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누스바움의 역량접근과 정의

        김연미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61 No.-

        This article primarily offers different perspective on capabilities approaches between Nussbaum and Sen. Whereas Sen’s consideration mainl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s and ethics, Nussbaum embraces various aspects of humans, including law, ethics, psychology, primate science, anthropology, biology and education. Capabilities approach of Nussbaum reflects ‘depth’ and ‘diversity’ on the basis of basic equality among the people. Nussbaum’s research gives substantial meaning for modern theories of equality that concentrates its interest on basic equality among humans. Secondly, Nussbaum’s approach stands on the teleological position of human flourishing or development. In this view, I consider the relation of emotion and animality that Nussbaum attempts to grasp from Aristotle, Kant or Hume in their concerning on human nature. Thirdly,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compassion and justice in Nussbaum’s approach. Through cognitive psychology, Nussbaum attempts to find out normative acceptability of emotion theory. Lastly, the perspective of Nussbaum’s ‘poetic justice’ differs from utilitarians, Rawls, Dworkin and Sen for its basis on literary imaginations. Nussbaum’s ten core capabilities is merely one criterion. The conception of justice for human flourishing and happiness is unique for its individuality, and due to various cultural, political and societal backgrounds between countries. Without the ten core capabilities as its minimum consideration, however, the society is hardly a just society. Theories of justice by Rawls and Dworkin suggest a uniformed and partial measurements. These theories cannot speak for diversity of humanity. Nussbaum’s justice theory, on the other hand, for its ‘poetic’ characteristic, is an abstraction focused on concreteness which makes it rather substantive than Rawls and Dworkin. In this article, I review Nussbaum’s ideas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ist law and examine her theories of humanity and justice through the capabilities approach. 이 글은 마사 누스바움(Martha C. Nussbaum)의 사상을 인간주의 법학(humanistic jurisprudence)으로 평가할 수 있는 논거를 그의 역량접근이론(capabilities approach)과 詩的 정의론(poetic justice)을 통해 규명한다. 그의 역량접근이론은 센의 역량접근법과 차별화된다. 센의 역량접근법이 경제학과 윤리학의 관계에서 주로 고찰되었다면, 누스바움의 역량접근법은 인간의 다양성을 포용한다. 특히 그녀는 법학, 윤리학, 심리학, 영장류학, 인류학, 생물학, 교육학 등 다양한 학문적 고찰을 수행하고 있다. 센과 달리 누스바움의 역량이론은 동물성의 권리도 포함한다. 누스바움은 인간성의 본질의 뿌리에는 동물성의 요소가 있다고 본다. 특히 그는 인간의 감정의 뿌리에서 동물성으로서의 나약함과 무력함을 본다. 이러한 감정은 한편으로는 혐오감과 같은 근본악의 뿌리가 되기도 하지만, 공감(compassion)과 같은 건전한 정치적 감정의 토대를 형성하기도 한다. 역량은 자유와 권리, 인간의 존엄성의 다른 이름으로서 실질적 의미를 가진다. 공감의 역량도 그 중 하나이다. 한 사회가 정의로운가 아닌가는 신체적 온전성, 감정, 상상력, 실천이성, 관계, 환경 등 역량들이 얼마나 잘 보장되었가에 달려 있다. 10대 역량은 삶의 질을 평가하는 최소치이다. 법적 정의는 부(wealth)나 효용성(utility), 원리(principle)의 기능이 아니라 역량들의 기능에 의해 평가된다. 그래서 그의 정의론은 공리주의나 롤즈, 드워킨 그리고 센의 정의론과 달리 공감에 기반한 ‘詩的 정의’라는 특징을 지닌다. 인간을 위한 번영과 행복의 정의론은 그 개별성에서 다양할 뿐만이 아니라 국가마다 다 다른 문화적, 정치적, 사회적 배경을 가진다는 점에서 일의적으로 말할 수 없다. 누스바움의 정의론은 다양한 삶의 영역을 이해하기 위해 마치 시인처럼 재판관도 문학적 상상력을 가진 공평한 관찰자로서 시적 정의를 요청받는다. 시적 재판관이라는 특성은 어떤 법적 재판도 다양한 삶의 영역을 고려할 것을 요청받는다는데 있다. 그의 정의론이 유독 인간성의 개발과 번영에 초점을 두고 있는 이유는 다른 자유주의 정의론과 달리 실질적으로 “사람으로 산다는 것이 무엇인가”를 묻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인지주의 감정이론의 천착을 통해 정책과 입법 및 재판에서 인간의 기본적인 역량들을 구체적으로 실현시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공감하지 않으면 실현되지 못하는 누스바움의 시적 정의는 법적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모든 공적인 삶 전체에서 요청되는 인간주의법학의 특징이다.

