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인 민족공동체의 형성과 발전- 동남아시아 화인사단(社團)을 중심으로

        김주아 중국인문학회 2018 中國人文科學 Vol.0 No.70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Overseas Chinese Community - Focused on the Southeast Asian Overseas Chinese Community- The culture of ethnic communities of Overseas Chinese, which was formed based on the long tradition, has built a global network through a few stages of development through a long migration history. The early stage of the Overseas Chinese community began with an exclusive meeting (organization) for other regions, mainly in the area of origin (hometown, dialect). Second, it is the nationalization stage. As the Overseas Chinese societies entered the settlement period through the localization process, they developed in a way that is beneficial to the Overseas Chinese societies, which are the fateful communities of the residence countries, beyond the native regions (hometown). The Overseas Chinese Community goes through the process of economic cooperation, concentrating more on economic activities rather than political ones. finally, it is a globalization phase. The foundation of the global network was established by holding international meetings with the global groups of the world beyond the Southeast Asian region centered on the blood relatives and regionalism.

      • KCI등재

        한국 화교의 초국가적 성격과 전망 - 광주지역 화교를 중심으로 -

        김경학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1 No.-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nature of transnationalism of Korean Overseas Chinese in the Gwangju area, who maintain their connection to Korean Overseas Chinese in Korea and out of Korea and scattered in different countries, mainly Taiwan and USA. Due to the discriminative policies against foreign residents including Korean Overseas Chinese during President Park’s regime, about 30,000 Korean Overseas Chinese have migrated to Taiwan and USA, and Japan for seeking better economic opportunities. The migration of Korean Overseas Chinese to their old home places like Weihai and Yantai is generally regarded as the second wave of migration among them. For Korean Overseas Chinese who have been marginalized and unstable in Korean society, this migration had much to do with economic benefits, rather than a nostalgia for the motherland or hometown. This study explored the nature of transnationalism among Korean Overseas Chinese in terms of their socio-cultural and economic activities. Their culture of kinship and marriage has played important roles in constructing and maintaining their migration and transnational networks. To be specific, life-cycle and domestic rituals and secular gathering like off-line alumni community have become excellent chances for them to confirm and strengthen their kinship and school relation networks. This paper has argued that most Korean Overseas Chinese prefer ethnic endogamy, despite occurrence of some cases of inter-marriage. However, it is quite true to say that the frequent occurrence of inter-marriage between Korean Chinese men and Korean women gradually diminishes the transnational migration among Korean Chinese. This research has presented the comfortable transnational migration of family members for middle-class and professional who can afford to provide the financial support for international migrations. Korea’s importance as a central point of reference for Overseas Korean Chinese is likely to gradually diminish with growing number of overseas third and fourth generation for whom Korea does not have the same sentimental meaning as for their parents. However, in general, Korea is likely to remain, for a while, as the center of reference for maintaining transnational social fields and networks for Korean Overseas Chinese. 본 연구는 한국 정부의 화교에 대한 차별적 정책이 심화되었던 1970~80년도에 대만과 미국 등지로 이주한 한국 화교의 이산과정, 초국가적 정체성 형성, 사이버 동창회와 혼인 관습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 화교의 초국가적 성격을 규명하고 이를 전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새로운 기회 모색을 위한 일부 화교들의 중국 산동성 위하이와 옌타이로의 초국가적 이주는 한국 화교의 초국가적 공간의 확장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경제적 상황에 따라 초국가적 이주가 모든 화교사회에 균질적이기 보다는 차이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과 같은 통신수단의 획기적 발달로 ‘화교고등학교’ 사이버 동창회를 통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네트워크 연결이 활발히 유지되었음을 규명하고 있다. 특히 한국 출신 화교의 정례적인 성묘관습과 동창회 모임 등은 한국과 해외 화교와의 네트워크 유지를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되고 있다. 해외에서 출생한 이민 3세대들은 한국을 한국 화교의 초국가적 네트워크의 ‘중심된 근거지’로 점차 인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부모의 가업을 이어가면서 조상의 묘지관리와 제사준비 등을 책임지고 있는 적지 않은 화교 구성원이 한국에 살고 있으며, 한국인과의 결혼 사례가 점차 늘고 있기 때문에 한동안 한국은 한국 화교의 중심된 근거지로서의 중요성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한국 화교 공동체 조직의 변천과 특징

