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 초기(1912-1931년) 한국 화교교육의 역사와 화교사회 - 서울지역 화교소학을 중심으로 -

        김희신 ( Kim Hee Sin ) 한국중국학회 2016 중국학보 Vol.77 No.-

        Traditionally overseas Chinese people have established diverse overseas Chinese organizations and made development by keeping their culture different from that of Koreans while they have lived in Korea. In particular, primary cultural functions of overseas Chinese organizations comprise school establishment and support, and it has been a long history that sections of overseas Chinese society raise funds to operate schools. This study attempted to recompose overseas the existing Chinese education history focusing on Seoul area in the early of the 20<sup>th</sup> century(1912-1931) by mainly referring to data such as academic affairs, personnel affairs, etc. from `Zhuchaoxianshiguandang` (possessed by The Archives of Institute of Modern History, Taipei center institute) that has not been quoted in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with overseas Chinese education. For this, firstly, this study reviewed what types of overseas Chinese schools there were in Seoul in the early of the 20<sup>th</sup> century, and explored what meanings the existence of these overseas Chinese schools had on overseas Chinese society and overseas Chinese education. Secondly, this study pursued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es of to what directions the overseas Chinese elementary school was settled and reconstructed in the early of the 20th century focusing on overseas Chinese elementary schools, and restored the real state of overseas Chinese school operations in detail. This study may provide a basic material for what effect the education policy of Chinese government had upon overseas Chinese society in Korea, and further to say, and a clue to a prospect of the overall history of overseas Chinese society in Korea.

      • KCI등재

        화교학교의 역사를 통해서 본 화교문화의 형성과 변화

        김중규(Kim jung Gyu) 역사문화학회 2010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3 No.1

