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집단의 지배주주인가? 계열기업의 지배주주인가? :기업집단 차원의 지배주주 유인구조와 그 효과를 중심으로

        이근기 한국사회경제학회 2020 사회경제평론 Vol.33 No.1

        기업집단의 성과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지배주주의 유인구조를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간과하였던 지배주주가 기업집단 차원에서 가지는 유인구조를 탐색하여 ‘지배주주의 투자집중도’란 새로운 유인구조를 제시하고 경험적 자료를 이용하여 그 유효성을 살펴보았다. 실증분석결과에 의하면, 지배주주의 투자집중도가 기업집단 차원의 유인구조로서 유의미하게 작동하고 있었다. 아울러 지배주주의 투자집중도가 높은 계열기업군에서만 지배주주의 실질지분이 유효한 유인구조로 작동하고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는 기업집단에서 지배주주의 유인구조가 계열기업 차원과 기업집단 차원이라는 이중적 차원에서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것이다. 따라서 지배주주가 기업집단(혹은 계열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살펴보기 위해서는 지배주주의 투자집중도라는 기업집단 차원의유인구조도 고려하여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t is important to know controlling shareholder’s incentive structure in business group for understanding conduct and performance of business group. Until now, we have used controlling shareholder’s real share(=silzilzibun) as an index for his incentive in business group (for representing his incentive structure in business group). But there are some limits to understand business group’s conduct and performance with controlling shareholder’s real share as incentive index . Because it is devised as an index of controlling shareholder’s incentive at the individual affiliated firm level, therefore it is not suitable index for the controlling-shareholder’s incentive structure at the business group level. In this study, we suggest the investment concentration of controlling shareholders, which is measured as controlling shareholder’s investment in one affiliated firm divided by his total investment in business group, as index for incentive of controlling shareholders at the business group level and the feasibility is examin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investment concentration of controlling shareholder is significant as index of controlling shareholder’s incentive structure at the business group level. In addition,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real share is also significant only in the affiliated firms where the concentration of the controlling shareholder is high. These results show that the concentration of investment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controlling shareholders on the business groups.

      • KCI등재

        지배주주의 매도청구권 제도 개선방안 - 최근 판례 이론 및 일본 주식매도청구 제도 검토를 중심으로 -

        이서연 한국상사판례학회 2022 상사판례연구 Vol.35 No.2

        The 2011 revised Commercial Act introduced compulsory acquisition of minority shares (Controlling Shareholder's Right of Squeeze Out).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in practice, by exercising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Right of Squeeze Out for the remaining minority shares after the listed company voluntarily delists through a tender offer, or by exercising the Right of squeeze out to the minority shares of the unlisted company, this system is being used for the purpose of thorough subsidiarization or making a one-man corporation. While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Right of Squeeze Out system is a practically useful system as a Going Private Transaction, there are concerns that the system may be abused to infringe the interests of minority shares by the controlling shareholder.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trends in precedents and theories on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Right of Squeeze Out system after the system was introduced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Commercial Act and review the areas that necessitate legislative supplementation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Right of Squeeze Out system as follows by analyzing the legal principles and precedent trends of the Japanese Corporation Act, which introduced a right of squeeze out system for a special controlling shareholder, a similar system introduced in 2014. A method to promote the promptness of corporate reorganization by clarifying the timing of stock transfer according to the squeezing out of controlling shareholder and making the effect of stock transfer occur collectively at a specific time point was proposed. In terms of controlling shareholder requirements, since the treatment method of the treasury shares held by the object company may act as a critical factor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in practice, it would be desirable to be clarified in the text of the law. It would be also desirable to stipulate that the treasury shares of the object company are excluded from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by amending the commercial Act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would be clarified if the commercial law amendment bill that is currently being proposed is passed. In relation to the management objectives required by the Commercial Act, it could be agreed that the management objectives currently presented in the lower court judgments are not effective in terms of protecting minority shares. However, since the purpose of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is to protect minority shares in advance, it would be desirable to discuss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s when precedent theories have been sufficiently accumulated. In relation to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Right of Squeeze Out system, it is expected that an abundant precedent theory will be further formed. 2011년 개정 상법은 소수주주 보유주식에 대한 강제매수 제도를 도입하였다. 제도 도입 이후 상장회사가 공개매수를 통한 자진 상장폐지 이후 잔여 소수주주에 대하여 지배주주의 매도청구권을 행사하거나 비상장회사에서 소수주주들을 축출하기 위하여 매도청구권을 행사하는 등 실무상으로 동 제도를 완전자회사화 또는 1인 회사화 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지배주주 매도청구권 제도는 상장폐지 거래(Going Private Transaction) 등 실무적으로 유용한 제도라는 측면이 있는 반면 지배주주가 소수주주의 이익을 침해하는 데 악용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다. 본 논문에서 상법 개정에 따라 제도가 도입된 이후 지배주주의 매도청구권 제도에 대한 판례 및 학설의 동향을 살펴보고, 2014년에 우리와 유사한 제도로서 특별지배주주의 주식매도청구 제도를 도입한 일본 회사법의 법리 및 판례 동향을 분석하여 지배주주 매도청구권 제도의 실효성 있는 운영을 위하여 입법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검토하였다. 주식이전 시기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지배주주가 주주총회 소집통지시 제시하는 취득일에 주식이 이전된 것으로 간주하도록 규정을 개정하여 획일적, 집단적으로 매도주식을 이전시키도록 하면서 지배주주가 제시하는 매매가액에 불복하는 소액주주는 취득일(주식이전 효력발생일) 기준으로 일정기간 전부터 취득일 전일까지 법원에 대하여 매매가액의 결정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하여 일괄적 집단적인 주식이전 및 공정한 가액의 신속한 확정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제도가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다. 지배주주 요건 관련하여 대상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자기주식의 처리 방식은 실무상 의사결정 과정에서 상당히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어 이를 상법에서 명시적으로 규율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대상회사의 자기주식이 지배주주의 지분율에서 제외됨을 명문화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며 현재 입법발의되어 있는 상법개정안이 통과된다면 이를 명확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상법에서 요구하고 있는 경영상 목적과 관련하여는 경영상 목적 요건이 소수주주의 사전적 구제수단으로서 충분한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양한 상황에 따른 판례이론의 축적이 필요하고, 이와 더불어 일본 회사법상 매도주식 취득금지 청구제도, 매도주식 취득 무효의 소 제도와 같은 사전적·사후적인 소수주주 구제수단의 도입도 함께 검토할 필요가 있으므로 당장 제도 개선을 검토하기 보다 판례 이론의 동향과 일본에서의 운영 선례 등을 살펴보면서 제도개선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소수주식의 강제매수제도

