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서 토론 프로그램의 확대 개편에 따른 운영 및 효율화 방안 - 동국대 경주캠퍼스 사례를 중심으로

        조아라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2

        오늘날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독서를 장려하여 논리적 사고를 증진시키고 의사소통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독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런 현상은 대학생의 자율적인 독서 문화를 형성하고, 적절한 독서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2015년 2학기부터 동국대 경주캠퍼스는 학내에 역량 있는 다수의 멘토를 양성하여, 독서-토론-글쓰기 활동을 하나의 자율적인 교내 문화로 확산시키고자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논문은 동국대 경주캠퍼스에서 2015년 2학기부터 운영한 독서 토론 프로그램의 운영 개요와 특징, 지도안 양식, 환류 시스템 설문 문항 등을 소개하고 있다. 2011년부터 기존에 운영했던 ‘독서 멘토링’을 확대 개편하여 신설된 ‘책 읽는 동국’은 글쓰기교육센터와 도서관이 협조 운영하며 교양교육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동국대 독서 토론 프로그램의 운영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과 글쓰기교육센터의 협업으로 운영하였다. 둘째, 신청 방법을 다양하게 하여 자발적 참여도를 높이고, 여러 가지 독서 모형을 마련하였다. 셋째, 선정 도서 대출 시스템을 도입하여 참가 학생들이 흥미와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도움을 주었다. 실제 참여 학생들에게 조사한 ‘대출 시스템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7으로 높게 나왔다. 넷째, 담당 교수는 지도안을 통해 주차별 피드백을 진행하였다. 지도안에는 프로그램 개요, 지도 목표, 지도 형태, 지도 방식, 지도 내용(주제, 목표, 내용), 활동 형태, 우수 활동자 등을 기술하게 되어 있다. 프로그램 종료 시에는 프로그램 만족도를 설문조사하여 제반 사항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고, 운영에 참고할 개선 사항을 점검하고 있다. 2016학년도 1학기에 실시한 만족도 설문조사에 따르면 학생들의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긍정적이라고 볼 수 있다. 앞으로도 수요자인 학습자들의 반응과 요구를 분석하여 체계적인 독서 토론 프로그램을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아직 운영과 관련하여 개선 사항이 남아있지만, 이 논문에서는 독서토론 프로그램의 운영 절차와 교육적 의미를 탐색함으로써 교수와 실무 운영진, 학생들이 독서토론 프로그램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에 의의가 있다. Today, universities operate various reading programs in order to encourage reading of students, to improve their logical thinking, and to strengthen communication ability. Such phenomenon means that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y students to form voluntary reading culture and to have adequate reading education. Gyeongju Campus of Dongguk University fostered many competent mentors in the campus from the 2nd semester 2015 and operated a program to spread reading-discussion-writing activities as voluntary campus culture. This thesis introduces operation summary and characteristics of reading and discussion program managed by Dongguk University, Gyeongju Campus from the 2nd semester 2015, instruction plan form, feedback system questionnaire items, and others. “Dongguk Reading a Book“ which was newly-organized after expanding previous "Reading Mentoring" since 2011 became a representative extracurricular program providing a liberal education in collaboration with the Writing Education Center and the library. Following ar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reading and discussion program of Dongguk University. First, it was operated in collaboration with the library and the Writing Education Center. Second, it raised voluntary participating level and prepared many reading models through various application methods. Third, it introduced lending system of selected books and helped participating students improve interest and satisfaction. 'Satisfaction degree of lending system' assessed by actually participating students was high enough as much as 4.7 out of 5 points. Fourth, the professor in charge performed weekly feedback through a guidance plan. It was necessary to describe program summary, guidance objective, guidance form, guidance method, guidance contents (subject, target, content), activity form, and excellent participants in the guidance plan. Upon completion of the program, it conducts questionnaire survey of program satisfaction to investigate any problems and to check any improvements for reference to operation.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survey made in the 1st semester of 2016, students' satisfaction was high in general. It is believed that recognition of students on the program is affirmative. It is required to analyze reaction and needs of students as consumers from now on and then, to provide them with systematic reading and discussion programs. There are some pending improvements related to operation but this thesis aimed to explore operational procedures and educational meaning of the reading and discussion program so that it may give a help for professors, working group, and students to understand reading and discussion program.

