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edical Response to the Injured in a Radiological Emergency at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Sewon Park,Sohyeon Lee,Young-suk Jeoung,Hyunki Kim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23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학술논문요약집 Vol.21 No.2

        The nuclear licensee must ensure that the nuclear or radiological emergency preparedness and response organization is explicitly defined and staffed with adequate numbers of competent and assessed personnel for their roles. This paper describes the responsibilities of medical and support personnel for the medical action of casualties in the event of a radiological emergency at the KAERI. Currently, there is one medical personnel (nurse) in KAERI, and a total of eight medical support personnel are designated for medical response in the event of a radiological emergency. These medical support personnel are designated as one or two of the on-site response personnel at each nuclear facility, operating as a dedicated team of A, B (4 people each). In the event of a radiological emergency, not all medical support personnel are mobilized, but members of the dedicated medical team, which includes the medical support personnel of the nuclear facility where the accident has occurred, are summoned. Medical and support personnel will first gather in the onsite operational support center (OSC)/technical support center (TSC) to prepare and stand by for the medical response to injured when a radiological emergency is declared. They should take radiation protective measures, such as wearing radiation protective clothing and dosimeters, before entering the onsite of a radiological emergency, because injuries sustained during a radiological emergency may be associated with radioactive contamination. In the event of an injury, direct medical treatment such as checking the patient’s vitals, first aid, and decontamination will be carried out by medical personnel, while support personnel are mainly responsible for contacting the transfer hospital, reporting the patient’s condition, accompanying the ambulance, filling out the emergency medical treatment record, and supporting medical personnel. In order to respond appropriately to the occurrence of injuries, we regularly conduct emergency medical supplies education and medical training for medical support personnel to strengthen their capabilities.

      • KCI등재

        사무장병원의 임금 지급의무의 주체에 관한 고찰 - 대법원 2020. 4. 29. 선고 2018다263519 판결을 중심으로 -

        백경희,김자영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학논총 Vol.33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egitimacy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8Da263519 (Pronounced April 29, 2020). The hospitals that are owned by non-medical personnel is in violation of the Medical Care Act, Article 33 (2); thus, the contract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and non-medical personnel to establish a medical institutions which presents a medical doctor as the registered owner but in reality is owned or co-owned by a non-medical personnel violates a mandatory provision and therefore is judicially invalid. Furthermore, as the contract considering revenue division from operating such medical institutions is void, the non-medical personnel does not have the right to demand division of revenue to the medical doctor. In addition, Former Supreme Court decisions found that all rights and duties concerning the operation of the hospital were wholly vested to the medical doctor. In the case in question, wages of medical and non-medical personnel fell into arrears, and the point of question was who was in charge of clearing the overdue wages: the medical doctor or the non-medical personnel. The case in study concluded that the matters that have to be taken into account were 1) who the practical operator of the hospital is, 2) how the labor contract was signed, 3) how the work was administrated and supervised, and 4) who paid the wages. This conclusion recognized the individual duty-right relationships of actual parties, and therefore seems plausible. Some Supreme Court Decisions which ruled that the provisions of the establishment of Non-medical personnel hospital are all attributed to the individual physician. However, I think that Supreme Court Decision of this case is a valid conclusion. Because it judged who was obliged to pay wages of the labor contract according to who the actual party is in individual legal relations. 본고는 대법원 2020. 4. 29. 선고 2018다263519 판결을 대상판결로 한 평석이다, 사무장병원은 의료법 제3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설립된 것인바, 비의료인이 사무장병원을 설립하기 위하여 의사와 체결한 동업계약은 강행법규 위반으로 사법상 무효가 된다. 그리고 비의료인과 의사가 사무장병원을 운영하여 얻은 수입을 배분하는 내용의 약정 또한 무효가 되므로, 비의료인은 의사에게 사무장병원 운영 수입금을 배분해 줄 것을 청구할 수 없게 된다. 더구나 판례는 사무장병원에 관한 채권·채무관계는 의료기관의명의자인 의사에게 귀속된다고 파악하고 있다. 대상판결에서는 사무장병원에서 근무하는 고용의사를 비롯한 직원들에대한 임금을 제때 지급하지 못하는 경우, 그와 같은 체불된 임금의 지급채무를 부담하는 자가 사무장병원의 실질적 운영자인 비의료인인 사무장인지 아니면, 사무장병원의 명의자인 의사인지가 문제되었다. 그리하여 대상판결에서 대법원은 사무장병원에서 실질적인 운영자가 누구인지, 근로계약의 체결과정과 업무의 지휘·감독 체계, 급여의 지급 주체 등을 고려하여, 실질적 근로관계가 사용자를 의사로 하여 이루어진 것인지 혹은 비의료인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인지를 결정하여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대상판결은, 의료인과 비의료인이 체결한 사무장병원 개설 약정이 무효이므로 병원 운영과 관련하여 얻은 이익 등이 모두 일률적으로 의사 개인에게 귀속된다고 본 일부 대법원 판결들과 달리, 대외적으로 비의료인이의료인 명의로 체결한 고용계약의 귀속 주체를 개별적 법률관계에서 실제 당사자가 누구인지에 따라 판단하였다는 점에서, 타당한 결론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의료인의 환자 개인의료정보 보호에 관한 법적 고찰

