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 : 리꾀르의 Narrative Identity 이론의 소그룹 성경공부에로의 적용

        강미랑 ( Mi Rang Kang )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29 No.-

        이 논문은 리꾀르의 이야기적 정체성 이론을 소그룹 성경공부에 적용하기 위한 교수학적 이론형성을 목적한다. 리꾀르는 자아와 타자간의 반성적이고 해석적인 활동을 통하여 인간이 자아이해에 이를 수 있다고 한다. 해석으로서의 정체성은 다른 이들과 다른 이야기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반성의 결과이다. 그의 이야기적 정체성 개념은 성경본문과 독자사이의 의사소통적 관계를 이해하는데 유용하다. 이야기적 정체성은 본문의 세계와 독자의 세계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이 해석적 과정을 리꾀르는 선구성-구성-재구성의 이야기적 구조로서 설명한다. 리꾀르는 이야기, 즉 본문의 언어들이 우리의 삶의 행동으로 옮겨져 우리의 삶을 위한 실천적 제안과 가능성들을 제공할 수 있는 해석의 길을 찾고자 하였다. 특히 성경본문의 해석에 있어서 증거의 개념을 사용함으로 성경의 권위의 의미와 독자의 실천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리꾀르의 이야기 해석학은 소그룹 성경공부를 통하여 자아정체성을 재구성하고자 하는 참가자들에게 성경과 자신, 타자간의 해석적 과정을 통한 풍성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그룹은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의 장으로서 타자와의 만남을 제공하고, 해석의 공동체로서 개인의 해석을 점검하고, 타자들의 다양한 해석을 듣게 한다. 소그룹 성경공부에서 인도자는 그룹 속에서 정체성을 찾아가는 신앙여정의 동반자로서 함께 대화하는 파트너이면서 동시에, 신학자이자, 영적 안내자로서 개개인의 다양한 정체성 재구성 작업을 격려한다. 본 논문은 성경연구를 통해 기독인의 정체성이 형성되는 과정을 리꾀르의 이야기적 정체성이론과 그 교육의 장으로서 소그룹 성경 공부라는 한 방법을 연결함으로 설명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form Bible-didactical theory to apply the theory of Ricoeur`s narrative identity to Bible study in a small group. Ricoeur`s understanding of the self is that a human being can understand one`s own self through the reflective and interpretative activities of others. This identity as interpretation is the outcome of reflec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and other narratives. The concept of narrative identity is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communicative relation among the Bible texts and its writers and readers or hearers. Narrative identity is form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world of the text and the world of the reader. This interpretative process is represented as ``narrative arc`` that moves from prefiguration through configuration to prefiguration. Through these hermeneutical phases, readers or participants of the Bible study get the practical proposals or possibilities for their own lives. Ricoeur`s hermeneutic of testimony helps the Korean church as a hermeneutic community to accept the differences among the various (personally applied) interpretations and to cooperate with hope from the biblical testimonies, and to form its own attestation. In relation to Christians` identity, this hermeneutics offers rich possibilities in the process of shaping their identity through Bible study. Especially in the group situation they can learn each other with the Bible. Group functions as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is identity formation process through the Bible study, a leader plays a role as a companion making a journey with other participants in the group. At the same time the leader takes a role as leading learner who is a theologian and spiritual guide.

      • KCI등재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접근

        고원석(Won Seok Koh)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6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48

