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연안 퇴적물에서 ^137Cs, ^90Sr 및 Pu 동위원소의 분포

        최석원,진현국,김철수,노정환,김창규,노병환 대한방사선 방어학회 2002 방사선방어학회지 Vol.27 No.2

        한국 주변 연안 15개 정점의 퇴적물(0∼20 cm)에서 ^137Cs, ^90Sr, ^239+240Pu 의 농도와 농도비를 조사했다. ^137Cs, ^90Sr, ^238Pu 및^239+240Pu의 평균 방사능 농도는 각각 2.24±0.79 Bq·kg^-1-dry, 0.20±0.04 Bq·kg^-1-dry, 0.009±0.005 Bq·kg^-1-dry 및 0.27±0.17 Bq·kg^-1-dry이다. ^137Cs/^90Sr, ^239+240Pu/^137Cs 및 ^238Pu/229+240Pu의 평균 농도 비와 ^239Pu/240의 평균 원자 비는 각각 11.2±2.9, 0.123±0.053, 0.033±0.01 및 0.218±0.036이다. 퇴적물에서 핵종의 농도 범위와 핵종간의 농도 비는 그 동안 주변국가의 퇴적물에서 조사한 값과 비슷하였다. 퇴적물에서 ^137Cs과 ^239+240Pu의 상관계수는 0.80이다. ^137Cs과 SOM, ^239+240Pu과 점토 함량과의 상관계수는 각각 0.69, 0.67 이다. The concentrations and activity ratios of ^137Cs, ^90Sr, ^238Pu and ^239+240Pu in sediment(0∼20 cm) at 15 coastal stations of Korea were determined. The mean concentrations of ^137Cs, ^90Sr, ^238Pu and ^239+240Pu are 2.24±0.79 Bq·kg^-1-dry, 0.20±0.04 Bq·kg^-1-dry, 0.009±0.005 Bq·kg^-1-dry and 0.27±0.17 Bq·kg^-1-dry, respectively. The mean activity ratios of ^137Cs/^90Sr, ^239+240Pu/^137Cs and ^238Pu/^229+240Pu and atomic ratio of ^240Pu/^239Pu are 11.2±2.9, 0.123±0.053 and 0.033±0.017 and 0.218±0.036,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and activity ratios in sediment samples are similar to those reported from neighbouring country in the northern hemispher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137Cs and ^239+240Pu is 0.80.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137Cs and soil organic matter(SOM), and ^239+240Pu and clay content are 0.69 and 0.67, respectively.

