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바이오안보 대응에 있어 지식재산의 역할에 관한 소고

        심미랑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22 法과 政策 Vol.28 No.2

        In the late 20th century, advanced countries recognized infectious diseases as a phenomenon of poor countries and only as objects of humanitarian assistance, but due to the transboundary infectious disease situation that occurred in the 21st century, advanced countries also recognized infectious diseases as a security issue, and the importance of biosecurity is increasing. Biosecurity has generally been defined as measures to protect humans, animals and plants, the environment, etc. from pathogenic microorganisms that are intentionally, accidentally, or naturally occurring. This includes not only health, agriculture or the environment, but also the security threat level in which pathogens are used as biological weapons. Recently, it is a comprehensive, broad concept defined as the totality of risk management to defend against biological threats. In response to biosecurity in a transboundary epidemic situation, the efforts of individual countries alone are insufficient, and response and cooperation at the global level are essential. In biosecurity, which exhibits technology- intensive characteristics, the role of intellectual property that grants exclusive rights to new technologies is important. In this context, discussions on the opening and sharing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or biosecurity are being conducted in WTO/TRIPS, MPP, Open COVID Pledge, and C-TAP. In order to promote R&D and supply medicines to respond to biosecurity,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sufficient compensation for technological development are essential. However, the key point is that it is difficult to achiev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donation of technology-holding companies and the state due to the nature of intellectual property that grants exclusive right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ccordingl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seeking a solution through COVAX, which provides sufficient compensation to pharmaceutical companies, purchases vaccines in bulk, and distributes vaccines equally to each country according to certain rules. As the global spread of zoonotic diseases frequently occurs in the 21st century, the concept of One Biosecurity, which must deal with each sector such as humans, animals, plants, and the environment, as one, has emerged. Accordingly, in order to effectively respond to biosecurity issues in Korea,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gular response system between related ministries and cooperate closely, an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articipate in discussions on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system related to biosecurity. 20세기 후반에 선진국에서는 감염병을 빈곤국가의 현상이자 인도적 지원 대상으로만 인식하였으나, 21세기에 발생한 초국경적 감염병 상황으로 선진국에서도 감염병을 안보 이슈로 인식하게 되었고 바이오안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바이오안보는 일반적으로 의도적, 우발적으로 살포되거나 또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병원성 미생물로부터 인간, 동식물, 환경 등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정의되어 왔고, 보건・농업 또는 환경 분야 뿐만 아니라 병원균이 생물학적 무기로 사용되는 안보적 위협 차원까지 포함한다. 최근에는 포괄적, 광의의 개념으로 생물학적 위협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한 위험 관리의 총체로 정의되기도 한다. 초국경적인 전염병 상황에서 바이오안보를 대응함에 있어서는 개별 국가의 노력만으로는 부족하고, 글로벌 차원에서의 대응과 협력이 필수적이다. 기술집약적인 특성을 보이는 바이오안보에 있어서는 새로운 기술에 대하여 독점권을 부여하는 지식재산의 역할이 중요하며, 이러한 상황에서 WTO/TRIPS, MPP, Open COVID Pledge, C-TAP 등에서는 바이오안보를 위한 지재권의 개방 및 공유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바이오안보를 위한 R&D 촉진 및 의약품 공급 등을 위해서는 지식재산의 보호와 기술개발에 대한 충분한 보상이 필수적이나, 일정기간 독점권을 부여하는 지식재산의 특성상 기술보유 기업과 국가의 자발적인 참여와 공여를 이루어내기가 어렵다는 점이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국제사회에서는 COVAX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제약사에게 충분한 보상을 하고 백신을 대량 공동구매하여 일정한 규칙에 따라 각국에 백신을 공평하게 분배하는 방식 등을 통하여 해결책을 도모하고 있다. 21세기에 인수공통감염병 등의 전세계적인 확산 현상이 자주 발생함에 따라 인간, 동물, 식물, 환경 등 각 부문을 하나로 연계하여 다루어야 한다는 One Biosecurity의 개념이 대두됨에 따라, 우리나라도 바이오안보 문제에 효율적 대응을 위해서는 관련 부처간 상시 대응체계를 구축하여 긴밀히 협력할 필요가 있으며, 바이오안보 관련 국제적 협력체계의 논의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중국 생물안전법에 대한 연구 ― 문제점 및 해결방안 중심으로 ―

