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연구(area studies)의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인류학적 성찰: ‘호남 지역문화’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홍석준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0 石堂論叢 Vol.0 No.46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area studies critically. In doing so, I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rea studies and anthropology, estimate the outcomes of previous ‘honam(호남)’(including Jellanam-do and Jellabuk-do provinces which are located in Southwestern area of Korea Peninsula) area studies, and propose the orientations towards the development of ‘honam’ area studies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I review some issues on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works to reflect and develop the 'honam' area studies in Korea. And I think that this study is to (re)interpretate the outcomes of previous ‘honam’ area studies, especially focused on ‘honam’ culture and society, including cultures and societies of islanders' everyday of lives, urban history and culture of port cities, and maritime culture and history and folklore. Furthermore, I review how to integrate the various approaches of different disciplines and fields of ‘honam’ area studies into a new academic area or an united knowledge system to provide the proper understanding of ‘honam’ culture and society. 현대사회는 전지구적 문화(global culture)와 지역문화(local culture)가 공존하는, 복합적이면서도 다양한 문화적 현상이 지배하는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소위 ‘지역연구’(area studies)에 대한 각별한 관심은 이러한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전 세계의 다양한 문화에 관심을 기울여 온 인류학에서 지역에 대한 이론적 관심과 실천의 역사는 다른 학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편이다. 인류학이 지역연구에 기여한 바는 지역에 대한 관심과 실천에 있어서 문화의 중요성을 인식시켰다는 점일 것이다. 특히 특정 지역의 문화 전반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 온 문화인류학자들은 초창기부터 부족, 종족, 국가 단위뿐만 아니라 문화라는 단위를 지역연구의 기준으로 사용할 것을 주창해 왔다. 그러나 지역연구가 활성화되고 발전함에 따라 부족이나 종족, 국가 단위의 분류는 지역연구의 대상과 영역을 사실상 협소화하는 결과를 낳았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문화의 개념에 기초한 구분이 각광을 받기 시작하였다. 여기서는 지역연구의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시작으로, 지역연구와 문화인류학의 관계를 살펴본 후, ‘호남 지역문화’ 연구를 사례로 기존 연구 성과에 대한 평가를 거쳐 향후 호남 지역연구를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사항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나아가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지역연구로서의 호남 지역문화 연구의 방향성을 정립하고, 이를 위해선 어떠한 이론적, 방법론적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는 기존의 호남 지역문화 연구에 대한 비판적 해석과 재해석을 요하는 일로, 호남 지역문화 연구의 지평을 확장, 심화하기 위해선 지역문화를 다루는 다양한 학문 분야로부터의 다각적인 접근을 어떻게 통합 또는 융합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토론의 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 KCI등재

        지역연구(area studies)의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인류학적 성찰 : 호남 지역문화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홍석준 ( Seok Joon Ho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0 石堂論叢 Vol.0 No.46

        현대사회는 전지구적 문화(global culture)와 지역문화(local culture)가 공존하는, 복합적이면서도 다양한 문화적 현상이 지배하는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소위 ``지역연구``(area studies)에 대한 각별한 관심은 이러한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전 세계의 다양한 문화에 관심을 기울여 온 인류학에서 지역에 대한 이론적 관심과 실천의 역사는 다른 학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편이다. 인류학이 지역연구에 기여한 바는 지역에 대한 관심과 실천에 있어서 문화의 중요성을 인식시켰다는 점일 것이다. 특히 특정 지역의 문화 전반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 온 문화인류학자들은 초창기부터 부족, 종족, 국가 단위뿐만 아니라 문화라는 단위를 지역연구의 기준으로 사용할 것을 주창해 왔다. 그러나 지역연구가 활성화되고 발전함에 따라 부족이나 종족, 국가 단위의 분류는 지역연구의 대상과 영역을 사실상 협소화하는 결과를 낳았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문화의 개념에 기초한 구분이 각광을 받기 시작하였다. 여기서는 지역연구의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시작으로, 지역연구와 문화인류학의 관계를 살펴본 후, ``호남 지역문화`` 연구를 사례로 기존 연구 성과에 대한 평가를 거쳐 향후 호남 지역연구를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사항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나아가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지역연구로서의 호남 지역문화 연구의 방향성을 정립하고, 이를 위해선 어떠한 이론적, 방법론적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는 기존의 호남 지역문화 연구에 대한 비판적 해석과 재해석을 요하는 일로, 호남 지역문화 연구의 지평을 확장, 심화하기 위해선 지역문화를 다루는 다양한 학문 분야로부터의 다각적인 접근을 어떻게 통합 또는 융합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토론의 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area studies critically. In doing so, I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rea studies and anthropology, estimate the outcomes of previous ``honam(호남)``(including Jellanam-do and Jellabuk-do provinces which are located in Southwestern area of Korea Peninsula) area studies, and propose the orientations towards the development of ``honam`` area studies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I review some issues on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works to reflect and develop the ``honam`` area studies in Korea. And I think that this study is to (re)interpretate the outcomes of previous ``honam`` area studies, especially focused on ``honam`` culture and society, including cultures and societies of islanders` everyday of lives, urban history and culture of port cities, and maritime culture and history and folklore. Furthermore, I review how to integrate the various approaches of different disciplines and fields of ``honam`` area studies into a new academic area or an united knowledge system to provide the proper understanding of ``honam`` culture and society.

