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기도교육청 학교혁신 정책의 성과와 과제: 2009년 이후 학교변화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백병부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2

        This study analyzes the achievements and tasks of the school innovation policy in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GOE), which is promoting school innovation in a way that conforms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decentralization and autonomy since 2009. The achievements confirmed through FGI a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 innovation policy of GOE raised the sensitivity of the ‘schoolness’. Second, the school innovation policy of GOE recognized the teacher as a growing entity through linkage with the learning community and the local community. Third, the school innovation policy of GOE strengthened the subjectivity of students and parents. Fourth, GOE succeeded in expanding the base of school innovation. Lastly, the above results have led to the pride that Gyeonggi Province is leading the innovation of Korean education. The following tasks are identified. The most serious problem is that there is a wide variation in innovation among schools. The second is the problem of leader reproduction. Third, the school innovation policy of GOE does not coincide with the voice of the field. The fourth is micro and segmental school innovation. The fifth is the stagnation of innov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olicy authorities need to continue to make efforts to upgrade the level of school innovation, while at the same time creating a new model of innovation in order to deepen it . 이 연구는 교육 분권과 자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2009년부터 이에 부합하는 방식으로학교혁신 정책을 추진 중인 경기도교육청의 학교혁신 정책의 성과와 과제를 정리한 것이다. FGI를 통해서 확인한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교육청의 학교혁신 정책은 학교다움에 대한 교육주체들의 민감성을 제고했다. 둘째, 경기도교육청의 학교혁신 정책은 교사를 학습공동체나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해서 성장하는 존재로 인식하도록했다. 셋째, 경기도교육청의 학교혁신 정책은 학생과 학부모의 주체성을 강화했다. 넷째, 경기도교육청은 소수의학교를 대상으로 한 모델 창출 전략을 넘어 학교혁신의 저변을 확대하는 데 성공했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성과는경기도가 우리나라 교육의 혁신을 선도한다는 자부심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이와 함께 확인한 과제는 다음과 같다. 다른 무엇보다도 심각하게 제기된 문제는 학교 간 혁신의 편차가 심하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리더 재생산의 문제이다. 세 번째는 경기도교육청의 학교혁신 정책이 현장의 눈높이를 맞추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네 번째는 미시적이고분절적인 학교혁신이다. 다섯 번째는 혁신의 정체 현상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정책 당국이 학교혁신의 상향평준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는 동시에지금까지의 성과를 계승하면서도 이를 질적으로 심화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의 혁신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했다.

      • KCI등재

        경기도 초등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교혁신풍토의 차이 및 변화과정 분석

        송영범,강경석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1

        This study focused on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innovation climate in innovative elemematary schools and general elementary schools, and presented discussion points and implications for the right formation of school innovation climate that should be promoted for desirable school innovation and improvement of public educ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schools (innovative schools, general school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innovation schools and general schools? Second, what has been the difference between innovation schools and general schools? Third, what difference has the innovation climate between the innovation schools and the general schools show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novative schools had higher school innovation in both first and third years than general schools, and both innovative schools had the highest school innovation in the first year, and gradually lower and lower levels in the third year. Second, an analysis of the non-conditional model of the potential growth model confirmed the results of a significant decrease in school innovation in general schools only. Third, the analysis of the condition model of the potential growth model confirmed that innovative schools have a consistently higher level of innovation than ordinary schools. In conclusion, the school innovation climate confirmed that innovative schools were at a higher level than general schools, and through analysis of non-conditional models, the change in amulets in general schools was the cause. 본 연구는 경기도 초등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교혁신풍토에 대한 현 실태를 확인하여, 학교유형(혁신학교, 일반학교)에 따른 바람직한 학교혁신과 공교육 개선을 위한 학교혁신풍토 조성의 논의점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간 학교혁신풍토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각각의 학교혁신풍토는 어떠한 변화를 보여 왔는가? 셋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간 학교혁신풍토의 차이는 어떠한 변화를 보여 왔는가? 본 연구의 결과, 첫째, 혁신학교가 일반학교 보다 1~3차년도 모두 학교혁신풍토가 높게 나타났으며,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모두 학교혁신풍토가 1차년도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3차년도로갈수록 점차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잠재성장모형의 비조건모형 분석 결과, 일반학교에서만 학교혁신풍토가유의한 감소를 보이는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잠재성장모형 조건모형 분석 결과, 혁신학교가 일반학교에비해 학교혁신풍토의 수준이 지속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학교혁신풍토는 혁신학교가 일반학교에비해 높은 수준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비조건모형 분석을 통해 일반학교의 부적 변화가 그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즉, 혁신학교의 학교혁신풍토의 수준은 연차가 지나며 감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학교의 학교혁신풍토가 더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는 경향성을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 KCI등재

