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강삼매경론』의 일심과 수행관법

        김영미 ( Kim Young-mi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2

        원효는 『금강삼매경론』의 「무상법품」에서 『대승기신론』과 같은 일심이문의 뜻을 나타내고, 『능가경』의 구절로 뜻을 서로 통하게 한다. 『금강삼매경론』에서 심진여문의 적멸은 실법상(實法相)으로, 심생멸문의 여래장은 일각요의(一覺了義)라고 한다. 본각은 일각으로 사용하고, 일각요의는 일심ㆍ본각ㆍ여래장과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원효는 보는 관점에 따라 무이중도와 일각과 일심이라는 용어를 다르게 사용한다. 무이중도는 진제중도와 속제중도가 둘이 아님을 뜻하는 용어이고, 일각은 초지에 이르고 난 후에 시각이 원만하여 본각임을 알아서 ‘시각 즉 본각’이라고 할 때 사용한다. 일심은 공적한 심지에 이르렀을 때 사용한 용어이다. 또한 원효는 『금강삼매경론』의 육품에서 일심으로 귀의하기 위해 다양한 관법들을 수행자의 경지에 따라 자세히 설명한다. 「무상법품」에서 무상관(無相觀)을 방편관(方便觀)ㆍ정관(正觀)의 두 가지로 나누는데, 방편관으로는 무이중도를 증회(證會)하고 정관으로 일각에 도달한다. 무상관을 다시 상세하게 同行總相觀ㆍ異行別相觀ㆍ眞觀ㆍ無生觀ㆍ不生觀으로 구분한다. 동행총상관은 일심에서 이문이 형성되는 근거를 보이는 중요한 관으로, 능관(能觀)의 생멸심과 소관(所觀)의 일체심법상을 모두 여의게 되면 일심에 이르게 된다. 이행별상관은 중생들을 위해 초지에 이르는 구체적인 수행방법을 제시하는 관으로, 이집(二執)을 여의게 하여 실제에 증입할 수 있게 한다. 「무생행품」에서 무생선(無生禪)을 설명하고, 「입실제품」에서 존삼(存三)ㆍ수일(守一)ㆍ입여래선(入如來禪)[理觀]을 설명한다. 「진성공품」에서 出世禪[眞禪]인 如來義觀[如來觀]을 설명한다. 적멸한 진제의 경지에만 머물지 않고 무량한 지혜의 용을 밝히는 여래의관으로 여래를 친견할 수 있다. 「여래장품」에서는 상법(常法)의 인으로서 유식심사(唯識尋思)ㆍ여실지(如實智)의 방편관과 진관을 설명한다. Scholars mentioned that there's the content of the two aspects of the one mind of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in Wonhyo's Exposition of the Vajrasamadhi Sutra. I confirm the foundation of scholars' assertion since there's no specific content regarding it. Wonhyo signified the two aspects of the one mind of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in the Signless Dharma chapter in his Exposition of the Vajrasamadhi Sutra and well versed it into phrases in the Lankavatara-sutra. The calm extinction of the aspect of the mind's true-thusness is the real characteristic of dharmas and Tathagatagarbha of the aspect of the mind's production-and-extinction is the explicit meaning of the one enlightenment. These interpretations are the same as the translation of the two aspects of the one mind of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The original enlightenment is equally applied as the one enlightenment and the explicit meaning of the one enlightenment as the one mind, original enlightenment, and tathagatagarbha in Wonhyo's Exposition of the Vajrasamadhi Sutra. It explains contemplations enlightening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one enlightenment, the one mind and the edge of reality etc. in Wonhyo's Exposition of the Vajrasamadhi Sutra. The signless contemplation can be divided into two kinds of contemplation; the expedient contemplation which makes it possible to enlighten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and the unmediated contemplation which makes it plausible to attain one enlightenment. If a bodhisattva who perfected his contemplation practice according to the wisdom attained through contemplation practices the signless contemplation, it is transferred into the Dharma of nonduality. Additionally, the practice that involves identity, which is a contemplation of the generic characteristic, is the significant contemplation which represents the ground creating two aspects with the one mind. People can accomplish the one mind if they eliminate the mind of arising and ceasing that performs contemplation and aII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nd and dharmas that are the objects of contemplation. The practice that involves difference, which is a contempl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ularity, is the contemplation presenting ways of practicing how to cultivate the edge of reality. The practice that involves difference specifically refers expedients attaining the self, non-self, a conception that the mind can be produced and a conception that the mind can be extinguished etc, removes two types of grasping and enlightens the edge of reality. Contemplation of the thatagatas' meaning elucidates ways to have the honor of a personal and intimate interview with Buddha in terms of contemplation concerning the way to contemplate the calm extinction, that is, the meaning of true-suchness.

