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Augustine’s Interpretation of Romans 5:12 and Its Significance for His Controversy with Pelagius Regarding Original Sin

        안석일 개혁신학회 2022 개혁논총 Vol.62 No.-

        In this article, the author argues that Augustine's view following Paul's assertion in the interpretation of Romans 5:12 (because of Adam’s sin, all human beings are born with original sin) was not simply a grammatical interpretation, but based on the biblical context. Augustine’s interpretation is much more appropriate and correct than Pelagius’ (Adam's transgression only harmed him, not the whole humankind). Augustine’s view is reinforced by a debate with Pelagius about original sin. Pelagius did not notice the connection between Adam and many men, which is clearly expressed in Romans 5:18-19 and 1 Corinthians 15:22. In this respect, Pelagius' view must be rejected. Because his view ignores the biblical context. Thus, the context of Romans 5:12-21 and other passage 1 Corinthians 15:22 supports Augustine's interpretation more clearly. Also, Augustine's view to Adam's original sin must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emphasis on Christ's grace to remove original sin. The grace of Christ heals all people's original sin originated from Adam's transgression. Consequently, Pelagius' argument to ignore that all men became sinners through Adam's sin ignores the grace of Christ in saving sinners. Augustine's interpretation of Romans 5:12 is meaningful in that it emphasizes that the grace of Jesus Christ in saving sinner influences on the entire human race.

      • 아벨라르두스와 원죄론: 아벨라르두스는 펠라기우스주의자인가?

        이성림(Sung Lim Lee) 감리교신학대학교 2021 신학과세계 Vol.- No.100

        이 논문의 목적은 아벨라르두스의 원죄론을 통해서 12세기의 베르나르두스나 근대 신학자들이 이해하듯이 그가 펠라기우스주의자가 아니라는 것을 밝히려고 한다. 아우구스티누스와 펠라기우스의 논쟁이후, 아우구스티누스의 원죄론이 에베소 종교회의(Council of Ephesus, 431)와 오렌지 종교회의(Council of Orange, 529)에서 정통 교리로 받아들여졌다. 12세기에 아벨라르두스는 그의 『윤리학』에서 민감한 교리에 해당하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원죄론을 다시 해석을 하였다. 새로운 해석으로 인해 그가 펠라기우스주의자라는 오해를 받게 되었다. 그러나 아벨라르두스의 원죄론과 펠라기우스적 원죄론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이 글에서 아벨라르두스의 『윤리학』과 『로마서 주석』에 근거하여서 그의 원죄론이 무엇인지 재구성하고, 그의 원죄론이 펠라기우스의 원죄론과 아우구스티누스의 원죄론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비판적 검토를 할 것이다. 펠라기우스와 그의 사상은 인본주의적 현대 자유주의적 신학자들에게는 무척이나 매력적인 인물과 사상임에는 분명하다. 그러나 고대든, 중세든, 현대이든지 간에 펠라기우스주의를 극복하지 않고서는 그리스도의 수난과 대속적 죽음을 이해할 수 없게 되며, 기독교의 구원과 은총의 교리는 무너져 내릴 수 있다. 아벨라르두스도 이점을 정확히 알고 있었다. 아벨라르두스는 원죄론뿐 아니라, 은총론과 속죄론에서도 펠라기우스적 위협을 극복하려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아벨라르두스는 그의 원죄론을 통해 키르케고르 이후의 등장한 펠라기우스적 인본주의 또는 자유주의 신학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신학담론을 우리에게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rough Abelard’s theory of original sin that Abelard is not a Pelagianist as understood by Bernard of the 12th century and modern theologians. After the controversy between Augustine and Pelagius, Augustine’s theory of original sin was accepted as an orthodox doctrine at the Council of Ephesus (431) and the Council of Orange (529). In the 12th century, Abelard reinterpreted Augustine’s theory of original sin in his Ethics, a sensitive doctrine in his time. The new interpretation led him to be misunderstood as a Pelagianist. However, Abelard’s theory of original sin and Pelagius’ one of original sin are fundamentally different. In this article, I will reconstruct what his original sin theory is based on Abelard’s Ethics and Commentary on the Epistle to the Romans, and critically examine how his original sin theory differs from Pelagius’s theory of original sin and Augustine’s theory of original sin. It is clear that Pelagius and his ideas are very attractive to humanistic liberal theologians. But whether it is ancient, medieval or modern, without overcoming Pelagianism, the suffering and atonement of Christ cannot be understood, and the doctrine of salvation and grace in Christianity can collapse. Abelard knew Pelagian problems exactly so that he tried to overcome the Pelagian threat not only in the theory of original sin, but also in the theory of grace and of atonement. In conclusion, Abelardian theory of original sin provides us with an alternative theological discourse that can overcome the Pelagian humanism or liberal theology that appeared after Kierkegaard.

