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지식·기술 역량 전문성 발달의 어려움에 관한 현상학 연구

        김규랑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3

        This study aims to capture the voice of the actual settings in depth with regard to difficulties of specialty development that are experienced by child care teachers, thereby creating and providing the improvement measures. To this end,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teachers who have 10 ~ 14 years of experience in working at child care settings. As for the analysis strategy in this study,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of Giorgi (1985) was employ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ild care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expression of knowledge and technical capabilities for their own specialty development. In this study, for instance, the child care teachers appealed the difficulties that are shown in physical environment,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understanding of children, or in the course of planning, executing and evaluating the educ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child care teachers are exerting in various aspects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their specialty development. Third, in order to secure the significance and preparing the alternative measures of the knowledge and technical capabilities for specialty development for solving the difficulties, the child care teachers exhibited an expectation to take a systematic supplement education and to strengthen the qualification standards for being a child care teacher. Moreover, they anticipated that child care teachers would take a better position in society by implementing the specific policies that can protect and support them as a professional workforce. Based on the study findings discussed above, the suggestions and theoretical implication were discussed further for a follow-up study.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지식·기술 역량 전문성 발달 어려움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심층적으로 담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어려움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10년 차에서 14년 차의 경력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분석방법으로는 Giorgi(1985)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진행되었으며,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들은 물리적 환경이나 교사-유아-유아와의 상호작용, 유아에 대한 이해, 교육과정 계획-실행-평가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나타냈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전문성 발달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경험하고 있다. 셋째, 보육교사들이 전문성 발달에 대한 지식·기술 역량의 대안적 방안과 의미획득으로 어려움 해결을 위한 기대사항으로 체계적인 보수교육과 보육교사 자격 기준의 강화에 대한 기대를 드러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지식·기술 역량 전문성 발달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로서 보육교사들이 전문 인력으로 지지받고 보호받는 제도들이 구체적으로 시행되어 앞으로 보육교사에 대한 발전이 있기를 기대하며, 향후 보육교사 전문성을 위한 지원과 보육정책을 설정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 KCI등재

        시각중복장애 학생 부모 요구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박현일,박원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10 특수교육학연구 Vol.45 No.2