      • KCI우수등재

        도서관에서의 하브루타 기반 독서토론 프로그램 운영의 효과 분석 연구

        차성종 한국문헌정보학회 202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6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find implications for further activating the reading discussion program by conducting a Havruta-based reading discuss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library, by measuring and analyzing the effect on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pre- and post-scor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Havruta reading discussion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score of the post-test was high.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changes in the results of the pre-survey compared to the post-surve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est in reading’ for the ‘critical thinking ability’ factor, the characteristics of ‘average monthly reading capacity’ for the ‘critical thinking ability’ factor,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performance’ for the ‘research ability’ factor, and the characteristics of ‘gender’, ‘academic performance’, and ‘interest in reading’ for the ‘persuasive ability’ facto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how the effects of the Havruta reading discussion program are affected by the constituent factors of reading and discussion ability,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critical read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had an effect.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are effects and advantages of the Havruta-based reading discussion program in the library. 본 연구는 도서관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브루타 기반의 독서토론 프로그램을 수행한 후 참여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효과를 측정하고 분석함으로써, 독서토론 프로그램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로는, 첫째, 하브루타 독서토론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사전 및 사후점수 간 비교분석을 진행한 결과 사후조사 평균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사전조사 대비 사후조사 결과 변화에 나타난 차이를 분석한 결과, ‘비판적 독서능력’ 요인에 대해서는 ‘독서에 대한 흥미’ 특성, ‘비판적 사고능력’ 요인에 대해서는 ‘월 평균 독서량’ 특성, ‘조사능력’ 요인에 대해서는 ‘학업성적’ 특성, ‘설득능력’ 요인에 대해서는 ‘성별’, ‘학업성적’, ‘독서에 대한 흥미’ 특성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하브루타 독서토론 프로그램의 효과는 독서 및 토론능력 구성 요인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분석한 결과, ‘비판적 독서능력’ 요인과 ‘비판적 사고능력’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도서관에서 하브루타 기반 독서토론 프로그램의 효과와 장점이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 KCI등재후보

        동국대 경주캠퍼스 비교과 교육과정 프로그램 ‘독서 멘토링’의 운영 사례 연구

        조아라,이윤선,황지영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5 리터러시 연구 Vol.- No.10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Operation and performance on Extra program Reading Mentoring of Dongguk University, Gyeong-ju Campus. Dongguk University, Gyeong-ju Campus has offered 7 sessions of 'Reading Mentoring program' from September 2011 to 2014. Every semester an average of more than 50 people participated. So far, a total of 347 people attended in such programs. In particular, guaranteeing the voluntary activities by introducing systematic mentor system and no one leave during this 9 weeks program is a remarkable achievement. Each team consists of one mentor and 5~7 mentees and they will perform around nine-times mentoring of two books which they have selected. A mentor will lead and support the team members during discussing of the books. The mentors also create a weekly diary discussion. Through this process, the mentor can develop the ability to record and organize to listen to the opinions of team members. Mentees will also participate in group discussions, followed by thorough reviewing of these books. The mentees are able to understand the selected books from various angles through discussion and by debating with fellow members. Basically, a professor took control of every two teams, each team have done mentoring in a specified time and place. Based on every last week results, the best mentor and the mentees used to share an award through a presentation ceremony as encouragement. Above all, students who take part in such programs were very satisfied. Such reading mentoring programs will enhance their self-efficiency, confidence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competence. Moreover, these programs have been steadily expanded in the future indicating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se program. Reading Mentoring program is more forward shall be supplemented. First of all, in the case of a book report, it will develop a variety of ways that professor's clinic and mutual feedback team members to improve the writing ability. Besides, meeting time of the adjustment, planning the presentation in advance, widening of opportunities and also a qualitative improvement should be sought. The Reading Mentoring program requires the question 'Why' in the future. To identify the cause and purpose of well reading mentoring system must be a greater contribution to the supplier and the customer. Reading mentoring not only a small reading group recognized that the reading campaign, the conjunction with the curriculum if typical activate the customized reading can be reborn as a model student. 이 논문의 목적은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글쓰기교육센터에서 시행하고 있는 독서 멘토링의 운영 사례를 소개하고 그 성과를 살펴보는 것에 있다. 비교과 교육과정 프로그램인 독서 멘토링 프로그램은 2011년 2학기에 신설되어 매학기 1회씩, 2014년까지 총 7차례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어 왔다. 매학기 평균 50명에 웃도는 인원이 참가, 지금까지 총 374명이 참가했다. 특히 체계적인 멘토링 시스템을 도입하여 활동에 대한 자율성을 보장하고, 9주 동안 이탈 인원 없이 프로그램이 참여하는 것은 괄목할만한 성과라 할 수 있다. 독서 멘토링은 한 명의 멘토와 5~7명의 멘티가 한 팀을 이뤄 9주 동안 2권의 책을 읽고 토론하는 활동으로 진행된다. 멘토는 책을 통해서 멘티들과 함께 토론을 이끌면서 멘티들을 지원하고, 매주 토론 일지를 작성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멘토는 팀 구성원의 의견을 경청하고 정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멘티들은 그룹 토론을 통해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고 그 결과를 감상문으로 작성한다. 동료 구성원들과의 토론·토의를 통해 멘티들은 다각도로 선정 도서를 이해할 수 있었다. 기본적으로 2팀 당 1명의 지도 교수가 배정되어 팀을 관리하고, 각 팀은 지정된 시간과 장소에서 멘토링을 실시하였다. 마지막 주에는 독서 멘토링 발표회를 개최하여 결과를 공유하고 우수 멘토·멘티에 대한 시상까지 이루어졌다. 이러한 독서 멘토링은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도움을 주고, 종합적 의사소통 능력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무엇보다 참여 학생들이 독서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해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만족하고 있다는 점은 이 프로그램이 앞으로 지속적으로 확대 시행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독서 멘토링은 조금 더 보완되어야 한다. 우선 감상문 쓰기의 경우, 교수의 클리닉, 팀원 상호 피드백 등을 통해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고안될 예정이다. 그 외에도 모임 시간의 조정, 사전 설명회, 기회의 폭 확대, 질적 향상도 도모해야 한다. 앞으로 독서 멘토링 프로그램에 필요한 과제는 ‘왜’라는 물음이다. 명분과 목적을 잘 파악해야 독서 멘토링 시스템이 공급자 및 수요자에게 기여할 수 있는 점도 많아진다. 독서 멘토링이 소규모 독서 모임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교과와의 연계, 독서 캠페인으로 활성화된다면 대표적인 학생 맞춤형 독서 모델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동아대 비교과 독서프로그램 ‘동좌문도 북클럽’ 운영 사례 연구