        韩承勋 ( Han¸ Seung-hoon ),李玄雨 ( Lee¸ Hyun-woo ),洪弦廷 ( Hong¸ Hyun-jung ) 한국환경법학회 2020 環境法 硏究 Vol.42 No.1

        생명공학 기술은 의료, 위생, 농업, 환경보호, 화공, 식품 및 보건 영역에서 인류의 건강과 생존 환경을 개선하였고, 농림업과 공업의 생산량 및 품질을 향상 시키어 전 세계 경제발전에 많은 공헌을 함과 동시에 생물안전 문제, 윤리 및 도덕과 같은 부정적인 문제들도 가지고 있는 “양날의 검”과 같다. 생물안전은 영어로 안전성을 의미하는 ‘biosafety’ 또는 안보를 의미하는 ‘biosecurity’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고,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안전한 관리, 감염성 병원체로 인한 질병의 관리 같은 것은 바이오 안전성(biosafety)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가축 질병의 만연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생물테러, 생물무기와 관련될 경우 “생물안보”(biosecurity)라고 부를 수도 있다. 이처럼 생물안전 개념은 국가, 지역, 집단, 개인 혹은 여건·상황에 따라 용어나 내용적 범위를 달리해 쓰이고 있다. 생물안전의 관리주체는 일반적으로 민간, 기업, 지방정부와 중앙정부이며 주요 관리대상은 전염병, 병해충, 유전자변형, 외래종, 기후변화, 오염물질 등이고, 관리범위는 지리적으로 생태계, 지역, 국가, 전 세계이면서 사회, 문화, 환경, 위생 등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다루고 있다. 따라서 생물안전에 소홀할 경우 지역사회나 국가를 넘어서 심각할 경우 전 세계까지 확산될 수 있다. 중국은 1990년대부터 생물안전 관련 법률, 법규, 행정명령 형식의 규범성 문건들을 발표하였고 생물경제 발전이 가져온 생물안전 문제에 대한 법률과 법규들을 제정하였다. 그러나 생물안전 선진국가와 달리 중국의 생물안전 관계 법제는 아직 그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기존 법률과 법규들은 실질적인 생물안전 수요에 비해 부족한 부분들이 있다. 주지하다시피 WHO가 2020년 3월 11일 코로나19(COVID-19) 사태에 대해 팬데믹(Pandemic)을 선언하였으며 전 세계가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이러한 중대한 생물안전 문제들의 특징은 다양성, 광역성, 집단성, 전파성, 치명성, 복잡성 등을 나타내고 있다. 이런 특징으로 인해 생물안전 문제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해 상당한 수준의 과학적 지식과 경험이 요구되고, 동시에 관련 법체계, 관리체계, 제도들은 가능한 중복을 피하고 간결하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중국 생물안전 관련 법률과 법규의 주요 문제는 중국의 민법 체계가 단행법 위주의 입법형태를 갖추고 있어 조정 대상 위주로 개별법을 제정하다 보니 관련법률과 법규간 내용상 불일치, 비협조, 모호성을 피할 수 없다. 이것은 생물안전 관리체계에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중앙과 지방의 복잡한 보고 체계, 지방정부의 응급조치 권한 비효율성, 정보공개의 비신속성, 사법제도 부실 등의 문제 등을 안고 있다. 따라서, 중국은 조속히 생물안전법의 제정을 통해 현행 중국 생물안전 법체계의 구조적 결함을 개선하고, 생물안전에 관계된 법규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적인 법체계를 수립하며, 기존의 복잡하고 중복적인 관리체계를 개선하여 중앙과 지방의 입체적·신속적인 협력을 추진하면서 사법기능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Biotechnology has improved human health and survival in the areas of medicine, hygiene, agriculture, environmental protection, chemicals, food, health, and contributes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world by improving the production and quality of agriculture and industry. It is like a “double-edged sword” that also has negative issues such as biosafety issues, ethics and morals. In particular, biosafety can be understood as the concept of ‘biosafety’ in English or ‘biosecurity’ in terms of security, and the safety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nd the management of diseases caused by infectious pathogens. It may also be called “national biosecurity” beyond biosecurity when it comes to economic losses, bioterrorism concerns, and biological weapons due to the prevalence of livestock disease. As such, biosafety concepts are used in different terms or scopes depending on the country, region, group, individual, or situation. Biosafety management agencies are generally private, corporate, local and central government. their main management targets are infectious diseases, pests, genetic modifications, invasive species, climate change and pollutants, and the scope of management is geographically ecosystem, region, country and world. In addition, it covers a wide range of fields such as society, culture, environment and hygiene. Thus, neglect of biosafety can spread beyond communities or countries and, in serious cases, to the whole world. Since the 1990s, China has published normative documents in the form of laws, regulations and executive orders on biosafety, and enacted laws and regulations on biosafety issues brought on by bioeconomic development. However, unlike the advanced biosafety countries, China's biosafety legislation has not yet reached that level, and existing laws and regulations lack the actual biosafety demand. As is well known, WHO declared Pandemic on March 11, 2020 for the Corona 19 (COVID-19), and the world suffered serious damage. These significant biosafety issues are characterized by diversity, wide area, collectiveity, dissemination, fatality, and complexity.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a considerable amount of scientific knowledge and experience is required to effectively prevent and solve biosafety problems, and at the same time, related legal systems, management systems, and systems need to be structured as simple as possible, avoiding duplication. The main issue of China's biosafety laws and regulations is that the Chinese civil law system has a legislative form focusing on single law. Individual laws are mainly oriented to mediation, so there are inconsistency, non-cooperation, or ambiguity in the content of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This has had an impact on the management system in relation to biosafety, especially the central and local complex reporting system, the inefficiency of local governments' first aid measures, the non-existence of information disclosure, and the lack of judicial system. By enacting the Biosafety Act, China will improve the structural deficiencies of the current Chinese biosafety law system, establish an effective legal system to adjust the regulations related to biosafety, and improve the existing complex and redundant management system i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It is expected to strengthen the judicial function by promoting the three-dimensional and rapid cooperation.