      • 제주도 토양의 감귤나무(Citrus unshiu Marc.)에서 ^137Cs의 전이

        강태우,박원표,송성준,유장걸 제주대학교 방사능이용연구소 2001 연구보고 Vol.15 No.-

        본 연구는 제주도 토양 감귤나무에서 ^137Cs의 전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유기물 함량이 서로 다른 제주도내 6개 지역의 감귤원에서 채취한 감귤과 토양시료를 감마분광계로 ^137Cs 농도를 측정하였고, 또한 토양화학 특성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토양 중 ^137Cs 농도는 10.2∼40.0 Bq/kg dry 범위로, 유기물 함량이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식물체 중 ^137Cs 농도는 가식부위의 경우는 검출하한치 이하 ∼91.8 mBq/kg·fresh, 잎은 검출하한치 이하 ∼235 mBq/kg·fresh의 범위로 가식부위, 껍질 그리고 잎 순으로 높았다. 토양에서 식물체로의 ^137Cs 전이계수는 잎, 껍질 그리고 가식부위에서 각각 2.15×10^-3∼1.25×10^-2, 7.28×10^-4∼8.13×10^-3 그리고 3.79×10^-4∼3.08×10^-3 범위로 가식부위, 껍질 그리고 잎 순으로 높았다. 토양 pH에 따른 ^137Cs의 전이계수는 서로 상관성이 없었으나, 치환성 K와 토양 유기물 함량이 높을수록 전이계수는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우리 나라 국민 1인당 20 kg의 감귤을 섭취한다고 가정했을 때 이상의 결과로부터 산출된 흡수선량인 0.0048 μSv은 연간 예탁유효 선량 당량 값인 2.48 mSv에 비하여 거의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생각된다. To investigate transfer of ^137Cs in the mandarin trees of Jeju Island, the fruits and leaves as well as the soil samples around each tree were collected from 6 mandarin orchards with different organic matter content. ^137Cs concentration was measured by HPGe γ-ray spectrometr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er values and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was investigated. ^137Cs concentration in soil was in the range of 10.2~40.0 Bq/kg·dry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organic matter content. ^137Cs concentrations in each part of plant were in the range of MDA(minimum detectable activity)~46.8 mBq/kg·fresh(fruit), MDA~91.8 mBq/kg·fresh(peel) and MDA~235 mBq/kg·fresh(leaf),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of ^137Cs in trees was showed as the following order; fruit<peel<leaf. Transfer factors of ^137Cs from soil to tree were in the range of 2.68×10^-3~1.02×10^-2, 9.07×10^-4~4.03×10^-3 and 4.73×10^-4 ~ 2.04×10^-3 for leaf, peel and fruit, respectively. The transfer factors were as the following order; fruit<peel<leaf. The transfer factors of ^137Cs from soil to tree were not affected by soil pH, but decreased at the high concentration of exchangeable K and organic matter.

      • KCI등재

        Cumulative Deposition of 137Cs in the Soil of Korea

        Lee, Myung-Ho,Choi, Yong-Ho,Shin, Hyun-Sang,Kim, Sang-Bok,Lee, Chang-Woo 대한방사선 방어학회 1998 방사선방어학회지 Vol.23 No.2

        한국 토양에 존재하는 137Cs 방사능 분포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137Cs 방사능 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남한지역 17개 지점에 대하여 20㎝ 깊이로 토양을 채취한 후, 감마스펙트로메타를 이용하여 137Cs 반사능 농도를 결정하였다. 야산지역과 숲속에 대한 137Cs의 평균 농도는 각각 2,501±499 Bq㎡ 및 1,058±322 Bq㎡로, 숲속의 137Cs의 농도가 야산지역보다 약 두배정도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인위적 교란이 없는 지역에서 토양깊이 변화에 따른 137Cs 분포는 토양깊이가 증가할수록 지수함수적으로 감소경향성을 나타내었다. 137Cs 농도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인자를 조사한 결과 유기물 함량이 137Cs의 토양 침적에 중요한 작용을 함을 알 수 있었고 강수량, 점토의 함량 및 pH과 같은 인자들은 137Cs의 토양 침적과 상관관계가 거의 없슴을 발견 할 수 있었다. The cumulative deposition of 137Cs in the soil of Korea has been studied. Using γ-ray spectrometry, the concentrations of 137Cs were determined for the soil samples collected to a depth of 20㎝. The average accumulated depositions of 137Cs were estimated roughly to be 2,501±499 Bq㎡ in the forest and 1,058±322 Bq㎡ in the hill. The inventory value of 137Cs in the forest in about two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hill, except for some cases, the concentrations of 137Cs in the undisturbed soils decreased exponentially with increasing the soil depth. The influences of rainfall, organic matter content, clay content and pH on the deposition of 137Cs were studied using the field method. Among these factors, the organic matter content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retention and relative mobility of 137Cs in the soil. The other factors such as rainfall, clay content and pH showed weak correlation with the deposition of 137Cs in the soil.