        김화진 ( Hwa Jin Kim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서울대학교 法學 Vol.50 No.1

        이 논문은 상법개정안 제360조의24 내지 제360조의26의 소수주식의 강제매수제도를 미국법과 독일법을 비교하면서 살펴 본 것이다. 상법개정안 제523조의 제4호에 의한 현금합병제도도 같이 논의한다. 이 제도들은 주주가 그 의사에 반하여 회사로부터 축출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회사법의 이념적 기초에 일대 변혁을 가지고 온다. 즉, 주식회사의 주주는 단체의 구성원이라기 보다는 자본시장에서의 투자자로 그 성격을 새로 규명 받게 된다. 이 제도들은 미국법을 계수한 것인데 이 논문은 미국법의 내용을 살펴보고 소수주식의 강제매수제도가 지배주주의 충실의무를 인정하고 지배주주의 충실의무 준수 여부를 판단하는 총체적인 공정성 기준을 같이 도입해야 비로소 제대로 기능할 것임을 보인다. 또, 이 논문은 상법개정안의 규정이 독일법의 내용과는 달리 강제매수의 계약적 측면과 회사법적 측면을 분리하지 않고 있음을 지적하고 그 보완을 제안한다. 끝으로, 이 논문은 소수주식의 가치평가에 관한 상법개정안의 규정 내용이 대단히 부족하며 기존 주식매수청구권의 행사에 따르는 주식의 가치평가에 관한 규정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데서 향후 많은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을 지적한다. The draft new Korean Commercial Code includes the mechanism for acquisition of dissenting minorities. The compulsory buy-out threshold is set at 95% level. The proposed provisions below (translation by Lee & Ko, Korea, and the author) are general ones that allow a controlling shareholder to purchase compulsorily the shares owned by a minority, no matter whether the majority was acquired in a takeover bid or not. The minorities also have the right to be bought out at the same level. However, there is no sophisticated mechanism for determination of a fair price than the current one applicable to the shareholders` appraisal claims. Also, the Korean law does neither know the concept of the entire fairness as developed in Singer v. Magnavox Co., 380 A.2d 969 (Del. 1977) nor the fiduciary duty of majority shareholders to minority shareholders. The new squeezeout institution may work properly if and only if the Korean courts contemporaneously develop the fairness standard applicable to valuation as well as procedure and introduce the fiduciary duty of major shareholders to minority shareholders. This is more so because the draft bill also allows the cash-out merger transaction in Article 523, No.4. Article 360-24 (Controlling Shareholder`s Right to Request for Sale) (1) The shareholder who possesses 95% or more of the total issued and outstanding shares of a company under his own account (hereinafter, Controlling Shareholder) may request the other shareholder the sale of the shares possessed by such other shareholder (hereinafter, Minority Shareholder) if the purchase is necessary to achieve the business purpose of the company (Request for Sale) (2) For the calculation of the shares possessed by the Controlling Shareholder stipulated under Section 1 above, the shares in the same company owned by the parent company and its subsidiary shall be combined. For calculation, the shares of the company, in which a shareholder, who is not a company, owns more than 50% of shares, shall be combined with the shares owned by such shareholder. (3) The Request for Sale under Section 1 must be approved by the shareholders` meeting in advance. (4) When notifying the convening of a shareholder`s meeting for the Section 3 above, the following items must be included in the notice thereof, and they must be explained by the Controlling Shareholder at such meeting. 1. The shareholding status of the company by the Controlling Shareholder 2. The purpose for the Request for Sale 3. The basis of the calculation on the share price and the appraisal report by the certified appraiser on the appropriateness on the share price 4. Payment guarantee on the share price (5) The Controlling Shareholder shall make a public notice on the following items one month prior to the date when the Request for Sale is made and shall notify the shareholder and the pledgee, who are listed on the shareholder registry, separately. 1. The Minority Shareholder shall deliver the share certificate simultaneously upon the receipt of the share price 2. If the share certificate is not delivered, the share certificate will be null and void on the date when the Minority Shareholder accepts the share price or when the Controlling Shareholder deposits the share price in the public account (6) The Minority Shareholder, who has received the Request for Sale under Section 1 above, must sell its shares to the Controlling Shareholder within 2 months from the date when the Minority Shareholder received the notice for the Request for Sale. (7) In case of Section 6 above, the share price shall be determined by the agreement by and between the Controlling Shareholder requesting the sale and the Minority Shareholder whom such request was made to. (8) In case when the Minority Shareholder and the Controlling Shareholder could not agree on the share price under Section 7 above within 30 days from the date when the Request for Sale was received by the Minority Shareholder pursuant to Section 1 above, the Minority Shareholder or the Controlling Shareholder individually may request the court to determine the share price. (9) In case when the court determines the share price pursuant to the Section 8 above, the court shall determine the share price at fair value considering the financial condition of the company and other relevant factors. Article 360-25 (Minority Shareholder`s Right to Request for Purchase) (1) The Minority Shareholder of a company, where a Controlling Shareholder exists, may request the Controlling Shareholder to purchase its shares at any time (Request for Purchase) (2) The Controlling Shareholder, who received the Request for Purchase under the Section 1, must purchase the shares of the Minority Shareholder within 2 months from the date when such Request for Purchase was made. (3) In case of the Section 2 above, the share price shall be determined by the agreement between the Controlling Shareholder and Minority Shareholder. (4) In case when the Minority Shareholder and the Controlling Shareholder could not agree on the share price under Section 2 above within 30 days from the date when the Request for Purchase was made, the Minority Shareholder or the Controlling Shareholder individually may request the court to determine the share price. (5) In case when the court determines the share price pursuant to the Section 4 above, the court shall determine the share price at fair value considering the financial condition of the company and other relevant factors. Article 360-26 (Share Transfer, etc.) (1) The share shall be deemed to be transferred to the Controlling Shareholder on the date when the Controlling Shareholder makes the payment to the Minority Shareholder pursuant to Article 360-24 and 360-25. (2) In case when the Controlling Shareholder is unable to know whom the share price should be paid to or when the Minority Shareholder refuses to accept the share price, then the Controlling Shareholder may deposit the share price in the public account. In this case, the share shall be deemed to be transferred on the date of such deposit.

