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현역병 건강보험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현주 한국보훈학회 2018 한국보훈논총 Vol.17 No.2

        Since 1989, national health insurance has been conducted in Korea. Nevertheless, the system takes a negative policy, separating enlisted soldiers from general people by excluding them out of health insurance registration. For that reason, enlisted soldiers can’t receive the actual benefit of health insurance. Here, this study intended to derive the problems of current system and improvement plan by analyz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the legal basis of enlisted soldiers health insurance system. To suspend allowance onto enlisted soldiers along with prisoners by excluding them from the registration based on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article. 6 and article. 54 is an act to lose the honor of enlisted soldiers, which is actually a reverse discrimination that would not have been given if they are not in mandatory military service. Also, that is a result leaning to economic and legalistic interpretation. By adopting a separate payment method of costs of health care benefit like deposition only enlisted soldiers based on the same act article. 60 financial deterioration and unnecessary administrative expenses are reappearing, which regional cooperatives experienced before the integration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in the past. This is against the basic principle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based on risk dispersion of insurance members and mutual help, due to this article, enlisted soldiers can’t receive the benefit of national subsidy nationally supported to health insurance finance. Families of employee insured are not reduced with insurance contribution even when their children enter the mandatory military service, which is inequality in charging scheme. As the improvement plan, first, political determination is required to priority consider enlisted soldiers in perspective of veterans, since they are performing military service representing the whole people for the national defense and security. That is, this study suggests to include enlisted soldiers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registration. This coincides with the basic principle of health insurance, also, it contributes to settlement of reverse discrimination, administrative efficiency, and reduction of manpower. Second, this study suggests to calculate insurance contribution onto the enlisted soldiers for national health insurance registration and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should pay this. Through this, medical treatment option of enlisted soldiers onto private medical institutions could be guaranteed without burden of medical expense increase. Third, this study suggests to reduce insurance contribution onto the employees insured by improving insurance contribution charging scheme onto the families with enlisted soldiers. 1989년 이래 우리나라에서는 전 국민 건강보험이 실시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역병을 건강보험 가입대상에서 제외하고 일반국민과 분리하는 네거티브 정책을 취하고 있어 현역병은 실질적인 건강보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현역병 건강보험제도의 법적 근거인 국민건강보험법을 분석하여 해당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국민건강보험법 제6조, 제54조에서 현역병을 가입자에서 제외하여 교도소 재소자와 함께 급여 정지시킨 것은 현역병의 명예를 실추시키는 행위이며 군 복무를 하지 않았다면 받지 않았을 역차별이다. 더불어 지나치게 경제적, 법리적 해석에만 치우친 결과이다. 같은 법 제60조를 통해 현역병만을 대상으로 예탁금이라는 별도의 요양급여방식을 도입함으로써 과거 국민건강보험 통합 이전에 지역조합이 겪었던 재정악화 및 불필요한 행정비용 발생이 재현되고 있다. 이는 보험 구성원들 간의 재정적 위험분산, 상부상조의 국민건강보험 기본 원칙에도 위배되며 이 조항으로 인해 건강보험 재정에 매년 지원되는 국고보조금의 혜택을 현역병은 받지 못하고 있다. 직장가입자 가정은 자녀가 현역병으로 입대해도 건강보험료가 경감되지 않아 부과체계의 불평등이 존재한다.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현역병은 국방과 안보를 위해 전 국민을 대표해서 병역의 의무를 수행 중이므로 보훈적 측면을 우선 고려하는 정책적 결정이 필요하다. 즉, 현역병을 국민건강보험 가입대상자에 포함하는 방안이다. 이는 건강보험 기본원칙에도 부합하여 현역병에 대한 역차별 해소, 행정효율 및 인력 절감에 기여하는 방안이다. 둘째, 국민건강보험 가입을 위해 현역병에 대해 건강보험료를 산정하고 국방부에서 이를 부담하는 방안이다. 이를 통해 진료비 증가에 대한 부담 없이 현역병의 민간 의료기관에 대한 진료선택권이 보장될 것이다. 셋째, 현역병을 둔 가정에 대한 보험료 부과체계를 개선하여 직장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경감 방안이다.