        백경희(白景喜),장연화(張宴華)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20 法學論叢 Vol.27 No.2

        의료과실의 존부가 문제되는 의료분쟁에서 진료기록은 이를 판단하는 가장 중요한 증거가 되는 동시에, 환자의 고유식별정보를 비롯하여 건강과 관련된 민감한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문건이다. 현행법은 환자의 개인의료정보를 보호하기 위하여 의료인에게 환자의 진료상 비밀을 누설하지 못하도록 하고, 진료기록을 환자 본인 이외의 자에 대해 열람하거나 그 사본을 발급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의료분쟁이 발생했을 때 의료인은 진료기록을 토대로 의료과실이 없다는 점이 확인되어야 민사상 손해배상책임과 형사상 업무상 과실치사상죄의 죄책에서 면책되게 된다. 대상사건들은 의료분쟁 중 법적 절차를 거치지 아니한 채 의사가 자신의 의료 무과실을 밝히고자 자신이 지니고 있는 환자의 진료기록 상 개인의료정보를 사용한 것이다. 의료분쟁의 해결도 법질서를 바로 잡기 위한 것으로 공익성이 인정되는바, 이를 위해 의료인이 진료기록상 환자 개인의료정보를 사용한 것이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정당행위로 위법성이 조각될 수 있는지가 문제된다. 본고에서는 환자의 개인의료정보가 기록된 진료기록을 중심으로, 개인의료정보의 보호와 의료인의 진료기록 사용의 정당성 여부를 대상 사건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In medical disputes whe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medical malpractice is a problem, medical records are the most important evidence for judging this, and are documents containing sensitive personal information related to health including uniqu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patients. Under the current law, in order to protect the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of patients,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medical information from leaking the medical secrets of the patient from the medical personnel. And it is also necessary for the the patient himself to view and to issue the medical records. However, when a medical dispute occurs, medical personnel should be confirmed that there is no medical malpractice based on the medical records, and then will be exempted from civil liability and criminal liability. The case involved the use of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in the medical records of the patient that medical personnel possesses without going through legal procedures in the medical dispute to clarify absence of medical medical malpractice. The question is whether illegality can be justified, if it is a legitimate act that does not violate social norms that medical personnel use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of patients in medical records for that purpos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focus on the medical records in which the in personnel medical information of patients is recorded and examine whether or not the protection of in personnel medical information and the use of medical records by medical personnel are justified. 医療過誤の存否が問題となる医療紛争で診療記録は、これを判断するための最も重要な証拠となるとともに、患者の固有識別情報を含む健康に関する敏感な個人情報が含まれている文書である。現行法は、患者の個人医療情報を保護するために、医療関係者に患者の診療上の秘密を漏洩しないようにして、診療記録を患者本人以外の者に対して閲覧したり、そのコピーを発行しないようにしている。 ところが、医療紛争が発生したとき、医療人は、診療記録をもとに、医療過誤がないという点が確認されるべきで民事上の損害賠償責任と刑事業務上過失致死傷罪の罪責で免責されることになる。対象事件は、医療紛争で法的手続きを経ないまま、医師が自分の医療無過失を明らかにしよう、自分が持っている患者の診療記録上の個人医療情報を使用したものである。医療紛争の解決にも法秩序を正すためのもので公益性が認められるところ、そのために医療人が診療記録上、患者の個人医療情報を使用したことが、社会常規に違反しない正当な行為で違法性が阻却されることができるかの問題になる。本稿では、患者の個人医療情報が記録された診療記録を中心に、個人医療情報の保護と医療人の診療記録の使用の正当性かどうかを対象事件を中心に検討したい。