      • KCI등재

        호남 유학 연구에 대한 검토와 전망

        박학래 한국동양철학회 2022 동양철학 Vol.- No.57

        1990년대 중반 이후에 명시적으로 제시된 한국 유학 연구와 관련한 지역적 범주는 대체로 畿湖儒學과 嶺南儒學이라는 구도이었으며, 이때 ‘호남 유학’은 기호유학의 한 부분으로 규정되었다. 이전 시기까지 畿湖學派와 嶺南學派로 구분하여 이해되었던 지역적 범주와 관련한 학파 구도가 1994년부터 특정 대학의 기획연구와 관련하여 본격적으로 지역과 유학을 결합한 범주의 설정으로 이어지면서 호남 유학은 기호유학의 한 부분으로 명시된 것이다. 17세기부터 본격화한 학파적 결집에 따라 조선 유학의 전개를 학맥에 주목하여 退溪學派와 栗谷學派로 구분하는 것은 어느 정도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퇴계학파와 율곡학파라는 구분을 지역과 연관하여 영남학파와 기호학파로 구분하는 것은 해당 지역 내에 다른 학맥을 가진 일군의 학자들이 없지 않았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일정 정도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한국 유학에 관한 연구에서 제시된 지역적 범주 구분에 대한 그간의 논의가 가지는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러한 구분에 유의하여 호남 유학 연구의 독자적인 영역이 가능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논자는 호남 유학의 독자성에 대한 이해가 이미 조선 시대의 여러 유학자에 의해 일관되게 이어져 왔을 뿐만 아니라 호남을 지역적 배경으로 활동한 유학자들의 인식이기도 하였음을 밝혔다. 현재에도 호남이라는 지역을 중심으로 호남의 다양한 유학적 경향과 특징을 호남 유학이라고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이 대체적인 이해의 방향이라는 점을 확인하고, 호남 유학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성과에 대한 대체적인 내용을 검토하였다. Research on Confucianism in Honam is in full swing in connection with raising interest in regional studies. However, the independent area of Honam Confucianism is still not very prominent in the overall study of Korean Confucianism. It can be said that the lack of specific research interest in the independent domain of Honam Confucianism is due to the existing arguments related to the setting of the category of Korean Confucian studies mediated by the region. The regional categories related to the study of Korean Confucianism explicitly presented after the mid-1990s were generally structured as Kiho Confucianism and Yeongnam Confucianism, at which time "Honam Confucianism" was defined as a part of Kiho Confucianism. Honam Confucianism was specified as a part of Kiho Confucianism as the school structure related to regional categories, which had been understood by dividing into Kiho and Yeongnam schools until the previous period led to the establishment of a category combining local and Confucian studies in earnest. To some extent it can be said to be appropriate to divide the development of Confucianism in Joseon into the Toegye School and the Yulgok School by paying attention to the academic veins of the development of Confucianism in Joseon according to the scholastic unity that began in earnest from the 17th century. However, the division of the Toegye School and the Yulgok School into the Yeongnam School and the Kiho School in relation to the region has some problems, considering that there lacked a group of scholars with different academic backgrounds in the area. Moreover, organizing the topography of Joseon Confucianism by dividing it into Yeongnam Confucianism and Kiho Confucianism beyo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Yeongnam School and the Kiho School is an over-simplification in that it not only overlooks the various academic flows within each region but also simplifies the flow of Joseon Confucianism. In this study, I try to review the problems of the discussions on regional classification presented in the existing research on Confucianism in Korea, and to confirm that an independent area of Honam Confucian research is possible by paying close attention to this classification. In this process, I reveal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uniqueness of Honam Confucianism is not only consistently passed down by various Confucian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but also recognized by the Confucian scholars who were active in Honam as a regional background. Even now, the general direction of understanding is to understand and grasp the various Confucian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Honam as Honam Confucianism, centering on the region called Honam. And based on this point, I review the general contents of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related to Honam Confucianism. Based on this, I have suggested a pilot plan to derive advanced results of future Honam Confucian research.

