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어 표준어에 대한 재고

        장린,이강혁 중한연구학회 2024 중한연구학간 Vol.0 No.33

        본 연구는 ‘표준어 정책’ 폐지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표준어 정책’의 필요성을다시금 검토하면서 현대에 적합한 표준어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2장에서는 ‘규범 표준어’와 ‘표준 어휘’의 정체성 및 발전사 등을 살펴보면서 그동안 기존 연구에서 제기된표준어의 무용론 근거들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3장에서는 ‘표준어 정책’의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표준어 정책’은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가능케 하고, 한글의 특수성으로 인한 표기상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필요하며, ‘표준어 정책’이 표준어휘를 사정할 때의 원칙이 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4장에서는 현대에 맞는 ‘표준어’의개선 방향을 <한국어 어문 규범>과 ‘규범 사전’의 관점에서 제안하였다. 우선 언어와 사회적 변화를 더 적절히 반영하여 일부 규정을 수정하고, <표준 발음법>에 억양에 대한규정을 추가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표준어와 현실어의 불일치 문제에 대해서는해당 단어의 표준 발음을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제시하고, 현실발음을 우리말샘에서제시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d the arguments for abolishing the ‘Korean language norms’, reconsidered the necessity of the ‘Korean language norms’, and proposed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Standard Korean suitable for modern times. In Chapter 2, the identities and development history of ‘Korean language norms’ and ‘standard vocabulary’ were examined, along with the analysis of the arguments for the abolition of ‘Korean language norms’ proposed in previous research and their shortcomings. Chapter 3 discuss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Korean language norms’. It emphasized that the ‘Korean language norms’ enabled efficient communication and were necessary to avoid confusion in spelling due to the uniqueness of Hangul, and served as a principle when determining standard vocabulary. In Chapter 4, directions for improving a modern ‘Standard Korean’ were proposed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Korean Language Norms’ and ‘normative dictionary’. Firstly, we suggested modifying some regulations to better reflect linguistic and societal changes and proposed the need to add regulations regarding intonation to the ‘Standard Pronunciation Rules’. Additionally, for the issue of discrepancies between standard language and realistic language, we proposed providing the standard pronunciation of words i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and the realistic pronunciation in Urimalsaem as a solution.

      •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 시대의 국어사전 개편 방향 - 『표준국어대사전』을 중심으로 -

        김지혜 국제어문학회 2022 국제어문 Vol.- No.9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actual and ideal directions in dictionary compilation and revisions with changes in the era of digital humanities, with a focus o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underwent major changes with the introduction of a web dictionary system in 2008 and the opening of an open knowledge dictionary, Urimalsam, in 2016. First, the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was changed to a form more appropriate for a web dictionary by abandoning the old style of the paper dictionary. Second, “dialect, North Korean, and old words” were all excluded from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in light of its coexistence with Urimalsam; and third, headwords, spacing, parts of speech, inflection, grammatical information, definitions, and additional information were modified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grammar rules several times in the past. It is suggested that future revisions of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should serve two main purposes. First, the dictionary should be revised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its users. Second, it should be revised to avail itself fully of the characteristics of web dictionaries. Information that was omitted or abbreviated due to space limitations in the paper dictionary can now be properly presented without space limitations. For this purpose, it will be possible to present more varied and abundant inflectional forms, present error forms and abundant examples, and support the use of allomorphy in searches. This study is meaningful by summarizing and presenting the revisions and changes since the compilation of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from the digital humanities perspective. Additionally, it indicates directions for future revisions of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본 연구는 디지털 인문학 시대로 변화함에 따라 사전의 편찬과 개편이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 왔고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개편이 이루어져야 할지에 대 하여『표준국어대사전』을 중심으로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표준국어대사전』은 2008년 웹사전이 도입되고 2016년 개방형 지식 대사전인 『우리말샘』이 개통되면서 크게 세 가지 변화를 겪었다. 첫째, 정보 제시 방식이 종이사전의 형식에서 웹사전의 형식으로 변화하였고, 둘째, 『우리말샘』과의 공존 체제에 따라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방언, 북한어, 옛말’이 모두 제외 되었으며, 셋째, 그동안의 여러 차례의 어문 규정의 개정에 맞추어 사전의 표제어, 띄어쓰기, 품사 정보, 활용 정보, 문법 정보, 뜻풀이, 부가 정보 등의 수정이 이루어졌다. 한편『표준국어대사전』의 향후 개편 방향은 크게 두 가지 목적을 지향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첫째, 사전 이용자의 편의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개편되어야 한다. 둘째, 웹사전의 특성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개편되어야 한다. 이전의 종이사 전에서 지면의 제약 때문에 생략되거나 축약되어 제시되었던 정보들을 이제는 지면의 제약 없이 충분히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다양하고 풍부한 활용 형의 제시, 오류형의 제시, 풍부한 용례 제시, 검색용 이형태의 적극적인 활용 등이 제안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표준국어대사전』이 편찬된 이후로의 개편과 변화 양상을 디지털 인문학적 관점에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앞으로 『표준국어대사전』을 개편해 나가는 데에 참고가 될 만한 개편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표준 국어 문법" 용어의 현황과 문제점

