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

        Complex Mechanical Equipment Manufacturing Scheme Optimization Based on Multi-attribute Fuzzy Information Measurement Model

        Gang Yang,Kangwei Chen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nd Automation Vol.7 No.12

        Design of complex mechanical equipment and scheme of manufacturing need a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constraints, and it embodies multiple layers, complexity, multiple types and uncertainty. This paper analyzes the question of scheme optimization for complex mechanical equipment and proposes a method of manufacturing scheme optimization for complex mechanical equipment based on multi -attribute fuzzy information measurement model. This method functions to build an indicator system of optimization scheme for manufacturing complex mechanical equipment. Three models are designed to evaluate all optimization indicators the system, namely model for computation of fuzzy interval indicator’s information quantity, model for computation of qualitative indicator information quantity and model for computation of fuzzy indicator’s information quantity with degree of membership. Weights are given to information quantity optimization indicators in different layers get total complex mechanical equipment scheme choose optimal strategy based on design manufacture.

      • KCI우수등재

        기계설비 비정형 데이터 활용 강화를 위한 기계설비산업 정보체계 고도화 정책제언

        진상기,채수인,양자강,박선효 대한설비공학회 2024 설비공학 논문집 Vol.36 No.2

        This study explored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 information system of machinery and equipment,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data required for energy management policies and carbon neutrality policies for urban buildings. The study examined how information system in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machinery and equipment industries can increase the utilization value and obtain adequate valuable information from building machinery and equipment through expert research and on-site opinions. The results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echnical policies on how to utilize unstructured data in the machinery and equipment. industries Based on the results, improvement measures for building an information system that can contain unstructured data were deriv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formation system platform for the generation and distribution management of unstructured data and to develop technology to process it, and to improve the system and legal improvements that can activate unstructured data. 본 연구에서는 기계설비법(제17조)에 따라 정기적으로 시행되는 기계설비 성능점검과 유지관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중요한 비정형 데이터들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기계설비법(제7조)에 따라 구현된 기계설비산업정보체계시스템에서 체계적으로 유통관리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데이터와 탄소발생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정부의 정책입장과 데이터를 활용한 건축물관리 민간 산업 활성화를 위해 꼭 필요한 정책과제라고 본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정책적 기술적 제언들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기계설비법에 따라 생성되는 모든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를 기계설비산업정보체계시스템을 통한 일원화 관리 방안이 검토되고 시행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현재 기계설비법을 통해 생성되는 각종 정보(법제15조에 따른 착공 전 확인 및 사용 전 검사 정보, 법제19조에 따른 기계설비 유지관리자 정보, 법제17조에 따른 성능점검 및 유지관리정보 등)들이 전자정부법에 따른 전자파일형태 또는 데이터화되어 유통될 수 있는 법제 정비가 필요하다. 즉 기계설비산업정보체계시스템 구축만으로 끝남이 아닌, 정보체계시스템 활용을 위한 업무 재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비정형 데이터들이 유통 관리될 수 있는 시스템 설계에 대한 운영 지침 마련도 같이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2)기계설비 성능점검 및 유지관리의 과정과 그 결과 보고에서 생성되는 비정형 데이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법적 정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기계설비산업정보체계의 운영권자인 국토부장관이 관련 정보를 요청하고 시스템에 관련 데이터를 제출‧탑재할 수 있도록 요청할 수 있는 권한이 있어야 하고 그 법적 권한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현재와 같이 각 지방자치단체장이 행정재량으로 자료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고, 표준화된 제출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 이상 주요 비정형 데이터들의 다크데이터화 현상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요원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국토교통부는 기계설비법의 시급한 개정을 통해 국토부장과의 자료 요구권과 이 경우 기계설비산업정보체계를 통한 표준화 방안을 법적근거로 제시해야 할 것이다. (3)데이터3법 등의 강화 추세로 건축물의 개별세대의 에너지사용량 등에 대한 개인정보보호법 적용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기계설비법에 따른 기계설비관련 비정형 데이터 역시 개인정보와의 연계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 따라서 기계설비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데이터셋 설계 단계에서부터 적용되는 개인정보보호설계(PbD: Privercy by Design)와 개인정보 가명화 조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비정형 데이터의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산업 전반의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 정형데이터와 달리 관리 수집 가치창출에 그동안 기술적 한계로 당연히 버려지는 데이터로 인식을 했다면 이제는 핵심 또는 중요가치를 내재한 원석 데이터로 보고 이에 접근하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설비 정보체계 이용 활성화 및 중요 비정형 데이터들의 활용 촉진을 위한 방안에 대해 설명하였다. AI, 빅데이터 산업 등 4차산업혁명기술을 필두로 한 첨단 산업의 발전과 도시건축물 탄소중립이행을 위한 국정과제의 도전 ...