        혁신학교를 통한 학교혁신의 실행: 관련 요인과 과제 - 초등혁신학교의 초기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박상완 한국교육행정학회 2019 敎育行政學硏究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 depth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mplementation of school innovation through innovation schools and to explore the model of school innovation. For this purpose, I systematically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mplementation of school innovation by using the change model of Fullan (2016/2017) as an analysis framework, with the examples of the seven preliminary reform schoo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change (necessity, clarity, complexity, quality), the context of the region (role of office of education, community, parents, principals, teachers),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central government) influenced on the implementation of school innovation. However, the influence of external factors is relatively small.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fact that the innovation school policy was promoted by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first, school innovation needs to be promoted in the direction of meaning sharing, changes within the school, school-based change, overall systematic change, and diffusion of change. Second, it suggested that the process of school innovation promotion should be based on a dynamic and flexible change model instead of the linear model among preparation (introduction), implementation, and posterior (sustainable) stag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tends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 about educational change and school innovation models. 이 연구는 혁신학교를 통한 학교혁신(교육변화)의 실행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Fullan (2016/2017)의 교육변화 모델을 분석틀로 활용하여 K 교육청 7개 초등 예비혁신학교의 학교혁신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학교 운영(실행)에서 변화의 특성(필요성, 명확성, 복잡성, 질), 지역적 맥락(교육청, 지역사회·학부모, 교장, 교사의 역할), 외부 요인(중앙정부 등)이 영향을 미치나, 그 정도는 학교별로 차이가 있으며 상대적으로 외부 요인의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혁신학교 정책이 시도교육청 중심으로 추진된 데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첫째, 학교혁신은 의미 공유, 학교 안의 변화, 학교 주도, 전반적 변화, 외부 확산 등의 방향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으며, 둘째, 학교혁신 추진과정은 준비(도입), 실행, 사후(지속) 단계 간 역동적·유연한 변화 모델에 기반을 둘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 혁신학교를 사례로 분석한 것이나 혁신학교를 통한 학교혁신의 실행에 관련된 주요 요인을 도출하고자 한 것으로 교육변화, 학교혁신에 관한 이론적·실제적 논의를 확장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부산다행복학교가 학생들의 학업 성장에 미치는 효과

        제민아(Je, Mina),윤민종(Youn, Minjong)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3

        이 연구는 부산다행복학교가 학생들의 학업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부산교육종단연구(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urvey: BELS) 자료를 활용하여 부산에 소재한 67개 초등학교(혁신학교 10개교, 일반학교 57개교)의 학생 2,708명(혁신학교 331명, 일반학교 2,37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이 연구에서는 경향점수를(propensity score) 활용하여 부산다행복학교와 일반학교 간에 존재하는 선택편의(selection bias)를 통제하였다. 이후 3수준 선형성장모형(3-level linear growth model)을 통해 부산다행복학교와 일반학교 간 학업 성장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부산다행복학교와 일반학교는 국어, 영어, 수학 교과에서 학업 성장률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혁신학교가 학생들의 학력을 저하시킨다는 주장에 대해 실증적 반론을 제기하고 동시에 혁신학교를 통해 교육격차를 완화하려는 시도에 대해 재고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re has been a controversy associated with low achievement scores of innovation schools. While the early dominant view in innovation school policy is that innovation schools reduce the achievement scores of students, recent empirical studies demonstrate that students in innovation schools gain more cognitive development than their peers in general schools. However, these findings have been limited to innovation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mong 17 cities and provinces implementing innovation school policy. In addition, these studies have not strictly controlled selection bias between innovation schools and general schools in estimating the effects of innovation school policy. Using propensity score to control selection bias between two groups and 3-level linear growth model,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innovation schools in Busan to examine whether the previous findings are applicable to the effects of innovation schools in other regions. This study employs data from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BELS), analyzing 2,708 students(331 innovation schools, 2,377 general schools) of 67 elementary schools(10 innovation schools, 57 general schools) in Busan. Result suggests that Busan innovation schools and general schools have no difference in cognitive development in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This leads us to reconsider the previous findings that innovation school policy has effects on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 KCI등재

