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 참여적 메시지가 강조된 비평적 디자인의 표현 유형과 확장적 속성 연구

        이상훈 ( Lee Sang H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6

        비평적 디자인이라는 개념은 1999년, 영국의 디자이너 `앤서니 던`의 저서 「헤르츠 이야기; 탈물질 시대의 비평적 디자인」에서 처음으로 언급되었으며 산업디자인이라는 기존의 직능이 더 이상 과거와 똑같은 방식으로 존재할 수 없다는 자각으로부터 도래하였다. 비평적 디자인은 1970년대 이탈리아의 급진적 디자인 운동과 1990년대 개념적 디자인의 계보를 잇는 것이며, 오늘날에는 우리 사회의 변화를 위한 비평가의 역할로서 진화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대적 소명의식과 책임감에 기저하고 있는 비평적 디자인의 가치와 의의를 살펴봄으로써 그동안 지나치게 한 방향으로만 치우쳐있던 디자인계의 현실을 다시 되짚어 보고, 디자인이 대중들에게 어떠한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지 모색하는 것에 있다. 다양한 비평적 디자인 프로젝트들을 디자인의 내부적 경계 사이를 넘나드는 표현 유형, 디자인과 타 장르 간의 융합에 의한 표현 유형, 디자인의 범주에서 탈피한 일상적 표현 형식 차용의 유형 등으로 분류 및 분석하는 방법을 취하여 비평적 디자인에는 확장적 속성이 강하게 내재되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비평적 디자인은 시각적, 미학적 설계를 넘어 디자인적 사고방식을 재구성 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태도이며 방법론이 아닌 입장이다. 궁극적으로 본고에서 고찰된 비평적 디자인의 세 가지 특징은 탈물성화에 따른 탈보편화의 성향, 경계에 서 있는 다원 예술적 성향, 사회 참여적 메시지를 강조하기 위한 일상화의 성향이다. 현대 디자인에 전환적 담론을 제시하고 있는 비평적 디자인은 사회적 혁신의 본보기로서 주목받을 만한 역량을 지니고 있으며 디자인의 고유 경계를 벗어나 새로운 영역들을 적극적으로 개척하고 있다. 향후, 비평적 디자인이 당대의 디자인의 장을 어떻게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는가에 관한 객관적인 검증 연구가 보완된다면 보다 다양한 맥락에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term, critical design, was first introduced by `Anthony Dunne` in his 「Hertzian Tales: Electronic Product, Aesthetic Experience, and Critical Design」, published in 1999. It reflected the difficulty of maintaining the traditional perspective on the function of industrial design. Critical design was influenced by the radical design movement in the 1970`s Italy and the conceptual design of the 90`s. It is not unprecedented that today`s industrial designers assume the role of critic for social chang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critical design which vigorously incorporates socially conscious and responsibility. In doing so, one can re-evaluate the imbalance in the industrial design, and find how design delivers social message with the public. Various critical design projects are examined in the following categories; the expression type of design that traverses internal boundaries, design that converses with different genres, and the type of borrowing a daily expression form out of design area. It demonstrates that there are expansive attributes internalized within the critical design. Critical design is a perspective, and attitude, not methodology, of re-structuring ones`s way of contemplating design beyond visual and aesthetic planning. Ultimately,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critical design mirror the growing perspective of de-generalization through de-materialization, borderline pluralistic in art and design, and newly found emphasis on commonality by adapting participative and socially aware messages. Critical design is proposing convertible discourse for the concept of contemporary design. It deserves to be recognized as an example of social innovation capable of exploring new territories beyond the inherent boundaries of design. If more researches follow and produce results which objectively verify and support critical design having positive impact on the field of industrial design, then one can expect flux of diverse and varied designs within the contexts of critical design.