      • 의료기기에서 정보 시각화와 의사결정 관계에 대한 실험적 연구

        김지훈(Jihoon Kim),류호경(Hokyoung Ryu)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최근 의료기기의 사용으로 진료 및 수술 등의 의사들의 업무에 많은 도움이 되어 많은 병원에서는 최신 의료기기를 도입해 의료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의료기기의 단정적인 정보제공은 큰 사고로 연결될 수 있는 만큼 의료기기의 단정적인 정보제공을 지양하고 의사들이 의사결정을 도와주는 수준의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사들의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색깔, 막대그래프로 시각화 하여, 이에 따른 의사결정의 변화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의료기기에서 측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진행되는 DBS(Deep brain stimulation) 수술 상황을 가정한 실험을 MATLAB으로 제작된 프로그램으로 진행하였다. Many hospitals have adopted the latest medical equipm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 because using of medical equipment is very helpful for doctor’s work such as medical and surgical. However definitive information of medical equipment can be connected to a major accident. So medical equipment avoided to provide definitive information, and should be provide information to assist in doctor’s decision making. The present study find changing of decision making to visualize information that can be helpful for decision making as color and bar graph. For this study, program that designed by MATLAB proceed experiments that is assumed DBS surgery environment.

      • KCI등재

        스포츠정보화를 위한 윈드서핑 기자재관리 응용 시스템 개발

        김근영(Kim Keun-Young) 한국체육과학회 2010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9 No.4

        The importance of sports information is to construct the software and database and to develope the efficient system which save the time and space. Although there were diverse needs about the management of windsurfing equipment, it is situation that we can not respond appropriately due to lack of database and absence of progra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pplication program for management of windsurfing equipment. For this study, I looked at the researched papers from sport information project and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Korean Alliance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Also I identified the theoretical and program content of Visual Basic, database content and SQL language. I constructed the 7 E-R relational table and established internal schema using 4th generation language, Visual Basic and SQL for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 program for management of windsurfing equipment. I built the application system,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f we enter the data in the form of records, database will be constructed, and various kinds of equipment will be classified by type, and we could grasp the stock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Second, based on the created basic statistics, refined important information such as total mean, purchase time of equipment, are made in real time. Third, analysis and prediction of equipment will enable us to manage the time and manpower. Fourth, based on these, we could suggest the important basic resources for the management of windsurfing. In conclusion, we could systematically manage the windsurfing equipment with these constructed information in the form of database.

      • KCI등재

        DRES 기반 국방연구시설장비 정보관리 개선방안 연구

        이보은,김진식,최수연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9

        R&D Facilities and Equipment(F&E) is one of the major R&D outcomes, and the NFEC manages R&D F&E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NFEC collects R&D F&E information from other R&D agencies and departments and then provides information service through ZEUS to researchers. However, the defense field manages its R&D F&E information independently to avoid technology leakage and because of the specialty of the field. So, the DAPA enacted a regulation in 2017, and according to the regulation, KRIT has been managing R&D F&E information in the Defense field. Also, KRIT provides information service through DRES and executes related public use support, similarity test, investigation, and so on. However, the use rate of the service is low, and public use and management of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log are limited because it does not reflect the actual work requirements, although the work is stabilized by enforcing the regulation. So, this research analyzed the policy and regulation related to national R&D F&E and that of the defense field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management processes and their utilization status to overcome this limitation. Furthermore, this research conducted interviews and surveys with military and research organizations and then drew the associated problems and the requirements for using R&D F&E. Consequently, this research showed an advancement plan and strategy tasks for the information service with respect to information management, investigation, and public use. In effect, this research will eliminate an idle & less utilized R&D F&E and related duplicated establishments. Finally,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through the execution and expansion of defense R&D projects. 연구시설장비는 연구개발 활동의 주요 성과물 중 하나로 범국가 차원으로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이하 NFEC)에서 연구시설장비 정보를 종합관리 중이다. NFEC은 연구개발 예산으로 구축한 시설장비 정보를 수집하여 ZEUS를 통해 정보서비스를 제공 중이며, 연간 조사를 통해 유휴·저활용 장비를 식별하여 산학연 연구기관에게 이전 업무를 수행 중이다. 이와 다르게 국방분야는 기술유출 및 연구개발 사업의 비닉성을 고려하여 독립적으로 연구시설장비 정보를 관리한다. 방위사업청은 `17년 관련규정을 제정하였고 출연기관인 국방기술진흥연구소(이하 국기연)를 통하여 정보서비스 구축·운영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국기연은 연구시설장비 정보를 수집하여 국방기관 및 산학연 연구기관에게 정보서비스를 제공 중이며, 공동활용지원, 중복성 검토, 조사 업무를 수행중이다. 하지만 규정 시행에 따라 관련 업무는 안정화 되었지만 정보서비스의 활용률은 저조하며 운영·유지보수 관리 및 공동활용 관련 업무는 현업을 반영하지 못한 기능구축으로 이용에 제한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가-국방간 정책·제도 조사, 연구시설장비 정보관리 업무절차 및 현황, 정보서버 운영현황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국방기관 및 산학연 기관 대상으로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현실태와 요구사항을 수렴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고도화 방안을 수립하였고 정보관리, 조사업무 및 공동활용 측면으로 전략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시설장비의 효율적인 운영을 통해 유휴·저활용 장비 감소 및 중복 도입을 방지할 수 있고, 산학연 연구기관의 국방연구개발 참여를 확대하여 국방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디지털헬스케어환경에서 개인정보의 활용과 규제의 합리적 조화방안 연구

