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米同盟と東北アジアの安全保障 - 日米安保協力の現狀と課題 -

        鄭勛燮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5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9

        Since the end of the World War Ⅱ,a primary objective of the U.S. policy toward the Northeast Asia has been the promotion of peace and stability on this area, that is first and foremost maintained by a credible deterrent against the possible Soviet aggression. The continued basing of the U.S. forces in Japan under the Japan‐U.S. Security Treaty makes this deterrent both possible and credible. Recently, the Japan‐U.S. alliance has been undergoing some changes. The changes stem from the end of the Cold War, September 11 terrorist attacks, and the wars in Afghanistan and Iraq. These factors have forced Japan to form the new Japan‐U.S. security relations. Now, under the Global Posture Review (GPR) plan, Bush Administration is seeking to transform its military into a leaner, more mobile force to deal with the shifting post‐Cold War security environment. The Japan and U.S. also have been negotiating for more than a year over the reorganization of the U.S. forces in Japan. The U.S. still sees Japan as the linchpin of its security policy in the Northeast Asi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mainly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s and the issues of Japan‐U.S. security cooperation. This paper also examines about the correlation of a Japan‐U.S. alliance and the security of the Northeast Asia by considering the influences which Japan‐U.S. security cooperation has on neighboring countries.

      • SSCISCOPUSKCI등재

        Regional Security Order and South Korea-Japan Relations

        ( Eunil Cho ) 한국국방연구원 2022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Vol.34 No.4

        This preliminary study focuses on the change in the regional security order caused by the U.S.-China competition and its impact on South Korea-Japan relations. The ongoing U.S.-China relations has expanded beyond the discussion of cooperation and competition between existing and emerging powers, as well as the debate over the influence and resilience of the U.S.-led liberal international order. The significance of the U.S.-China competition in the security order in East Asia depends on whether China will accept the existing U.S.-led bilateral alliance system and take a status quo attitude. As a result, the U.S. allies, South Korea and Japan, need to respond sensitively to the changing nature of the security order. In this vein, this study explains the East Asian security order as elements of power structure, institutions, and actors. In addition, it explains the emergence of China as a new hegemonic power due to the U.S.-China competition, the hub-and-spokes system changes according to the U.S. rebalancing policy, and the emergence of Trumpism. Through this, the author argues two claims. First, the change in U.S.-China relations has led to different expectations between Seoul and Tokyo for cooperation with the U.S., which has hindered bilateral cooperation between them. Second, divergent views on China also hinder South Korea-Japan cooperation. Through the Senkaku dispute between Japan and China and the missile deployment dispute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the two countries later showed different directions in their policy toward China. In the current competitive situation, restrictions on South Korea-Japan relations are inevitable. However, if the opportunity to promote security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is sought, it will be able to show the cooperation of middle power countries that can develop the security order to mitigate the intensity of U.S.-China competition.

      • KCI등재

        서유럽과 한・미・일 안보협력 발전에 대한 비교 연구: 199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김용우 한일군사문화학회 2022 한일군사문화연구 Vol.36 No.-