        신진식(Jin Sik Shi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24 기전문화연구 Vol.45 No.1

        이 논문은 지난 백여 년간의 한국 화교 공동체 조직의 변천 과정과 특징그리고 역할을 체계적으로 다루었다. 한국 화교의 조직은 한국 화교 공동체의 발전과 단결에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이에 화교의 사회조직에 대한 실태 조사를 통하여 동향조직, 화교협회 등의현황을 밝히고 한국 화교 공동체의 조직 형성 과정에 대한 탐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현대 화교인구가 가장 많은 화교 경제의 중심지인 인천지역과 서울지역을 주로 분석하였다. 화교 공동체의 구심점이라고 할 수 있는 인천과 서울 사회조직의 형성과 발전을 아울러 살펴보았다. 그리고 정부의 화교에 대한 관심 및 정책 개선, 한중 민간 경제무역관계의 급속한 발전, 한국 화교의대외교류 확대 노력, 화교의 부흥 등의 측면에서 한중수교 이후 한국 화교 공동체의 변화를 설명하였다. 아울러 중한 양국 국민의 상호 이주가 양국의 미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임을 지적하였다. This paper systematically examines the evolution, characteristics, and role of Korean overseas Korean community organizations over the past hundred years. Korean overseas Chinese organization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and unity of the Korean overseas Chinese community, but there is a great lack of research on them. Therefore, through a survey on the social organizations of overseas Koreans, this book reveals the current status of trend organizations and overseas Korean associations and explores the process of organization formation in the Korean overseas Korean community. In particular, we analyzed the Seoul and Incheon areas, which are the economic centers of the Korean diaspora with the largest diaspora population today. By examining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ocial organizations in Incheon and Seoul, which are the nucleus of the overseas Korean community, we explain the changes in the overseas Korean community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Korea in terms of the government’s increased interest in and policies toward the overseas Korean community, the rapid development of private economic and trade relations between China and Korea, efforts to expand overseas exchanges, and the revival of the overseas Korean community. He also pointed out that the mutual migration of Chinese and Korean citizens will have an important impact on the future development of both countries.

      • KCI등재

        해방 후 제주화교 사회의 재건과정과 경제·사회적 활동에 대한 연구

        양세영(Se-Young Yang) 제주학회 2022 濟州島硏究 Vol.58 No.-

        본 고는 해방 이후 제주화교 사회의 재건 과정과 그 결과가 제주화교의 생활에 미친 영향을 살펴봄으로서 현대 제주화교사를 보다 풍부하게 복원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국내 화교사 연구에 있어 해방 이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동시대의 제주화교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전체 화교사의 지평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사실은 다음과 같다. 제주화교는 1909년 이전에 제주로 도래하여 일제강점기 동안 꾸준한 성장을 통해 화교사회를 형성하였으나, 1931년 만보산 사건과 1937년 중일전쟁의 영향으로 화교사회가 거의 붕괴하는 상황에 직면하였다. 그러나 해방이후 화교 자치구의 조직과 운영, 화교소학교 건립을 통해 화교사회를 재건 하였으며, 문화적 정체성을 확보해 나갔다. 이러한 재건활동을 기반으로 피난 등으로 제주에 유입된 내륙화교들을 제주사회에 통합시켰으며 음식업을 중심으로 활발한 경제 활동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 결과 제주화교 사회는 해방 전의 인구 규모를 능가하며 화교인구가 감소한 다른 중소도시와는 달리 70년대 후반까지 인구가 증가하는 등 활성화된 모습을 보여 주었 다. 또한, 지역문화 행사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 등을 통해 지역사회에 융화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점은 다른 지역화교와 대비되는 제주화교의 독특한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1970년대 후반이후 제주화교의 재이주 동향, 1992년 한중수교 이후 유입된 신화교와 구화교 간의 관계발전 등에 대한 연구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urther enrich the life history of Jeju Overseas Chinese(Jeju Hwagyo)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and examining the reconstruction process of Jeju Overseas Chinese society and the impact of the results on the lives of them after liberation. In addition, when research on Chinese history in Korea is very scarce after liberation, it was intended to expand the horizon of Overseas Chinese history in Korea through this research in the same period. The main fact revealed through the study was that Jeju Chinese formed a Overseas Chinese society through steady growth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since they moved to Jeju before 1909, but the Chinese society almost collapsed as it withdrew to China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ino-Japanese War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era. However, after liberation, the Jeju Chinese Overseas society was rebuilt through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Chinese Autonomous District and the opening of the Chinese Primary School, and cultural identity was secured. Based on these reconstruction activities, inland Chinese who flowed into Jeju due to evacuation were able to easily settle in Jeju society, and were able to carry out active economic activities centered on the food industry with existing Jeju Hwagyo. As a result, Jeju Chinese Overseas society showed an active appearance, with its population increasing until the mid-70s. it showed efforts to harmonize with the local community through continuous participation in local cultural events. This point can be said to be a unique appearance of Jeju Overseas Chinese in contrast to other local Overseas Chinese. Future research projects can be said to be studies on the trends and causes of re-migration of Jeju Chinese after the late 1970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ld hwagyo and new hwagyo which flowed into after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in 1992.