      • KCI등재

        Disinfection of various materials with 3-(trimethoxysilyl)-propyldimethyloctadecyl ammonium chloride in hatchery facilities

        김유진,Kim Jun-Beom,송창선,Nahm Sang-Soep 아세아·태평양축산학회 2022 Animal Bioscience Vol.35 No.4

        Objective: Surface disinfection is important in the proper running of livestock farms. However, disinfection of farm equipment and facilities is difficult because they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besides having large surface areas and complex structures. 3-(trimethoxysilyl)-propyldimethyloctadecyl ammonium chloride (Si-QAC) is a quaternary ammonium salt-based disinfectant that attaches to various surfaces by forming covalent bonds and maintains its disinfecting capacity for a considerable time. Our aim was to evaluate the potential use of Si-QAC for disinfection of farm equipment and facilities.Methods: The short- and long-term antimicrobial and antiviral effects of Si-QAC were evaluated in both laboratory and farm settings using modified quantitative assessment method based on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of the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Results: Si-QAC was highly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growth of the Newcastle disease virus and avian pathogenic Escherichia coli.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that the mechanism underlying the disinfection activity of Si-QAC was associated with its ability to damage the outer membrane of the pathogen cells. In the field test, Si-QAC effectively reduced viral contamination of surfaces of equipment and space.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Si-QAC has great potential as an effective chemical for disinfecting farm equipment and facilities. This disinfectant could retain its disinfection ability longer than other commercial disinfectants and contribute to better farm biosecurity.