        This study focused on the reason that Post-Cold war ROK-U.S.-Japan security cooperation is differently processed from the Western Europe after WW2 even though both cases have common threats such as North Korea, China and Soviet Union. Comparison between two cases has been made in this study as to clarify causes that ROK-U.S.-Japan security cooperation remains still limited. Following comparison study, cooperating nations’ perception of threat and U.S role were identified as main reasons between two cases. Western European states developed security cooperation organization including U.S. and created NATO,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once the Soviet Union was considered a considerable threat. In addition, they placed West Germany under NAOT control in order to a potential threat, which led to change of western European nations perception vis-a-vis West Germany. The West Germany integration into NATO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U.S. efforts, considering Western Europe nations skeptical views. On the other hand, in ROK-U.S.-Japan security cooperation U.S. have not demonstrated active commitment, to solve discord between ROK and Japan, that we saw in NATO to mediate between member states. This is because U.S. are concerned about undermining relations, they built with two respective countries: ROK-U.S. alliance and U.S.-Japan alliance. Another issue restricting cooperation is ROK and Japan’s different views on North Korea and China in numerous areas such as security, economics and history. Japan perceives North Korea and China as serious threat direct to their national security whereas ROK considers them as threat, but at the same time countries that ROK should work together with in economics, politics and culture. These gaps in strategic environment between Western Europe and ROK-U.S.-Japan illustrate reasons for differences of security cooperation process in the two cases. 본 연구는 한・미・일 3국이 북한과 중국이라는 공동의 위협에 노출되어 있음에도 한일-미일 동맹의 미국중심의 양자 동맹관계만 유지되고 냉전시절 서유럽의 안보협력이 나토로 발전된 과정과 다르게 제한적 수준에서 머무는 이유에 대한 의문점에서 시작되었다. 한・미・일 간 안보협력의 발전이 제한되는 이유를 밝히기 위하여 제2차 세계대전 후 냉전 초창기 서유럽 국가들이 안보협력을 진행하는 과정과 탈냉전기 한・미・일 3국의 안보협력 과정을 비교하였다. 서유럽의 안보협력과 한・미・일 간 안보협력을 비교한 결과 두 비교사례에서 보인 차이점은 안보협력 구성 국가간 위협에 대한 인식, 미국의 역할로 도출되었다. 서유럽 국가들은 소련을 명백한 위협으로 받아들이고 미국을 포함한 안보협력기구를 발전시켜 북대서양조약기구를 창설하였다. 또한 독일의 군사력을 북대서양조약기구 통제하에 위치시킴으로써 독일의 위협을 관리하였으며 이는 향후에 서유럽 국가들의 독일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이어졌다. 서유럽 국가들의 회의적인 시각에도 불구하고 독일을 북대서양조약기구에 편입시키려는 미국의 노력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반면, 탈냉전기 한・미・일 안보협력과정에서 미국은 북대서양조약기구 내에서 회원국들의 이견을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관여하였던 것과는 달리 한일 간 갈등에 대해 직접적인 관여를 회피하고 있다. 지역안보공동체가 아닌 양자간 동맹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미국이 어느 일방의 동맹관계가 훼손되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이다. 또한 안보와 경제 및 역사 등 여러 분야에서 한국과 일본의 북한과 중국에 대한 인식은 상이하다. 일본은 북한과 중국에 대하여 직접적인 안보 위협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한국은 북한과 중국을 위협인 동시에 경제, 정치, 문화적으로 협력이 필요한 국가로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서유럽과 한・미・일사이의 전략환경 차이는 두 지역에서 안보협력이 상이하게 진행되는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 KCI등재