      • KCI등재

        학병의 신체와 전쟁 기억 - 『1․20 학병사기』를 중심으로 -

        장인수 한민족문화학회 2016 한민족문화연구 Vol.53 No.-

        During the pacific war, 1․20 student soldiers became the japan imperial army by compulsion, even if on the surface they were volunteers. They were free themselves from bondage of the colonial subaltern temporarily by being a soldier. But after enlisting their bodies were redesigned the subaltern of the japan army. And even though they were under pressure of the japan army, they were in the place that japanese soldiers murdered prisoners of war and innocent people. It was accompanied by nausea and pain to see. They defined themselves as morally superior beings by otherizing japanese soldiers in The Memoirs of 1․20 Student Soldiers, but sometimes they got along with japanese soldiers to keep their own security. 1․20 student soldiers made their own community based in elitism. They kept company with japanese elite soldiers. 1․20 student soldiers and japanese elite soldiers share with the symbolic capital from the student. According to The Memoirs of 1․20 Student Soldiers, student soldiers' liberalism was a deferentiation strategy. A strange aspect of questionable friendships with japanese soldiers spun off from their academic elitism. The japan military exploited their academic elitism for a stable management of unit. They imagined wrong that they became friends with japanese elite soldiers. An escape from unit was an evidence of anti-japanese to 1․20 student soldiers. They had a great notion that their escape was an anti-japanese movement, but in many cases their idea on a escape was an imaginative. Their escape plan often ended in failure, and they were sent to trial. On the ground that they were sent to jail, they claimed that they had participated in anti- japanese movement. But they subtly awared the problem of responsibility for war. Even though they were just a simple soldier, they were at the scene of destruction. 태평양전쟁 시기 학병들은 일제 관헌의 강요에 의해 지원병 형식으로 황군이 되었다. 황군이 됨으로써 그들은 식민지 하위주체에서 ‘일시적으로’ 벗어나 반항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입대 후 그들의 신체는 다시 일본군 내부의 하위주체로 재편됐다. 그리고 일제의 강압에 의한 것이라고는 해도, 전쟁 포로를 살해하고 양민을 유린하는 자리에 끼기도 했다. 그것은 ‘보는 고통’과 신체적인 메스꺼움을 동반하는 경험이었다. 『1․20학병사기』에서 그들은 일본 병사들을 타자화함으로써 스스로를 윤리적으로 우월한 존재로 그리지만, 때로는 안위를 위해 일본 병사들과 타협하기도 했다. 학병들은 학생 출신 엘리트라는 점을 자긍심으로 한 차별화 전략을 통해 학병공동체를 형성했다. 학생 출신이라는 상징자본은 같은 처지의 일본인 간부나 병사와의 접점이 됐다. 그들의 학벌주의는 일본인과의 수상한 ‘우정’으로 이어졌다. 군부는 부대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학병들의 인텔리 의식을 이용했다. 학병들은 자주 폐쇄적인 부대 내에서 학생 출신 일본 군인과의 거리를 실제보다 가까운 것으로 잘못 상상했다. 학병들에게 ‘탈영’은 그 자체로 반일의 증표였다. 물론 개중에는 실제로 항일운동에 이른 경우도 있지만,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었다. 탈영은 번번이 실패로 끝났고, 재판과 투옥으로 이어졌으며, 그 투옥체험을 근거로 ‘항일운동’이라는 상상이 강화됐다. 그러나 그들은 전후 책임의 문제를 미묘하게 의식하고 있었다. 그들은 ‘졸병’에 불과했지만, 분명히 일본 군인이었고 살상이 일어난 장소에 있었다.