      • KCI등재

        Determination of TRS-398 Quality Factors for Cs-137 Gamma Rays in Reference Dosimetry

        강상구,이동주,강영록,김정기,정동혁,Kang, Sang Koo,Rhee, Dong Joo,Kang, Yeong Rok,Kim, Jeung Kee,Jeong, Dong Hyeok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2014 의학물리 Vol.25 No.3

        Cs-137 방사선 조사기는 방사선생물 연구 분야에서 시료에 방사선 조사장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사선 조사기 사용에 있어 시료에 조사되는 흡수선량의 평가는 향상된 연구 결과를 얻기 위하여 중요하다. 국제원자력기구의 TRS-277 또는 TRS-398 같은 선량측정 프로토콜은 이러한 목적에 적합하다. 그러나 현재 가장 실용적인 선량측정 프로토콜로 알려진 TRS-398의 경우에 Cs-137 선원에 대한 선질인자가 제공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에 보고된 고에너지 방사선치료용 광자선에 대한 계산방법을 이용하여 Cs-137 선원의 선질인자를 결정하였으며 15종의 파머형 전리함에 대하여 선질인자를 결정하였다. 결과로서 대상전리함에 대한 Cs-137 선원에서 선질인자는 0.998에서 1.002 범위를 보였다. 이 결과는 Cs-137 선원을 사용하는 분야에서 물흡수선량 측정과 선량계의 교정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Cs-137 irradiator is widely used to irradiate biological samples for radiobiological research. To obtain the accurate outcomes, correct measurements of the delivered absorbed dose to a sample is important. The IAEA protocols such as TRS-277 and TRS-398 were recommended for the Cs-137 reference dosimetry. However in TRS-398 protocol, currently known as the most practical dosimetry protocol, the quality factor ($k_{Q,Q_0}$) for Cs-137 gamma rays is not suggested. Therefore, the use of TRS-398 protocol is currently unavailable for the Cs-137 dosimetry directly. The calculation method previously introduced for high energy photon beams in radiotherapy was used for deriving the Cs-137 beam qualities ($k_{Q,Q_0}$) for the 15 commercially available farmer type ionization chambers in this study. In conclusion, $k_{Q,Q_0}$ values were ranged from 0.998 to 1.002 for Cs-137 gamma ray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the reference and dosimeter calibrations for Cs-137 gamma rays in the future radiobiological researches.

      • KCI등재

        대전지역 대기부유진, 낙진 및 강수 중 ^7Be 및 ^(137)Cs 방사능 농도의 계절별 변화

        김창규,이승찬,이동명,노병환 대한방사선 방어학회 2002 방사선방어학회지 Vol.27 No.1

        1998년부터 1999년까지 대전지역 대기부유진, 강수 및 낙진 중 ^7Be and ^137Cs 방사능 농도의 계절적 변화를 검토하였다. 대기부유진, 강수 및 낙진중 ^7Be의 연평균 농도범위는 각각 3.80 mBq m^-3 ∼ 4.29 mBq m^-3, 1.25 Bq 1^-1 ∼ 1.67 Bq 1^-1, 19.7 ∼ 22.3 MBq km^-2였다. 한편, 대기 부유진, 강수 및 낙진 중 ^137Cs 연평균 농도범위는 1.08 uBq m^-3 ∼ 1.28 uBq m^-3, 0.44 mBq 1^-1 ∼ 2.66 mBq 1^-1 및 0.0036 ∼ 0.0455 MBq km^-2범위였다. 대기부유진 및 낙진 중 ^7Be and ^137Cs 농도는 낙진량이 많은 봄과 가을철에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강수 중 ^7Be and ^137Cs 농도는 타 계절에 비해 강수량이 많은 여름철에 비교적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한편, 낙진과 강수에 의한 ^7Be and ^137Cs 의 연평균 총 침적량은 ㄱ각 80.7 ∼ 137 MBq km^2 및 0.059 ∼ 0.060 MBq km^-2 범위였으며, ^7Be의 총 침적량중 약 80% 이상이 강우에 의해 침적되는 반면, ^137CS은 약 60% 정도가 낙진에 의해 침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seasonal variation of ^7Be and ^137Cs concentrations in airborne dust, precipitation and dry fallout collected at Daejeon during the period of 1998 ∼ 1999 has been studied. The annual mean values of 7Be concentrations in airborne dust, precipitation and dry fallout were in the range of 3.80 ∼ 4.29 mBq m^-3, 1.25 ∼ 1.67 Bq 1^-1, 19.7 ∼ 22.3 MBq km^-2, respectively. The annual mean values of ^137Cs concentrations in airborne dust, precipitation and dry fallout ranged 1.08 ∼ 1.28 uBq m^-3, 0.44 ∼ 2.66 mBq 1^-1 및 0.036 ∼ 0.0455 MBq km^-2, respectively. While the concentrations of ^7Be and ^137Cs in airborne dust and dry fallout were relatively higher in the spring and autumn when the amount of dry fallout increased than in other season, their concentrations in precipitation were relatively lower in the summer when the rainfall increased. The total depositions of ^7Be and ^137Cs due to dry fallout and precipitation were in the range of 80.7 ∼ 137 MBq km^2 and 0.059 ∼ 0.060 MBq km^-2, respectively. More than 80% of ^7Be deposition resulted from precipitation, whereas about 60% of ^137Cs deposition was due to dry fallout.

