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룡산 풍수지리의 특성 개관: 산지풍수 연구의 관점에서

        최원회 ( Wonhoe Choi ),이근화 ( Geunwha Lee ),성정락 ( Jeongrak Seong ) 한국지리학회 2018 한국지리학회지 Vol.7 No.3

        Since the 1980s, the study of fengshui topography has been developed mainly focused on housing fengshui and cemetery fengshui established by Murayama Jijun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s a result the mountain fengshui study is assumed to have consequences that are almost extinct in the academic society. Accordingly, this study over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fengshui topography in case of Kyeryong mountain known for the model of mountain fengshui among the Korean mountains from the point that the individual mountain fengshui need to be studied for the development of mountain fengshui study in Korea. This study researched concretely about the original form and transformational form of fengshui topography of Kyeryong mountain, the element linked to the fengshui topography of Kyeryong mountain, and the phenomena caused by the element linked to the fengshui topography of Kyeryong mountain for the purpose of the over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fengshui topography in case of Kyeryong mountain from the perspective of mountain fengshui study based upon the advanced studies and the field research materials by the researcher.

      • KCI등재

        전통풍수 통맥법의 절손지지에 대한 적용사례 연구

        이진삼 ( Jin Sam Lee ) 남도민속학회 2013 남도민속연구 Vol.26 No.-

        도선국사(道詵國師)를 종조(宗祖)로 하는 비보풍수는 우리의 풍수사에서 폭넓게 활용되어, 다른 나라의 비보풍수와 차별되는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풍수 지법으로 한국적인 풍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풍수의 술법 분야에서 한국은 중국 풍수의 이론을 가감없이 그대로 수용하였다는 것이 대부분 학자들의 견해이다. 그러므로 한국의 전통 풍수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나 이규경의『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무라야마 지준의『조선의 풍수(朝鮮の風水)』,『조선의 민속(朝鮮の民俗)』등의 문헌에는 중국의 풍수지법과는 차별되는 한국의 전통풍수인 통맥법에 관한 기록들이 있다. 또한, 승려들이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도선비결(道詵秘訣), 일지승(一指僧) 결록, 일이승(一耳僧) 결록, 성거사(成居士) 결록 등은 전통풍수인 통맥법에 근거하여 작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사례로 고찰하고자 하는 전의 이씨 첨정공 묘소 비천오공형과 인동장씨 맹호출림형은 승려 하성부지와 성문승이 소점한 것으로 통맥법을 활용한 묘소이다. 통맥법은 용(龍)을 이기화(理氣化)한 간룡법(看龍法)으로 용의 생사를 판단하고, 용의 성질을 분석하여 혈(穴)을 분석하는 이론이다. 즉, 행룡하는 용이 어떠한 기운을 가지고 작혈(作穴)하였는가를 간룡(看龍)하고 행룡 시 위이(위이)를 살펴 용의 크기를 판단하여 어떠한 인물이 몇 대에 걸쳐 몇 명이 배출될 것인가를 분석하는 법이다. 이는 중국의 풍수이론과 차별되는 한국의 전통 풍수이론이라 할 수 있는데, 통맥법이 한국의 풍수사(風水史)에 존재하였다는 것이 문헌과 현장의 적용사례를 통하여 알 수 있다. 풍수지리가 우리 민족의 역사 속에서 문화유산과 정신문화에 많은 영향을 끼친 점을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의 문화에는 우리의 전통풍수지리 사상이 내재되어 있었으며 전통풍수지리 사상을 연구하는 것은 곧 우리 민족의 문화와 정신문화의한 단면을 밝히는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Bibo Fengshu whose progenitor is Doseonguksa(道詵國師) can be Korean Fengshui as our own unique Fengshui theory. But according to the most scholars’ opinions, Korea accepted the Chinese Fengshui theory as it is without any adjustments in the divination field. However, there are the records about the principle of mountain flow which is Korean traditional Fengshui and differeniates from Chinese Fengshui theory in literature including 『Oju-Yeonmunjangjeon-Sango (五洲衍文長箋散稿)』 by Lee, Gyu-gyeong and 『Joseon’s Fengshui (朝鮮の風水)』 and 『Joseon’s Folklore (朝鮮の 民俗)』 by Murayama Chizyun. Doseonbigyeol(道詵秘訣), Iljiseung(一指僧) Gyeolrok, Iliseung(一耳僧) Gyeolrok, and Seonggeosa (成居士) Gyeolrok which are presumed to be written by Buddhist monks were done based on the principle of mountain flow, traditional Fengshui. This study tries to consider the Bicheonogong-typed(the ideal spot with the shape that a centipede ascends to the sky) grave of Cheomjeonggong who is the Lees of Jeoneui and the Maenghochulrim-typed(the ideal spot with the shape that a tiger emerges from the forest) one of the Jangs of Indong made by the Buddhist monks, Haseongbuji and Seongmunseung as the application cases. The principle of mountain flow was utilized in them. The principle of mountain flow is the theory which analyzes Hyeol by judging life and death of dragons and analyzing their nature as the Ganryong Method(to check dragons) which controls their energy. That is, it analyzes what kinds of persons and how many persons are produced throughout how many family lines by finding mountain ranges if moving dragons make a hyeol(穴) with what energy, examining Wuiee(a mountain moves forward twisting its way : 위이) and Gibok(A mountain moves up and down : 起伏) when it moves, and judging dragons`` size. This can be the Korean traditional Fengshui theory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the Chinese Fengshui theory. Existence of the principle of mountain flow in Korean Fengshui history can be found through literature and the application cases of field. When the point that nobody can deny the fact that Fengshui theory has the great effect on cultural heritages and moral culture in the history of our people, our traditional Fengshui theory is reposed in our culture and the study on it can be the important thing to clarify a cross section of culture and moral culture of our people.

