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통계지수를 이용한 외연적 도시 확장 과정의 시공간 패턴고찰에 관한 연구: 미국 버펄로 지역을 중심으로

        이경주 한국지도학회 2013 한국지도학회지 Vol.13 No.1

        미국 도시에서 주거지와 상업지 간 공간적 분리는 다양한 부정적 외부효과를 파생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 지적된다. 즉, 주상 토지이용 분리로 인하여 잠재적 통행발생량이 증가하고 이로 인한 교통체증, 대기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이로부터 형성된 자동차 위주의 생활방식은 보행활동의 빈도를 감소시켜서 운동부족으로 인한 비만 및 관련 질환 발생의 간접적 요인으로 지목되기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 도시가 보이는 외연적 확장 과정의 핵심적 특징, 즉 주거와 상업이 공간적으로 분리된 토지이용의 결과로 파생된 공간구조 형성과정을 살펴볼 수 있도록 주상 분리지수를 제안하고 이를 실증자료에 적용하여 활용성을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미국 뉴욕 주의 이리 카운티를 대상으로 1900년부터 1995년까지 1년 단위로 주거와 상업적 토지이용의 공간적 분리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리 카운티의 경우 1920년대를 기점으로 주거와 상업이 뚜렷하게 분리된 공간구조를 형성해 왔으며, 카운티 내 교외와 도심 지역에서 각각 주거와 상업적 토지이용이 우세하게 이루어진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교외 지역의 고밀도 주거지를 중심으로 외연적 도시 확장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절감을 목적으로 혼합적 토지이용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도구의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 spatial separation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land uses is often highlighted to draw a typical image of sprawled urban expansion processes. And it is argued that the spatial structure where residential land uses are dominant in urban fringe may induce excessive automobile uses and consequently, derive many negative external effects.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sprawled urban expansion patterns over time characterized by land use separation. For this purpose, a quantitative measure(Separation Index: SI) is devised in a spatial statistical framework. The analysis results imply that SI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for diagnosing sprawled urban structure quantified as the degree of land use separation between residential and commercial land uses. In addition, local version of SI makes it possible to identify local regions where residential suburban expansion looks problematic. For those regions, it is worth to apply smart growth strategies promoting mixed land use. The analysis framework was demonstrated using empirical data for Erie County, Buffalo, NY in 1899-1995.

      • KCI등재

        스마트 그린 복합단지의 개발유형 및 토지이용 모형에 관한 연구

        박천보(Park, Cheon-B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11

        본 연구는 저탄소 사회실현 및 녹색성장을 주도하기 위한 스마트 그린 복합단지의 조성을 위하여 복합단지 의 개발유형을 검토하고 유형별로 토지이용의 모형을 설정함으로써 스마트 그린 복합단지의 미래적 개발방향을 제시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순서로는 이론고찰을 통해 스마트 그린 복합단지의 개념과 개발측면에 대해 검토하 고 복합단지의 개발유형을 단지규모와 기능배분 등 두 가지로 구분하여 설정함으로써 토지이용모형의 준거를 마련한 다. 이를 토대로 국내에서 수용 가능한 복합단지 유형을 단지규모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하며, 스마트 그린 복합단지 의 개발유형별 토지이용 모형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을 이론과 사례단지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제시하고 유형별 토지 이용 모형을 구축함으로서 스마트 그린 복합단지의 미래 개발방향을 국내의 시사적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e study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 type and the land-use model of smart green multi complexes focused on the lesson for future smart green complex in Korea. For the study, the concept and the development aspects are reviewed as a theoretical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types of smart green multi complexes are surveyed based on its functional distribution. The types of multi-complexes are classified in three categories of small city, neighborhood and small housing estate regarding its siz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land-use model of smart green multi complexes according to its types are suggested under consideration of Korean situation.