      • KCI등재후보

        특집논문 : 호남 어문·민속학 연구의 성과와 전망

        정경운 ( Kyung Woon Jeong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3 호남학 Vol.0 No.54

        이 논문은 1963년 전남대 호남학연구원이 설립된 이래, 지난 50년간 발행해온 학술지와 연구총서를 중심으로, 어문학과 민속학 분야의 연구 성과를 정리한 것이다. 각 분야별로 시대적 흐름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연구 경향들을 중심으로,그 경향들이 갖고 있는 연구사적 의미들을 도출한 뒤,각 분야와 관련하여 향후 연구원의 연구 방향 및 과제를 파악해보고자 했다. 연구 결과,각 분야의 연구 성과들은 단순히 지역 내에서만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라,각 분야별 연구사에서도 중요한 기점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가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그 중에서도 특히,고전문학 분야에서 조선조 호남시단의 전체적인 지도를 완성시킨 것,언어학 분야에서 국내 최초로 지명연구방법론을 제시하고 전남방언의 어휘별 지리적 분포도를 그려나간 것,그리고 지난 50여 년 간 전남의 민속자료를 지속적으로 수집ㆍ정리ㆍ해석함으로써 남도민속학을 정립시킨 것이 돋보인다.이 성과들은 지역학 차원은 물론 각 학문분야에서도 위의 내용들을 언급하지 않고서는 연구사를 논의하지 못할 만큼,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중요한 성과물들이다. 또한 이 성과물들이 산출되는 과정에서 보여준, 호남학연구원과 각분야 별 연구자들의 학문적 연대 관계는 서로를 발전시켜 온 힘 이자미래 호남학을 위한 기반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지금까지 호남학연구가 1세대 연구자들의 영향 하에 놓여있음을 상기할 때, 호남학연구원이 미래 지역학 연구를 위한 새로운 언어와 문법을 찾아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음도 사실이다. This study organized the research outcomes of the language and folk studies of the Institute of Honam Studies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focusing on the academic journals and research series published for the past 50 years since the institute was established in 1963.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uture directions and tasks of the research on each area after drawing the historical meanings focusing on the research trend depending on the time.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each area were identified be valuable as it not only holds significance simply within the region but also makes important points in research history of each area. In particular, it is outstanding that the research completed the entire map of the Honam poetrical circle in the Joseon Dynasty in classical literature and drew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chart by vocabulary of the Jeonnam dialect after suggesting the methodology of place name research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language studies. In addition, the research defined the Namdo Folk Studies by continuing to collect, organize and interpret the folk data of the Jeonnam region for the past 50 years. Such achievements are highly important results with appreciated values as they are always mentioned during the discussion over the research history in each academic field not to mention the regional studies. In addition, it was discovered that the academic connection between the Institute of Honam Studies and the researchers in each field demonstrated during the process of making the achievements was the power to develop both sides and the future foundation for the Honam studies. However, on the other side, it is true that the Institute of Honam studies still has a challenge to find new languages and grammars for future regional researches, given that the Honam studies have been under the influence of the first generation researchers.