      • KCI등재

        원효(元曉)의 일심이문(一心二門)과 주희(朱熹)의 심통성정(心統性情) 비교 연구

        이혜영(Lee, Hye-Young),김원명(Kim, Won-Myoung) 새한철학회 2018 哲學論叢 Vol.93 No.3

        이 논문은 원효(元曉, 617-686)의 ‘한마음의 두 측면’[一心二門]과 주희(朱熹, 1130-1200)의 심통성정(心統性情)을 비교 고찰한 것이다. 원효의 ‘한마음’과 주희의 ‘마음’은 각각 참으로 그러한 ‘고요한 측면’[眞如門]과 ‘생겨나고 사라지는 측면’[生滅門], ‘본성’[性]과 ‘감정’[情]을 포괄하고 있다. 전자는 체상용의 구조이고, 후자는 체용의 구조다. 이는 마치 역(易) 철학시대의 고대 동아시아의 세계 이해를 담고 있는 이태극(二太極)과 삼태극(三太極)을 연상시킨다. 원효는 ‘한마음’에서 ‘하나’는 둘이 없는 하나로서 이해되기 어렵지만 ‘본성 스스로 신비롭게 이해하는 지각 기능’을 가지고 있고 그래서 ‘마음’이라고 한다. 한마음 두 측면에서 고요한 측면인 진여문은 마음의 본체(本體)를 가리키고, 생겨나고 사라지는 측면인 생멸문은 상용(相用)이라는 일심의 현상적 측면을 가리킨다. 생멸문 안에 자체(自體)를 가지고 있어 그 안에 불생불멸의 측면을 상정한다. 원효의 ‘한마음’과 주희의 ‘마음’을 비교할 때, 주희가 말하는 ‘성’이 갖고 있는 도덕본성을 원효가 말하는 심생멸문 안 자체(自體)가 진여문적인 요소로서 도덕본성의 가능성이 있다. 주희의 ‘심통성정’에서 ‘마음’은 ‘본성’과 ‘감정’을 주재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통해 도덕 본성의 현실적 구현을 목표로 한다. ‘심’은 도덕 형이상의 본체론적인 의미와 ‘성’에 대한 지각 기능으로서의 인식론적 기능을 갖는다. ‘성’은 도덕 행위의 규범적 당위성을 부여하는 이치다. 한편, ‘감정’은 ‘마음’의 작용으로서 이것이 현실에 드러날 때, 도덕 이치인 ‘본성’을 적절히 구현해야 한다. 원효와 주희 사상 사이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 그러나 그런 차이에도 불구하고 체상용의 구조적인 유사성뿐만 아니라 인식 기능과 도덕본성이라는 내용적 유사성도 있다. Wonhyo’s ‘One mind two aspects(一心二門)’ and Zhu Xi’s ‘The theory that mind controls human nature and emotion(心統性情)’ can be said to be the identification of the mind which we observed in Buddhism and NeoConfucianism. This paper is ab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structure of ‘One mind two aspects(一心二門)’ and ‘The theory that mind controls human nature and emotion(心統性情)’. Concept of Wonhyo’s One mind(一心) and concept of Zhu Xi’s mind(心) are found to be similar in terms of structures that cover the texts of the Suchness Gate(眞如門) and Arising-Ceasing Gate(生滅門), human nature(性) and emotion(情). On the other hand, differences are found in the interpretation of each specific concept. This is distinguished from the interpretation of the mind(心), that is, Two aspects(二門) are a specific interpretation of the One mind(一心). In other words, One mind(一心) indicates that the immortal nature and the phenomenon of extinction are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a result, awareness of the One mind(一心) is important as the ultimate form of the phenomenon. In ‘The theory that mind controls human nature and emotion(心統性情)’, mind(心) presides human nature(性) and emotion(情), but this is due to the moral element of human nature(性). In ‘The theory that mind controls human nature and emotion(心統性情)’, the role of mind is emphasized as a mediator of awareness of human nature(性). This is aimed at the realization of the moral nature. The Suchness Gate(眞如門) in ‘One mind two aspects(一心二門)’ refers to the state of equality and nirvana as the nature of the mind. On the other hand, human nature(性) in ‘The theory that mind controls human nature and emotion(心統性情)’ acts as a possible basis of moral metaphysics that gives the justification of moral behavior. In ‘One mind two aspects(一心二門)’, Arising-Ceasing Gate(生滅門) has a characteristic of Tathāgata-Garbha (如來藏), which covers both aspects of immortality and phenomenon. On the other hand, emotion(情) in ‘The theory that mind controls human nature and emotion(心統性情)’ is the function of the mind and when this is revealed in reality, it is understood from the aspect of realizing morality.

      • 분황(芬皇) 원효(元曉)의 기신사상(起信思想) - 일심(一心)과 본각(本覺)의 접점과 통로 -

        고영섭 ( Ko Young-seop ) 한국밀교학회 2022 불교학밀교학연구 Vol.1 No.-

        원효의 기신학 내지 기신사상의 지형은 유기적이고 중층적이다. 그는 중관학과 유식학의 자재와 무애, 종성과 계위의 접점과 통로, 아뢰야식과 여래장의 통섭, 식위 배대와 삼세 육추의 배대를 통해 이론 체계와 수행체계를 동시에 보여주었다. 특히 그는 심생멸의 불각위에다 삼세 육추상을 배대하고 인명학을 원용하면서 독자적인 인간 이해를 보여주었다. 그리하여 원효는 망식인 아뢰야식으로서 일심, 진망화합식인 여래장/적멸로서 일심, 화엄 진심으로서 일심, 본법으로서 일심으로 자신의 일심관을 보여주었다. 이처럼 원효는 범부 중생의 성불과 왕생을 위한 기획으로서 일심의 변주를 통해 기신 사상의 지형도를 그려나갔다. 그는 『대승기신론』을 만난 이후 이 논서의 일심 이문 삼대의 이론 체계와 사신 오행 육자법문의 실천 체계가 어떻게 서로 보완될 수 있는지에 주목하였다. 원효는 『대승기신론별기』와 『대승기신론일도장』 및 『대승기신론이장의』와 『대승기신론소』에서 구상설 제창과 인명학 원용을 통해 일심 이문(一心二門)의 교학 체계를 수립하였다. 동시에 그는 『금강삼매경론』에서 방편관과 정관을 통해 일미 관행(一味觀行)의 수행 체계를 확립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일심 이문의 이론 체계와 일(각)미 관행의 실천 체계를 확보하였다. 균여의 인용이 보여주는 것처럼 원효가 진여문(果)과 생멸문(因) 이외에 진여문(果)과 생멸문(因)이 아닌 비인비과(非因非果) 즉 본법(本法)으로서 일심을 시설한 것은 그가 구역 유식(舊譯唯識)에 의거하여 제9아마라식(菴摩羅識)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진여와 생멸 이외에 따로 일심이 없다[一心=眞如, 生滅]’는 법장의 이제설(二諦說)과 달리 원효는 ‘진여와 생멸 이외에 본법으로서 일심은 별립한다[一心, 眞如, 生滅]’는 삼제설(三諦說)을 제시하였다. 그리하여 원효는 법장의 ‘일심=진여, 생멸’의 이제설과 달리 ‘일심, 진여, 생멸’의 삼제설을 주장하였다. 이것은 그가 진여와 생멸의 차이뿐만 아니라 일심과 진여의 차이를 분명히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원효는 적멸로서 일심(진여문, 果)과 여래장으로서 일심(생멸문, 因)의 차이를 넘어 본법으로서 일심(非因非果, 本法)의 인간상을 수립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Wonhyo’s thought on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hereafter, AFM). The structure of Wonhyo’s thought on AFM is organic and multi-layered. He pursued the integration of the Madhyamaka school and Consciousness-only school and sought the consilience of ālayavijnāna and Tathāgata. Wonhyo also pursued the integration of the theoretical and practice systems through a comparison of the eight consciousness structures of the human mind and the nine kinds of defilements―the three subtle defilements and the six coarse defilements. In particular, Wonhyo not only placed three subtle defilements and six coarse defilements in the aspect of the mind of arising and ceasing but also integrated Buddhist logic into his philosophy to show his own uniqu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Wonhyo diversified his understanding of One Mind into four, which are, first, One Mind as ālayavijnāna, which is deluded consciousness; second, One Mind as Tathāgata, which is consciousness in which true and false are merged; third, One Mind as the true mind of Huayan; fourth, One Mind as original dharma. In this way, Wonhyo explained the idea of AFM by presenting various aspects of One Mind for the purpose of unenlightened beings’ achievement of enlightenment and rebirth in the pure land. In particular, after he met AFM, Wonhyo paid attention to how the theoretical system of ‘One Mind, Two Aspects, and Three Kinds of Greatness’ can be complemented with each other the practice system of the ‘Four Kinds of Faith, Five Kinds of Practices, and Six Syllable Mantra.’ Wonhyo wrote many commentaries on AFM: Abbreviated Reference on AFM, Doctrine of Single Path of AFM, System of the Two Hindrances of AFM, and Commentaries on AFM. Through these works, he initiated the theory of Nine Modes of Ignorantly Activated Karma, and established a theoretical system of ‘One Mind with Two Aspects’ when consolidating Buddhist logic. Simultaneously, Wonhyo established a practice system of One Taste Observation by referring to the preliminary practice and correct observation of Vajrasamadhi-sutra. In this way, he established the theoretical system of ‘One Mind with Two Aspects’ and the practice system of One Taste Observation. Another characteristic feature of his work is that, as Gyun-yeo’s quotation shows, Wonhyo’s view on One Mind has a different stance compared with that of Fazang. In the case of Fazang, he said that there is no other One Mind other than the Two Aspects, which are composed of the aspect of thusness and the aspect of arising and ceasing. However, Wonhyo understood that One Mind is neither the aspect of thusness nor the aspect of arising and ceasing but something that exists as Original Dharma beyond those two aspects. The reason that he understood One Mind in such a way seems to be the influence of the theory of old consciousness-only school(舊譯唯識), in which they establish Amara vijnāna (菴摩羅識), the pure 9th consciousness. This theory differs from that of Fazang, who advocated for a two-fold truth system (二諦說) composed of One Mind that is equal to the two aspects of mind. In the case of Wonhyo, he established a three-fold truth system (三諦說) composed of One Mind, the aspect of thusness, and the aspect of arising and ceasing. As a result, Wonhyo was able to establish the theory of One Mind as original dharma (non-cause非因 non-effect非果) beyond both the theory of One Mind as the aspect of thusness (effect果), and the theory of One Mind as Tathāgata (cause因).

