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인연금법 제정에 따른 주요과제

        고재성,김주표 한국기업법학회 2017 企業法硏究 Vol.31 No.4

        The main tasks by the private pension schemes Act Jae-Seung Go․Ju Pyo Kim The government suggested the Private Pension Act 2017 for more systematic management and needs of rearrangement of complicated pension system. The private pension act includes the effective management of pension asset. However it does not include the specific management but the example of financial products which can combine with the pension schemes without extra regulations. So the government should produce the financial products according to the regulation of Capital Market Act and Insurance Business Act which is the act about self-invested personal pension. Even though the private pension is enacted, there is no change of private pension product and just add the discretionary investment management agreement. And Pension Saving Credit based on the regulations of financial investment will not be able to produce the product for a guarantee of principal and interest since 2018. The author feels sympathy why the government tries to intensify retirement safety net but the prohibiting enrollment of pension saving credit is invading the right of subscribers’ choice.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enact the regulation of financial investment which guarantee the damage on Pension Saving Credit for protected principal and interest in order to widen the subscribers’choice. The experienced employees quit their long term jobs at the average age 49 and almost employees are retired before age 50. They need the living cost while they search for new jobs but they should wait for 5-6 years to get the tax benefit due to the regulation of income tax act in which subscribers can receive the pension after age 55 as the initial age on receiving the private pension saving. At the period for receiving pension, almost 50% pension recipients should receive 170,000won for a decade to get the tax benefits. That ismeaningless as private pension because so many people withdraw their private pension midway. Enforcement ordinance of private pension act should regulate private pension product as considering the retirement age and subscribers’ receiving amount for pension. These products should regulate to receive the pension after age 50 initially and the subscribers over 5 years can decide the period of receiving the saved money according their desire and also the income tax act should be revised as the same conditions. It is necessary that discretionary investment management mandate regulated supplementally in private pension act of the current private pension products such as trust, fund and insurance should be added to income tax act in order to get the tax benefits. 정부는 개인연금자산이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복잡한 연금관련 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어 2017년 「개인연금법」제정안을 공개하였다. 그 제정안에는 연금자산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이 포함되어 있으나, 구체적인 운영방법에 있어서는 별도의 규정을 두지 않고 결합될 수 있는 금융상품의 종류만 명시하고 있기 때문에 개인연금사업자의 업종에 관한 법률인 「자본시장법」, 「보험업법」 등에서 규정하는 바에 따라 상품을 설계해야 한다. 따라서 개인연금법이 제정되더라도 투자일임계약만 추가되는 것일 뿐 기존의 개인연금 상품은 변화가 없으므로, 「금융투자업규정」에 의거 연금저축신탁은 2018년부터 원리금보장형 상품으로 설계될 수 없다. 원리금보장형 상품 퇴출로 은퇴자산의 수익률을 높여 노후안전망을 강화하려는 정부의 취지는 공감하나 그렇다고 원리금 보장형 연금저축신탁의 가입을 금지하는 것은 가입자의 선택권을 침해하는 것이다. 따라서 원리금 보장형 연금저축신탁에 대한 손실의 보전을 할 수 있는 「금융투자업규정」을 다시 제정해 가입자의 선택의 폭을 넓혀줘야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 취업 유경험자 중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두는 평균연령은 49세로, 근로자의 상당수가 50세 이전에 주된 직장에서 퇴직하여 재취업할 동안 생계비가 필요한데 소득세법에서는 개인연금저축 수령개시연령을 55세 이후로 규정하고 있어 세제혜택을 받기위해서 5∼6년을 기다려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연금수령기간도 연금수령자의 50%가량이 세제혜택을 받기 위해서 월 평균 17만원을 10년 동안 수령해야 하기 때문에 대부분 중도해지가 많고 개인연금으로서의 의미가 없다. 향후 개인연금법시행령에서는 근로자들의 퇴직연령과, 가입자들의 수령금액을 감안하여, 개인연금상품의 수령개시를 50세 이후, 적립금 지급기간도 5년 이상 가입자가 희망하는 기간으로 규정하고, 세제혜택을 위한 소득세법도 같은 조건으로 개정할 것을 제언한다. 그리고 현 개인연금상품(신탁, 펀드, 보험)외 「개인연금법」 제정안에서 추가로 규정하고 있는 투자일임계약도 소득세법에 추가하여 가입자들이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개정이 요구된다.