      • KCI등재

        인구 감소 현상에 따른 목포시 빈집 및 공지의 공간적 분포 전망

        조영우 ( Jo Young-woo ),최유빈 ( Choi You-bin ),박찬 ( Park Chan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20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3 No.2

        With population losses and stagnant or depressed economies, the local governments embrace shrinkage and accept having a significantly smaller population. Both the initial and ongoing causes of shrinkage hold dramatic effects on the city and its remaining residents. In this context, vacant land increases as an overabundance of unused infrastructure is demolished and municipalities become burdened with increasing maintenance costs of this land. The result is that vacant land often experiences minimal management relative to social norms and have chance to provide a setting for ecological processes with urban rightsizing strategy. Therefore, urban ecosystems undergo major shifts in structure and function. We need to better understand the possibilities of where and how much of houses and land will be abandoned to assist land planners and policymakers to mitigate conflict between optimal ecological and sociological outcomes. This article, therefore, aims to identify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vacant houses and lands with case study of Mokpo. The study found and verified affecting factors of vacant houses and lands by type through the use of a Maxent model and spatial data that explained housing choice and preference theory. We can predict the vacancies with the spatial variables such as land price, the population ratio over 65, and the distance from security facility. Based on the analysis, the ways of managing housing and land vacanc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cological restoration method are discussed.

      • KCI등재

        근린내 혼합의 가치: 초등학생 학부모 설문조사를 기초로

        김준형 ( Kim Jun Hyung ) 한국감정평가학회 2017 감정평가학논집 Vol.16 No.1

        최근 도시계획 및 부동산개발에 있어 토지이용의 혼합, 용도의 융복합 등을 실천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그러나 토지이용의 혼합은 여전히 부정적 영향을 야기할 수 있으며, 실제 주민들이나 이용자들은 이질적인 공간보다 동질적인 공간을 선호할 수 있다. 그럼에도 토지이용의 혼합에 대한 국내외 연구들은 대부분 토지이용의 혼합이 부동산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근린을 초등학교 학구로 설정, 초등학교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근린의 혼합에 대한 주민들의 선호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주민들은 이질적 근린보다 동질적 근린을 선호하고 있었다. 주택, 주택 이외의 건물, 주민 등 8개 항목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근린 내에서 그 특성이 서로 비슷한 것이 바람직하다는 응답이 모든 항목에 걸쳐 60%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동산가격의 증가라는 긍정적 효과에 기초하여 혼합이 추진될 경우 근린 단위에서 강력한 반발에 부딪힐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항목별로 살펴볼 경우 이질적 근린에 대한 수용 여지도 확인할 수 있었다. 건물의 용도, 면적, 그리고 주민의 연령대에 있어서는 이질성에 대해서 용인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국내에서 토지이용의 혼합을 추진할 경우 주택 이외 건물들의 용도나 면적, 그리고 주민들의 연령대를 다양하게 하는 전략이 적합함을 시사한다. In the contemporary urban planning and real estate fields, practices based on land use mix and functional convergence are highly encouraged. However, neighborhood heterogeneity can still make negative externality and residents may still prefer homogeneous neighborhood. Nevertheless, previous studies have concentra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use mix and real estate price appreciation. This paper enhances our knowledge of neighborhood heterogeneity ba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in Seoul. Results report that most residents prefer homogeneous neighborhood. Analyzing their preference in terms of housing, buildings and residents composition, it is more than 60 per cent who agrees the similarity of character is desirable. This implies that practices of land-use mix may encounter strong opposition of residents in Korea. In a detailed analysis, several components have higher level of acceptance to their heterogeneity such as housing size, building use and age of residents. This means that, in Korea, the strategy of land-use mix should enhance the variety of housing size, building use and age of residents.

      • 연구논문(硏究論文) : 스마트성장 개념을 도입한 신도시 개발 연구

        안정근 ( Jung Geun Ahn ),이재희 ( Jae Hee Lee )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 ( 구-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 ) 2007 地域社會開發硏究 Vol.32 No.1

        The Capital Region of Korea, which occupies 8% of natio3nal land and 46% of national population of Korea, has led the economic growth of Korea by concentrating most of national functions and industries. Housing need has increased gradually by the people from all over the country finding jobs and opportunities in the Capital Region. In order to relieve the housing problems, national government has provided huge amount of housing units by new town development for several decades in the Capital Region, This paper has analyzed four new towns for evaluating smart growth concepts such as the opportunities of residential choices, mixed land use, availability of open spaces, workable environment at neighborhood unit, availability of transportation choice, community attraction, and existing community preservation. It has found that most of new towns have considered very much smart growth concepts except the concept of mixed land use and existing community preservation. Because some of smart growth concepts are ver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conditions of new towns development in Korea.