      • 『금강삼매경론』의 一心二門 고찰

        김영미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2017 불교문화연구 Vol.17 No.1

        원효는 『금강삼매경론』에서 『대승기신론』과 같은 일심이문의 틀과 체계를 설명한다. 『경론』의 일심이문은 『기신론』과는 좀 다른 양상을 보인다. 『기신론』에서 진여문은 진제이고 생멸문은 속제이다. 『경론』에서 원효는 진여문에 진제를 상정하고 생멸문에 진제중도와 속제중도를 상정한다. 『경론』의 생멸문은 『기신론』의 생멸문과는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진다. 원효가 뜻하는 생멸문은 중생들의 분별이 아닌 선정에 머문 교화행을 의미하여, 생멸문을 속제가 아닌 속제중도와 진제중도라고 상정한다. 『기신론』에서 진여문은 다시 離言眞如와 依言眞如로 나뉘는데, 원효는 『경론』에서 이언진여를 진제중도로 설명하고, 의언진여를 속제중도로 설명한다. 『경론』에서 진여문의 적멸은 實法相으로, 생멸문의 여래장은 一覺了義라고 하여 ‘一心本覺如來藏의 뜻’이라고 해석한다. 일심은 진여문과 생멸문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고, 一覺은 始覺이 원만하여 本覺을 증득할 때 사용한다. 원효는 일심을 설명할 때 “모든 마음의 상이 본래 근본이 없다ˮ라는 구절을 同行總相觀이라고 하여, 일체심법상의 총상을 관하면 根本과 本處가 없어서 空寂無生의 일심에 이르게 된다고 한다. 일심의 체는 無相心으로서 일체 심상과 법상이 없는 진여문을 뜻한다. 空寂心地를 관하면 心空ㆍ空心을 증득하는데, 心空과 空心은 일심 본각의 뜻이기 때문에 생멸문을 의미한다. 원효는 『경론』에서 일심이문을 설명할 때 ‘일심의 근원’에서 ‘삼공의 바다’로 확장해서 설명한다. 이를 다시 유식학의 三性으로 융합하여 설명하는데, 속제를 버리고 증득한 진제는 [시각의] 원성실성인 진여문을 설명하고, 생멸문은 진제중도와 속제중도로 설명한다. 진제중도는 여래장으로 [본각의] 원성실성이고 속제중도는 의타기성이다. 진제중도와 속제중도는 같은 중도의 바탕인데, 중점을 두는 視覺이 다른 것이다. 진제중도는 깨달음을 선정의 입장에서 바라본 경지이고, 속제중도는 실천행의 입장에서 바라본 경지이다. 속제중도와 진제중도가 둘이 없는 경지가 무이중도이다. 원효가 『기신론』과 달리 『경론』에서 진제와 속제 외에 진제중도ㆍ속제중도ㆍ무이중도로 일심이문을 설명한 것은 수행경지가 理入을 지나 行入의 단계인 초지 이상의 경지에 있었기 때문이다.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Wonhyo represented the frame and system of one mind and two aspects which is the same as the one in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One mind and two aspects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one in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In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the true-thusness aspect means the absolute truth and the production-and-extinction aspect equals the conventional truth.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Wonhyo proposed the true-thusness aspect as the absolute truth and the production-and-extinction aspect as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bsolute truth and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conventional truth. The production-and-extinction aspect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is totally distinguished from the one in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Since the production-and-extinction aspect Wonhyo illustrated signified edification of people while dwelling in tranquility without discriminating, he introduced the production-and-extinction aspect as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conventional truth and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bsolute truth, not merely as the conventional truth. In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the true-thusness aspect is again divided into true suchness beyond description and true suchness by means of words, which Wonhyo explained the former as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bsolute truth and the latter as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conventional truth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Calm extinction of the aspect of the mind’s true-thusness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is the real characteristic of dharmas and Tathāgatagarbha of the aspect of the mind’s production-and-extinction is the explicit meaning of the one enlightenment and is employed as the one mind, original enlightenment, and Tathāgatagarbha. One mind is the comprehensive concept of the aspect of the mind’s true-thusness and the aspect of the mind’s production-and-extinction and the one enlightenment is applied when the initial enlightenment is completely fulfilled and the original enlightenment is achieved. When Wonhyo accounted one mind, he used the expression, “All characteristics of the mind originally have no origin” which is the practice that involves identity, which is a contemplation of the generic characteristic and if you contemplate the generic characteristic of all characteristics of the mind and Dharma, you’ll find your way to one mind which is void and calm, producing nothing where you don’t have the foundation and the original locus. The essence of one mind is the signless mind that signifies the aspect of the mind’s true-thusness without thoughts within the mind and characteristics of all Dharma. If you contemplate the ground of the mind where all is void and calm, you’ll attain ‘the mind is void’ and ‘voidness of mind’ which present the aspect of the mind’s production-and-extinction because ‘the mind is void’ and ‘voidness of mind’ indicate the aspect of the original enlightenment of the one mind.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Wonhyo demonstrated one mind and two aspects by expanding the fountainhead of the one mind to the sea of the three voidnesses. Additionally, he manifested it by blending the three natures of cognition in Yogâcāra. Wonhyo unraveled the true-thusness aspect, that is, pariniṣpanna-svabhāva of initial enlightenment, as the absolute truth and the production-and-extinction aspect as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bsolute truth and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conventional truth.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bsolute truth is Tathāgatagarbha, that is, pari