      • KCI등재

        독일 보험계약법상 초과보험에 관한 연구

        유주선 한국기업법학회 2017 企業法硏究 Vol.31 No.4

        The main tasks by the private pension schemes Act Jae-Seung Go․Ju Pyo Kim The government suggested the Private Pension Act 2017 for more systematic management and needs of rearrangement of complicated pension system. The private pension act includes the effective management of pension asset. However it does not include the specific management but the example of financial products which can combine with the pension schemes without extra regulations. So the government should produce the financial products according to the regulation of Capital Market Act and Insurance Business Act which is the act about self-invested personal pension. Even though the private pension is enacted, there is no change of private pension product and just add the discretionary investment management agreement. And Pension Saving Credit based on the regulations of financial investment will not be able to produce the product for a guarantee of principal and interest since 2018. The author feels sympathy why the government tries to intensify retirement safety net but the prohibiting enrollment of pension saving credit is invading the right of subscribers’ choice.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enact the regulation of financial investment which guarantee the damage on Pension Saving Credit for protected principal and interest in order to widen the subscribers’choice. The experienced employees quit their long term jobs at the average age 49 and almost employees are retired before age 50. They need the living cost while they search for new jobs but they should wait for 5-6 years to get the tax benefit due to the regulation of income tax act in which subscribers can receive the pension after age 55 as the initial age on receiving the private pension saving. At the period for receiving pension, almost 50% pension recipients should receive 170,000won for a decade to get the tax benefits. That ismeaningless as private pension because so many people withdraw their private pension midway. Enforcement ordinance of private pension act should regulate private pension product as considering the retirement age and subscribers’ receiving amount for pension. These products should regulate to receive the pension after age 50 initially and the subscribers over 5 years can decide the period of receiving the saved money according their desire and also the income tax act should be revised as the same conditions. It is necessary that discretionary investment management mandate regulated supplementally in private pension act of the current private pension products such as trust, fund and insurance should be added to income tax act in order to get the tax benefits. 초과보험이라 함은 물건보험에서 있어서 당사자가 임의로 정한 보험금액이 보험가액을 현저하게 초과하는 보험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독일 보험계약법에 규정되어 있는 초과보험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독일 보험계약법 제74조 규정된 초과보험은 보험계약 체결 시 보험자나 보험계약자가 보험가액을 정확하게 산정할 수 없는 상황이 흔치 없게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에 해당한다. 독일 보험계약법 입법자는 제74조에 초과보험이라는 이름으로, 보험금액이 보험가액을 현저하게 초과하는 경우에 각 계약당사자는 초과보험을 배제하기 위하여 보험금액을 보험료의 비율에 맞추어 즉시 감액할 것을 요청할 수 있음을 규정하였다. 이는 독일 민법 제313조에서 규정되고 있는 행위기초의 장애에 대한 하나의 특별규정으로 인정될 수 있다. 민법 제313조가 손해보험에서 있어서 엄격한 요건을 필요로 하고 있고, 법적 효과와 관련하여 불확실하게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보험이라는 독특한 법률관계를 다루는 보험계약법은 민법의 일반규정이 아닌 특별규정이 요구된 것이라 하겠다. 초과보험의 적용은 손해보험에만 효력을 발생하기 때문에, 정액보험과 인보험의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법적효과로는 초과보험을 배제하기 위하여 계약당사자는 보험금액에 따른 보험료를 감액할 수 있는 권한을 행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제1항), 초과보험을 통하여 보험계약자가 불법적인 재산적 이익을 위하여 보험계약을 체결한 경우라면, 보험자는 이려한 계약의 무효를 주장할 수 있다(제2항 제1문). 보험자가 그 무효가 되는 시점을 안 시점까지 보험계약자가 지급한 보험료는 보험자에게 귀속하게 된다(제2항 제2문).