      • KCI등재

        朝鮮時代 湖南儒學의 전개 양상과 의의

        朴鶴來(Park Hak-rae)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9 No.-

        본고는 호남유학에 대한 선행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호남 유학의 전개양상과 특징적 면모를 고찰하고, 지방분권화 시대에 있어 호남지역 유학사상의 의미 및 현재적 의의를 제시하여 향후 과제를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호남유학에 대해 상대적으로 기호유학이나 영남유학에 비해 그 독자적 영역이나 의미에 대해 소홀히 취급한 감이 없지 않았다. 그 이유는 대체적으로 조선 성리학을 이해할 때 주로 李滉와 李珥를 중심으로 그 학맥과 理氣論의 경향, 그리고 지역과 정치적 입장이 결합되는 구도 하에서 크게 기호와 영남으로 나누어 이해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해는 17세기 이후 노론 정국 하에서 정치·사상계가 학맥을 바탕으로 지방이 결합하는 현상이 뚜렷해진 시기에는 어느 정도 타당한 점이 있지만, 그 이전 시기나 19세기 이후에까지 일률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호남유학이라는 명칭을 통해 퇴계학파나 율곡학파처럼 학문적 동질성을 공유하면서 지역적 기반을 함께하는 학파가 있었는가를 究明하는 것이 아니라, 호남이라는 지역을 기반으로 하여 형성되고 전개되었던 유학사상의 맥락과 정체성을 확인하고, 한국사상 흐름 전반에 걸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의미를 갖는가를 고찰하였다. 본고에서는 호남 유학의 사적인 흐름을 통해 호남 유학의 특징적 면모를 사림정신 발현과 실천적 의리정신의 표출, 다양한 학파의 공존과 대립, 개혁지향의 실천적 학문관, 문학적 풍모와 예술정신의 발현, 소통과 개방의 학문관 등으로 요약하였다. 그리고 이 특징적 면모는 호남유학에만 드러나는 면모는 아니지만, 호남유학에서 드러난 특징적 면모라 할 수 있고, 이것은 결국 호남 지역의 문화를 특징짓고 지역의 정체성을 확인시키며, 동시에 지역민의 동질적 유대감을 일깨우는 역할을 하였다고 판단하였다. 호남 유학에 대한 관심은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호남학에 대한 활발한 연구열과 관련이 깊다. 호남 유학을 비롯한 호남학에 대한 연구는 초보 단계이기는 하지만, 일련의 학계와 지방자치단체의 움직임으로 볼 때 보다 진전된 형태로 드러날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새로운 학문의 틀을 만드는 실험적이고 창조적인 과제인 만큼 연구방법론을 비롯한 다양한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basing on the results of earlier researches on the Honam Confucian thoughts, is trying to find the aspect of development of the Honam Confucian thoughts and its distinctive features. Moreover, the further study task will be revealed by showing the meaning of the Confucian thoughts in the times of decentralization. In the mean time, the academic circle had little attention to the realm and the meaning of the Honam Confucian thoughts comparing to the other Confucian thoughts such as the Kiho region and the Yeongnam region Confucian thoughts. This phenomenon derived from the academic circle’s structure of understanding on the Chosun neo-Confucianism which is regionally understood such as the Kiho school and the Yeongnam school. And this understanding is influenced by the division of the Yi-hwang and Yi-i schools, the influence of li-qi theory, and the composition of the mixture of political situation with the regions. However, this understanding only relevant from the 17th century to 18th century under the ruling of Noron Party when the political and the ideological circles consolidated regionally by academic schools. Accordingly, rather than finding the regional Confucian school - such as the Teogye school and the Yulgok school which had homogeneity in academics - by naming the Honam Confucian thoughts, the context and identity of Confucian thoughts in the Honam province will be confirmed and what kind of impact affected to the whole current of Korean thoughts by the Homan Confucian thoughts and its meaning and significance will be found in this study. By studying the history of the Honam Confucian thoughts, it was summed up that the Homan Confucian thoughts had distinctive features such as manifestation of the spirit of Sarim, the expression of practical principle of righteousness, the coexistence and antagonism among various schools, innovative and practical academic view, the manifestation of literary appearances and artistic spirits, communicative and opened academic attitude. It is concluded that these distinctive traits, which were not the only traits of the Honam Confucianism though, featured the Honam culture, confirmed the regional identity, and simultaneously aroused the sense of bond of its people. It is deeply related with the scholars active interest on the Honam study that the interests on the Honam Confucian thoughts. Not only the Honam study but also the study on Honam confucian thoughts are in the initial stage, the future of these studies are promising thanks to the interests and concerns of academic circles and the local government. However, it is required that the various perspective and dimensions on research methodology in framing new Honam study which is an experimental and creative task.