      • KCI등재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치과위생사 의료인화에 대한 견해

        김서영,김형미,정미애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pinions of non-health science college students of Korean dental hygienists in the category of medical personnel.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265 non-health science major students without information about a health and medical service personn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descriptive statistics, chi squared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bout 40%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dental hygienists should be medical personnel, while 17.7% think that they should not distinguish health and medical service personnel between medical personnel and medical service technologist. As the respondents' oral health management ability improved, they approves the Korean dental hygienists in the category of medical personnel(p=.022). As the longer the period of dental regular visits, they answered that dental hygienists should be medical service technologist. Presence or absence of dental regular visits, scaling experience, oral health education did not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opinions of Korean dental hygienists in the category of medical personnel of the pros and con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policy of medical personnel for dental hygienists. 본 연구의 목적은 20대 일반 국민의 눈높이에서 치과위생사 의료인화 정책에 대한 견해를 조사하여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보건의료계열 직업에 대한 사전정보가 없는 비보건계열 대학생 2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후 빈도분석, 교차분석,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70.2%는 치과위생사를 의료인이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치과위생사가 의료인이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40%, 보건의료계열 직업을 의료인과 의료기사로 구분하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17.7%이었다. 연구대상자의 구강건강관리행동 능력이 우수할수록 치과위생사 의료인화 정책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p=.022), 치과정기방문 주기가 길수록 치과위생사는 의료기사이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4). 치과정기방문 여부, 스케일링 경험 여부, 구강보건교육 경험 여부에 따라 의료인화 찬반의견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 의료인화 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자리이타의 호혜적 의료인-환자 관계

        이은영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5

        This paper presents a reciprocal medical personnel-patient relationship based on Buddhist ethics for a humane medical care. Although modern and contemporary biomedical science has made tremendous progress in treating diseases, it has received criticism for moving away from addressing human suffering. Accordingly, medical humanities seeks to humanize medical care, and medical ethics reflects on the existing medical personnel-patient relationship to define a desirable relationship. However, most discussions are based on Western philosophy and Western ethics. In this paper, I suggest that a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personnel and patients based on Buddhist ethics can be desirable and mutually beneficial. In this relationship, patients benefit from disease treatment and recovery and medical personnel benefit from the realization of self-completion. Also, this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personnel and patients is reciprocal because they heal each other's existential anxiety(duḥkha).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and movies such as Lee Kwang-soo's Sarang(Love), Han Yong-woon's Bakmyung(Misery), Han Seung-won's Aje Aje Bara Aje, and Lim Kwon Taek’s Come, Come, Come Upward specifically embody the reciprocal medical personnel-patient relationship. This relationship is familiar and appealing to Koreans; cuturally and emotionally and presents a sound and desirable medical personnel-patient relationship. 본고는 인간적인 의료의 실현을 위해 불교윤리에 바탕하여 자리이타의 호혜적 의료인-환자 관계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근현대의 생의학은 질병 치료에 있어서 큰 진전을 이루어냈지만, 그 과정에서 질병을 앓으며 고통받는 인간으로부터 멀어졌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에 따라 의료인문학은 의료의 인간화를 모색하며, 의료윤리는 기존의 의료인-환자 관계를 반성하고 바람직한 관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의 논의가 서양철학과 서양윤리에 기반한 것이 대다수인데 반해, 본고에서는 불교 윤리에 바탕하여 바람직한 의료인-환자 관계로 자리이타의 호혜적 관계를 제시했다. 이 관계에서 의료인은 환자를 치료하고 돌봄으로써 환자에게 질병 치료와 건강 회복이라는 이익을 줄 뿐만 아니라[利他] 자신도 자기완성의 실현이라는 이익을 얻는다[自利]. 또한 서로의 실존적 불안[苦, duḥkha]을 치유한다는 점에서도 의료인과 환자의 관계는 호혜적이다. 이광수의 사랑 , 한용운의 박명 , 한승원의 아제아제바라아제 와 임권택의 동명 영화 <아제아제바라아제> 등 한국 근현대의 문학과 영화에는 이러한 자리이타의 호혜적 의료인-환자 관계가 구체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이 관계는 한국인의 문화와 정서에 익숙하고 호소력 있는 관계이며, 바람직한 의료인-환자 관계로서 현대에도 유효하다.