        이국환(Lee Kook Hwan) 동남어문학회 2018 동남어문논집 Vol.1 No.45

        ‘동좌문도(同坐問道) 북클럽’은 평가와 무관하게 자발적으로 교수와 학생들이 모여 책을 읽고 토론하며 글을 쓰는 동아대 비교과 독서프로그램이다. 교육목표는 독서를 바탕으로 동아대의 교육목표에 닿아 있으며, 특히 평생 독자로서 능동적인 독서 태도를 기르는 데 목표를 두었다. 2017년도 9월부터 2018년 1월까지 운영했으며, 조별 구성원은 멘토와 멘티, 지도교수이다. ‘동좌문도 북클럽’을 통해 학생들은 책을 선정하는 안목을 기르고, 선정된 한 권의 책을 함께 읽는 공독(共讀)과 천천히 깊게 읽는 지독(遲讀)을 실행하였다. 독후 활동으로 기존의 독후감에서 나아가 창작의 영역인 ‘독서에세이’로 마무리하였고, 에세이를 모아 한 권의 책으로 출간하여 학생이 독자에 머무르지 않고, 저자가 되는 경험을 했으며, 책 출간을 통해 학내 독서문화 진작에 이바지했다. 나아가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인문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한 인성 함양의 토대도 마련했다. ‘동좌문도 북클럽’은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과정에서 몇 가지 개선점이 나타났다. 운영 일정이 촉박하여 한 권의 책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충분한 토의를 거치지 못했고, 지도교수의 역할이 강조되면서 상대적으로 멘토의 역할이 명확하지 않았다. 독서에세이 쓰기가 창작의 영역이라 학생들의 부담이 지나치게 컸고, 정식 도서에 자신의 글이 실린다는 계획에 부담을 느꼈기에 글쓰기 지도를 더욱 강화해야 했다. 무엇보다 조별 활동에서 이루어진 성과를 ‘동좌문도 북클럽’ 전체로 확산하는 노력과 독서 관련 교과교육과정과 비교과 독서프로그램을 긴밀하게 연계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었다. The ‘Dongjwamundo(同坐問道) Book Club’ is a Dong-a University extracurricular reading program in which teachers and students voluntarily read, discuss and write independently of the evaluation. Based on reading, the goal of education is to reach Dong-a’s educational goals. In particular, it aims to cultivate an active reading attitude as a lifelong reader. From September 2017 to January 2018, the group members are mentors, mentees, and advisors. Through the ‘Dongjwamundo Book Club’, the students developed a sense of selecting a book and conducted a shared reading and a slow reading on one pre-selected book. We wrote ‘reading essay’ as a post-reading activity. And the essay was collected and published as one book, and the student did not stay in the reader, but had experience as an author. In addition, we published books and revitalized the university’s reading culture. Furthermore, we have laid the foundations for the cultivation of humanity based on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cultivation of humanities. However, there are some improvements i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program. Although the selection of one book was enough to be discussed, the schedule of operations was tight and the role of the mentor was unclear. The students had difficulty in writing a reading essay, and felt the burden of planning to write my essay in a formal book. Therefore, we had to strengthen the writing instruction. It was necessary to spread the achievements of the group activities to the whole of the ‘Dongjwamundo Book Club’. The curriculum and the extracurricular reading program had to be closely linked.