        Most of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additional disabilities like autism and mental retardation have been taught in a blind school. The number of the students has been increasing and their parents have been asking for much more educational services for their children.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parents with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additional disabilities accept, reconsider and reorganize their experience on physical, cognitive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and what kinds of educational services they have been requesting in a way of phenomenological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1)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ccept that their children have limits to learn and to be improved cognitively and emotionally unlike simple blind children without other disabilities. They describe the present cognitive and emotional conditions of their children reasonably and objectively. It shows that the idea of school teachers that parents with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additional disabilities make unreasonable demands on them to teach their children beyond their developmental capabilities can be wrong. 2)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hope that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additional disabilities will be accepted as members of school and educational environment to meet their educational needs will be built up. A common idea of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s that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additional disabilities should not be excluded from school. When it comes to management of class consisted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additional disabilities and individual support system, By analyzing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teachers should design the most suitable teaching method for each individual and teach them effectively. The management of a after-school class should focus on its content more than form and its teaching method should be a continuing learning activity concentrating on potential of students. With regard to role of teachers, they also hope that teachers treat their children like people who have the potential to be able to do whatever they want to do. They also want teachers to share information about their children with other teachers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nd to provide them with suitable educational services to meet their educational needs. 시각장애 학교에서는 상당수의 시각중복장애 학생들이 교육을 받고 있고, 그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학부모들의 교육적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시각중복장애 학생 부모가 느끼고 경험한 현상을 어떻게 재구성하고 요구하는지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 연구 참여자들은 자녀가 단순시각장애 학생들과는 다른 한계를 수용하고 있었다. 냉정하고 담담하게 자녀의 현재 상태에 대해 진술하고 있음은 ‘학부모가 자녀들의 한계를 알면서도 억지를 부린다’는 학교 현장 교사들의 시각중복장애 학생 부모에 대한 생각이 실제와 편차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2) 연구 참여자들은 시각중복장애 학생들이 학교 구성원으로 인정받고, 필요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공통된 의견은 학교에서 시각중복장애 학생이 소외받지 않기를 바라는 것이었다. 중복반 및 개별화지원시스템 운영과 관련해서는 운영 방식 이전에 아이들의 특성에 맞는 지도 방법을 찾고 지도해 주기를 바라고 있었으며, 방과 후 학교 운영 면에서는 형식보다는 그 안에 담겨지는 내용물에 더 관심을 보였고, 수업 방법에 대해서는 가능성에 초점을 둔 지속적 학습활동이 이루어지기를 소망하고 있었다. 교사 역할과 관련하여 연구 참여자들은 교사가 아이들을 대할 때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대해주기를 바라고 있었으며, 아이들이 내용을 채워가는 과정에서 많은 관심을 보여주기를 원하였고, 학기 초 시각중복장애 학생들의 정보를 미리 공유하여 그 특성에 맞게 교육적 서비스가 제공되기를 희망하였다.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사경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성현준(Sung Hyun Jun),성나경(Sung Na-kyung),홍누리(Hong Nuri),이지혜(Lee Ji H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사경고 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2017년 2학기 9월∼12월까지 학사경고 경험이 있는 외국인 유학생 17명(남 14명, 여 3명)과의 심층 인터뷰를 실시한 후 Giorgi(2004)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4개의 상위구성요소와 20개의 하위구성요소, 129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였다. 상위구성요소로는 “학사경고를 받은 이유”, “학업을 수행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 부분”, “유학생활 지속동기”, “학업에서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에 대한 관심, 취업에 대한 기대, 한국 대학에 대한 인지도, 친구의 영향, 낮은 경제적 부담, 자국과의 지리적 근접성 등 의이유로 유학생활을 지속해왔다. 이들은 한국어 활용능력 부족과 전공공부에 대한 어려움, 대인관계의 어려움,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차별로 인해 공부하는 것이 힘들다고 보고하였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대학 공부에 적응하고자 주로 인터넷, 교육자료, 책 등의 매체를 활용하여 독학을 하였고, 교수나 지인 등 타인의 도움으로 대학 공부를 수행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유학생들은 학업의 어려움, 한국어 듣기 미숙, 건강, 가정, 출결문제 등으로 인해 학사경고를 받은 것으로 나타 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그 의미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under academic probation and understand the meanings of their experiences in-dept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 from 17 international students (14 males & 3 females) during September- December, 2017. Then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f Giorgi(2004) was applied to analyze the interview data. As a result, 4 major components, 20 sub-components, and 129 conceptualized semantic units were derived. The major components include “reasons for academic probation”, “obstacles against studying”, “motivations for continuing study in Korea”, and “how they deal with studying problems”. The interviews indicated that International students continue their study in Korea due to various reasons: favorable impression of Korea, expectations for employment, influence from friends, less economic burden, and geographic proximity. They addressed low level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difficulty in studying their major, problems dealing with people, and discrimination against international students as obstacles from studying. These students were using several learning strategies to adapt to studying at collage: utilizing internet sources, instructional materials, and books to study on their own, relying on their professors and friends for help, or reaching out for help by tutoring. Nonetheless, they were placed under academic probation due to difficulty in studying their major, low level of Korean listening proficiency, health issues, family issues, and low attendance. Meanings and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a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력제고연구 참여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수연(Lee, Su Yeon),박경애(Park, Kyung 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5