      • Modeling potential global distribution of a leafroller, Epiphyas postvittana (Lepidoptera: Tortricidae) using CLIMEX and a new multiple-model system

        Shuqi He,Susan P Worner,Takayoshi Ikeda,Gwenael Leday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05

        Light brown apple moth, Epiphyas postvittana, is a significant horticultural pest native to Australia, and currently with a limited global distribution. However it can tolerate very heterogeneous climatic and vegetation conditions and has recently invaded California with considerable consequences for US international and domestic trade. By comparing the climatic conditions of its native (Australia) and long-established (New Zealand) ranges to the rest of the world using CLIMEX, it was suggested that E. postvittana has potential to establish mainly in countries in Central and South America, southern Africa, west Europe and South-east Asia. However, the predicted global distribution of E. postvittana using a new multiple-species-distribution model system suggested that there are additional climatically suitable areas around the world where this species could potentially survive and establish. Our study provides basic but important information for further assessment of the establishment capacity of this species in new habitats, wihch will provide the knowledge required to make science-based decisions in biosecurity.

      • KCI등재

        합성생물학 리스크와 법적 대응 방안에 관한 고찰

        함태성 한국비교공법학회 2024 공법학연구 Vol.25 No.2

        2000년대 들어서면서 우리는 자신의 유전정보를 모두 알 수 있는 ‘포스트 게놈 시대’ 를 살게 되었다. 이것이 가능하게 된 것은 DNA염기서열을 자동으로 읽어낼 수 있는 기술과 많은 양의 유전자 서열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컴퓨팅 기술이 발전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생물학 분야는 생명공학, 정보기술, 나노기술 등과 결합하면서 새로운 차원의 발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 생물학 분야의 주류로 등장하고 있는 것이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이다. 합성생물학은 의료, 보건, 재생 에너지, 농업과 식품, 환경 분야 등에서 인류가 직면한 문제들을 해결해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분야에서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듯 현재 미국, 유럽, 중국, 일본 등 세계 여러 나라들은 합성생물학 기술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또한, 합성생물학 관련 특허분쟁은 바이오 산업계의 최대 법적 분쟁 사안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도 바이오산업 분야의 핵심기술로 꼽히는 합성생물학을본격 육성하기 위해 합성생물학에 대한 국가적 지원·육성책을 마련하고 있다. 우리는 합성생물학이 지니고 있는 양면성에 대하여도 특별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합성생물학은 우리에게 많은 혜택과 풍요를 선사해 줄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우리가 미처 예상하지 못한 위험을 우리 사회에 제공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우리는 새로운 과학기술에 내포되어 있는 잠재적 위험이 후일 확실한 위험으로 밝혀지고 이미 회복할 수 없는 피해가 발생하여 인류에게 많은 고통을 준 사례들을 지속적으로 보아 왔다. 합성생물학과 유전자가위기술도 예외라 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합성생물학의 발전에 따른 잠재적 위험에 대하여 주목할 수밖에 없고, 합성생물학의 발전을 도모하면서도 연구 활동과 결과 등에 대한 적절한 평가·관리 및 제도적 감시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합성생물학을 통하여 만들어진 합성생명체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지, 생물테러등 생물안보와 관련된 문제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누가 합성생물학의 위험성을 대비하고 통제할 것인지, 어떠한 제도적 장치와 법령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인지 등에 대하여 끊임없이 질문하고 적극적으로 대안을 모색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질문과 문제 제기에 답하기 위해, 우선, 합성생물학의 개념과 양면성에 관한 살펴보고 있고, 합성생물학의 잠재적 위험과 법정책적 함의에 대하여 검토하고 있다. 그리고 합성생물학 리스크 대응 방향과 대안 모색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 있다. In the 2000s, we are living in a ‘post-genome era’ where we can know all our genetic information. This has been made possible by technologies that can automatically read DNA sequences and computing technologies that can process large amounts of genetic sequence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the field of biology is showing a new level of development as it combines with biotechnology, information technology, and nanotechnology. In this trend, synthetic biology is emerging as a mainstream field of biology. Synthetic biology is expected to solve the problems facing humanity in medical, health, renewable energy, agriculture and food, and the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create new jobs in various field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 also need to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ambivalence of synthetic biology. However, we also need to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ambivalence of synthetic biology. This is because synthetic biology may provide us with many benefits and abundance, but on the other hand, it may provide our society with risks that we have not yet anticipated.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potential risk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synthetic biology. It is necessary to ask questions and seek alternatives about whether the safety of synthetic life created through synthetic biology can be guaranteed, how to respond to biosecurity-related issues such as bioterrorism, who will prepare and control the risks of synthetic biology, and what policies and laws should be in place.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and questions,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and ambivalence of synthetic biology, and examines the potential risks and legal implications of synthetic biology. In addition, it makes several suggestions for responding to synthetic biology risks and seeking alternatives.

