소송물 이론을 분석하고, 나아가 주요국 특허무효심판에서의 심판물 이론을 분석하였다. 그러한 분석의 결과 이 글은 다음과 같은 법리적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특허무효심판에서의 심판물은 청구취지로만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이유까지도 포함한다. 그 청구이유는 특정 청구항에 대한 특정 무효사유 및 주요증거로 구성된다. 둘째, 특허법 제163조는 일사부재리 원칙이 ‘동일 사실 및 동일 증거’에 적용된다고 규정하는데, 심판물의 견지에서 그 규정은 정확하지 않다. 일사부재리 원칙은 ‘동일 심판물’에 적용된다고 규정되어야 한다. 셋째, 특허법 제186조 제6항은 특허무효심판의 심결의 취소를 청구하는 소는 ‘심결’에 대한 것이어야 한다고 규정한다. 그 규정에서의 ‘심결’이 무엇인지가 명확하지 않다. 그 규정은 ‘심판물’에 대한 것이어야 한다고 개정되어야 한다. 넷째, 특허법 제158조의2가 (민사소송법 관련 규정의 준용을 통하여) 적시(適時)제출주의를 규정한다. 적시제출주의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심판절차의 초기에 심판물이 확정되어야 한다. 그런 견지에서 청구이유의 수시 보정을 허용하는 특허법 제140조 제2항 제2호는 개정되어야 한다. 다섯째, 특허법 제159조는 당사자 또는 참가인이 신청하지 아니한 이유에 대해서도 직권으로 심리할 수 있다고 규정한다. 그러나, 특허무효심판에서는 처분권주의가 적용되어 청구인만이 심판물을 특정할 수 있어야 하며, 심판부는 관련 자료를 직권으로 탐지하는 것만 허용되어야 한다. 그런 내용을 담도록 제159조는 개정되어야 한다. As the subject matter in a litigation is very important, the “subject matter in a patent invalidation trial” (‘trial subject matter’) is also very important. Based on the trial subject matter, res judicata (claim preclusion), restriction ability, double litigation, etc. are decided. Until now, two conflicting theories have existed, one of which regards the trial subject matter as purport of petition and the other of which regards the trial subject matter as purport of petition and grounds of petition. However the issue has never been seriously debated in Korea. This paper, to understand the trial subject matter, has analyzed the subject matter jurisprudence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civil procedure laws, and has further analyzed trial subject matter jurisprudence in major countries. As results of such analysis, this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legal improvement plans. Firstly, the trial subject matter consists not only purport of petition but also ground of petition. In addition, the ground of petition consists of a specific invalidation ground of a specific claim and primary evidences. Secondly, section 163 of the Korea Patent Act (KPA) prescribes that res judicata principle applies to the same fact and the same evidence. In respect of the trial subject matter, the provision is not correct. Res judicata principle shall be applied to the same trial subject matter. Thirdly, section 186(6) of the KPA prescribes that a suit for trial revocation should be on “trial decision”. Meaning of the “trial decision” in the provision is ambigous. The provision should be amended to mean “trial subject matter.” Fourthly, section 158-2 of the KPA (adapting relevant provisions of the Korea Civil Procedure Act) prescribes the timely submission principle. For the principle to be realized, the trial subject matter must be finalized in the early stage of the trial. In that respect, shall be amended section 140(2)(2), which allows amendment of petition ground from time to time. Fifthly, section 159 of the KPA prescribes that the trial board can sua sponte examine a ground which was not petitioned by the petitioner or joinder. However, in the patent invalidation trial, principle of disposition should be applied and therefore, only the petitioner shall specify the trial subject matter. The trial board is only allowed to sua sponte examine relevant evidences. Section 159 of the KPA shall be amended accordingly.