      • KCI등재

        누스바움의 ‘시적 정의’에 관한 수용적 검토

        윤철홍 한국법철학회 2014 법철학연구 Vol.17 No.2

        누스바움은 ‘문학적 상상력과 공적인 삶’이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공적인 삶에서 문학의 유용성을 강조하였다. 문학은 본래부터 시대의 총체에 관여하는 것이고,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전제로 하고 있다. 따라서 누스바움은 공직자들이 시대의 현안과 인간의 이해를 위한 상상력의 증대를 위해 복합적인 시각을 발견할 수 있는 문학작품을 읽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주장의 근거로 제시된 문학적 상상력과 법과의 관계, 법감정의 문제 등 시적정의와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수용적인 관점에서 검토한 것이다. 누스바움은 ‘시적 정의’를 명쾌하게 정의하지는 않았다. 일반적으로 ‘시적 정의’는 “문학 안에서 사용되는 장치 중의 하나로, 선행은 보상을 받고 죄는 처벌받는다”라고 요약된다. 전통적으로 문학에서의 ‘시적 정의’는 권선징악적인 것인데, 누스바움의 출발점 역시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다. 그러나 그녀는 ‘시적 정의’를 휘트먼이 주장한 ‘자신의 시대와 영토의 형평을 맞추는’ 시인의 사명을 통해 문학에서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인 개념으로 발전시켰다. 따라서 공직자, 특히 재판관에게 독서는 공직을 수행하는 중요한 덕목임을 강조하였다. 한국 현대시에서 찾아본 ‘시적 정의’ 역시 누스바움과 다르지 않다. 독재권력 하의 인간의 존엄과 가치, 노동 현장에서의 분배와 평등의 문제, 길거리로 내쳐진 말없는 자들의 외침과 국민들의 눈물을 닦아주는 것, 사랑, 경제적 공리주의의 합리성에 대한 반론 등이 몇 편의 시에 나타난 ‘시적 정의’의 편린들이다. 이러한 ‘시적 정의’에는 문학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인 넒은 개념으로서, 당연히 법적 정의를 포함하는 것이라 여겨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필자는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와 긍휼이 ‘시적 정의’의 출발점이라 생각한다. 한국은 제정법을 법질서의 근간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추상적인 ‘시적 정의’를 구체적인 문제의 해결을 위한 분쟁의 해결 방법이나 법률해석의 원칙으로 삼을 수는 없다. 그러나 이러한 시적 정의를 기반으로 하는 인간의 이해가 기초가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누스바움이 주장한 ‘시적 정의’가 재판영역에서뿐만 아니라 모든 공적인 삶 전체에서 구현되어야 한다. 또한 공직자들은 소설 읽기 등을 통한 문학적 상상력의 증대를 위해 다각적인 노력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노력과 함께 합리적 공리주의자들이 지적한 법의 합리성과 효용성의 증대를 위한 노력도 아울러 경주해야 할 것이다. Martha C. Nussbaum hat die Nuetzlichkeit der Literatur im Buch ‘POETIC JUSTICE: The Literary Imagination and Public Life’ betont. Urspruenglich wird die Literatur sich auf den allen Sachen seiner Zeit bezogen und das tiefe Verstaednis über das Menschen vorausgesetzt. Nussbaum hat also dem Amter das Lesen der literarischen Werken zum Verstaendnisse fuer die anstehenden Fragen seiner Zeit und das Menschen behauptet. In dieser Arbeit wird die von Nussbaum behauptete ‘poetische Gerechtigkeit’ aus dem aufnehmenden Gesichtspunkt analysiert. Nussbaum hat den Begriff über die ‘poetische Gerechtigkeit’ in dem Buch exakt nicht definiert. Nach der herrschenden Meinung wird die ‘poetische Gerechtigkeit’ ‘die Foerderung des Guten und die Bestrafung des Boesen’ zusammenfasst. Der Ansatzpunkt von Nussbaum ist auch nicht anders als die herrschende Meinung. Nussbaum hat aber den Begriff der ‘poetischen Gerechtigkeit’ von literaischem Begriff zum sozial- wirtschaftlichem Begriff entwickelt. Whitman sagt, dass Dichter das Gleichgewicht seiner Zeit und seines Landes zu herstellen sei. Nicht anders als Whitman hat Nussbaum die soziale Bedeutung der Literatur betont. Nach iher Meinung werde also die ‘poetische Gerechtigkeit’ dem oeffentlich lebenden Amter, insbesondere Richter eine notwendige Tugendhaftigkeit. Die ‘poetische Gerechtigkeit’ in den koreanischen modernen Gedichten ist auch nicht anders als dien Meinung von Nussbaum. Wuerde und Wert des Menschen unter der militaeren Diktatur und die gleichmaessige Verteilung und Gleichheit an Ort und Stelle der Arbeit, Ausruf der auf der Strasse weggetriebenen wortlosen Leute sowie Volkstraene zu trocken, Liebe, Widerspruch gegen dem Utilitarismus usw seien ein Stueckchen der ‘poetischen Gerechtigkeit’ in koreanischen Gedichten, die von Verfasser analysiert wird. Der Bergiff dieser ‘poetischen Gerechtigkeit’ koenne nicht nur literarischen, sondern auch sozial-wirtschaftlichen Begriff einbegreifen. Deswegen hat sie natuerlich die juristsche Gerechtigkeit enthalten. Aus diesem Gesichtspunkt hat Verfasser das tiefe Verstaendnis und die Liebe über die Menschen als ‘poetische Gerechtigkeit’ zusammengefasst. Koreanisches Rechtssystem fasst schriftlich ab. Das kann also nicht sein, die ‘poetische Gerechtigkeit’ als allemeine Prinzip der Rechtsauslegung aufzunehmen. Der Geist der ‘poetische Gerechtigkeit’ ist aber in verschienden Bereichen zu erfordern. Die 'poetische Gerechtigkeit' ist z.B. nicht nur im Gerichtsverfahren, sondern auch in allen oeffentichen Leben zu verwirklichen. Amt soll sich verschieden darum bemuechen, dass die literarische Vorstellungskraft durch das Lesen des Romans usw sich vergroessern werden kann. Zugleich soll er sich um die Vergroesserung zur Nuetzlichkeit und Vernuenftigkeit des Rechts im wirtschaflichen Utilitarismus auch bemuechen.