      • KCI등재

        원자력 사고후 쌀알과 배추내 ^90Sr 및 ^137Cs 농도 예측

        최용호,임광묵,황원태,이한수,이창우 대한방사선 방어학회 2002 방사선방어학회지 Vol.27 No.3

        원자력 사고후 시간경과에 따른 작물체내 핵종 농도를 보다 현실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수립하고 단위 건침적에 대하여 백미와 배추내 ^90Sr 및 ^137Cs의 50 년간 농도를 예측하였다. 비생육기 사고의 경우 농도는 두 핵종 모두 시간경과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고 50년 내내 ^90Sr이 ^137Cs보다 높았다. 생육기 사고의 경우 처음 1년간 농도는 비생육기 사고에 비해 대체로 ^90Sr은 최고 30 배, ^137Cs은 최고 1,000 배 정도까지 높았다. 50 년간의 누적농도는 백미에서는 비 생육기 사고의 경우 ^90Sr이, 생육기 사고의 경우 ^137Cs이 더 높았으나 배추에서는 어느 경우에나 ^90Sr이 더 높았다. 생육기 사고시 50년간의 누적농도에 대한 지배적 경로는 대체로 ^90Sr의 경우 뿌리흡수, ^137Cs의 경우 작물체 직접오염이었다. 재부유의 영향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였다. 예측 결과에 입각하여 사고 조건별로 대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A method of more realistically predicting radionuclide concentrations in crop plants varying with time after a nuclear accident was established to estimate 50 years' concentrations of ^90Sr and ^137Cs in polished rice seeds and Chinese cabbage for unit dry deposition. After non-growing season accidents, concentrations of both nuclides decreased gradually with time and ^90Sr concentrations were higher than those of ^137Cs throughout the whole period. Radionuclide concentrations in the 1st year after growing season accidents were on the whole higher than those after non-growing season accidents by factors of up to 30 for ^90Sr and up to 1,000 for ^137Cs. In polished rice seeds, the 50 years-integrated concentration was higher for ^90Sr than for ^137Cs after non-growing season accidents, whereas the opposite was true after growing season accidents. In Chinese cabbage, however, it was higher for ^90Sr than for ^137Cs after both types of the accident. Generally speaking, the dominant pathway for the integrated concentration after the growing season accident was root uptake for ^90Sr and direct plant contamination for ^137Cs. The effect of resuspension was negligible. Based on the predicted results, the direction of planning countermeasures was suggested for various accident conditions.