        본 연구는 화교학교 연혁을 통하여 화교들이 자신들의 정체성 보존을 위하여 건립한 화교학교가 화교들의 문화형성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자가 이처럼 화교학교라는 대상을 통하여 한국 화교의 정체성 및 생활문화의 형성과정을 살피고자 하는 이유는 학교라는 공간과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이라는 행위의 문화적 특수성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교육은 특정집단이 자신들의 문화를 보존 전달하기 위한 원초적 행위이며, 또한 화교학교라는 공간이 화교에 대한 이제까지의 주요 연구주제이던 화교의 정체성, 관계망의 구성, 화교의 세계화, 국제적인 이주와 재이주 그리고 정착, 이주국 국민으로의 동화와 이화, 소수민족으로서의 타자화 및 새롭게 주목받는 다문화사회 등 이른바 디아스포라(diaspora) 문화와 연관된 많은 의문점을 풀어줄 수 있는 단서들을 포괄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중층적 공간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화교 학교와 교육을 분석하기 위해서 본고에서는 역사인류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문제에 접근해 보고자 한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 역사인류학적 방법이 화교의 역사와 문화를 분석하는데 유용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특히 화교의 문화가 고정 불변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서 구성되어지는 것이라는 점을 강조할 수 있기에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인류학적 역사쓰기의 장점은 기록을 촘촘하게(또는 두텁게) 읽으면서 일상생활 문화를 재구성해서 당대인의 삶과 인식을 잘 드러낸다는데 있다. 오래된 과거를 다룰 때는 남아있는 기록이 전부이기에 선택의 여지가 없지만, 다행히 본 연구는 20세기 초중반 이후의 시대를 다루게 되므로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증언과 기억을 기록 자료와 더불어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역사인류학적 방법론에 힘입어 이 글에서는 역사학의 문헌기록인 화교학교 연혁지를 중심축으로 하여 관련 문헌기록과 사진자료 그리고 당시 학교를 다녔던 화교들에 대한 구술조사를 최대한 병행하는 방법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화교학교는 교육을 통하여 자신들만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재생산하며 화교사회의 정치적 중심체로서 화교문화 형성에 중요한 의미와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교학교는 지속적인 기부금 지원, 학교공간을 통한 공동체강화, 교육내용을 통하여 모국 및 거주국 정부와 지속적인 관계 유지 창구로서의 정치적 역할 등 화교문화 형성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특히 학교를 일종의 정치기구인 중화상회 군산분회에서 운영함으로서 국내외 정치적 상황변화에 따라 교육내용을 민족, 친일 반공 등으로 바꾸는 과정은 화교들이 거주국에서 살아남기 위한 최소한의 정치적 선택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선택이 결국에는 한, 중, 대만의 냉전체제 과정에서 한국정부의 화교정책과 맞물려 한국의 화교들을 극단적인 비정치 집단으로 변화시킴으로서 결국 화교의 재이주 및 쇠퇴의 길로 들어서게 하는 또 하나의 요인이 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서 교육이 문화의 보존, 전승 기능과 함께 문화를 변화시키는 구성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how overseas Chinese school established to preserve their identity effect on forming overseas Chinese culture through Overseas chinese school history. To analyze Overseas Chinese school and education, I would approach the subject with history & anthropological method in this paper because history & anthropological method is very helpful in analysis for Overseas Chinese's history and culture. 1,200 overseas Chinese in Gunsan, harbor city located in Far East established Gunsan overseas Chinese elementary school to preserve national identity on 1941, World War Ⅱ driving the whole world mad and despair age. Since then, they have experienced many historical events such as forming national identity by war between China and Japan, collapse of Japan, choice for returning to China or staying Korea resulted liberation of Korea, chaos after liberation of Korea, separated family, Korean War, and anticommunism education. and kept their school for 11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how effect overseas Chinese school established to preserve their identity on forming overseas Chinese culture through Overseas Chinese school history. Because researcher is on attention to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chool and education, researcher studies into Chinese-Korean's identity and formation of lifestyle and culture through overseas Chinese school. Following study, school education plays important roles to form overseas Chinese culture such as maintaining identity, reproduction, and political center. Overseas Chinese school also has had an effect on widespread fields of culture playing role as relations maintaining window between China government and country of residence's government by contribution, tightening up their community through school space, and content of education. Especially, school run by political organization called 중화상회, curriculums are depended on political situations to survive countries of their residence. It is considered political choice of minimum. But, Chinese-Korean has become to change extreme nonpolitical group by this selection. It brought about decline and re-move of Chinese-Korean with Korean government's Chinese-Korean policy for duration of cold war. From this conclusion, we confirmed that education is a principal factor to preserve, transmit, and change culture.

      • KCI등재

        중국의 재외동포 교육에 관한 연구-화문교육(華敎)과 화교학교(華校)-

        김주아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3 中國硏究 Vol.97 No.-

        본 논문은 세계화 시대에 중국의 재외동포에 대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재외동포는 그들의 모국과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연결성을 유지하며, 다른 나라에서 살아가는 고유한 집단이다. 따라서 재외동포에 대한 교육은 그들이 모국의 언어와 문화를 이해하는 동시에 거주국에서도 적응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글로벌 무한 경쟁 시대에 접어들면서, 각국 정부는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재 유치전을 펼치고 있다. 우수한 인재를 영입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해외에 흩어져 있는 자국민 또는 재외동포들을 국가 이미지와 경쟁력 제고에 활용하려는 노력이 실효성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 정부도 이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다른 나라의 사례연구를 통해 벤치마킹을 시도하고 있다. 재외동포를 위한 정책은 정치·경제적 요인에 의해 작동되지만, 모든 국가정책이 그러하듯 ‘국익’이라는 큰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 각국 사이의 보이지 않는 영토전쟁이라고 할 수 있는 재외동포 정책 중에서도 그 문화적 영향력을 통해 모국과의 유대관계를 강화할 수 있는 교육정책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This research paper examines the education of overseas Chinese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investigating how they maintain their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connections with China while living abroad. The study emphasizes the crucial role of education in helping overseas Chinese understand their native language and culture, enabling them to adapt and succeed in their host countries. China, with its rich history and diverse culture, hosts a widespread community of overseas Chinese known as Huaqiao and Huaren. These communities preserve their cultural ties with China, serving as significant links to their cultural heritage. The Chinese government has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such as “Hua Wen Education” and “Huaqiao Schools,” to provide Chinese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to overseas Chinese communities, reinforcing their connection with their homeland. In this study, the focus lies on analyzing China's educational system for overseas Chinese, particularly the role and contributions of Huaqiao schools, integral to China's enduring immigration culture. By exploring the establishment and functions of these schools, the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broader implications of China's policies for overseas Chinese education. This understanding not only illuminates China's approach to overseas Chinese education but also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global talent acquisition strategies.

