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객자산 형성요인과 점포선택 모형에 관한 연구

        한상설(Sang seol Han) 한국경영사학회 2009 經營史學 Vol.52 No.-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점포선택에 관한 행동을 토대로, 특정 점포를 선택하게 되는 요인을 확률적으로 검증하고, 특정 점포를 선택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함에 따라 소매점 입지 및 소매점 관리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확률적 선택 모형은 Logit 분석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한편, 점포 선택 요인은 최근 논의되고 있는 고객자산 가치 구성요인으로 가치자산, 브랜드 자산, 유지자산 등을 고려하여 소비자 선택 영향력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그리하여 점포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소비자의 공간이동의 마케팅적 의미를 통해 소비자 행동을 연구하는데 하나의 실증적 정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간적인 선택 모형을 감안하여 서울시 특정구 지역으로 한정하였다. 그리하여 특정지역에 거주하면서 패밀레스토랑과 백화점을 이용하는 250명을 대상으로 소매점포 선택 행위에 대하여 조사 분석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특정점포에 대한 재방문의 높은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의 Logistic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점포선택확률을 규명하였다. 백화점, 패밀리레스토랑 점포업태에 각각 점포선택확률 모형에 대한 적합도와 예측력을 검토하고, 고객자산 가치를 형성하는 요인 중 해당점포를 재방문하게 하는 영향 요인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 고객자산 형성요인은 특정점포를 선택하는데 중요한 요인이며, 업태별로는 재방문에 대한 세부 영향요인이 차이를 보였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decisions that retailers make is where store should be located, and that consumer’s consideration facto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est stochastic model of store choice and factors of influencing store choice. This study can help make store location and plan store strategy. In this research, A model of store choice is used with multinominal logit model. In this stochastic model of the study. and Store choice variables is considerated customer equity theory that have value equity, brand equity and retention equity. To accomplish study objective and for empirical data for this study, Specific store(department store, mass discount, family restaurant) in kangmam-ku seoul, are selected as subjects. The data of 250 consumer are collected by face to face survey. Result of an empirical study provide support for probable test(likelihood) and expectation ratio are high. In case of department, trip distance, extents of spatial competition, potential consumer, trip convenience, interior level product variety are significant factors in this research. In case of mass discount store, trip convenience, price level, store size, product quality are significant factors in this research. In case of family restaurant, extents of spatial competition, store size, customization level, quality, communication of social reference group, self-image are significant factors in this research. This research have implication where to locate and how to manage store. retailer could use them as important information to locate store and to induce customer satisfaction.

      • KCI등재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생체인식기술활용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선호 분석 연구

        장성순,최재영 한국혁신학회 2018 한국혁신학회지 Vol.13 No.4

        As the smart devices equipped with biometrics technology is deployed, it is getting important to provide services with high security authentication. In this study, consumer’s preference on the services which utilize various biometric informations for authentication such as retina, fingerprint, voice, and face, has been studied by using Conjoint Analysis. In this paper, by collecting stated choice preference data from a survey of 339 consumers which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March 2016 in a face-to-fac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for the resi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consumer’s preference for biometrics has been analyzed by using Multinomial Logit Model, Mixed Logit Model and market share simulation using the parameters from the models. As a result, all of the major attributes such as usage cost, service field, infrastructure, authentication characteristics, authentication time, possibility of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for utilizing biometric servic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consumers’ choice of devices/services equipped with biometrics technology. Especially,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probability, authentication time, and usage cost are estimated to be the core attribute.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successful deployment of devices/services equipped with biometrics technology for authentication through market share simulation. 최근 생체인식기술을 탑재한 스마트 기기들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이를 활용한 높은 보안 인증이 요구되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망막, 지문, 음성, 얼굴 등 개인의 신체 정보를 기반으로 한 생체인식기술들이 활용될 수 있는 서비스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 서비스들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 체계를 컨조인트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자료 수집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거주민을 대상으로 일대일 대면설문 방식으로 2016년 1월부터 3월까지 총 339명의 소비자에 대한 컨조인트 실험설문을 수행하였으며, 이후 대표적인 이산선택모형인 다항로짓(Multinomial Logit Model) 및 혼합로짓모형(Mixed Logit Model)을 활용하여 소비자 선호 함수를 추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추가적인 시장점유율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분석의 결과, 사용 비용, 적용 분야, 인프라, 신체 부위, 인식 소요시간,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 등 생체인식기술들이 활용될 수 있는 서비스들을 구성하는 주요한 속성들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인의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가운데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 인식시간, 사용 비용의 순서로 개인의 선택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높은 수준의 보안 서비스 제공과 빠르고 정확한 인식 및 낮은 사용 비용이 생체인식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시장에 확산되기 위해 무엇보다 필요함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가상적인 상황에서의 시장점유율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하여 빠른 시간 내에 소비자들의 선택을 높일 수 있는 생체정보기술 조합, 기술 개발 방향을 추가적으로 모색하였다.