      • KCI등재

        히에로니무스의 금욕주의 : 펠라기우스 논쟁을 중심으로

        김경수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6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38

        히에로니무스는 교부시대에 엄격한 금욕주의로 문제를 야기했던 인물이지만, 시차를 두고 그에 대한 유연한 태도를 취했다. 이에 본 소고는 히에로니무스의 금욕주의의 발전이라는 관점에서 히에로니무스(414)가 아우구스티누스(415) 이전에 반-펠라기우스 논쟁에 기여했고, 그 과정에서 금욕주의에 대한 그의 태도의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을 논증한다. 히에로니무스가 금욕주의에 대한 변화를 취한 것은, 우선 자신이 재정적 후원자를 얻기 위해서 엄격한 금욕주의에서 온건한 금욕주의로 그 강도의 변화를 가져와야할 필요성 때문이었다. 또한 이런 변화는 그가 초기에 가졌던 인간의 본성과 그 가능성으로부터 후기에 갖게 되는 신의 은혜라는 개념의 강조로 발전해 가면서 발생했다. 이것은 히에로니무스가 그리스도인 삶에 있어 금욕주의에 대한 강조의 무게의 추를 인간의 가능성에서 하나님의 은혜의 역할로 옮겼다는 것을 뜻한다. 그래서 히에로니무스는 펠라기우스가 주장한 교리들이 금욕주의자들을 위해서나 평신도들을 위해 해로울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인의 삶에 대한 자신의 견해에 근본적으로 상반된다고 보았다. 펠라기우스와 히에로니무스는 금욕주의의 실천이라는 정황 속에서 하나님의 은혜를 서로 다르게 이해했고, 하나님의 도움으로 간주되는 은혜의 개념 즉, 그들의 은혜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와 해석이 4세기 말과 5세기 초에 그들의 금욕주의에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행보를 취하도록 만들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히에로니무스는 반-펠라기우스 논쟁의 과정에서 금욕주의적 삶을 실천할 때 인간은 하나님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존재라는 것을 강조하며 이전 보다는 금욕주의에 대해 온건한 변화를 가져왔다. In his earlier life, Hieronymus held to strict asceticism, but he developed his attitude of asceticism from strict to a more moderate form in his later life. This article examines the reasons why he changed his view of asceticism, especially related to the Pelagian controversy. During the Pelagian controversy, Hieronymus needed to compete with Pelagius for financial patronage. This matter made him change his view on strict asceticism to a more moderate form of asceticism in order to get financial support from Anicia family. Moreover, this change happened, while he was changing his view on asceticism based on human beings’ good nature in his earlier life to God’s grace as a human needs. This implies Hieronymus moved his emphasis on asceticism from human being’s effort and possibility to pursue virtue more to the function of God’s grace. Thus he considered Pelagius’ claimed doctrines were harmful both for the ascetics and for laymen, and wer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his own view on Christian life. In the context of the practice of asceticism Pelagius and Hieronymus brought different understandings of divine help. That is to say that in the late 4th and early 5th century of the early church there were differing levels of asceticism and differing views of divine help within the sphere of asceticism. Some more stringent and others less so. Pelagius was on one extreme end of the spectrum and instead Hieronymus was in the middle, since he changed his view on asceticism from strict to moderate, because he knew human beings need divine help on the way of ascetic life to pursue virtue during the Pelagian controversy.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의 신에 대한 인식