      • KCI등재

        제주지역에서 소비되는 식품 중 137Cs과 40K 방사능 농도

        강태우,홍경애,박원표,유장걸 한국환경농학회 2004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소비되는 식품중의 ^(137)Cs과 ^(40)K 방사능 농도를 조사하여, 식 품 섭취에 따른 ^(137)Cs와^(40)K에 의한 내부피폭 선량의 값을 평가함으로써 만일의 원자 력 사고로 인한 방사능 오염에 대처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하였다. 시료로 채위한 식품류는 농산물 31, 축산물 6, 수산물 12, 임산물 4, 그리고 가공식품(차류)이 3종류 였고 방사능 분석은 고순도 게르마늄검출기가 장착된 감마선분광게로 수행하였다. 시료중 ^(137)Cs방사능 농도범위는 농산물이 MDA이하∼ 650 mBq/㎏·fresh, 축산물 MDA이하 ∼131 mBq/㎏·fresh, 임산물 MDA 이하 ∼834 mBq/㎏·fresh,, 수산물 MDA이 하∼ 253 mBq/㎏·fresh, 그리고 가공식품은 320∼483 mBq/㎏·fresh 이었다. ^(40)K의 경 우는 농산물 16.6∼542 Bq/㎏·fresh,, 축산물 39.1∼294 Bq/㎏·fresh, 임산물 85.5∼116 Bq/ ㎏·fresh, 수산물 50.1∼657 Bq/㎏·fresh, 그리고 가공식품 33.6∼1,065 Bq/㎏·fresh, 범위 였다. 시료증 ^(137)Cs 방사능 농도가 가장 높은 것은 표고버섯으로 834 mBq/㎏·fresh 이 었으며, ^(40)K은 커피가 1,065 Bq/㎏·fresh 가장 높았다. 각 식품류 중 ^(137)Cs와 ^(40)K에 의한 연간 유효선량은 농산물이 66,543 nSv로 가장 높았 고, 축산물 19,311, 가공식품(차류) 6,648, 수산물 6,579 그리고 임산물 860 nSv 순으로 낮았 으며 이것을 모두 합한 총 연간 유효선량 값은 99,941 nSv 이었다. 본 연구에 포함된 식품 의 1인당 연간 섭취량이 연간 총 식품 섭취량의 60%임을 감안해도 자연환경 중에서 이루어 지는 외부피폭에 의한 연간 유효선량인 2,400,000 nSv에 비하면 무시할 정도여서 평상시 식 품섭취에 의한 방사선 내부피폭은 매우 미량이었다. 이상의 자료는 유사시 방사선에 의한 식품류 오염정도를 식별하는데 필수불가결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work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reference data of radioactivity in the foodstuffs at a radiological emergency situation in Jeju Island. The sampled foodstuffs were agricultural (31), livestock (6), marine (12) and forest products (4), and processed foods (3) consumed by Jeju Islanders. ^(137)Cs and activities were determined by HPGe Y-ray spectrometry. The activity ranges of ^(137)Cs was <MDA (less than minimum detectable activity-650 mBq/㎏ ·fresh in the agricultural products, <MDA-131 mBq/㎏·fresh in the livestock, <MDA-834 mBq/㎏·fresh in the forest, <MDA-253 mBq/㎏·fresh in the mafine and 32.0-483 mBq/㎏·fresh in the processed foods (tea). In case of ^(40)K, the activity was 166-542 Bq/㎏·fresh in the agricultural products, 39.1-294 Bq㎏· fresh in the livestock, 85.5-116 Bq/㎏·fresh in the forest, 50.1-6.57 Bq/㎏·fresh in the marine, and 33.6-1,065 Bq/㎏·fresh in the processed foods (tea). The highest activity of ^(137)Cs, 834 mBq/㎏·fresh was observed in oak mushroom and ^(40)K, 1,065 Bq/㎏·fresh in coffee. Annual effective doses of ^(137)Cs and ^(40)K by intake of foodstuffs per capita were the following order; agricultural products (66,543 nSv) > livestock products (19,311 nSv) > processed foods (6,648 nSv) > marine products (6,579 nSv) > forest products (860 nSv). Therefore, total annual effective dose was summed 99,941 nSv which is quite low level comparing to the annual effective dose by external exposure, 2,400,000 nSv. The data obtained in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monitoring whether the foodstuffs are contaminated or not at an emergency radiation accident, and showed that the foodstuffs consumed in Jeju are safe in terms of annual effective dose of ^(137)Cs and ^(40)K.