      • KCI등재

        <책 읽는 동국> 프로그램의 특징 분석

        김영철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results of <Reading and Discussion> which is operated as a part of liberal arts education at Gyeongju Campus of Dongguk University and to share the performance of the program with other universities. Dongguk University Gyeongju Campus has been reorganized and curriculum of liberal arts curriculum has been selected as the 2011 ACE project. One of the best examples of the comparative programs started with the reorganization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especially the comparative programs offered by the Ministry of Communication, which is an institution affiliated with liberal arts college (Paramita College), is the reading mentoring program. The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 discussed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reading books of Dongguk University> at Dongguk University’s Gyeongju campus. For example, it has been shown that the use of the term “reading mentoring” no longer necessitates the use of the term “reading mentoring” as the mentoring and mentoring are operated in a horizontal relationship, not in a vertical relationship centered on mentors. In addition, program <reading books of Dongguk University> was able to establish a system that operates the program in cooperation with other relevant departments in the school, to share the results, and to see the synergy effect of spreading and reproducing the entire school. Second, I discussed how to operate and support the program <reading books of Dongguk University>. For example,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library and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which mainly provide administrative support, and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which manages the quality of the program. Third, I discussed the operation contents of the program <reading books of Dongguk University>. This is different from existing reading programs in the discussion format which can be divided into five broad categories.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program <reading books of Dongguk University> was rated as one of the best examples of Irregular curriculum programs operated by our university.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programs organized by one department have brought positive synergy effects through collaboration with related departments. And the operating case of the program <reading books of Dongguk University> seems to suggest that other universities are already operating or preparing to operate programs related to reading. 이 논문의 목적은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교양교육의 일환으로 운영되고 있는 <독서와 토론>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성과를 타대학과 공유하는 데에 있다.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는 2011년 학부교육선진화(ACE)사업에 선정되면서 교양교육 과정을 개편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교양교육 과정 개편과 함께 시작된 비교과 프로그램, 특히 교양대학(파라미타칼리지) 부설기관인 의사소통교육부에서 개설된 비교과 프로그램 가운데 가장 모범적인 사례가 바로<독서 멘토링> 프로그램이다. 이 논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책 읽는 동국> 프로그램의 역사와 특징에 대해 논의했다. 예컨대 <독서 멘토링>의 운영이 멘토 중심으로 수직적 관계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멘토와 멘티들의 상호 수평적인 관계에서 운영됨에 따라 더 이상 <독서 멘토링>이란 명칭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졌음을 밝혔다. 또한 <책 읽는 동국>은 프로그램을 교내 유관 타부서와 협력하여 운영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성과를 공유하고 교내 전체로 확산 재생산토록 하는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둘째, <책 읽는 동국> 프로그램의 운영 방법 및 지원에 대해 논의했다. 예컨대 행정 지원을 주 업무로 하는 도서관과 프로그램의 질적 관리를 주 업무로 하는 의사소통교육부의 협업으로 이루어짐을 밝혔다. 셋째, <책 읽는 동국> 프로그램의 팀별 운영 내용에 대해 논의했다. 이는 곧 크게 다섯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 토론 형식에서 기존의 독서 프로그램과의 차별성이 나타났다. 이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책 읽는 동국> 프로그램은 학교에서 운영한 비교과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모범적인 사례 가운데 하나로 평가받았다. 그 이유는 한 부서에서 주관한 프로그램을 유관 타부서와의 협업을 통해 상호간의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를 가져 왔다는 점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책 읽는 동국> 프로그램의 운영 사례는 독서와 관련하여 프로그램들을 이미 운영하고 있거나 혹은 운영하고자 준비하는 다른 대학들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본다.