      • KCI등재

        전통풍수 통맥법의 절손지지에 대한 적용사례 연구

        이진삼 남도민속학회 2013 남도민속연구 Vol.26 No.-

        Bibo Fengshu whose progenitor is Doseonguksa(道詵國師) can be Korean Fengshuias our own unique Fengshui theory. But according to the most scholars’ opinions,Korea accepted the Chinese Fengshui theory as it is without any adjustments in thedivination field. However, there are the records about the principle of mountain flow which isKorean traditional Fengshui and differeniates from Chinese Fengshui theory inliterature including 『Oju-Yeonmunjangjeon-Sango (五洲衍文長箋散稿)』 by Lee,Gyu-gyeong and 『Joseon’s Fengshui (朝鮮の風水)』 and 『Joseon’s Folklore (朝鮮の民俗)』 by Murayama Chizyun. Doseonbigyeol(道詵秘訣), Iljiseung(一指僧) Gyeolrok, Iliseung(一耳僧) Gyeolrok,and Seonggeosa (成居士) Gyeolrok which are presumed to be written by Buddhistmonks were done based on the principle of mountain flow, traditional Fengshui. This study tries to consider the Bicheonogong-typed(the ideal spot with the shapethat a centipede ascends to the sky) grave of Cheomjeonggong who is the Lees ofJeoneui and the Maenghochulrim-typed(the ideal spot with the shape that a tigeremerges from the forest) one of the Jangs of Indong made by the Buddhist monks,Haseongbuji and Seongmunseung as the application cases. The principle of mountainflow was utilized in them. The principle of mountain flow is the theory which analyzes Hyeol by judging lifeand death of dragons and analyzing their nature as the Ganryong Method(to checkdragons) which controls their energy. That is, it analyzes what kinds of persons andhow many persons are produced throughout how many family lines by findingmountain ranges if moving dragons make a hyeol(穴) with what energy, examiningWuiee(a mountain moves forward twisting its way : 逶迆) and Gibok(A mountainmoves up and down : 起伏) when it moves, and judging dragons’ size. This can bethe Korean traditional Fengshui theory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the ChineseFengshui theory. Existence of the principle of mountain flow in Korean Fengshuihistory can be found through literature and the application cases of field. When the point that nobody can deny the fact that Fengshui theory has the greateffect on cultural heritages and moral culture in the history of our people, ourtraditional Fengshui theory is reposed in our culture and the study on it can be theimportant thing to clarify a cross section of culture and moral culture of our people 도선국사(道詵國師)를 종조(宗祖)로 하는 비보풍수는 우리의 풍수사에서 폭넓게 활용되어, 다른 나라의 비보풍수와 차별되는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풍수 지법으로 한국적인 풍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풍수의 술법 분야에서 한국은 중국 풍수의 이론을 가감 없이 그대로 수용하였다는 것이 대부분 학자들의 견해이다. 그러므로 한국의 전통 풍수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나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무라야마 지준의 『조선의 풍수(朝鮮の風水)』, 『조선의 민속(朝鮮の民俗)』 등의 문헌에는 중국의 풍수지법과는 차별되는 한국의 전통풍수인 통맥법에 관한 기록들이 있다. 