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시대 열녀 담론의 향방: 독립운동가 아내의 ‘순종(殉終)’과 그 맥락

        이상경 한국여성문학학회 2012 여성문학연구 Vol.28 No.-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life and suicide note of Yun Deok-gyeong, who killed herself by taking poison 40 days after the death of her husband Jeong-geon Hyeon, an independence fighter,and contemporaries’ news coverage and commentaries on this incident to explore the semantic context of “virtuous wives”(yeollyeo) and “sacrificial suicide” (sunjo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1910-1945). Born into a family of upper-class scholar-officials (yangban) and married to Jeong-geon Hyeon through an arrangement between the two families, Deok-gyeong Yun in fact was not able to lead a marital life with her husband. He immediately left home and immersed himself in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and, during this period, was romantically involved and lived with Gye-ok Hyeon, a former professional female entertainer (gisaeng). Although Deok-gyeong Yun went to Shanghai in search of her husband in the early days, she was sent back to Korea, where she received modern, Westernized education and worked as a teacher at one time as well. It was only after Jeong-geon Hyeon was arrested by the Japanese police, imprisoned, and released that Deok-gyeong Yun was able finally to be together, nursing him. However,Jeong-geon Hyeon died six months later, and she committed “sacrificial suicide.” Major newspapers and magazines that hitherto had reported the romance between Gye-ok Hyeon and Jeong-geon Hyeon now covered Deok-gyeong Yun’s death extensively. During Deok-gyeong Yun’s life, Gye-ok Hyeon was Jeong-geon Hyeon’s wife in the sphere of public discourse, and contemporary newspapers and magazines reported with ado that Deok-gyeong Yun had been Jeong-geon Hyeon’s wife only after Deok-gyeong Yun had chosen death. By thus “choosing” death, In that she was acknowledged as Jeong-geon Hyeon’s wife in the sphere of public discourse for the first time, Deok-gyeong Yun’s death can be seen as a “double suicide” (jeongsa), a form of “romantic love,” which is true to one’s own feelings, unlike the obedience of earlier times driven by “duty” (dori). In addition, nationalists who took an interest in Deok-gyeong Yun’s death at the time criticized her act as mere selfishness and argued that, with such passion, she should have lived on and become the wife and mother of the nation,continuing her husband’s work. This inversely signifies that Deok-gyeong Yun exercised self-determination neither as a virtuous wife nor as a mother of the nation but as a being outside such values of a community. It is thus that Deok-gyeong Yun’s “obedience” and tales of virtuous wives starring her came no longer to function as discourses of virtuous wives. 이 논문은 독립운동을 하던 남편 현정건(玄鼎健)이 죽은 지 40일 만에 뒤따라 음독자살한 윤덕경(尹德卿)의 삶과 그녀가 남긴 유서, 이 사건에 대한 당대인의 보도 및 논평 등을 분석하여 일제시대 상황에서 ‘열녀’와 ‘순종(殉終)’의의미 맥락을 살핀 것이다. 상층 양반집안의 딸로 태어나 현정건과 가문 결혼을 한 윤덕경은 실제로 남편과 결혼생활을 하지 못했다. 남편은 곧바로 집을 나가 독립운동에 투신했고그 기간 동안에는 기생 출신의 현계옥이란 기생과 애인이자 동지인 관계에 있었다. 초기에 윤덕경은 남편을 찾아 상해에 갔으나 남편은 윤덕경을 돌려 보내었고 돌아와서는 신식 교육을 받아 교사로 생활하기도 했다. 현정건이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르고 나온 후 윤덕경은 비로소 남편 곁에서 병수발을할 수 있었다. 그러나 6개월 뒤 현정건이 죽고 윤덕경은 뒤따라 ‘순종’했다. 그동안 현계옥과 현정건의 연애담을 전했던 유수한 신문 잡지는 이번에는 윤덕경의 죽음을 크게 보도했다. 윤덕경이 살아 있는 동안 공적 담론 공간에서 현정건의 아내는 현계옥이었고 윤덕경이 죽음을 선택한 뒤에야 당시의 신문 잡지는 윤덕경이 현정건의 아내였음을 대서특필했다. 또한 당시 윤덕경의 죽음에 관심을 가졌던 민족주의자들은 윤덕경의 죽음은 이기주의에 지나지 않으며 그 열정으로 살아서 남편의 사업을 잇는 민족의 아내, 민족의 어머니가 되었어야 했다고 비판했다. 이는 역으로 윤덕경이 열녀도, 민족의 어머니도 아닌 존재로, 그런 공동체의 가치에 속하지 않는 자기 결정권을 행사한 것임을 의미한다. 이렇게 죽음을 ‘선택’함으로써 윤덕경은 공적 담론 공간에서 처음으로 현정건의 아내임을 인정받게 되었다는 점에서 윤덕경의 죽음은 ‘도리(道理)’에 내어 몰린 이전 시대의순종’과는 달리 자기의 감정에 충실한 ‘낭만적 사랑’의 한 형태인 ‘정사(情死)’로 볼 수 있다. 이로써 윤덕경의 ‘순종’과 그녀를 주인공으로 하는 열녀전은 이제 더 이상 열녀 담론으로서의 기능을 하지 않게 되었다.