      • KCI등재

        화성과 디자인의 불일치로 살펴본 딸림화음의 연장방법

        이내선 ( Lee Naesun )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19 음악이론연구 Vol.33 No.-

        본 논문은 디자인과 화성진행의 상관관계를 통해 딸림화음의 연장방법을 살펴본 연구이다. 조성음악이 기능화성에 근거한 어법이라는 사실을 상기할 때에 ‘디자인의 변화와 화성진행의 변화가 일치하느냐 혹은 불일치하느냐’에 따라 음악적 내용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불일치”의 경우에는 디자인의 관점과 화성의 관점 중에 어떤 기준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갖는다. 물론 화성이 기능을 분명하게 구별해야하면서도 서로 다른 디자인을 출현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중개화음과 딸림화음이 디자인을 공유하는 경우에는 화음의 기능을 더 이상 물을 필요가 없는 시간이다. 음형이 축소되는 것은 딸림화음에 도달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화성적 목표점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시간의 압축이 일어나는 것은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압축의 정점에 반드시 딸림화음이 출현하는 것은 아니다. 화성적 기능을 하는 딸림화음이 중개화음 위에서 전개되고 있는 디자인이 마무리되기 전에 미리 출현하기도 한다. 또한 중개화음의 영역에서도 딸림화음의 연장방법과 유사하게 디자인의 압축을 통해 연장되면서 딸림화음에 도달한다. 본 연구의 분석에서는 주로 베토벤의 피아노소나타를 대상으로 삼았다. 그럼에도 논의된 내용들은 모티브 작업에 기초한 조성음악의 악곡들에 전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dominant harmony extension method through correlation between design and harmonic progression. The language of tonal music is based on harmonic function, and musical content can vary whether alterations in design corresponds to changes in harmonic progression or not. Especially in the case of "discordance" there are various possibilities of interpretation depending on which criteria are chosen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or harmonic progression. Of course, while clearly distinguishing the functions of harmonic progressions, it may not present different designs. For example, when intermediate harmony and dominant harmony share design, we do not need any more to ask for function of harmony. Diminution in figuration is an effective way to arrive dominant harmony. Because it is natural for time compression to occur in the process of reaching the harmonic goal. However, dominant harmony does not necessarily emerge at the pinnacle of this compression. The functional dominant harmony may appear in advance before the completion of a design that is being developed on the intermediate harmony. As well, in the area of intermediate harmony’s design, the dominant harmony is reached as it is extended through the compression of the design. The analyses of this study mainly deals with Beethoven's piano sonatas. Nevertheless, it is concluded that the contents discussed can be applied in general to the tonal music compositions based on the motif work. 투고일자

      • KCI등재

        XML을 이용한 객체지향 메타 모델링 기반 설계 프레임워크

        주민식(Min Sik Chu),최동훈(Dong Hoon Choi) 한국항공우주학회 2005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3 No.4

        항공 설계분야에 있어서 최적설계는 방법론적인 요소와 방법론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인 설계프레임워크가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설계프레임워크는 효율적인 시스템으로 인식되어 많은 산업체 문제를 해결하여 왔지만 실제 산업체문제의 복잡성은 단일 최적화수준에서 다분야에 걸친 복잡한 비정형화된 최적설계 문제의 해결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설계문제인 다분야통합최적설계문제를 위해서 유연성이 높은 새로운 설계문제 모델링 기반의 설계 프레임워크를 제안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설계문제 모델링 방법은 기존의 설계프레임워크들이 절차적으로 생성하는 스크립트 기반의 모델링 기법이 아닌 설계문제 도메인의 형태에 맞추어 최적화 문제를 정의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시스템의 구조는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가 아닌 P2P 구조의 시스템으로 개발되었으며 헬기 설계문제와 인공심장 문제를 적용하여 개발된 시스템의 유연성과 효율성을 보였다. Computer applications for engineering design evolve rapidly. Many design frameworks were developed by the simulation based systems so that organizations could achieve significant benefits due to cost reduction in designing. However, today's transient design issue requires being adaptable to more complicated and atypical problems. In this paper the Multidisciplinary Language Runtime (MLR) design framework is developed. The MLR provides flexible and extensible interface between analysis modules and numerical analysis codes. It also supports Meta Modeling, Meta Variable, and XML script for atypical design formulation. By applying object-oriented design scheme to implement abstractions of the key components required for iterative systems analyses, the MLR provides flexible and extensible problem-solving environment.