      • KCI등재

        동아시아 보건안보의 쟁점과 협력

        조한승 한국동북아학회 2018 한국동북아논총 Vol.23 No.4

        보건안보는 질병의 예방, 처치, 대응을 인간 공동체의 유지와 안전의 측면에서 접근한다. 보건안보의 위협 요인 뿐만 아니라 대응책과 행위자도 그에 상응하여 다양하다. 최근 보건안보는 ‘예방’ 접근뿐만 아니라 예상치 못한 보건 긴급상황에 대한 사회 필수체계의 유지에 초점을 맞추는 ‘대비’의 접근에서 다루어진다. 동아시아에서 보건안보 도전은 신종 감염병, 바이오 안보, 식품 안전성, 비전염성 만성질환 및 고령화 등이 지적된다. 한중일은 보건안보구상, 보건복지, 보건외교 등을 보건안보 정책에 포함하고 있으나, 지역차원의 다자간 협력은 취약하다. 지역 보건안보 협력을 위해서는 (1) 정부 및 민간이 참여하는 한중일 보건안보 대화의 제도화가 필요하며, (2) 한중일이 비교우위를 가진 첨단기술을 보건안보에 적용하는 공동 투자 및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하고, (3) 비전염성 질병 및 고령화 등 공동의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개발에서의 협력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Health Security describes the prevention, treatment and response of diseases in terms of continuity and safety of the human community. Recently, health security is been seeking not only in ‘prevention’ but also in ‘preparedness’ which emphasizes securing social vital system from health emergencies. In East Asia, threats include food safety, non-communicable diseases and population aging as well as new infectious diseases and biosecurity. Countries in the region have implemented their own policies such as participation in the GHSA, health care system development and health diplomacy, but multilateral health security cooperation at regional level is fragile. In order to promote regional health security cooperation between Korea, Japan and China, the followings should be considered: (1) institutionalization of trilateral health security dialogues in which private actors and governments participate; (2) joint investment and research to use advanced technology for health security; and (3) policy cooperation addressing common health issues such as NCDs and population aging.