      • KCI등재

        특집논문 : 호남학연구의 성과와 전망: 역사 및 사회 분야

        정명중 ( Myung Jung Jeong ),류시현 ( Si Hyu Ryu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3 호남학 Vol.0 No.54

        역사와 사회 영역에서 지난 50년간의 호남학연구의 성과를 검토하는 작업은 호남이란 공간 속에서 이루어진 공동체 구성원의 다양한 실천 활동에 대한 역사적ㆍ사회적 의미를 검토하는 일이다. 역사학의 영역에서는 시간적 추이와 맥락에 관해 주목하면서, 호남적인 정체성 즉 호남인의 정신과 감성을 규명한 글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사회 분야에서는 호남 문화의 경험적 또는 구조적 특질을 여실히 드러내 주고 있는 중요한 연구 성과들을 검토했다. “향토애”로 표현되는 지역에 대한 정확하고 자세한 이해는 지금 이곳에 살고 있는 공동체 구성원에게 자긍심을 제공하는 방안이 된다. 본고에서는 『호남문화연구』, 『감성연구』그리고 인문한국사업단이 발행한 감성총서를 바탕으로 역사학과 사회과학 분야의 호남학 연구 성과를 검토했다. 특히 개별적인 사례 중심보다는 호남학과 연동된 연구 성과물에 주목했다. 이를 통해 볼 때, 호남문화연구로 대표되는 호남학 연구의 성과는 중앙과 연계된 정치사의 영역을 넘어서 성장하고 삶을 영위하고 있는 공간을 다루기 있기 때문에 생생한 현장감을 부여하는데 기여해 왔다. 향후 이 분야 연구 영역에서는 장기간의 연속성이 강조되면서도 동시에 각기 분리되고 고립된 것처럼 보이는 사건과 인물의 활동을 서로 연결시켜 그 의미를 새롭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방안이 된다. 따라서 단순히 행정적, 지리적 경계로 나누어지는 구역이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문화적 요소의 상호 작용이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생활영역임에 주목해야 한다. 그리고 1960년 이후 축적된 호남문화연구 의성과를 바탕으로 “호남문화론”에 관한 이해의 폭을 본격적으로 확장해야 할 필요가 있다. It can be said that reviewing the achievement of Honam Studies for the last fifty years in history and social field is to examine historical and social significance of various practical activities of the community members in the space called Honam. In the field of history, the study reviewed the writings which look into the sprit and emotion of Honam people as the identification of Honam, paying attention to the temporal trends and context. And in the field of society, the study reviewed the significant results which apparently show empir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onam culture. Exact and detailed understanding of one`s community expressed as “local patriotism” is a way to provide its members with self-esteem. Based on 『Honam Munhwa Yongu』, 『Gamsung Yongu』, and Gamsung Chongseo published by HK Project, the study reviewed the outcome of the researches on Honam Studies in history and social science field. Especially, what is noticed is the research achievement related to Honam Studies rather than any individual case. The review showed that the achievement of Honam Studies represented as 『Honam Munhwa Yongu』has contributed to adding vivid sense of realism as that dealt with the space where we grow and lead a life beyond the area of political history related to the Center. In this field, it would be a key for follow-up researches to connect events emphasizing the long-term continuity and looking divided and isolated at the same time with the activities of a figure to newly understand the significance. Thus, we should note that an area is not the space divided by a simple administrative and geographical boundary, but a daily living area having interaction of polit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elements. In addition, understanding of “Honam culturism” should be actively expanded based on the achievement of 『Honam Munhwa Yongu』 accumulated for a long time since 1960.

      • KCI등재

        湖南學의 연구 경향과 徽州學과의 비교연구 가능성

        김병인(Kim Byoung-I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8 한국학연구 Vol.28 No.-