      • KCI등재

        물적분할과 자회사 상장 시 소수주주 보호에 관한 연구 - 지배주주의 충실의무를 중심으로 -

        박창규 한국상사판례학회 2023 상사판례연구 Vol.36 No.1

        A split-off under the Korean commercial act is a type of a corporate division where the shares of a new organized company are issued to its parent company in exchange for the transferred business, and then such new organized company becomes an 100% subsidiary of the parent company. However, in case that a listed company became a parent company of its subsidiary through a split-off and then the subsidiary goes public the measures to protect the minority shareholder of the parent company have been the social issues. A shareholder has the position of a shareholder who participates in management or monitors management as a member of a company, and the position of a shareholder who pursues return on investment as a capital investor. The protection of the minority shareholder in a split-off is accepted because of the minority shareholder’s position as a capital investor. The measures to protect the minority shareholder in a split-off include (i) granting the appraisal rights to the shareholders of the parent company, (ii) granting the preemptive rights to the shareholders of the parent company, (iii) preferentially allocating the new shares of the subsidiary to the shareholders of the parent company, (iv) limiting the voting right to 3% in case of a corporate division (v) prohibiting chain-listing, (vi) strengthening the disclosure and the listing screening, (vii) imposing the duty of loyalty to the shareholders on a director. Granting the appraisal rights to the minority shareholder of the parent company, and strengthening the disclosure and the listing screening can be the meaningful alternatives, but the others are unlikely to be the effective alternative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protection of the minority shareholder of the parent company in a split-off and listing the subsidiary is essentially a matter of balancing the interests of a controlling shareholder and the minority shareholder of the parent company. Therefore, imposing the duty of loyalty to the minority shareholder on a controlling shareholder can be a fundamental alternative. If a controlling shareholder’s duty of loyalty to the minority shareholder is accepted, a split-off and listing the subsidiary that violate a controlling shareholder’s duty of loyalty would be illegal, which can be an object of legal action. Therefore, a controlling shareholder’s duty of loyalty to the minority shareholder will be the legal norms that can protect the minority shareholder, and it can be a practical limitation of a split-off and listing the subsidiary decision of the controlling shareholder. Even if a controlling shareholder’s duty of loyalty to the minority shareholder is accepted, a controlling shareholder’s duty of loyalty is different from that of a director. A controlling shareholder’s duty of loyalty should include the fact that the controlling shareholder is able to exercise its rights as a shareholder, and so a controlling shareholder’s pursuit of private interests should be basically allowed. However, if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pursuit of private interests is exercised in an illegal or deceptive manner and so it seriously infringes on the interests of the minority shareholder, if the controlling shareholder pursues only its private interests, or if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pursuit of private interests causes significant and irreparable damage to the interests of the minority shareholder,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pursuit of private interests violates the duty of loyalty. Therefore, the Korean commercial act should accept a controlling shareholder’s duty of loyalty, and then the contents and the requirements of violation of a controlling shareholder’s duty of loyalty in the split-off and listing the subsidiary cases should be determined in detail. 물적분할은 회사분할의 한 유형으로서 승계된 영업의 대가로 발행되는 주식을 분할회사에게 교부하여 신설회사가 분할회사의 100% 자회사가 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그런데 상장회사가 물적분할하여 자회사의 모회사가 된 후 자회사가 상장하는 경우 모회사의 소수주주를 보호하는 방안이 사회적 문제가 되었다. 주주는 회사의 구성원으로서 경영 참여 또는 경영 감시를 목적으로 하는 주주의 지위와 투자 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자본 투자자로서의 지위를 가진다. 물적분할 시 소수주주의 보호는 소수주주가 자본 투자자로서의 지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정된다고 보아야 한다. 물적분할 시 소수주주를 보호하는 방안은 (i) 모회사의 주주에게 주식매수청구권 부여, (ii) 자회사 상장 시 모회사 주주에게 신주인수권 부여, (iii) 모회사 주주에게 자회사 신주 우선 배정, (iv) 회사분할 시 의결권 3% 제한, (v) 물적분할 후 모회사와 자회사의 동시상장 금지, (vi) 공시강화와 상장심사의 강화, (vii) 이사에게 주주에 대한 충실의무 부여 등이 있다. 주식매수청구권 부여, 공시강화, 상장심사 강화 등은 유의미한 대안이 될 수 있지만 그 외의 방안은 효과적인 방안이 되기 어렵다. 물적분할과 자회사 상장 시 모회사의 소수주주 보호의 문제는 모회사의 지배주주와 소수주주간 이익 조정이 문제의 본질이라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지배주주의 소수주주에 대한 충실의무를 인정하는 것이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지배주주의 소수주주에 대한 충실의무가 인정된다면 지배주주의 충실의무에 반하는 물적분할과 자회사 상장의 결정은 위법한 것이 되어 법적 조치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지배주주의 소수주주에 대한 충실의무는 법적인 면에서 소수주주를 보호할 수 있는 규범이 되며, 현실적인 면에서 지배주주의 물적분할과 자회사 상장 결정의 한계로 작용할 수 있다. 지배주주의 소수주주에 대한 충실의무를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지배주주의 충실의무는 이사의 충실의무와 다르다. 지배주주의 충실의무는 지배주주가 주주로서 자신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기 때문에 지배주주의 사적 이익 추구는 기본적으로 허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내용으로 해야 한다. 다만, 지배주주의 사적 이익 추구가 위법하거나 기만적인 방법으로 행사되어 소수주주의 이익을 심각하게 침해하거나, 오직 지배주주의 사적 이익만을 추구하거나, 소수주주의 이익의 침해가 현저해서 회복될 수 없는 경우에 지배주주의 사적 이익 추구는 충실의무에 위반된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상법이 지배주주의 충실의무를 인정하고 이를 근거로 물적분할과 자회사 상장 사례에서 지배주주의 충실의무 위반의 내용과 요건 등이 구체적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 KCI등재