또한, 승려들이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도선비결(道詵秘訣), 일지승(一指僧) 결록, 일이승(一耳僧) 결록, 성거사(成居士) 결록 등은 전통풍수인 통맥법에 근거하여 작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사례로 고찰하고자 하는 전의 이씨 첨정공 묘소 비천오공형과 인동장씨 맹호출림형은 승려 하성부지와 성문승이 소점한 것으로 통맥법을 활용한 묘소이다. 통맥법은 용(龍)을 이기화(理氣化)한 간룡법(看龍法)으로 용의 생사를 판단하고, 용의 성질을 분석하여 혈(穴)을 분석하는 이론이다. 즉, 행룡하는 용이 어떠한 기운을 가지고 작혈(作穴)하였는가를 간룡(看龍)하고 행룡 시 위이(逶迆)를 살펴 용의 크기를 판단하여 어떠한 인물이 몇 대에 걸쳐 몇 명이 배출될 것인가를 분석하는 법이다. 이는 중국의 풍수이론과 차별되는 한국의 전통 풍수이론이라 할 수 있는데, 통맥법이 한국의 풍수사(風水史)에 존재하였다는 것이 문헌과 현장의 적용사례를 통하여 알 수 있다. 풍수지리가 우리 민족의 역사 속에서 문화유산과 정신문화에 많은 영향을 끼친 점을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의 문화에는 우리의 전통풍수지리 사상이 내재되어 있었으며 전통풍수지리 사상을 연구하는 것은 곧 우리 민족의 문화와 정신문화의 한 단면을 밝히는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의 산 연구전통에 대한 유형별 고찰

        최원석 한국역사민속학회 2011 역사민속학 Vol.0 No.36

        The mountain and mountain culture come to a head a paradigm shift in the 21th century. Korea has been deep relationship with the mountains in both aspects of the nature and culture historically, it come to be a background to produce the knowledge system on the mountain. This paper reviews on the research tradition of the mountain knowledge written in Joseon dynasty. I evaluate meanings and significances of the Korean creative results about the mountain knowledge system. I can classify the research tradition types of the mountain knowledge in Joseon dynasty as follows: topography, traveling record, encyclopedia, mountain family tree, cartography, fengshui document. The mountain knowledge system was reflected well in topographies in middle dynasty of Joseon. The information on the mountain traveling record, encyclopedia, fengshui document spread to the general public in late dynasty of Joseon. Korean description way on the system of the mountain lay, like as the mountain family tree and cartography, is a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East Asian traditional research and knowledge system. 21세기에 ‘산과 산악(산지)문화’의 가치와 비전은 문명사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맞고 있다. 한국은 역사적으로 자연과 문화 양면에서 산과 큰 관련을 맺고 있으며, 이는 산에 대한 연구와 지식정보를 생산하고 체계화한 배경이 되었다. 이 글은 한국의 산 연구전통과 그 가치를 유형별로 검토하였고, 동아시아에서 한국의 독창적인 산에 대한 지식체계의 성과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조선시대에 걸쳐 이루어진 산에 대한 연구전통은 地理誌類, 遊覽記類, 百科全書類, (山)譜類, 地圖類, 風水錄類로 분류될 수 있다. 산에 대한 지식체계가 형식과 내용의 양면에서 체계적으로 정립된 것은 조선후기에 이르러서였다. 유형별로 보자면, 산에 대한 기록 및 지식정보는 조선시대의 地理誌類에 잘 반영되어 있고, 조선후기에는 遊覽記類, 地圖類, 風水錄類의 산 정보가 사회전반에 널리 확산되었으며 특히 百科全書類, (山)譜類에서 산에 대한 연구성과가 체계적으로 정리되었다. 산의 지리정보에 대한 지식 체계의 축적은 산줄기(山系)의 계통적이고 체계적인 파악과 이것을 재현한 지도의 표현방식에서 잘 드러났다. 山經 體系와 山譜의 서술방식, 산과 산줄기에 대한 지도 표현 방식 등은 동아시아의 산 문헌기록 및 연구전통에 비교해 보아서도 독창적이고 체계적인 성과로서 꼽을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의 산 연구전통에 대한 유형별 고찰