      • KCI등재후보

        교과별 지식이론을 통한 교과교육 이론화 방안의 서설적 연구

        강현석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4 교육과학연구 Vol.35 No.2

        In a literary sense, subject matter education refers to teach a subject. The very act of teaching a subject matter includes a variety of factors related learners, society, and knowledge. Among these forces, Much attention have given to knowledge, especially the nature of knowledge. The study on subject matter education has had a tendency to deal with the statu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by objectives model approach originated by Tyler. This approach has many limitations to establish the inherent subject matter education. Now it is time to reconceptualize subject matter education on the basis of new conception. In the line of problem posing about the rethinking subject matter education, we focus on the act of theorizing subject matter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ory of knowledge about the subject matter(TKS). Recently the discussion of the TKS have raised by multiple fields and numerous researchers. According to those who suggest merit of the TKS, the way of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of subject matter education should be integrated into the nature of knowledge which a subject matter teach. This study is to preliminary examine the theoretical possibility of subject matter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structure of it. According to research findings, the TKS includes two underlying theory, educational epistemology and disciplinary theory of knowledge. The former focuses on the nature of knowledge which is uncovered by pedagogical event-acquiring and transmitting a knowledge, the latter focuses on the structure of a subject matter by disciplinary epistemology. These two theories give valid ground to the process of education as teaching and learning a subject matter. We can construct the status and theoretical possibility of subject matter education in the line of educational and disciplinary epistemology to overcome the limits of general approach led by objective model, In the future, TKS in context of subject matter education plays the role of critical theorizing and practising the act of teaching a subject matter, and guides a teaching-learning situation in classroom. 본 연구는 기존의 교과교육에 대한 문제와 한계를 밝히고, 기존의 일반론적 접근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교과별 지식이론을 통한 교과교육의 이론화 방안을 서설적으로 탐구한 것이다. 교과별 지식이론을 통하여 기존의 전통적인 철학적 인식론에 대한 경도된 논의와 학문 분야별 인식론을 재인식함으로써 전문적이고 특성화된 교과교육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과거 일반적 인식론의 문제와 교과 구조에 대한 확장된 입장에 주목하여 교과교육을 새롭게 이론화 할 수 있는 교과별 지식이론을 논의하고, 거기에 기초한 교과교육론의 구성 방향과 체계를 간략하게 제시하고 있다. 향후 교과교윽에 대한 논의와 학문적 구체화의 방향은 교과의 학문적 인식론의 입장과 교육인식론의 구체화를 통해 상당 부분 체계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므로 교과교육의 문제는 이러한 이론적 논의와 현장 실천의 문제가 연계되어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 KCI등재후보

        保險目的의 讓渡와 通知義務

        장덕조 한국금융법학회 2008 金融法硏究 Vol.5 No.1

        Present Korean Commercial Code Article(K.C.C. §679) defines on the Assignment the Subject-Matter of Insurance as follows : ① when the insured has assigned the Subject-Matter of Insurance he shall be presumed to have assigned the rights and obligations arising from the contract of insurance ② in this instance, the assignor or assignee of subject-matter must notice the insurer the assignment of subject-matter of insurance. This study is designed to estimate and to interpret the Revised Bill of K.C.C. §679. Then, I regard the Revised Bill of K.C.C. §679 as insufficient. It newly stipulates that when he assigns the subject-matter of insurance, simultaneously the assignor’s rights and obligations are transferred to the assignee. And it newly stipulates the assignor’s or assignee’s obligation to give notice of the fact that they assigned the subject-matter of insurance to that insurer. But is still leaves these problems as follows: First, in case that the assignor or assignee does not notify the subject-matter of insurance to insurer, the breach of obligation should have been stipulated more clearly. Second, the article of premium should have been stipulated. Third, there must be more clear stipulation when the assignor does not know the insurance of the subject-matter. Present Korean Commercial Code Article(K.C.C. §679) defines on the Assignment the Subject-Matter of Insurance as follows : ① when the insured has assigned the Subject-Matter of Insurance he shall be presumed to have assigned the rights and obligations arising from the contract of insurance ② in this instance, the assignor or assignee of subject-matter must notice the insurer the assignment of subject-matter of insurance. This study is designed to estimate and to interpret the Revised Bill of K.C.C. §679. Then, I regard the Revised Bill of K.C.C. §679 as insufficient. It newly stipulates that when he assigns the subject-matter of insurance, simultaneously the assignor’s rights and obligations are transferred to the assignee. And it newly stipulates the assignor’s or assignee’s obligation to give notice of the fact that they assigned the subject-matter of insurance to that insurer. But is still leaves these problems as follows: First, in case that the assignor or assignee does not notify the subject-matter of insurance to insurer, the breach of obligation should have been stipulated more clearly. Second, the article of premium should have been stipulated. Third, there must be more clear stipulation when the assignor does not know the insurance of the subject-matter.