      • KCI등재

        개인연금자산의 수요와 적정성에 관한 분석

        여윤경 ( Yoon Kyung Yuh ),이남희 ( Nam Hee Lee ) 보험연구원 2012 보험금융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제3차『국민노후보장패널』자료를 사용하여 근로소득이 있는 60세 미만의 예비은퇴자를 대상으로 개인연금자산에 대한 수요 및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개인연금의 수요 분석을 위해 개인연금 보유여부, 개인연금 예상수령총액, 예상수령총액을 기대여명으로 나눈 연금화액수로 분류하였으며 적정성 분석을 위해 은퇴 후 예상되는 최소생활비와 적정생활비 대비 개인연금액수의 비중과 금융자산대비 개인연금 수령총액의 비중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연금의 수요와 적정성은 대체로 연령이 낮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전문·관리직에 종사하는 집단일수록 높았다. 또한 개인연금의 수요 및 적정성은 건강상태와는 관련이 없었고 도시근로자일 경우 낮게 나타났다. 소득은 개인연금 수요 중 개인연금 수령총액과 연금화 액수에서만 유의하였다. 또한 저축의 목적이 노후대비인 경우, 퇴직금과 금융자산이 많을수록, 국민연금자산이 많을수록 개인연금 수요와 적정성이 높게 나타났다. 부채는 개인연금 수요 및 적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비금융자산은 개인연금의 일부 수요와 적정성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요약해보면, 개인연금의 수요와 적정성에는 예비은퇴자들의 교육수준, 연령, 거주지역, 저축의 목적, 그리고 자산의 영향력이 유의한 변수들로 나타났다. 특히 노후대비의 목적으로 저축을 하고 있고 국민연금자산이 많고 은퇴 후 생활비로 사용이 용이한 퇴직금과 금융자산이 많을수록 개인연금의 수요와 적정성 또한 높게 나타나 미래 은퇴자들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지속, 심화 될 수 있음을 예측해 볼 수 있다. Using the 2009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this study analyses the demand and adequacy of private pension from the sample of pre-retirees younger than age 60 currently working. We investigate the demand of private pension by private pension ownership, estimated total private pension wealth at retirement, and annuitized amount of the private pension wealth. we also investigate the adequacy of private pension by the ratio of the private pension to minimum and appropriate amount of living expenses during retirement, and the ratio of the estimated total private pension wealth to financial assets. Our study shows that the demand and adequacy of private pension increases in the group of younger, highly-educated, and engaged in professional occupations. In addition, this tendency is stronger for those who save money for retirement and have more retirement grants, financial assets, and national pension. Also, there is a tendency that city workers would have less demand and lower adequacy of the private pension. Non-financial assets are partially related to the demand and adequacy of private pension, and health and debts do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In conclusion, educational attainments, age, living area, purpose of savings, and assets are significant determinants for the demand and adequacy of private pension. Especially, the demand and adequacy of private pension are higher for those who save for retirement, have more national pension assets and retirement grants, and more financial assets. Thus, these results imply that a gap between rich and poor will be continued or even bigger for the future retirees.