        지배주주에 대한 회사기회유용금지 법리의 적용에 관한 시론(試論)

        박창규(Park, Changgyoo),유진희(Ryu, Jin-Hee) 경희법학연구소 2021 경희법학 Vol.56 No.4

        우리나라는 지배주주가 회사기회유용을 통해 사적 이익을 추구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지배주주에게 회사기회유용금지 법리를 적용해야 할 필요성이 높다. 회사기회유용금지 법리는 이사와 같이 신인의무를 부담하는 자는 회사의 동의 없이 회사의 사업기회를 자신을 위해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미국 판례법의 원칙이다. 미국 법원은 회사의 재정적 능력, 회사의 사업범위, 회사의 이익·기대, 이사의 이해충돌 등을 회사기회유용의 판단 요소로 본다. 지배주주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주주와 함께 회사의 의사결정과 경영에 대해 실질적인 지배력을 행사할 수 있는 주주라고 정의할 수 있다. 미국은 이사와 임원 외에도 지배주주에게도 충실의무를 인정하여 회사기회유용금지 법리를 적용한다. 이때 이사에 적용되는 회사기회유용금지 법리는 지배주주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우리나라에서 지배주주에게 회사기회유용금지 법리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지배주주의 충실의무를 인정해야 한다. 회사에 대한 사실상 지배력, 회사와 소수주주의 보호, 주주의 충실의무와 관련된 상법 조항 등을 고려하면 지배주주에게도 충실의무를 인정할 수 있고, 지배주주의 충실의무가 인정되면 지배주주에게도 회사기회유용금지 법리를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지배주주에게 회사기회유용금지 법리가 적용되더라도 지배주주가 주주로서 가지는 권리가 부당하게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다만 지배주주가 회사기회를 이용하여 회사와 소수주주의 이익을 심각하게 해치고 사적 이익을 추구하는 경우 지배주주의 권리행사는 회사기회유용금지 법리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지배주주의 충실의무가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현행 상법 제397조의2는 회사기회유용금지의 주체를 이사로 한정하고 상법 제401조의2는 제397조의2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상법상 지배주주에게 회사기회유용금지 법리를 적용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입법론적인 해결이 필요하다. 우선, 상법에 지배주주의 정의를 규정하고 제397조의2에 지배주주를 추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입법이 어렵다면 제401조의2에 제397조의2를 추가하여 지배주주가 업무집행지시자에 해당되는 경우 회사기회유용금지 법리가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지배주주가 업무집행지시자가 아닌 경우 회사기회유용금지 법리로 규제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지배주주의 정의를 규정하고 제397조의2에 지배주주를 추가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본다. In Korea, there is a high need to apply the corporate opportunity doctrine (“COD”) to controlling shareholder because controlling shareholder has pursued its private benefit through usurping corporate opportunities. The COD is the principle of US courts’cases that a corporate fiduciary like a director should not divert a business opportunity from the corporation without the corporation’s approval. The US courts identify four considerations related to determining whether a business activity constitutes a corporate opportunity: the financial ability of the corporation, the line of the corporation’s business, an interest or expectancy in the opportunity of the corporation, and a conflict between a director’s self-interest and that of the corporation. Controlling shareholder can be defined as a shareholder who alone or jointly with other shareholders, can exercise the actual control over the decision-making or the management of corporation. The US courts recognize the duty of loyalty of controlling shareholder to the corporation, and they apply the COD to controlling shareholder as well as a director and an officer. The COD for a director has been applied to controlling shareholder equally. In Korea, the duty of loyalty of controlling shareholder should be accept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COD to controlling shareholder. Considering the actual control over the corporation, the protection of the corporation and the minority shareholder, and the provisions under the Korean commercial law the duty of loyalty to controlling shareholder can be accepted, and then the COD can be applied to controlling shareholder. However, the right of controlling shareholder should not be restricted unduly even if the COD can be applied to controlling shareholder. Also, the exercise of the right of controlling shareholder can be limited by the COD in case that controlling shareholder harms the corporation and the minority shareholder significantly and it pursues its private benefits through usurping corporate opportunity. Although the duty of loyalty of controlling shareholder is accepted, it is not easy that the COD is applied to controlling shareholder because under the Korean commercial law the article 397-2 limits the subject of usurping corporate opportunity to a director and the article 401-2 does not include such section 397-2. Therefore, a legislative solution is needed. First, the definition of controlling shareholder should be added in the Korean commercial law and controlling shareholder should be included in the article 397-2 under the Korean commercial law. Second, if the amendment above is not easy, the article 401-2 should include the article 397-2 so that the COD can be applied to controlling shareholder who falls into person who instructs another person to conduct business (“PIAP”) under the amended article 401-2. However, this amendment has the limitations that if controlling shareholder is PIAP the COD cannot be applied to such controlling shareholder. Therefore, it is the most effective way that the definition of controlling shareholder is added in the Korean commercial law and then controlling shareholder should be added to the subject of the article 397-2.