      • KCI등재

        중국 조선족사회의 변화와 과제

        주봉호 한국동북아학회 2006 한국동북아논총 Vol.11 No.4

        A Study on the Change and Problem in Chinese-Korean Society Joo Bong-Ho (Dongeui University) This paper analyses the social structure changes of Chinese-Korean(Korean minority in China) people caused by Chinese revolution and opening policy in the view of political economy. In the 21st century, the Chinese-Korean who are striving for a leap in their ethnical improvement, is now vexed by population decline and migration which are disintegrating the old Chinese-Korean community. Recently the changes of the Chinese society make social and national problems evident, which affects Chinese-Korean people's society. In the political aspect, proportional rate of Chinese-Korean is rapidly decreasing. In the economic aspect, Chinese-Korean people have increased their economic development due to capitalism in China. But the rapid growth of Chinese-Korean economy has brought about the transformation of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movement of population. These changes have caused to a national identity crisis among Chinese-Korean people. Moreover class gaps and unbalanced income between cities and countries make the order of Chinese-Korean society floating. We should look at the reasons why the Chinese-Korean community has formed and developed. In addition to that, We should seek the answer to this problem from the perspective of time, ethnology and development, thus, the development of Chinese-Korean. Therefore Chinese-Korean people should establish national identity and solve the urgent political and economical problems through the various association with Korea. Furthermore, we should enlarge our perspective and focus our attention at the trends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alized civilization in the world. In this study the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that the Chosunjok society in China faces are examined. 최근 중국사회의 변화는 사회적, 민족적 문제를 부각시켰고, 조선족사회에 또한 영향을 주고 있다. 정치적 측면에서 조선족사회의 정치적 대표성은 크게 하락하고 있으며, 민족을 대표하는 엘리트 구성에 불균형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경제적 측면에서 조선족 사회는 시장경제의 활성화로 인하여 경제성장을 가져왔지만, 이로 인한 산업구조의 변화와 인구이동은 민족공동체의 정체성에 위기를 가져왔다. 특히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도농간의 격차와 소득불평등, 계층간의 위화감이 갈수록 심각해져 기존 조선족내의 질서를 위협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중국 조선족들은 자본주의 물결과 함께 한국바람이 불면서 중국의 어느 지역보다도 격심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오래 동안 체험해 보지 못하였던 자본주의 문명의 충격과 갑자기 다가온 한국에 대한 기대와 환상이 어울리면서 조선족들의 생활에 적지 않은 혼란을 초래하였고 그 과정에서 조선족 사회의 의식과 문화, 그리고 경제생활이 커다란 변화를 겪게 되었던 것이다.따라서 조선족 공동체 사회가 빠르게 해체되고 있고, 그 결과 민족교육의 산실인 조선족 학교의 존재기반이 크게 위축되기에 이르면서 민족정체성의 상실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분단된 민족, 아직도 잔존하고 있는 냉전질서, 심각하게 양극화된 사회와 같은 악조건 속에서 대안은 없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혁명과 민족문화로부터 더 나은 세계는 가능하다는 충분한 시사를 받는다. 바로 국제경쟁력의 제고와 평화적인 민족 통일과정에 있어서 재외한인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이 평화로운 하나의 지구촌 사회로 가는 과도기에 민족과 국가에 의존해야 하는 처방이기도 하다.결국 이러한 변화과정에서 전통적이고 농촌지향적이었던 조선족 사회는 산업화 과정을 겪으면서 이중적 사회구조를 내포하는 과도기적 사회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전통적 가치와 근대적 가치간의 괴리가 발생하는 세대간, 계층간, 도농간, 남녀간의 다양한 갈등을 해결하는 것이 조선족의 당면과제라고 할 것이다. 그리고 조선족 사회의 발전을 위해서는 산업화 도시화 진전과 더불어 민족정체성을 확립하고 다양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조선족 사회내부의 노력이 요구되며, 우리측의 경제적 교류의 확대, 교육적 측면을 포함한 문화교류 등 다방면에 걸친 국가적, 민간적 차원의 지원과 협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중국과 해외 화교.화인의 상호협력: 재난지원과 구호활동을 중심으로