      • KCI등재

        마사 누스바움의 혐오감정 재구성과 시민교육적 함의: 혐오감정은 어떻게 정치가 되는가

        황옥자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23 시민사회와 NGO Vol.21 No.2

        이 글은 우리 사회의 불평등에 깊게 관여하지만, 제대로 포착되지 못한 ‘혐오감정’에 입각해서 공동체의 위기를 바라보는 정치철학자는 어떠한 상상력을 발휘해야 하는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법, 정치, 철학, 문학, 윤리의 전 영역에서 ‘감정’의 가치를 평가하고 적용한 마사 누스바움(Nussbaum, Martha C)의 ‘혐오감정’ 개념을 재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이성 지배의 공적 영역에서 감정이 어떻게 사회 정의에 관여하는지를 개관하고, 지양되어야 할 비합리적 감정으로서 혐오 감정의 발생원인(내용), 그것의 사회화, 정치화 과정을 전개한다. 혐오에 대한 누스바움의 서사적 통찰을 통해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혐오감정을 반성적으로 사유해 보면서, 공감과 공존을 불가능하게 하는 혐오 감정의 정치철학적 의미를 공론화하고, 그에 대한 교육적 대안으로 ‘감정교육’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explores how a political philosopher who looks at crises of community through the lens of 'disgust', an emotion that is deeply involved in inequality in our society, but has not been adequately captured, should use his or her imagination. To do so, we reconstruct Nussbaum's (Martha C) concept of 'disgust', which has been used to value and apply 'emotions' in all areas of law, politics, philosophy, literature, and ethics. Specifically, it introduces how emotions intervene in social justice in the rational public sphere. Through Nussbaum's narrative insight into disgust, this study ultimately reconstructs disgust and discusses the political and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disgust as an irrational emotion that makes empathy and coexistence impossible. Finally, I propose the importance of 'emotion education' as an educational alternative.

