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NTIS 홍보 콘텐츠와 웹 페이지뷰의 상관관계 분석

        김소현(Sohyun Kim),김윤정(Yunjeong Kim),신동구(Donggu Shin),정회경(Hoekyung J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3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7 No.1

        최근 다양한 웹 페이지나 SNS(Social Network Service) 채널에서는 이용자들의 감성분석을 활용한 마케팅이나 뉴스데이터를 이용한 정부 정책 연구논문과 특허 데이터를 활용한 최신 연구동향 분석, 구글이나 네이버와 같은 포털사이트 이용자들의 검색어 랭킹 분석 등 다양한 콘텐츠들의 소비 패턴을 분석하여 서비스 품질 제고를 위한 인사이트로써 활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에서 홍보 콘텐츠가 NTIS 이용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상관관계를 정의하였다. 2020년~2022년 3개년동안 NTIS 홍보 콘텐츠와 NTIS 페이지뷰를 정량 분석한 결과 NTIS 이용량이 2022년에 1.17배(약 460만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고 특히 즉시적인 정보의 파급효과가 큰 SNS 채널의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NTIS가 콘텐츠와 채널들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홍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지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Recently, on various web pages or SNS (Social Network Service) channels, marketing using sentiment analysis of users, analysis of the latest research trends using government policy research papers and patent data using news data, and portal site users such as Google and Naver It analyzes consumption patterns of various contents, such as search word ranking analysis, and uses them as insights to improve service quality. In this paper, the effect of promotional contents on NTIS usage in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Knowledge Information Service (NTIS) was analyzed and the correlation was defined. As a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of NTIS promotional content and NTIS page views for three years from 2020 to 2022,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of NTIS increased by 1.17 times (approximately 4.6 million cases) in 2022. By confirming the effect, implications for how NTIS can effectively utilize contents and channels in the future to maximize publicity effects were derived.

      • KCI등재후보

        NTIS측면에서 본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및 호환표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송충한(Song Choong Han),설성수(Seol Sung Soo) 한국기술혁신학회 2006 기술혁신학회지 Vol.9 No.3

        과학기술부는 국가 과학기술정보의 체계적인 수집, 분석 및 배포를 위해 국가차원에서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NTIS)을 구축하고 있다. 성공적인 NTIS의 추진을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유통시킬 수 있는 분류체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와 각 기관의 분류를 상호 연계하는 호환표를 사용하여 NTIS를 구축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하여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현행 분류체계를 이용하는 경우 정보의 유통이 원활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성공적인 NTIS의 구축을 위해서는 새로운 분류체계가 고려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MOST) has a plan to establish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NTIS). For successful NTIS, there are three pre-standardizations. Standard classification is the one of the three standardizations. In this paper, the validity of current 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NSCST) is analyzed for three aspects. One is the duplication of NSCST, one another is the high ratio of incorrectness of information changed by mapping table and the last is the incorrectness of the mapping table itself. So for the successful NTIS a new Science and Technology Classicication shoud be considered.

      • KCI등재

        NTIS 원시데이터 기반 국가R&D투자 성과 분석: 경상남도 스마트팜 산업화 사례

        박진한,임정선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22 지역산업연구 Vol.45 No.4

        세계 주요국들은 자국의 혁신역량을 평가하거나 미래정책을 기획하는 과정중에 객관적인 데이터 분석 결과를 활용하려는 수요를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미국과 유럽 등의 선진국들은 국가R&D 투자·성과를 분석하는 용도의 시스템(국가 R&D 모니터링 시스템)을 연구·개발하여 왔다. 선진국들은 지역(region)이 혁신역량의 근간임을 인식하고, 국가·지역 간 혁신역량을 분석·비교 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고도화 중이다. 대한민국 역시 R&D 투자·성과 DB(NTIS DB)에 기반한 국가 R&D 모니터링 시스템(R&D PIE)을 개발하여, 정부의 투자성과 분석 및 정책개발에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국가조사분석평가서나 NTIS 시스템에서 다루지 못하던, 시군구 수준의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R&D PIE용 신규 분석 방법론을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방법론을 적용한 사례연구로서, 대한민국정부가 경상남도 스마트팜 분야에 연구개발 투자하여 유발된 성과들(매출총계, 거점지역, 주요생산품, 주요기술 등)을 부처-지역-6T(기술분류)-제품-핵심기술 간 연계관계를 매개하여 분석하였다. 경상남도의 스마트팜 사례는 기술 분류상 1~2세대(원격제어·데이터 기반 정밀 생육관리)가 겸비된 수준으로 나타나 3세대(인공지능·무인화) 로의 이행을 위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본 연구는 국가 R&D 투자에 관한 데이터 저장소의 역할을 해왔던 NTIS의 방대한 DB를 유의미하게 활용할 수 있는 신규 분석방법론을 제안하고 있으며, 본 시스템은 국가 R&D 투자 분야별, 지역별, 산업단지별 기술혁신 정책 개발 등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국내 공공정보시스템의 국제기술이전 사례연구 및 NTIS 제언

