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교육 수준 학습인정의 상반된 두 논리

        이은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3

        목적 본 논문에서는 고등수준 학습인정체제의 기저에 놓인 학습인정의 상반된 두 논리를 논의한다. 방법 이를 위해 고등교육을 대학과 비대학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에서 역사적으로 전개된 학습인정의 논리를 고찰하였다. 대학고등교육 영역에서는 학위와 학점제도를 중심으로, 비대학 고등교육 영역에서는 직업자격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온 학습인정의 진화양상들을 검토하는 가운데 학습인정의 두 가지 논리를 개념화하고 논의하였다. 결과 고등수준 학습인정의 논리를 과정기반인정과 결과기반인정의 두 가지 상반된 논리를 도출하였다. 대학은 오랜 역사 속에서과정기반인정 논리를 핵심으로 하는 학습인정체제를 구축해왔다. 고등수준 학습과 교육의 다양한 원형이 존재한 가운데 학위와 학점은 대학이 고등교육의 중핵에 위치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다른 한편에서는 비대학 영역에서 결과기반인정 논리를 기본으로하는 학습인정체제가 구축되어 왔으며, 이 논리는 오늘날 국가 및 초국가 정책 차원에서 보다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과정기반인정과 결과기반인정 논리가 결합되어 학습인정체제가 구축되는 일들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이질적인 두가지 학습인정 논리는 충돌 양상을 야기하고 있다. 결론 과정기반인정과 결과기반인정의 두 가지 학습인정 논리는 본질적으로 상반된 논리이기 때문에 충돌 양상이 표면화되는 것이당연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 및 초국가 차원에서 두 논리를 충돌보다는 융합적으로 결합시키려는 정책적 시도를 적극적으로하고 있는데, 이는 어느 하나의 논리로 인간의 역량을 총체적으로 평가하고 인정할 수 없다는 점이 보다 명백하게 드러나고 있기때문이다. 이러한 전세계적인 흐름에 비추어 우리 사회는 두 가지 학습인정 논리들을 결합시키면서 학습인정체제를 근본적으로 재구조화시키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비판적이다. 고등수준의 학습인정체제는 곧 그 사회가 고등교육시스템을 어떻게 바라보고 설계하고 있는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만큼, 그 기반이 되는 학습인정 논리들에 대해서 깊이 있게 고찰하고 결합 방식을 고민할 필요가있다. Objectives This paper discusses the two conflicting logics of learning recognition that underlie the higher-level learning recognition system. Methods For this purpose, higher education was divided into university and non-university areas and the logic of learning recognition that developed historically in each area was examined. The two logics of learning recognition were analyzed while reviewing the evolution of learning recognition that has developed in the field of university higher education, focusing on degrees and credit systems, and in the field of non-university higher education, focusing on vocational qualifications. Results Throughout its long history, universities have established a learning recognition system with the logic of process-based recognition as its core. While various prototypes of higher-level learning and education existed, degrees and credits played a major role in establishing universities at the core of higher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non-university sector, a learning recognition system has been established based on the logic of outcome-based recognition, and is now being emphasized more at the national and supranational policy level. In this context, it is frequent today that process-based recognition and outcome-based recognition logic are combined to build a learning recognition system, and in the process, the two heterogeneous learning recognition logics are showing signs of conflict. Conclusions Because the two learning recognition logics of process-based recognition and outcome-based recognition are conflicting logics, it is natural that they primarily show conflicting aspects. Nevertheless, the reason why attempts to combine the two logics in a convergent manner rather than in conflict are being actively made at the national and supranational level is because it is becoming more clear that human capabilities cannot be comprehensively evaluated and recognized by any single logic. In light of global trends, we can take a critical look at how our society is fundamentally restructuring the learning recognition system by combining the two learning recognition logics. Since the higher-level learning recognition system is a measure that clearly shows how society designs higher educ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deeply examine the conflicting logics of learning recognition and consider ways to combine them.

