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축제참가자 일탈행동에서 체면민감성의 역할 분석

        이경여,이훈 한국관광학회 2020 관광학연구 Vol.44 No.4

        Face consciousness is a social pride that makes people act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social status; therefore, it is closely pertinent to the behavior of festival participants. Understanding festival participants' mentality and behavior is important in festival planning, accordingly it may necessitate further research in order to give an edge to the increasingly competitive festival related industries. Thu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impact of festival participants' deviant behavior on festival satisfaction, and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face consciousness in the process. First of all, literature review regarding face theory and Deviant Festival Behavior (DFB) was carried out and established research hypotheses. Using the scale of DFB developed in the previous research, an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on visitors to the 12th Jangheung Water Festiva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al equation path model, it was found that the deviant behavior at festival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festival satisfaction. A multiple-group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face consciousnes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in physical DFB between the high and low face consciousness groups. Our findings contribute to research in that it incorporated face consciousness into festival research. This study has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we addressed strategies to lower the face consciousness in order to enhance festival satisfaction. 체면은 지위에 따라 적합한 행동을 하게 만드는 사회적 자존심이므로 축제참가자들의 일탈행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축제참가자 심리와 행동의 이해는 축제 기획에서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갈수록 첨예화되는 축제 경쟁 속에서 차별화하기 위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축제참가자 일탈행동이 축제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며, 그 과정에서 체면민감성의 조절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체면이론과 축제 일탈행동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였고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선행연구에서 개발한 축제 일탈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제12회 장흥 물축제 방문객 중 506명을 대상으로 현장에서 실증조사하였다. 구조방정식 경로모형 분석결과, 축제 일탈행동은 축제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체면민감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집단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등가제약모델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체면민감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에 신체형 축제 일탈행동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체면민감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신체형 축제 일탈행동을 통한 축제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한국인의 사회적 행동을 설명하는데 강하게 작용하는 문화적 특성인 체면의식이 축제에도 적용됨을 밝히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심리에서 대표적인 사회적 성격인 체면을 축제 연구에 접목시킨 탐색적 연구라는데 학술적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체면민감성을 낮출 수 있는 축제 분위기를 조성하여 축제 만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The Effects of Festival Service Quality on Brand Equity: A Case of Gimje Horizon Festival

        호정,정강환 한국상품학회 2010 商品學硏究 Vol.28 No.5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estival service quality and brand equity. Based on the literatures, dimensions of brand equity are def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festival service quality factors and brand equity are to be investigated. At the same time, which factors of festival service quality have effects on the dimensions of brand equity need to be found out.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a survey is carried out towards festival visitors who attended Gimje Horizon Festival. In general, the results confirm that festival service quality in terms of progra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physical facilities quality and products qual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building brand equity. Festival visitors can increase their familiar with festival brand through the experience of various program, getting more information about the festival and seeing physical facilities with festival symbols. And festival brand image can be derived from all brand related activities provided by festival. Direct experience such as hands-on experience programs, purchasing festival products, or using festival facilities can make effects on building festival brand image.