      • 독서 토론 프로그램 운영의 성과와 과제 - 충북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

        손대익 개신어문학회 2017 개신어문연구 Vol.42 N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iew the operational performance and challenge of the reading program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CBNU). The main reading progarm of CBNU is a <Reading Club 'Pass through a book'>. The program’s team consists of nine students and a researcher. They read and discuss one book a week.. Eight weeks during the semester, six weeks during the vacation, it runs for 32 weeks every year. So far, more than 800 students have been completed. CBNU is more extracurricular program than the regular curriculum. This resulted in the building of the foundation of the integrated reading. To activate and settle reading education, a reading club and a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must be institutionalized. For this purpose, a list of recommended books should be created at the Policy Level and the financial support should be strengthened.

      • KCI등재

        독서토론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안인희(Ahn, In-Hee),이창환(Lee, Chang-Ho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토론 진로집단 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과 성취동기의 향상에 영향을 미 치는지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 5학년 세 학급을 실험집단, 비교집단 A, 비교집단 B로 각 각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독서토론 진로집단 상담프로그램을 5주간 10회기에 걸쳐 실시하였고, 같은 기간 비교집 단 A는 진로인식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비교집단 B는 교과학습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독서토론 진로상담 프로그램 집단이 교과학습을 실시한 집단에 비해 진로발달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나 진로인식 상담 집단에 비해서는 유의한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독서토론 진로상담 프로그램 집단이 교과학습을 실시한 집단과 진로인식 상담 집단 에 비해 성취동기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reading discussion-oriented career explor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career development and achievement motiv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ree fifth grade classe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comparative group A and comparative group B. Reading discussion-oriented exploration program f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for five weeks in ten sessions, the same period of time for comparative group A was given for conducting a career education program and subject studying was conducted on comparative group B.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to the reading discussion-oriented career exploration program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ir career development compared with the subject studying group. But they did not show a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with the career education group. Second, experimental group applied to the reading discussion-oriented career exploration program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their achievement motivation compared with the subject studying group and career education group.

      • 꿈과 끼를 키우는 공공도서관의 진로독서교육 -정독도서관 독서토론프로그램 중심으로-

        임미화 ( Mi Hwa Lim )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2014 디지틀 도서관 Vol.73 No.-

        서울시교육청 정독도서관에서는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협력연계방안으로서 2013년부터 교육부 역점사업인 중1자유학기제, 진로탐색 집중학년제와 연계하여 <진로인성 독서교육>을 주요업무로 계획.운영하였다. <진로인성 독서교육>의 방법으로 <독서토론: 여럿이 함께>를 서울시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 및 평생학습관의 연합독서교육 프로그램으로 대표브랜드화하였다. 그 외 다수의 도서관에서 개발한 초.중학생 대상의 진로독서토론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사업결과에 대한 자체분석과 평가로 향후 바람직한 방향을 논해보고자 한다. The Jeongdok Public Library of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planned and managed ‘Reading education for career and personality’ as their main business, which is connected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s main business since 2013 called ‘free-semester system for 7th graders’ and ‘Intensive Graded school system for Career-searching’, for public library and school library to cooperate better. The Jeongdok Public Library set ‘Reading Discussion Program: Together, with many people’ as their representative program for ‘Reading education for career and personality’ business. Additionally, the library runned various reading discussion Program for career-searching, which is intended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is thesis, you can get to know desirable future plans by analysis and assessment of the program result.