      • KCI등재

        『대승기신론』과 『금강삼매경론』의 일심이문(一心二門) 고찰

        김영미 ( Kim Young-mi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1

        일심이문(一心二門)은 『대승기신론』을 대표하는 체계로, 진여문은 진제이고 생멸문은 속제이다. 일심을 다시 체(體)와 용(用)으로 나누면, 체는 진여문인 적멸로, 용은 생멸문인 여래장(如來藏)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승기신론 별기』에 원효는 진여문(眞如門)의 ‘사(事)’를 생략해 놓았다는 아주 중요한 문장을 적어놓는다. 이 문장을 근거로 이문(二門)을 세밀하게 ‘이(理)’와 ‘사(事)’로 구분할 수 있다. 원효는 『금강삼매경론』에서 속제를 버리고 증득한 진제를 [시각의] 원성실성인 진여문으로, 진제중도(眞諦中道)와 속제중도(俗諦中道)를 생멸문으로 상정한다. 진제중도는 생멸문의 ‘이(理)’로, 속제중도는 생멸문의 ‘사(事)’로 볼 수 있다. 『기신론』에서 진여문을 다시 이언진여(離言眞如)와 의언진여(依言眞如)로 나누는데, 『금강삼매경론』에서 원효는 이언진여를 진제중도에 배대하고, 의언진여를 속제중도에 배대한다. 진제중도는 여래장으로 [본각의] 원성실성이고, 속제중도는 의타기성이다. 『기신론』과 달리 『금강삼매경론』에서 진제와 속제 외에 진제중도ㆍ속제중도ㆍ무이중도로 일심이문을 설명한 것은, 원효가 이입(理入)을 지나 행입(行入)의 단계인 초지 이상의 수행경지에 있었기 때문이다. 원효는 일체 심법상의 총상을 관하면[同行總相觀] 공적무생(空寂無生)의 일심에 이른다고 하여, 일심이문의 구조를 설명한다. 일심의 체는 무상심(無相心)으로서, 일체 심상(心相)과 법상(法相)이 없는 진여문을 뜻한다. 공적심지(空寂心地)를 관하면 심공(心空)과 공심(空心)을 증득하는데, 이는 일심 본각의 뜻이기 때문에 생멸문을 의미한다. One mind and two aspects(一心二門) is a system that represents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which explains that the true-thusness aspect indicates the absolute truth and the production-and-extinction aspect demonstrates the conventional truth. If one mind is again divided into the essence and function, the former can be classified as calm extinction, the true-thusness aspect, and the latter as Tathāgatagarbha, the production-and-extinction aspect. Wonhyo writes down an important sentence in Expository Notes on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that he omitted ‘external activity(事)’of the true-thusness aspect. Based on this sentence, the true-thusness aspect and the production-and-extinction aspect can be differentiated between ‘fundamental essence(理)’ and ‘external activity(事)’ in detail.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Wonhyo regards the absolute truth which was acquired after abandoning the conventional truth as the true-thusness aspect, that is, pariniṣpanna-svabhāva of initial enlightenment and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bsolute truth and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conventional truth as the production-andextinction aspect respectively. Therefore,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bsolute truth can be regarded as ‘fundamental essence(理)’ of the production-andextinction aspect and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conventional truth as ‘external activity(事)’ of the production-and-extinction aspect. In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the true-thusness aspect is divided into two groups, thusness as removed from language and thusness expressed in language.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Wonhyo can be seen as having assigned thusness as removed from language to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bsolute truth and thusness expressed in language to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conventional truth.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bsolute truth is Tathāgatagarbha, pariniṣpanna-svabhāv-a of original enlightenment and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conventional truth is paratantra-svabhāva.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bsolute truth considered enlighte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dhyānic absorption and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conventional truth from the perspective of practice and edification of people, that is, Wonhyo’s stage. Unlike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the reason why Wonhyo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illustrated one mind and two aspects with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bsolute truth,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conventional truth and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other than the absolute truth and the conventional truth was that he was at a stage of more than the first of the ten bodhisattva bhūmis of entering into the access of practice beyond the access of principle. Wonhyo accounts for the structure of one mind and two aspects, saying, "If a person undergoes total understanding of all the generic characteristics of the mind and dharmas, he or she will reach one mind that is void and calm, producing nothing." The essence of one mind is the mind of formlessness which signifies the true-thusness aspect without the contents of the min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harma. If a person contemplates that ground of the mind where all is void and calm, voidness of mind can be achieved, which implies the production-and-extinction aspect because it is the aspect of original enlightenment of the one mind.