      • KCI등재

        연민(compassion)의 사회윤리에 관한 연구 : 마르타 누스바움과 마커스 보그를 중심으로

        김현수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2 기독교사회윤리 Vol.24 No.-

        본 논문은 예수가 보이신 사랑의 윤리는 연민의 윤리라는 가정에 근거하여, 연민의 사회윤리 가능성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은 여성철학자 누스바움(Martha C. Nussbaum)과 신약성서학자 보그(Marcus J. Borg)의 연민의 윤리를 분석하는 것을 일차적 목적으로 한다. 먼저 누스바움이 전개하는 연민의 윤리는 다음의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1) 인간은 합리적인 존재인 동시에, 상처 받기 쉬운 본성을 가지고 있다. 이 상처 받기 쉬운 본성 때문에 인간은 연민의 감정을 요구한다. (2) 인간이 연민의 감정을 느끼려면, 인지적 판단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우리는 어떤 사람의 고통이 심각하다고 판단할 때, 그 사람에 대하여 쉽게 연민의 감정을 가질 수 있다. (3) 연민의 윤리는 “우리”와 “그들”의 경계를 넘어설 때에야 진정한 사회윤리로 기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신약성서에 나타나는 예수의 연민의 윤리에 대하여 보그가 논의하는 내용은 다음의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1) 예수의 연민의 윤리는 당시 유대인이 추구했던 순수 사회의 이상과 대립된다. 당시 유대인이 기초한 순수사회의 이상은 이방인과 병자를 더러운 존재로 치부하는 배제의 논리를 보여준다. 반면에 예수의 연민의 윤리는 오히려 사회적 약자에게로 다가간 포용의 논리를 실천한다. (2)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예수의 연민의 정치학은 사회 변혁적 이상을 내포한다. 왜냐하면 연민의 윤리는 사회에서 소외된 약자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대안적 사회비전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논의에 근거하여 본 논문은 세 가지 연민의 사회윤리 가능성을 제안한다. (1) 타자의 고통에 민감한 감정으로 연민의 윤리는 타자의 고통에 동참하는 참여적 지식을 추구한다. (2) 연민의 윤리는 고통당하는 타자를 향하기 때문에, 아래로부터의 관점, 다시 말하면 고통당하는 자로부터의 관점을 지향한다. (3) 아래로부터의 관점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연민의 윤리는 정의의 추구를 내포한다. 왜냐하면 연민의 윤리는 불의로 고통당하는 자의 고통을 해결하려는 실천적이고 변혁적인 실천을 함축하기 때문이다. This paper tries to suggest a social ethic based on compassion which means “suffering with.” To do this, this paper mainly deals with the social ethic of compassion that Martha C. Nussbaum and Marcus J. Borg develop. First, we can summarize Nussbaum’s social ethic of compassion as follows:(1) Human beings are vulnerable as well as rational. Because of their vulnerability,human beings need compassion. (2) For us to have compassion on someone, we need some rational and cognitive judgments. For example, when we judge that a person’s suffering is serious, we tends easily to have compassion on that person. (3) The ethic of compassion demands us to cross the sharp lines between us and them. Next, Borg makes two main points regarding Jesus’s ethic of compassion that the Bible witnesses: (1) Jesus’s ethic of compassion radically shows the logic of inclusiveness which goes toward the socially excluded persons such as tax-collectors,while the Jews of the times sharply excludes those persons. (2) In this regard, Jesus’s ethic of compassion becomes a radical social ethic transforming the society which unjustly excludes the poor, the weak, and so on. Finally,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paper suggest three insights for a social ethic of compassion: (1) The social ethic of compassion seeks for the participatory knowledge which makes us to enter into the sufferings of a person and share with them. (2) The social ethic of compassion includes view from below,i.e. view from sufferers. (3) The social ethic of compassion goes to transformative practices struggling against the unjust situations which cause the sufferings of the poor, the weak, and so on.