      • KCI등재

        현진건의 문학적 후견인과 개인적 재능 - 「희생화」, 「지새는 안개」를 중심으로 -

        남상권 ( Nam Sang-kwon ) 한민족어문학회 2020 韓民族語文學 Vol.0 No.90

        이 글은 현진건의 어린 시절을 보냈던 대구와 작가로 성장하는 데 기여한 인물[후견인]들에 대해 자전적 소설을 토대로 논의했다. 주 논의 대상으로는 단편소설 「희생화」와 「지새는 안개」이다. 현진건의 첫 소설 「희생화」는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가족사적 비극을 내포한 작품이다. 「희생화」는 <개벽사> 문예부장이던 당숙 현희운의 주선으로 <개벽>지에 발표되었다. 이 소설에서 독립운동가였던 셋째 형 현정건의 결혼 파탄의 시초와 해외 망명의 동기를 추정케 한다. 「지새는 안개」에서는 현진건이 기자로서 취업하게 되는 과정에서의 후원자를 얘기하고 있다. 「지새는 안개」를 통해 그간 알려져 있지 않았던 현진건과 숙부 현영운의 관계를 엿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희생화」, 「지새는 안개」는 현진건 형제와 서울 친척들 간의 긴밀한 유대가 드러난 작품으로 논의한다. 이 두 소설의 등장인물에게는 대구가 고향이라는 의미와 함께 가족사의 위기를 내포한 공간이다. 하지만 현진건이 개인적 재능과 성공한 작가로서 뒤돌아 본 대구는 빼앗긴 땅, 빈곤의 땅으로서 민족사의 비극을 담아내는 공간이기도 하다. 현진건의 수필 「여름과 맨발」을 통해 현진건의 빈곤 소재 작품에 나타는 빈곤층에 대한 체험적 통찰과 연민을 살필 수 있다. This study discusses Daegu, where Hyeon Jin-geon spent his childhood, and the contributors patrons who contributed to his growth as a writer based on his short stories “Sacrificial Flowers” and “Overnight Fog.” . His first short story, “Sacrificial Flowers,” involves a mysterious tragedy in the history of his family. It was published in Gaebyeok thanks to the arrangement made by Hyeon Hee-woon, his uncle and the head of the literature department at Gaebyeoksa. This story hints at the beginning of the failed marriage of his third brother, Hyeon Jeong-geon, who was an independence activist and his motivation for going into exile overseas. “Overnight Fog” depicts Hyeon Jin-geon's employment as a reporter. This story also reveals the whereabouts of Hyeon Yeong-woon, another uncle of his, who had been unknown to the public. Both the stories show the close relationships and solidarity among his brothers and relatives in Seoul. Daegu is not only the author's the home town, but it also symbolizes the crisis of their family history to the characters of the stories. Looking back on the city as a successful writer , however, Hyeon Jin-geon saw Daegu as a land that had been taken away, a town of poverty, and a placeholder for the tragedy of Korea's national history. He expresses his experiential insight into and compassion for the poor in his essay “Summer and Bare Feet” as well as in other works.