        일본의 통합사령부 신설과 한미일 안보협력

        김학준 한일군사문화학회 2023 한일군사문화연구 Vol.39 No.-

        From the experience of responding to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Joint Chief of Staff in assisting the Cabinet and the Minister of Defense was highlighted, and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Joint Staff Office was highlighted. This is an issue that has been raised consistently since the launch of the Department. In particular, in solidarity with the U.S. military, it has been recognized as a problem that the counterpart of the U.S. Joint Chiefs of Staff must encompass all three levels: the U.S. Joint Chiefs of Staff, the Indo-Pacific Command, and the U.S. Forces in Japan commander.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promoting ‘cross-domain operations’ while advocating ‘building a multidimensional integrated defense force’ in the space, cyber, and electronic spectrum domains, the establishment of new integrated operation units has increased, and the need for a Headquarters to integrate them. Meanwhile, on December 16, 2022, ‘Strategy 3 Documents’ was announced. In addition, various large-scale projects were included, including the acquisition of the Type 12 surface-to-ship guided missile capability improvement type and the American Tomahawk, with the aim of strengthening counterattack capabilities. The counterattack capability is exercised across the Army, Navy, and Air Self-Defense Forces, and on the battlefield, inter-unit linkage and avoidance of friendly fire are essential, and from the perspective of defense power development, the creation of a Joint Headquarters is specified to acquire this capability. The United States agreed Japan’s policy of establishing a Joint Headquarters and is considering a plan to grant command authority to U.S. forces in Japan appropriate for this policy. Therefore, in the joint response between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o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nd WMD, it is expected that in the future, Korea’s Strategic Command, Japan’s Joint Headquarters, and U.S. Forces Korea/Japan Command will operate in conjunction. On the other hand, rather than granting separate operational authority to the U.S. Forces in Japan, it was proposed to establish a new headquarters that would integrate the U.S. Forces in Japan and the U.S. Forces in Korea under the tentative name of ‘Far East Command.’ If the U.S. Forces in Korea and the U.S. Forces in Japan are integrate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Korea will directly or indirectly participate in a war led by the United States in situations such as the Taiwan Strait issue as well as emergencies on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our country, which is considering the creation of a Strategic Command to be in charge of responding to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nd missiles, plans to link up with the Japan’s Joint Headquarters, which is created to operate counterattack capabilities, and establish a new Japan’s Joint Headquarters,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the U.S. Military Command in Japan related to this. We must pay attention to the changes in nature, military integration between the U.S. and Japan, and the establishment of a permanent cooperation system, and prepare for security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and Korea-U.S.-Japan. 동일본 대지진 대응 시의 경험으로부터, 내각과 방위상에 대한 통합막료장의 보좌 기능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통합사령부의 신설이 필요성이 부각되었지만, 통합막료감부 출범시부터 꾸준히 제기되어왔던 사안이다. 특히 미군과의 연대에 있어서 통합막료장의 카운터파트가 미 합참의장, 지역통합사령부인 인도태평양사령관, 예하통합사령부인 주일미군사령관이라는 3단계를 모두 포괄해야한다는 것을 문제점으로 인식하여왔다. 이에 더해서 우주, 사이버, 전자 스펙트럼 영역에 대해 ‘다차원 통합방위력 구축’을 표방하면서 ‘영역횡단작전’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이에 대한 통합작전부대의 신설이 많아졌고 이를 통합운용할 사령부의 필요성이 제기되어왔다. 이러한 가운데 2022년 12월 16일, 국가안보전략, 국가방위전략, 방위력정비계획으로 구성된 ‘전략 3문서’가 발표되었다. 여기에 반격능력(스탠드오프 방위능력)의 강화를 내세우며, 12식 지대함 유도탄 능력향상형과 미국산 토마호크의 취득을 비롯한 각종 대형사업을 포함시켰다. 반격능력 행사 주체가 육해공 자위대에 걸쳐, 전장에서는 부대간 연계나 우군사격 회피가 필수적이며 방위력 정비 관점에서는 필요 자산이 육해공을 걸쳐 보유되는 이 능력 획득을 위해 통합사령부의 창설을 명기하기에 이른다. 미국은 일본의 통합사령부 신설 방침을 환영하며, 이에 적합한 주일미군에 지휘권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 방안에 대해서는 요코다 기지의 기존 주일미군사령부를 확대하는 방안과 지휘권을 가진 예속통합사령부의 신설 등이 각각 검토되고 있다. 따라서 북 핵・WMD에 대한 한미일 공동대응에 있어서 향후에는 한국의 전략사령부와 일본의 통합사령부, 주한/주일미군사령부가 연계되어 작전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에 주일미군에게 별도의 작전권을 부여하기보다는 주일미군과 주한미군을 통합한 가칭 ‘극동군사령부’로 통합한 사령부의 신설이 제안되기도 했다.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이 통합될 경우에는 한반도 유사시 이외에 대만해협 문제 등의 상황에서 한국은 미국이 주도하는 전쟁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일본의 새로운 영역에 대한 통합작전능력 확보와 반격능력의 전문적인 운용 등을 고려하여 신설되는 통합사령부로 인하여, 이와 관련된 주일미군사령부의 성격변화, 미일 간의 군사일체화 심화, 표적정보공유 등 상시협력체계 구축이 예상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일, 한미일 안보협력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화와 영향이 예상되므로 대해 대비하여야 한다. 미중경쟁이 첨예화되는 가운데 한국의 안보상 전략적 고려는 복합성을 갖는다. 단순한 세력균형 논의에는 한계가 있으며, 행위자의 인식, 선택, 결과에 대한 보다 중층적인 검토가 요구된다. 한국이 추구해야 할 적절한 국내적 전환과 동북아 지역체제와의 공존적 복합화 범주를 고려하여 한국의 국익에 적합한 한일, 한미일 안보협력을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한미일 협력은 대북 위협에 국한되지 않고, 우주・사이버・전자기 스펙트럼과 같은 새로운 도메인에서의 위협에 대한 대응, 중국의 힘에 의한 현상변경 시도에 대한 대응 등이 검토되어야 하며, 미국의 국가방위전략에서 제시된 ‘통합억제(integrated deterrence)’와 ‘전영역지휘통제(JADC2)’ 체계 구축 등에 대한 연대가 필요하다.