      • KCI우수등재

        한국의 외래생명정치와 인간 너머의 생명안보 : 붉은가재(Procambarus clarkii)를 통해 바라본 생태계 교란종의 존재론적 정치

        김준수(Kim Junsoo) 비판사회학회 2021 경제와 사회 Vol.- No.132

        이 글은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외래종 관리 정책을 붉은가재(Procambarus clarkii) 사례를 통해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 연구는 외래종 관리 정책이 생태보전과학지식에 기반해 종을 하나의 단위로 정책을 집행하는 과정의 한계를 드러낸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외래종의 존재론적 지위와 생태학적 기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외래종에 대한 기존의 생태보전과학지식을 정치생태학적으로 재해석하고자 한다. 특히 외래종이라는 단일한 존재론적 지위로 포착되지 않는 비인간 행위자들의 물질성과 역사성 그리고 그들이 인간과 맺어온 다른 층위의 상징적 관계성은 현재 한국에서 작동하고 있는 외래생명정치의 새로운 가능성을 담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2020년 한국에서 생태계 교란종으로 지정된 붉은가재의 사례를 통해 구체적인 생명안보 작동방식과 그 과학적 근거들을 분석한다. 이후에는 붉은가재가 형성하고 있는 다종적 관계성과 외래종이라는 단일한 지위로는 포착되지 않는 존재론적 경합을 밝힌다. 이를 통해서 이 연구는 비인간 행위자들의 물질성과 역사성, 그리고 그들이 맺고 있는 다양한 관계성을 통해 외래종 관리과학과 정책 수행의 재구성 가능성을 함의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ontological politics of invasive species in South Korea using Red Swamp Crayfish(Procambarus clarkii). The environmental policy for invasive species management is based on ecological conservation science and implied the regulation as the species unit. This study will critically engage the existing invasive species management policy with the concept of ‘more-than-human biosecurity.’ These approaches bring us to the various ontological position that can not simply be defined as invasive species. To do so, in this study, I will critical engages to the ecological conservation sciences with political ecologies of onto-politics and interspecies politics. By doing so, This study also will analyze the case of Red Swamp Crayfish, which was decided as an ‘ecological disturbance species’ in South Korea, 2020. Reconceptualization of more-than-human biosecurity with interspecies relationships and materialistic approaches will offer new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vasive species policy and analytic framework.

      • 생물안전 법제 기초 연구

        홍현정,이현우,윤익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5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초연구보고서 Vol.2015 No.-