      • KCI등재

        지배주주의 매도청구권에 대한 연구

        김경일 대한변호사협회 2019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81

        The revised commercial act in 2011 introduced controlling shareholder’s rights to request sale. A shareholder who owns, on his/her own account, 95 percent or more of the total number of issued shares of the company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trolling shareholder”) may request other shareholders of the company (hereinafter referred to as “minority shareholder”) to sell the shares held by them. This article examined the requirements for controlling shareholder’s rights to request sale, a public notification and separate notification, the exercise of the rights to request sale, the effect of a request for sale, and issues regarding those. Among issues, particularly whether the number of treasury shares could be counted in calculation of the total number of issued shares and the number of controlling shareholder’s holding shares became a major issue, because the Supreme Court of Korea dealt with this issue recently. The Supreme Court held that the number of treasury shares should be counted in calculation of the total number of issued shares and the number of controlling shareholder’s holding shares because the korean commercial act does not have provisions that exclude treasury shares from the total number of issued shares and the number of controlling shareholder’s holding shares. Scholars are divided on this issue. But the first theory that the number of treasury shares could be counted in calculation of the total number of issued shares and the number of controlling shareholder’s holding shares would be reasonable because of following reasons. ① The first clause of Article 360-24 does not exclude treasury shares from the total number of issued shares. ② The first theory corresponds to a interpretation of the second clause of Article 360-24. ③ The Supreme Court is based on the view to consider treasury shares as assets. ④ According to the second theory, there would be a problem that if the number of controlling shareholder’s holding shares exceeds 5%, the exercise of the rights to request sale would be impossible. And according to the third theory, even shareholder who holds small amount of shares could meet the requirement for controlling shareholder and freeze out minority shareholder. ⑤ At compulsory acquisition of minority shareholders’s shares in the UK, a takeover offer may include treasury shares among the shares to which it relates. 2011년 개정상법은 지배주주의 매도청구권(제360조의24) 조항을 신설하였다. 지배주주의 매도청구권은 회사의 발행주식총수의 95% 이상을 보유한 지배주주가 나머지 소수주주의 보유 주식을 강제로 매수할 수 있도록 한 제도이다. 이 글에서는 지배주주의 매도청구의 행사요건, 공고·통지 및 매도청구권 행사, 매도청구의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고, 각각의 구체적인 쟁점들에 대해서 검토를 한다. 쟁점 중에서 특히 대상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자기주식이 발행주식총수(분모)나 지배주주의 보유주식 수(분자)에 산입될 수 있는지가 최근 대법원 판결이 나와 문제된다. 대법원은 “자회사의 소수주주가 상법 제360조의25 제1항에 따라 모회사에게 주식매수청구를 한 경우에 모회사가 지배주주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상법 제360조의24 제1항은 회사의 발행주식총수를 기준으로 보유주식의 수의 비율을 산정하도록 규정할 뿐 발행주식총수의 범위에 제한을 두고 있지 않으므로 자회사의 자기주식은 발행주식총수에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상법 제360조의24 제2항은 보유주식의 수를 산정할 때에는 모회사와 자회사가 보유한 주식을 합산하도록 규정할 뿐 자회사가 보유한 자기주식을 제외하도록 규정하고 있지 않으므로 자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자기주식은 모회사의 보유주식에 합산되어야 한다”고 판시했다. 이에 대하여 견해의 대립이 있으나, ① 상법 제360조의24 제1항에서는 발행주식총수에 별다른 제한을 두고 있지 않은 점, ② 제1설이 제360조의24 제2항 법문언의 해석에 부합하는 점, ③ 판례는 자기주식의 본질을 회사의 자산이라고 보는 시각에 기초한 판시를 한 점, ④ 제2설에 따르면 회사의 자기주식 보유비율이 5%를 초과하는 경우 지배주주의 매도청구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제3설에 따르면 소수의 주식만을 가진 주주가 지배주주의 지위를 획득하여 다른 주주를 축출할 수 있는 점, ⑤ 영국의 강제매수에서 대상회사의 자기주식을 청약 대상에 포함시킬 수 있는 점을 고려할 때, 회사가 보유하는 자기주식도 발행주식총수 및 지배주주의 보유주식 수에 산입될 수 있다는 제1설의 견해가 타당하다 할 것이다.