      • KCI등재

        축제참가자의 지역축제 의의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관한 연구

        황화석(Hwang, Hwa-Seok) 한국지역지리학회 201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1 No.2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11」을 대상으로 축제참가자의 지역축제 의의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관해 연구 하였다. 연구결과는 먼저,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에 참가한 축제참가자들의 인구학적 특성은 대졸학력의 20~40대 연령층과 가 족단위의 방문객이 주를 이루었으며, 외지인과 지역주민 간의 인구학적 특성의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지역축제 특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지역축제가 지역문화자원 활용정도와 지역축제의 주제 반영정도에 대하여 두 집단 모두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주제의 반영정도는 지역주민들의 사례축제에 대한 긍 정적인 인식이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축제의 의의는 지역주민 화합, 지역 경제활성화 그리고 지역 홍 보 및 지역 이미지 제고이다. 여기서 지역주민과 외지인들은 지역 홍보 및 이미지 제고를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한데 비해 지역주민 화합에는 다른 설문항목에 비하여 긍정적인 인식이 낮았다. 따라서, 사례축제가 보다 지역사회에 깊게 뿌리내림 하기 위해서는 축제를 통한 지역주민들의 문화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보다 유도할 필요성이 있다. 그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지역주민들을 위한 프로그램마련과 축제의 기획, 집행, 평가 과정에서 지역주민들의 참여가 가능한 다양한 창구를 마련하여 지역주민들의 참여를 확대할 것을 제시한다. This paper is investigated to awareness and assessment by festival participants’ to significance of lacal festival in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2011」. As results, firs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festival participants’ in case study are that dominated participants’ were tewnties to fourties consisting consanguine and graduates. There is almost same rate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for characteristics of local festival are that positive responds was dominated at degree of using and respect of local culture resources and main theme reflected to festival. Third, questionnaire items of the significants of local festival are participation desire and real participation rates of citizen to local festival, contribution rate of citizenry reconciliation, effects of regional marketing and increasing regional image, local economy development and rate of improving people’s quality of cultural life. In these item, effects of reginal marketing is most positive response by Andong citizen and outsiders. And positive response of economical effects is higher outsiders then citizen. However, the contribution rate of citizenry reconciliation is lower then other items to positive response. Therefore, methods of regoinal embeddedness of case festival are evaluating life quality of local citizen by local festival and leading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people to local festival.