      • KCI등재

        비전통 안보위협의 부상과 한미일 안보협력 방안

        설인효 한일군사문화학회 2021 한일군사문화연구 Vol.31 No.-

        COVID19 has become an event that clearly reveals the importance of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in national security. Today, a number of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including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are largely due to the globalized international order, which has expanded its scale and deadly nature. Therefore, it will be difficult to restore the globalized world, which is a source of international prosperity and stable relationship among states, if effective systems to respond to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are not established. However, international cooperation, which is the core of an effective response, is likely to be constrained, as the COVID19 is expected to amplify competitive international relations, including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that has been already underway. From now on, the military should be reborn as a competent defense with expertise in responding to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in order to protect itself from the threats such as large-scale infectious diseases and maintain wartime preparedness even in those threats. Furthermore, the role of leading defense cooperation in responding to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will be an important foundation for restor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globalized international order in the post-Corona era. The military, which has the ability to quickly transport personnel, equipment and supplies, can play a unique and critical role in promoting international defense cooper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defense cooperation system, it is possible to respond quickly and effectively to a crisis in a country so that the spread of the crisis can be effectively blocked. Meanwhile, it is hard to rule out the possibility of such a post-COVID19 crisis further amplify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Northeast Asia, where U.S.-China competition is escalating and negotiations on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program remain stalled. By actively pushing for security cooperation among South Korea, the U.S. and Japan to respond to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South Korea should take the lead in international cooperation that is essential in the post-Corona phase, while actively creating favorable strategic conditions to avoid falling into a bilateral selective situa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Efforts to establish an effective defense cooperation system against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can not only be resisted by China, but also gain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well as enhance interoperability in carrying out operations. Defense cooperation in responding to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could serve as an opportunity for South Korea and Japan to pursue security cooperation by separating historical and security issues. It is hard to expect the history issue to be resolved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if Korea and Japan gradually expand defense cooperation to cope with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such as responding to infectious diseases, it will serve a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security cooperation among three countries to enhance regional stability in the long run. 코로나19는 국가안보에 있어서 비전통 안보위협의 중요성을 여실히 드러내는 사건이 되었다. 오늘날 감염병의 확산을 비롯한 다수의 비전통 안보위협은 세계화된 국제질서로 인해 그 규모와 치명성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비전통 안보위협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체제를 수립하지 못할 경우 국제적 번영과 안정적 질서의 원천이 되는 셰계화된 국제질서를 복원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코로나19는 이미 진행되고 있던 미중경쟁을 포함한 경쟁적 국제관계를 악화시키는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어 국제협력은 위축되고 제약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상황에서 비전통 안보위협에 대한 효과적 대응 지원과 국제적 국방협력을 주도해 나갈 군과 국방의 역할 확대가 주목된다. 향후 군은 대규모 감염병과 같은 비전통 안보위협으로부터 군 자체를 보호하고 이를 통해 전시대비태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도, 정부와 민간을 지원하여 조기에 위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도 비전통 안보위협에 대한 전문적 대응역량을 갖춘 유능한 국방으로 거듭나야 한다. 나아가 비전통 안보위협 대응을 위한 국방협력을 선도하는 역할은 포스트 코로나 국면에서 국제협력을 복원하고 세계화된 국제질서를 회복하는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다. 인력과 장비, 물자를 신속하게 수송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군은 국제적 국방협력 증진에 있어서 독보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효율적 국방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한 국가에서 발생한 위기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위기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코로나19 이후의 위기는 미중경쟁이 더욱 고조되고 북핵 협상이 교착상태에 머물고 있는 한반도와 동북아에서 더 증폭된 모습으로 전개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한국은 비전통 안보위협 대응을 위한 한미일 안보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감으로서 포스트 코로나 국면에서 반드시 필요한 국제협력을 주도해 나감과 동시에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양자택일적 상황에 빠지지 않기 위한 유리한 전략적 여건을 적극적으로 조성해 나가야 한다. 비전통 안보위협에 대한 효과적 국방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노력은 중국도 거부할 수 없고 국제사회의 지지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전 수행 시 상호 운용성 증진을 통해 미래의 위기에 공동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도 증진시킬 수 있다. 비전통 안보위협 대응을 위한 국방협력은 한국과 일본이 역사 문제와 안보 문제를 분리하여 안보협력을 추진해 나갈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도 있다. 한일 간 역사 문제가 단기간 내에 해결되기를 기대하기 어렵지만 당면한 과제인 감염병 대응 등 비전통 안보위협 대응을 위한 국방협력을 다양한 수준과 분야에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간다면 지역 안정에 기여할 수 있는 한미일 안보협력의 중요한 기반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최근 일본의 안보군사 정책 변화와 한반도 안보