        본 연구는 ‘학교 교육력제고 유공교원 가산점 제도’의 선택가산점 취득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교육력제고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이 가지는 의미를 탐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들은 교육력제고연구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교사 6명을 선정하여 4개월간 2~5회의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참여자의 경험에 초점을 맞춘 현상학적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교육력제고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승진이라는 수단에서 출발하였으나 연구과정에서 연구 본연의 목적을 깨닫고 자신들의 성과를 교육공동체와 공유하며 개인과 교육공동체 모두의 성장에 필요한 자기 발전의 연구로 의미가 구성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교사들의 협력 경험과 교사로서의 소명의식, 직업정체성, 연구와 교육의 선순환 환류구조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교육력제고연구를 발전시킬 수 있는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Ability Improvement Study’ which is the main purpose of acquiring the additional points of the ‘Additional Point System for School Education Achievement’. In order to study, the researchers selected six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educational ability improvement study’ and collected the data through two to five in-depth interviews over four months.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phenomenological way that focused on the participants experience. As a result,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enhancement study started with the means of promotion. But in the course of the study, they realized their original purpose of the research. Therefore, the meaning was formed by the study of self-development that shared their achievements with the educational community and achieved the growth of individuals and educational communities. Through this study, the cooperative experience of teachers and the sense of calling and job identity as teachers, and the virtuous cycle feedback structure of research and education were discussed. And discuss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develop the research on enhancing educational ability.

      • KCI등재

        성폭력 피해 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양선화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8 한국가족복지학 Vol.23 No.-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of mothers of sexually abused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6 mothers whose children were sexually abused. The data was then analyzed according to Colaizzi's method. 253 sentences and phrases, 65 formulating meanings that were general, metaphysical, 27 theme, 13 theme clusters, 5 categories based on interview were selected.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of study. 1. Shock : Perplexity, Confusion 2. Coping ; Settlement 3. Mental anguish: Anger, Anxiety, Suffering, Isolation 4. Conquest: Stabilization, Acceptance, Consolation, Change 5. Scar: Extant of anxiety, Concern The results show that the experience of the mother of sexually abused children changed over a period of time and they were willing to protect their children and resolve the issues within society. This research contributed to an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 of mothers of sexually abused children,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ithout the resource of previous study. This study suggests that social welfare services is needed for sexually abused children and their mothers. 본 연구는 아동성폭력 피해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성폭력 피해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 6명이다. Colaizzi가 제시한 방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한 결과, 주제 27개, 주제 모음 13개, 범주 5개가 도출되었다. 범주와 주제모음은 충격(당혹, 혼란), 대처(수습), 고통(분노, 불안, 괴로움, 고립), 극복(안정, 수용, 위안, 변화), 상흔(남아있는 불안, 염려) 등이다. 연구 결과 아동성폭력 피해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경험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역동적 변화와 ‘다양한 관계’들 속에서 자녀를 보호하고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의지’가 반영된 독특한 체험으로 자리잡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성폭력 피해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과 아동성폭력 피해자 지원체계 확장 및 정착 방안을 제시했다.

      • KCI등재

        아프리카 출신 난민아동들의 한국생활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박경자 ( Kyungja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아프리카 출신 난민아동들의 한국생활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에서는 아프리카 출신 난민아동들의 학교, 또래, 지역사회에서의 생활경험과 그 의미를 규명하고자 했다. 연구는 2019년 10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는 한국에 5년 이상 거주한 8명의 아프리카 출신 난민아동이 참여했다. 자료는 일대일 심층 면담을 수행하여 구성했다. 연구결과 48개의 의미 단위, 15개의 하위구성요소와 6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6개의 구성요소는 보편적 교육권리의 배제, 인종차별, 트라우마의 중복 이환, 미운 검은 오리, 선한 사마리아인들, 흑인 정체성의 회복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난민아동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 민간자원의 적극적인 개입, 정신건강을 비롯한 문제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에 대한 제언을 했다.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experiences of refugee children from Africa in South Korea. The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experiences and implications of refugee children from Africa in schools, peers and communitie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Oct. 2019 to Mar. 2021. Eight African-born refugee children who have lived in Korea for more than five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organized by conducting one-on-one in-depth interviews. The study resulted in 48 semantic units, 15 subcomponents and 6 components. The six components were found to be the exclusion of universal educational rights, racism, repetition of trauma, hateful black ducks, good Samaritans, and the restoration of black ident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for refugee children, active involvement of private resources, and diverse approaches to mental health and other issues.