        최원석(Choi Won-Suk) 한국역사민속학회 2011 역사민속학 Vol.36 No.-

        21세기에 '산과 산악(산지)문화'의 가치와 비전은 문명사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맞고 있다. 한국은 역사적으로 자연과 문화 양면에서 산과 큰 관련을 맺고 있으며, 이는 산에 대한 연구와 지식정보를 생산하고 체계화한 배경이 되었다. 이 글은 한국의 산 연구전통과 그 가치를 유형별로 검토하였고, 동아시아에서 한국의 독창적인 산에 대한 지식체계의 성과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조선시대에 걸쳐 이루어진 산에 대한 연구전통은 地理誌類, 遊覽記類, 百科全書類, (山)譜類, 地圖類, 風水錄類로 분류될 수 있다. 산에 대한 지식체계가 형식과 내용의 양면에서 체계적으로 정립된 것은 조선후기에 이르러서였다. 유형별로 보자면, 산에 대한 기록 및 지식정보는 조선시대의 地理誌類에 잘 반영되어 있고, 조선후기에는 遊覽記類, 地圖類, 風水錄類의 산 정보가 사회전반에 널리 확산되었으며 특히 百科全書類, (山)語類에서 산에 대한 연구성과가 체계적으로 정리되었다. 산의 지리정보에 대한 지식 체계의 축적은 산줄기(山系)의 계통적이고 체계적인 파악과 이것을 재현한 지도의 표현방식에서 잘 드러났다. 山經 體系와 山譜의 서술방식, 산과 산줄기에 대한 지도 표현 방식 등은 동아시아의 산 문헌기록 및 연구전통에 비교해 보아서도 독창적이고 체계적인 성과로서 꼽을 수 있다. The mountain and mountain culture come to a head a paradigm shift in the 21th century. Korea has been deep relationship with the mountains in both aspects of the nature and culture historically, it come to be a background to produce the knowledge system on the mountain. This paper reviews on the research tradition of the mountain knowledge written in Joseon dynasty. I evaluate meanings and significances of the Korean creative results about the mountain knowledge system. I can classify the research tradition types of the mountain knowledge in Joseon dynasty as follows: topography, traveling record, encyclopedia, mountain family tree, cartography, fengshui document. The mountain knowledge system was reflected well in topographies in middle dynasty of Joseon. The information on the mountain traveling record, encyclopedia, fengshui document spread to the general public in late dynasty of Joseon. Korean description way on the system of the mountain lay, like as the mountain family tree and cartography, is a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East Asian traditional research and knowledge system.