      • KCI등재

        19세기 후반 제주 대정군(大靜郡) 지역 군병의 직역 실태 - 호적중초(戶籍中草)와 『대정군군병도안(大靜郡軍兵都案) 』의 비교연구 -

        임승희 ( Lim Seung-he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0 No.48

        The paper aims to review the formation of the local forces in the Jeju region and the troop disposition, at different times, after the military reorganization took place during the period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tudy also examines the local military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by reviewing one of the remaining Jeju’s cultural assets, ‘Daejeonggun Gunbyeongdoan(大靜郡軍兵都案)’, the military register of the Dajeong magistracy in 1870. A comparative analysis is performed between the data from the military register and another available historic record of census register of the time, ‘Hojeokjungcho(戶籍中草)’. The study intends to revisit and show how the local military force was formed. A comparative analysis will provide a fresh point of view. The ‘Daejeong Gunbyeongdoan’ military register made in Jeju in 1870 is a valuable document that clearly records the data on the soldiers, to include their military positions and identifications. From such important records, it is very significant to be able to find out how the local forces were formed and what conditions the forces were exposed facing. According to the register, the types of soldiers assigned to the local forces in Jeju were ‘Madae(馬隊)’ mounted unit, ‘Sogogun(束伍軍)’ general local soldiers, ‘Seongjeonggun(城丁 軍)’ castle defending soldiers, ‘Gunsususol(郡守隨率)’ logistics, ‘Bonggun(烽軍)’ soldiers in charge of the beacon mounds, and ‘Yeongun(煙軍)’ smoke signal soldiers. The force totaled 1,900 soldiers. As noticed, the ‘Daejeong Gunbyeongdoan’ military register was written in 1870 and the ‘Hojeokjungcho’ census register was made around the same time. It should be safe to assume that the two records are related. Accordingly, the records of the soldiers on the military register were compared with the ones in the census register to find out what kinds of occupations they had prior to military assignment. The 970 soldiers whose residents were from the 12 villages of the Daejeong magistrate, out of the total of 1,900 registered soldiers, are studied in this paper. Among the 970 soldiers, 598 or 62% of them had a confirmed occupation matching the census register of the 12 villages. The type of the soldiers’ occupations varied depending on the soldier’s military position, such as, ‘Gasol(假率)’ border patrol special officer, ‘Cheonjong(千摠)’ high commissioned military officer, to ‘Yuhak(幼學)’ gentry of higher social status, ‘Yuhyang-byeolgan(留鄕別監)’ and ‘Pumgwan(品官)’ government officer positions. They were the main manpower to form the local military forces in the Jeju region.