      • KCI우수등재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연민의 서사’ 연구

        오태호(Oh, Tae-ho) 국어국문학회 2018 국어국문학 Vol.0 No.184

        본고는 1930년대 김유정 소설이 지닌 ‘연민의 서사’에 대해 ‘들병이, 연정, 물욕, 궁핍’ 등의 제재로 세분화하여 마사 누스바움의 ‘감정론’을 활용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연민’을 핵심 키워드로 활용하는 누스바움의 ‘감정론’은 1930년대 김유정 소설 속에서 아이러니적 서사와 열린 결말을 통해 동시대적 감성의 비애적 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론에 해당한다. 특히 작품의 마지막 부분들에서 확인되는 아이러니적 상황과 열린 결말은 작가의 3인칭 관찰자적 시선과 함께 수용미학적 차원에서 독자에게 연민의 정서를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본고에서 규명한 ‘연민의 서사’는 김유정 문학의 본령에 해당하는 ‘비극성’의 핵심으로서 아이러니적 서사와 열린 결말에서 인지되는 감정론의 귀결이다. 작가가 작중인물들이 궁핍한 현실을 감내해내는 실존의 현장을 형상화하여 ‘연민의 서사’가 제공하는 현실적 비애미를 극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작가는 식민지 현실의 암울함 속에 놓인 결핍된 주체들의 움직임을 통해 당대 현실과 조응하며 비극적 진정성을 산출하고 있다. 타자의 고통과 불행을 외면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보편적 감정을 공유하고 함께하려는 것이 ‘연민의 서사’에 해당한다. 그리고 그러한 서사적 감수성을 1930년대 식민지 시대의 궁핍이라는 질곡을 통해 안타까이 비극적으로 형상화한 작가가 바로 김유정임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narrative of compassion" in the "tragedy" of Kim Yoo-jeong novel in the 1930s. I analyzed the major materials, such as "‘Dulbyungie(a peddler of bottled wine)’, affection, earthly desires, poverty", using Martha C. Nussbaum"s "emotion theory". Nossbaum uses "compassion" as a key word. In the 1930s, Kim Yoo-jeong"s novels reveal ironic narratives and open endings. This is a useful method for analyzing the sadistic structure of contemporary sensibility. The ironic situation and the open ending at the end of the work evoke compassionate emotions to the readers on a receptive aesthetic level. "The narrative of compassion" is the core of "tragedy", the essence of Kim Yoo Jeong"s literature. It is the result of an ironic narrative and an emotional theory revealed by an open ending. The artist portrays the scene of the existence in which the characters endure the poor reality. "The narrative of compassion" internalizes the real sorrow of characters. Especially the subjects are in the maximization of the tragic reality. The poor protagonists correspond to the present reality and produce tragic sincerity. It is necessary to share the universal feelings of human beings, not to ignore the suffering and unhappiness of others. It is a narrative of compassion. And the artist portrays such a narrative sensitivity as a deprivation of the colonial period of the 1930s. Kim Yoo-jeong is a writer who tragically shapes the reality of colonialism through "narrative of compassion."

      • KCI등재

        디지털 시대 예술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위한 탐색적 연구

        임미혜,진은영 한국문화교육학회 2018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3 No.4

        Rapid progression into a digital society in the 21st century has meant that the center of discourses regarding future education has shifted towards digital literacy and capabilities. Indeed, the strong preference shown by Generation Z toward new media indicates the emergence of completely different ways of social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 than ever before. This study proposes ‘Arts with Humanities in Education' as one of the arts education discourses with the capacity to efficient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iteracy and relevant capabilities for a digital era. The notion of ‘Arts with Humanities in Education' inherits and furthers the discourse of Martha C. Nussbaum, who emphasizes the liberal arts education as a crucial part of future education. Following on from this, this study argues ‘Arts with Humanities in Education' aims toward the realization of “imagination of praxis” through the signification of arts activities that are characterized by dialogic aesthetic experiences.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analysis toward new directions for arts education in a digital era, this study reviews an exemplary of “Arts Together,” a program that has been organized and successfully implemented in 2018 by SFAC(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as part of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across 103 middle schools in Seoul,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rts with Humanities in Education' as a new practice of arts education in school. 21세기 디지털 사회 진입이 가속화하면서 미래교육의 중심 담론이 디지털 리터러시 및 핵심역량 교육으로 향하고 있다. 특히 현재 디지털 Z세대로 불리는 어린이ㆍ청소년 세대의 뉴미디어 선호는 지금까지와는 완전히 다른 사회적 상호작용과 소통방식을 예고하고 있어 디지털 환경에서 필요한 리터러시 이해에 기초하여 교육적 접근이 달라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예술교육 담론의 하나로서 ‘인문예술교육’을 제안하고자 한다. ‘인문예술교육’은 미래교육의 핵심으로 인문학과 예술교육을 강조한 Martha C. Nussbaum의 인문교양교육 논의를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대화적 미적체험’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 활동의 언어화 및 의미화를 통해 ‘실천적 상상력’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디지털 시대 인문예술교육의 방향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학교교육과정 내 인문예술교육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2018년 서울 103개 중학교 정규교육과정에서 실행되고 있는 서울문화재단 청소년 인문예술교육 지원사업 <예술로 함께>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참고자료로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시대 예술교육의 새로운 방향으로서 인문예술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갑을’관계와 분노 -마사 누스바움의 감정 이론을 중심으로-