      • XML과 온톨로지를 이용한 공학 설계 데이터의 상호운용성 증진에 관한 연구

        정태형,박승현 한국공작기계학회 2004 한국공작기계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4 No.-

        As the complexity of engineering design environment has increased, it is difficult to exchange design data among design support system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XML-based Generalized Mechanical Data Exchange Formats (GMDEF) independent of specific mechanical element and improve the interoperability of them using ontology, in order to integrate diverse design data and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design support systems. GMDEF consists of PartDoc and AssemblyDoc. PartDoc represents the information of a single part. AssemblyDoc represents the relation of parts constituting an assembly. GMDEF is validated by GMDEF Schema. GMDEF Schema consists of separated XML Schemas and has flexible architecture to facilitate extension. We apply ontology to GMDEF Schema to share and reuse vocabularies of specific mechanical elements.

      • KCI등재

        브랜드 확장이 식품 패키지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강승현,박규원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9 No.3

        오늘날 현대 소비사회에서는 신제품을 시장에 출시할 때 이미 시장에서 강력한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는 브랜드를 이용한다. 소비자들이 유사한 이름이라는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브랜드 이미지를 변형하여 사용하는 브랜드 관리 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제품 및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를 기억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가 패키지 디자인이다. 그리고 브랜드 확장은 지난 10년간 기업 다각화에 따른 성장전략의 핵심적 내용이 되어왔다. 본 연구는 브랜드 확장이 패키지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조사, 실증적 분석을 통해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브랜드 확장의 기본 개념과 패키지 디자인과의 연계성을 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제품사례를 통해 식품 확장 패키지 디자인 현황을 조사, 분석, 특징을 파악하였다. 소비자에게는 일관성을 유지한 브랜드 확장 패키지 디자인이 모 브랜드의 높은 브랜드 가치를 연상시켜, 제품 구매를 효율적으로 돕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브랜드 확장이 이루어진 브랜드들이 일관성이 존재할 때, 품질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나 확장된 브랜드의 가치가 느낌으로 전이되어 시장 경쟁력이 강화 될 수 있다. 또한, 개발 비용의 절감으로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만약 이러한 일관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소비자들은 확장된 브랜드들에 대하여 긍정적 인식이 어려울 수 있다. 식품 시장은 소비자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시장이기때문에, 향후 브랜드 확장이 이루어질 때 효과적인 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가 브랜드 확장 디자인 개발에 활용되어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나아가 패키지 디자인 발전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Today when launching a new product, people use the brand which already builds a strong image on the market in the modern consumer society. They are employing the brand management strategies using the brand image of modifications within easy range of recognizing customers a similar name. Package design is an important factor that makes products or brand images remember. And the brand expansion has become a key of strategies for growth according to diversifying the enterprise in the past 10 years. The aim of this study is a search for the impact of the brand expansion on the package design. For this study, I studied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documentary survey and empirical analysis of this topic. Specifically, first, the linkages between the basic concepts of brand extension and the package design were theoretically analyzed. Second, I identified the feature of food expansion package design conditions through the product cases. The brand expansion package design which maintains co nsistency reminds consumers the value of certain brand, and it may effectively help to purchase the products. When the brands happened the brand expansion have coherence, competitiveness can be enhanced in the market as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 quality or value of the extended brands have spread of feeling. In addition, it will also be an economic benefit as saving in development costs. If this consistency does not present, consumers can have a difficulty in doing positive awareness about extended brands. The food market is essential for consumers. So when the next brand expansion is fulfilled, an in-depth research of the effective package design will be required. I think that this study will increase the value of the brand to be used the development of the brand expansion design, and I hope that it help to improve package designs.