        학교혁신의 확산 현상 분석: 서울시 A교육지원청 혁신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윤혜원 한국교육행정학회 2023 敎育行政學硏究 Vol.41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ansion and sustainability of school innovation beyond the level of presenting a micro-school innovation diffusion model through a limited number of prominent school cases. To achieve this objective,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diffusion of school innovation in the Innovation Elementary Schools of A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in Seou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ocess of school innovation diffusion was identified as consisting of three stages: the emergence and growth of innovative schools, the spread of innovation between schools and the establishment of innovation within schools, and the collective reflection toward better innovation. The diffusion of school innovation was discerned to be intricate, influenced by diverse factors across individual, organizational, inter-organizational network,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dimen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a tentative school innovation diffusion model specific to the context of Innovation Elementary Schools in the A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in Seoul was introduced. Moreover,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iffusion of school innovation were proposed. These include the encouragement of teachers' spontaneity throug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autonomy, support for the establishment of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both within and outside the school, and encouraging creative imitation tailored to each school context.

      • KCI등재

        한 초등교사의 학교혁신 과정 경험에 관한 자문화 기술지

        김성아 한국교육행정학회 2023 敎育行政學硏究 Vol.41 No.4

        This study examines the specific process of school innovation experienced by a teacher at an innovative elementary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an omniscient teacher who is an insider and implementer. Unlike existing studies that attempted to understand the increasing number of new problems and phenomena in organizations only from the organization's perspective,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organizations and groups from the perspective of individual members and seek desirable solutions. The study conducted autoethnography, an influential research method for capturing the researcher's sincere reflection. This study, using autoethnography, aimed to fully reveal the content of the researcher's specific experiences and perceptions during the process of school innovation for interpreting meaning in a sociocultural context and to express it in writing. The research results are 'groping in the dark-light met in the dark,' 'same bed, different dreams-dreaming of different innovations,' and 'innovation contrast-light and shadow of the innovative school.' 'and 'Innovation essence-bluebird found in the classroom.'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realizing the true meaning of 'school innovation' and discovering the essence of innovation through various experiences of the school innovation process by 'I,' a researcher in an innovative school. Through this study, we aim to examine the social meaning of the school innovation process experience from the teacher's perspective and expand the scope of understanding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in setting the direction of school innovation. In addition, it can provide an opportunity for self-reflection for achers in the school field and be used as experiential and theoretical material to help understand the school innovation process and its desirable settlement.

      • KCI등재

        교사-학생관계에 대한 혁신중학교 효과분석

        양서영(Seo-Young Yang),김준엽(Jun-yeop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7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5 No.3

        본 연구에서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의 1~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혁신학교가 학생들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교사-학생관계의 수준 및 변화양상에 있어 일반중 대비 서울형혁신학교의 인과적 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사전 배경변인을 활용한 두 집단간 마할라노비스 거리 매칭을 적용하여 혁신중 진학집단과 동등한 일반중 진학집단을 구성하였다. 매칭을 통해 구성된 유사 실험자료에 다층성장모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교사-학생관계의 변화양상이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 혁신학교의 어떤 특성이 학생들의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혁신중학교 집단과 이에 대응되는 일반중학교 집단을 비교한 결과 혁신중의 교사-학생관계가 일반중학교보다 더 높은 수준이었다. 또한 중학교 1~3학년 시기 교사-학생관계의 변화양상은 전체적으로 하락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일반중에서 교사-학생관계의 감소추세가 혁신중에 비해 더 강하게 나타났다. 그 결과 혁신중과 일반중의 교사-학생관계 격차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학생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교사가 요청한 상담빈도’와 ‘수업개선노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혁신학교만의 차별적 현상은 아니었다. In this study, by using data from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we analyzed the influence of innovation school on students. Within the change in level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its trend, in order to estimate the causal effect of innovation school in comparison with general school, we made general middle school group equivalent to innovation middle school by applying Mahalanobis Distance matching between two groups using prior background variables. By applying multilevel growth model on quasi experiment data obtained through matching, we examined whether changing trend i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innovation school was different from that of general school. We also examined what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 school have influence on education outcomes of studen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First, when group from innovation middle school and general middle school is compared the level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was higher in innovation middle school. Also there was decline in changing trend i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from first grade until third grade and especially in general middle school such trend was more dominant compared with innovation school. As a result, the gap betwee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of innovation middle school and that of general middle school tends to increase as grade goes up. Second, ‘frequency of counselling requested by teacher’ and ‘effort to improve quality of class’ are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However, such phenomenon occurred commonly in both innovation and general school not only special in innovation school.