      • KCI우수등재

        제도적 논리와 조직정치, 그리고 조직의 균형전략: 성과주의 인사제도의 제도화 과정을 중심으로

        최선규 한국사회학회 2019 韓國社會學 Vol.53 No.3

        An institutional environment is composed of multiple stakeholders, each with different interests, values, and purposes. Therefore, the process of introduction and diffusion of new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s involves conflicts and struggles between stakeholders who stick to an old institutional logic and stakeholders who advocate a new one. In this study, based on institutional logic, I examined how the demands of pluralistic stakeholders with different interests and goals impact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erformancebased human resource management(hereinafter called “P-based HRM”). And it investigated how organizations respond to the conflicting demands of an institutional stakeholders. To this end, the study used data from the Third Wave (2009) to the Fifth Wave (2013) of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of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analyzed it with a panel multinominal logit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found that the larger the size of the human resources department of an organization intensifies the adoption of the P-based HRM. On the other hand, it is found that a labor union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intensity of adopting the P-based HRM. Second, it is expected that the more reinforced that P-based HRM which stresses a linkage between performance and graded compensations, the greater the tension between the labor union and human resource managers. Thus,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sity of the P-based HRM and the type of strategy for reflecting graded incentive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organizations which introduce and operate both an Yeonbongje and management by objectives (MBO) are more likely to select a balancing strategy that keeps a proper ratio reflecting individual-based incentives and group-based incentives than other organiz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based HRM can be perceived as the process that each stakeholder political struggle for enhancing their status, power and legitimacy within the organization. Also, this study shows that organizations flexibly and strategically respond to the pressures of pluralistic, complex institutional environment for the legitimacy, resources, and internal stability, which are essential for an organization to survive. 제도적 환경은 서로 다른 이해와 가치, 목적을 가진 이해관계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새로운 제도의 도입과 확산 과정에는 기존의 제도를 고수하는 이해관계자와 새로운 제도를 지지하는 이해관계자들 사이에 갈등이나 투쟁이 수반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도적 논리를 토대로 서로 다른 이해와 목적을 지닌 다원적인 이해관계자들의 요구가 성과주의 인사제도의 제도화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였다. 그리고 상충하는 이해관계자의 요구에 노출된 조직이 어떠한 방식으로 대응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 3차년도(2009년)~5차년도(2013년) 자료를 활용하여 패널 다항 로짓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인사부서의 규모가 클수록 성과주의 인사제도 도입 강도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노동조합은 성과주의 인사제도 도입 강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과와 차등적 보상 사이의 연계를 강조하는 성과주의 인사제도 운영이 강화될수록 노동조합을 비롯한 내부 구성원과 인사부서 사이의 갈등은 커질 것으로 예상하여, 성과주의 인사제도 운영강도와 차등 성과급 반영 전략 유형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연봉제와 목표관리제를 모두 도입하여 운영하는 조직일수록 그렇지 않은 조직에 비해 개인 성과급과 집단 성과급반영 비중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즉 균형전략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과주의 인사제도의 도입과 확산을 각 이해관계자들이 자신의 지위나 권력을 강화하거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치적 투쟁의 과정으로 접근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그리고 조직은 생존에 필수적인 정당성과 핵심 자원, 조직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상충하는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에 전략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행위자임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선택실험법을 이용한 심해 유인잠수정 개발사업의 과학기술적 경제적 편익추정

        진세준,임슬예,박세헌,유승훈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4 Ocean and Polar Research Vol.36 No.3

        The Korean government is considering the implementation of a project to develop a deep-sea human-operated vehicle (HOV) to improve the level of deep-sea research. Information on the scientific benefits from the project is urgently needed in order to come to a decision about whether to implement the project. This paper measures the conservation value of developing nine attributes associated with HOV by using the choice experiment (CE). A survey of about 356 experts was undertaken and 132 experts completely responded to the survey. To deal with the CE data from the survey, we employed a multinomial logit model. All the coefficient estimat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consistent with prior expectations. Therefore, we can judge that the respondents’ works required in the CE survey were within their cognitive abilities and they reported responsible and significant values. Each marginal willingness to pay for each attribute associated with the HOV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rovides good information on the scientific values with regard to developing the HOV. The results can be utilized in evaluating and planning several alternatives related to developing the HOV.