      • KCI등재

        이청준의 「축제」에 나타난 축제의 복합적 성격 연구

        이경재 한국어문학회 2019 語文學 Vol.0 No.145

        Festivals are so essential for humans to the extent that there is a saying called “Homo Festivalus”. However, few Korean novels have ever been written in front of the festival amid tough times. Lee Chung-joon's 「Festival」 is an exceptional work that deals with the universality of the festival. Until now, Lee Chung-joon's 「Festival」 was mainly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film 「Festival」 due to his unique resume that he was created with Im Kwon-taek's film. Discussions that focus on the nature of the festival of interest in this writing are mostly based on Bakhtin's theory, focusing on the norm-destructive or causative aspects revealed in the work. By using various festival theories, I wanted to comprehensively reveal the complex nature of the festival presented in Lee Chung-joon's 「Festival」. In Chapter 2, we discussed the nature of the festival, focusing on Jun-seop's mother, or the elderly, who is rarely discussed. In this work, the mother does not stay at a simple opportunity to make the festival possible, but can be seen as one of the central nuclei that form the fundamental meaning of the festival. The festival maximizes the nature of ordinary people as a transition period by setting up an extremely unusual household experience. In addition to the transition period inherent in ordinary routine, Jun-sub's mother goes through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the suspended animation experience and the real death) once again. It is a 'fest in a festival' that clearly shows the nature of the festival's rite of passage. Chapter 3 focuses on Jun-sub and Yong-soon, who are at odds with each other in the opposite direction inherent in the festival, the orientation of "positive orientation of existing order" and the direction of "universal destructive excess." If Jun-sub represents the ceremonial side of the festival, Yong-soon represents the Chaos side of the festival. No one has superior power in this work. The two directions show that the power changes with time and conflict. This proves that 『Festival』 ultimately deals with funeral rites as a "border phenomenon" that is full of entertainment, seriousness, freedom and order. The festival has the power to create new human beings. This aspect can be found in Yong-soon. Yong-soon was not even in a position to appear in the family before attending the funeral, but she appeared in the mourner's house, showing herself as free-spirited as ever. After the funeral, it changes once again. Yong-soon is now reborn as one who has the power to resolve the family feud. A family photo in the center of Yong-soon is a clear symbol of Yong-sun's stature. As the above discussion shows, Lee's work on the festival is a masterpiece that deeply reflects the diverse nature of the festival in the extremely rare historical of Korean literature. 호모 페스티부스(Homo Festivus)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인간에게 축제는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힘겨운 시대 상황 속에서 창작된 한국 소설 중에 축제를 정면에서 다룬 작품은 극히 드물다. 이청준의 『축제』는 예외적인 작품으로서, 장례를 배경으로 하여 축제의 보편성과 축제의 한국적 특수성을 다룬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이청준의 『축제』는 임권택 감독의 영화 「축제」와 동반 창작되었다는 특이한 이력 때문에 영화와의 관련성 속에서 주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 글에서 관심을 갖는 축제의 성격에 초점을 맞춘 논의는 대부분 바흐친의 이론에 입각하여, 작품 속에 드러난 규범 파괴적이거나 카오스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고에서는 다양한 축제 이론을 활용하여 이청준의 『축제』에 나타난 축제의 복합적 성격을 종합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그동안 거의 논의되지 않았던 준섭의 어머니, 즉 노인을 중심으로 축제의 성격을 논의해 보았다. 이 작품에서 어머니는 축제를 가능하게 하는 단순한 계기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축제의 근본적인 의미를 형성하는 하나의 중핵이라고 볼 수 있다. 『축제』에서는 지극히 비일상적인 노인의 가사(假死)체험을 설정함으로써, 본래 상례가 지닌 과도기로서의 성격을 극대화하고 있다. 준섭의 어머니는 보통의 상례에 내재된 과도기 외에도, 가사체험에 따른 과도기(가사체험과 진짜 죽음의 사이)를 다시 한번 겪는다. 이것은 ‘축제 안의 축제’로서, 축제가 지닌 통과의례의 성격을 선명하게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3장에서는 축제에 내재된 상반된 지향, 즉 ‘기존 질서의 긍정적인 고양’이라는 지향과 ‘규범 파괴적인 과잉’이라는 지향이 서로 갈등하는 양상을 준섭과 용순을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았다. 준섭이 축제의 의례적 측면을 대표한다면, 용순은 축제의 카오스적 측면을 대표한다. 이 작품에서는 어느 하나가 우월한 힘을 갖지는 않는다. 두 가지 지향은 서로 대립 갈등하며 시기에 따라 그 힘의 균형이 변모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것은 『축제』가 궁극적으로 상례라는 축제를 유희성과 진지성, 자유와 질서가 넘나드는 ‘경계현상’으로 다루었다는 것을 증명한다. 경계현상으로서의 축제는 인간을 새롭게 탄생시키는 힘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측면은 용순에게서 발견된다. 용순은 장례에 참석하기 전에는 이 집안에 나타나지도 못하는 처지였지만, 노인의 상가에 나타나 이전과는 달리 자유분방한 모습을 보여준다. 사실상의 장례가 끝난 이후에는 다시 한번 변모한다. 용순은 영정에 올려진 준섭의 동화책을 보며 맹렬한 분노를 표한 것과 달리, 그 동화책을 읽고 아이들에게 그 내용을 들려주기까지 하는 것이다. 이제 용순은 이 집안의 불화를 해소할 수 있는 힘을 지닌 존재로 새롭게 탄생했다고 볼 수 있다. 용순이 중앙에 자리 잡은 가족 사진이야말로 변모된 용순의 위상을 증명하는 분명한 상징인 것이다. 이상의 논의에서 알 수 있듯이, 이청준의 『축제』는 축제를 다룬 작품이 극히 드문 한국문학사에서 축제가 지닌 다양한 성격을 깊이 있게 성찰한 명작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축제체험과 브랜드자산 간의 영향연구