      • KCI등재

        만성질환 어머니 돌봄 주체자로서의 딸들에 대한 사례 연구

        김난영,신정옥,도광조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The Cases Study on Daughters as the Main Care Provider ofMothers with Chronic DiseasesNanyoung Kim, Jeangok Shin, & Kwangjo Do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aring experience of the mother who is suffering from chronic diseases, and to study the caring experience dedicated to the daughter’s position as a qualitative case study that approached phenomenologicall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selected 4 married women as significant (intentional) sampling and convenience sampling, and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the data by the procedures and methods suggested by Colaizzi.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4 top categories, 12 middle categories and 21 sub categories were derived. The four top categories derived were ‘understanding of mothers’ illness’, ‘disappointment about unjust family about mothers’ care’, ‘difficulty in overcoming reality experienced by taking care of mothers’, ‘expectation for unreliable care system service and care polic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policy support that can help more concretely and realistically while reducing the burden of direct the main care provider of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Key Words: Chronic Disease, Care Experience, Main Care Provider, Qualitative Case Study, Phenomenological Study 만성질환 어머니 돌봄 주체자로서의 딸들에 대한 사례 연구김 난 영*ㆍ신 정 옥**ㆍ도 광 조*** 요약: 본 연구는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어머니에 대한 돌봄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접근한 질적 사례 연구로 딸의 입장에서 전담한 돌봄 경험에 대해 연구하고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기혼여성 4명을 유의적(의도적) 표집과 편의 표집으로 선정하였고 심층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Colaizzi가 제시한 절차와 방법에 의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개의 상위범주와 12개의 중위범주, 21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4개의 상위범주는 ‘어머니의 병에 대한 이해’, ‘어머니의 돌봄에 대한 공정하지 않은 가족에 대한 실망’, ‘어머니를 돌보면서 경험한 현실극복의 어려움’, ‘신뢰하기 힘든 요양제도 서비스와 돌봄 정책에 대한 기대’였다. 연구결과 만성질환 노인을 직접 돌보는 돌봄 주체자의 부담을 줄이면서 좀 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어: 만성질환, 돌봄 경험, 돌봄 주체자, 질적 사례 연구, 현상학적 연구 □ 접수일: 2022년 1월 14일, 수정일: 2022년 2월 3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주저자, 동양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Dongyang Univ., Email: siwoo7272@naver.com)** 공동저자, 동양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Co-author, Doctoral Course, Dongyang Univ., Email: shin2606@hanmail.net)*** 교신저자, 동양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Dongyang Univ., Email: kwangjo@dyu.ac.kr)