      • 원효 일심의 정의와 의미

        김원명 ( Won Myoung Kim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13 한국불교사연구 Vol.2 No.-

        본 연구는 일심의 정의와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심에 대한 설명이 가장 많은 『기신론소(起信論疎)』와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을 중심으로 일심 관련한 원효의 설명들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첫째, 원효는 『기신론』의 일심이문 설명 근거를 『입능가경』을 통해 찾고, 심진여문과 심생멸문을 설명한다. 그리고 원효는『금강삼매경론』에서도 같은 문장을 인용한다. 일심의 무생무멸(無生無滅) 본래적정(本來寂靜)한 측면을 심진여문이라 하고, 본각인 일심의 체가 “무명을 따라 움직여 생멸을 일으켜(隨無明動作生滅)” 심생멸문이라 하는 것이고, 심생멸문에서는 “여래의 본성이 숨어있어 나타나지 않으”(如來之性隱而不顯)므로 여래장이라고 한다. 둘째, 일체의 경계는 마음이 지은 것으로 일심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이는 원효가 『십지경론(十地經論)』을 근거로 설명한 것이다. 일체 경계는 일심으로서 끝이 있지 않지만 없지도 않다. 그래서 다 알 수 있지만, 생각하여 헤아릴 수 있는 경계가 아니다. 체로서의 불심과 상으로서의 망법이 서로 훤히 비추며 보는 바가 없으며 보지 못하는 바가 없다. 이와 같은 원효의 설명은 『금강삼매경론』에서 『화엄경』 <십지품>에 근거한 일심의 화엄적 설명으로서 『기신론소』에서 이미 나타나고 있다. 셋째, 일심의 경지는 있는 것도 아니며 없는 것도 아니다. 있는 것으로 생각하면 그것은 착각이고 허망한 것이다. 왜냐하면 모든 생각은 허망한 것 즉 망념이기 때문이다. 또 없는 것으로 생각하면 그것은 실제로 없지 않다. 원효는 모든 상을 분석하여서는 일심의 자성을 얻을 수 없으나, 도를 닦아 구하면 그것이 나투니, 그래서 실제로 없지 않다고 한다. 일심은 일체의 사려 분별이 사라진 경계의 마음으로 그 체가 적정하여 머무름이 없는 마음(無住之心)으로서 결정성의 경지이다. 넷째, 일심은 무이(無二)하며 불이(不二)이고 적멸(寂滅)하지만 그것이 전체 연에 따라 적멸하고 생동하므로 생동과 적멸도 불일불이(不一不異)하다. 다섯째, 일심이 무명을 연하여 다심이 된다. 일심(一心)이 무명(無明)을 연하여, 중생(衆生), 육근(六根), 육정(六情), 육진(六塵), 육도(六道), 사상(四相) 모두 지은 것이다. 일심은 무명과 화합한 힘 때문에 이런 다심을 일으킨다. 이것은 유전문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다시 환멸문으로 말하여, 무명을 제하면 일심으로 다시 돌아간다. 여섯째, 결국 일심의 경지는 부처님 지혜의 경지로서, 네 가지 지혜로 나타나고, 일심의 체는 다섯 가지 모양으로 설명된다. 일심의 체는 대략 다섯 가지 모양(五相)이니, 첫째 취하는 대상의 차별된 모양을 멀리 떠난 것(遠離所取差別之相), 둘째 취하는 주체의 분별하는 집착에서 벗어난 것(解脫能取分別之執), 셋째 삼세의 때에 두루하여(遍三世際) 평등하지 아니함이 없는 것(無所不等), 넷째 허공계와 같아서(等虛空界) 두루하지 아니함이 없는 것(無所不遍), 다섯째 유?무와 일?이 등의 변견에 떨어지지 아니하여(不墮有無一二等邊) 마음이 작용하는 곳을 벗어나(超心行處) 언어의 길을 넘어서 있는 것이다(過言語道). 또 일심에서는 “여덟 가지 식이 모두 전의하여(八識皆轉)” “네 가지 지혜로 원만하게(四智圓滿)” 나타나는데, 대원경지(大圓鏡智), 평등성지(平等性智), 묘관찰지(妙觀察智), 성소작지(成所作智)이다.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efinitions and meanings of One Mind(一心). I looked them up focusing on "Gisinronso(起信? 疎)" and "Geumgangsammaegyoungron(金?三昧??)" which have lots of Wonhyo`s explanations about One min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Wonhyo commented One mind two ways of "Gisinron" and "Geumgangsammaegyoungron", he quoted sentence in "Ipneunggagyeong" as an authority which can explain it. Simjinyeomun is inner carlm side of One Mind, Simsaengmyeolmun is outer apparent and disapparent side of One Mind. Second, all the boundaries which the mind made are beyond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Wonhyo quoted sentence in "Sipjigyeongron(十地??)" as an authority which can explain it. Third, the stage of One Mind is not real and is not non-real. Mind is the boundary of the disappearance of any calculative mind. Fourth, One Mind is not different and is not distinct and carlm, but according to conditions it is carlm and is full of life, therefore they are not different and same(不一不異). Fifth, One Mind becomes many minds because of brightnessless(无明). If we would remove brightnessless in many minds, they could go back to One Mind. Sixth, finally the state of One Mind is that of Buddha`s wisdom, is appeared to four kinds of wisdom(四智), is explained in five different shapes(五相).