        한재영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8 언어와 정보 사회 Vol.3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port the outcomes of grammar terminology standardization, which has been conducted as a part of ‘The Development of Standard Korean Language Grammar’ project. Focusing on the grammatical terms of <Standard Korean Language Grammar>, one of the projects conducted by the National Institution of Korean Language, we have thoroughly examined the whole procedures and selection criteria of terminology standardization. This paper suggests the detailed list of obtained grammatical terms in <Appendix: the list of modified terminologies>. Building on this list, we examine the differences of grammatical terms between existing grammar books, textbooks, Linguistic Norms, and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Through the above-mentioned process, we analyze terminologies based on the aspects of phonology, morphology, and syntax. We emphasize that clarifying the concept of each term to fill the gap between <Standard Korean Language Grammar> and existing publications, including grammar books and textbooks. This paper explains why <Standard Korean Language Grammar> describes some terms inevitably in a different way from how existing Linguistic Norms explain them. Since this project relied on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at the initial stage of selecting terminologies, the differences of terms between <Standard Korean Language Grammar> and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are investigated in depth. We thus recognize the fundamental limits of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남북 규범어의 통합 방안

        한용운 ( Yong Un Ha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7 韓國思想과 文化 Vol.40 No.-

        체제가 다른 상황에서 반세기가 넘는 시간을 교류 없이 지내면서 남북의 우리 겨레는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어휘에 적지 않은 차이가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어휘적인 차이는 남북의 이념과 체제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 대부분이므로 단기간에 해소하려 하기보다는 점진적으로 그 차이를 줄여나가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에서는 차이나는 남북 규범어의 통일을 위한 방안을 검토하였다. 우선 남북 규범어 차이를 ``규범어 설정 지역``, ``언어관 및 언어 정책``, ``표기 규범``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그 후 이러한 규범어 차이를 해소하기 위해 ``규범어 비교``, ``규범어 통합``, ``규범어 통일``이라는 세 단계의 과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규범어 비교`` 단계에서는 남북 규범어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해 서로의 규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아울러 그 차이점을 밝히게 된다. 다음으로 ``규범어 통합`` 단계에서는 ``규범어 비교`` 단계에서 밝혀진 차이점을 줄이기 위해 남북 규범어를 통합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규범어 통일`` 단계에서는 통합된 규범어를 하나의 규범으로 완성하는 단계인데, 규범어의 완전한 통일은 체제가 통일된 뒤에야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단계를 상정한 뒤에 현재는 ``규범어의 통합``을 위한 방안을 마련할 시기라고 보면서, 그 방안으로 남북의 학자들이 공동으로 대사전을 편찬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사전편찬과 더불어 전제되어야 할 것으로 ``남북 겨레의 활발한 교류``와 ``어문규범과 문법 등을 체계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국가 기구``가 필요하다는 제안을 하였고, 또한 체제가 통일되기 이전에 남북 규범을 더 이상 개정하지 않아야 한다는 제안을 하였다. We have been in strong aspirations for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n, but it would not to be done in a day. South and North Korea betray differences in the rules of Korean orthography, the rules of standard Korean, the spelling system of foreign words, the Romanization, etc. How to unify these systems will cause a lot of controversy. In order to reach a mutual agreement on these differences, both Koreas are urged to move beyond concepts of the South`s ``standard language`` and the North`s ``cultural language`` and make endeavors to introduce a new concept of ``a unified language`` integrating our national language. In this paper, I proposed step-by-step phase for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unification. The first-phase is ``making a comparis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and the second-phase is ``integrating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and the third phase is ``unifi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And then, I also proposed the practicable measures for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unification, those are as follows. <The way for South and North standard language unification> a. The compilation of a dictionary for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unification b. The promotion of exchanges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c. Set up a national institutions to discuss unification of the standard language and prescriptive grammar of South and North Korean d. The current orthography system must not revised before a unitary state as possible. I believe that the union dictionary is a requisite for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unification. And what is more important Union dictionary will serve as brid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unification.