      • 지배주주 지분율과 저축은행의 경영행태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박경서,정찬식 한국재무학회 2011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08

        본 연구에서는 지배주주의 지분율이 저축은행의 위험추구와 수익성, 생산성 및 비용 효율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주주로서의 저축은행의 지배주주는 유한책임(Limited Liabilities)으로 인해 채권자에게 위험을 전가하는 유인을 갖게 되어(Jensen and Meckling(1976), Black and Sholes(1973) 등), 지배주주의 투자의사 결정은 위험선호의 형태를 띌 수 있다. 특히 저축은행은 지배주주의 도덕적 해이에 의한 대리인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지배주주 및 저축은행은 과도한 부채차입을 함으로써 위험추구의 성향을 띌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저축은행은 풍부한 유동성으로 인해 지배주주에 의한 대리인 문제 및 모험경영의 가능성이 있다. 다만, 지배주주의 지분율이 높을수록 지배주주의 투자위험 집중으로 인해 소유은행의 경영위험을 높일지 또는 낮출지는 실증적 이슈이다. 실증분석 결과 저축은행은 대부분 과도한 부채차입으로 인해 고위험 투자안을 선택하게 되는 유인이 존재하였다. 그 결과 지배주주 지분이 높을수록 저축은행은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지배주주 지분율이 높을수록 ROA의 표준편차와 변동률이 증가하는 동시에 ROA 역시 증가하였다. 또한 지배주주 지분율이 높을수록 해당 저축은행의 순이자수익이 증가하는 동시에 PF-대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지배주주 지분율이 크더라도 고정이하여신 비율 및 대손상각비 비율은 증가하지 않았다. 이는 고정이하여신과 대손상각비를 일정수준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지배주주의 경제적 이익을 증가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지배주주 지분율이 증가할수록 종업원 1인당 순이익이 증가하고 1인당 인건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여타 이해관계자에 대한 규율기능이 작동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controlling shareholders on profitability, risk and performance of saving banks in Korea, and those of controlling shareholders on productivity and cost efficiency. Shareholders tend to shift risks of investment to bondholders, and so does controlling shareholders. We find that savings banks, with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pursue higher risk-higher return, and make better performance and higher cost efficiency. We find, first, that savings banks keep severe financial risk with too high leverage, which make controlling shareholders shift risks of investment to bondholders. Second, we also find that both the standard deviation and the change ratio of savings banks’ ROA tend to be higher with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Third, we find that the ROA tend to increase with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Second and third results suggest that savings banks pursue higher risk-higher return. Fourth, we also find that net interest tend to higher with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This result suggests that savings banks tend to perform more aggressive strategies to get more interest profits with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Fifth, we find that net income per capita tend to increase with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Sixth, we also find that labor cost per capita tend to increase with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Fifth and Sixth results suggests that productivity and labor cost efficiency of savings banks get better with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for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intend to increase their own wealth through performance improvement of savings bank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rolling shareholders have performed both negative function of “risk shifting” and positive functions of higher profitability, better performance and cost efficiency.