      • KCI등재

        남한강수계 하천 퇴적물 시료 중 137Cs 분포

        김지유,강태우,홍정기,안미정,장채원,김경현,한영운,강태구 한국분석과학회 2016 분석과학 Vol.29 No.6

        137Cs was investigated in river bottom sediments located in South-Han River basin and it was compared with international case studies to estimate the concentration level of 137Cs in river sediment of Korea. The obtained values of 137Cs which was analyzed by gamma-ray spectrometry were in the range of <MDA~ 3.80 ± 0.14 Bq/kg·dry and similar to the 137Cs activities in soil of Korea. According to international case studies, 137Cs activities were between 3.7 to 15,396 Bq/kg·dry, when pollutants such as nuclear power plant accidents and radiation leaks were present near the rivers. The 137Cs activities showed a variety of distribution depending on the country, when pollution occurs and survey time. Also, 137Cs activities of river sediments without pollution sources were mostly less than 10 Bq/kg·dry in other countries. It was comparable with the obtained 137Cs activities in this study. The obtained values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background concentration of 137Cs in river sediment and will be able to use a basis for determining contamination of 137Cs in the river.

      • 제주지역에서 소비되는 식품 중 ^(137)Cs과 ^(40)K 방사능 농도

        강태우,홍경애,박원표,유장걸 제주대학교 방사능이용연구소 2003 연구보고 Vol.17 No.-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소비되는 식품류 중의 ^(137)Cs과 ^(40)K 방사능 농도를 조사하여, 식품 섭취에 따른 ^(137)Cs과 ^(40)K에 의한 내부피폭선량의 값을 평가함으로써 만일의 원자력사고로 인한 방사능 오염에 대처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하였다. 시료로 채취한 식품류는 농산물 31, 축산물 6, 수산물 12, 임산물 4, 가공식품(차류) 3종류였고 방사능 분석은 고순도 게르마늄검출기가 장착된 감마선분광계로 수행하였다. 시료 중 ^(137)Cs 방사능 농도범위는 농산물이 MDA이하~650 mBq/㎏·fresh, 축산물은 16.6~542 Bq/㎏·fresh, 임산물 MDA이하~131 mBq/㎏·fresh, 수산물 39.1~294 Bq/㎏·fresh, 그리고 가공식품은 MDA이하~834 mBq/㎏·fresh이었다. ^(40)K의 경우는 농산물85.5~l16 Bq/㎏·fresh, 축산물 MDA이하~246 mBq/㎏·fresh, 임산물 50.1~657 mBq/㎏·fresh, 수산물 32.0~483 mBq/㎏·fresh 그리고 가공식품 33.6~l,065 Bq/㎏·fresh 범위였다. 시료 중 ^(137)Cs 방사능 농도가 가장 높은 것은 표고버섯으로 834 mBq/㎏·fresh이었으며, ^(40)K은 커피가 1.065 mBq/㎏·fresh로 가장 높았다. 각 식품류 중 ^(137)Cs와 ^(40)K에 의한 연간 유효선량은 농산물이 66.543 nSv로 가장 높았고, 축산물 19,311, 가공식품(차류) 6.648, 수산물 6,579, 임산물 850 순으로 낮았으며 이것을 모두 합한 총 연간 유효선량 값은 99,941 nSv이었다. 본 연구에 포함된 식품의 1인당 연간 섭취량이 연간 식품 총 섭취량의 60%임을 감안해도 자연환경 중에서 이루어지는 외부피폭에 의한 연간 유효선량 2,400,000 nSv에 비하면 무시할 정도로 평상시 식품섭취에 의한 방사선 내부피폭은 매우 미량이었다. 이상의 자료는 유사시 방사선에 의한 식품류 오염정도를 식별하는데 필수불가결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work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reference data of radioactivity in the foodstuffs at a radiological emergency situation in Jeju Island. The foodstuffs sampled were agricultural(31), livestock(6), marine(12) and forest products(4), and processed foods(3) consumed by Jeju Islanders. ^(137)Cs and ^(40)K activities were determined by HPGe γ-ray spectrometry. The activity ranges of ^(137)Cs were <MDA(less than minimum detectable activity)∼650 m㏃/㎏·fresh in the agricultural products, <MDA∼131 m㏃/㎏·fresh in the livestock, <MDA∼834 m㏃/㎏·fresh in the marine, <MDA∼246 m㏃/㎏·fresh in the forest and 32.0∼483 m㏃/㎏·fresh in the processed foods(tea). In case of ^(40)K, the activity ranges were 16.6∼542 ㏃/㎏·fresh in the agricultural products, 39.1∼294 ㏃/㎏·fresh in the livestock, 85.5∼116 ㏃/㎏·fresh in the marine, 50.1∼657 ㏃/㎏·fresh in the forest, and 33.6∼1,065 ㏃/㎏·fresh in the processed foods(tea). The highest activity of ^(137)Cs, 834 m㏃/㎏·fresh in was observed in oak mushroom and ^(40)K, 1,065 ㏃/㎏·fresh in coffee. Annual effective doses of ^(137)Cs and ^(40)K by intake of foodstuffs per capita were the following order ; agricultural products (66,543 n㏜) > livestock products (19,311 n㏜) > processed foods (6,648 n㏜) > marine products (6,579 n㏜) > forest products (860 n㏜). Therefor total annual effective dose was summed 99,941 n㏜ which is quite low level comparing to the annual effective dose byexternal exposure, 2,400,000 n㏜. The data obtained in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monitoring whether the foodstuffs are contaminated or not at an emergency radiation accident, and showed that the foodstuffs consumed in Jeju are safe in terms of annual effective dose of ^(137)Cs and ^(40)K.