      • KCI등재

        ‘고유명사’ 표제어 정비에 대한 표준국어대사전 과 우리말샘 의 관계

        이성우 반교어문학회 2024 泮橋語文硏究 Vol.- No.66

        본고에서는 고유명사 정비와 관련하여 표준국어대사전 과 우리말샘 의 관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먼저 본고는 표준국어대사전 에서의 고유명사 등재가 표준국어대사전 의 권위를 떨어트린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주장의 근거로 세 가지를 들었다. 첫째는 표준국어대사전 의 고유명사가 전문 영역에 편벽되게 쓰여 일반 사용자의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점이고, 둘째는 고유명사에 대한 표준국어대사전 의 등재 여부가 일관되지 못하다는 점이었다. 셋째로 표준국어대사전 에 제시된 고유명사의 뜻풀이가 부정확하다는 점을 들었다. 또한 본고는 표준국어대사전 의 고유명사를 우리말샘 으로 이관한다면, 우리말샘 에서 고유명사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고유명사를 모두 우리말샘 에서만 제시할 경우, 우리말샘 의 성격이 모호해지기 때문에 더 자세히 다룰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고유명사에 대한 표준국어대사전 의 뜻풀이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우리말샘 은 개방형 한국어 지식 대사전에 맞게 ‘고유명사’에 대한 보다 더 다양한 정보를 제시해야 한다고 논의하였다. 이와 함께 우리말샘 은 일반인들의 고유명사 집필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and “Urimal Saem” regarding the organization of proper nouns was discussed. Initially, the paper argued that the inclusion of proper nouns i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undermines its authority. Three reasons were provided to support this claim. First, it was mentioned that the use of certain proper nouns i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is biased towards specialized areas, making them less accessible to the general public. Second, the inconsistency in whether proper nouns are listed i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was pointed out. Lastly, the paper highlighted that the definitions of proper nouns provided i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are inaccurate. Additionally, the paper discussed how proper nouns should be handled if they were transferred to “Urimal Saem”. It argued that if all proper nouns were only listed in “Urimal Saem”, it would lead to ambiguity about the nature of “Urimal Saem”, necessitating a more detailed discussion. Moreover, to deviate from the existing definitions of proper nouns i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Urimal Saem” should offer a wider range of information on proper nouns, in line with an open Korean language encyclopedia. For this, “Urimal Saem” needs to develop strategies to encourage the general public to write entries on proper nouns.

      • KCI등재

        한국수어 사전의 편찬 현황과 발전 방향

        이현화 한국어의미학회 2021 한국어 의미학 Vol.72 No.-

        Lee Hyunhwa, 2021.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Sign Language Dictionary. Korean Semantics, 7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compilation of sign language dictionaries in Korea and to introduce the direction of their development. In order to do so, I describe the necessity of a new compiled Korean Sign Language Dictionary in the Introduction. In Chapter 2, I examine the compilation method of sign language dictionaries in Korea and of sign language dictionaries in Denmark and Australia. I will analyze and present the structure of these dictionaries and deal with the problem of sign language standardization, which is one of the main motive to compile dictionaries. Chapter 3 deals with issues to be considered when compiling a sign language dictionary. In Chapter 4, I describe the structure of a new Korean Sign Language Dictionary based on the problems of the current Korean Sign Language Dictionary, the user’s needs and the available resources. Finally, in Chapter 5, I discuss in what direction the new Korean Sign Language Dictionary will go.

      • KCI등재

        표준어 규정과 표준어 정책에 대하여

        남경완(Nam Kyoung-woa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3 No.-

        본고의 목적은 표준어를 둘러싼 지금까지의 논의를 쟁점별로 정리하고, 국어 교육의 영역에서 표준어와 관련된 내용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표준어와 관련되는 논의의 주제는 현행 표준어 규정의 세부적 내용에 대한 비판에서부터 표준어 규정이 필요한가라는 근본적인 문제 제기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이를 현행 표준어 규정의 내용에 대한 검토와 표준어 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고찰로 나누어 논의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이 가운데 표준어 규정의 내용에 대해서는 표준어의 개념 설정, 표준어 규정의 내용적 체계와 세부 조항에 대한 국어학적 고찰이 이루어졌으며, 표준어 정책의 방향성에 대해서는 표준어와 방언의 관계 및 표준어 규정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논의의 내용을 바탕으로 현재 국어교육에서 표준어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표준어 교육의 의미가 단순히 형태의 암기를 반복하는 차원에서 학습자 스스로 수행하는 어휘 교육의 일환으로 확대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ut the discussion about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in order before we search the appropriate policy on the standard language. As the next step, this article aims to research the efficient teaching method of standard language education in school. About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in Korean, many studies has been progressed on the various subject - the concept of standard language, the examination on the particular stipulations of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the relation between standard language and dialect and the basic doubt on the existence of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etc. The organization of this article is as follows. In chapter 2, I survey the general points of Korean Standard Language Regulation(1988) focused on the concept of standard language. In chapter 3, I make a discussion about the direction of standard language policy in the relation of standard language and dialect. Finally, in chapter 4, I examine the present state of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in school education and propose that the meaning of standard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extended to the general lexical education.