      • 한국어교육학에서 제재를 중심으로 한 연구 동향과 향후 과제

        지현숙 ( Hyun Suk Jee ) 시학과 언어학회 2010 시학과 언어학 Vol.18 No.-

        This study conceptualized the term `subject matter` and discussed its statu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tudy also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types of subject matter in Korean textbooks, with the notion that it is the `textbook` in which the subject matter appears most explicitly because textbooks reflect the developers` views on language education. The researcher, by means of this process, reflected on the problems of previous studies on subject matter and proposed the perspective that the studies on subject matter are desired to take. The researcher proposed that the studies on subject matter, in terms of contents, orient to those aims presented below. First, the studies on subject matter which improves the literacy as a communicator of culture should be encouraged. Second, real-world approach should be adopted. Third, the choice of subject matter should be able to provide individualized guidance to each learner. Fourth, subject matter that combines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complementarily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the researcher also pointed out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professionally the research methodology on subject matter with open mind to diverse methodologies, and that it is crucial to establish the concept of need analysis.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several ways: it covers the research trends so far on subject matte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categorizes and analyzes various Korean textbooks published up to date both in and out of Korea; and it proposes specific ways to improve the research methodology.

      • 한국어교육학에서 제재를 중심으로 한 연구 동향과 향후 과제

        지현숙 시학과언어학회 2010 시학과 언어학 Vol.0 No.18

        This study conceptualized the term ‘subject matter’ and discussed its statu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tudy also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types of subject matter in Korean textbooks, with the notion that it is the ‘textbook’ in which the subject matter appears most explicitly because textbooks reflect the developers’ views on language education. The researcher, by means of this process, reflected on the problems of previous studies on subject matter and proposed the perspective that the studies on subject matter are desired to take. The researcher proposed that the studies on subject matter, in terms of contents, orient to those aims presented below. First, the studies on subject matter which improves the literacy as a communicator of culture should be encouraged. Second, real-world approach should be adopted. Third, the choice of subject matter should be able to provide individualized guidance to each learner. Fourth, subject matter that combines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complementarily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the researcher also pointed out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professionally the research methodology on subject matter with open mind to diverse methodologies, and that it is crucial to establish the concept of need analysis.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several ways: it covers the research trends so far on subject matte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categorizes and analyzes various Korean textbooks published up to date both in and out of Korea; and it proposes specific ways to improve the research methodology.

      • KCI등재후보

        국내외 고등학교 공업기술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이한규,진의남 대한공업교육학회 2006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between foreign curriculum and our high school industrial technology subject-matter curriculum, to review trend and stream of curriculum revision, and purpose and content system of subject-matter.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reviewing literature; research reference, journal, book, and Web materials. in this study, comparative target country was restricted to Japan, U. S. A., U. K., and N. Z., Australia that administer to similar subject with our industrial technology subject-matter.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 similar subject-matter with our industrial technology subject0matter was Japan' 'founda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and 'project research', U. S. A.' 'technology' and etc, U. K.' 'design and technology', and N. Z.' 'technology', 'New South Wales in Australia' design and technology'. 2. The result of analysis to purpose and strength of subject-matter, our' industrial technology subject-matter was oriented to knowledge, understanding and career search in industrial area. but, the other was emphasized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by process-based method with thinking and action. 3. In the curriculum content, our country was treat to content area of a broad industrial world. on the other hand, Japan;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technology, environment, process technology and product technology, project research. U. S. A.; technology content standards by knowledge, process and context, U. K., N. Z., and Australia were focused 'design process'. Based on above results, the recommendation can be established as follows: 1.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curriculum. 2.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need assessment of expert and stakeholder about purpose and content system. of industrial technology subject-matter.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공업기술교과 성격과 내용이 유사한 외국의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함으로서 교육과정 개정의 흐름과 방향, 그리고 교과의 목표와 내용체계에 대하여 고찰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한 연구방법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공업기술교과와 유사한 과목들이 편성되어 운영되고 있는 일본, 미국, 영국, 그리고 뉴질랜드와 호주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공업기술교과와 유사한 과목으로는 일본의 ‘공업기술기초’와 ‘과제연구’, 미국의 ‘기술’, 영국의 ‘설계와 기술’, 그리고 뉴질랜드의 ‘기술’, 호주 뉴사우스웨일즈주의 ‘설계와 기술’ 등이 있었다. 둘째, 교과의 목표와 강조점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는 공업기술은 공업에 대한 지식과 이해, 그리고 진로탐색에 초점을 두고 있었으나, 일본, 미국, 영국, 뉴질랜드, 호주의 경우에는 과정적 접근 방법에 의한 기술적 문제해결력을 강조하고 있었다.셋째, 교육내용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는 전반적인 공업 세계의 영역을 다루고 있었으나, 일본은 인간과 기술 및 환경의 관계, 가공기술과 생산기술, 과제연구를 다루고 있었으며, 미국은 지식과 과정, 그리고 맥락에 의한 내용표준을 제시하고 있었고, 영국, 뉴질랜드, 그리고 호주의 경우에는 설계과정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공업기술교과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실태분석이 필요하다.둘째, 공업기술교과의 목표와 내용체계에 대한 전문가와 이해관계자들의 인식과 요구분석이 필요하다.