      • KCI등재

        일반논문 : 학병의 신체와 전쟁 기억 -『1,20 학병사기』를 중심으로-

        장인수 ( In Su Jang ) 한민족문화학회 2016 한민족문화연구 Vol.53 No.-

        태평양전쟁 시기 학병들은 일제 관헌의 강요에 의해 지원병 형식으로 황군이 되었다. 황군이 됨으로써 그들은 식민지 하위주체에서 ‘일시적으로’ 벗어나 반항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입대 후 그들의 신체는 다시 일본군 내부의 하위주체로 재편됐다. 그리고 일제의 강압에 의한 것이라고는 해도, 전쟁 포로를 살해하고 양민을 유린하는 자리에 끼기도 했다. 그것은 ‘보는 고통’과 신체적인 메스꺼움을 동반하는 경험이었다. 『1·20학병사기』에서 그들은 일본 병사들을 타자화함으로써 스스로를 윤리적으로 우월한 존재로 그리지만, 때로는 안위를 위해 일본 병사들과 타협하기도 했다. 학병들은 학생 출신 엘리트라는 점을 자긍심으로 한 차별화 전략을 통해 학병공동체를 형성했다. 학생 출신이라는 상징자본은 같은 처지의 일본인 간부나 병사와의 접점이 됐다. 그들의 학벌주의는 일본인과의 수상한 ‘우정’으로 이어졌다. 군부는 부대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학병들의 인텔리 의식을 이용했다. 학병들은 자주 폐쇄적인 부대 내에서 학생 출신 일본 군인과의 거리를 실제보다 가까운 것으로 잘못 상상했다. 학병들에게 ‘탈영’은 그 자체로 반일의 증표였다. 물론 개중에는 실제로 항일운동에 이른 경우도 있지만,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었다. 탈영은 번번이 실패로 끝났고, 재판과 투옥으로 이어졌으며, 그 투옥체험을 근거로 ‘항일운동’이라는 상상이 강화됐다. 그러나 그들은 전후 책임의 문제를 미묘하게 의식하고 있었다. 그들은 ‘졸병’에 불과했지만, 분명히 일본 군인이었고 살상이 일어난 장소에 있었다. During the pacific war, 1?20 student soldiers became the japan imperial army by compulsion, even if on the surface they were volunteers. They were free themselves from bondage of the colonial subaltern temporarily by being a soldier. But after enlisting their bodies were redesigned the subaltern of the japan army. And even though they were under pressure of the japan army, they were in the place that japanese soldiers murdered prisoners of war and innocent people. It was accompanied by nausea and pain to see. They defined themselves as morally superior beings by otherizing japanese soldiers in The Memoirs of 1?20 Student Soldiers, but sometimes they got along with japanese soldiers to keep their own security. 1?20 student soldiers made their own community based in elitism. They kept company with japanese elite soldiers. 1?20 student soldiers and japanese elite soldiers share with the symbolic capital from the student. According to The Memoirs of 1?20 Student Soldiers, student soldiers`` liberalism was a deferentiation strategy. A strange aspect of questionable friendships with japanese soldiers spun off from their academic elitism. The japan military exploited their academic elitism for a stable management of unit. They imagined wrong that they became friends with japanese elite soldiers. An escape from unit was an evidence of anti-japanese to 1?20 student soldiers. They had a great notion that their escape was an anti-japanese movement, but in many cases their idea on a escape was an imaginative. Their escape plan often ended in failure, and they were sent to trial. On the ground that they were sent to jail, they claimed that they had participated in antijapanese movement. But they subtly awared the problem of responsibility for war. Even though they were just a simple soldier, they were at the scene of destruction.

      • KCI등재

        일제 말기 한인 학병들의 중국지역 일본군 부대 탈출과 항일 투쟁

        조건(Cho, Gun)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6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6

        1944년 1월 20일 일본은 한인 학병 약 4,000명을 강제로 동원하였다. 학병 동원 규모는 자료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조선 주둔 일본군 측 자료에는 3,893명, ‘제국의회 설명자료’와 학병동지회 자료에는 4,385명으로 나타난다. 동원된 학병들은 한반도를 비롯하여 중국과 일본 일대에 배치되었는데, 이들 중 적지 않은 사람들이 일본군 입영 초기, 혹은 부대 배치 이후 적극적으로 항일 투쟁을 전개하였다. 특히 중국지역에 배치된 한인 학병들의 경우 개인, 혹은 단체로 일본군 부대를 탈출한 후 독립운동에 참여하는 사례가 많았다. 지금까지 학병들의 탈출 관련 기록은 자신들이 기록한 회고나 증언을 통해 알려져 왔다. 그런데 일본군이 직접 제작한 부대 명부에도 이러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어 주목된다. 지금까지 일본군 명부에서 확인한 탈출 학병들은 총 40명이다. 학병들의 기록과 일본군 명부 내용을 통해 이들이 당시 감행했던 항일 투쟁의 실상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일본군에서 탈출한 학병들은 탈출 지역에 따라 국민당의 중앙군이나 공산당 팔로군 측에 인계되었다가 각각 다른 경로를 통해 항일 투쟁에 참여하였다. 국민당 중앙군에 인계된 탈출 학병들은 이후 한국광복군에 편입되어 항일독립운동을 전쟁하고 해방 이후 남한 사회의 주도층으로 성장하였다. 그런데 탈출 학병들은 자신들의 이념적 지향과 관계없이 탈출한 지역에 따라 항일 투쟁의 방략과 성격을 달리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는 해방된 이후에도 자신들의 신변에 영향을 미쳤다. 주목할 점은 학병들의 항일 투쟁이 이들의 일본군 탈출에서부터 비롯되었다는 사실이다. 학병 항일투쟁을 온전히 조명하기 위해서는 해방 이후 이들이 처한 또 다른 이념적 상황에 관계없이 일제 말기 침략전쟁에 동원되어야 했던 속박에서 벗어나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던 활동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으면 안 된다. Japan forcibly mobilized approximately 4,000 student soldiers from Korea on January 20, 1944. There was difference in the number of mobilized student soldiers depending on data and the number is estimated as 3,893 according to the Japanese army and 4,385 according to the data of "Explaining material of imperial parliament" and comrade party of student soldiers. The mobilized student soldiers were dispatched in China and Japan as well as in Korean Peninsula but many of them participated in anti-Japanese rule movement aggressively after being enlisted early in Japanese army or after being dispatched in the army. In particular in case of student soldiers dispatched in China, there were some cases of participating in independence movement individually or as a group after escaping from Japanese army. The record that student soldiers escaped from the army was known through their memoirs or testimony. But the same contents were contained in the list of the army the Japanese army made. So far the student soldiers escaping from the army which were confirmed in the list of Japanese army amounted to 40. We can confirm the reality of anti-Japanese struggle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by the student soldiers through the record of student soldiers and the list by Japanese army. Meanwhile, the student solders escaping from Japanese army participated in the anti-Japanese rule movement through each channel after being transferred to National Revolutionary Army of Kuomintang of China or People"s Liberation Army of Communist Party of China depending on the areas. The student soldiers transferred to National Revolutionary Army of National Party of China were included in Korean Liberation Army to participate into anti-Japanese rule movement and grow to become the leading people of South Korea. But there was difference in the strategy and nature of anti-Japanese movement depending on the areas regardless of ideology of student soldiers. And after the liberation, it has impact on their personal identity. What is noticeable is that the struggle of student soldiers was from the escape from Japanese army. To cast light on the anti-Japanese movement of student soldiers, we need to identify in detail the activities of making contribution to the independence of the country by freeing from the restraint of mobilizing in the anti-Japanese movement regardless of different ideology after the liberation.