      • KCI등재후보

        부동산 공공건물의 공기연장 타당성 분석

        윤준선(Yoon, Jun Seon) 한국부동산학회 2011 不動産學報 Vol.47 No.-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In the current real precedent for the construction of turnkey construction for extension of validity of expert interviews, literature search, through the lawyer’s comments were analyzed. (2)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search, expert interviews, case studies, a lawyer comments. (3) RESEARCH RESULTS Country. Abroad case studies and literature surveys, expert interviews, expert opinions of lawyers throughout the analysis of these two cases due to design changes during construction is considered as an extension application. 2.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for the turnkey construction of the extension of time to avoid claims is to analyze the feasibility of an extension. A prime example of a turnkey project. through the analysis due to design changes by mutual agreement of Employer and the Contractor of the project can be extend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the project design changes or field conditions during the phase, due to the underground structure may be the reason for the extended period. Currently in the construction period to extend the growing trend for many claims and extend the contract period to period depending on the type responsible for the different materials. In this study, real cases, such as for example, analyzed the feasibility of renewal, to analyze the opinions of lawyers, expert legal analysis was carried out. In addition, through interviews of experts on the challenges that extended from beneath the comment period extension will be deemed valid.

      • 확장계획을 통해 본 발코니 공간 특성 분석

        배선영,강인호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6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 No.1

        It should be starting point to define the func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in housing design. Balcony, however, gas not been figured out in terms of it`s function and spatial property.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essential function of balcony by analysing it`s extension desig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rea of balcony has increased constantly. 2) Unit plan was influenced by balcony extension design. 3) Remained balcony after balcony extension was for the utility and the privacy.

      • KCI등재

        HCI 기술과 융합한 디지털 쥬얼리의 감성디자인 콘텐츠 연구

        백한승(Han Bec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2

        디지털 인터랙션 기술은 정보과학기술과 뉴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현대사회의 산업과 디자인의 전 영역에 적용되고 있으며, 디지털 장치의 형태가 점차 소형화되고 개인화(Personalization)되면서 다양한 스마트의류와 IT컨버젼스 제품 역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을 비롯한 현사회의 인터랙션 개념은 본래 인간이 주체로서 인간과 사회, 혹은 인간내면과의 소통을 구현하기 위함이 아닌, 디지털 기술의 현시적 기능만 존재하고 주체가 망각되어 소통의 부재와 인간소외의 부작용을 초래하는 현실을 가져왔다. 이에 본 연구는 인간이 감각의 확장을 위해 고안해낸 도구인 디지털 인터랙션 기술에 감성 디자인의 콘텐츠를 적용하여 관계 속 소통과 노마드적 경험의 확장을 구현하는 프로토타입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국내외 논문과 출판물의 문헌, 인터넷, 국내외 정보 D/B 및 네크워크 검색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중심으로 연구의 이론적 배경, 기술의 현주소와 활용범위, 구체적 사례와 프로토타입의 연구, 분석이 이루어졌다. 본문에서는 우선, 인간의 신체감각의 확장에서기인한 인터랙션 개념을 정의하고 디지털 노마드(Digital Nomad)적 환경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과학기술이 구현해낸 감각의 확장이 소통의 매개체가된 사례를 예술과 디자인분야에서 살펴보고, 인터랙션디자인에 있어 감성 콘텐츠의 중요성을 고찰하였다. 특히, 탠저블 유저 인터페이스(Tangible User Interface)를 활용한 다기능적(Multi-layered) 착용 컴퓨터기술을 사용하며 인체의 감각과 기억, 경험의 감성 콘텐츠를 활용한 쥬얼리의 사례를 집중 분석하여, 의복이 아닌독립된 착용인공물(Wearable Artefact)로서 집약적 기술과 감성적 소통의 기능을 동시에 갖춘 디지털 쥬얼리의 가능성을 재조명하였다. 결론에 이르러, 신체의 다양한 감각의 접촉을 통해 감성의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를 구현하는 최적의 인터페이스인 디지털 쥬얼리의 필수요소로서 첫째, 감성디자인을 반영하는 콘텐츠, 둘째, 착용자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역동적 인터랙션의 구현, 셋째, 아날로그적 Soothing 디자인의 필요성, 그리고 마지막으로, 디지털 기술이 반영된 상호소통의 전 과정이 사용자로 하여금 경험에 기인한 사회적 현상(Social Context)으로 인지되도록 구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science technology and new media, digital interaction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all spheres of contemporary industry and design. As digital devices have gradually been made smaller and more convenient for personal use, a wide variety of smart clothes and IT convergence products are being aggressively researched. However, the concept of society`s interaction with this technology, including HCI (Human Computer Interaction), has caused side effects such as an absence of communication and human alienation rather than embody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human subject and society due to the existence of digital technology`s display functions and obliviousness of the subject. This study thus intends to present a prototype of communication in relations and as an extension of nomadic experience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content of emotional design to digital interaction technology, a tool for extending the realm of human senses. The study researches and analyzes its theoretical background, the present state of technology and the scope of its use, as well as concrete cases and prototypes. The study defines the concept of interaction derived from the expansion of human senses, examining changes in the digital nomad environment in its main pages. It also explores cases in which the expansion of the senses embodied through science and technology has been a medium for communication in the fields of art and design, considering the significance of emotional content in interaction design. This study also sheds light on the possibility of digital jewelry with a function for emotional communication, technology-intensively created as independent wearable artifacts, not as clothes. For this, this paper intensively analyzes cases of jewelry making use of human senses, memories, experiences, and emotional content with multi-functional wearable computer technology especially based on tangible user interface. In it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indispensible elements of digital jewelry as optimal interface embodying emotional human computer interaction through diverse sensuous contact including the following: content reflecting emotional design; realization of dynamic interaction reflecting a wearer`s lifestyle; necessity of analog soothing design; and composition in which a user perceives the whole process of mutual communication reflecting digital technology as a social context anchored to experience.