        조계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 Vol.0 No.3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anger surrounding the Gap-Eul relationships, focusing on Marha C. Nussbaum’s cognitive emotional theory. Gap-Eul is a legal word that refers to both parties in a contract. However, in general, Gap means an actor who can exercise arbitrary power based on a relatively high status, and Eul means an actor who take it for survival. The so-called Gapjil-Gap’s abusive activities-is often triggered by the anger of Gap, and Eul expresses their anger by disclosing it through the Internet and SNS. These angers are closely related to the emotional interactions in unequal social relationships. The cognitive theory, which claims emotions have cognitive-evaluative beliefs, helps to understand the emotional experiences that appear in the social relationships.

      • KCI등재

        코로나19 시대, N포 세대의 ‘두려움’과 ‘혐오’에 대한 윤리적 과제

        이지성 ( Lee¸ Jie Sung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0 기독교사회윤리 Vol.48 No.-

        2020년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시작된 재난은 우리 사회에서 잠재적으로 숨겨져 있던 문제들을 드러내게 했다. 그 중 청년 세대에 대한 문제는 다양하게 제기되었다. 청년들이 재난을 대하는 태도부터 재난 속 청년들의 모습, 재난 이후 청년들의 삶이 조명됐지만, 대부분 부정적이었다. 재난 이전에도 이후에도 청년들은 포기하고 버리고 외면당하는 ‘N포 세대’다. 이들은 코로나 블루를 넘어 코로나 레드 증상을 겪으며 헬조선을 혐오중이다. 본 논문은 그 분노와 혐오의 원인이 두려움이라고 전제하며 팬데믹 시대 속 청년 세대들의 특징과 감정 상황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누스바움의 분노와 혐오, 시기심 등의 감정에 대한 논의를 한국 사회 청년의 문제와 연계하고 그녀가 제안하는 ‘희망’의 가능성을 청년 문제의 대안으로 제시해 보았다. In 2020, the disaster triggered by COVID-19 prompted to expose potentially latent social issues in our society. Of them, issues involving the youth have arisen. Since the disaster, the lives of the youth have been highlighted including their attitude in dealing with the disaster to what they do in amidst of the pandemic, however mostly in a negative manner. Even prior, amid, and post the pandemic, the youth belong to N-Po Generation who are given up, abandoned and neglected. These youths are disgusted by ‘Hell Chosun’, a compound word likening Korea to Hell with no hope to live for, as they go through COVID-19 Red, a state of frustration exacerbated than that of COVID-19 Blue. The study hereof was conducted on the premise that the cause of the anger and hate are derived from fear and focused on the state of mi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generation amid the pandemic era. In particular, the study linked Martha C. Nussbaum’s discussion on emotions including Anger, Disgust, Envy, etc., with youth issues in Korean society and presented ‘Hope’ which she suggested as an alternative for youth issues.