        鄭技?(Jung Gi-Moon) 역사교육연구회 2008 역사교육 Vol.106 No.-

        We can see the character of Late Antiquity bordering on two ages, classical antiquity and middle age through inquiring the perception of St. Augustine, the most important theorist of early christianity on God. If Classical Antiquity was an age of reason or rationalism, Middle Age was an age of faith. Nothing showed more clearly the transition of the age than the perception of St. Augustine on God. The Late Antiquity standing between Classical Antiquity and Middle Age maintained the mind of classical age or age of rationalism, but it made its ways toward middle age or age of faith. Augustine in youth thought that reason was a thing of the first importance, so every belief should be explained by it. When he examined the Catholic by this belief he was disappointed. For there were so many inconsistencies in Bible. In particular he thought that Catholic could not explain the matter of evil. At this time Augustine thought that God should be absolutely good. So he gave up Catholic and converted to Manichaeism. Manichees who believed in dualism argued that they could explain 'From what cause do we do evil'. Being convinced of its truth Augustine lived for some nine years as a 'Hearer' among the Manichees. But Augustine didn't quit inquiring all things by reason. As Augustine realized the doctrine of Manichaeism superficial and shallow through his investigation he fell into religious skepticism. In this state of skepticism he studied neoplatonism and met Ambrosius the bishop of Milan. He thought neoplatonism shed new light on the problem of the character of God. Man cannot know the inner self which was so deep and mysterious. Therefore he cannot hope to know God who is deeper than his inmost being. So man cannot save for himself, and only hope to receive the grace of God. At this time for Augustine the main character of God is grace. Hoping to receive the grace of God Augustine converted to Catholic and became the bishop of Hippo Regius. With firm belief in the grace of God Augustine was convinced that the true guide in seeking Wisdom was not reason but faith. At this old age of Augustine there were new and awful opponents who were headed by Pelagius. They rejected the original sin and argued that man should be perfect in observing the commandment of God. In particular Julianus of Eclanum represented the classical thinking on God. He argued that God is just and righteous and man is free and responsible for his acts. Ausgustne replied that man should distinguish 'the justice of God' from 'the justice of man'. According to his thought man cannot know and control himself', so he cannot be perfect. Only what he can do is hope to receive the grace of God. The transition of change of Augustine's perception on God reflected exactly the change of the age. When he regarded reason as true guide in inquiring Wisdom, Roman World enjoyed peace and prosperity and the way of thinking and educating of Classical Antiquity was continued. But when he accepted faith as only hope of man who wanted to go to the Kingdom of God, the Roman world began to collapse.

      • KCI등재후보

        펠라기우스와 어거스틴의 은총론 연구 -데메트리아스에게 보낸 편지를 중심으로

        권진호 한국교회사학회 2009 韓國敎會史學會誌 Vol.25 No.-

        In diesem Aufsatz geht es um die Untersuchung der Gnadenlehre des Pelagius und des Augustinus anhand ihrer Briefe an Demetrias. Demetrias, eine Dame des römischen Hochadels, entschloß sich um 408, ein geistliches Leben zu führen und auf eine Heirat zu verzichten. Aus diesem Anlass schrieben ihr alle ber?hmten Theologen, darunter Pelagius und Augustinus, Briefe. In diesen Briefen lassen sich die theologischen Konzepte, insbesondere die Gnadenlehre und die Anthropologie des Augustinus und des Pelagius, treffend veranschaulichen. Pelagius, der als Asket und Mönch der mönchischen Tradition gemäß die menschliche Natur hochschätzte, behauptet in seinem Brief drei folgende Gedanken: der Mensch als Bild Gottes; Sünde als Nachahmung Adams; Gesetz als Gnade und Christi Gnade (Gnade als Lehre und Weisung, Beispiel, Botschaft der Hoffnung). Das Wesentliche der Gedanken des Pelagius besteht im Optimismus, dass der Mensch die sittlichen Fähigkeiten aufgrund der schon gegebenen Gnade behält und er zum Guten fähig ist. Indem er die Demetrias vom Können (Vermögen) des Menschen überzeugt, gibt er ethischmoralische Hinweise. Augustinus ist durch den Brief des Pelagius alarmiert, denn er sieht die Notwendigkeit und das Wirken der göttlichen Gnade durch dessen Brief gefährdet. Augustinus schreibt daher sofort der Demetrias, um sie vor der irrtümlichen Lehre des Pelagius zu schützen. Augustinische entscheidende Kritik an Pelagius fußt darauf, dass die Lehre des Pelagius Undankbarkeit gegenüber Gott impliziere, da nach Pelagius der Mensch die geistlichen Reichtümer, die er sich erworben hat, für sein eigenes Verdienst halten kann. Augustinus zufolge vermag der Mensch nicht allein aus sich selbst gerecht zu handeln, sondern er benötigt dazu die in sein Inneres eingreifende Gnadenhilfe Gottes (Augustinus faßt Gnade nur als Hilfe Gottes auf). Der entscheidende Unterschied ist, dass Augustinus und Pelagius unterschiedliche Wege der Rettung behaupten. Für Pelagius reicht das exemplum, das Gott selbst den Menschen vor Augen gehalten hat. Weil aber für Augustinus das exemplum als Weg der Erlösung allein nicht ausreicht, ergänzt er dazu die Hilfe Gottes (adiutorium): exemplum et sacramentum. Die einzig angemesse Haltung, mit welcher der Christ Gott begegnen soll, ist Dankbarkeit, denn alles Gute beruht auf Gott und seiner Hilfe.