      • KCI등재

        19세기 말 20세기 초 백두산에 대한 인식변화

        김재영 한국역사민속학회 2017 역사민속학 Vol.0 No.53

        The concept of Jojongsan(Ancestral Mountain) and Baekdudaegan about Mt. Baekdu has been strengthened through the Koryo and the Joseon Dynasties. The recognition about Mt. Baekdu was expressed with the reflection of the ancestral mountain formed from a view of a Layer of Land on a literary works written in the late Koryo by Fengshui Theory in the late Silla and the early Koryo and also expressed as the religion for national protection on the birth tale of Koryo Wang-geon and the Palseongdang record. The recognition of the ancestral mountain about Mt. Baekdu and its importance as the highest mountain of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recogniz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t it has been excluded in the system of national rituals. During Mt. Baekdu Demarcation Stone installed the reign of King Sukjo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Mt. Baekdu was formally incorporated into the national rituals system. At the same time, the recognition of Jojong about Mt. Baekdu and the idea of Baekdudaegan were symbolized by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geography represented by the Sangyeongpyo of Shin Kyungjun and the idea of territory to the north organized geographical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At the time when the unity of the nation is required after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he birthplace of Dangun was verified as Mt. Baekdu by the national historians Shin Chaeho, Choi Namseon, etc. Logical basis were established that Mt. Baekdu was a symbol of the korean race’s origin as well as the nation’s numinous mountain. This process was a product of the desire of the period to establish the national identity. The birthplace of the Dangun, the progenitor of nation, Mt. Baekdu were formed the recognition of numinous mountain for a Jojong of our mountains. This was handed down not only to the writings of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nationalists but also to foreigners and missionaries who traveled to Korea, and It also appeared in the essaies of Min Taewon, Shim Cheonpung, Anh Jaehong, Choi Namseon, etc., who visited Mt. Baekdu. Since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he formation of recognition and the process of spread of Mt. Baekdu as the numinous mountain of the race had been released on the modern newspaper which was immense in influence for the formation of discussion of the nation. Articles on a sacred characters of Dangun and Mt. Baekdu and articles about the nationalistic Mt. Baekdu as a national identity were frequently written between 1910 and 1930. However, since the 1930s, readers were interested in modern news rather than nationalism articles. Modern newspaper had edited Mt. Baekdu’s tourism attractions, natural resources and forest development as modernization and development according to a political role of Japanese imperialism. This seems to be aimed at justify not only the acceptance of Mt. Baekdu, a spiritual mountain of the Korean people as a intermediation of imperialism but also the process of pursuing modernity through Japan. This duplicity of imperialistic recognition on Mt. Baekdu had been assumed a same aspect on production and supply of maps and compilation of geography education books. This study introduces how the Mt. Baekdu has been perceived through the historical situations and the stream of the times. As “The Invention of Tradition” of nationalism, the formation and spread of recognition about Mt. Baekdu has been elaborated for the identity establishment of a nationalists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s and requirements of each period. Many parts in our history have been symbolized along with Mt. Baekdu. However none of them were to be made ideological and sharp as that of the Mt Baekdu. Mt. Baekdu was nationalistically interpreted by the ancestral mountain, the national mountain, and the capitalistic modernity. 본 논고는 근대계몽기 이후 백두산이 ‘민족의 靈山’으로 인식되는 과정을 민족 개념과 민족주의의 영향을 받은 단군론, 근대성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그래서 백두산의 조종관념과 영토의식을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의 문헌을 통해 살펴보고, 백두산을 ‘民族의 산’으로 인식하는 과정을 근대 신문, 백두산답사기, 선교사들의 유람기, 잡지 등을 통해 재구하였다. 이는 민족의 정체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시대적 열망의 결과였다. 근대계몽기 이후 민족 담론 형성에 영향력이 컸던 근대 신문을 통해 백두산 인식 양상을 분석하였다. 1910년부터 1930년까지 단군과 백두산의 신성성 및 민족의 정체성으로서의 민족주의적인 백두산 인식에 관한 기사가 빈출하였다. 1930년대 이후는 관광자원, 천연자원, 삼림개발 등 일본 제국주의 정책을 자본주의 근대성의 명목으로 기사화한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백두산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근대 신문과 문인들의 활동 등을 통해 확산되었다. 본 연구는 백두산 인식이 역사적 상황과 시대적 흐름 속에 변화해 온 과정을 주목하였다. 집단의 기억 속에 공유된 상징은 공동체의 사회통합이나 소속감을 구축하기 위하여, 체계나 제도를 정당화하며 사회화나 가치체계 행위규범 주입으로 만들어져 왔다. 백두산에 대한 인식 형성과 확산을 ‘민중운동 속에서 실제로 보존되어 왔던 게 아니라, 기능적 전문가들에 의해 선택되고 쓰여지고 묘사되고 대중화되고 제도화되어 온’ “만들어진 傳統”이라는 시각으로 보았다. 본고는 백두산에 대한 인식 변화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전통이 實體가 아니었을지 모르나 實在하였던 인식․상징․관념으로 우리 삶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연구한 데 의미가 있다.