      • KCI등재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질적연구

        김수림(Su Lim Kim) 안전문화포럼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2

        최근에는 EAP 상담에 관심을 갖고 조직 및 임직원의 변화하는 요구에 맞추어 상담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조직의 문화와 맥락은 다양하여 그에 적합한 운영방식으로 EAP상담을 적용하기란 쉽지 않다. 기업의 특성에 맞는 전문적인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EAP상담 운영에 대한 반성적 평가와 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종단적 관점의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EAP상담의 활성화를 위한 운영방안 연구는 장애요인, 개선사항과 더불어 무엇보다 EAP상담을 운영한 후, 개선사항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도 함께 연구되어야 한다. 특히 개선사항에 대한 제언에서 나아가 개선된 사항에 대한 반성적이고 탐색적인 연구로써 기관의 변화에 대한 측면에서도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그 의미를 찾기 위해 종단적 관점으로 추적하는 것은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 매우 가치 있는 중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선된 사항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종단적 관점의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연구는 현장의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종단적 관점의 연구를 시도하였으며, 이를 통해 EAP를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과 EAP상담사를 대상으로 참고할 수 있는 정보 및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대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3개의 주 연구문제와 총 7개의 하위문제로 구분된다. 연구문제 1. 2019년~2022년 동안의 S도시공사 EAP상담의 연도별 연구결과는 어떠한가에 대한 하위문제 1) 4년간 기업의 조직문화에 따른 고충의 특성은 무엇인가? 2) EAP 상담 운영과정의 방해요인은 무엇인가이며, 연구문제 2. 4년 동안의 연구결과는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에 대한 하위문제로 1) 방해요인은 개선이 되었는가?, 2) 개선된 요인은 무엇이었는가? 3) 이러한 결과들은 연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결과를 보였는가? 이며, 연구문제3. 현장에 적용 가능한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은 무엇인가에 대한 하위문제 1) S도시공사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은 무엇인가?, 2) 일반화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운영방안은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종합적이고 총체적 결과의 도출을 필요로 한다. 이에 우선적으로 하위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주 연구문제에 대한 종합적 · 총체적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으로 설계하였다. 연구 방법론에 있어서는 현상학적인 접근 방식으로 사례 연구방법 및 종단적 관점의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2019년부터 2022년까지 4년간 동일한 심리검사 및 프로그램을 운영한 S도시공사의 EAP 상담사례는 종단적인 관점에서 심층적인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의 연구사례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에 있어서는 2019년~2022년 S도시공사의 자체적인 선별방법에 의해 선정된 근로자들로 구성 되었으며, 본 연구의 참여에 대한 부분은 S도시공사와 근로자의 자발적인 동의를 얻어 진행하였다. EAP상담 참여인원 및 기간은 2019년 5월~6월 20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각 8회기씩 총 160회기, 2020년 4월~7월 10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각 8회기씩 총 80회기, 2021년 4월~7월 17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각 4회기씩 총 68회기와 12월 1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총 2회기, 2022년 7월~11월 17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각 4회기씩 총 68회기, 2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각 2회기씩 총 4회기, 2명과 추가상담 1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각 6회기씩 총 18회기, 전체 69명을 대상으로 총 398회기의 상담을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은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2019년~2022년 각 연도별로 전사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분석 방법에 있어서는 1차 연도별로 반복적 비교분석을 하고, 2차로 1차에 분석된 4개의 자료를 종합하여 반복적 비교분석과 교차분석으로 체계화하였으며 3차 종단적 관점의 고찰을 통해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참여자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최종적으로 5개 영역의 36개의 핵심개념 1) 근로자의 고충, 2) EAP상담 진행 중 방해요인, 3) 종합적 개선사항, 4) EAP상담 경험, 5) EAP상담 영역이 도출되었고 이를 토대로 첫째, S도시공사 근로자가 갖는 고충의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4년 동안 EAP상담 진행 중 방해요인이 개선되었는가? 셋째, 개선된 사항이 조직과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졌는가? 넷째, S도시공사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은 무엇인가? 4개의 총체적인 결과가 분석되었다. 이하 결과에 대해 기술함에 있어서는 제시된 결과의 내용을 전부 설명하기보다는 ‘개선’에 중점을 두고 본 연구의 주제와 연구목적을 가장 잘 표현해낼 수 있는 특정내용에 대해서만 서술하였으며, 연구문제의 순서에 따라 기술하였다. 연구문제 1과 하위문제의 결과는 고충의 응답빈도가 높아도 그것이 주요 상담으로 진행되지는 않았으며, 이들의 고충은 감정노동자와 유사했다. S도시공사가 갖는 고충의 특성으로는 수평적 조직체계, 인사이동, 사회적 대인관계 단절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2와 하위문제의 결과는 EAP상담 진행 중 방해요인 영역의 ‘타이트한 근무시간대의 상담에 대한 부담감’, ‘상담 장소에 대한 불편함’, ‘상담내용이 보고되는 것에 대한 불안함’, ‘상담서비스 안내 및 한계로 인한 아쉬움’이었고, 개선된 사항에 있어 EAP상담이 운영되는 4년 동안 부서별 관리담당자 배정, 상담공간 협조, 유연한 상담회기, 일부 부서에 대한 운동시설 설치 및 휴게실 침대 구비 등 EAP상담사와 조직의 협력으로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다. 