      • KCI등재

        Concerning the Relation between Free Will and Grace in Augustine of Hippo

        박찬호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2 생명과 말씀 Vol.32 No.1

        The life of Augustine was composed of various controversies. He fought against the various foes to save the Catholic church. Thus there has been danger of misunderstanding the sayings mentioned in the context of different controversies. Representatively Pelagius did so. He overemphasized and abused the sayings of Augustine concerning free will in the Manichaean controversy. By these arguments, he virtually denied the necessity of grace, although he used the same term grace and acknowledged the need of it. Against the Manichaean dualism, Augustine contends that free will is the origin of evil. Against Pelagius, Augustine asserts that God’s grace of the supernatural sense is necessary for us to do His commands. Pelagius misuses the contention of Augustine that free will of human beings is the origin of the evil and holds that human beings have the freedom to do good things. Pelagius confines the limit of grace in the enabling grace and then consequently denies the necessity of grace. However, Augustine maintains that the grace of Pelagius is not grace at all. Without divine grace including co-operative grace, the fallen human beings can not do anything good. In that sense Augustine refuses the freedom of will to do good in human beings of the fallen state. Augustine was a theologian of grace who had much influence on the Reformers. In that respect, we hope that this paper can contribute to the discussion related to sola gratia among the five solas of Reformed theology accepted by Reformed Life theology.

      • KCI등재

        펠라기우스 논쟁의 “역설적 긴장(paradoxical tension)” 관계

        염창선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19 서양고대사연구 Vol.56 No.-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incompatible core arguments in the debate between Augustine and Pelagius within the scope of traditional theology, and to establish a new framework of understanding so called "paradoxical tension." First of all, Augustine argues that the human's free will as a result of Adam's abuse has just an ability to do evil things, so that God's grace is absolutely necessary. Secondly, about the understanding of original sin and the imitation of sin : original sin contaminated by the fall of Adam, the representative of human beings, is still passed down to the offspring. Hence Augustine's claim that all human beings are sinners. However, according to Pelagius all human beings are born good, but they just imitate sin on their own. Finally, Pelagius claims that God punishes all mankind for the crime of one individual in regard to God's love and justice. However, according to Augustine, God will love us and give us his grace. This conflict between both claims is because their respective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backgrounds are different. As well known, Augustine's position has been accepted, but it is my position that this is a historical error that overlooks the limits of human epistemology and language expressions. Rather, if the interactions in the “paradoxical tension” had been maintained, much more creative outcomes would have been produced thereby. Moreover, this paradoxical tension concept could be applied in various, political and social fields. 이 논문은 아우구스티누스와 펠라기우스의 논쟁에서 나타난 서로 양립불가능한 핵심 주장들을 전통적인 신정론의 범주 안에서 살펴보고, “역설적 긴장”이라는 새로운 이해의 틀을 정립해보려는 시도이다. 우선 자유의지와 은총에 대한 주장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는 자유의지는 아담이 남용한 결과로 악할 수밖에 없어서 하나님의 은총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입장이고, 펠라기우스는 인간의 자유의지는 하나님의 은총이 없어도 자신을 스스로 통제하여 선을 행할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로, 원죄와 죄의 모방에 대한 이해에서는 인간의 대표인 아담의 타락으로 오염된 원죄는 계속해서 자손에게 대물림되기 때문에 모든 인간은 죄인이라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주장과 모든 인간은 선하게 태어나지만 스스로 죄를 모방함으로서 현실적인 악행의 장본인이라는 펠라기우스의 주장이 대립한다. 마지막으로 하나님의 사랑과 정의에 대하어서는 어느 한 개인의 범죄로 인하여 모든 인류에게 벌을 주는 하나님은 자신의 공정과 정의의 속성에 위배된다는 펠라기우스 주장에 사랑의 하나님은 은총을 주셔서 모든 인간이 선하게 살기를 원하신다는 주장이 상충한다. 이런 주장의 배경에는 각자의 철학적 - 신학적 배경이 다르기 때문이다. 주지하다시피 역사적으로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입장이 수용되었지만, 이것은 인간의 인식론적 한계와 언어표현의 한계를 간과한 역사적 오류라는 것이 필자의 입장이다. 오히려 “역설적 긴장관계” 속에서 상호작용이 계속 유지되도록 했더라면,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훨씬 더 많은 창조적 산물들이 산출됐을 것이다. 게다가 이 역설적 긴장 개념은 경제 정치 사회 각 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A Study on Free Will in Dante's La Divina Commedia and St. Augustine's De Libero Arbitrio