      • KCI등재

        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 지원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정철영,민무숙,방재현,주홍석,임효신,김보경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3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5 No.2

        This study has researched concept of work-family compatibility and support policies synthetically in order to develop a policy for work family compatibility, to prepare institutional base to improve working condition for professional soldiers, and to make a strategy to expand system. Vision of work-family compatibility policy of professional soldiers was chosen to "balanced life of work and family of professional soldiers". Purpose of the policy is (1) "to expand parenting and educational support for professional soldiers", (2) "to build family-friendly circumstance to build a healthy family of professional soldiers", (3) "to improve understanding of army members and family for professional soldiers'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4) "to vitalize support policies for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of professional soldiers, and 3 sections of policy and the detailed plans has been made. The first section is "support for birth/parenting and the detailed plan consists of (1) to offer prior opportunity to enter day care center, (2) to build more day care centers in army, (3) emergency support in parenting service, (4) support for going see a obstetrician regularly. The second section is "family support" and the detailed plans are (1) offer mentoring for soldiers' children, (2) provide information for parenting and education, (3) consult soldiers' children, (4) offer family harmony program. The third section is "organizational culture and environmental support", and (1) support Return-to-Work program for users of Parental Leave, (2) offer a program to improve understanding of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for Military Commanders, (3) to make good examples of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and its promotion, (4) DB management and monitoring circumstance of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of professional soldiers, (5) to create manual of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and its distribution, (6) to operate a support system for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have been proposed. 이 연구는 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 지원을 위한 정책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일반적인 일-가정 양립의 개념 및 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 지원의 의의·지원정책 현황·지원요구 등을 분석하여 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 지원 방안을 도출하였다. 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 지원을 위한 정책방안의 비전으로는「직업군인의 일과 가정의 조화로운 삶」으로 선정되었다. 정책방안의 목표로는 ①「직업군인의 자녀 양육 및 교육 지원 확대」, ②「직업군인의 건강한 가족 형성을 위한 가족친화 여건 조성」, ③「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군 구성원 및 군인가족의 인식 제고」, ④「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지원 정책 활성화」가 도출되었고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정책영역과 영역별 세부 추진방안이 도출되었다. 첫째 영역은 「출산/육아·보육 지원」이며, 세부 추진 방안으로 ① 보육시설 입소 우선권 제공, ② 군내 보육시설 운영 확대, ③ 긴급 보육서비스 지원, ④ 부인과 통원진료 지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영역은 「가족 지원」이며, 세부 추진 방안으로 ① 군 자녀 멘토링 프로그램 제공, ② 자녀양육 및 교육정보 제공, ③ 군 자녀 상담제공, ④ 가족화합 프로그램 제공을 제시하였다. 셋째 영역은 「조직문화 및 환경지원」이며, ① 육아휴직자 복귀지원 프로그램 운영, ② 상급지휘관 일-가정 양립 인식 개선 프로그램 제공, ③ 일-가정 양립 우수사례 발굴 및 홍보, ④ 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 현황 DB 관리 및 모니터링, ⑤ 일-가정 양립제도 사용 매뉴얼 개발 및 배포, ⑥ 일-가정 양립 지원 시스템 운영을 새로운 정책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MBTI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군 생활관 병사들의 관계개선에 미치는 효과 - 군 생활관의 관심 병사와 일반 병사를 대상으로