      • KCI등재

        의료기사의 의료인 종별 포함에 관한 기초조사 연구: 한국, 일본, 대만을 중심으로

        Bon-Kyeong KOO,Chang-Eun Park 대한임상검사과학회 2024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5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기사를 의료인 종별에 포함시키는 것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의료법에서 의료인을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조산사, 간호사로 정의한다. 의료기사는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치과기공사, 치과위생사로 구분한다. 한국은 의료인에 의료기사를 포함하지 않지만 일본과 대만은 의료인으로 규정하고 있다. 국제표준직업분류(ISCO-08), 한국표준직업분류(KSCO-2017), 일본표준직업분류(JSOC-2009), 대만표준직업분류(TSOC-2010), 미국표준직업분류(SOC-2018) 등의 다양한 표준직업분류를 비교하였다. 의료기사 교육체계는 4년제 대학과 3년제 전문대학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의료행위, 치료, 진료보조 분야에서 의료기사의 역할을 개략적으로 설명했다. 이러한 기초자료는 의료기사의 의료인 종별 포함의 의미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과 의료인 종별 포함과 관련하여 의료기사의 전문성의 합법화에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provides the underlying data on the inclusion of medical technologists in the category of medical personnel. Medical personnel are defined in the Medical Service Act as physicians, dentists, oriental medicine doctors, midwives, and nurses. In the act, medical technologists shall be classified into clinical laboratory technologists (clinical pathology technologists in the Korean language), radiological technologists, physical therapists, occupational therapists, dental technologists, and dental hygienists. Although South Korea’s medical personnel do not include medical technologists, Japan and Taiwan define them as medical personnel. Various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such as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2008,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2017, Japan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2009, Taiwan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2010, and USA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2018 were compared. The education system for medical health technologists was explained to include 4-year university and 3-year junior college programs. The roles of medical technologists in medical practice, therapy, and medical assistance were outlined. These basic materials incorporate the need for discussions about the meaning of including medical technologists in the type of medical personnel. These discussions will contribute to the legalization of medical technologists’ professionality with regard to their inclusion in the type of medical personnel.

      • KCI등재

        의료인에 대한 폭력의 대처방안

        유인술 대한의사협회 2014 대한의사협회지 Vol.57 No.2

        Violence against medical personnel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and violence in the doctorʼs office has become aserious threat to the safety of patients and medical personnel. However, medical personnel are not receiving adequateprotection from violence, and the Assault Prevention Act against Medical Personnel has not been passed. Therefore,medical personnel must currently take measures to protect themselves from violence. The main perspective oncountermeasures for violence against medical personnel is not that violence itself but that violence can disturb aphysician’s practice. In case of a violent incident in a doctorʼs office, medical personnel must take aggressive legalaction. In addition medical personnel, the government, law enforcement officials, and citizens should make an effortto build a cooperative system for eliminating violence from the medical field.

      • KCI등재

        교정간호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동임,천정환 한국교정복지학회 2024 교정복지연구 Vol.0 No.86