      • KCI등재

        사회서비스 지속성이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 및 참여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혼합다항로지스틱 회귀모형(mixed-effects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의 활용

        진선미 ( Jin Sun-mi ),강은나 ( Kang Eun Na ),장용석 ( Jang Yong-seok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保健社會硏究 Vol.3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만 7세 미만 미취학아동을 양육하는 여성 1,020명을 대상으로 사회서비스 지속성이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여부와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자료는 한국복지패널조사(Korea Welfare Panel Study) 제1차년도(2006 년)부터 제4차년도(2009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사회서비스 지속성이 미취학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패널로짓분석 (Panel logit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경제활동 참여 형태에 대한 영향력 분석은 혼 합 다항로지스틱 회귀모형(Mixed-effects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독립변수인 사회서비스 지속성은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여부 및 형태에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 참여 형태와 관련하여 사회서비스 지속성은 비임금근로 및 임시직 ? 비정규직 취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상용직 취업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 취학아동을 양육하는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교육수준, 배우자유무, 거주지역, 과거고용경험, 배우자의 월평균 소득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미취학아동을 양육하는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형태는 연령, 교육수준, 배우자 유무, 거주지역, 과거고용경험이 비임금근로 및 임시직 · 비정규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사회 서비스의 성격과 효과성을 규명하고, 기혼 여성의 고용가능성 및 노동시장 지위향상을 위한 정책적 그리고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ervice continuity on married women`s labor participation and employment status. The samples of this study were 1,020 married women with children under 7 years of age, and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first wave of Korea Welfare Panel Survey(KWPS, 2006) to the fourth wave of KWPS(2009). As statistical methods, Panel Logit Analysis and Mixed-effects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were used to test the factors influencing married women`s labor participation and their employment patter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ervice continuit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arried women`s labor participation. With relation to employment status, social service continui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employed and temporary/irregular job status and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regular job status. Second, the economic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is determined by age, education, spouse`s monthly income, living location, and previous occupations. Third, the employment status of married women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age, education level, spouse`s monthly income, and previous occupations. Based on these empirical findings, the study has discussed som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married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 KCI등재

        제주지역의 교통수단선택 행태에 관한 연구

        김경범(Kim, Kyung-Bum),황경수(Hwang, Kyung-S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12

        제주지역의 교통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승용차 통행자의 수요를 줄임과 동시에 이들을 대중교통으로 전환시 키기 위한 각종 정책과 대중교통 서비스의 질적 향상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통행자들의 개인특성 요인과 교통수단 선택과의 관계, 개인의 효용 요인인 통행비용과 통행 시간이 교통수단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승용차 통행자를 버스로 전환시키기 위한 대중교통 노선 개편 시 고려해야 할 요인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중교통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연구의 수행을 위해 2010년 5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다항 로짓분석을 실시 하였다. 분석결과 자택을 소유한 통행자와 가구의 가족수가 5명 이상인 통행자는 승용차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고, 통행시간 이 길어지면 버스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에 통행비용이 증가하면 승용차를 이용할 가능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In order to solve the traffic problem in jeju, we must reduce demand for car travel. In addition, demand for passenger travel by public transport policy is needed for convers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transport services are desperately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trip travel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portation choice, and personal effectiveness as a factor in travel costs and travel time on the impact of transportation choices will investigate. Restructure its public transportation routes, when to switch to buses to car traffic on the data as a basis for the factors that may be.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quality of public transport services is expected to be able to contribute. To study the performance of the May 2010 survey was conducted. And multinominal logit model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People who own homes and families with more than 5 people are likely to use cars. If a prolonged travel time is likely to use buses. However, increasing the cost of travel increases the likelihood that the car is available.

      • KCI등재

        청소년의 학령별 자아존중감 및 행복감의 차이 분석

        김호순,김정태,최창욱,문성호,김택호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6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 centered on self-esteem and happiness of youths and the change caused by the increase in school level betwe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research analyzed the final 8,420 people to eliminate the non-response for each item through the data screening process by using raw data of 8,627 youths in 2016 for the research on youth participation activity(Ⅲ)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is research used T-test and F-test for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background and analyzed Multinominal Logit Model for changes according to the level of educ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self-esteem and happines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background, the result showed that academic performance and economic level had the greatest effect on other variables and the effect of residential area was not significant. Another result shows that the happiness of our youth is very low compared to self-esteem, suggesting the urgent need for policy support to make the youth feel happiness as the school age increases. Finally, I made suggestions for limitations and future study of the result of the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을 중심으로 개인적 배경에 따른 차이와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으로 학령수준의 증가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청소년활동 참여 실태조사 연구(Ⅲ)를 위해 2016년 전국 청소년 8,627명을 조사한 원자료를 이용하여 각 문항별 무응답을 제거하는 자료 선별과정을 거쳐 최종 8,420명을 분석하였다. 개인적 배경에 따른 차이는 t-test, f-test를 이용하였고 학령별 수준에 따른 변화는 명목다항로짓을 활용하였다. 개인적 배경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다른 변수들에 비해 성적과 경제수준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주지역이 미치는 효과는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른 결과는 자아존중감에 비해 우리 청소년의 행복감이 매우 낮아져 있는 상황임을 보여주고 있어, 학령이 높아짐에 따라 청소년이 행복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지원이 매우 시급함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농산물 판매시 농가들의 정보화 기기 이용 선택 결정요인 분석