      • KCI등재

        중년층의 개인연금 보유 및 납입액에 관한 연구

        심현우,하가영,최양호 한국보험학회 2022 保險學會誌 Vol.129 No.-

        Private pensions are introduced to the Korean insurance market in 1994.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determinants affecting policy ownership and payment behavior focused on middle-aged persons who will receive payments from their private pensions, and we derive implications from the examination. We analyze factors affecting private pension ownership and annual payments of persons aged between 50 and 65 years-old by the logistic and linear regression model, respectively. In particular, reflecting recent social trends of low birthrates, the models include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of children in a household, bequest motive to their children, and willingness to rely on them.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lower the age, the longer the years of education, the higher the net assets, the more likely the middle-aged persons are to have a private pension. The smaller the number of children, when they are willing to bequest to their children, when they are not willing to rely on their children, and when they hold a public pension or a coverage insurance, the more likely they are to hold a private pension. The longer the years of education, in the case of no spouse, the more the net assets, and when they hold a coverage insurance, the more likely they increase amounts of private pension payments. These findings imply the followings: first, the need for private pensions is expected to increase as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per household decreases owing to both decreasing birthrates and increasing numbers of one-person households. Second, a well-designed private pension that considers willingness to bequest can meet the middle-aged persons’ demand for private pensions. Third, it might be necessary to strengthen private pension promotion and policy support for the low-education or low-income class. 1994년 한국보험시장에 개인연금상품이 도입되었다.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개인연금 수급 시기가 도래할 예정인 중년인 사람에 초점을 맞추어 개인연금을 현재 보유하거나 납입하는 행동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관찰하고 시사점을 도출한다. 우리는 50세 이상, 65세 미만 개인의 개인연금 보유와 납입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각각 로지스틱 회귀모형과 선형 회귀모형으로 분석한다. 특히 저출산과 같은 최근의 사회적 경향을 반영하여, 가구 내 자녀의 수, 상속의향, 자녀의탁의향 등의 설명변수를 모형에 포함한다. 분석 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연수가 증가할수록, 순자산이 많을수록, 자녀수가 적을수록, 상속의향이 있는 경우, 자녀의탁의향이 없는 경우, 공적연금에 가입했던 경우, 보장성보험에 가입했던 경우에 중년층이 개인연금 보유를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육연수가 증가할수록, 배우자가 없는 경우, 순자산이 많을수록, 보장성보험에 가입했던 경우에 개인연금 연간납입액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발견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내포한다. 첫째, 저출산과 1인 가구 증가로 가구당 가족구성원의 수가 줄어듦에 따라 개인연금의 필요성이 증대될 것이 예상된다. 둘째, 자녀 상속의향을 고려하여 설계된 연금상품은 상속의향이 있는 중년층의 개인연금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셋째, 교육수준이 떨어지는 계층과 저소득층에 대한 개인연금 홍보와 정책적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사적연금 수요자의 행태 분석: 공적연금의 부족분을 사적연금으로 보완하고 있는가?

        김대환,안장혁,성미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2

        The aging of the population is strengthening the function of private pensions in the multi-tiered income system. In practice, those who are well prepared for public pensions may tend to prepare for private pensions. On the other hand, theoretically, individuals who judge that public pensions lack old-age income security can make decisions to supplement them with private pensions. This study analyzed demand behavior for personal pension, which is determined autonomously among the private pensions. According to panel analyses utilizing 2013-2017 data sets from the National Survey of Tax and Benefit, the individuals are more likely to buy the personal pension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sired and the expected pension amount in the public pension is larger. Even after buying the private pension, more premiums were paid to ensure retirement stability. This suggests that economic agents consider shortages in public pensions in the process of demanding private pensions, and furthermore, the larger the shortages, the more decisions are made to demand private pensions. 전 세계적으로 다층노후소득체계 측면에서 인구고령화로 인해 사적연금의 기능이 강화되고 있다. 개인의 사적연금 수요 행태 측면에서 현실적으로는 공적연금을 잘 준비하고 있는 사람이 사적연금도 잘 준비하는 경향을 보일 수 있는 반면, 이론적으로는 공적연금의 노후소득보장기능이 미흡하다고 판단하는 개인이 사적연금으로 보완하는 의사결정을 보일 수 있다. 이에 사적연금 중에서도 가입 여부와 보험료 수준이 자율적으로 결정되는 개인연금의 수요행태를 분석하였다. 재정패널자료(2013~2017년)를 활용해 로지스틱 확률효과모형와 로지스틱 이원고정효과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경제주체들은 공적연금에서 희망하는 연금액과 예상하는 연금액의 차이가 클수록 개인연금에 가입할 확률이 높고, 가입한 이후에도 노후 안정성을 위해 더 많은 보험료를 납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주체들이 사적연금을 수요하는 과정에서 공적연금에서의 부족분을 고려하고, 나아가 부족분이 클수록 사적연금을 더 많이 수요하는 의사결정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의 변화 −영국의 공·사적 연금제도를 중심으로