        교정시설의 교정의료인력은 저임금, 의원급의 부족한 의료설비, 혐오시설낙인 등으로 근무하고 싶지 않은 직장으로 인식되어 과거부터 현재까지 상시 부족한 실정이다. 교정의료인력의 부족은 수용자 치료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의료 서비스의 질적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교정의사는 전공과 무관한 진료를 함으로써 수용자는 교정의사의 진료를 신뢰하지 못하고 화상진료나 외부진료를 원하고 있다. 하지만 화상진료나 외부진료는 예약된 날짜에 협력병원과 지정된 시간에 해야 하므로 수용자는 적기에 진료받지 못할 수 있다. 교정의료 인력의 부족은 교정간호사가 업무를 대신해야 하므로 업무 과잉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의료인력 확충에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의 범위는 선행연구, 교정통계, 인터넷 자료 등을 바탕으로 교정의료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문제점을 도출하여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대응방안은 구체이고 실천가능한 대안을 제시하여 교정의료인력 확충에 보탬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교정의료인력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AI의사 및 약사를 교정시설 의료과에 도입하여 운영하는 것이다. 또 다른 방안은 먼저 교정약사는 순회약사제도를 도입하여 1명의 교정약사가 3∼4개 교정시설을 담당하게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교정의사는 의사에 국한하여 채용하기보다는 노인수용자가 많은 교정시설은 한의사도 채용하여 운영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수한 교정간호사를 채용하기 위해서는 교정시설과 학교 등이 협동하여 간호실습을 교정시설 의료과에서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정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널리 알려 채용 시 많은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Correctional medical personnel in prisons are recognized as workplaces that do not want to work due to low wages, insufficient medical facilities at the clinic level, and stigma of hate facilities, and are always insufficient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e lack of correctional medical personnel can negatively affect the treatment of inmates and lead to poor quality of medical services. In particular, orthodontists do medical treatment unrelated to their major, so the recipients do not trust the orthodontists' treatment and want video or external treatment. However, video or external treatment must be performed at a designated time with cooperative hospitals on an appointment date, so inmates may not be able to receive timely treatment. The lack of correctional medical personnel is causing an excess of work because correctional nurses have to take over for work.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practical and effective alternatives to expanding medical personnel. The scop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e of prison correctional medical care based on previous studies, correctional statistics, and Internet data, and to derive various problems through this to find countermeasures. The countermeasure is to provide concrete and practical alternatives so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correctional medical personnel. As a result of the study, in order to solve the shortage of orthodontic medical personnel, AI doctors and pharmacists are introduced and operated in the medical department of orthodontic facilities. Another option is to first introduce a traveling pharmacist system for orthodontic pharmacists, so that one orthodontic pharmacist is in charge of three to four correctional facilities. Next, rather than hiring correctional doctors only, correctional facilities with many elderly inmates are also hired and operated by oriental doctors. Finally, in order to hire excellent orthodontic nurses, it is necessary to allow correction facilities and schools to cooperate to conduct nursing practice in the medical department of orthodontic facilities so that they can understand and publicize the specificity of correction so that they can provide a lot of support when hiring.