      • KCI등재

        표준어 관련 규정 및 새 해설에 대한 검토

        이선웅 ( Yi Seon-ung ) 반교어문학회 2018 泮橋語文硏究 Vol.0 No.48

        본 연구에서는 2017년 국립국어원의 발주로 마련된 어문 규정의 새 해설 중 표준어 규정 해설의 개선 사항을 집중적으로 고찰하는 한편, 표준어와 한글 맞춤법의 구분 문제, 표준어 관련 규정의 문제점, 표준어 규정의 위상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첫째, 표준어 규정은 음성 언어에서부터 적용되는 규정이고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올바른 음성 형태)를 올바르게 적는 방법에 대한 규정임을 밝혔다. 둘째, 현행 한글 맞춤법 중 어떤 조항이 실질적으로 표준어 규정인지를 밝혔다. 셋째, 표준어 규정과 실질적으로 표준어 규정인 한글 맞춤법 일부 조항에 드러난 문제점을 밝혔다. 넷째, 표준어 규정에 대한 기존 해설과 새 해설의 주요 부분을 대조함으로써 새 해설에서 어떠한 개선이 이루어졌는지를 밝혔다. 다섯째, 표준어 규정은 몇 개의 기본 원칙을 제외하고 사실상 「표준국어대사전」으로 대치할 수 있으며 몇 개의 기본 원칙조차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일러두기’에서 표준어 사정 원칙의 형식으로 제시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rovement of the commentary of the standard language in the new commentaries of the language regulations prepared by the order of the National Korean Language Institute in 2017, and discusses the problem of distinction between standard language and Hangeul spelling regulations, the problems of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and the problems of the status of standard language regulations. Firstly, I show that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s are applied from the spoken language, and the Hangeul spelling regulations are regulations on how to correctly write the standard language (correct voice form). Secondly, I show that in the current Hangeul spelling regulations which one ar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s in fact. Thirdly, we examined the problems of standard language regulations and Hangeul spelling regulations which ar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s in fact. Fourthly, we showed how improvements were made in the commentary by comparing the main part of the existing commentary with that of the new commentary on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s. Fifthly, I suggest that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s can be replaced with a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except for some basic principles, and even the basic principles can be presented in the form of the selection principles of entries i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 KCI우수등재

        100여 년의 언어 변화와 규범 -어문규범안과 국어사전의 길항 양상을 중심으로-

        최경봉 국어학회 2024 국어학 Vol.0 No.109

        이 논문에서는 어문규범화 과정에서 등장했던 어문규범안과 국어사전의 내용상 차이에 주목하면서, 이러한 차이를 언어 현실을 반영하는 데에서 나타나는 규범 간 길항으로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두 가지 사실을 밝혔는데, 첫째는 지난 100여 년간 규범의 변화가 언어 현실의 변화와 단선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었고, 둘째는 규범 간 길항이 언어 현실의 다층성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이었다. 그리고 언어 현실이 다층적인 상황에서 복수 표준어의 확대는 어문규범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안이었음을 밝혔다.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이 논문에서는 어문규범 정책의 방향을 제시했는데, 그 핵심은 향후 어문규범 정책이 어문규범안 중심에서 국어사전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In this paper, we focu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the codified language norm and the Korean dictionary that emerged in the process of standardizing Korean. And we explained these differences as an antagonism between norms that appears in reflecting language reality. Through this, two facts were revealed: the first was that the change in norms over the past 100 years did not respond linearly to changes in language reality, and the second was that the antagonism between norms stems from the multi-layered nature of language reality.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expansion of plural standard was a way to secure the stability of language norms in a situation where language reality was multi-layered.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is paper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e language norm policy. The key was that the policy of language norms should be changed from the center of codified language norms to the center of Korean dictionaries.

      • KCI등재

        표준 국어 문법 형태론 분야의 특징과 활용

        구본관 ( Koo Bon-kwan ),황화상 ( Hwang Hwa-sang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8 언어와 정보 사회 Vol.34 No.-

        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rphology in the standard Korean grammar and to examine the way it will be utilized. The morphology in the standard Korean grammar is composed of three major parts, that is the morphological units(morpheme, word), word class, and word formation. The composition of the morphology in the standard Korean grammar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the general morphology. But the morphology in the standard Korean grammar is considerably different from the general morphology in details such as the grammatical category of ida(be), the governing and restrictive function of affixes, the kind of the irregular conjugation, and so on. The morphology in the standard Korean grammar can play many important roles as a reference morphology. First, it can provide the basis of a theoretical description of Korean language. Second, it can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for revision of practical grammar(such as school grammar, Korean language educational grammar, and so on), Korean dictionary, and Korean language standard. Third, it can form the basis of the general public’s language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