      • KCI등재

        동남아시아 중국인 디아스포라와 화교⸱화인 학교교육의 설립과 변화: 청말 이후 1949년 이전까지

        정은주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4 중앙사론 Vol.- No.61

        이 논문은 민족주의와 국가정체성이 싹트고 성장했던 청말 이후 중국이 공산화되기까지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 정착해있던 중국인 디아스포라의 교육 양태를 본국 및 정착국과의 관계, 그리고 지역 중국인 사회의 맥락에서 점검하는 글이다. 서구 식민지배와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독립국가체제 정립 그리고 이념적으로 양분되어가던 중국의 변화 등 역사적 여정 속에서 해외 중국인의 디아스포라 교육은 국민됨과 민족성, 고향, 적응, 세대 변화, 이중국적의 이슈 등 화교⸱화인이 동남아 지역에서 겪어온 다양한 이슈들을 반영한다. 논문에서는 먼저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근대적인 중국인 교육이 성립되는 배경으로서 19세기 말 이후 본국 중국의 교육 개혁의 양상과 해외 중국인 교육 시스템과 연결되는 양상을 파악하고, 동남아시아 국가들에서 실제 진행되어온 바를 기록한다. 그럼으로써 이 연구는 디아스포라 교육의 진전에 투사되는 동남아 화교⸱화인 사회의 변화와 더불어 변화하는 중국인 디아스포라 세대의 ‘중국’과의 관계를 읽어내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the Chinese education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since the end of the Qing Dynasty, when nationalism and national identity sprouted and grew. I scrutinize the diaspora education in relation with the home country and also in the context of local Chinese community. Overseas Chinese diaspora education reflects various issues in Southeast Asia, including nationality, ethnicity, hometown, adaptation, generational change, and dual nationality. In the paper, as the background of modern Chinese education in many Southeast Asian countries, I discuss the aspects of educational reform in China and how they were linked to the overseas Chinese education system 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record the actual progress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By doing so, this study aims to rea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ing Chinese diaspora generation's recognition of "China" along with changes in Southeast Asian Chinese society projected on the progress of diaspora education.

      • KCI등재

        냉전 초기(1952-1965) 미국원조와 대만교육

        손준식(Son Junsik) 중국근현대사학회 2015 중국근현대사연구 Vol.66 No.-

        After the withdrawal of the Kuomintang government to Taiwan, the United States began to reverse its hands-off policy, and tried to ensure the safety of Taiwan through military and economic aid. It aimed to stabilize Taiwan’s economy in order to prevent the expansion of communist forces in the wake of the Korean War. The United States, which recognized the need for the Taiwan’s self-sustained economic development, planned to help in expanding the education sector and reforming the vocational education system to develop the workforce. The goal of the United States was to produce practical industrial technicians through the ‘Unit Trade Training System’ and efficient rural farmers through the agricultural vocational education. However, this goal was compromised due to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the Kuomintang government, the education system of Taiwan, and the traditional view on occupations. Eventually, the American agricultural education system, which was divorced from the Taiwanese reality, was discarded. Nevertheless, U.S. aid was used to cultivate students’ practical skills in order to solve the unemployment problem. In addition, the expansion of teacher training and facilities provided the technical work force necessary for Taiwan’s economic development. Meanwhile, aid from the United States in the form of overseas Chinese education aimed to increase anti-communist sentiments and to restrain communism in Southeast Asia. This policy coincided with efforts by the Kuomintang government to be recognized as the legitimate regime, as the Kuomintang and the Chinese Communist Party were quarreling about which should get the overseas Chinese. Because most of the overseas Chinese aid was used for school buildings and facilities and their travel and cost of living, Taiwan and the United States did not disagree on curriculum and content. Overseas Chinese who received their higher education in Taiwan played a pivotal role in state building in their countries and in the improvement of relationships between Taiwan and their countries. However, their contribution to enhancing democracy, which the United States expected, remains unclear. Even though U.S. educational aid did not achieve its purpose, the aid trained the workforce, which was needed for economic development, and provided an environment, in which the government could obtain the support of the Chinese community. The Kuomintang government, which desperately needed U.S. aid, made an effort to accept the U.S. proposals as far as possible without its sovereignty, and on the basis of the reality in Taiwan.