      • KCI등재

        1920년대 조선의 지방 의료체계와 모르핀 오남용

        박강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104

        Among the social problems of colonial Joseon in the 1920s, the spread of morphine was at a serious stage. Various causes were mixed and worked to lead to the spread of morphine to a serious social problem. Among them,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medical system of Joseon and the role of medical personnel. Until now, studies on the morphine problem in colonial Joseon have been mostly approached through Japanese policy. It has been studied in relation to Japan's overall opium drug policy or in relation to the Joseon Government-General's morphine countermeasures. The government-general cited individual sexual pursuit as the internal cause of Joseon. They thought that was the main cause of spreading morphine. Therefore, the Government-General emphasized that public opinion and social sanctions should be imposed rather than enacting laws. However, at the time, the media, including the Dong-A Ilbo, and intellectuals and civic groups had different opinions from the Government-General. They pointed out the lack of legislation and the lack of crackdown by police authorities, and paid more attention to the abuse of morphine injections by medical personnel. There is already some research results on the lack of legislation and the lack of crackdown by the police authorities. On the other hand, no specific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misuse of morphine by medical personnel.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problem of morphine in colonial Joseon through the poor medical system in the region and the abuse of morphine by medical personnel. In short, Japan professed to spread the advanced medical system centered on Western medicine while colonizing Joseon. However, the local medical system in the 1920s was still insufficient. Rather, it has resulted in providing an environment that allows some insensitive medical personnels to spread morphine without hesitation. There was still a misconception about the efficacy of morphine, and the local medical system was inadequate. Unconscious medical personnel could easily fall into the temptation of morphine abuse. In addition, the government's light penalties for morphine and the lack of crackdown have also encouraged morphine abuse. Morphine abuse by not a few local medical personnel served as one of the main causes of morphine spread in the 1920s, and added social severity.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사회문제 가운데 모르핀의 확산은 심각한 단계였다. 모르핀의 확산이 심각한 사회문제에 이르는데 여러 가지 원인들이 혼재되어 작용하였다. 그중 조선의 의료체계와 의료인들의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조선 내부의 원인으로 조선총독부는 당초 개인의 성적 추구를 모르핀 확산의 주요 원인으로 여기고 그 대책으로 법 제정보다는 여론 또는 사회적 제재를 강조하였다. 그러나 당시 동아일보 등 언론과 지식인, 시민단체 등에서는 개인의 성적 추구보다는 법 제정의 미비, 경찰 당국의 단속 부족과 더불어 의료인들의 모르핀 주사 오남용 등에 더 주목하였다. 조선총독부의 법 제정 미비와 경찰 당국의 단속 부족에 대해서는 이미 일정한 연구 성과가 있다. 반면 의료인들의 모르핀 오남용과 관련해서는 아직까지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식민지 조선의 모르핀 문제를 지방의 열악한 의료체계와 의료인들의 모르핀 오남용 문제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일본은 조선을 식민지화하면서 대외적 정당성 확보를 위해 서양의학 중심의 선진 의료체계의 보급을 내세웠다. 그러나 20년이 지난 시점에도 지방의 의료체계는 매우 열악하였다. 1910년대 조선총독부가 지방에 시행한 의료정책으로 13개 도에 慈惠醫院이 설치되었고 보완책으로 公醫제도가 마련되었다. 그럼에도 의료혜택은 여전히 도청소재지 등 일부 지역에 한정되어 있었다. 1925년에는 일본 정부의 재정 긴축의 영향으로 자혜의원이 道立醫院으로 변경되고 경영방식 또한 진료비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전환되면서 시료환자 비율이 대폭 감소되었다. 곤궁한 지방민의 의료혜택은 더욱 저조할 수밖에 없었다. 의료 소외지역을 위해 마련된 공의제도 역시 당초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였다. 농촌의 경우는 의료 환경이 더욱 열악하여 한의사인 의생의 역할이 압도적이었으며, 지방 벽촌의 경우에는 의생의 혜택도 쉽지 않았다. 이러한 의료 현실 속에서 1920년대에 모르핀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하였다. 모르핀의 확산에는 부도덕한 의료인들의 모르핀 오남용이라는 문제가 작용하고 있었다. 의료인들의 오남용이 빈발한 데에는 지방의 열악한 의료 현실이라는 환경이 있었다. 우선 개항 이래 지금까지 모르핀이 질병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믿는 사람들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이로 인해 의료인의 모르핀 주사 오남용이 쉽게 이루어졌다. 또한 1920년대 조선의 의료체계는 미비했고 의료인 수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었다. 여기에 본연의 사명을 망각한 채 돈벌이 수단으로 활용한 몰지각한 의료인들이 적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들 의료인에 의해 돈 없는 환자는 치료를 거부당하기 일쑤였고 돈 있는 환자는 모르핀 만성 중독에 빠져 가산을 탕진하게 되었다. 여기에 이 시기 모르핀과 관련한 처벌규정이 가벼웠다는 점은 의료인들의 몰상식한 행위가 도를 넘게 하였다. 모르핀을 오남용하는 행위에 두려움을 갖지 않았다는 것이다. 조선의 미비한 지방 의료체계를 보완하기 위해 조선총독부에서는 공의와 의생을 파견하였지만 이들 역시 처벌을 두려워하지 않으면서 모르핀이 오남용 되는데 일조하였다. 요컨대 일본은 조선을 식민지화하면서 서양의학 중심의 선진 의료체계의 보급을 공언하였지만 1920년대 지방의 의료체계는 여전히 미비하였고 오히려 일부 몰...

      • KCI등재

        일부지역 임상치과위생사들의 치과위생사 의료인화에 대한 견해

        류혜겸 한국치위생학회 2018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8 No.6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pinions of some local clinical dental hygienists on medical personnel of dental hygienists. It will be for provide the Future dental hygienist basic data necessary for medical personnel.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171 dental hygienists in Busan and Gyeongnam from December 1, 2017 to January 31, 2018.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esd for analysi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7 items), medical personnel necessity and opinions of dental hygienist(2 items), the opinions of distinction of the task between dental hygienists and other personnel(2 items), many frequency task in the dental clinic.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OVA using IBM SPSS VER 20.0. Results: 89.5% of the dental hygienists required medical personnel of dental hygienist, the opinions on the necessity were as follows: 'role and quality improvement as oral health professionals', 'lack of legislation and application of dental hygienists duties'. There was no difference reason between dental hygienists and other personnel on duties, the reason were investigated to uncertainty of dental hygienist system, lack of dental hygienist workforce, dentists lack awareness of dental hygienist expertise. There was surveyed by the current many frequency duties in the dental clinic, assist for dental treatment, Oral health education and counselling, Preventive dental treatment. Conclusions: Legal guarantees for clinical dental hygienists work are absolutely required. Therefore, relevant government agenc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should resolve the contradiction of the legal system of medical law and medical technicians. The clinical dental hygienists should be promoted to medical personnel through the amendment of the medical law so that the duties practiced by the dental hygienist can be matched with the legal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