      • KCI등재

        교사가 인식하는 ‘교사가 주도하는 학교혁신’의 의미 탐색

        박희진(Heejin Park)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2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거듭되는 학교교육 혁신에 대한 요구가 당연시되는 최근 교육정책 상황 속에서 실제 학교교육 현장의 혁신 이행을 요구받는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교육 혁신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교사가 스스로에게 부여되는 학교교육의 실행자이자 혁신의 주도적 이행자로서의 역할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실행과정에서의 맞닥뜨리는 장애요인과 동인을 규명하고 그 성격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혁신에 관한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3개의 초점집단을 구성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n=15). 연구결과 교사는 혁신학교라는 공식적 조직을 학교혁신의 주요한 매개체로 보았으나, 비공식적 조직을 통한 학습하고 역량 신장 또한 중요한 통로로 인식하고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교사는 스스로가 혁신의 주도자가 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공감하고 있으며 스스로 혁신의 주체가 되는 과정은 동료교사와의 연대, 관리자의 권한위임과 신뢰와 같은 관계적 요소가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정책결정자나 실천가 등에 의해 규명된 역할을 교사에게 부여하거나 설득하는 방식으로 요구한다면 본래의 취지가 무색해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교사 주도의 방식과 구체적인 역할 또한 교사 스스로 탐색하고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가 학교교육의 지속적인 혁신을 위한 가장 중요한 역할자로서의 교사의 인식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정책 접근방식을 비판적으로 고찰해보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the understanding of teachers of the concept of the teacher led school innovation. Teachers were expected to be the initiator of school innovation but only few studies were conducted on teachers’ perception of the teacher led school innovation. In addition to the understanding of teachers of their role as the initiator of school innovation,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nature of teachers’ implementation of teacher led school innovation including barriers and motivators.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5 teachers from various regions were conducted in 3 groups and the participants were invited based on their experiences of school innovation. The findings show that teachers perceived the innovative school as the critical vehicle of school innovation but also perceive the unofficial groups and its activities as important vehicle of the innovation. In addition, teachers perceived their role as the initiator of school innovation for granted but it needed to involve school leaders’ act of empowerment as well as the collective effort of co-teachers. Mover, teachers believed that the how and what were the role of teachers as initiators should be discussed and decided by teacher themselves instead of presented by policymakers or activis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be meaningful for the expansion of knowledge of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role in school innovation and the improvement of related policies.

      • KCI우수등재

        혁신고등학교 학부모의 학교 인식 및 대학입학시험 준비 양상에 관한 연구

        신원규(Shin, Won Kyu),김훈호(Kim, Hoonho)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6