        이미혜 한국기업경영학회 2012 기업경영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between festival experience and brand equity about ‘2011 Boryeong Mud Festival.’This study analyze that which experience factors were need to improve as well as managed. For this study purpose collection, classification, purification and validification of items for construction concept for festival experience and brand equity are performed. Experience and brand equity are regarded as a very important concept on festival practice as well as in academic research because sport event marketers can gain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successful brands.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 and brand equity on festival has been a recent phenomenon in the festivals research area. Most available empirical research in sport events has been borrowed its methods extensively from other fields. The research analyzed following detailed matter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ly, it investigated the factors of festival experience and brand equity with conceptualizing. Secondly, it analyzed how the festival experience has an effect on the brand equity and among brand equity factors. Using a sample of 295, respondents are required to festival experience and brand equity. Spss 18.0and Amos 18.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 think, act, relate of festival experience effected significant on brand equity. secondly, the sense and feel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brand equity. thirdly, positively effected among factors of brand equity. The some of festival experience show positive effects of the brand equity, such as brand awareness, brand image, perceived quality and brand loyalty. Boryeong Mud Festival pointed out in common that continuos maintenance would be necessary for items, such as pleasantness, uniqueness. Festival experience is major determinant to on attitude of festival participation and to raise the brand equity.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take efforts to continuous managements and improvements on festival experience. Boryeong government should raise their brand equity of festival through Boryeong Mud Festival and should also strengthen the brand equity of festival because the brand equity were positively related to further expansion of festival experience development. And variable programs which participants would experience some special and discriminative activites of festival, were to be developed to fulfill participants’ satisfaction. This study concluded with implications for the festival experience and brand equity a brief outlook for future study. 지역 간 경쟁우위를 도모하기 위하여 축제체험을 전략 수단으로 하여 축제의 브랜드가치를 높여야 한다. 이로서 축제체험과 브랜드자산에 대한 연구가 시기적으로 필요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들 간의 영향관계를 연구하고 연구 후 결과를 토대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축제체험과 브랜드자산 간의 영향에 대한 연구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체험과 브랜드자산에 대한 이론적 연구에서 개념적 접근을 수행하여 이론적 근간 마련과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축제체험중 인지, 감각, 행동, 관계적 체험은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이미지, 지각된 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축제체험이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이미지, 지각된 품질의 브랜드자산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영향요소임을 규명하였다. 셋째, 브랜드자산 구성요인 간의 영향관계에서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이미지, 지각된 품질은 브랜드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이미지, 지각된 품질과 브랜드충성도 간의 영향관계는 현재 참가수요에 이어 향후 잠재수요의 참가에 대한 결과인데 이들 간에는 영향을 미치므로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려면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이미지, 지각된 품질 제고에 대한 다양한 전략이 강구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체험과 브랜드자산을 축제에 적용함으로써 두 변수간의 영향관계만을 실증연구 함에 한계를 지녔다. 이는 축제를 대상으로 한 초기연구였으므로 앞으로 보다 깊이 있고 다양한 차원의 연구로서 다소 미흡하였으므로, 앞으로는 본 연구를 토대로 보다 발전적인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지역축제 활성화를 위한 축제프로그램 개발전략 연구

        이완복(Lee, Wan-Bok),박진식(Park, Jin-Sik) 인문콘텐츠학회 2013 인문콘텐츠 Vol.0 No.28

        지역축제 프로그램의 내용은 성공 프로그램의 단순한 모방이 아닌 그 지역의 문화와 지역주민들의 열망을 반영하여 그 지역만이 갖는 독창적인 향토색을 지녀야하며, 주제는 간결하고 기억하기 쉽고 인상적이어야 축제방문객으로 하여금 오래 기억되게 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소문낼 가능성이 높아진다.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영국 에든버러의 군악대축제, 오스트리아 찰스부르크의 음악축제, 독일 뮌헨의 맥주축제로 불리는 10월 축제 등이 주제설정의 대표적인 사례이며, 국내적으로는 이천도자기축제, 진해군항제, 금산인삼제, 진도영등제 등이 지역성을 잘 반영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우수한 축제가 만들어지기까지는 지역주민의 참여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대다수 지역축제들이 수직적 관계로서의 일방적인 문화행사만을 개최함으로써 지역주민들에게 외면당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기존의 독산성문화제 프로그램에 대한 문제점 및 만족도를 파악하고 오산시민이 선호하는 축제프로그램의 유형 및 내용을 분석하여 독산성문화제 축제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장기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한다. The contents of the festival programs should go further from simple copying of success cases, reflect the local culture and desires of the residents, and thus show the unique local features. The theme should be easy to remember and impressive enough for visitors to retain the memories as long as possible and promote the festival to their acquaintances. There are many examples of successful theme setting home and abroad as for the international festivals, the Edinburgh Military Tattoo of Great Britain, the Salzburg Music Festival of Austria and the Munich Oktoberfest of Germany are famous. The home cases with vivid representations of locality include the Icheon Ceramics Festival, Jinhae Gunhang Festival, Gumsan Ginseng Festival and Jindo Yeongdeung Festival. In those cases, the residents’ participation is critical to the processes of the festival. But in most of the local festivals of Korea, the residents are ignoring the processes as the local government holds the festival one-sided from above to down. In order to make local residents participate in the festival programs, the survey has been conducted to the residents for identify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Doksanseong cultural festival programs.