        비블리오드라마는 공감과 소통을 성서교수학적으로 구현하고자 최근에 등장한 기독교교육의 접근방법이다. 본 논문은 아직 한국기독교교육 분야에 생소한 비블리오드라마의 원칙과 주요 특징을 정리하여 소개하고, 비블리오드라마의 성서 이해, 해석학적 관점을 조명하고자 한다. 비블리오드라마는 역할극 형태로 성서의 내용을 즉흥적으로 연기함으로써 그 과정 속에서 일어나는 지적, 정서적, 미적 차원의 깨달음을 서로 대화하고 성찰해 나가는 학습형태다. 비블리오드라마는 창의적이고 자발적인 과정학습으로서 성서의 세계와 학습자의 세계의 상호소통을 추구하며, ‘빠름’의 세상 논리에 항거하며 성서를 천천히 읽어나가려고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비블리오드라마는 성서를 다음과 같이 이해하고자 한다. 첫째, 성서를 오늘의 학습자를 향한 사건으로 바라본다. 극적 환경을 구성하고 학습자들이 사건 속으로 참여함으로써 성서의 사건 자체에 귀를 기울이고자 한다. 둘째, 비블리오드라마는 성서를 하나의 의미공간으로 바라보고, 전통적 해석학과 달리 “흰 불꽃”(여백)에 감춰진 의미에 주목한다. 셋째, 비블리오드라마는 몸과 영이 함께 어우러지는 해석을 추구함으로써 정신과 육체가 통합된 ‘전인적’ 신앙 형성을 추구한다. 결국 비블리오드라마는 “신뢰의 해석학”을 지향한다. 비블리오드라마의 관점에서 성서는 언제나 인간의 해석능력보다 우위에 있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신뢰하기 때문에 참여자들 자신들의 해석학적 능력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성서의 의미 해석을 위해 자신의 실존적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길을 개방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and analyse Bibliodrama, which is yet unfamiliar to Christian education field in Korea. Bibliodrama is a contemporary approach taken by Christian education responding to today’s social demand, empathy and communication. It is a form of a Bible study through unscripted role plays of stories from the Bible. It is a creative and spontaneous learning process aiming the intera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Scripture and men as well as connecting the past to the present. Besides, it suggests a slow reading of the Bible in order to resist the flow of the fast-moving culture in this era. From the hermeneutical perspective, Bibliodrama is considered as events of the biblical stories reformed by men, participating in the production, who are already engaged to the dramatized environment of the biblical stories and experiencing them as if their own stories. Bibliodrama is focused more on so-called “white fire”(interlinear space) of the texts where men can find meanings than on so-called “black fire”(letter), objects of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In this, Bible is an empty space of meaning of the text which can be filled up by the participants. It tries to integrate human soul and body to make an holistic faith and holistic personality. After all, we could name hermeneutics of Bibliodrama as hermeneutics of trust. From this perspective, the Bible is God’s Words that it always stands above men"s interpretative capability. Regardless of the limitation of our understanding about the Bible, we could enter existentially and passionately into the biblical world through Bibliodrama.