        김수영,김현경 경북대학교 IT와 법연구소 2016 IT와 법 연구 Vol.0 No.12

        The developments of ICT are anticipated as a solution to address the challenges of medical areas, such as medical treatment, preventive medicine. But now our country has been severely restricted in the "Medical Service Act"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with respect to the use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n its application for medical purposes, etc, therefore medical services using cloud computing and big data analysis are impossible. Already, leaders in the ICT sector such as Apple, Google and Samsung, pointed to digital healthcare industry as the next generation industry and has ventured a bold investment, however in Korea, the commercialization of these advanced digital healthcare services has been delayed.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regulatory Improvement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for the rational implementation of digital health care services. Restrictions on the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ventional health care settings are not proper and regulation of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that meets the new digital healthcare environment must be made. As the way, the paper proposed the following. ; First, the rational modification of the regulatory are needed for acceptance of new technologies such as cloud computing, etc. Second,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EMR system should be extended as to maximize the added value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Third, the appropriate regulation and surveillance and monitoring system of healthcare apps and digital medical equipment that generates th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were established so that the public interest in the medical area to be compliant in order to ensur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 KCI등재

        국방 암호장비 유지보수 발전방안 연구

        박승기,유동현,황선호,구한림,류연승 한국방위산업학회 2021 韓國防衛産業學會誌 Vol.28 No.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인해 IT 환경의 급속한 발전과 변화에도 불구하고 군의 국방암호장비 정비체계는 지금까지 개선되는 부분이 없이 기존과 같은 체계로 운영되고 있다. 이로 인해 암호장비 정비 업무는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으 며, 이뿐 아니라 국방 정보체계의 거듭된 발전으로 이제는 암호장비 정비체계를 개선하지 않고는 더 이상 암호장비 정비관련 업무를 수행하기 힘든 수준에 도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국방 암호장비 정비시스템을 유지보수체계로 전환하기 위해 암호 장비 정비관련 전문가 그룹의 인터뷰를 통해 국방 암호장비 유지보수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선정한 후 변수의 타당도 를 증명하는 연역법을 활용하여 국방 암호장비 정비 업무를 유지보수 전담기관을 통해 해결하고, 암호장비 정비 업무의 효율 성, 전문성,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였다. Despite the rapid development and changes in the IT environment due to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ilitary’s defense coded equipment maintenance system has been operating in the same system as the existing system without any improvement until now. As a result, various problems have arisen in the maintenance work of cryptographic equipment. In addition, due to the repeated development of the defense information system, it is now difficult to perform the maintenance work of cryptographic equipment without improving the maintenance system of cryptographic equipment. Therefore, in order to convert the defense coded equipment maintenance system into a maintenance system, this study uses a deductive method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variable after selecting variables that affect the defense coded equipment maintenance system through interviews with a group of experts related to encryption equipment maintenance. Therefore, a plan was proposed to solve the defense code equipment maintenance work through an agency in charge of maintenance and secure the efficiency, expertise, and security of the encryption equipment maintenance work.