      • KCI등재

        대중교통 승하차 수요분석을 통한 서울시 역세권 유형화 및 토지이용 특성 연구

        이정우,고주연,전상우,전철민 국토연구원 2015 국토연구 Vol.84 No.-

        This study categorizes types of Seoul’s subway station areas by the diurnal pattern of transit ridership at peak and non-peak times using cluster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then conducted to reduce many overlapping land use variables to latent factors, which in turn were used in a multinomial logit model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urnal pattern of rail ridership and the land use patterns of different station areas. Unlike studies that use a fixed time frame for morning and afternoon peak periods, this study identifies the position of a ridership concentration for each station by comparing the average ridership of half-hour intervals throughout the day. The study finds six main categories of ridership diurnal pattern and shows that the starting position and duration of peak periods vary by station area and that the level of transfer ridership also varies by time and by station type. Moreover,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diurnal pattern of subway ridership is closely related to land use, block and lot size, and accessibility of bus services in the station areas. 본 논문은 서울 도시철도 역세권을 대상으로 각 지하철역의 첨두시간과 비첨두시간의 승˙하차 이용자수를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역세권을 유형화함으로써 역세권별 통행행태를 파악하였다. 유형화된 역세권과 토지이용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양한 토지이용 변수를 주성분 분석을 이용하여 압축하였고 추출된 도시 특성 요소들은 역세권의 대중교통 이용패턴과 어떻게 연관성을 지니는지 분석하기 위해 다항로짓모델이 사용되었다. 기존의 일괄적인 첨두시간대를 적용한 연구들과 달리 본 논문은 지하철역별로 이용패턴이 다양하다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최대 승˙하차량을 기록하는 첨두시각을 중심으로 30분 간격의 승˙하차량을 검토하여 역별 첨두 시작시각과 첨두 지속시간을 산정하였다. 연구 결과, 승˙하차 이용패턴에 따라 6개의 역세권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역세권 유형에 따라 오전과 오후의 첨두 특성이 다르게 나타났고 버스-지하철 간 환승수요 또한 유형별로 집중되는 시간대가 서로 다름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러한 수요패턴의 변화는 역세권 주변의 토지이용, 도시공간구조, 그리고 대중교통 접근성과 깊이 연관되어 있음이 검토되었다. 본 논문은 오전˙오후 첨두시의 승˙하차 이용자수뿐만이 아니라, 역별 오전 및 오후의 첨두 시작시각과 첨두시간의 지속시간을 고려하여 역사 주변의 토지이용 특성과 함께 역세권을 유형화한 점에서 타 연구와의 차별성을 갖고 있다. 대중교통 이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역세권 유형별 비첨두시간대와 첨두시간대의 수요의 균형을 도모해야 하며 그런 의미에서 본 논문의 결과는 대중교통 분담률을 높이기 위한 도시정책 의사결정에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신도시 토지 용도에 따른 통행발생에 기반한 DRT 수요추정

        유정훈,배범규,허겸 한국철도학회 2024 한국철도학회논문집 Vol.27 No.2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poor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in the early stages of a third new city by analyzing how much demand is derived when DRT is introduced in the early stages of the third new city. To this end, the land use of the second new city was largely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nd a homogeneous third new city was found that matched the traffic patterns for all categories. Also, the pattern was applied to a similar type of third new city to estimate traffic pattern by land use of third new cities In addition, based on the applied results, zones were subdivided, arbitrary virtual stops were placed, and DRT demand was estimated after establishing an optimal route through virtual stops according to the detour rat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