        본고에서는 湖南學의 범주와 연구 경향과 추이 등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徽州學과의 비교연구 가능성을 검토해보았다. 광주와 전ㆍ남북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호남학은 대학 박물관과 연구소를 중심으로 역사ㆍ철학ㆍ국문ㆍ민속ㆍ인류ㆍ사회학 관련 연구자들에 의해 고고, 역사, 인물, 사상, 종교, 문학, 민속, 건축, 미술, 음악, 생태 등의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다. 특히 연구의 양적 측면에서 역사고고에 집중된 측면이 있으며, 이외 (향토, 생활)역사문화, 고문서, 도서해양, 민족 민주운동 등에 관한 것이 많았다. 호남학 연구는 지역적 위상을 높이려는 의도가 많았으며, 시대적 트렌드에 맞는 연구주제의 변화상이 뚜렷하고, 1990년대 이후에는 지역문화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호남학은 중국의 휘주학과 비교해 볼 때 역사적 유구성, 교류 중심지, 적극적인 현실 참여, 문화적 다양성 등의 측면에서 유사한 경험과 특징을 공유하는 바, 향후 두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비교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ange, direction, research findings and development of Honam Study and to check the possibility of comparative study with Hwiju Study, China. Honam Study covering Gwangju and Jeonnam & Jeonbuk area has been dealt with natural & ecological environment and basic culture of Honam area in the field of archaeology, history, folk customs, architecture, fine arts, music, ecology, religion, thought, and figures by researchers, centering around university museums and institutes,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philosophy, anthropology, folklore and sociology. This study researched the characteristics of Honam Study by Time. First, interest in local culture has increased since 1990's. Second, the change in subjects by time is clear. Third, the intension to promote local and national status gets increased. Fourth, there are a lot of items reflecting the speciality of Honam area. The researches on Honam Study as above mentioned have common features with those of Hwiju Study, China. Thus, it is quite meaningful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mparative study of them based on the common backgrounds; First, both Honam and Hwiju have a long history. Second, both areas are the center of exchanges. Third, both areas have the spirit of actual participation in public affairs. Fourth, Honam and Hwiju areas have cultural variety. These common points of two areas show the possibility of comparative study of them, Honam Study and Hwiju Study.

      • KCI등재

        일반논문 : 호남지방 일기자료 연구의 현황과 과제

        김대현 ( Dae Hyun Kim ),김미선 ( Mi Sun Kim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5 호남학 Vol.0 No.58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의 호남지방 일기자료에 대한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호남지방 일기자료 연구의 과제를 살펴보았다. 호남지방 일기자료의 연구는 한국의 일기자료 전반에 대한 연구를 하면서 호남지방 일기자료를 연구 대상의 일부로 포함한 경우, 호남지방 일기자료에 대한 최초의 종합적 정리를 진행 중인 < 호남기록문화유산 > 내 일기자료 연구, 호남지방 일기자료 개별 작품에 대한 연구 등 세 가지 방면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표해록』, 『미암일기』등 유명한 일부 개별 작품에 대해서는 연구 성과가 많지만, 전체적인 호남지방 일기자료의 현황 조차도 파악이 되지 않는 등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호남지방 일기자료 연구에 있어 시급한 것은 자료학적 연구이다. 이와 관련하여 호남지방 일기자료에 대한 전체적인 조사와 현황 파악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는점, 호남지방 일기자료 연구의 구심점이 될 자료센터가 구축되어야 한다는 점, 일기 전체에 대한 DB 구축과 체계적인 번역이 필요하다는 점 등 세 가지 과제를 제시하였다. 자료학적 연구를 통해 호남지방 일기자료의 현황이 파악되고 기초자료가 제공된다면, 호남지방 일기자료 연구의 활성화를 가져오고 현대적으로 활용할수 있는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hitherto studies on Honam``s historical diary materials, and the research tasks for the region``s diary materia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as Korea``s overall historical diary materials are being studied, part of Honam``s historical diary materials are also include in such studies, that diary materials within < Honam``s Documentary Cultural Heritage > are being studied, the first total study on the region``s diary materials, and that individual diary materials of the region are being studied. Some famous diary materials, such as Pyohaerok and Miam ilgi have been profusely researched, but the status of overall diary materials of the region is yet to be examined. In the research on Honam``s diary materials, material research is the mos urg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proposed that the overall survey and status identification of Honam``s diary materials should be first conducted, that the materials center for researching on Honam``s diary materials should be established, and that a database on all diary materials should be con-structed. if, through the material science research, the status of Honam``s diary materials can be identified, and basic materials can be provided, it will facilitate research on Honam``s diary materials, and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materials to be used in today``s situations.