      • KCI등재

        석정(石亭) 이정직(李定稷)의 생애(生涯)와 저술(著述) 및 교유관계(交遊關係)

        朴徹庠 ( Park¸ Chul-sa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5 No.-

        석정 이정직은 조선 말기의 書畵家이자 學者이다. 그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뤄졌고, 그의 서화를 소개하는 전시회 또한 여러 차례 열렸다. 그러나 이들 연구와 전시회에 소개된 이정직에 관한 정보는 많은 오류를 내포하고 있다. 게다가 이정직이 주로 전주와 김제 지역에서 활동했기 때문에 그의 교유 인물들에 관한 정보도 빈약했다. 이는 이정직 연구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논고에서는 먼저 이정직의 생애와 저술에 관해 검토하였다. 새로운 자료를 통해 이정직에 관한 보다 정확하고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다음으로 이정직의 교유관계를 살펴봤다. 기존에는 黃玹과 李沂를 중심으로 이정직의 교유관계를 다뤘지만, 여기서는 이들을 제외한 인물들을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특히 이건창과의 교유는 새롭게 소개되는 부분이다. 이 밖에도 이정직의 교유 인물을 지역별로 간략히 정리하였다. Seokjeong(石亭) Lee Jeong-Jik(李定稷) was a calligrapher, painter and scholar of the late Joseon Dynasty. A lot of research was done on him, and exhibitions introducing his paintings were also held several times. However, the information about Lee Jeong-Jik introduced in these studies and exhibitions contains many errors. Furthermore, information on Social Intercourse was poor as he was mainly active in Jeonju and Gimje. This is a stumbling block to the research of Lee Jeong-Jik. In this essay, I first reviewed the life of Lee Jung-jik and his writings. I used new data to provide more accurate and rich information about Lee Jeong-Jik. Next, I looked at the social intercourse of Lee Jung-jik.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of Lee Jung-jik with Hwang Hyeon(黃玹) and Lee Ki(李沂), but I introduced people except them. In particular, it introduced the relationship with Lee Geon-chang(李建昌) for the first time. In addition, a brief summary of social intercourse of Lee Jung-jik was compiled by region.

      • KCI등재
      • KCI등재

        玄濬健과 玄鎭健의 대구와 서울 -작가의 성장 공간과 활동 공간을 중심으로-

        남상권 한국어문학회 2018 語文學 Vol.0 No.142

        Hyeon Jin-geon(1900-1943) was born and also spent his adolescence in Daegu. He then moved to Seoul where he worked as a reporter and novelist. He was probably the first man from Daegu that earned his fame for his writing in the early days of modern literature. His father Hyeon Gyeong-woon was appointed to the Daegu office [Jusabu-panimgwan] in 1895, settling down in the city. He had no special ties with the city and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his personal history behind his settlement in the city. It is not widely known either that he became a community leader after settling down in Daegu and earned the reputation for his activities in the educational business of the city. Hyeon Jin-geon was his fourth son, being born and spent adolescence in Daegu. He also received education in the city until he got married and moved to Japan and China for further study. It was right after he returned from China that he became a foster son in the family register of Hyeon Bo-woon, his father's first cousin. Since then his life in Seoul continued as a newspaper reporter and writer. His memories of his life in Daegu became major motifs in his novels. His nostalgia for his family and hometown during the years when his inner world was built as a writer had impacts on his works.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how his family's settlement and ups and downs in Daegu were projected onto his works since his family was closely related to the national movement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that were developed in Daegu. 현진건(1900-1943)은 대구에서 나서 청소년기를 보냈다. 상경하여 기자와 소설가로 활동하였다. 근대 문학 초창기에 대구 출신으로 문명을 날린 이는 현진건이 처음일 것이다. 현진건의 부친 현경운은 1895년 대구부 관리[주사부판임관]로 부임하면서 대구에 정착하였다. 현경운은 대구와 특별한 연고가 없었지만 그가 대구에 정착하게 된 내력은 밝혀진 바가 없다. 따라서 현경운이 대구 정착과 함께 지역 유지로서 대구 교육 사업계에서 활동한 명망가라는 사실도 알려져 있지 않다. 현진건은 현경운의 넷째 아들로 대구에서 태어나 청소년기를 보냈고 결혼 후, 일본과 중국 유학을 가기 전까지 대구에서 교육을 받았다. 현진건이 당숙 현보운의 양자로 입적된 것은 중국 유학 직후이다. 이 시기부터 서울 생활을 하였고 신문기자와 작가로 활동하였다. 현진건의 대구 생활에 대한 기억은 그의 소설에 주요한 모티브가 되고 있다. 작가로서의 내면을 형성하던 시기에 가족과 고향에 대한 향수가 작가의 작품에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은 현진건 가계의 대구 정착 사실과 대구에서의 현진건 가계의 부침(浮沈) 과정이 작품에 어떻게 투영되고 있는가를 살펴본다. 이와 같은 사실은 근대 대구에서 진행된 민족운동 및 독립운동과 현진건 가계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