      • KCI등재

        Dewey 의 "교과의 심리화"의 교실에서의 "구현"에 관한 탐구: 유아교육을 중심으로

        류미향 ( Mi Hyang Ryu ),임부연 ( Boo Yeun L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0 교육과정연구 Vol.28 No.3

        본 논문은 학교교육과 유아교육의 통섭을 통해 교과교육의 의미를 새롭게 이해해 보고자 하는 것으로, 먼저 교과가 지나치게 `교사의 교과`로 조직화되어 학습자로 하여금 유의미한 학습경험을 이끌어내지 못하거나 학습자에게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방법과 기술에 대한 고민이 지나쳐서 교과에 대한 진정한 이해가 부족한 현실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한 대안으로 Dewey의 `교과의 심리화`와 `교과의 점진적인 조직`에 대한 이론적 탐구를 시도 하였다. 또한, Dewey의 논의가 단순히 이론적 가설로 여겨지기 쉬운 오늘날 학교교육에서 학습자의 놀이성과 지식구성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놀이중심 통합교육으로 실천하고자 하는 유아교육의 실제를 통해 `교과의 심리화`가 실제 교실에서 구현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과가 학습자의 일상적인 삶과 경험에서 머무르지 않고 경험이 통합적이고 연속적으로 확장되어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지식으로 발전해 가기 위해서는 교과의 점진적이 조직이 불가피하며 동시에 교과의 심리를 떠나지 않는 지식구성을 위하여 학습자의 삶과 경험에서 유발되는 놀이성과 유희성이 교과교육의 중요한 요소가 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oday our concerns about the public education system in Korea are increasing with the current system of the college entrance exam and our overly excitement about private education. In the current study, we wanted to investigate the essence of education and the goals of school education through our discussion about the subject matter. It is interesting and meaningful to study Dewey`s discussion about `psychologization of subject matter` and `progressive organization of subject matter` as an alternative for the current problem that the subject matters become too organized to bring out students` meaningful education experiences. We tried to explore a possibility of practical manifestation of Dewey`s `psychologization of subject matter`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where children`s playfulness and construction of knowledge are materialized at the same time through play-based,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urrent experiences toward more logical and systematic knowledge of subject matters, teachers need to understand the practical meaning of `progressive organization of subject matter.` At the end, this study suggested further research to examine the practical possibilities of integrating students and subject matters.

      • KCI등재

        자아성찰 학습을 위한 교과교육의 이해와 개발

        송재홍(Song Jae Hong) 교육종합연구원 2007 교육종합연구 Vol.5 No.2

        오늘날 생활지도의 중핵 활동인 상담과 교과지도 활동인 수업의 경계가 점차 모호해지고 있다. 학교교육 현장에서 아동의 생활지도를 담당하고 있는 상담교사에게는 체계적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점점 더 중요한 임무로 부각되고 있는 반면, 전통적으로 교실 수업을 전담해 온 교과전담 교사에게는 분과주의에 기초한 단편적인 지식 위주의 교육행위를 반성하고 학습자의 개인적 삶의 문제와 연결된 통합적 접근을 더욱 더 적극적으로 모색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생활지도와 교과지도의 경계 허물기에 대한 적극적인 논의를 전개하여 교과학습과 상담활동을 접목하기 위한 개념적 원리와 실천적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는 교실에서 아동을 대상으로 전개하는 교육적 행위가 ‘공학적’ 접근에 기초한 획일화를 지양하고 ‘상담적’접근에 기초한 다양성을 회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글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교과학습과 상담활동의 접목 가능성을 탐색하고 그 실천적 대안을 개발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송재홍(2006b)은 가르침과 배움의 본질적 의미를 가능성으로서 내재된 자기발견과 자기완성에 도달하기 위한 자아성찰의 여정으로 성격화하고, 교과교육의 기본적 성격을 교과를 통해 습득된 지식체계를 넘어서 삶의 주체인 자기의 완성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학습자의 자아성찰을 안내하는 체계적인 활동으로 재정립하였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개념적 사유체계에 기초해서 교과학습과 상담활동을 접목하여 교과교육 실제에서 자아성찰을 촉진하기 위한 체계적인 학습모형을 제안한다. 또한 자아성찰 학습을 확장하기 위한 교과교육의 과제와 이러한 시도가 교실수업 실제에서 초래하게 될 변화를 논의한다. Recently, many teachers are required to spend any amount of time conducting the guidance and counseling programs in the classrooms that may help their students solve their own problems for themselves. But they have little opportunities to naturally contact with their students in and out of classroom, in part to the lack of time which they spend to meet with their students.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required to interweave some counseling programs with the classroom teaching of subject matter. In other words, the education of subject matter should be oriented to the counseling approach rather than the technological approach.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the education of subject matter with counseling program, and to suggest a new viewpoint of the learning of subject matter. Learning is redefined as the journey of self-reflection on the part of learner that lead to accomplish his or her self-actualization. And the classroom teaching of subject matter is supposed to be the human service that help the learner to connect the knowledge of subject matter with his or her own experienc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integrative self-system. In this study,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framework of thinking about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subject matter, so called the self-reflective learning, may help students use the acquired knowledge of subject matter to organize his or her own experiences. Also, some practical tasks have been outlined that teachers should take to help their students develop the self-reflective learning in the teaching of subject matters in the classrooms. Finally, the expected outcomes has been discussed that this new approach might bring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classrooms.