      • KCI등재

        상법상 지배주주의 책임

        강혜림(Kang Hye Lim) 한국부패학회 2016 한국부패학회보 Vol.21 No.2

        IMF 이후 회사 경영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주주의 행위를 규제하는 개별 규정들이 도입되었는데, 그 중 지배주주 등에게 직접 손해배상책임을 물을 수 있는 상법 제401조의2가 핵심 조항이다. 그런데 동 규정에 따른 지배주주의 책임은 이사의 업무와 책임에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지배주주를 독자적으로 규율하지 못한다. 이는 우리 상법이 지배주주에 대한 충실의무의 부과 없이, 단순히 지배주주 등에게 책임을 묻기 위한 도구 개념으로서 지배주주 등을 법률상 이사로 의제하는 형식의 입법을 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절대 다수의 기업에서 오너 또는 오너 일가라고 불리는 지배주주가 있고, 이들은 직접 경영에 참여하거나 이사에 대한 지배권을 이용하여 실질적인 회사의 소유자로서 회사 또는 소수주주의 이익을 침해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 회사에 대한 관계에서 실질적 경영자인 지배주주와 이사를 다르게 볼 하등의 이유가 없다는 점, 이사가 자신에 대한 임면권을 가지는 지배주주의 수족처럼 행동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오히려 지배주주를 회사에 대한 관계에서 수탁자로 보고 이사의 의무와 동일한 의무를 부담시키는 것이 기업현실에 더 부합한다는 점, 지배주주에 대하여 이사와 같은 의무를 부담시키지 않을 경우 이사의 책임을 규정하고 있는 상법 제399조 및 제401조의 효용성이 반감될 우려가 크다는 점, 제401조의2를 비롯한 현행 상법상 개별 규정만으로는 지배주주의 지배권 남용행위를 빠짐없이 규제할 수 없다는 점, 비교법적으로도 많은 나라에서 지배주주의 회사나 다른 주주에 대한 영향력이나 이익 침해 가능성을 고려하여 지배주주에게 충실의무를 인정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주주의 충실의무론을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나아가 지배주주의 충실의무를 인정하는 명문규정을 상법에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고, 장기적으로는 영국, 미국, 독일, 중국처럼 충실의무 위반 시 직접 회사 또는 제3자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하도록 하는 입법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Since the 1997 IMF crisis, Korean legislators have amended the Korean Commercial Code (“KCC”) to prevent controlling shareholders improper influence over the operation of a business and the Article 401-2 of the KCC, which imposes liability upon those who are involved with the operation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while not being a director of the corporation, is a key provision among them. However, it is not enough to regulate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to be liable independent from directors because the liability of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under the Article 401-2 is linked to the scope of the tasks and responsibilities of directors. That is why the KCC does not impose any duties, such as the duty of loyalty, on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but deals with them as directors for the purposes of applying the Article 399 (liability to the corporations), 401 (liability to a third party), and 403 (derivative litigation) concerning the undertakings they instruct or conduct. My paper suggests that the shareholder s duty of loyalty should be introduced due to the following reasons. First, most conglomerates in South Korea have controlling shareholders, called “owner” or “owner family”, who participate in the operation of the business or instruct directors using their influence over the corporations and they are highly likely to infringe on the interests of the company and the minority shareholders. Second, there is no reason that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who actually operate the company should be taken differently from the directors of the company in relation to duties and the liabilities to the company and the minority shareholders. Third, since the controlling shareholder has directors at his beck and call in many cases, it is reasonable that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shall assume the same duties as directors, as fiduciaries to the company. Fourth, if the controlling shareholder does not assume the same duties as directors, there would be a risk that the Article 399 and 401 do not function properly. Fifth, it is unable to regulate all types of abuse of the dominance by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through the individual provisions of the KCC including the Article 401-2. Sixth, many countries find the controlling shareholder s duty of loyalty in consideration of the range of influence or the possibility of infringement of the interest to the company and minority shareholders. Also, my paper suggests that the provision of controlling shareholder s duty of loyalty should be introduced to the KCC and it would be more desirable if South Korea, as if the U.K., the U.S., China and Cermany, has a provision which imposes civil liabilities on the controlling shareholder if he violates the provision of the duty of loyalty.