      • 보안사업 발전에 따른 영상정보관리의 개인정보보호법상의 정책제언 : 민간경비업체 CCTV를 중심으로

        김종범 한국경찰복지연구학회 2018 경찰복지연구 Vol.6 No.1

        이 논문은 민간분야 보안 산업이 발전함에 따른 영상정보처리기기의 신기술도입 및 그 제품의 다양성과 보급이 확대. 증가되고 있는 상황에서 공공 및 민간영역에서 의 범죄예방·단속, 사유재산 보호, 화재예방 등의 긍정적인 순기능의 효과와 더불 어 개인정보유출 등의 사생활 및 초상, 인격권 침해 등 역기능 또한 증가되며 이에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2011년 3월29일「개인정보보호법」을 제정하 여 영상정보처리기기의 정의와 설치. 운영여건 등에 관하여 규정 하였다. 그러나 「개인정보보호법」의 수차례 개정에도 불구하고 디지털기술의 고도화와 영상기기 등의 발전에 따라“개인영상정보”를 취득, 활용하는 새로운 기기의 등의 출현과 더불어 점차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현행 법률이 이를 규제 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는 등의 심각한 한계성과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현 개인영상정보보호의 신뢰성에 대한 사회적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특히 민간경비회사의 영상정보처리기기 관련하여 최근의 현황 및 사례를 살펴보고 이에 국한하여 개인정보보호법의 현행법상의 규정 및 규제내용을 살펴 이 를 통해 문제점을 검토하고 개인정보의 침해를 보완·최소화 할 수 있도록 정부차원 의 규제정책 등 개선방향을 제시하여 향후 민간경비분야에 관한 개인정보보호법상 의 개인영상정보와 관련 정책 수립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여러 정책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y and diversification and dissemination of video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are expanding as the development of private security industry. Under the growing number of cases, the positive effects of positive functions such as crime prevention and control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protection of private property, fire prevention, and other adverse effects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and privacy violations are becoming increasingly controversial. As a result, the government enacte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n accordance with the trends and operating conditions of March 29,2011. However, despite several revisions to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video equipment have led to the emergence of new devices that acquire and utilize "personal image information" but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law, there are serious limitations and problems such as the deviation from the scope of regulation. By social anxiety about the credibility of personal image information security is increasing especially, the status and cases of video processing equipment of private security companies are examined and investigated,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growing social uncertainty over the reliability of the current government's privacy policy. This paper contains various proposal to review the problem and to supplement and minimize the person information infringement, the government introduced the directions of improvement such as the regulation policy of the government.

      • KCI등재

        차량용 블랙박스에 의한 개인정보침해

        김영식(Kim Young Sik),박노섭(Park Ro Seop)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4 경찰학연구 Vol.14 No.3

        Recently the growing interest of Automotive Black-Box brought about the rapid increase of its use. Nevertheless, the lack of legal regulations for its installation and use multiplies the risk of the Invasion of Privacy and the criminal exploitation through the leaks of personal information. * Seowon University, Department of Law & Police, Professor** Hallym University, Department of Law & Public Administration, Professor This research describes on the possibility of appling current Personal Information Pretection Act to the automotive black-box in place where there is no legal regulation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legislative alternative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industrial revitalization. In conclusion, the images collected by the automotive black-box can be includ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ed by the Personal Information Pretection Act and the literary and tel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etection Act regards the equipment of automotive black-box as one of the image Data Processing Equipment. And the drivers who intentionally collect images through their black-box can be admitted as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r and the law should guarantee legal rights of an information subject to the person who recognizes that his images are collected.

      • KCI등재

        경찰장비로서 드론 이용에 따른 개인영상정보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송가영(Song, Ga Young)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20 경찰학연구 Vol.20 No.4

        드론은 신기술과 결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 하는 등 드론의 업무 범위는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경찰 내부에서도 드론이 경찰장비인지에 관하여 「경찰관직무집행법」에서는 명백한 근거를 찾을 수 없지만, 경찰청 훈령에 수색과 구조업무에 드론을 사용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드론을 경찰장비로 간주하는 것으로 보인다. 드론 항공촬영 기술이 국가기관 업무에 활용된다면, 인력·시간·비용 등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남용하여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확대될 것이다. 더욱이 드론 항공촬영에 따른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하여 ‘영상정보처리기기’는 법적으로 배제되어 이를 규제할 명확한 법적 근거가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경찰장비로서 드론 이용으로 인한 개인영상정보 보호를 중심으로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 및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를 근거로 보장하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등 헌법적 기본권이 실질적 보장될 수 있게 함이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실현하고자 드론 항공촬영의 특징과 개인영상정보 보호의 보호 필요성 등을 검토하여 법률과 명확한 개념의 부재의 한계를 통해 관련 규정의 법률개선을 검토하고자 한다. The scope of the drone"s work is expected to gradually expand, with new technologies combined to create new added value. Even inside the police, there is no clear evidence in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regarding whether drones are police equipment. However, given that the National Police Agency instruction stipulates that drones can be used for search and rescue operations, it seems to regard drones as police equipment. If drone aerial video shooting technology is used for work at national organizations, waste of manpower, time, and cost can be reduced. However, if it is abused to violate the basic human rights, it will escalate into a serious social problem. Sometimes drones cause physical, property, and mental damage. Furthermore, it creates a problem of invasion of privacy. However, there are insufficient legal regulations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o solve this problem. "Video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are legally excluded in relation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following drone aerial video shooting. Therefore, there is no clear legal basis to regulate this. As a result, there is no direct regulation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video inform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nsure that basic human rights such a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which are guaranteed based on human dignity, value, and privacy, are practically guaranteed, focusing on protecting personal video information through the use of drones. To realize this purpose of research, we will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drone aerial video shooting and the need for protection of personal video information to study the legal improvement of relevant regulations through the limitations of the absence of laws and clear concep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