      • KCI등재

        공감의 길, 고통의 내러티브에 대한 연구

        이지성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4 기독교사회윤리 Vol.30 No.-

        This writing began by looking into the whole Korean society, in particular,Korean churches, that lost sympathy with pain, suffering from the tragedy ofSewol Ferry Disaster on April 16, 2014. The Author would like to find God whois looking at the tragedy of humanity, feeling like the theologians who shouted,“Is Theology possible after a holocaust?”For this purpose, the Author introduced the theology of Kitamori Kajo whoshe delighted on God's suffering and attempted to reveal that, eventually, itwould be the narrative of pain from which Jesus Christ suffered if Christianity hadsomething truly worthy. In the process, the Author focused on the argument ofSusan Sontag, who was concerned about the limit of sympathy, and that ofMartha C. Nussbaum, who proposed the importance of narrative through Greektragedies and novels. Also, as one way to overcome the limit the Western tragedies and novels mayhave, narrative ethics of Stanley Hauerwas, who proposed narrative of pain in theHoly Bible, that is, the pain of Jesus Christ. This study is a small attempt to propose a way on which the Korean churchshould go now and here, where Christian narrative that originated from God'ssuffering which meets with sufferers’ narratives. 본 논문은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비극을 겪으면서, 고통에 대한 공감을 잃은 대한민국 사회 전반, 특히 한국 교회를 바라보면서 시작되었다. “홀로코스트이후의 신학은 가능한가?” 라고 외쳤던 신학자들의 심정으로, 인류의 비극을 바라보는 하나님을 찾고 싶었다. 이를 위해 아픔을 겪는 하나님을 조명한 가쵸 기타모리의 신학을 소개하고,진정 가치 있는 무엇을 기독교가 가지고 있다면 그것은 결국 예수가 겪었던 고통의 내러티브임을 밝히고자 했다. 그 과정에 공감의 한계를 고민한 수전 손택과내러티브의 중요성을 그리스 비극과 소설을 통해 제안한 마사 누스바움의 주장에주목했다. 그리고 서양의 비극과 소설이 가질 수 있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길로, 기독교의 성서, 즉 예수 그리스도의 고통의 내러티브를 제안한 하우어워즈의 내러티브 윤리학을 소개했다. 본 논문은 아픔의 하나님으로 비롯된 기독교 내러티브는 고통 받는 자들의내러티브를 만나서, 지금, 여기에서 한국 교회가 가야할 길을 제안하는 작은 시도이다.

      • KCI등재

        유치환 시에 나타난 ‘낙인’의 양상과 시적 지향 - 누스바움의 수치심 이론을 중심으로 -

        이지원 한국언어문학회 2019 한국언어문학 Vol.108 No.-

        This study attempts to address the patterns and poetic orientation of ‘Stigma’ revealed in 『Chungmasicho』 and 『Sangmyeongeuiseo』, poets by Yoo Chi-Hwan, with emphasis on Nussbaum’s theory of shame. Stigma is usually done to others in order to conceal his/her own shame or to get rid of a fear about an incomplete self. However, Yoo Chi-Hwan was trying to introspect his self or transform his existence by stigmatizing himself. The text of a stigma, realized by aesthetics of symbols, is a unique property of the poetry of Yoo Chi-Hwan, which cannot be fully understood with the approach of life. In his poem, ‘Cain’s Descendant’ not only represents the negative lineage, inherited to him, but also the most evident stigma, made as a sort of guilty conscience. The stigma of Cain is an imagery of the ethical shame, inherited to generations, but its meaning, of original shame, could extend further to the existence of an incomplete human being. Especially, the method of inheriting sadness and sorrow is the ground that Yoo Chi-Hwan accepted the fundamental incompleteness of human being as a sorrow-but-inevitable fate for every human being. The approach of expanding an incomplete self to an incomplete human being through the inherited shame is a distinctive feature of Yoo Chi-Hwan. A stigma, meant for a fallen animal, is a way of self-punishment based on self-deprecation. ‘Falling’ and ‘animal’ are symbols chosen to rationalize his self-deprecation. He punished himself by expressing the animals abandoned, concealed, or lost. Especially, wings are a symbol of the heaven so the wings of fallen animals represent the confinement to the earth, which is another expression of punishment. The punishment for shame aims at psychological indulgence. By punishing his feeling of shame, he is trying to approve his moral value by himself. ‘Sick being’ is a manifestation of being useless, which is the self-diagnosis of being fallen into being worthless, and an instrument of stigmatization. For Yoo Chi-Hwan, pursuing life as the highest value, being sick works as a sort of criterion for judging an worthless being. The fact that he consistently stigmatizing ill beings paradoxically reveals that he is pursuing his own dignity since shame, a criteria of being worthless, is originated from self-dignity. Yoo Chi-Hwan is trying to inspect the essence of human existence using symbolic stigmas and to enhance himself as a more valuable being. Since shame causes a significant pain of looking into its own weaknesses, people generally try to conceal or avoid it, but not Yoo Chi-Hwan. On the contrary, he uses the feeling of shame as his source of energy to explore the meaning of existence in his poetry. The pattern of stigma not only effectively presents the direction of his poetry, but also becomes an aesthetics factor,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his unique poetry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