      • KCI등재

        태실의 풍수적 생명사상 연구

        민병삼 ( Min Byeong-sam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6 嶺南學 Vol.0 No.31

        태실은 왕의 소생이 출생하면서 나오는 태를 좋은 땅에 갈무리하기 위하여 석실과 석물을 설치한 것이다. 석실과 석물을 갖춘 태실은 고려시대 인종 이후 본격적으로 왕실의 태실제도가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전국에 있는 태봉을 답사해 보면 태실의 입지는 몇 가지 풍수적 특징을 가진다. 태실의 입지는 본래 태장경에 이르기를 산정에 쓰는 것이 관례이고 원무(元武)는 래맥과 청룡·백호 그리고 바로 마주하는 안산은 없다고 한다. 이것은 평지의 돌혈을 묘사한 것이다. 주변에 산들이 태봉을 향하여 모여들어 장풍과 보국을 이룬다. 평지에서 돌혈은 장풍과 보국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특별히 래룡과 용호 그리고 안산이 필요 없다. 그러나 산중의 돌혈은 고지에서 장풍을 필요하므로 태봉 주변에 사신사를 갖추고 있으며, 원무의 뒤쪽에서 들어오는 래룡은 잘록하여 끊어진 듯 비룡입수 하고 있다. 한국의 태실은 대부분 후자의 입지에 조성되어 있는데, 다음과 같은 풍수적 생명사상과 철학사상을 담고 있다. 1. 태실의 입지는 주역의 `비룡재천 이견대인` 역학사상이 담겨 있다. 2. 태실에는 태신(胎神)과 태주(胎主)가 동기 감응하는 생명원리가 있다. 3. 태실은 높이 솟고 장풍과 보국의 여부에 따라서 등급이 구분된다. 4. 태기가 흩어지는 기간으로 인해서 15~6세로 동기감응이 유한하다. 5. 태실은 풍수지리의 생명사상을 함유한 정치적 문화유산이다. The Taesil is a stone chamber tomb of royal placenta, king`s sons and daughters`s, under the ground. This is a royal culture of political intention to maintain the royal authority continuously by taking a vital place and getting vitality from the good mountain and river by Fengshui theory. The Taesil made with stone chamber seemed to take root after King Injong of Koryo dynasty. We could find out a few of outstanding points of Taesil`s location when we made field investigation on some of Taesil. The Taesil is located on top of mountain, where is no of incoming range of mountains, and then suddenly making a round of peak mountain , And there is no necessary to have a blue dragon, a White Tiger, a Chinese phoenix in the Fengshui aspects. However, The Taesil must be located in the peak of mountain toward to the sky with clean place that should be good place in Fengshui. The followings are summary of the Taesil in related to thoughts of Human life on the Fengshui aspects. 1. Taesil requires the place of landscape in the philosophy of I-ching. 2. There is a relationship of Fengshui between royal placenta and the god of the royal placenta in the Taesil that contains the theory of family Qi in the Human life of Fengshui. 3. Taesil is ranked variously whether or not have four of Fengshui, a Animal Fight, a blue dragon, a White Tiger, a Chinese phoenix. 4. Taesil limits validation of effect due to the extinctive prescription of Qi of royal placenta buried under the ground. That lasts around 15~16 years. 5. Taesil is a cultural heritage of the political aspect containing Human life of Fengshui aspect.