        Heagap Jeoung(정해갑) 한국비평이론학회 2009 비평과이론 Vol.14 No.1

        이 논문은 수세기 동안 문학과 철학의 주제가 되고, 수많은 종교적 논란의 대상이 되었던 자유의지(liberum arbitrium)에 관한 것인데, 그 가운데 성 어거스틴과 단테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한 것이다. 시기적으로 볼 때, 두 작가 간의 거리는 중세기의 시작과 끝에 해당하는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시간적 차이가 의미하는 바는 아주 역설적인데, 그 시작과 끝이 오히려 철학적, 문학적 통찰에 있어 동질적으로 중첩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시작과 끝의 동질적 축을 중심으로, 자유의지 해석과 관련한 중세기 전반에 걸친 타락한 사상과 종교를 비판하는 토대로 삼고자 한다. 성 어거스틴은 선과 악의 근원에 관해 펠라기우스(Pelagius)와 논박을 하는 가운데, 『자유의지론』에서 하나님은 선하시고, 선에서 잉태된 모든 것은 선하다는 주장을 하게 된다. 아울러 하나님은 인간에게 이성(ratio, mens)과 이를 운용할 자유의지를 부여하며 선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도록 했다. 하지만 이러한 자유의지를 잘못 운용한 인간은 타락하게 되고 그에 상응하는 징벌을 받게 되었으며, 그 탓을 하나님께 돌리는 것은 터무니없는 사상이라며 펠라기우스를 논박했다. 더 나아가 하나님이 전지전능하다면 인간의 미래를 예지했을 것인데, 이를 예지한 하나님이 인간 타락의 책임이 있다는 펠라기우스의 주장에 대해서 성 어거스틴은 신적 예지(praescientia Dei)보다 인간의 자유의지가 행동인(motus)으로 작용하는 철학적 근거를 제시하며 인간 자유의지의 중요성을 증명해 낸다. 이러한 성 어거스틴의 철학적 논증을 토대로, 단테는 당시의 교회나 정치 지도자들의 운명론적 세계관과 부패한 도덕성을 논박한다. 당시의 지도자들은 자신들의 무능함과 욕망으로 인한 사회적, 정치적 혼란과 문제점을 운명이나 하나님의 탓으로 돌리려는 무책임한 작태를 노출하는데, 이에 단테는 자유의지의 철학적 논증 위에 무능하고 타락한 지도자들의 책임을 추궁하며 비평적 사유의 지평을 넓히고 있다.