        최혜란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 MBTI- 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on improving the relationship among military dormitory soldiers. This study analyzed 14 soldiers in 4 dormitories of 1 company in the Army 00 unit. The 1 Company, 4 Dormitory Soldier was chosen because not only protective-concerned soldiers, but also general soldiers, experience alotofstre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determine as oldier’s understanding of oneself and that of others and his environment by using the MBTI personality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group counseling using MBTI helped the soldiers positively think about all soldiers in military dormitories. Second, there was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military dormitory soldiers. Third, it was found that group counseling was more effective for interested soldiers than individual counseling.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on adaptation to military life, it is hard to find group counseling using MBTI for military dormitory soldi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litary resident soldiers’ self-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others can help them adapt to military life.

      • KCI등재

        주요 국가의 직업군인을 위한 교육.복지제도 비교 분석 연구

        김병찬(Kim Byeong Chan),정일환(Chung, Il-Hwa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0 比較敎育硏究 Vol.20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직업군인의 교육 및 복지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비교적 우수한 직업군인 교육 및 복지제도를 갖추고 있는 미국, 독일, 일본, 대만, 영국 등 다섯 나라의 직업군인 교육 및 복지제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주요 국가에서는 직업군인 본인 교육과 관련하여서는 주로 전역 후 직업교육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업군인 가족 지원과 관련해서는 가족 교육을 위한 무상학비지원이 공통적 특징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직업군인 복지제도 측면에서는, 우선 재정적 안정을 위해 연금제도를 공통적으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주거지원 측면에서는 안정적 주거를 중요한 문제로 보고 적극적으로 주거지원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료지원 측면에서는 대부분 군인 및 군인가족을 위한 별도의 의료지원기관을 갖추고 있었으며, 여가생활지원 측면에서는 여가생활지원을 확대해 나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직업군인의 교육 및 복지제도 개선을 위해, 직업군인의 교육 및 복지를 전담할 전담 부서 설치가 필요하며, 직업군인의 전역 후를 대비한 직업교육을 좀더 강화할 필요가 있고, 군인 및 군인가족을 위한 별도의 의료지원기관을 확대하고, 군인들의 다양한 여가생활을 위한 여가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my’s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programs of U.S.A, Germany, Japan, Taiwan, and England. For that purpose, We made a comparative study on the army’s social welfare programs of U.S.A, Germany, Japan, Taiwan, and England.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s. The education programs for soldiers of U.S.A, Germany, Japan, Taiwan, and England are focused on the vocational education for discharged soldiers. And they commonly support the school tuition for soldiers’ children. Based on the lateral view of social welfare for soldiers, those conutries are operating the pension system for soldiers to stabilize the financial livings. They also support the dwelling for soldiers for stable living. Those countries mostly have the hospitals for soldiers and their families. And they expand the supporting for soldiers’ leisure life. From this research, we get some hints for development of Korean soldiers’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system. We need the organization for Korean soldiers’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We need also to reinforce the vocational education for soldiers. And we have to expand the hospitals for soldiers and their families. We also need to develop the leisure program for soldiers.