      • KCI등재

        『동여비고』를 통해 본 전통적 산 인식체계의 변화

        권선정(Kwon, Seonjeong)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21 한국고지도연구 Vol.13 No.2

        『동여비고』는 1700년 전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지도집이다. 본고에서는 『동여비고』의 도별지도를 중심으로 지도상에 재현된 산세 표현이나 주요 산 개념에 주목하여 전통적 산 인식체계의 특징을 탐색해 보았다. 먼저 『동여비고』에서 확인되는 각 군·현의 ‘진산’ 표기와 관련해 조선 전기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진산 상황이 『동여비고』에 거의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진산 개념은 고려시대부터 조선 중기까지 공유되던 ‘국가적 차원의 비보풍수’와 관련해 조선후기 명당풍수가 일상화되기 전까지 주종을 이루었던 것이다. 다음으로 『동여비고』에 재현된 특징적인 산세 표현으로 조선후기 지리지나 고지도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連脈 형태의 산 흐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산세 표현은 조선후기 정상화되는 명당풍수적 인식의 지도적 재현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결국 풍수 텍스트로서 『동여비고』의 지도상 진산 표기와 연맥 형태의 산세 표현은 ‘차이나는 풍수들’, 서로 다른 산 인식체계가 공존하는 전환기적 상황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가 한다. Focusing on the map of provinces in 『Dongyeobigo』 produced around 1700, this paper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mountain perception system by paying attention to the expression of mountains and the traditional concept of mountains represented on the map. First, regarding Jinsan(guard mountain) for each county confirmed in 『Dongyeobigo』, it was considered that Jinsan situation of regional geograph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almost maintained in 『Dongyeobigo』. Nex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mountain flow in the form of a connected mountains, which can be easily confirmed in regional geography and old maps of the late Joseon Dynasty with the characteristic expression of mountains represented in 『Dongyeobigo』. In the end, as a fengshui text and a interesting old map, it seems that the geographical representation of 『Dongyeobigo』 represent a transitional situation in which ‘differentiation of fengshui’ and different mountain perception systems coexist.

      • KCI등재

        昭寧園 山圖의 지형표현 연구

        李炯倫(Hyung-Yoon Lee),成東桓(Dong-Hwan Su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0 문화 역사 지리 Vol.22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rawing method of the 「 Treatise on Grave Drawing and Mountain」, which is a mountain map produced when the grave site of Sookbin Choi was designated and its characteristics regarding topographical represent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Treatise on Grave Drawing and Mountain」is composed of the three stages of the title, picture maps and mountain principles, and depicts mountains in three dimensions. The propitious site where the meridian point is located features the surrounding and embracing nature of the land. The bird's eye viewpoint is adopted whose viewpoint is up in the air just above the meridian point on the center of the picture. The semi-perspective method is employed that puts into perspective only the important terrains necessary to form a propitious site. The flow of viewpoints moves from Mt. Sojo to the meridian point of the principal mountain and stops at the meridian point, which is a trait of the center-oriented map. With respect to the map scale, the double scale method is used. This is to depict the propitious site in a more detailed manner. The water ways are all expressed in dotted lines and letters are freely located, but the center is situated in the meridian point. Among the notes to the picture maps are water movements and directions, titles of surrounding Sagyuk, geographical locations and geomantic comments. The mountain explanations adopt a geomantic commentary approach with respect to the terrain judgment. 본 연구는 숙빈최씨의 葬地를 정할 때 제작한 山圖인 「墓所圖形與山論」의 제작기법과 지형표현 특성을 살펴본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묘소도형여산론」은 제목, 그림지도, 산론의 삼단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산악입체도로 표현되었다. 穴이 위치하는 명당국면은 環抱性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시점은 그림의 중심에 위치한 혈 위에서 내려다보는 부감법을 사용했으며 명당국면을 만드는데 필요한 주요 지형만을 투시하는 반투시법을 사용하였다. 시점의 흐름은 소조산에서 주산 혈처로 이동하고 혈처에서 멈추는 중심지향적 지도의 특성을 보인다. 축척은 이중적 축척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명당국면을 세밀하게 묘사하기 위한 것이었다. 물길은 점선으로 통일되어 표현되었다. 그림지도의 부기에는 물의 來去와 방위, 주위 砂格의 명칭, 지리적 위치, 풍수적 논평이 기록되어 있고 理氣풍수적 경향이 짙은 예언적 讖言이 기록되어 있다. 山論은 지형판단에 대한 풍수적인 논평방식을 취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원불교 영산성지의 풍수적 의미에 관한 연구