      • KCI등재

        동남아 화교·화인 사회의 형성과 화문교육에 대한 小考

        김주아(Kim, Ju-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8

        이 논문은 해외 화교·화인 사회의 형성과정과 화문교육의 정착 및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해외화인이 가장 많이 분포해 있는 동남아 지역 화교교육의 어제와 오늘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았다. 본 논문은 문헌 연구를 위주로 진행되었지만, 그 배경에는 연구자가 지난 몇 년 동안 동남아시아 화인사회(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를 방문하고 교육관계자들과 인터뷰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화교’하면 경제인의 역할을 많이 떠올리지만, 화교사회의 형성과 유지에 있어서 ‘교육(華敎)’의 힘을 무시할 수 없다. 화교사회의 뒷받침(물리적 지원)은 경제인을 중심으로 한 민족단체(社團)가 맡고 있지만, 민족정신의 뿌리는 유·무형의 ‘학교(華校)’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동남아시아 화인은 국가별로 서로 다른 정착과정을 겪고 있지만, 민족지식(전통문화와 언어)을 전달할 수 있는 지식인을 양성하여 현지에서 화인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민족문화를 계승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우리도 이제 OECD 기준의 다문화사회를 향해 나아가고 있고, 약 750만 명의 재외동포가 있다. 화교의 경험은 우리의 과거일 수도 있고, 미래가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고찰해 볼 가치가 있다. 본 논문은 향후 화문교육의 연구를 심화하기 위한 토대작업으로 구체적인 사례와 현황 교육자료 등이 추가로 연구될 계획이다.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formation of overseas Chinese and Chinese society and; the establishment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and its meaning. To this end, I briefly summarized the past and present states of Chinese education in Southeast Asia, which contains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overseas Chinese. Although this paper primarily focused on literature research, its background was based on the researcher’s visits to Southeast Asian Chinese societies (Malaysia, Indonesia, and Singapore) in the recent past and interviews with education officials. “Overseas Chinese” reminds us of the role of entrepreneur, but we cannot ignore the power of “education” in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the Chinese society. Ethnic groups that are involved in business serve as the pillars that support Chinese society, but the roots of the national spirit lay within tangible and intangible “schools”. Although Southeast Asian overseas Chinese have undergone different settlement processes based on the country they reside in, they are constantly striving to further strengthen their position in the field and succeed culturally by fostering intellectuals who can transmit national knowledge (traditional culture and language). In Korea, we are now moving toward a multicultural society based on OECD standards, and there are about 7.5 million overseas Koreans. It is worth considering that the Chinese experience can serve as a reference for our future. In the future, specific cases and current state-of-the-art educational materials will be further studied in order to set the foundation for a comprehensive study of Chinese knowledge diaspora.