        인구 증가와 경제 성장은 토지전용, 영양염류, 기후변화, 간벌·방제, 남획·밀렵, 외래종, 병해충, 질병, 유전자변형생물체를 유발하고 있으며, 생물 서식처의 물리적 변화 및 생태계구조 변화를 초래하여 생물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생물안전은 각각의 과정에 잠재된 위협요인을 규명하고, 위협요인으로부터 생물종·생태계·생물다양성을 보호하며, 위협요인에 대한 생물종·생태계·생물다양성의 취약성, 저항력, 회복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총체적 관리가 이루어질 때 실현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대내외 생물안전 관리 현황 및 법·제도검토를 통해 생물안전 관리에 포괄적이며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제도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생태계·종·유전다양성 및 생물안전에 대한 인식과 우려가 고조되면서 국제사회는 국제식물보호협약, 해양법협약, 생물다양성협약 등 다양한 협약·협정을 체결하여 생물안전을 확보하고 있다. 뉴질랜드, 호주, 미국, 영국 등의 선진국에서는 생물안전 위협요인를 규정하고, 위협요인에 대응한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다. 국제사회와 선진국은 첫째 생물안전 위협요인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통해 생물안전 위협요인이 환경, 사회, 경제, 문화, 보건에 미치는 실질·잠재적 영향을 통합 고려하고 있으며, 둘째 생물안전 법제는 생물 매체·서식 공간별 접근이 아닌 상호 보완적 관계를 유지하도록 정비하고 있으며, 셋째 생물안전 확보를 위한 의무, 책임, 의사결정을 기업·주민과 함께 공동으로 추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자연·생태계, 생물, 자연혜택, 유전자원, 생명공학 부문의 안전관리를 위해 개별법을 제·개정하며, 개별법에 의거한 기본계획을 수립·이행하고 있다. 개별법을 통해 생물안전 위협요인을 규정하고, 위협요인의 저감을 위한 시책을 마련하고 있으나, 생물 매체혹은 공간에 대한 개별 접근으로 시책의 효과가 제대로 발현되지 못하고 있다. 생물안전을 독자 영역으로 분리 인식하여 생물안전의 종합 관리를 위한 법제 정비를 통해 범부처 차원의 생물안전 관리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생물안전 법제의 검토를 통해 첫째 생물안전에 대한 대응은 물론 인식조차 미미한 위협요인(간벌·방제, 영양염류)은 기존법 개정 및 개별법제정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으며, 둘째 인식은 하고 있으나 대응이 부족한 위협요인(기후변화, 남획·밀렵, 질병)은 기존 법제에 신규 제도를 도입하여 생물안전 대응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인식 및 대응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질적 효과를 보고 있지 못한 위협요인(토지전용, 외래종, 병해충)은 기존 제도의 이행력 증진에 초점을 맞춰 법제의 개정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이때, 토지전용, 영양염류, 기후변화, 간벌·방제 등 비생체적 요인에 영향을 미쳐 서식처의 물리적 변화를 초래하는 위협요인은 개별법을 통해 관리하되, 남획·밀렵, 외래종, 병해충, 질병, 유전자변형생물체 등 생체적 요인에 영향을 미쳐 생태계의 구조변화를 초래하는 위협요인은 현행 법체계를 통합하거나 범부처 차원의 생물안전종합관리계획을 수립하여 현행 제도를 개선·보완할 필요가 있다. 생태계의 구조 변화를 초래하여 법제 간 통합 관리가 필요한 위협요인은 첫째, 환경 외사회·경제·문화·보건·복지 영향을 고려하며, 둘째, 시기·장소·생물종·관리 주체·행정경계를 초월한 생태계 중심의 생물안전 관리 단위를 설정하도록 한다. 셋째, black list 외 white list를 작성하여 생물안전 위협요인을 융합 관리하며, 넷째, 위해성 평가는 국내에 유입되지 않았으나 유입 우려가 높은 생물종까지 평가 범위를 확대하여 적용하도록 한다. 이때 대상종의 규모, 특성, 개연성, 악영향 등의 잠재 가능성까지 고려할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물리·인프라 차원의 생물안전 관리보다는 생태계 및 생물종 자체의 고유 능력을 신장시킬수 있는 관리 방식으로 전환하도록 하며, 여섯째, 방제·복원의 요건, 시점, 방법, 주체, 협조 등 구체적 기준을 마련하여 실질적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법제 정비를 통해 민관 합동 생물안전 협력체계를 보장하고, 지역사회, 기업, 민간단체, 지역주민과의 공동 결정 및 공동 책임을 통해 생물안전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Population growth and economic growth threaten biosecurity by affecting non-biological or biological factors and lead to physical changes of biological habitats and structural changes of ecosystem. Biosecurity is achievable when potential threats in each process are identified, species, ecosystem and biodiversity are protected from threats, and the overall management to promote their vulnerabilities, resiliences and retrievabilities is carried out.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nstitutional direction towards managing biosecurity in a comprehensive and effective manner by reviewing related domestic and overseas legislations and institutions. While factors that threaten biosecurity have been identified and diverse measures to mitigate the risk factors have been implemented based on related laws, these measures failed to produce desired effect due to the isolated approaches to individual biological medium or space. It is necessary to perceive biosecurity as an independent domain, improve related laws for the its comprehensive management, and pursue biosercurity management across ministries. Threats that cause physical changes in biological habitats by affecting non-biological factors such as land use change, nutrient, climate change, thinning and biological control should be managed based on specific legislation. At the same time, threats that affect biological factors and result in structural changes of ecosystem including over-catching, poaching, exotic species, disease, insect pest and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should be managed by integrating the current laws system or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plan on biosecurity management across ministries. To achieve biosecurity by managing the threats that require integrated management, first, the social, economic, cultural, health and welfare impacts of threats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environmental impacts. Second, the unit of biosecurity management should be defined with focus on ecosystem by transcending time, space, species, management authorities and administration boundaries. Third, factors that threaten biosecurity must be managed in a comprehensive manner by formulating a white list as well as a black list. Fourth, the scope of the risk assessment should be extended from invasive species to biological species that have yet been introduced but are highly likely to invade. Here, potential threats including the species size, characteristics, probability and harmful influences should also be considered. Fifth, rather than approaching from physical and infrastructural perspectives, biosecurity management should focus on improving the innate abilities of the ecosystem and biological species. Sixth, specific criteria on prevention and restoration should be provided such as requirement, timing, method, responsible parties and cooperation system. Through the consolidation of legislation by considering the above-stated items, the cooperative system for biosecurity should be constructed, and biosecurity should be practically managed by the joint decision and shared responsibilities among local communities, businesses, private organizations and local residents.