        권태환 ( Kwon Tae Whan ) 한국군사학회 2019 군사논단 Vol.100 No.-

        Recently, the US-China conflict has spread to all defenses, including trade, high technology, and diplomacy, and the security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s also serious. As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negotiations stalemate, North Korea’s continued military provocations squeeze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Korea government’s strategic position is narrowing. Moreover, the US-Korea relations are also facing difficulties due to sharp issues such as the transition of ROK-US OPCON and the sharing of SMA. In order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and timely respond to changes in US-China security strategy, it is urgent to establish new security policies and strategies, and in particular, a plan for strengthening Korea-US-Japan security cooperation, which is likely to be cracked by the GSOMIA destruction, is required. Meanwhile, Japan government revised the US-Japan guidelines in April 2015 and entered into force in March 2016. In 2018, the National defense plan was revised and new aircraft carrier with the F-35B was introduced to prepare for future warfare, including cyber and space warfare. In particular, Japan is strengthening the joint US-Japan joint operation in preparation for the existence crisis, major impacts, and armed attacks by applying the regional emergency security legislation. Based on the changes of Japan security strategy, new plan for security cooperation between Korea-US-Japan must be derived. In conclusion, for security cooperation between Korea-Japan and Korea-US-Japan, first, it is necessary to norm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early and expand strategic dialogue channels. Second, Korea-US and Korea-US security cooperation tasks for the similar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should be identified, and a practical security cooper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is. This will allow us to set common goals and to coordinate our mutual roles, missions and abilities. Third, efforts should be made to prepare for a substantial readiness to curb war on the Korean Peninsula, while expanding the capabilities of the United Nations and its allies based on US-Japan security cooperation. Based on this, multinational cooperation in non-traditional security areas such as coping with large-scale natural disasters and accidents, coping with pirates, and counterterrorism support will be possibl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is not created, but making. And no policy or strategy can be implemented without national consensus. To this end, more practical discussions and concrete alternatives should be suggested on the realistic situation that people are concerned about, such as the Korean Peninsula crisis. In the midst of rising military tensions and uncertainties over the Korean Peninsula, there is an urgent need to improve practical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order to turn the crisis into an opportunity.

      • KCI등재후보

        한미일 3각 안보협력체제 형성의 기원 : 냉전기 북한의 무력도발과 한국 안보외교를 중심으로

        박영준(Park, Young-June)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21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42 No.2

        본 연구는 1968년 시점에 고조된 북한의 대남 군사도발이 한국 안보외교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1960년대 중반 시점 국력의 기준 에서 상대적 약소국의 위상에 놓여있던 한국은, 북한의 군사위협 증대에 대응 하여 대미외교를 통해서는 한미상호방위조약의 개정과 한국 군사력의 현대화, 나아가 한미 국방장관 회담의 정례화 등을 외교적 어젠다로 추진하였다. 일본에 대해서는 양국간 안보협력 필요성을 공동으로 인식하고자 하였고, 경제지원 확대, 안보관련 인사 교류 등의 초보적인 안보협력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자간 차원에서도 아시아 지역의 안보협의기구 창설을 추진하고자 하였다. 이 결과 한미동맹 차원에서는 양국간 국방장관 회담이 정례화되었고, 한미 연합훈련이 제도화되었다. 또한 한일간 차원에서도 안보적 유대감이 형성되었 다. 박정희 정부는 1968년을 기해 고조된 북한의 대남군사도발에 직면해 적극적 안보외교를 전개하였고, 이를 통해 한미일 안보협력의 원형을 만들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North Korea began to demonstrate growing military provocation against South Korea in the late 1960s based on its economic achievement as well as increased international standing. In response to Pyongyang’s intensified military threat such as the raid by guerilla troops to the Blue House, Seoul’s president residence, and the capture of the USS Pueblo to the North Korea’s sea port in the early 1968,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activated its security diplomacy to the United States and Japan. In that sense, intensifying military provocation by North Korea in the late 1960s precipitated South Korea’s active security diplomacy.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played important role to establish an early stage of tr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among South Korea, the U.S. and Japan. Seoul asked Washington to bolster it’s armed forces by providing advanced military equipments and strengthen alliance system through establishing regular defense minister meeting. Also, Park administration propelled security cooperation with Japan. In addition, South Korea pursued a formation of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ve institution inviting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Japan and Taiwan. As a result, Seoul could held regular defense minister’s meeting and joint military drills with Washington. Furthermore, South Korea began to deepen security cooperation with Japan eliciting more economic assistance from Tokyo.