연구문제 3과 하위문제의 결과는 S도시공사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위해서 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한 EAP상담 지원, 개인상담과 연계된 집단상담 운영, EAP상담 홍보, 개인의 특성에 따른 차별적 회기 제공 등 충분한 서비스 지원이 필요하며, 전일제 EAP상담사가 배치되어야 하고, 조직의 협력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시사되는 바를 논의하고 현장에 적용 가능한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 현장에서 이루어진 EAP상담의 종단적 관점 및 개선사항에 주목한 실사례 분석이라는 점에서 희소성을 갖는다. 또한, 조직문화에 적합한 EAP상담을 실제 적용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일반화할 수 있는 지식을 얻고자 분석하고 통찰하였다는데 가치가 있다. Recently, more and more companies are interested in EAP counseling and are operating counseling program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needs of organizations and executives and employees. However, the culture and context of the organization are diverse, making it difficult to apply EAP counseling in an appropriate operating method. In order to provide professional counseling servic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reflective evaluation and analysis of the existing EAP counseling operation are required, and longitudinal research is needed for this. In addition, research on operational measures to revitalize EAP counseling should be studied in-depth analysis of improvements after operating EAP counseling, as well as obstacles and improvements. In particular, as a reflective and exploratory study on improved matters, what is the significance in terms of institutional changes? Tracking from a longitudinal perspective to find its meaning is a very valuable important task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EAP counseling. However, there are no studies on these improvements as well as from a longitudinal perspectiv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on the field, and through this, it aims to lay the foundation for information and efficient operation plans for companies and EAP counselors who want to introduce EAP. Research problem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divided into three main research problems and a total of seven sub-problems. Stationery Question 1. What are the annual research results of S Development Corporation's EAP consultation from 2019 to 2022? Sub-Question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grievances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company for 4 years, and 2) What are the obstacles to the EAP counseling operation process? And, Stationery Question 2. What changes do the research results show over the past four years? The sub-question for is 1) Did the obstruction factors improve? 2) What were the improved factors? 3) What results did these results show over the course of the year? And,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effective operation plan of EAP counseling applicable to the field? The sub-question for is 1) What is the effective operation plan of S Development Corporation? 2) What is the effective operation plan that can be generalized? The research problem of this study requires the derivation of comprehensive and total results. First of all, it is possible to derive comprehensive and overall results for the main research problem by solving the sub-problem.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ase research methods and longitudinal research methods were applied a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in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EAP counseling case of S Development Corporation, which operated the same psychological test and program for four years from 2019 to 2022, was selected as a research case for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workers selected by the S Development Corporation's own screening method from 2019 to 2022, and the participation of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voluntary consent of the S Development Corporation and the workers. The number and period of EAP counseling participants are 160 sessions, 8 sessions each for 60 minutes, for 20 people from May to June 2019, From April to July 2020, a total of 80 sessions were conducted for 10 people, 8 sessions each for 60 minutes, A total of 68 sessions for 17 people from April to July 2021, 4 sessions for 60 minutes each, and a total of 2 sessions for 1 person in December, From July to November 2022, 17 people will have a total of 68 sessions, 4 sessions each for 60 minutes, and 2 sessions each for 2 people will have a total of 4 sessions, A total of 18 consultations were conducted for two people and one additional consultation for 60 minutes each, and a total of 398 consultations were conducted for a total of 69 people.