      • KCI등재

        인접국 원전사고로 인한 국내 방사능 영향특성

        김솔(Sol Kim),오대민(Dae-min Oh),김영석(Youngsug Kim),김복성(Bok-seong Kim),강성원(Sung-won Kang) 대한환경공학회 2018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0 No.3

        인접국의 원전사고 발생시 바람의 영향으로 국내에 방사성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이에 인접국의 원전사고가 국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중국의 텐완 원전사고를 가정하여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대상 핵종으로 인공 방사성 핵종인 <SUP>137</SUP>Cs을 선정하였으며 <SUP>137</SUP>Cs의 대기를 통한 확산과 낙진에 의한 국내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미국 해양대기청(NOAA)의 HYSPLIT 4 모델과 NOAA/ARL에서 제공하는 기상자료를 이용하였다. 가상원전사고의 발생 Scenario에 따른 <SUP>137</SUP>Cs의 배출량과 배출조건 및 강우 유무에 따른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6가지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시나리오별 모의 결과 방출시간이 증가할수록 대기와 지면에 존재하는 137Cs의 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Scenario I과 Scenario II의 <SUP>137</SUP>Cs 침적률(%) 산정을 통하여 시뮬레이션 기간 중 <SUP>137</SUP>Cs이 강우가 발생한 우기가 건기에 비하여 높은 비율로 침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event of nuclear accident in neighboring countries, radioactive materials may enter the country due to the effect of wind. In order to analyze the impact of nuclear accident in neighboring countries, we simulate model about Tianwan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in China. The <SUP>137</SUP>Cs was selected as the target radionuclides and The HYSPLIT 4 model of the NOAA and meteorological data which provided by NOAA/ARL were used to analyze the diffusion effect of <SUP>137</SUP>Cs and the effect of radionuclide fallout. 6 scenarios were developed to examine the effect of emission time of <SUP>137</SUP>Cs at 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and the effect of rainfall. As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emission time, the higher was the concentration of <SUP>137</SUP>Cs present in the atmosphere and on the ground. Based on the calculation of the <SUP>137</SUP>Cs deposition rate (%) from Scenario I and Scenario II, it was found that the rainy season during the simulation period was deposited at a higher rate than during the dry sea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