      • KCI등재

        조선족 학습자를 위한 ‘정체성’교육 방안 연구 ― 허련순의 장편소설에 나타난 정체성 변화를 중심으로

        조수진 국제한인문학회 2020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28

        이 연구는 허련순의 장편소설에 나타난 정체성의 변모 양상을 조선족이라는 정체성 집단의 개념으로 분석하고 교육 내용을 모색한 글이다. 이 연구에서는 조선족의 정체성 문제에 주안점을 두고 정체성 교육을 위한 작품을 선 정해 교육 내용과 방안을 모색하였다. 조선족의 정체성 교육을 위한 문학 작 품으로 허련순의 장편소설 『바람꽃』, 『누가 나비의 집을 보았을까』, 『중국색 시』를 선정하여 각 시기에 따른 정체성의 변모와 해체과정을 분석하였다. 먼저 『바람꽃』은 연변 조선족 홍지하라는 인물을 통해 ‘모국’으로서 ‘한국’ 에 대한 ‘뿌리 찾기’ 의식이라는 ‘가치’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누가 나비의 집을 보았을까』는 조선족의 가족정체성 해체 현상과 기존의 생활방식과 가치 에서 ‘탈출’이라는 한국행의 의미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중국색시』에서는 다문화사회 조선족의 다문화정체성과 관련된 다문화인식을 보여준다. 이와 같 은 분석을 바탕으로 조선족 학습자의 ‘정체성’ 교육을 위한 교육 내용을 제시 하고 다문화교육 차원에서 교수-학습을 설계하였다. 이 연구는 디아스포라와 다문화주의 경계에 있는 조선족의 정체성 문제를 제기하고 변화하는 시대의 정체성에 걸맞은 차별화된 교육을 위해 조선족의 정체성 교육 방법으로 다문화이론을 접목하여 조선족 학습자를 위한 문학교 육의 교육 내용과 방안을 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transformation of identity in Huh Ryeon-soon’s novels as the concept of an identity group called Korean-Chinese and explores educational contents. Focusing on the Korean-Chinese identity problem, this study selected works for identity education and sought educational contents and plans. The Wind Flower, Who Has Seen the Butterfly’s House, and The Chinese Bride, which are Ryeon-soon Heo’s novels used as literary works for the identity education of the Korean-Chinese,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transformation and dissolution process of identity according to each period. First of all, The Wind Flower represents the ‘value’ of the ‘root finding’ consciousness for ‘Korea’ as a ‘mother country’ through the character of the Yanbian Korean-Chinese Hong Ji-ha. Next, Who Has Seen the Butterfly’s House shows the dissolution of the family identity of the Korean-Chinese and the meaning of “escape” from the existing lifestyle and values. Finally, The Chinese Bride shows multicultural awareness related to the multicultural identity of the Korean-Chinese in a multicultural society. Based on this analysis,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identity’ education of Korean-Chinese learners were presented, and teaching-learning was designed in the dimens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study raises the issue of Korean-Chinese identity at the border of diaspora and multiculturalism, and incorporates multicultural theories as a method of teaching Korean-Chinese identity as a differentiated education that fits the identity of the changing times. It is meaningful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for Korean-Chinese learners were presented.