      • KCI등재

        성서교육 방법론 연구를 통한 통전적인 성서교육에 대한 제언

        양성진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69

        본 글은 성서교육 방법론 연구를 통한 통전적인 성서교육에 대한 제언이다. 연구 자는 성서교육의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서, 이전에 선행 연구된 성서교육을 지적인 접 근으로서의 성서교육, 정서적 접근으로서의 성서교육, 행위적 접근으로서의 성서교육 방법으로 분류한다. 세 영역의 성서교육 방법을 연구하면서 통합적·간학문적·분리를 극복하는 성서교육의 접근방법, 다양한 삶의 현장의 인식, 해석의 주체 등의 통전적인 성서교육을 제안한다. 연구자는 지적, 정서적, 행위적 성서교육으로 분류하고 연구한다. 첫째, 지적 성서 교육 방법은 해석학적 성서교육이다. 해석학적 성서교육은 현재의 삶의 자리에서 텍 스트에 담긴 하나님의 뜻을 성찰하고, 비평하며, 해석한다. 현장과 성서의 변증법적 해석은 하나님의 온전한 뜻을 실천하는 삶으로 인도한다. 둘째, 정서적 성서교육 방법 은 성서의 시각적 읽기이다. 성서 본문과 본문을 시각화한 성서-이미지가 교차적으로 작용하여 하나님의 뜻을 감각적이고, 직관적으로 인식하는 정서적 차원의 성서교육이 다. 마지막으로 행위적 성서교육 방법은 몸을 활용한 비블리오드라마(Bibliodrama)이 다. 비블리오드라마는 성서 이야기로 들어가서 성서 본문을 온몸으로 경험하고, 느끼고, 응답하는 성서교육이다. 성서 교육 방법론 연구를 통한 통전적인 성서교육을 세 가지 측면으로 제언한다. 첫 번째는 통전적인 성서교육을 위한 통합적인 성서연구 접근, 간학문적인 접근, 분리 를 극복하는 접근 등을 제언한다. 두 번째는 성서의 현장, 성서 교육의 현장, 참가자 의 삶의 현장의 다양성을 인식하는 통전적인 성서교육에 대하여 제언한다. 마지막으 로 성서교육에 참여하는 참가자는 ‘해석의 주체’가 되고, 삶의 현장에서 하나님의 계 시를 해석하고, 실천하는 실천 신학자로 하나님의 현존을 경험하는 해석의 주체로 제언한다. his article suggests holistic approaches to biblical education through a study of the methods that have been used for biblical education. Based on a study of the previous literature on biblical education, I determine that biblical education has had three main approaches: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fter reflecting on the various methods that go with these approaches, I propose holistic approaches to biblical education in the three perspectives. In the second part of this article, I explain the three approaches to biblical education and their methods. First, the cognitive approach to biblical education uses a hermeneutical method. This method entails reflecting on, criticizing, and interpreting God's desire and will as these are indicated in the biblical text and then applying one’s conclusions within the present context of one’s life. The dialectical interpretation between the present context and the Bible leads one to practice God's will in the whole of one’s life. The second approach to biblical education is an affective one that engages in a visualized reading of the Bible. This approach enables people to perceive God's desire and will through a sensitive and intuitive method of interaction between the biblical text and visualized images of it. Third, the behavioral approach utilizes people’s whole bodies in Bibliodrama. In this way, it guides individuals to enter into biblical stories. In addition, it allows people to experience and to feel the biblical text and to respond to their lives with their whole bodies. In the third part of this article, I propose three perspectives for holistic approaches to biblical education based on my reflections on the three types of biblical education. The first holistic approach includes an integrated Bible study,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a perspective to overcome separation. The second approach guides people to recognize various forms of diversity through the various contexts within the biblical text, biblical teaching, and the participants themselves. The final approach suggests that participants in biblical education become the subjects of interpretation as practical theologians who interpret and practice God's revelation in the context of their own lives.

      • KCI등재후보

        청소년을 위한 창세기 성경공부, 어떻게 할 것인가?: 창세기 1-12장을 중심으로

        최중화 ( Junghwa Choi ) 한국교회교육·복지실천학회 2024 교회교육·복지실천 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청소년 창세기 성경공부를 위한 제안을 담고 있다. 창세기는 청소년 성경 공부에서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 된다. 세계관과 인간관을 다루고 있고 복음과 직접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동시에 창세기는 꼭 해결 해야만 믿음이 자라나는 불편하고 궁금한 이슈들을 가지고 있다. 장르와 역사성에 대한 질문도 있고 과학과 종교에 대한 질문도 있다. 성경 읽는 법을 가르쳐 주지 않고 성경을 가르치는 관행도 불편한 부분 중 하나인 듯 하다. 마지막으로 담화 레벨에서 창세기 1-12장까지 이어지는 중요한 메시지를 살펴보았다. 앞으로 체계적인 창세기 성경공부 교재가 나온다면 이러한 부분들이 포함되면 좋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a way of teaching Genesis for youth, focusing on Genesis chapters 1-12. Genesis is the most important starting point in youth Bible study because it deals with views on the world and human being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gospel. At the same time, Genesis has itchy issues that must be resolved for faith to grow. There are questions about genre and historicity, as well as questions about science and religion. The practice of teaching the Bible without teaching how to read it seems to be one of the itchy areas. Lastly, this paper deals with the important messages from Genesis 1-12 at the discourse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