      • KCI등재

        한미일 안보 협력에 대한 성찰: 한일 안보 협력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안문석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23 동향과 전망 Vol.- No.119

        윤석열 정부는 북핵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한미일 안보 협력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는 세 가지 요인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한일의 긴밀한 협력관계를 통해 동북아 질서를 관리해 나가려는 미국의 관여와 간섭,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 경제적 성과를 중시하는 윤석열 정부의 과잉 실용주의 등이다. 이러한 요인들에 따라 한미일 한보 협력이 추진되고 있지만, 저해 요인들이 상존하고 있다. 첫째, 한국과 일본이 외부 위협을 철저히 공유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북한에 대한 위협 인식이 다르고, 중국을 보는 시각도 같지 않다. 둘째, 안보 협력의 기초가되는 신뢰가 한일 사이 형성되어 있는지 의문이다. 과거사와 영토 문제뿐만 아니라안보상의 문제를 제기하며 수출 규제를 가하는 일본을 한국이 안보 협의를 진행할만큼 신뢰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하겠다. 셋째, 한일이 안보 이익을 공유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일본의 안보 증진에 대한 우려의 시선이 한국에 존재하고, 안보에 관한 한 한일이 제로섬의 관계를 벗어났다고 보기 어렵다. 한미일 안보 협력의 동인은 북한이라는 위부 위협인데, 이처럼 한미일, 특히 한일의 안보 협력이쉽지 않은 상황에서 더 근본적인 대응책은 북한이라는 위협의 위협 정도를 낮추는일이 될 것이다. 북미 핵 협상과 남북 관계 개선에 진력하는 것이 그런 길이 될 수있을 것이다. The Yoon Suk Yeol government pushes ahead with the South Korea-U.S.-Japan security cooperation to cope with the North Korean nuclear program. Three factors promote this policy of the Yoon government: traditional U.S. intervention in the South Korea-Japan relationship, U.S. Indo-Pacific strategy and Yoon’s hyper-pragmatism. However, the tr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encounters some impediments. Firstly, it is hard to say that South Korea and Japan share external threats. They have different perspectives on North Korea and China. Secondly, it seems that there is little credibility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which is a kind of basis for security cooperation. Thirdly, it is also hard to say that South Korea and Japan share security interests. The Koreans are still afraid of Japan’s rearmament. The main motive for the tr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is the North Korean nuclear and missile program. But it is difficult to deal with this threat by taking advantage of the tr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which faces serious obstacles. Therefore, it is recommendable that the Yoon government tries to reduce the level of threat from the North by promoting North Korea-U.S. nuclear talks and improving North-South Korean relations.