      • KCI등재

        조선족 학습자를 위한 ‘정체성’교육 방안 연구 ― 허련순의 장편소설에 나타난 정체성 변화를 중심으로

        조수진 국제한인문학회 2020 국제한인문학연구 Vol.28 No.-

        이 연구는 허련순의 장편소설에 나타난 정체성의 변모 양상을 조선족이라는 정체성 집단의 개념으로 분석하고 교육 내용을 모색한 글이다. 이 연구에서는 조선족의 정체성 문제에 주안점을 두고 정체성 교육을 위한 작품을 선 정해 교육 내용과 방안을 모색하였다. 조선족의 정체성 교육을 위한 문학 작 품으로 허련순의 장편소설 『바람꽃』, 『누가 나비의 집을 보았을까』, 『중국색 시』를 선정하여 각 시기에 따른 정체성의 변모와 해체과정을 분석하였다. 먼저 『바람꽃』은 연변 조선족 홍지하라는 인물을 통해 ‘모국’으로서 ‘한국’ 에 대한 ‘뿌리 찾기’ 의식이라는 ‘가치’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누가 나비의 집을 보았을까』는 조선족의 가족정체성 해체 현상과 기존의 생활방식과 가치 에서 ‘탈출’이라는 한국행의 의미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중국색시』에서는 다문화사회 조선족의 다문화정체성과 관련된 다문화인식을 보여준다. 이와 같 은 분석을 바탕으로 조선족 학습자의 ‘정체성’ 교육을 위한 교육 내용을 제시 하고 다문화교육 차원에서 교수-학습을 설계하였다. 이 연구는 디아스포라와 다문화주의 경계에 있는 조선족의 정체성 문제를 제기하고 변화하는 시대의 정체성에 걸맞은 차별화된 교육을 위해 조선족의 정체성 교육 방법으로 다문화이론을 접목하여 조선족 학습자를 위한 문학교 육의 교육 내용과 방안을 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transformation of identity in Huh Ryeon-soon’s novels as the concept of an identity group called Korean-Chinese and explores educational contents. Focusing on the Korean-Chinese identity problem, this study selected works for identity education and sought educational contents and plans. The Wind Flower, Who Has Seen the Butterfly’s House, and The Chinese Bride, which are Ryeon-soon Heo’s novels used as literary works for the identity education of the Korean-Chinese,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transformation and dissolution process of identity according to each period. First of all, The Wind Flower represents the ‘value’ of the ‘root finding’ consciousness for ‘Korea’ as a ‘mother country’ through the character of the Yanbian Korean-Chinese Hong Ji-ha. Next, Who Has Seen the Butterfly’s House shows the dissolution of the family identity of the Korean-Chinese and the meaning of “escape” from the existing lifestyle and values. Finally, The Chinese Bride shows multicultural awareness related to the multicultural identity of the Korean-Chinese in a multicultural society. Based on this analysis,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identity’ education of Korean-Chinese learners were presented, and teaching-learning was designed in the dimens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study raises the issue of Korean-Chinese identity at the border of diaspora and multiculturalism, and incorporates multicultural theories as a method of teaching Korean-Chinese identity as a differentiated education that fits the identity of the changing times. It is meaningful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for Korean-Chinese learners were presented.

      • KCI등재

        중국 조선족사회의 변화와 과제

        주봉호 한국동북아학회 2006 한국동북아논총 Vol.11 No.4

        A Study on the Change and Problem in Chinese-Korean Society Joo Bong-Ho (Dongeui University) This paper analyses the social structure changes of Chinese-Korean(Korean minority in China) people caused by Chinese revolution and opening policy in the view of political economy. In the 21st century, the Chinese-Korean who are striving for a leap in their ethnical improvement, is now vexed by population decline and migration which are disintegrating the old Chinese-Korean community. Recently the changes of the Chinese society make social and national problems evident, which affects Chinese-Korean people's society. In the political aspect, proportional rate of Chinese-Korean is rapidly decreasing. In the economic aspect, Chinese-Korean people have increased their economic development due to capitalism in China. But the rapid growth of Chinese-Korean economy has brought about the transformation of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movement of population. These changes have caused to a national identity crisis among Chinese-Korean people. Moreover class gaps and unbalanced income between cities and countries make the order of Chinese-Korean society floating. We should look at the reasons why the Chinese-Korean community has formed and developed. In addition to that, We should seek the answer to this problem from the perspective of time, ethnology and development, thus, the development of Chinese-Korean. Therefore Chinese-Korean people should establish national identity and solve the urgent political and economical problems through the various association with Korea. Furthermore, we should enlarge our perspective and focus our attention at the trends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alized civilization in the world. In this study the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that the Chosunjok society in China faces are examined. 최근 중국사회의 변화는 사회적, 민족적 문제를 부각시켰고, 조선족사회에 또한 영향을 주고 있다. 정치적 측면에서 조선족사회의 정치적 대표성은 크게 하락하고 있으며, 민족을 대표하는 엘리트 구성에 불균형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경제적 측면에서 조선족 사회는 시장경제의 활성화로 인하여 경제성장을 가져왔지만, 이로 인한 산업구조의 변화와 인구이동은 민족공동체의 정체성에 위기를 가져왔다. 특히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도농간의 격차와 소득불평등, 계층간의 위화감이 갈수록 심각해져 기존 조선족내의 질서를 위협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중국 조선족들은 자본주의 물결과 함께 한국바람이 불면서 중국의 어느 지역보다도 격심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오래 동안 체험해 보지 못하였던 자본주의 문명의 충격과 갑자기 다가온 한국에 대한 기대와 환상이 어울리면서 조선족들의 생활에 적지 않은 혼란을 초래하였고 그 과정에서 조선족 사회의 의식과 문화, 그리고 경제생활이 커다란 변화를 겪게 되었던 것이다.따라서 조선족 공동체 사회가 빠르게 해체되고 있고, 그 결과 민족교육의 산실인 조선족 학교의 존재기반이 크게 위축되기에 이르면서 민족정체성의 상실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분단된 민족, 아직도 잔존하고 있는 냉전질서, 심각하게 양극화된 사회와 같은 악조건 속에서 대안은 없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혁명과 민족문화로부터 더 나은 세계는 가능하다는 충분한 시사를 받는다. 바로 국제경쟁력의 제고와 평화적인 민족 통일과정에 있어서 재외한인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이 평화로운 하나의 지구촌 사회로 가는 과도기에 민족과 국가에 의존해야 하는 처방이기도 하다.결국 이러한 변화과정에서 전통적이고 농촌지향적이었던 조선족 사회는 산업화 과정을 겪으면서 이중적 사회구조를 내포하는 과도기적 사회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전통적 가치와 근대적 가치간의 괴리가 발생하는 세대간, 계층간, 도농간, 남녀간의 다양한 갈등을 해결하는 것이 조선족의 당면과제라고 할 것이다. 그리고 조선족 사회의 발전을 위해서는 산업화 도시화 진전과 더불어 민족정체성을 확립하고 다양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조선족 사회내부의 노력이 요구되며, 우리측의 경제적 교류의 확대, 교육적 측면을 포함한 문화교류 등 다방면에 걸친 국가적, 민간적 차원의 지원과 협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한국 화교의 문화 혼종성 교육 경험과 정체성 형성: 국제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서나래 ( Na Rae Seo ) 한국교육사학회 2014 한국교육사학 Vol.36 No.3