        이은지,강인제,임철수,최기석,이병희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0

        It is well known that international technology transfer(ITT) is relatively more difficult than the domestic technology transfer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interest, technology level, culture and other various macro-environmental conditions. This study aims to derive recommendations for ITT of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NTIS) of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MSIP) by conducting case study of ITT in domestic public information systems. The cases are the national agencies that performed successfully in ITT. The cases are Korea Customs Service(KCS)’s customs administration system(UNI-PASS), Public Procurement Service(PPS)’s Korea On-Line E-Procurement System(KONEPS), and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KIPO). After studying on how the cases proceeded ITT, this paper suggests proper preparation strategies in the view point of information marketing. 국제기술이전은 이해관계 불일치, 기술수준, 문화 등 여러 거시적 환경여건의 차이로 국내기술이전보다 더 어려운 점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마케팅의 관점에서 국내 공공정보시스템의 국제기술이전 사례연구를 통해 미래창조과학부 NTIS의 해외진출에 관해 제언하고자 한다. 국내 공공정보시스템 국제기술이전의 대표적 성공사례로 평가되는 관세청, 특허청, 조달청의 국제기술이전을 성공시키기까지의 과정을 분석하여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의 국제기술이전 촉진을 위한 정보마케팅 관점에서 사전준비전략을 제시한다.

      • KCI등재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인공지능 관련 국가R&D 연구동향 분석

        양명석 ( Myungseok Yang ),이성희 ( Sunghee Lee ),박근희 ( Keunhee Park ),최광남 ( Kwangnam Choi ),김태현 ( Taehyun Kim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1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2 No.5

        특정 주제분야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은 대부분 논문, 특허 등 문헌정보를 대상으로 한 키워드 추출을 통해 토픽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여 주요 연구주제와 연도별 추이 등을 살펴보는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에서 제공하는 인공지능 관련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정보를 대상으로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토픽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주제와 관련된 토픽들을 추출·분석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연구주제와 투자방향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NTIS는 국가연구개발사업·과제정보를 비롯하여, 논문, 특허, 보고서 등 연구를 통해 생성된 주요 연구개발성과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양의 국가R&D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NTIS 통합검색에서 인공지능 키워드와 관련된 분류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결과를 확인하고, 최근3개년 과제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기초데이터를 구축하였다.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LDA 토픽모델링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기초데이터 (연구목표, 연구내용, 기대효과, 키워드 등)를 대상으로 관련 토픽과 주제어를 추출하고 분석하여 연구투자방향에 대한 인사이트를 도출하였다.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specific subject areas is performed by examining related topics and subject changes by using topic modeling techniques through keyword extraction for most of the literature information (paper, patents, etc.). Unlike existing research methods, this paper extracts topics related to the research topic using the LDA topic modeling technique for the project information of national R&D projects provided by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Knowledge Information Service (NTIS)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By analyzing these topics,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opics and investment directions for national R&D projects. NTIS provides a vast amount of national R&D information, from information on tasks carried out through national R&D projects to research results (thesis, patents, etc.) generated through research. In this paper, the search results were confirmed by performing artificial intelligence keywords and related classification searches in NTIS integrated search, and basic data was constructed by downloading the latest three-year project information. Using the LDA topic modeling library provided by Python, related topics and keyword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for basic data (research goals, research content, expected effects, keywords, etc.) to derive insights on the direction of research investment.

      • KCI등재후보

        R&D 활성화를 위한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서비스 (NTIS:National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 활용 방안

        정연덕 경북대학교 IT와 법연구소 2010 IT와 법 연구 Vol.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egal standards in the field of Korean NTIS(national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 NITS is the central resource for government-funded scientific, technical, engineering,and business related information. Korean government invest lots of resource in R&D(Research and Development). However, outcome of these investment does not spread to companies. These days patent licensing strategy is dramatically changing. Thus "Invention Capital"buys not only patent but also immature idea. After they process these idea they make strong patent portfolio. This paper aims to suggest a standard to deal with NTIS and Invention Capital. Usually university professor's research idea funded by government should be protected and developed. Using the information provide from NTIS, the public would be served by having ready access with licensing conditions to a greater amount of proprietary subject matter. Finally, it will address the need to consider issues for R&D enterprises and distribution of royalties and incentives to develop a legal frmework to deal with this problem.