      • KCI등재

        아베 정권의 아시아 안보전략과 한미일 동맹구도의 변화 전망

        박병철,주인석 한국통일전략학회 2016 통일전략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베 정권의 아시아 안보전략에 따른 한·미·일 동맹구도가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할 것인지를 전망하고자 한다. 2012년 말 아베 정권이 등장한 이후 일본의 안보전략은 ‘적극적 평화주의’를 바탕으로 보통국가화를 지향하고 있다. 아베 정권의 보통국가화는 우경화의 산물로 집단적 자위권을 확보하여 정상적인 군대의 운용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에는 미국의 아시아 안보전략의 변화가 일정한 역할을 하고 있다. 미국은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미․일동맹을 강화와 일본의 군비확장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은 미국의 대중국 견제와 미일동맹 강화에 ‘적극적으로 편승’하여 국제적 영향력을 강화하는 것과 동시에 보통국가화를 추구하고 있다. 아베정권의 아시아 안보전략은 미국의 아시아 안보전략과 맥을 같이 함으로써 새로운 지역질서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오바마 행정부의 재균형전략은 동맹네트워크 강화를 바탕으로 중국의 군사력 증강과 패권추구,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에 대처한다는 것이며, 이는 일본으로 하여금 보통국가화로 나아갈 수 있는 명분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과 일본의 지역 안보전략의 설정은 한국에 있어 안보전략의 자율성을 제약하고 있다. 한·미·일 동맹구도에 있어서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새로운 도전요인들이 한·미·일 삼국 간에 등장하고 있다. 중국의 군사력 증강과 패권추구에 대한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은 한국과 일본의 동맹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일본은 미국의 이러한 전략에 부흥하여 동맹 확대에 적극적으로 순응하고 있는 반면, 한국은 현재 미중 간의 관계에서 오는 딜레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소극적인 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 최근 북한의 제4차 핵실험으로 인해 미중 간에는 북한제재와 관련하여 첨예한 갈등이 전개되고 있다. 또한 북한 핵위협에 대한 대응의 일환으로 제기된 한반도의 사드배치 여부로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의 동맹전략은 새로운 시험대에 직면하고 있다. 한국은 한·중 경제협력과 중국의 대북제재 지원을 고려하면서도, 동시에 한·미·일 삼각동맹 구도의 변화 속에서 안보전략적 자율성을 새롭게 정립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최근에 한·미·일 삼각동맹의 축이 미·일 중심으로 재편되어 가면서 한국의 전략적 고민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orecast which direction the trilateral alliance between Korea, Japan and the U.S. will turn to depending on the Asia security strategy of the Abe administration. Since the inauguration of the Abe administraion in the end of 2012, the security strategy of Japan has aimed at establishing a common state on the basis of 'positive pacificism.' The normalization policy of the Abe administration is a result of its shift to the right in order to secure collective self-defense and promote a normal military maneuver. In this move, the change of the US's security strategy in Asia plays a significant role.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supports the consolidation of US-Japan alliance and expansion of armaments of Japan with a view to keeping China from rising. Japan tries to both reinforce its international influence and pursue a normal nation at the same time by actively 'jumping on the bandwagon' of the US's check on China and US-Japan alliance consolidation. The Asia security strategy of the Abe administration in accordance with American security strategy of Asia predicts a new change in the regional order. The 'Rebalancing' strategy of the Obama government is to cope with China's military reinforcement and pursuit of hegemony as well as with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nd missile development on the basis of the consolidation of the given alliance network. And this provides a path for Japan to prepare for the normal nation. This regional security strategy set by the United States and Japan limits the autonomy of Korea in its own security policy. A change in the framework of Korea, U.S and Japan alliance is detected, too. New challenges appear in the trilateral ties between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In other words, the US's 'Rebalace to Asia' strategy towards China's military buildup and pursuit of hegemony requires an expansion of Korea-Japan tie. In this trend, Japan positively complies with the alliance consolidation by following American strategy. On the other hand, Korea consistently takes passive actions as it doesn't overcome a dilemma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Recently, because of the fourth nuclear weapons testing of Nor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China undergo an acute conflict over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n addition, the controversy grows bigger and bigger over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THAAD) missile deployment in the Korean Peninsula as a way to defend against the nuclear threat of North Korea. In this situation, Korean alliance strategy is facing a new test. Korea must consider Korea-China economic cooperation and China's support for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while facing the task of establishing an autonomy in the security strategy within the alliance of Korea, US and Japan. Especially, as the axis of the triple alliance of Korea, US and Japan is recently being reshaped into US-Japan centered tie, Korea is deeply in trouble over its strategies.