        김주아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22 디아스포라 연구 Vol.16 No.2

        In the face of the COVID-19 outbreak, which is prevalent around the world, differences in operating systems and cultures between countries have been revealed more clearly through different policies of each country in response. Therefore,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Chinese government’s policy to support Overseas Chinese who are in crisis due to the outbreak of COVID-19, and the COVID-19 situation has stabilized due to China’s thorough containment policy.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view on not only China, which has been stigmatized as a virus-leaker country, but also Overseas Chinese amid the suffering of the world after the COVID-19 pandemic. Among the diasporas from around the world, Chinese diaspora is famous for establishing a solid network based on its close connection with its home country, and the pandemic has led to a stronger relationship between China, Overseas Chinese. In particular, in this process, we analyzed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scope of application and support of Overseas Chinese’ policies, emphasizing that China, and Overseas Chinese are destined communities. 전 세계적으로 만연한 유행성 질병, 코로나19 사태를 맞이하여 이에 대응하는 각국의 서로 다른 방침을 통해 국가 간의 운영 시스템과 문화의 차이가 더욱 극명하게 드러나게 되었다. 특히, 바이러스가 전 세계에 동시다발적으로 유행하면서 해외에 있는 자국민과 동포들을 보호하기 위한 각국 정부의 대책 유형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중국은 전 세계 198개국에 6,000여만 명의 재외동포가 흩어져 살고 있어 재외동포가 가장 많은 국가이자, 이번 코로나19의 발원지로 지목받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초기 코로나19가 발생함에 따라 위기에 놓인 모국(중국)을 지원하는 해외 화교·화인 사회와 이후 중국의 철저한 봉쇄정책으로 코로나19 사태가 안정기에 접어든 반면 중국 이외의 국가에서 코로나19가 폭발적으로 확산했는데, 이에 대한 중국 정부의 교민지원정책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 세계가 고통받는 가운데 바이러스 유출국이라는 오명을 쓴 중국은 물론 해외 화교·화인에 대한 국제사회의 시선이 곱지만은 않았다. 세계 각국의 디아스포라 가운데 화인 디아스포라는 모국과의 긴밀한 연계성을 바탕으로 탄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한편, 이번 팬데믹 사태로 중국과 화교·화인은 한배를 탄 입장이 되어 더욱더 관계가 돈독해지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중국과 화교·화인이 운명공동체임을 강조하면서 중국 교민정책의 적용범위와 지원내용이 전면적으로 확대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한국 화교(華僑)의 사회적 지위와 관계의 공간

        이창호(Chang Ho Lee)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08 비교문화연구 Vol.14 No.1