        이 시대의 주요한 교육적 이슈가 된 다문화 교육의 온전한 정착을 위해, 단순한 사회통합적 접근을 넘어 문화 혼종성(cultural hybridity) 현상을 반영한 다문화 교육의 이해와 실천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논문은 국제학교를 진학한 한국 화교의 교육 경험을 고찰하여 문화 혼종성이 표출되는 양상과 정체성 형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다문화 교육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구술사적 연구 방법과 TCK(제 3문화 아이들, the Third Culture Kids) 개념을 활용하여 1990년대와 2000년대 한국 화교 소학교에서 초등교육을 받고, 국제학교에서 중등교육을, 미국이나 한국에서 고등교육을 받은 한국 화교 3세대인 K씨 3남매의 정체성 형성을 연구하였다. 이들의 사례로 볼 때, 문화 혼종성 교육 경험은 한국 화교, 한국, 미국의 문화가 융합되어 각자 다른 수준과 다른 층위의 제 4 문화를 창조하였다. 이 연구는 K씨 3남매의 사례를 통해 기존 다문화 교육에서 간과한 초국가적 정체성(transnational identity) 형성 과정을 인정하고 문화 혼종성을 수용할 수 있는, 다문화 교육의 새로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n order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o take root as a major educational issue,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necessary not merely as a naive approach to social integration, but as an application of the cultural hybridity phenomenon. By analyzing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this perspective, this research aims to confirm the cultural hybridity and identity formation of overseas Chinese who attended international schools in Korea, and to deduct sugges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study uses the oral history method as the primary research approach and the concept of Third Culture Kids as an analytical framework.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three siblings, the third generation of overseas Chinese in Korea. These three attended overseas Chinese primary schools, and attended international schools for secondary education. They all pursued higher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either Korea or the Unites States. This study examined how this educational experience specifically affected their identity form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ase of the three siblings, this educational experience of cultural hybridity created individually different levels and layers of the fourth culture, hybrid Korean Huaqiao, Korean, and American culture. Ultimately this study suggests two points which are largely overlook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currently; promoting transnational identity, and accepting cultural hybrid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