        정인영(Jung, In Young),정창률(Jung, Chang Lyul),권혁창(Kwon, Hyeok Cha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硏究 Vol.3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공·사연금과 관련해서 과거부터 현재까지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를 변화시켜가고 있는 영국의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의 개선을 위한 함의를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영국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의 변화를 다층체계의 구조와 공․사연금제도의 적용 및 급여체계를 중심으로 분석 및 평가하고, 우리나라 공·사연금제도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국의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에 대한 평가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사연금의 구조적 관점에서 볼 때, 복잡성이 사라지고 단순·명료화되었으며, 다층체계의 각 층간 역할분담이 명확해졌다. 둘째, 적용체계의 관점에서 볼 때, 영국은 공․사연금의 보편성 확보 및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셋째, 급여 수준 측면에서 저소득층을 위한 보장은 강화되었지만, 전반적인 급여 적정성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넷째, 사적연금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영국의 사례가 우리나라에 주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사적 연금의 구조와 관련해서 제도 간 역할과 기능을 명확히 하고 제도 간 연계강화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의 보편성 확보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공·사연금의 급여 적정성 제고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ase of Britain which is undergoing major changes in public and private pensions and seeks to fi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public and private pensions in Korea.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British public and private pension schemes were analyzed and evaluated with regard to the structure, coverage and benefits, and th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s public and private pension system were suggested. The assessment of the public and private pension schemes in the UK is as follows.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ructure of public and private pensions, the complexity has disappeared and simplified. Second, the UK operates a broad National Insurance Credits as part of a way to secure the universality of public pension and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pension has changed to become virtually compulsory. Third, from the point of view of benefits, public and private pensions in the UK seem to be unable to provide stable old-age income in terms of benefit adequacy, but they are considered good in terms of financial sustainability. The British case from this study gives Korea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efforts should be made to clarify and simplify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public and private pension schemes and to strengthen links between them. Second,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diversify the National Pension Credits (NPC) and expand the coverage of NPC in order to expand the universality of National Pension. However, the role of retirement pension is also important because National Pension alone cannot guarantee old-age income, and it is necessary to refer to the case of Britain when preparing alternatives. Third,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enhance benefit adequacy of public and private pensions.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사적연금자산 수요에 관한 비교연구

        여윤경 한국경영과학회 2015 經營 科學 Vol.32 No.3

        Using the most recent dataset of Korea and U.S. household finance, this study analyzed demand and adequacy of private pensions for pre-retirees. For this purpose, 2013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of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in Korea and 2013 SCF (Survey of Consumer Finances) of FRB in U.S. were used. For comprehensive comparisons of the two countries, this study classified the private pension into sub-categories such as personal pension, corporate pension, and retirement benefits, and used three different criteria including ownership, accumulated present value of each pension, and income replacement ratio of each pension. After controlling for other factors, educational level of householder and household income were critical determinants of size and adequacy of private pension in both countries. Different from Korean households, householders’ gender, marital status, and health status had an important effect on the private pension size and adequacy in the U.S. In addition, home ownership significantly increased only private pension adequacy in Korea, and also increased ownership rate, size, and adequacy of private pension in the U.S.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future pension system and policy in Korea.