      • KCI등재

        한·미·일 연대 제도화와 한반도 및 인도태평양 안보

        앤드류 여 사단법인 한국국가전략연구원 2024 한국국가전략 Vol.9 No.1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고 유럽과 중동에서 지정학적 갈등이 계속되는 가운데 한일 화해와 한미일 3국 협력 체제는 2023년 가장 주목할 만한 외교 성과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최근 한미일 3자 협력 가속화와 그것이 한반도와 인도-태평양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각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은 최근 3자 협력, 특히 캠프 데이비드 한미일 정상회의 이후 성과를 개괄적으로 소개한다. 2장은 2022년 이후 한미일 협력을 견인한 요인을 분석한다. 3장은 3국 관계 발전이 지역 및 글로벌 안보 역학 관계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평가한다. 4장은 3자 협력이 당면하고 있는 구조적, 운영적, 국내적 도전 과제들을 제시한다. 5장은 3국 관계 발전을 위한 정책을 제안한다. 2023년 8월 18일, 미국, 일본, 대한민국 정상은 워싱턴 D.C. 인근 캠프 데이비드에서 3자 협력 시대를 선언했다. 캠프 데이비드 원칙, 캠프 데이비드 정신, 협의 약속 등 세 가지 문서에 따라 3국은 군사 영역뿐만 아니라 경제, 기술, 공급망을 아우르는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3국은 북한에 대한 방어 및 억지력 강화, 중국 위협 대응, 우크라이나 원조, 경제 탄압에 대한 회복력 구축, 공급망 조율 등 다양한 현안에에 대해 3국 군사 및 경제 협력도 제도화했다. 하지만 캠프 데이비드 정상 회담 이후, 현재 각국 국내 상황과 미래 지정학적 흐름을 고려할 때 3자 협력이 장기적으로 실행 가능한지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제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3자 협력이 보다 구속력 있는 약속을 담은 준동맹으로 발전할 것으로 보는 반면, 회의론자들은 3자 협력이 "3자 소협의체" 형식을 넘어설 수 없다고 전망하고 있다. 본 논문은 최근 한미일 3자 협력 제도화와 그것이 한반도와 인도-태평양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각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은 최근 3자 협력, 특히 캠프 데이비드 한미일 정상회의 이후 성과를 개괄적으로 소개한다. 2장은 2022년 이후 한미일 협력을 견인한 요인을 분석한다. 3장은 3국 관계 발전이 지역 및 글로벌 안보 역학 관계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평가한다. 4장은 3자 협력이 당면하고 있는 구조적, 운영적, 국내적 도전 과제들을 제시한다. 5장은 3국 관계 발전을 위한 정책을 제안한다. In a year plagued by ever increasing ten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geopolitical challenges in Europe and now the Middle East, South Korea-Japan rapprochement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U.S.-Japan-Korea (UJK) trilateral cooperation served as one of the more promising diplomatic developments in 2023. This paper evaluates the recent acceleration of the U.S.-Japan-Korea trilateral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Korean Peninsula and Indo-Pacific security. The paper is divided into five sections. Section one provides an overview of recent gains made in trilateral cooperation, particularly after the Camp David trilateral summit. Section two analyzes the factors driving trilateral cooperation since 2022. Section three addresses the positive and negative implications of recent developments in trilateral relations on regional and global security dynamics. Section four identifies structural, operational, and domestic challenges facing trilateral cooperation. Section five concludes with policy recommendations for advancing trilateral relations. On August 18, 2023, the leaders of the United States,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ROK) declared an era of trilateral cooperation at Camp David near Washington, D.C. Based on three separate documents-the Camp David Principles, the Camp David Spirit, and the Commitment to Consult-the three countries agreed to boost cooperation that encompasses not only the military domain, but also the economy, technology, and supply chains. Additionally, the three countries further institutionalized trilateral military and economic cooperation by boosting efforts to promote defense and deterrence against North Korea, address threats from China, deliver aid to Ukraine, build resilience against economic coercion, and coordinate supply chain logistics among other issues. Following the Camp David summit, a wide range of views regarding the long-term viability of trilateral cooperation have emerged in light of current domestic obstacles and future geopolitical trends. Some see trilateral cooperation moving toward a quasi-alliance with more binding commitments while others remain skeptical whether it can move beyond the format of a "mini-lateral consultative group.” This paper evaluates the recent acceleration of the U.S.-Japan-Korea trilateral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Korean Peninsula and Indo-Pacific security. The paper is divided into five sections. Section one provides an overview of recent gains made in trilateral cooperation, particularly after the Camp David trilateral summit. Section two analyzes the factors driving trilateral cooperation since 2022. Section three addresses the positive and negative implications of recent developments in trilateral relations on regional and global security dynamics. Section four identifies structural, operational, and domestic challenges facing trilateral cooperation. Section five concludes with policy recommendations for advancing trilateral re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