      • KCI등재후보

        분황 원효 『대승기신론소』의 내용과 특징 - 『대승기신론별기』와 『대승기신론이장의』와 관련하여 -

        고영섭 ( Ko Young-seop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0 불교 철학 Vol.6 No.-

        이 논문은 분황 원효(芬皇元曉, 617~686)의 일심 철학이 대승불교의 종 요서인 『대승기신론』에 대한 일련의 주석 작업을 통해 이루어졌음을 그의 현존하는 『대승기신론별기』, 『대승기신론이장의』와 만년작인 『대승기신론소』의 내용과 특징을 중심으로 논구한 글이다. 고타마 싯다르 타는 생사 윤회를 넘어 해탈 열반을 성취하였다. 그리하여 샤카무니 붓다는 깨침 혹은 깨달음을 향한 보다 의미 있고 좀더 가치 있는 삶의 길을 열어주었다. 그의 제자들과 불학자들은 그 길을 걸어 나가면서 불교사상사를 새롭게 써 나갔다. 마명은 『대승기신론』으로 깨침 또는 깨달음을 향한 가치와 의미를 드높인 삶의 지형도를 그려내었다. 원효는 7세기 당시 동아시아 불교사상사에서 주요한 논제였던 구역과 신역의 문제, 성종과 상종의 대립, 공집과 유집의 갈등, 무성과 유성의 논쟁 등의 다양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여러 경론을 통해 회통의 근거를 구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는 대승불교의 종요서라고 평가받는 『대승기신론』을 만났다. 원효는 『대승기신론』의 심식설에서 각(覺)과 불각(不覺)의 화합의 속성을 원용하여 삼세 아리야식의 각의(覺義)와 불각의(不覺義)의 이의성(二義性)에 의해 유식학의 아뢰 야식이 지니고 있는 연기의 주체로서의 막연한 잠재심(潛在心)을 넘어 기신학의 아리야식이 지니고 있는 미세한 삼세심(三細心)을 끊어야 깨달을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원효는 진나와 신인명설을 원용하면서도 그것을 자신의 안목 속에서 취사선택하여 철학적 논제를 해결하였다. 그 과정에서 일찍이 볼 수 없었던 독자적 해석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그러한 해석은 당시의 여러 인명학자들에게 타당하게 받아들여져 왔다. 그의 ‘구상설 적용’이나 ‘시각 사단의 사상 배대’ 그리고 ‘인명학 도입’ 등은 모두 그가 이 논서를 통해 ‘일심 철학’의 수립을 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것은 곧 범부 중생의 성불과 왕생을 위한 기획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원효에게 있어 『대승기신론』은 그의 일심 철학의 근간을 이루는 논서이며, 그의 현존하는 『대승기신론별기』와 『대승기신론이장의』 및 『대승기신론소』는 일심으로 통섭해 가는 철학 논서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이 논서들을 통해 중관학과 유식학의 종합 지양에서 아뢰야식과 여래장, 여래장과 일심, 여래장으로서 일심과 적멸으로서 일심을 거쳐 본법 일심으로까지 나아갔다. 그의 만년작인 『금강삼매경론』 또한 그 가 완수하고자 한 기신학의 일심 철학을 끝까지 궁구한 저작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원효는 ‘일심’의 ‘일’을 우리의 본래‘마음’인 ‘심’을 ‘하나로 통하게 하는’ 역동적인 동사적 국면으로 파악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how the ideology of Wonhyo (元曉, 617-686 AD) was formed based on the ideas of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hereafter AFM). The current study is mainly based on his commentaries, such as CAFM and Abbreviated Reference to the AFM and System of the Two Hindrances in the AFM. Buddha attained enlightenment and thus opened a new path to the human race, which led to a more valuable and meaningful life. His followers and Buddhist scholars were able to develop new ideologies as a result of following the path opened by Buddha. In the case of Aśvaghosa, he improved the value and meaning of human life by presenting AFM to all human beings. For Wonhyo, he tried his best to reconcile and unite sets of various ideologies in the seventh century that seemed to contradict each other, such as old and new translations of the sutras, the Dharma-nature and Dharma-character schools, attachment to emptiness and attachment to existence, self-nature and non-self nature, and so on. While doing so, he encountered AFM,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doctrinal essentials of Mahayana Buddhism. He focused on the non-duality of enlightenment and nonenlightenment in the system of the human mind in AFM, and he applied it to the enlightened and non-enlightened character of Alaya consciousness in the Consciousness-only school. As a result, he proved that one could attain enlightenment if only one could overcome three subtle marks in the Ariya consciousness, unlike the ideology of Consciousness-only school, which considers Alaya consciousness only as the basis of samsara. Wonhyo accepted the idea of Dignaga’s new Buddhist logic, but he did so under a thorough discernment in accordance with his judgement. Through this process, a new interpretation regarding Buddhist logic was developed, and this interpretation was widely accepted as fair among Buddhist logicians. However, he developed two theories: “Nine modes of activity of ignorantly activated karma”, and “Correlating four marks of actualized enlightenment with the four marks of existent phenomena.” This can be understood as his attempt to establish his One Mind philosophy based on AFM. These attempts also can be understood as his plan to provide enlightenment and rebirth in the Pure Land for the general public. AFM is the basis of Wonhyo’s One Mind philosophy, and his commentaries, such as CAFM, Abbreviated Reference to the AFM, and System of the Two Hindrances in the AFM, are the books that guide us to the ideology of One Mind. Through these commentaries, we can discover the many steps he took in developing his philosophy. He first reconciled and united the Madhyamaka school with the Consciousness-only school; then, he reconciled and united Ariya consciousness with tathagatha-garbha. He then did the same with tathagatha-garbha and One Mind. Later, he continued doing the same with One Mind and tathagatha-garbha and One Mind and extinction. He eventually attained insight that accepted One Mind as the Original Mind. His commentary on Vajrasamādhi-sutra can be understood as his attempt to perfect his One Mind philosophy based on AFM.