      • KCI등재

        브랜드 확장시 소비자 선호도에 따른 브랜드마크가 소비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연구 - 패션 브랜드 뱅뱅을 중심으로 -

        장성재,박상희,요동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09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0 No.20

        기업 간 의 경쟁이 심화되는 오늘날의 시장경제는 보다 효율적인 브랜드 차별화 전략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다가서고 있다. 그 여러 방안 중 하나로 기업은 새로운 제품 개발 시 우려되는 위험과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브랜드 관리 전략 중 하나인 브랜드 확장 전략을 중요시 여기고 있다. 최근 경제 한파로 인한 패션업계의 매출감소는, 기업 간 의 치열한 경쟁으로 이어지고 있고, 그로 인한 후발기업 및, 시장경쟁에서 퇴보한 기업들의 입지는 더욱 더 좁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높은 인지도에도 불구, 시장경쟁에서 퇴보한 패션브랜드가 시장 내 상위권 재진입을 위하여 브랜드 확장 전략을 사용할 시, 소비자들이 받아들이는 태도에 대하여 알아본 바,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브랜드마크의 디자인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소비자들은 기존 브랜드의 이미지가 투영되는 브랜드마크의 과감한 교체를 바라는 성향이 높았고, 새로이 디자인 된 브랜드마크를 대할 시 같은 기업의 확장 브랜드를 대하는 태도 또한 긍정적으로 변하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확장브랜드의 유사성의 차이에 따라 소비자들의 기대치는 다르게 나타났고, 특히 매우 비유사 확장을 했을 시에는 향후 다양한 변인들을 사용하여 보다 광범위한 영역에서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시장경쟁에서 후퇴한 기업이 브랜드확장 전략을 통한 시장 내 상위권 재진입을 시도할시 브랜드마크 전략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In the age of deepening competitions between companies, companies use various strategies to gather their customers into the market. Brand differentiation is one of the strategies. To reduce the dangers that might arise in developing new products and to cut the costs, companies take seriously on brand-extension strategy. The diminution of market sales caused by depressed economic situations of today leads fashion markets into keen competition. Due to keen competitions, late manufactures and fallen companies are getting more difficult to stand in the market. Thus, this research tries to find out whether fallen companies need to use new brandmark designs to increase their customers' preference. We could find out that customers' strong request of the changing brand designs was due to images of the company. Customers see the images of a company through the brand. A fallen companies need to have a new brand when launching a new, similar or near-similar products. However, when a far similar products are launched, current brand might work as good. We could find hat propensity to consume changes when customers face the new design of the brand on the similar products. And the differences as to the similarities of extension, customers showed different expectations on each extensions. Especially we need more studies and researches from various factors, when company use far distance brand- extension strategy. This research suggests the necessity of re-designing the brandmark of it's new product, when a fallen company uses brand-extension strategy to stand again in the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