      • KCI등재

        국제춤페스티벌 참가자들의 참여동기가 축제 이미지, 만족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2015년 천안흥타령춤축제를 중심으로-

        이성희 ( Sung Hee Lee ),조남규 ( Nam Gyu Cho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5 한국무용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천안흥타령춤축제의 국제민속춤대회에 참가한 전 세계 354명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참여동기가 축제 이미지, 만족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축제의 성공여부와 지역 및 국가브랜드 이미지구축 방법제시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춤페스티벌 참가자들의 참여동기는 축제 이미지, 만족도,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국제춤페스티벌 참가자들의 축제 이미지는 만족도,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국제춤페스티벌 참가자들의 만족도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International dance festival participants` participation motivation on festival image, satisfaction level, behavioral intention. To achieve this purpose subjects were selected by participants in Cheonan World Dance Festival from 16 countries. Total 370 surveys were distributed and 354 samples were finally used after eliminating 16 incomplete samples using quota sampling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Windows for SPSS 18.0. The following we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International dance festival participants` participation motivation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festival image, satisfaction level, behavioral intention. Second, International dance festival participants` festival image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satisfaction level, behavioral intention. Third, International dance festival participants` satisfaction level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 KCI등재

        축제와 지역정체성의 재구성

        고원규(Ko Weon-Gyu) 실천민속학회 2011 실천민속학연구 Vol.17 No.-

        지역 축제는 최근에도 축제의 진위와 기능에 대한 논의가 활발한 영역이다. 이 글은 축제의 원형론에 관한 논의 보다는 축제가 역사 속에서 변화과정을 겪으면서 어떻게 새로이 전통을 재구성해 가는지에 주목한다. 이 글은 특히 개천예술제로 등장해 오랜 기간 동안 예술인들의 명성을 얻는 신인등용문으로서 역할이 쇠락하게 되고, 1990년 전후 유등축제라는 새로운 ‘관광축제’로 이행하는 과정을 면밀히 살펴보았다 새로이 등장한 관광을 목적으로 하는 유등축제는 지역의 전통을 강조하지만 보다 관광객의 요구에 따른 시선이 작용함으로서의 상품화 과정을 겪고 있다. 이러한 축제의 관광상품화는 종래의 ‘예술축제’로서의 기능과 역할과는 다른 축제의 가치와 의미를 추구한 바이다. 유등 축제는 관광객의 시선에 반응한 지역사회의 관광발전 전략과 정부의 축제 정책에 부응하여 전통적 이미지의 상품화 과정을 통해 재구성한 ‘관광축제’라고 할 수 있다. 전략적인 측면에서는 유등축제는 정부의 주도적인 축제 정책에 따른 상품화과정을 통해 새로운 지역이미지를 얻는데 일단은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급격한 상품화 과정을 겪고 있는 유등축제는 시각적인 소비를 위한 볼거리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는 우려와 함께 궁극적으로는 지역전통이 이미지화되고, 구경거리가 됨으로서 정체성의 논쟁에 불을 지필 수도 있다. 향후 유등축제는 지역성을 획득하고 그 의미를 정착시켜 나가는 과정에서 지역사회구성원들 사이에 갈등을 겪을 여지가 충분히 있다고 본다. Up until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debates about the authenticity and functionality of regional festivals. Rather than attempting to concentrate on the original theories of festivals, this paper places its emphasis on the changes that festivals have gone through over their history to reconstruct various traditions. It will especially focus on 'Gaecheon Yesul Je', and the processes in which the festival emerges as a prestigious art festival that acts as the gateway for new artists, loses its influence over the years, and transforms itself during the 90s into today's oil lantern festival, which has become a new tourist attraction. The newly emerged 'Yu-deung lantern festival', which was created for tourism purposes, emphasizes the local traditions. However, as the demands of the tourists began to have influence on the running of the festival, the festival is now going through a phase of commercialization. Such commercialization of the festival indicates that the festival is pursuing a different set of values and meanings from the one that the previous art festival used to pursue. The 'Yu-Deung lantern festival' is a festival for tourists that has been reconstructed by going through a commercialization process of traditions in accordance with the local community's reaction to the demands of tourists, as well as the government's festival promotion policy. From a strategic point of view, it can be said that the oil lantern festival was successful in establishing a new local image by product commercialization, following the government's festival promotion policy. However, the rapid commercialization process that the festival underwent has raised concerns that the festival may be reduced to a mere spectacle for visual consumption. This, ultimately, will cause the regional traditions to become part of the image, which is likely to spark a debate over the identity of those traditions. It is very likely that the members of the regional community will face several conflicts in near future, during the phase in which the oil lantern festival attempts to develop and install unique regional characteristics for itself.