      • 이황학맥의 호남 전파와 유학사적 의의

        고영진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3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2

        이 글은 이황학맥의 호남 전파를 16세기 사림문화 융성기에 영남과 호남사림의 학문 교류라는 차원에서 살펴본 것이다. 호남사림은 조선 건국과 세조의 쿠데타, 연산군의 사화 등의 정치적 변동을 계기로 형성 되었는데 중종대 이후 본격적으로 흥기하였다. 당시 호남사림의 인맥은 크게 김굉필, 최부, 송흠, 박상, 이항, 김안국계열 등 여섯 계열로 나눌 수 있으며 명종대 서경덕과 이황·조식학파가 형성되면서 호남사림도 그 영향을 받거나 대응하면서 성장하였다 따라서 인맥에 학맥을 더하여 고려한다면 크게 서경덕계열과 송순계열로 나눌 수 있다. 이황과 호남의 학문적 교류는 이미 이황 이전부터 지방관 역임, 유배, 교제·서신 등 다양한 형태로 있어 왔으며 호남 유학 형성에 영향을 미친 대표적인 인물은 김종직과 김굉필이었다. 김종직은 지방관으로 와서, 김굉필은 귀양 와서 호남사림과 관계를 맺으면서 학문적인 영향을 미쳐 적지 않은 문인들이 나오기도 하였다. 이 두 사람 외에 호남성리학의 형성 과정에서 서로 영향을 주며 밀접한 관계를 가졌던 인물이 이황이었다. 그는 기대승, 송순, 유희춘 등과 학문적 교류와 논쟁을 하면서 자신의 이론을 확립해 나갔으며 이는 호남 사림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아울러 그는 송순의 면앙정시단에 참여하는 등 문학적 교류도 활발히 하였다. 이황이 호남사림들과 학문교류를 활발히 하는 동안 그 문하에 들어간 문인이 되는 경우도 나타났다. 이황의 문인으로는 보성의 박광전, 장흥의 문위세, 무장의 변성온·변성진, 해남의 윤강중·윤흠중·윤단중, 창평의 양자징, 순천의 김윤명, 화순의 조대중 등이 있다. 이들을 인맥으로 정리해보면 주로 김굉필계열과 최부계열, 특히 유희춘, 김인후와 연관이 많음을 알 수 있다. 결국 호남의 이황 문인들은 이황이 학문적으로 활발한 교류를 한 유희춘과 김인후를 매개로 하여 이황의 문인이 되었으며 뒤에 학파와 정파가 분기되면서 서경덕계열과 송순계열, 동인과 서인으로 분화되었다. 이들의 학문은 초기에는 이단에 엄격하고 주자에 충실한 모습을 띠어 이황의 학문적 특성과 크게 다르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후대로 가면 김인후와 관련한 문인들은 정치적으로 서인이 되면서 이황과의 학문적 관계가 점차 옅어져가고 유희춘과 관련한 문인들은 동인으로 활동하면서 이황과의 학문적 유사성을 계속 유지하지 않았나 여겨진다. 어쨌든 16세기 호남의 성리학은 다양하게 전개되었으며 이론적으로도 당대 최고 수준이었는데 이는 이황을 비롯한 영남사림과의 학문적 교류에 힘입은 바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호남에서의 이황문인들은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전반에 걸쳐 호남의 성리학이 분화·발전해가는 과정에서 적지 않은 매개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 This study has looked into the spread of Yi Hwang academic stream to Honam in view of study exchange between Youngnam and Honam area in the 16th century, when Sarim culture was in full flourish. Honam Sarim was formed with political fluctuations such as Chosun establishment, King Sejo's coup de′tat, and massacres of scholars by Yeonsangun, and was developed in earnest after King Jung-jong age. At that time, personal connection of Honam Sarim was classified into six parties of Kim Gwengpil, Choi Bo, Song Heum, Park Sang, Yi Hang, Kim Ahn-kook. While S대 Gyeong-duk, Yi Hwang, Cho Sik academic schools were formed in King Myeongjong age, Honam Sarim Was affected and grew up corresponding to them. Therefore, considering personal and academic connections, the parti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parties; Seo Gyeong-duk party and Song Soon party in large. Academic exchange between Yi Hwang and Honam had already existed in various forms by consecutive entitlement of local officers, banishment, friendship and letter and representative persons who affected the formation of Honam Confucianism were Kim Jong-jik and Kim Gweng-pil. Kim, Jong-jik, who came as a local government officer, and Kim, Gweng-pil, who came for banishment, had a relationship with Honam Sarim and affected academy, producing not too few disciples. Besides these two men, it was Yi Hwang who affected formation of Honams metaphysics and had a close relation ship with each other. He established his own theory through discussion and academic exchange with Gi Dae-seng, Song Soon, Yoo Hee-chun, and so did Honam Sarim. In addition, he exchanged culture actively such as participating at Song Soon's Myeon-ang-jeong literary organization. While Yi Hwang was exchanging academy actively with Honam Sarim, some people became disciples under his studies. Yi's disciples were Park, Gwang-jeon from Bosung, Moon Wee-se from Jang-jeung, Byeon Sung-on and Byeon Sung-jin from Moo-jang, Yoon Gang-jung, Yoon Heum-jung, and Yoon, Dan-jung from Haenam, Yang Ja-jing from Chang-pyeong, Kim Yoon-myeong from Soon-cheon, and Jo Dae-jung from Hwa-soon. Classified by personal connection, they are mainly connected with Kim Gweng-pil party and Choi Bo party. Especially they had lots of connection with Yoo Hee-chun and Kim In-hoo. In conclusion, Yi's disciples in Honam became his disciples through the medium of Yoo Hee-chun and Kim In-hoo who had exchanged academy actively with Yi Hwang. They were divided again into Seo Gyeong-duk party and Song Soon party, and East men and West men as the academy party was divided into academy party and political party later. Initially, their academy was not so different from Yi Hwangs academic characteristic since it was strict to heresies and faithful to Juja. As it went to later ages, however, it's considered that disciples related to Kim In-hoo had lightened their academic relationship with Yi, Hwang as they became West men politically, but disciples related with Yoo Hee-chun kept academic similarity with Yi while they were acting as East men Anyway, it can be said that Honam metaphysics was developed in various manners and was the best in its theory at that age due to the academic exchange with Youngnam Sarim including Yi Hwang. Besides, Yi's disciples in Honam area played a mediation role when Honam metaphysics was differentiated and developed from the late 16th to early 17th century.