      • KCI등재

        관객 없는 지휘의 자유 :유아의 혼자놀이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전가일 ( Ga Il Jeo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0 교육인류학연구 Vol.13 No.2

        이 연구는 연구의 유일한 참여자인 슈의 혼자놀이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이다. 혼자놀이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이 혼자놀이를 발달의 미성숙과 연결시킨데 반해 이 연구는 참여자 슈의 혼자놀이를 통해 혼자놀이 현상의 속성과 혼자놀이 체험이 유아에게 가지는 의미를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슈의 혼자놀이 경험을 각각 시간, 공간, 관계, 몸의 네 가지 실존체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슈는 혼자놀이를 통해 재미와 차이를 생성하는 시간성, 놀이 속에서 새롭게 창조되는 공간, 타인의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운 신체, 창조적으로 모방되는 관계성을 경험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현상적 특징을 통해 참여자의 혼자놀이 경험의 의미를 살핌으로서 자유와 몰입이라는 혼자놀이의 근본적인 속성을 드러내었다. 이 연구를 통해 아이들의 놀이에 관한 또 다른 질문들을 생성하며, 우리 삶의 여러 현장에서 혼자 놀고 있는 “한 아이”를 이해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investigation on solitary play experienced by Sue, the only participant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solitary play experience and the meaning of solitary play to children in contrast to the view of solitary play as developmental immaturity by existing studies. For this reason, qualitative and phenomenological methods were employed in this study. I analyzed solitary play experience into four existentials which are time, space, relationship, and body.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e followings: Sue has experienced that the time generates interest and difference; the space is recreated in the play; the body is free from other`s eyes, and the relationship is creatively imitated. In addition, the study revealed fundamental attributes of solitary play; freedom and immersion. Through this study, more questions on children`s play can emerge and we can understand "only child" who plays alone in many fields of life.

      • KCI등재

        청소년의 자기주도적 학습에서 메타인지 학습전략 활용에 관한 연구

        이경민(Lee, GyungMin),이윤주(Lee, Yoon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6

        본 연구는 청소년이 자기주도적 학습 시 활용하는 메타인지 학습전략 경험을 구체적으로 탐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경상 지역에 거주하는 중학교 1학년 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 1회와 심층적인 개인 인터뷰를 1∼2회 실시하였 다. 연구 참여자는 메타인지 활용경험이 어느 정도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대도시 성적 상위권 학생으로 한정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3년 5월부터 2013년 9월까지이며, 자료의 분석은 Colaizzi(1978)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총 93개의 의 미를 기반으로 20개의 주제와 8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20개의 주제는 필기구 활용법, 단권화 작업, 노트정리 방법, 노트 정리하는 시기, 학원에서의 학습, 수면시간 관리, 문제풀이 전략, 암기방법, 책을 읽는 방법, 예습, 학습법을 공유, 휴식하면서 다양한 활동을 선호, 부모와 조율, 학습에 필요한 자료 찾기, 주변에서 정보탐색, 시험정보 습득, 시험 준비기간의 학습계획, 출발점 진단, 중간점검, 메타인지학습이 어려운 이유였다. 그리고 8개의 범주는 학습내용정리, 학습시간 활용, 학습 방법, 공부가 하기 싫을 때 조절, 정보탐색, 계획, 점검, 메타인지학습이 어려운 이유 등 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research teenagers’ experiences of Meta-cognition learning strategy when they do self-directed study. For this study, we made the focus group interview and further interview with 10 subjects, who are 7th graders and live in Kyungsang Province. We limited the participants to the high-class students who were probably expected to have some experiences in the use of Meta-cognition. We collected the data from May, 2013 to Sep, 2013, and used the method of Colaizzi(1978)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we derived 20 topics and 8 categories, based on total 93 meanings. 20 derived topics include use of writing materials, work of making one volume, how to arrange notes, when to arrange notes, learning in institutes, management of sleeping time, strategy for problem-solving, how to memorize, how to read books, preparation, sharing of learning method, preference for various activities while taking a rest, adjustment with parents, finding materials necessary for study, searching information in the surroundings, acquiring exam information, study plan during the period of preparing for exam, diagnosis of starting point, interim check, and the reason Meta-cognition learning is difficult. And, 8 categories include arrangement of study contents, use of study time, how to study, behaviors that appear when they dislike to study, how to search information, and checking point. Based on these results, we offered suggestions for the discussion and further study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