      • KCI등재

        지배주주지분변화 전 이익조정과 주주간 이해상충

        정재욱 ( Jae Wook Jeong ) 한국회계학회 2011 會計學硏究 Vol.36 No.4

        본 연구는 지배주주지분의 변화 전 기업의 이익조정 행태를 분석하여 이익조정이 지배주주의 부를 증진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는지를 조사한다. 대부분의 한국기업에서 지배주주는 기업경영에 직접적으로 참여하거나 설령 기업경영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지 않더라도 기업과 관련된 제반 사안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 지배주주는 자신의 필요에 따라 자신이 통제하는 기업의 지분을 추가로 취득하거나 또는 이미 보유하고 있는 지분을 처분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지배주주가 지분을 추가로 취득하거나 처분하는 데서 발생하는 이익은 주가에 의해 결정되므로 지배주주는 지분변동 직전의 회계이익을 조정하여 주가를 자신에게 유리하게 유도하려는 유인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지배주주는 지분의 처분(취득) 전 기업의 이익을 양(음)으로 조정할 유인을 갖는다. 1995년부터 2004년까지 한국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기업 중 지배주주의 지분 변화에 수반하는 이익조정을 분석한 결과 기업은 지배주주지분이 감소하기 전에 양의 이익조정을 하고, 지배주주지분이 증가하기 전에 음의 이익조정을 하였다. 또한 이익조정의 크기는 지배주주지분의 증감에 비례하였다. 이는 기업이 지배주주의 이익극대화를 위해 지배주주지분 감소 또는 증가 전에 이익조정을 한다는 것과 일관된 결과이다. 본 연구는 지배주주가 자신의 이익을 위해 외부주주로부터 부를 자신에게 이전하는 명시적 증거를 제시함으로써, 선행연구에서 추상적 가능성으로 논의되었던 주주간이해상충 문제를 구체적인 과정과 상황을 통해 설명하고, 선행연구에서 부족했던 지배주주와 외부주주사이의 이해상충문제에 대한 이해를 넓혔으며, 주주간이해상충문제 해결을 위한 제도적 시사점을 제시했다는데 그 공헌이 있다. 또한 양의 이익조정 뿐만 아니라 음의 이익조정 역시 외부주주의 부를 침해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줌으로써 그동안 관대했던 보수적인 회계처리의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chanism through which controlling owners expropriate minority shareholders. Specifically, This paper provides direct evidence that controlling owners expropriate minority shareholders through earnings management before they trade in their own firms` stock. Controlling shareholders have strong incentives to expropriate wealth from minority shareholders to promote their own economic benefits through various self-dealing transactions(Shleifer and Vishny 1997, Johnson et al. 2000). Despite this claim, only limited systematic evidence is available concerning the specific mechanism used by controlling owners. How is expropriation actually achieved? This paper allows us to describe one such mechanism. Earnings management associated with controlling owner trading in Korea is particularly adequate to investigate the means of expropriation for several reasons. First, in an environment where most firms belong to business groups controlled by a single ultimate owner (i.e., controlling owner), controlling owners hold significant percentage of outstanding shares in their firms. They assume a significant role in managing their companies, usually holding the chief executive or chairmanship in their companies. This allows controlling owners to engage in earnings management to their benefit. When controlling owners trade in their own firms`stock, they will have strong incentives to sell high and buy low. Earnings management helps controlling owners achieve this. Second, earnings management through accounting accruals is an attractive means to set the stock price artificially high or low in the present context because it is hard to find earnings management to outsiders. This study finds strong evidence that controlling owners deflate (inflate) earnings before they buy (sell) their own firms` stock. Since minority shareholders who transact with the controlling owner under this condition suffer from "unfair" prices attributable to earning management, this amounts to expropriation of minority shareholders by the controlling owner. This study`s finding is unique on the symmetry between the gains of the controlling owner and the losses of minority shareholders. Because of such a symmetry, this study`s results unambiguously show how controlling owners use earnings management to expropriate minority shareholders. This finding is also supportive of the observation by Shleifer and Vishney(1997) that the conflicts between the controlling shareholder and minority shareholders are important in firms with concentrated ownership, especially where ownership is not separated from management. This study adds further insights into both the insider trading and earnings management literatures. Since the possibility of active earnings management before controlling owners` trading has largely been ignored in the literature, investigating earnings management associated with controlling owners` transactions enhances our understanding of the insiders` opportunistic behavior. Second, unlike most earnings management studies, the current context enables us to interpret earnings management in the light of the conflicts between the controlling owner and minority shareholders. Since the controlling owner sells after overstating earnings and buys after understating earnings, minority shareholders lose by precisely the same amount as the controlling owner gains.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poses earnings management as a strong and direct indicator of the means through which controlling owners expropriate minority shareholders. Given that evidence concerning how expropriation is actually achieved is scarce, this paper provides additional insights into the mechanism used by the controlling owner to expropriate minority shareholders.

      • KCI등재

        금융회사 대주주 적격성 규제에 대한 소고

        심영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一鑑法學 Vol.0 No.47

        In the past 10 years, there have been a number of financial accidents related to illegal acts and immoral management of controlling shareholders. Examples include the savings bank crisis, the Dongyang group crisis, and the private equity crisis of Lime Asset Management and Optimus Asset Management. These financial accidents not only caused the financial company to become insolvent, but also caused great damage to financial consumers. This thesis aims to analyze whether the current regulations on controlling shareholders are appropriate to prevent fraudulent behavior by them and to prevent ineligible controlling shareholders from managing financial companies, and to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II. analyzes the financial company ownership regulations. III. analyzes controlling shareholders fit and proper test when establishing a financial company, examines the approval system for controlling shareholders changes, and analyzes the periodic controlling shareholder eligibility screening system. Based on theses analysis, IV. proposes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fit and proper regulation on controlling shareholders of financial companies.In order to improve the current fit and proper regulations on controlling shareholders, it is necessary to ensure consistency in the subject of eligibility for controlling shareholders.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scope of shareholders who are subject to fit and proper test as controlling shareholders. In addition, the stock disposal order system needs to be supplemented in order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the controlling shareholder fit and proper regulat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regulations on controlling shareholders for asset management companies, which are specialized private equity funds. Since the regulation on controlling shareholders restricts shareholder rights and infringes on the property rights of shareholder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lear standards in the law. Through these measur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ppropriate controlling shareholder regulatory system to prevent damage to financial consumers by securing a sound financial order and management soundness of financial companies. 지난 10년간 대주주의 불법행위와 부도덕한 경영과 관련된 금융사고가 다수 발생하였다. 저축은행사태, 동양그룹사태, 라임자산운용과 옵티머스자산운용의 사모펀드사태가대표적이다. 이들 금융사고는 해당 금융회사의 부실화뿐만 아니라 금융소비자 피해를 크게 가져왔다. 이 논문은 대주주의 부정행위를 방지하고 부적격 대주주가 금융회사를 경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현행의 대주주 규제가 적절한지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는 금융회사 소유규제의 내용을 분석한다. Ⅲ.은 대주주 진입규제로서 금융회사 설립시 적격성 심사내용, 대주주 변경승인 제도, 주기적 대주주 적격성 심사 제도를 분석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Ⅳ.는 금융회사 대주주 적격성 규제의 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현행 대주주 적격성 규제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대주주 적격성 심사대상에 대한 일관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그리고 대주주 적격성 유지심사대상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대주주 적격성 규제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주식처분명령제도의 보완이 필요하다. 전문사모집합투자업자인 자산운용사에 대한 대주주 규제는 강화할 필요가 있다. 대주주의 규제는 주주권을 제한하고 주주의 재산권을 침해하는 것이므로 명확한 기준을 법률에서 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방안을 통해 건전한 금융질서와 금융회사의 경영건전성을 확보함으로써 금융소비자의 피해를 방지하는 적절한 대주주 규제제도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