      • KCI등재

        축제의 금기 도입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배만규 ( Man Gyou Bae ) (사)한국마이스관광학회(구 한국컨벤션학회) 2016 MICE관광연구 Vol.16 No.1

        Festival is a wide and ordinary effect. People need to festival. But festival visitors do not understand real meaning and value of festival. They remember only visiting fact and festival name. If festival was to differ from other festival then festival needs to set meaningful taboo and to be broken from festival visitor. This study was tried to find make a meaning festival to festival visitors. And then I focused to taboo in festival. Taboo is a cultural mechanism and fear of divine nature and space. Until now taboo and taboo-oriented mind was obeyed to people. People are cautious and willing to do prudence in divine time and space like festival with taboo. So I kept an eye on taboo lane, taboo word, folk-belief, and so on. And I proposed to taboo flow procedure. Namely, deviation desire of daily life → participate festival and taboo situation → conflict feeling → taboo breaking and violation → tension expiration → diversion and satisfaction → daily reversion. Then,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introduce taboo in festival for understanding festival participation meaning to festival visitors. And I hoped to next deeper research study with taboo program in festival.

      • KCI등재후보

        축제평가요소와 지역이미지, 장소마케팅, 만족간의 관계 연구 - 창원시 다문화축제(MAMF)를 중심으로 -

        선종갑 ( Sun Jong-gab ),이주현 ( Lee Ju-hyun ),고호석 ( Ko Ho-seok ) 한국호텔리조트학회(구 한국호텔리조트카지노산학학회) 2016 호텔리조트연구 Vol.15 No.4

        Current society is rapidly changing into the various cultural society and this study is about 10th MAMF which is one of representative multiple culture festival. Based on festival evaluation factors, local image, place marketing, and visitors` sat-isfaction, the study identified strategies regarding how MAMF could be one of representative festival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festival visitors from October 2nd to 4th 2015. Among 300 questionnaires, 251 sampl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questionnaires were consist of festival evaluation factors with 17 items, local image with 5 items, place marketing with 9 items, and festival satisfaction with 4 item. All items were measured by 5 point Likert scale and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EFA, reliability, correlation analysis, and SEM. The results showed that four festival evaluation factors including festival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formation, souvenir and food, and facility are positively related to festival satisfaction level. Also, there i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lace marketing and satisfaction. However, local ima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satisfact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festival satisfaction, local image, and successful place marketing, various strategies have to b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