      • KCI등재

        대학생의 핵심역량 양성을 위한 비교과 교육프로그램으로서 독서토론활동의 가능성: D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윤유라(Youra Youn),이은주(Eunju Lee)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21 연구방법논총 Vol.6 No.1

        최근의 대학교육은 기본적이고 보편적 역량을 길러줌으로써, 학생들이 졸업 후 자신의 직업 분야에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속가능한 능력을 길러 주는 역량기반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역량기반교육의 체계 구축을 위해서 자신의 진로에 필요한 다양한 역량을 계발시킬 수 있는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대학의 사례를 통해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 중 하나로 다양한 대학에서 활용되고 있는 독서토론활동을 중심으로 그 효과성을 점검해보고 그 활용 가능성을 가늠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는 우선, D대학의 6가지 핵심역량 중 하나인 ‘글로컬역량’과 관련된 도서를 선정하고, 하브루타 토론방식을 차용하여, D대학 학생들이 비교과 교육프로그램으로 수행할 수 있는 독서토론활동을 설계하였다. 약 2달간의 독서토론활동에 참여한 3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독서토론 전후 설문과 인터뷰를 진행하여 그 효과성과 문제점 등을 정리하여 향후 독서토론의 적용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독서토론 후 상당 부분 인식과 행동의 변화가 실재하고 있음을 통계적으로 입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D대학이 추구하고 있는 핵심역량 6개 중 하나의 역량에 집중하여 도서를 선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직접적인 주제뿐 아니라 다양한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함으로써 비교과 교육으로서 독서토론활동의 긍정적 효과를 짐작할 수 있었다. 향후 보다 효과적이고 원활한 독서토론활동을 위한 방안으로는 도서의 성격에 맞춘 다양한 독서토론활동 방법이 설계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이에 대한 적절한 가이드의 필요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Recently, university education has been aiming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so that students can successfully perform their duties in their career fields after graduation. In order to establish such a competency-based education system, the importance of extracurricular programs that can develop various competencies is increasing.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reading and debate activities as one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through the case of D University, and to assess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To this end, a book related to “glocal competency”, one of the six core competencies of D University, was selected, and the Habruta discussion method was adopted to design a reading discussion activity that D University students could perform as extracurricular programs. A questionnaire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reading discussion for 35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reading discussion for about two months, and the effectiveness and problems were summarized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reading discussion was reviewed.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statistically proven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perception and behavior after reading discussion. In particular, this study found the possibility of cultivating various competencies despite the selection of books by focusing on one of the six core competencies of D University.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guess the positive effect of the reading and discussion activities as extracurricular programs. In the future, for more effective and smooth reading debate activities, not only various reading debate method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ok should be designed, but also appropriate guides will be needed.

      • KCI등재

        참여주도 실행연구를 통한 중간관리자 집단역량프로그램 효과성연구: 팟케스트를 중심으로

        김수정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3

        본 연구는 대중적인 정보 전달방식의 하나인 팟캐스트를 통한 중간관리자의 집단역량강화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중간관리자의 집단역량강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중간관리자 스스로가 연구 참여자가 되어서 전체적인 과정을 기획하고 그들 스스로 진행하는 참여주도 실행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독서모임 내에서의 행동에 대한 태도는 별칭에서 오는 자유로움이, 주관적 규범은 중간관리자의 역할이, 지각된 행동 통제력은 A노인복지관의 사회복지사라는 대표성이, 팟캐스트에서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독서모임의 진행과정상에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처음에는 개인적 차원에서 기관동료들과의 업무의 연장선으로 중간관리자 집단역량프로그램을 받아들였으나 점차 조직적 차원에서 이루어지게 되었고, 그들 스스로 본 프로그램의 참여적 의사결정에 적극적으로 임하였고, 프로그램 참여자들 사이의 상호신뢰를 통해 관계변화를 이끌어냈다. 이로써 팟캐스트를 통한 독서모임은 계획된 행동으로 설명될 수 있었고 나아가서는 해당 기관의 중간관리자 역량강화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upervisor’s capability group empowerment program through pod cast which became public information delivery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reading discussion meeting, which was run as a middle manager competency building program. In order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the collective competency of middle managers and to confirm their effectiveness, the middle managers themselves became participant in research and planned the whole process and utilized the practitioner action research method. It was found that the attitude toward behavior in the reading discussion group influenced as the freedom of the nickname to influence the behavior in the pod cast and subjective norms as play of middle manager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s representatives of A senior welfare center’ social workers. All theses factors have been shown to affect their behavior in pod cast and decision making in the process of reading meeting. At first, it was accepted as an extension of exchange or work with institutional colleagues of middle managers group empowerment program at the personal level, but gradually became an organizational level, actively engaged in participatory decision making of the program by themselves, and induced relationship change through mutual trust. As a result, reading meetings through pod casts could be explained as planned behavior, and furthermore, they were able to establish themselves as the middle manager’s competency empowerment program for the instit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