      • KCI등재

        노후소득보장을 위한 퇴직 연금 확대 정책에 관한 연구

        김봉환 ( BongHwan Kim ),이제복 ( JaeBok Lee ),박상인 ( Sangin Park ),신가영 ( GaYoung Shin ) 한국정책학회 2015 韓國政策學會報 Vol.24 No.2

        한국의 공ㆍ사연금체계가 안정적인 노후보장에 미흡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국내 연금정책의 배경을 살피고 노후소득 현황 및 변화를 분석하여 퇴직 연금 확대 정책의 필요성을 도출하고, 도입 효과를 시뮬레이션하여 현실적 대안인지에 대한 검토를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 3차 자료를 이용하여 국민의 공적 연금 가입유형 별 노후소득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50-65세 소득에 대한 65세 이후 연금소득의 실제 대체율 수준은 특수직역연금가입자의 경우 38.4%이지만, 국민연금 가입자의 경우는 9.9%이며,퇴직 연금 적용대상자의 경우는 14% 수준이며, 공적연금 비가입자의 경우 0.3%로 나타나 상당히 취약한 상황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중에서 퇴직 연금 정책대상자에 한정하여 소득대체율 높이기 위해 필요한 연금증가액, 불입액과 은퇴 후 소득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이들의의 연금소득대체율을 10%p으로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1인당 연간 2,019천원의 연금증가액(연간불입액 489천원)이 필요하고, 65%수준까지 상승시키려면 1인당연간 10,273천원의 연금증가액(연간불입액 2,490천원)이 필요한 것으로 도출되었고, 이에 따라 총소득대체율은 65%∼79%까지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추정이 아닌 실제수치를 이용한 소득대체율을 도출하고, 퇴직 연금확대정책 도입 시 노후소득보장효과를 제시하여 정책적 근거를 구체적으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퇴직 연금 확대 정책의 합의를 위한 논의의 밑거름이 되고,나아가 정부와 시장의 역할을 아우르는 연금 정책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있어 의미 있는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to suggest a solution for the insecure security of Korean pension system by analyzing the current income replacement rate of the elderly and stimulating the effect of the expanding private pension on retirement income. Using the 2009 data of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this paper analyzes the income changes of the elderly categorized according to public pension membership status, The results show that the pension income replacement rate of the elderly with public official pension is currently 38.4%, while one of the elderly with national public pension is 9.9% and one of the elderly with no public pension is 0.3% respectively. It indicates that retirement income security for the last two groups is in vulnerable situations. To simulate the effect of expanding private pension, we select the elderly who are eligible for private pension. The results show their pension income replacement rate is 14% and to raise it by 10%p, additional annual annuity is estimated to 2,019,000won (expected annual payment is 498,000won) and to raise it up to 65%, additional annual annuity is estimated to 10,273,000won (expected annul payment is 2,490,000won) and the estimated total income replacement rate would reach between 65% and 79% under the assumptions.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analysis is based on actual figures, not estimated figures. Therefore, this new approach can be one reference to reform Korean public-private pension system to strengthen the elderly income security.

      • KCI등재

        연금 체제(Pension regime) 측면에서 본 한국 노후 소득보장 체계

        정창률(Jung Chang-Lyul) 한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사회복지학 Vol.62 No.2