      • KCI등재

        레비의 가상화와 원효의 화쟁사상

        이효걸(Lee, Hyo-gul) 불교학연구회 2010 불교학연구 Vol.27 No.-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가상현실을 일상적으로 경험한다. 가상현실이 넘치는 사회는 현실을 기반으로 형성된 근대적 자아 정체성을 해체시킨다. 그러므로 가상현실을 과학기술적 관점에서만 볼 것이 아니라 인간학적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 가상현실을 인간학적 관점에서 탐구할 때, 가상현실에서 중요한 것은 인간정신의 '가상화'문제다. 가상현실이라 할 때의 '가상'이란 말은 플라톤의 '시뮬라크라' 개념과 비슷하다. 그렇지만 플라톤의 시뮬라크라 개념은 복제물로서 무가치한 것이었으나, 질 들뢰즈(Gilles Deleuze:1925-1995)는 이것을 '원형을 뛰어넘어 자신을 창조하는 역동성'으로 새롭게 해석한다. 들뢰즈의 이런 생각을 이어받은 피에르 레비(Pierre Levy:1956-)는 '가상(virtual)'에서 중요한 것은 현실에서 가상으로 향하는 이행이며 개체를 상승시키는 '가상화(virtualization)'라고 말한다. 가상화가 시공간적 무대에 고착되어 있는 현실화의 위험성을 고발하고 그 제약을 뛰어넘을 수 있는 탈출로를 제공하고 있는 점은 의미가 있다. 그러나 가상화를 통해 우리는 과연 자신을 창조하며 자족적 존재감을 맛볼 수 있는가? 가상화의 일종인 스토리텔링은 대리충족감을 주고 있으므로 레비의 가상화 개념에 자족적 존재감이 있는 것 같아 보인다. 그렇지만 스토리텔링의 충족감은 곧 '카타르시스'를 말하는 것으로, 이야기를 통한 억눌린 감정의 대리만족이며 심리적 보상을 말한다. 그것은 '하고자 한 바의 구현'으로서 자기충족이라 할 수 없다. 왜냐하면 가상화의 자기충족은 외부세계에서 그 구현을 꿈꾸기 때문이다. 『대승기신론』의 관점에서 레비의 가상화를 본다면, 가상화의 의식활동은 의식의 자기분열 과정이므로 거기에 자족감이나 안정감이 있을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레비의 가상화는 『대승기신론』의 一心二門 가운데 생멸문에 해당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레비의 가상화가 생멸문과 같지 않는 것은 진여문을 설정하지 않는 점에 있다. 『대승기신론』의 생멸문은 진여문의 자기전개에 지나지 않는다. 더구나 『대승기신론』은 진여문과 생멸문이 다르지 않다는 사실을 아는 깨달음을 얻는다면, 생멸문에서도 자기충족적 존재감을 맛볼 수 있다고 한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원효의 화쟁사상은 깨달음을 전제로 진여문과 생멸문을 두 축으로 하여 의식활동을 자유롭게 왕래하는 데서 자족적 존재감(自在)을 맛볼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레비의 가상화를 보면, 레비가 말하는 인간의 자기 창조는 한계가 엿보인다. 거기에는 자유로운 생각의 설정과 그 내재적 실현이 있다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원효의 화쟁사상이 가상현실이 넘실거리는 우리사회에서 더욱 빛을 발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According to the benefit of digital-technology development, we experience virtual reality everyday . However, a society filled with overflowing virtuality is dissolving our modern Self-Identity molded on the base of reality. Therefore, we have to approach the virtual reality from a humanics point of view as well as one of technology. When we study virtual reality from a humanics point of view, what matters the most in the virtual reality is the 'Virtualization' of the human mind. The meaning 'Virtual' in virtual reality is similar to the concept of 'simulacra' suggested by Platon. The concept of 'simulacra' of Platon refers to 'the worthlessness' because it is nothing but a copy of reality; however, Gilles Deleuze(1925-1995) has made a new interpretation of 'dynamism creating self-identity beyond originality'. Pierre Levy (1956-) succeeded the ideas of Deleuze and insists that the concept of 'Virtualization'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concept of 'Virtuality'. It makes sense that we can predict the risk of 'Actualization' bounded to time-space stage unmovable and find the way to escape from the restriction of 'Virtualization'. Nevertheless, can we create ours elves and make our presence felt with self-satisfaction by virtualization? Story-telling(a kind of virtualization) gives us the sense of substitutive satisfaction and Levy's concept of Virtualization seems to have the sense of self-satisfaction. In spite of that, as we can say that to experience the sense of satisfaction by story-telling is a kind of catharsis, we come to know that satis fact ion by story-telling is the substitutive satisfaction of depression or psychological compensation. Therefore, we cannot say it is the satisfaction previously mentioned because it is not the realization one wants to become true. The basic reason why the self-satisfaction by virtualization cannot be fulfill ed is located in realizing one's dream in the outside world If we examine Levy's concept of Virtualization from the standpoint of The Awakening of Faith(『大乘起信論』), we find there is no self-satisfaction or stability because the activity of consciousness is the process of self-division. In addition, we can find that Levy's concept of Virtualization seems to belong to The Mind in Terms of Phenomena(生滅問) of One Mind and Its Two Aspects(一心二問); however, we can come to kn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that there is no set up of The Mind in Terms of the Absolute(眞如問). The Mind in Terms of Phenomena of The Awakening of Faith is nothing but another development of The Mind in Terms of the Absolute.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Awakening of Faith, "If we can get the enlightenment that The Mind in Terms of Phenomena is identical to The Mind in Terms of the Absolute, we can feel the sense of Human Being with self-satisfac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Wonhyo's thoughts on Harmonization, it is said that we can experience self-satisfaction as Human Being in consciousness-activity of freely coming and going between The Mind in Terms of Phenomena and The Mind in Terms of the Absolute on the assumption that we have the enlightenment of One Mind. Considering Levy's concept of Virtualiz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the limit of the creating self-identity mentioned by Levy is revealed to us because there is no free setting of one's own thinking and its immanent realization. This is the reason why Wonhyo's thought of Harmonization is glowing still more in our society of overflowing virtual reality.

      • KCI등재

        원효의 깨달음 여체여용(如體如用)