        조인철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1 No.-

        A leader of religion like Sotaesan, Won-Buddhism leader, can’t be made only by his efforts or the good surroundings. It needs three conditions such as God’s will, one’s efforts and one’s qualified environment. This thesis mainly discuss his surroundings among in particular these three conditions. YoungSan Holy land is the birth place of a powerful leader, the place which Daegak(大覺, bring to reason) and made a root Holy land for this area. Fengshui is the representative theory of evaluating environment as traditional environment theory. This thesis is about an environment of YoungSan Holy land and whether this is environment to produce a religious leader Sotaesan and the influence it had on making a doctrine of Won-Buddhism in aspects of Fengshui. There is a word that a good mountain makes a good man, a big river makes a rich man. The place of his birth and Daegak(大覺, bring to reason) is around a seashore but especially surrounded by many mountains. The place of Daegak(大覺) is not a top of mountain like Yonhwabong(a lotus form of mountain) and not a ridge like Sambatjae(a ridge of a wild ginseng). His last place of Daegak(大覺) is Norumok market place(a deer neck form of a uphill pass market) and it was the lowest level land and the symbol of dominated people. In his birth to Daegak(大覺), the surroundings was given to him as a fateful thing by heaven. The fatal environment had influenced deeply on deciding the character of a new religious leader and the direction of new religion which is required by its period. After Daegak(大覺), his success of reforming environment like Jeongkwanpyong(a land reclamation) is the model of leading for people who blame the given surroundings and give up easily without any trying. It proves that he was the one who brought to reason(proves as a leader) as Mansangjayeonmyoung(萬像自然明, all everything is cleared). The given environment which was given to him by fate before his Daegak and the reforming environment after his Daegak both affected and were reflected in making the doctrine of Won-buddhism. 소태산과 같은 종교지도자의 배출은 자신의 노력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고 주위환경이 갖추어져 있다고 되는 것도 아니다. 그것은 세 가지 조건 즉, 천명(天命), 노력(努力), 환경(環境)이 갖추어져야 가능하다. 본 연구는 위의 세 가지 요소 중에서 특히 주위환경에 대하여 논하는 것이다. 영산성지는 소태산의 탄생, 대각, 원불교의 근원을 이룬 곳으로 말하자면 걸출한 종교지도자를 배출한 곳이다. 환경을 평가하는 방법 중에서 전통환경이론으로 대표적인 것은 풍수이다. 본 연구는 영산성지의 환경에 대한 것으로서 그곳이 소태산이라는 종교지도자가 배출될 만한 곳인가의 문제와 그러한 환경이 원불교의 교리에 미친 영향 등을 풍수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풍수에서 산은 인물을 주관하고 물은 재물을 주관한다는 내용이 있다. 소태산이 탄생하고 대각을 이룬 곳은 해안지역이지만 독특하게도 산이 많은 지역이었다. 소태산이 대각을 이룬 곳은 높은 봉우리 형식의 연화봉도 아니고 능선상의 삼밭재도 아니었다. 그가 최후에 대각을 얻은 곳은 지형상 가장 낮은 곳이며 피지배자의 상징인 노루목장터이었다. 대각이전 즉 탄생에서 대각에 이르는 과정에서 소태산에게 주어진 환경은 천명에 의해 운명적으로 주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한 사람의 종교지도자와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종교가 나아갈 방향을 결정하는 데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대각이후 소태산이 정관평을 만들고 환경을 개선한 것은 자신의 주어진 환경을 탓하고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지 않고 체념하는 민중을 계도하는 본보기가 된다. 그것은 소태산이 대각과 동시에 ‘만상자연명(萬像自然明)’하였던 지도자이었음을 입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대각이전의 운명적으로 주어진 환경과 대각이후 개척해간 환경적 내용은 모두 원불교의 교리에 영향을 끼쳤으며 반영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