      • KCI등재

        의무복무 제대군인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남광규 한국보훈학회 2020 한국보훈논총 Vol.19 No.3

        With the issue of social compensation for compulsory military service emerging, the need to support discharged soldiers is being raised in connection with the suspension of studies, the discontinuation of social careers and the relative disadvantages of employment opportunities. Support for discharged soldiers is weak because the current policy to support discharged soldiers is mainly focused on mid- and long-term discharged soldiers, who are mainly targeted at discharged officer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measures that focus on stable social settlement, such as economic compensation for discharged soldiers from compulsory military service, vocational training, and job placement, so that discharged soldiers from compulsory military service can enter the society. The full-fledged discussion on the need for resources and compensation for discharged soldiers in compulsory military service began in 1999 when the Constitutional Court abolished the system, which gave 5% extra points for each subject in the recruitment exam, as unconstitutional. The policy to support discharged soldiers basically has the function of strengthening social integration, national security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national power through the smooth return of military service personnel. In the long run, the efficient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military human resources are also closely related to the success or failure of national resource development. In this paper, it examines the organization of the policy to support discharged soldiers, the contents of support for discharged soldiers, including compulsory service, the contents of support for discharged soldiers, which are discussed or planned by the National Policy and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In addition, it suggest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support for discharged soldiers. 의무복무에 대한 사회적 보상 문제가 대두하면서 의무복무 기간에 겪어야 할 학업중단, 사회경력의 단절, 취업기회에 대한 상대적 불이익 등과 관련해 제대군인에 대한 지원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의무복무 제대군인에 대한 지원방안과 관련한 대책들도 꾸준히 수립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의 제대군인 지원정책은 주로 간부 제대자를 대상으로 하는 중·장기 복무 제대군인에 비중을 두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의무복무 제대군인들에 대한 지원내용과 방안은 중·장기 복무 제대군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약하다. 제대군인들 중 현재 매년 대략 부사관 4,400명과 의무복무 사병 5만 8천명 등 약 6만 3천여 명의 의무복무 제대군인이 배출되고 있다. 이런 현실 속에서 의무복무 제대군인에 대한 지원방안과 대책들은 의무복무로 인한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보상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의무복무 제대군인에 대한 경제적 보상과 직업훈련, 취업알선 등 의무복무 제대군인이 원활하게 사회 진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정적인 사회정착에 초점을 맞춘 지원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의무복무 제대군인에 대한 지원의 역사는 1961년에 「군사원호대상자 임용법」, 「군사원호대상자 고용법」제정에 따라 취업지원에서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의무복무 제대군인에 대한 지원과 보상이 필요하다는 본격적인 논의는 1999년 <헌법재판소>가 채용시험에서 의무복무 제대군인에게 과목별로 5%의 가산점을 주던 기존의 군가산점제도가 위헌으로 폐지되면서부터이다. 이런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의무복무 제대군인 지원방안과 정책은 기본적으로 의무복무 제대군인의 원활한 사회복귀를 통한 사회통합과 국가안보 강화, 국가인력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의무복무 제대군인에 대한 지원은 장기적으로 보면 군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개발하고 관리함으로써 국가 차원에서는 국가인적자원개발의 성패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무복무 제대군인에 대한 지원정책의 조직과 지원의 내용, 취업지원에 초점을 맞춘 내용과 지원방안에 대해 알아보고 있다. 이 부분은 현재 우리 사회의 당면한 국가 현안 중 하나인 취업문제, 청년층 실업문제, 생산적인 복지정책의 확충 등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의무복무 자원의 감소와 복무 기간의 점진적인 축소 등과 같은 군복무 전반의 구조적인 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적응하는 지원정책의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방만한 지원정책 보다 의무복무 제대군인의 사회복귀 시점에 필요한 지원정책과 이에 수반되는 조직 및 법률 정비에 강조점을 주는 정책적, 제도적 모색이 필요하다.