      • KCI등재후보

        마틴 루터의 초기 “ 정경적 강독” 과 그의 칭의론적 전환에 관한 연구

        박영실 ( Park Yung Sil ) 개혁신학회 2018 개혁논총 Vol.47 No.-

        기독교 역사에서 마틴 루터의 정체성은 종교개혁자이다. 루터는 인간의 현실은 죄인인데, 죄인이 어떻게 의로와질 수 있는가 하는 근원적인 질문을 가지고 수도사의 정신으로 끝까지 가고자 했던 사람이다. 그가 찾은 답은 칭의, 즉, 의롭다 하심을 받는다는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루터의 칭의라고 하는 해답을 찾아 가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근원으로”(Ad fontes)는 루터의 구도 정신이었고 루터 시대의 시대정신이었다. 이 구도 정신 위에서 가장 근본적인 개혁 원리이며 구호인“오직 성서”(sola scriptura)가 등장한다. 이 원리는 두 가지 의미를 담고 있는데 첫째, 온전한 답은 성서에 있다는 것이며 둘째, 그것은 철저하게 성서의 본문에서 귀납법적으로 찾으라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루터의 발견과정, 즉 칭의론 형성을 당시 교회의 공인된 판단자였던 어거스틴의 전통이라는 렌즈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루터의 칭의론은 바울 칭의론으로의 회귀라고 볼 수 있기에 루터가 어떻게 바울을 발견해 나가는 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는 어거스틴과 펠라기안 논쟁을 통해 루터의 칭의론을 살펴 볼 것이다. 루터 신학의 칭의론적 의미는 중세의 펠라기안적 경향, 즉 반펠라기안(semi-Pelagian)적 경향을 불식시켰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루터와 어거스틴의 칭의론에 있어서 상이점을 살펴볼 것이다. 양자의 칭의론은 대강은 일치하지만 미묘한 차이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Luther’s journey to find and develop the theology of justification. Based on “ad fontes,” he had “sola scriptura” as the slogan of his reformation. “Sola scriptura” implied that the perfect answer should exist and the answer must be found in the Scripture inductively. Luther’s justification had returned to Paul’s justific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know how Luther understood Paul’s.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of Luther’s understanding justification with the lens of Augustine’s tradition also. Paul’s justification was followed by Augustine at the beginning of Medieval Church, however it had been influenced later by Pelagius who emphasized man’s free will. Luther dispelled semi-Pelagian. Even though Luther had been influenced by Augustine, his justification was a little different from Augustine’s. By reviewing his lectures of Psalms, Romans, Galatians, and Hebrews it discusses the way Luther developed his justification.

      • KCI등재

        A Study on Free Will in Dante’s La Divina Commedia and St. Augustine’s De Libero Arbitrio

        정해갑 한국비평이론학회 2009 비평과이론 Vol.14 No.1

        이 논문은 수세기 동안 문학과 철학의 주제가 되고, 수많은 종교적 논란의 대상이 되었던 자유의지(liberum arbitrium)에 관한 것인데, 그 가운데 성 어거스틴과 단테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한 것이다. 시기적으로 볼 때, 두 작가 간의 거리는 중세기의 시작과 끝에 해당하는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시간적 차이가 의미하는 바는 아주 역설적인데, 그 시작과 끝이 오히려 철학적, 문학적 통찰에 있어 동질적으로 중첩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시작과 끝의 동질적 축을 중심으로, 자유의지 해석과 관련한 중세기 전반에 걸친 타락한 사상과 종교를 비판하는 토대로 삼고자 한다. 성 어거스틴은 선과 악의 근원에 관해 펠라기우스(Pelagius)와 논박을 하는 가운데, 『자유의지론』에서 하나님은 선하시고, 선에서 잉태된 모든 것은 선하다는 주장을 하게 된다. 아울러 하나님은 인간에게 이성(ratio; mens)과 이를 운용할 자유의지를 부여하며 선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도록 했다. 하지만 이러한 자유의지를 잘못 운용한 인간은 타락하게 되고 그에 상응하는 징벌을 받게 되었으며, 그 탓을 하나님께 돌리는 것은 터무니없는 사상이라며 펠라기우스를 논박했다. 더 나아가 하나님이 전지전능하다면 인간의 미래를 예지했을 것이데, 이를 예지한 하나님이 인간 타락의 책임이 있다는 펠라기우스의 주장에 대해서 성 어거스틴은 신적 예지(praescientia Dei)보다 인간의 자유의지가 행동인(motus)으로 작용하는 철학적 근거를 제시하며 인간 자유의지의 중요성을 증명해 낸다. 이러한 성 어거스틴의 철학적 논증을 토대로, 단테는 당시의 교회나 정치 지도자들의 운명론적 세계관과 부패한 도덕성을 논박한다. 당시의 지도자들은 자신들의 무능함과 욕망으로 인한 사회적, 정치적 혼란과 문제점을 운명이나 하나님의 탓으로 돌리려는 무책임한 작태를 노출하는데, 이에 단테는 자유의지의 철학적 논증 위에 무능하고 타락한 지도자들의 책임을 추궁하며 비평적 사유의 지평을 넓히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