        In studying how overseas Chinese living in Chinatown and Incheon area perceive space and place and practice such perceptions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in a concrete way cultural identity of overseas Chinese in Korea and the mechanism of social change and adaptation in Chinatown. Incheon community of overseas Chinese is a kind of spatial enclave that expands beyond the physical place of Chinatown. This moral and communal space is where social status and relations are formed and mutual economic activities take place. The important cultural principles operating in this social space are not only the basic principles found in the mother land China such as guanxi(關係), renqing(人情), mianzi(面子), and bao(報) but also other economical and political practices related to family like marriage and funeral, rotating savings and credit associations(hui, 會), and banquets(qingke, 請客). Especially hui(會) is an important association which transforms social capital that is embedded in moral community such as overseas Chinese society into economic capital. Spatial perception of overseas Chinese in Korea goes back to the Qing Chinese settlement of the late 19th century. From their perspective, they first settled in the Qing Chinese Settlement area created by the international treaty of 1884 but were forced to disperse gradually when the settlement was abolished in 1913 after the annexation of Korea to Japan. In other words, they became an internal diasporic people. Especially after the 1960s, most of overseas Chinese communities were disintegrated and many overseas Chinese turned to low end restaurant business for survival in face of the anti-foreigners land acquisition act and urban planning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ving dispersed to different cities they can only affirm their cultural identity through social and family events like hui, wedding, funeral, and other annual events. They became more and more a spatial community instead of a territorial community.

      • 미래 인재 개발 전략으로서 재외동포 청소년 지원 방안 연구Ⅰ

        김경준,김태기,이지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글로벌 시대의 재외동포 청소년의 미래 인재 개발 전략의 방향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정책과제를 제시하여 재외동포 청소년의 성장․발전을 지원하고, 나아가서는 재외동포 청소년들이 한민족 구성원으로서 공동체 발전에 기여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국내·외 재외동포 청소년 정책 분석, 전문가 의견 분석, 재외동포 청소년 요구 분석, 정책지원방안 마련 등을 주요 연구내용으로 하였으며, 외국 사례조사, 델파이조사, 청소년 설문조사 등을 주요 연구방법으로 하였다. 외국 사례조사는 미국, 일본, 중국, 독일, 이스라엘 등 5개국 재외동포 청소년 정책에 대한 사례를 (사)재외한인학회에 의뢰하여 조사․분석하였으며, 델파이조사는 미래 인재로서의 재외동포청소년의 의미와 정책 방향 설정, 주요 정책과제 등을 재외동포관련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서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청소년설문조사는 재외동포재단에서 공모하여 국내로 입국한 재외동포청소년 약 700명을 대상으로 생활실태, 한민족정체성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재외동포청소년 정책을 위한 비전, 대상, 목표, 정책과제, 정책추진 절차 등을 마련하였다. 재외동포청소년 정책의 비전을 거주국 사회에의 적응을 넘어서서 한민족공동체의 발전, 더 나아가서는 글로벌 공동체에 기여하는 청소년 육성으로 설정하였다. 정책과제는 공통의 정책과제를 법․제도 개선 방안, 정책추진체계 마련, 재외동포청소년 관련 전문가 양성 및 지원 확대, 프로그램 개발․운영 확대의 4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총 41개의 정책과제를 도출하였으며, 이밖에 재미동포청소년, 재중동포청소년, 재일동포청소년, 고려인 동포청소년등 지역별 특성을 반영하여 특별한 정책과제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how to foster young overseas Koreans as next-generation talent in the global era, and introduce policy considerations so as to suppor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alented young overseas Koreans and further enable them to contribute to Korean national community development. The studies herein ― based on the review of foreign cases, the Delphi survey, youth surveys, etc. ― mainly focus on the analysis of policies of Korea and that of other countries related to young overseas nationals, expert opinions, and demands of young overseas nationals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policy support measures and so forth. The Association for the Studies of Koreans Abroad (ASKA) was asked to study and analyze policies on young overseas nationals of five countries, i.e., the U.S., Japan, China, Germany, and Israel. Two rounds of the Delphi survey were conducted among 30 relevant experts to gather feedback on the significance of young overseas nationals as next-generation talent, setting policy direction, major policy considerations, etc. The youth surveys pertaining to living status, Korean national identity, etc., were carried out among roughly 700 young overseas Koreans who entered Korea via the application process of the Overseas Koreans Foundation (OKF).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is paper sets out the policy vision for fostering young overseas Koreans ― the objective goes above and beyond helping young overseas Koreans adjust in his/her residing country, to be aimed at contributing to Korean national community development, and further, enabling them to become a part of the global community. A total of 41 policy considerations were derived from the study results and then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ⅰ) improvement of legal system; (ⅱ) establishment of policy implementation system; (ⅲ) fostering and support of experts on young overseas nationals; and (ⅳ)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programs. This paper also presents special policy measures for consideration depending on regional characteristics, i.e., young Korean-Americans, young Korean-Chinese, young Korean-Japanese, and young ethnic Koreans.