      • KCI등재

        전쟁기억의 재현 양상 - 이토 게이치의 「해바라기 훈장」을 중심으로 -

        조주희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9 일본사상 Vol.0 No.36

        전쟁의 기억은 어떻게 재현되는가, 누가 무엇을 어떻게 왜 기억하며, 그것은 어떻게 전달되는가. 본고는 전쟁담론의 기본인 전쟁기억의 재현 양상을 분석하는 데 있어, 위안부가 등장하는 작품을 중심으로 참전작가들에 의해 그려진 위안부의 표상을 분석하고 작가의 의도를 시대적인 배경과 접목시켜 분석하고자 했다. 일본 위안부소설에서 자주 연구되고 있는 것은 후루야마 고마오나 다무라 다이지로 같은 작가들의 작품인데 본고에서는 한국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전기(伝記)작가인 ‘이토 게이치(伊藤桂一)의 「해바라기 훈장(ひまわりの勲章)(1973)」을 텍스트로 하여 위안부상을 검토했다. 작품 내의 인간관계를 종적인 대립과 횡적인 연대라는 큰 틀에 넣어 군대 엘리트인 상급자와 하급 병사의 갈등과 병사와 병사, 병사와 위안부간의 연대를 제국일본의 군대문화 시스템에 비추어 분석해 보았다. 대부분의 전쟁문학이 그렇지만 그 중에서도 위안부담론은 태생적인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데, 바로 지배와 피지배라는 지배담론에서 벗어나기 어렵다는 점이다. 하지만 작가들이 자기의 경험을 픽션화 시키는 데 있어서, 있는 그대로의 기억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의도된, 즉 ‘기억의 정치’가 개입되기 때문에 그 재현 양상은 다양해지고 그 차별성을 확인하는 작업이 위안부담론 연구의 의미가 아닐까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 연구 또한 작품 속의 전쟁 표상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작가의식을 파악하는데 의미를 두고자 한다. 이 작품의 배경은 패전 직전의 중국의 전선이지만, 격렬한 전투신도 없을 뿐더러 피도 총소리도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전쟁 상황이라기보다는 군대라는, 일반사회의 축소판에 살아가는 인간들의 이야기가 전개된다. 어떻게 보면 비일상적인 일상을 살아가는 그들에게는 이미 죽음에 대한 공포는 무의미해 보인다. 초월했거나 아니면 체념했거나. 그런 그들에게는 오히려 상급자라는 지배자, 권위자가 더 두려움의 대상으로 여겨지고 있다. 아울러 그러한 상급자에 대한 저항은 병사간, 병사와 위안부간의 연대감을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쟁미화까지는 아니더라도 이 작품은 전쟁에 대한 반감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 작품임은 부인할 수 없다. 작가의 의도가 전쟁의 참혹함과 그 안에서 유린되는 인간의 존엄성을 그리고자 한 것이 아닐뿐더러, 작가의 시선은 오로지 무의미한 전쟁에 희생된 일본 병사들에게만 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Sunflower Medal」, published in 1973, is a war record of Ito Keiichi and it describes the lives and deaths of soldiers at the battle lines of China based on comradeship. Ito focuses on human conflicts that are the result of the extreme situation of war based on three relationships, with one being between elite soldiers and general soldiers, one being among general soldiers, and one being between soldiers and comfort women. The most prominent conflict is that between elite soldiers and general soldiers as this shows that the army is a small version of society and portrays the pain of soldiers sacrificed under the cause of nationalism through conflicts between superiors immersed in meritocracy and soldiers who are sacrificed because of this. The second form of conflict shown among soldiers is the story of soldiers Yasuhara and Motod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people is represented by humanity and justice through the way they are considerate towards each other even while breaking military rules and the warm viewpoint of the writer as a ‘spokesperson of lower class soldiers’provides the grounds for this. Lastly, soldiers and comfort women are placed in equal positions as members of the lower classes of a military society just as in other novels on comfort women and while they are shown as having a relationship of solidarity based on ‘misery loves company’and while they are further described to be like lovers or like family, the prejudiced viewpoint of the writer who looked into the relationship simply from the position of soldiers lacking equal standing among family members can also be se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