        김영미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64

        원효는 『대승기신론별기』에서 진여문(眞如門) 가운데 ‘사(事)’를 생략해 놓았다고 밝힌다. 이 문장을 기반으로 『대승기신론』에서 진여문(眞如門)과 생멸문(生滅門)을 각각 ‘이(理)’와 ‘사(事)’로 나눠서, 진여문과 생멸문의 이(理)를 모두 ‘여체(如體)’로 상정하고, 진여문과 생멸문의 사(事)를 모두 ‘여용(如用)’이라고 상정하였다. 통상적으로 일심(一心)을 체용(體用)으로 구분하면, 체(體)를 적멸로 하고, 용(用)을 여래장(如來藏)으로 할 수 있다. 이(理)의 체는 생멸상(生滅相)이 사라졌지만, 상주성(常住性)이 아니기 때문에, 연을 따라서 자유롭게 생멸한다. 여체여용(如體如用)으로 진여문이 여체(如體)에 한정되나 생멸문이 여용(如用)에 한정되지 않기에, 자유자재한 일여 경지를 이루게 된다. 오도(悟道) 후 원효는 ‘마음이 생하니 모든 법이 생한다.’라고 했다. 그 뒤 최후의 저서로 알려진 『금강삼매경론』에는 생(生)이 바로 멸(滅)이고 멸(滅) 자체가 생(生)이라고 하여 ‘생멸무이경지’를 설명한다. 여(如)의 경지는 적멸하지만 공(空)에도 얽매이지 않는 묘공(妙空)이다. 고정상이 없으므로 진여의 작용에 걸림이 없다. 진여에서 만법이 생하지만 근본이 공하기 때문에, 그 위에 만들어진 상(相)도 공하다. 여체여용(如體如用)의 경지에서는 집착하는 하나가 없어서 둘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고, 생한 둘의 근본도 역시 공(空)이다. 여체여용(如體如用)은 체(體)에 머물러 용(用)이 가능한 경지로 생멸문과 진여문이 각각 분리되지 않은 여(如)의 경지를 의미한다. 이 경지는 유무의 상(相)이 사라지고 이분법의 논리를 벗어난 초지(初地) 보살 이상의 경지이다. 여체여용(如體如用)은 체(體)에도 용(用)이 있고, 용(用)에도 체(體)가 있는 원효의 자유로운 깨달음의 경지이다. One of the important figures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Wonhyo, is famous for his deep understanding of Buddhist teachings and his original interpretation of scriptures. This paper explains his core insights in terms of the concept of the essence of thusness․the function of thusness(如體如用). Wonhyo is said to have omitted the ‘external activity(事)’ of the true-thusness aspect in the Expository Notes on the Awakening of Faith(大乘起信論別記). Based on this sentence, this paper distinguishes the true-thusness aspect and the production-and-extinction aspect in the Awakening of Faith into fundamental essence(理) and external activity(事) and shed light on them in terms of the essence of thusness․the function of thusness(如體如用) respectively. Generally, given that the one mind can be divided into the essence(體) and function(用), the essence can be splitted into the true-thusness aspect of the calm extinction and the function into the production-and-extinction aspect of the womb of the Tathāgata. At this time, the fundamental essence of the true-thusness aspect(眞如門) and the production-and-extinction aspect(生滅門) is referred to as ‘the essence of thusness(如體)’, and the external activity of the true-thusness aspect and the production-and-extinction aspect is assumed to be ‘the function of thusness(如用)’. The essence of thusness․the function of thusness(如體如用) is the state of enlightenment of Wonhyo, where the function of thusness(如用) is within the essence(體), and the essence of thusness(如體) is also within the function(用). The essence of fundamental essence(理) is something out of the form of arising and ceasing aspect of the mind, but because it doesn't guard the permanent self-nature itself, it freely arises and ceases(生滅) according to causes and conditions(緣) of avidyā. Through the essence of thusness․the function of thusness(如體如用), one achieves a free and versatile state of oneness(一如境地), the true-thusness aspect(眞如門) is not limited to the essence or the production-and-extinction aspect is not restricted to the function, After awakening, Wonhyo said, “Because of the arising of thought, various phenomena arise, since thought ceases, a cave and a grave are not two.”(心生故種種法生 心滅故龕墳不二).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s, his thought develops into the Dharma of nonduality, which is `extinction is in fact production and production is in fact extinction' and extinction and production are not two. The essence of thusness․the function of thusness(如體如用) represents the state of his free enlightenment. There's no proper way to account the stage of thusness in terms of existence and non-existence. Indeed, thusness is a marvelous emptiness(妙空) that is calm extinction, but not bound by emptiness(空). In addition, it doesn't have obstacle in making use of it because it dosen’t possess any fixed form. Although it gives rise to all dharmas, its root is void, and the form established upon it is also void. Since it has nothing to cling to, it is possible to manifest two, and the root of the two that arise is the void. Furthermore, The essence(體) has the potential for function(用), and the function(用) contains the essence(體). The essence of thusness․the function of thusnes(如體如用) represents the state of Wonhyo, who stays in the essence(體) of the thusness(眞如) and performs the function(用), and it means that the true-thusness aspect and the production-and- extinction aspect do not separate from each other. It is the state of enlightenment of Wonhyo, who has transcended the logic of dichotomy, with the form of existence and nonexistence disappearing and contains the core of his Buddhist teachings.

      •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수행신심분修行信心分」 지관문止觀門 수행에 대한 소개

        최동석(Dong-Seok CHOI)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21 가톨릭사상 Vol.- No.63

        『대승기신론』은 대승불교 경전에 설해져 있는 모든 사상을 회통하여 이론과 수행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걸작이다. 불완전하고 흔들리는 중생의 마음이 어떻게 믿음을 일으켜 깨달음에 도달할 수 있는지를 밝히고 있다. 『대승기신론』은 서분, 정종분, 유통분으로 전개된다. 이 세 가지 가운데 정종분은 다시 「인연분」·「입의분」·「해석분」·「수행신심분」·「권수이익분」의 5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 소고에서는 「수행신심분」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수행신심분」은 수행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데, 열등한 이들이 보다 높은 단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네 가지 신심을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첫째는 진여법을, 둘째는 부처를, 셋째는 법을, 넷째는 승려들을 믿는 것이다. 그리고 진여본성의 믿음을 이루기 위한 다섯 가지 실천 방편문이 제시되는데 그 내용은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지관수행이다. 특히 지관수행을 자세히 다룬 내용이 지관문이다. 여기서는 ‘지’ 수행과 ‘관’ 수행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이 두 가지를 함께 닦아 나가는 ‘지관쌍수’를 강조하고 있다. 지관수행에 대한 이해는 가톨릭교회의 묵상기도와도 비교해 볼 수 있겠다.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āyāna is a masterpiece that systematically organizes theory and practice through all ideas established in Daeseung Buddhism scriptures.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āyāna is developed into Introduction, Adoration, and Discourse. Adoration is again composed of 5 chapters Introductory, General Statement, The Explanation, Practice of Faith, Benefit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introduce the Practice of Faith. The Practice of Faith deals with the contents of performance, and presents four beliefs so that the inferior can move on to a higher level. For example, The first is the faith in the Ultimate Source. The second is the faith in the numberless excellent qualities of the Buddhas. The third is the faith in the great benefits of the Dharma. The fourth is the faith in the Sangha. And there are five practices that enable a person to perfect his faith. They are the practice of love, observance of precepts, perseverance, zeal, the cessation of illusion and the practice of clear observation. Through the practice of Śamatha or Vipaśyanā , we can get rid of all worries, stay away from the inversion of falsehood, and achieve the two methods of concentration and wisd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