      • KCI등재

        분류 트리 기법을 이용한 국내 일괄사육 양돈장의 차단방역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기여 요인 평가

        김규옥,박선일 한국임상수의학회 2016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33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potential contributing factors associated with biosecurity level of farrow-to-finish pig farms and to develop a classification tree model to explore how these factors related to each other based on prediction model. To this end, the author analyzed data (n = 193) extracted from a cross-sectional study of 344 farrow-to-finish farms which was conducted between March and September 2014 aimed to explore swine disease status at farm level. Standardized questionnaires with information about basic demographical data and management practices were collected in each farm by on-site visit of trained veterinarians.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data sets regarding biosecurity level as a dependent variable and predictor variables, Chi-squared Automatic Interaction Detection (CHAID) algorithm was applied for modeling classification tree. The statistics of misclassification risk was used to evaluate the fitness of the model in terms of prediction results. Categorical multivariate input data (40 variables) was used to construct a classification tree, and the target variable was biosecurity level dichotomized into low versus high. In general, the level of biosecurity was lower in the majority of farms studied, mainly due to the limited implementation of on-farm basic biosecurity measures aimed at controlling the potential introduction and transmission of swine diseases. The CHAID model illustrat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significant predictors in explaining the level of biosecurity; maintenance of medical records of treatment and vaccination, use of dedicated clothing to enter the farm, installing fence surrounding the farm perimeter, and periodic monitoring of the herd using written biosecurity plan in place. The misclassification risk estimate of the prediction model was 0.145 with the standard error of 0.025, indicating that 85.5% of the cases could be classified correctly by using the decision rule based on the current tree. Although CHAID approach could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and insight about interactions among factors associated with biosecurity level, further evaluation of potential bias intervened in the course of data collection should be included in future studies. In addition, there is still need to validate findings through the external dataset with larger sample size to improve the external validity of the current model.

      • KCI등재

        국내 양돈장의 차단방역 수준에 대한 역학적 연구: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위험요인 분석

        김규욱,박선일 한국임상수의학회 2015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32 No.1

        Although researches have highlighted the important role of enhanced farm biosecurity to reduce the severity and prevalence of diseases in livestock, to date there has been little study in Korea on farmers’ adoption of biosecurity measures to control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PRRSV) infection. To mitigate the risk of PRRSV infection in pigs, the risk factors by which PRRSV is introduced in pig farms must be determined.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ig producers’ perceptions about on-farm biosecurity practices. We also analyzed data obtained from a cross-sectional study on 196 farrow-to-finish farms conducted between March 2013 and February 2014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PRRSV infection at farm level. Standardized questionnaires with information about basic demographical data and management practices were collected in each farm by on-site visit of trained veterinarians. Farms were classified as negative or positive through the use of infection profiles that combined data on PCR positive pigs and serological testing including antibody titer, sero-conversion pattern at each age category, and vaccination status. Data on biosecurity practices, farm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multivariate ordinal logistic regression. Generally, the biosecurity level in the pig farm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insufficient to reduce/prevent the risk of PRRSV infection given the high pig density areas and the considerable extent of vehicle movement. Factors associated with PRRSV infection were those where owners used on-farm vaccination programs had a lower risk of infection (OR = 0.19, 95% CI 0.06-0.61).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may guide to tailor biosecurity measures in the reduction or prevention of PRRS to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pig farms in different localities of the world. To the best knowledge of the authors, this is the first study to report information on the biosecurity practices currently implemented on Korean pig fa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