        이향미,고종태 한국농촌계획학회 2018 농촌계획 Vol.24 No.4

        By using the raw data of the 2015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Consensus that surveyed the farmers engaged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in 201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rms in Gangwon-do on the utilization of the digital devices, which was classified into computers usage only, smartphones usage only, both computers and smartphones usage, and no digital device usage. This study used the Multinomial Logit Model for the above purpose. Moreover, the IIA(Independence of Irrelevant Alternatives) method of the Multinomial Logit Model was analyzed to be suitable. Up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when all the other variables were constant in the average, the probability of choosing both computers and smartphones increased by 0.02% as the family member living together with the farm owner increased by 1 person. In addition, the farms with agricultural machineries have 0.03% increased probability of using smartphones to sell their agricultural products, when compared with the farms without agricultural machinery. Moreover, for the farms with high sales profit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the probability of using computers and the probability of using smartphones increased by 0.04% and 0.01%, respectively, and the probability of using both computers and smartphones increased by 0.02%. On the other hand, for the farms affiliated with the agricultural organization, the probability of using both computers and smartphones increased by 0.17%, and the probability of using only smartphones and the probability of using only computers increased by 0.16% and 0.15%, respectively. In case of selling to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NACF), the probability of using smartphones increased by 0.11% if all other variables were to be constant in the average. In particular, the farms participating in the agriculture-related industries have 1.09% increased probability of using computers, have 0.92% increased probability of using smartphones, and 0.85% increased probability of using both computers and smartphones. Therefore, the implications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farms' choices of the digital devices are made independently. Hence, the future agricultural industry business platform establishment should necessarily consider the types of farms' choices of the digital devices in the future. Second, since the usage of digital devices has a generally positive influence on the farm household income, digital education to improve farmers’ ability to use the digital devices should be urgently provided in order to improve the farm household income in the farms in Gangwon-do. Third, because the digital devices used to sell agricultural products differ depending on the age of the farm owner, it would be desirable to target the younger generation of the farm owners rather than establishing the agricultural industry business platform for the farms in the aged farm villages. Fourth, it would be advisable for the future agricultural business platform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products sales source.

      • 경기도 도시성장예측 및 응용방안에 관한 연구

        조규영,유선철,노경식 안양대학교 수도권발전연구소 2010 수도권연구 Vol.7 No.-

        Currently the city has increased the need for growth management. In this study, will be to establish urban growth management system. For urban growth management we predicted growth of the city of Gyeong-gi Province(population, employment, Land) and Urban growth management system and detailed plans are presented. For this purpose ①Were related to theory and previous study. Framework was set up and use, ②Create the data of index, change of Gyeong-gi Province and were simulated, ③and suggest the Gyeong-gi Province's Urban Growth Management System and detailed plan. In this study, away from the existing growth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derive a practical method of forecasting model to predict the city. This 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Urban growth management should be based on objectivity and rationality for the interests of all members. Therefor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arious models for objectivity and accuracy and should have a repeat. Based on this research, the humanities, social and natural environments and can be applied by considering various elements such as predictive models should be developed. And efforts are needed to compensate the defect.

      • KCI등재

        친환경농산물가공식품 소비확대정책 선호도 분석

        정학균,한재환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9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d purchas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cessed foods and policies enlarging the consumption of the foods. To accomplish the objective of the study, a consumer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multinominal logit model was employed for an empirical analysis on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policie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ose who have the intention to increase their consump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cessed foods if the certification system is reinforced are ones who check certification marks or recognize that the foods are helpful to their health. And those who have the intention to increase their consumption if the price is lowered are ones who think that the price is high or are satisfied with the safety of the foods. Therefore, carrying forward policies consider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would be useful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the foods 이 연구의 주 목적은 친환경농산물가공식품 구입경험이 있는 소비자의 개별 특성과 이 식품의 소비확대 정책 선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비자를 대상으로 친환경농산물 가공식품 소비실태를 조사하였고, 실증 분석을 위해 다항로짓모형(Multinominal logit model) 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인증제도 관리가 강화될 때 소비를 늘릴 의향이 있는 소비자는 인증마크를확인하는 응답자, 상대적으로 건강에 유익할 것으로 인식하는 응답자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이 인하될 때 소비를 늘릴 의향이 있는 소비자는 친환경가공식품 가격이 높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들, 친환경가공식품의 안전성에 만족하는 응답자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농산물 가공식품 구매를 효과적으로확대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소비자의 개별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으로 정책을 추진하는 것은 유용할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