        복지국가 유형화에 이어서, 복지국가의 개별 제도에 대한 유형화 역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가장 크고 중요한 제도인 연금 제도에서는 과거의 연금 설계 철학에 따라 베버리지형과 비스마르크형으로 구분되어 왔다. 선진국의 연금 개혁은 그들의 유형 내에서의 변화였던 반면 한국의 연금 개혁은 과거 사회보험형에서 ‘약한 비스마르크형’으로 외형이 변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국의 연금체제의 미성숙을 고려한다면 아직 어떤 유형에 속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고, 개혁이후의 한국 연금 체제를 다층체계로 분류할 수도 있다. 지난 수십 년간 서구의 연금 개혁은 두 유형의 수렴경향이었으며, 최근에는 사적연금에 대한 규제의 정도에 따른 유형화가 연구되고 있다. 한국의 연금 체제에서도 앞으로는 국민연금은 물론 (아직 미성숙한) 퇴직연금이 어떻게 규제되고 감독되는지가 보다 중요해 질 것으로 보이며, 한국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역할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Following the welfare state typology well known, the typology in terms of individual system in welfare state has been widely examined and, pension which is the biggest and most important in welfare state has been classified into Beveridge and Bismarckian types based on their pension system design. Such typology focused on benefit type or size of private pension has been recently refined to add a new type - 'Bismarckian Lite' type - in addition to traditional Beveridge and Bismarckian types. Whereas the pension reforms in the developed countries has been changes within their pension regimes, the Korean pension reform in 2007 seems to have changed the existing social insurance type into the 'Bismarckian Lite' type. However, considering the immaturity of Korean pension regime,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e existing status of the Korean pension regime and, the Korean one can be classified into a multi-pillar one. Over the last decades the developed countries have increased the size of private pension regardless of their original pension regimes, which tends to converge into multi-pillar schemes. Accordingly, there is recently a new typology focused on the degree of regulation in terms of private pensions, which seems to be the better perspective. It will be more important how to regulate the (immature) occupational pension as well as the National Pension in Korea. Considering that old age income security in countries where the public regulation regarding private pension was absent has been deteriorated, it would be necessary to strengthen the role of government to effectively regulate private pension.

      • 개인연금법 제정(안)에 관한 연구

        고재성 ( Go Jae-seung ) 한국연금학회 2017 연금연구 Vol.7 No.1

        1994년 조세특례제한법 제86조에 의거 도입된 개인연금제도는 그동안 세제혜택을 중심으로 공급자 위주로 개편되어 왔다. 금융회사는 세제변화 등으로 새로운 연금 상품의 개발은 적극적이면서 기존 상품관리는 소홀히 하고, 가입자들은 노후대비를 위한 상품보다는 당장의 세제혜택이나 판매채널의 권유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입하여 상당수가 중도해지 하는 등 계획적인 노후대비가 부족하였다. 이와 같은 사유로 정부는 2016년 5월 수요자의 입장에서 개인연금가입자의 노후대비자산이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개인연금법 제정안을 발표하였다. 그 제정안에는 개인연금상품범위의 확대, 개인연금 계좌의 도입, 연금사업자의 업무, 의무 등의 내용을 포함한 개인연금법 주요 내용 등이 포함되어 있다. 동법의 제정으로 개인 연금자산의 효율적인 관리체계를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나, 당장 노후준비가 시급한 퇴직 직전 세대(50대)나, 저소득층, 저 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개인 연금법 차원의 사회적 책무는 없어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퇴직직전 세대의 세액공제금액 확대. 저소득층 세액 환급율 인상, 출산율 증대를 위한 자녀 개인연금 보조금 지원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The private pension saving introduced by the article 86 of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in 1994 has been revised while focusing on a tax benefit by suppliers such as banks and insurance companies. A financial company has actively created a new pension scheme due to a tax revision but lacked the effort of the management of existing pension. The subscribers of pension are enrolled by a current tax benefit or the a piece of advice or recommendation of the sales channel rather than preparation for aging society. So the subscribers have canceled the middle way of contract and failed in preparation for aging society. That`s why the government announced the enactment of the private pension Act in May of 2016 to manage more effectively life savings with focusing on the subscribers of pension. The enactment of the private pension Act includes main issues about the enlargement of the scope of private pension scheme, the introduction of personal pension accounts and the task and responsibility of pension providers. The enactment of this act will provide a chance to create effective management system but will not help 50s preparing for retirement and the low-income bracket. The private pension act does not seem to have a social responsibility for overcoming the crisis of low birth rate. This study explains the needs of the enlargement of a tax deduction for people preparing for retirement, a rise of a tax refund rate for the low-income bracket and personal pension subsidies for children in order to rise the birth 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