      • KCI등재후보

        호남학 정립과 문화관광에의 활용을 위한 호남학 시청각 아카이브 구축 시론

        노시훈(Noh Shi-hun) 인문콘텐츠학회 2007 인문콘텐츠 Vol.0 No.10

        소홀히 되어온 호남학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연구 자료의 집성과 그 데이터 베이스화, 그리고 문헌 아카이브뿐만이 아니라 그것을 보완하는 시청각 아카이브의 구축이 필요하다. 이러한 아카이브의 구축은 학술적 목적에서뿐만이 아니라 지역문화관광 진흥의 목적에서도 필요한데, 호남의 유수한 문화유산을 기록한 영상물을 아카이브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지역 관광산업을 활성화하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기 때문이다. ‘호남학 시청각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데 있어 지방의 문화유산을 디지털 매체로 기록ㆍ복원하는 프랑스 피카르디 지방의 음향ㆍ시청각 아카이브 ‘피카르디의 생생한 기억’은 좋은 모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아카이브의 음향ㆍ구술 자료에의 과도한 편중, 인터넷 서비스에서 영상 자료의 부재, 대중의 관심을 끌기 위한 전략 부족은 유의하여야 한다. 호남학 시청각 아카이브의 구축은 1) 연구 자료 분류체계의 마련, 2) 연구 자료의 수집, 3) 자료의 디지털화, 4) 자료의 주제별 조직화 또는 재구성, 5)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의 다섯 단계를 거쳐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대표 자료집을 만들기 위해 호남지역의 중요 문화원형들을 다큐멘터리로 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구축된 호남학 시청각 아카이브는 호남학 연구, 지역문화교육, 지역문화의 대중화, 관광산업ㆍ문화콘텐츠산업 발전에 활용될 수 있다. For activating neglected Honam studies, it is required to collect research materials, to make their databases and to construct not only text archives but also their complement, audiovisual archives. The construction of the latter archives is necessary not only for the academic purpose but also to promote the regional cultural tourism. We can revitalize the regional tourism industry by offering audiovisual materials of prominent cultural inheritances through the archives. In constructing 'Honam Studies Audiovisual Archives', 'Memoire Vivante de Picardie', sound and audiovisual archives of French Picardian region which record and restore regional cultural inheritances by digital media is a good model. But excessive preponderance of sound data and oral data, absence of visual data on the internet service and lack of strategies for drawing the public's interest are the problems of these archives. The construction of Honam Studies Audiovisual Archives has to be realized through five steps as follows : 1) preparation of the research data classification system, 2) collection of research data, 3) digitalization of data, 4) reconstitution of data by themes, 5) internet services. For making a representative data collection, it is necessary to produce documentaries about Honam's important cultural archetypes. Honam Studies Audiovisual Archives can be used in Honam researches, regional culture education, popularization of regional culture and developments of tourism industry and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