      • KCI등재

        A Case Study on International Technology Transfer of Korean Public Information Systems and Recommendations for NTIS

        Eunji Lee(이은지),Inje Kang(강인제),Chulsu Lim(임철수),Kiseok Choi(최기석),Byeong-Hee Lee(이병희)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0

        국제기술이전은 이해관계 불일치, 기술수준, 문화 등 여러 거시적 환경여건의 차이로 국내기술이전보다 더 어려운 점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마케팅의 관점에서 국내 공공정보시스템의 국제기술이전 사례연구를 통해 미래창조과학부 NTIS의 해외진출에 관해 제언하고자 한다. 국내 공공정보시스템 국제기술이전의 대표적 성공사례로 평가되는 관세청, 특허청, 조달청의 국제기술이전을 성공시키기까지의 과정을 분석하여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의 국제기술이전 촉진을 위한 정보마케팅 관점에서 사전준비전략을 제시한다. It is well known that international technology transfer(ITT) is relatively more difficult than the domestic technology transfer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interest, technology level, culture and other various macro-environmental conditions. This study aims to derive recommendations for ITT of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NTIS) of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MSIP) by conducting case study of ITT in domestic public information systems. The cases are the national agencies that performed successfully in ITT. The cases are Korea Customs Service(KCS)’s customs administration system(UNI-PASS), Public Procurement Service(PPS)’s Korea On-Line E-Procurement System(KONEPS), and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KIPO). After studying on how the cases proceeded ITT, this paper suggests proper preparation strategies in the view point of information marketing.

      • KCI등재

        국가과학기술정보서비스플랫폼 NTIS 지속적 사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UTAUT 및 TTF모형을 중심으로

        최은빈,손달호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22 情報시스템硏究 Vol.31 No.2

        Purpose In 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NTIS users' behavioral scientific behaviors and determinants, an integrated model of the UTAUT(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model and TTF(Task-Technology Fit) model, which are frequently used MIS field, was presented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Design/methodology/approach In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researchers from organizations carrying out national R&D projects, institutions, universities, and dedicated management institutions and the collected data verified hypotheses established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ackage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Findings The results showed that NTIS users' business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ask-technology fit and task-technology fit had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expectation, effort expectation, and continuous intention-to-use intention. In addition, the performance expectation, effort expectation, and promotion conditions presented in research model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ntinuous intention-to-use.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through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substantially to subsequent research in the field related to information sharing platforms.

      • NTIS 데이터를 활용한 BCG 매트릭스 기반의 R&D포트폴리오 분석 프레임워크 개발 및 BT출연연구기관 분석 사례

        김경남(Kyung-nam Kim),김흥열(Heoung-yeol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11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하는 연구기관의 경우, 연구기관의 역할과 기능에 따라 R&D포트폴리오를 적절히 구성하고 있는지 점검하고 향후의 전략방향을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무현장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R&D포트폴리오 분석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NTIS의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 데이터를 활용한 BCG 매트릭스 기반의 R&D포트폴리오 분석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으며, BT분야 출연연구기관의 분석 사례를 통해 실제 실무에서의 활용 방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정부출연연구기관 등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기관에서는 손쉽게 R&D포트폴리오 매트릭스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case of research institutes carrying out national R&D projects,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R&D portfolio is properly formed according to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research institutes, and to derive future strategic directions.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BCG matrix-based R&D portfolio analysis framework using NTIS national R&D project data to develop an R&D portfolio analysis method that can be easily used in the field. Through this, we looked at how to use in actual practice. Through this research, institutions that conduct research based on national R&D projects such as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can easily apply the R&D portfolio matrix method.

      • KCI등재

        성별에 따른 과학기술분야 국가 R&D 연구성과 분석 : NTIS와 Web of Science 데이터를 중심으로

        최현진(Hyun-Jin Choi),윤빛나리(Bitnari Yun),박완(Wan Park),권오진(Oh-Jin Kwon) 한국전자통신학회 2021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6 No.1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과학기술분야 국가 R&D 연구성과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Web of Science에 수록된 1990년부터 2018년까지 과학기술분야 SCI 등재 논문과 국가과학기 술지식정보서비스(NTIS)의 2007년~2016년까지 10년간의 국가R&D 성과 논문을 매핑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평균 피인용 횟수, Time-lag, Impact factor의 세 가지 지표를 기반으로 성별에 따른 과학기술분야 연구성과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연구성과의 전반적인 지형은 여전히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남녀 간의 주요 연구성과를 구성하는 주제분야의 차이 역시 매우 두드러졌다. 한편, 10개 주제분야를 대상으로 한피인용 횟수와 Impact factor에서는 여성 연구자의 연구성과 피인용 횟수 및 Impact factor가 더욱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national R&D research outcom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ccording to gender.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mapping WoS SCI(E) papers from 1990to 2018 and NTIS R&D papers from 2007 t0 2016.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research achieve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according to gender based on three bibliometic indicators - average Times cited, Time-lag, and Impact factor – we found that the overall topography of research achievement was still male-centered, and the differences in the main research area between male and female were also very prominent. On the other hand, in top 10 research areas, it was confirmed that female researchers’ outcomes were higher in the number of Times cited and Impact fa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