        본 연구에서는 혁신고등학교 학부모가 혁신학교의 교육과정 및 학교활동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그러한 인식이 자녀의 대학입학시험 준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천안시 소재 A혁신고등학교의 2학년 학부모 4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고등학교 학부모는 자녀가 고등학교에 진학하기 전까지 학습 분위기나 교육 여건, 지리적 위치 등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지만, 진학 후 학교생활을 경험하면서 인식이 조금씩 변화하였다. 둘째, 혁신학교의 특성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학부모가 더 많았으며, 적은 학급당 학생 수나 다양한 동아리활동, 학생부종합전형 이점 등을 인지하고 있다 하더라도 대입을 위한 교과공부가 여전히 가장 중요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혁신학교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특별한 대입준비 불안이나 전략은 없었으며, 대입을 앞둔 학생과 학부모에게 나타나는 일반적인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는 그동안 논의되어 왔던 혁신고등학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학교의 교육과정이나 학교활동에 대한 부정적 결과에서 기인한 것이 아니라, 혁신학교의 특성에 대한 부정확한 정보와 대입에 대한 막연한 불안함에 근거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혁신학교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제안을 함께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arents perceive the curriculum and school activities of Innovation schools and how such perceptions affect their children s preparation for university entrance exams. To this end, four parents at ‘A’ Innovation High School in Chungnam province were interviewed. The major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s of Innovation High School had a negative image of the learning atmosphere, educational conditions, and geographical location before their children entered the Innovation schools, but such negative perceptions gradually changed as they experienced school lives. Second, there were still more parents who did not know the exact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 schools. Parents were aware of the positive aspects of Innovation high schools such as small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various club activities, and the benefits of the comprehensive student record screening. However, such positive aspects of Innovation schools were undervalued because parents still recognized that effective preparation for university entrance is the most important criteria for defining excellence in high school. Third, there was no particular anxiety or strategy for university entrance preparation was found in parents of Innovation schools, and it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experiences of students and parents of other general high school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anxiety regarding Innovation schools is caused by the inaccurate information parents had before they experience Innovation schools, rather than actual negative consequences of the curriculum or activities of Innovation schools. Based on such results, some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improve awareness of Innovation schools are proposed.

      • KCI등재

        학교혁신을 위한 학교조직 진단도구 개발 연구

        박수정(Park, Soojung),박세준(Park, Seijoon),이승호(Lee, Seungho)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4

        이 연구는 학교혁신의 의미를 반영하여 학교조직 전반을 진단할 수 있는 보편성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학교혁신을 위한 학교조직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교조직 진단도구를 고안하고, 설문결과를 토대로 신뢰도, 타당도, 현장 타당성 검정을 거쳐 개발된 학교조직 진단도구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인 절차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학교조직 진단도구와 혁신학교 정책 및 평가에 대한 문헌분석을 진행하고, 혁신학교 전문가 의견 수렴의 과정을 거쳐 학교조직 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진단도구는 학교운영 혁신, 교육과정 혁신, 공동체문화 혁신 등 3개의 대영역, 6개의 세부영역, 26개의 하위요소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진단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해 A교육청의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각각 54개씩 총 108개 학교, 1,818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자료를 활용해 문항의 신뢰도와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타당성 검정(집중타당성, 판별타당성, 법칙타당성) 결과 진단도구는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학교혁신을 위한 학교조직 진단도구의 현장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혁신학교의 연차별(3년, 2년, 1년) 차이검정을 실시하였고, 각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개발한 진단도구가 학교혁신을 지향하는 모든 학교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develop and rationalize the diagnosis instrument of school organization for school innovation based on the problems of the need for a universal instrument to diagnose the overall school organization by reflecting the meaning of school innovation. To the purpose, the school organization"s diagnostic instrument was designed an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school organization"s diagnostic instrument was verified through reliability, validity, and field feasibility tests. The specific procedures and contents are as follows. It developed the school organization diagnosis instrument after conducting a literature analysis on school organization diagnosis instrument and innovation school policies and evaluations, and collecting opinions from innovation schools experts. The developed diagnosis instrument consisted of three major areas, six areas of detail, and 26 subcomponents, including school management innovation, curriculum innovation, and community culture innovation.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diagnostic instrument, a total of 108 schools(54 innovative schools and 54 regular schools) and 1,818 teachers were surveyed in “A” Office of Education. Based on the survey data, in diagnosis instrument, the reliability, EFA(Exploratory Factor Analysis), CFA(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ertification of validity(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nomological validity) were found to be suitable. In addition, to confirm the field validity of the school organization diagnostic instrument for school innovation, we compared the result of innovation schools and general schools. Moreover, the annual difference(three, two, one year) of innovative schools was analyzed. As a resul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area for each year of innovation schools, general schools and innovation schools. This implied that the diagnosis instrument developed in this research could be used in all schools that are aiming for school inno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