      • KCI등재

        사범계열과 비사범계열 대학생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대한 학습경험과 학습성과 인식 차이

        김정연 ( Chungyun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8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2 No.4

        캡스톤 디자인은 미래 사회에서 산업계가 요구하는 융·복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적합한 교육이다. 이에 따라 공학뿐만 아니라 인문, 사회, 자연, 예술 및 사범계열 분야에까지 확장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범계열과 비사범계열로 구분하여 전공과목으로 운영된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대한 학습경험과 학습성과 인식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캡스톤 디자인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 258명을 대상으로 학습경험과 학습성과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사범계열과 비사범계열에서의 학습경험 및 학습성과 인식에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사범계열에서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 개선과 방향성에 있어 중등교육뿐만 아니라 평생교육 현장과의 긴밀한 연계성을 가지고 사범계열에서의 전문성 실현을 위해 체계적인 캡스톤 디자인 수업 운영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Capstone design class is suitable for cultivating convergent talented people required by an industrial world in the future society. As a result, it has expanded to include not only engineering but also humanities, social studies, nature, arts, and education major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earning experience and learning outcome recognition about a capstone design class by separating students who majored in education from ones who majored in non-education. For this purpose, 258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a capstone design class were surveyed about learning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learning outcomes. From this research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learning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learning outcomes in the education major and non-education major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ystematic capstone design class should be operated in order to realize professionalism closely related with the lifelong education field as well as the secondary education in improvement and direction of capstone design in the education major field.

      • 감정노동자를 위한 딥러닝 기반의 스트레스 감지시스템의 설계

        옥유선(Yu-Seon Og),조우현(Woo-hyun Cho)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5 No.2

        서비스 산업의 성장과 함께 감정노동자의 스트레스가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어 2018년 감정노동자 보호법이 시행되었다. 그러나 실질적인 감정노동자 보호 시스템의 부족으로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디지털 시스템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감정노동자인 고객 상담사를 위한 딥러닝 기반 스트레스 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스템은 실시간 얼굴검출 모듈, 한국인 감정 이미지 중심의 이미지 빅데이터를 딥러닝한 감정분류 FER 모듈, 마지막으로 스트레스 수치만을 시각화하는 모니터링 모듈로 구성된다. 이 시스템을 통하여 감정노동자의 스트레스 모니터링과 정신질환 예방을 목표로 설계하였다.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service industry, stresses from emotional labor workers have been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thereby so-called the Emotional Labor Protection Act was implemented in 2018. However, insufficient substantial protection systems for emotional workers emphasizes the necessity of a digital stress management system. Thus, in this paper, we suggest a stress detection system for customer service representatives based on deep learning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This system consists of a real-time face detection module, an emotion classification FER module that deep-learned big data including Korean emotion images, and a monitoring module that only visualizes stress levels. We designed the system to aim to monitor stress and prevent mental illness in emotional workers.

      • KCI등재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대한 비공학 및 공학계열 대학생의 학습경험과 학습성과 인식 차이

        김정연,태진미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8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2 No.1

        In recent years, many universities have expanded their capstone design courses in not only engineering but also non-engineering field. This is in the aim of inducing educational innovation that responds to changes in industry with the purpose of cultivating new creative convergent human resourc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led by industry based on technology platform. On the other hand, the capstone design class which is operated without taking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subjects of the learners into consideration may fail to derive effective learning outcomes that meet the needs of the learners by the major field.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apstone design class meeting the needs of the students in the major field by investigating the learning experience and recognition on learning outcomes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capstone design class of engineering and non-engineering major field. To do this, a survey about learning experience and learning outcome recognition was conducted with a questionnaire including the checklist and open-ended questions to 317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capstone design classes at A universit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experience and learning outcome recognition according to non-engineering and engineering major field. This suggests that different approaches are needed to develop capstone design classes and related curriculum for university students whose major is non-engineering and engineering major field. 최근 많은 대학들이 공학계열뿐만 아니라 비공학계열에서도 캡스톤 디자인 수업을 확대하고 있다. 이것은 기술플랫폼 기반의 산업이 주도하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새로운 창의융합인재 양성을 목표로 산업체의 변화에 부응하는 교육혁신을 일으키려는 취지에서이다. 한편, 계열별 학습자들의 특성 및 관련 교과목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운영되는 캡스톤 디자인 수업은 학습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효과적인 학습 성과를 도출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참여한 비공학 및 공학계열 대학생의 학습경험과 학습성과 인식 차이를 조사하여 계열별 학습자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캡스톤 디자인 수업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A대학교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을 수강한 317명을 대상으로 학습경험과 학습성과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계열에 따른 학습경험 및 학습성과 인식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비공학 및 공학계열 대학생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수업 및 관련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