      • KCI등재

        재한화교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고찰: 3/4세대 화교가 한국에서 경험하는 지지망을 중심으로

        류동(Liu Dong)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1 다문화사회연구 Vol.14 No.1

        최근에 이주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졌는데 한국의 가장 대표적이고 오래된 이민자 집단인 ‘화교’는 많은 주목을 받지 못했다. 본 연구는 3/4세대 화교의 삶과 그들이 한국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지지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화교 네 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스트라우스와 코빈(Strauss & Corbin, 1998)의 근거이론에서 제시된 "코딩 3단계" 중의 "개방 코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총 20개의 개념과 10개의 하위 범주,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4세대 화교가 주로 제도적 지원, 사회환경 그리고 화교 공동체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1/2세대 화교에 비해 젊은 세대가 경험하는 더 많은 제도적 지지를 받고 있고 비교적 더 우호적 사회분위기에서 생활하고 있는 반면 화교 공동체가 그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점점 감소되고 있다. 그러나 (3) 젊은 화교들에게 제공되는 지지와 그들의 실제로 지각되는 지지 간의 격차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국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화교를 포함한 이주민들의 삶에 대한 이해와 다문화정책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migrant life of the younger generation of overseas Chinese in Korea, and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they receiv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overseas Chinese living in the capital circle are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hird and fourth generations of overseas Chinese receive mainly institutional support, a social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from the Chinese community. (2) The younger generation has more institutional support than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s of Chinese, and live in a relatively more favorable social atmosphere. However, the impact of the overseas Chinese community on them is gradually decreasing. (3) There is, however, a gap between the support provided to the third and fourth generations of overseas Chinese and their perceived social support.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help future researchers better understand the real lives of various immigrant groups, including overseas Chinese, and explore a better direction for multicultural policy.

      • 美國客家移民的中國文化傳統

        安國樓(An Guo- Llou)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인문학논총 Vol.12 No.2

        The Hakkas family communities that proliferate everywhere keep the early cultural tradition of Central Plains and have deep hometown complex. America, as one of countries which has a lot of overseas Chinese immigrants, has been profoundly influenced by the Hakkas tradition. After the Opium War, a lot of Chinese laborers from Fujian and Guangdong province, including many Hakkas, arrived in America and mainly worked in California, Hawaii and New York. They contributed a lot to the early development, California’s gold ore mining industry and the railroad construction in the U.S.A. . Most of the early immigrants were engaged in industry and commerce, as well as service trades. Being based on blood relationship, region and professional relations, the mass organizations such as commercial clubhouse and fellow villager association they had established acted as a link between family members and fellow villagers. They had thick sense of native land culture and characteristic spiritual pursue, defended Chinese tradition and custom stubbornly for generations, and displayed invariable Chinese root culture complex. Hawaii is a region where there are comparatively early immigrants from Hakkas and the other overseas Chinese. Fifty years ago, when nearly nobody attended and studied Hakkas, James Michener, American renowned writer, splendidly described Chinese Hakkas’ origin, family ideology, survival consciousness, special individuality and the experience of opening up Hawaii’s virgin soil in his book Hawii. Xie Yu zhen, a Hakka female, is the leading role of the epic poem work. In this book, the writer systematically described the Hakkas ancients’ difficult experience of climbing mountains and crossing rivers from Central Plains to the south China, the Hakkas keeping many Chinese ancient customs and the females all without binding their feet, etc.. The book omni directionally unfolds the Hakkas immigrants' prominent characteristics such as advocating the older generations, valuing family, farming and studying passing o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tenacity. From this book, we can perceive the vitality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thought, and idea in overseas immigrant society. The deep Chinese culture foundation of Hakkas family community was accumulated and passed on in the long history, which will play the huge role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East Asia and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