      • KCI등재

        經典敎育 硏究의 성과와 전망

        함영대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previous discussions on Confucian classics and classics of all philosophers contained in Chinese classics textbooks to find a future direction for classics education. This is an approach of educational history to teach Confucian classics, one of the classic texts transmitted in East Asia and also examination from the view of subject matter education over sentences of classics and classics of all philosophers from the perspective of matters consisting of Chinese classics textbooks along with poems, novels, or prose. The discussion is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that classics education should be recognized as an inclusive, social matter and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classics’ necessity and significance. This opinion is accompanied by the theory of developing cultural contents. And the other is to examine the discussions on the theory of classics education as theory of Chinese classics subject matter education from the view of subject matter education. This requires analysis on Chinese classics education comparatively with the elements of other subject matter education. This examination on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s led to the consciousness of following problems.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clusive and social approaches, we need clearer and more persuasive opinions on ‘what do we need to teach and why’. Among the Oriental traditional ideas contained in Confucian classics and classics of all philosophers, what could be the ones that can be highlighted in this age newly without damaging its meaning in the original context? Regarding this, researchers of classics education should be more careful and considerate. The problem left in the examination of classics education as the theory of subject matter education is that in subject matter education using Chinese classics textbooks, what kinds of educational materials classics education should select in more detail and how they would be arranged. The learning elements of Confucian classics and classics of all philosophers should be distributed and arranged within the text of Chinese classics subjects, and clear criteria for learning are needed for that. He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ynthetically not only ideological context but overall gravity and directional issues regarding syntactic elements, difficulty and hierarchy, and social demand of the times. Other than this, it is also inevitable to arrange sentences containing the contents of classics harmoniously with literary or historic prose in the Chinese classics textbooks and to establish ‘identity for the Chinese classics subject’. Regardless of any region or period, no classics have maintained their absolute status. Also, in that textbooks reflect periodic circumstances more directly than any other educational materials, classics education as subject matter education still internalizes valid and substantial meaning and infinite possibility of alteration. 이 글은 한문 교과서에 수록된 유교 경전과 제자서(諸子書)에 대한 그간의 논의를 검토하고 이후 경전교육이 나아가야 할 길을 찾아보려는 것이다. 이는 동아시아 전래의 고전적 텍스트 가운데 하나인 유교경전을 교육하는 교육사론적 접근이자 시, 소설, 산문과 같이 한문교과서를 구성하는 소재적 측면으로서의 경전, 제자 문장에 대한 교과교육론적 검토이다. 논의는 크게 두 갈래로 진행했다. 하나는 경전교육을 포괄적이고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하여 한문교육의 필요와 의미의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검토했다. 이러한 주장은 문화 콘텐츠 개발론을 동반한다. 다른 하나는 교과교육의 문제로 한문교과 교육론으로서의 경전교육론의 논의들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는 한문교육의 다른 교과 교육의 요소와 상호비교가 요청된다. 이러한 논의들의 성과를 검토한 결과 다음의 문제의식에 이르게 되었다. 포괄적이고 사회적인 접근의 결과 ‘무엇을, 왜’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하여 좀 더 분명하고 설득력 있는 주장이 필요하다. 과연 지금 시대에 유가와 제자의 경전에 깃들어 있는 동양의 전통 사상 가운데 그 원래적 문맥의 의미를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새롭게 부각시킬 수 있는 요소는 무엇이 있는가? 이 점에 대해 경전교육의 연구자들은 좀 더 고심할 필요가 있다. 교과교육론으로서의 경전교육에 대한 검토에서 남겨진 문제는 결국 한문교과서를 활용하는 교과교육에서 경전교육은 과연 어떠한 구체적 교육 자료를 선별하여 어떻게 배치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다. 유교경전과 제자서의 학습요소는 한문교과서라는 텍스트 내에서 분산배치 되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명확한 학습기준이 필요하다. 그것은 사상적인 맥락만이 아니라 문법적 요소, 난이도와 위계의 문제, 당대 사회적 요청에 따른 전체 비중과 방향의 문제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 외에도 경전의 내용을 담고 있는 문장들을 한문교과 내에서 문학류, 사학류 산문들과의 균형있게 배치하는 것과 ‘한문교과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문제는 빼놓을 수 없는 문제이다. 지역과 시대를 막론하고 어떠한 고전이라도 고정불변의 지위를 획득하고 누린 경우는 없다. 교과서는 어떤 교육 자료보다도 시대의 풍상을 직접적으로 수용한다. 이 점에서 교과교육으로서의 경전교육은 여전히 유효한 현재적 의미와 무한한 변화의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다.

      • KCI등재

        듀이 이론에서 "통합"의 의미에 따른 교과의 성격과 교육과정 통합의 의의 탐색

        배지현 ( Ji Hyun Bae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3 초등교육연구 Vol.26 No.4

        이 연구는 듀이가 규정하는 아동과 교과의 관계에서 통합의 의미를 규명하여 교육 과정 통합의 또 하나의 의의를 찾기 위한 것이다. 듀이는 아동-교과 일원론, 교과의 심리화, 학습자의 교과의 발달, 흥미 등의 개념을 바탕으로 아동과 교과 양자를 ‘통합적 연속체’로 규정한다. 이 연구에서는 듀이의 통합의 아이디어가 삼투해있는 아동과 교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통합의 의미를 다음의 네 가지로 도출하였다. 듀이에게 있어 통합은 ①아동과 교과의 실체적 통합, ②흥미로 통합된 아동과 교과, ③교과 발달 단계별 상이한 통합 유형들, ④아동의 활동과 교육자의 활동의 통합의 의미로 규정되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듀이의 통합 개념을 통해 교과의 의미와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였다. 교과는 본성상 ‘아동’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고, 아동의 현재적 경향성을 보다 유의미하게 지속시키는 ‘흥미’가 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그 가치가 가늠되며, 경험 발달의 각 과정 자체의 내재적 가치를 보장하는 ‘과정적 완결성’을 지닌 것으로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듀이에게 있어서 통합과 교과의 의미를 바탕으로 통합교육과정 분야의 주요 쟁점을 재검토하였다. 이에 따라, 교육과정 통합의 필요성을 ‘아동과 교과의 본래적 통합성의 회복’이라는 측면에서 새롭게 제시하였고, 경험중심 통합과 학문중심 통합의 분리가 불합리함을 지적하였으며, 교육과정 통합의 위상이 결과적 지식을 획득하기 위한 잠정적·수단적 조치 정도로 간주되어서는 안 됨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integration implicated in Dewey`s monism about the child and the subject-matter to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curriculum integration. Dewey explains the meaning of the subject-matter defining ``psychologizing of subject-matter``, ``subject-matter of learner`` and ``interest``. And he accounts the child and the subject-matter to be ``a integrated continuum``. This paper interpreted the meanings of Dewey`s integration as follows. The meanings of Dewey`s integration are ``substantive integration of the child and the subject-matter``, ``integration as the interest``, ``integration types according to development stages of experience``, and ``integration of child`s activity and teacher`s activity``. The nature of the subjective-matter is arrived through these meanings of Dewey`s integration. The subject-matter to Dewey contains the character of ``the child``. And it has ``value as the interest`` and ``completion as the process`` instead of as an end result. This study clarified the implications of Dewey`s integration for curriculum integration as follows. First, Dewey`s integration provides a new point of view about the significance of curriculum integration. The significance of curriculum integration consists in regaining intrinsic integration of the child and the subject-matter. Secondly, experience-centered integration and discipline-centered integration, which are ways to integrate educational contents, can not be separated. Thirdly, curriculum integration has not the instrumental value for absorption of knowledge but the intrinsic value in it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