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백제의 유학 지식 수용 방법과 목적

        최유림 한국사연구회 2023 한국사연구 Vol.- No.203

        이글에서는 백제가 유학 서적을 수용한 방법과 목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에 한성기 유학 서적의 수용 양상의 변화와 의미를 검토하고, 한성함락으로 인한 유학 지식 수용 방법의 변화와 의미를 고찰하였다. 중국에서 들여온 유학 서적은 한성백제기부터 그 원류를 찾을 수 있다. 3세기 무렵 춘추좌씨전 이 수용된 모습이 확인되며, 백제는 현왕조의 존속과 앞으로의 번영을 위한 목적으로 춘추좌씨전 을 수용하였다고 생각된다. 이 시기 백제는 한군현 및 중국계 유이민을 통해 서적의 형태로 유학 지식을 수용하였다. 백제는 한군현 및 중국계 유이민들로 인해 현실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지식과 문물을 접할 수 있었다. 그렇지만 이들은 중국 왕조의 공식적 교육 제도 안에서 훈련된 인물들이라 보기 어렵다. 결국 한성백제기에는 중국계 세력을 통해 당장 직면한 전쟁의 명분 확보, 대민 지배 등의 목적을 위해 유학 지식을 수용했다. 475년 한성함락으로 인해 한성백제기 중국으로부터 수용한 서적들이 소실되었으며, 중국에서 서적을 재수용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었다. 백제는 484년 내법좌평 사약사를 남제에 파견하여 한성함락으로 무너진 시스템을 회복하고자 하였다. 그렇지만 고구려군과 조우로 실패로 돌아가자, 중국에 직접 박사를 요청하여 유학 지식 수용 방법에 변화를 주었다. 그래서 성왕대 강례박사와 모시박사가 백제로 들어오게 된다. 백제는 중국 왕조의 교육 기관에 속한 학자들에게 禮와 詩에 담긴 의미를 전수받게 되었고, 이를 정치이념화하는데 이르렀다. 중국 왕조의 박사가 본국으로 돌아간 이후, 유학 지식은 앞선 시기 중국계 세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전승되어 지배층과 지식인들에게 널리 보급되었다. 이후 7세기 초중반에 이르면 백제에는 五經子史가 읽혀졌으며 <흑치상지 묘지명>과 일본서기 등에서 춘추좌씨전 , 논어 , 한서 , 사기 , 후한서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attempted to speculate on the methods and purpose of Baekje’s acceptance of Confucius's texts. For reasons of such, the article examines the changes and meaning of Confucius's text acceptance patterns during the Hanseong Era, and the changes and meaning of Confucius's knowledge acceptance method due to the fall of Hanseong. The very origin of the Confucius texts imported from China can be found in the Hanseong Baekje Era. Around AD 3, the acceptance of <Chunqiuzuoshichuan> was confirmed, and it is considered to have been triggered by the Baekje Royals’ attempts to subsist and thrive. During this era, Baekje accepted Confucius knowledge in textual formats through the Han Commanderies and Chinese immigrants. Through, Baekje came across new knowledge and culture that enabled them to overcome their current status. However, it is inappropriate to view them as figures educated within the official educational system of Chinese thrones. At last, Confucius's knowledge was accepted to secure the objective for their status of war confronted, the ruling of the public and others during the Hanseong Baekje Era through the Chinese influences. Due to the fall of Hanseong in 475, the texts accepted from China during the Hanseong Baekje Era were lost, and the circumstances demanded another acceptance of texts from China. In 484, Baekje sent Naebeobjoapyung Sayaksa to Southern Qi to recover from the system demolished by the fall of Hanseong. However, when it failed due to an encounter with the Goguryeo army, Baekje directly requested a doctor to China to bring change to the method of accepting Confucius's knowledge. This was when a doctor of etiquette lecture and a doctor of Maoshi came to Baekje under the throne of King Seong. Baekje then received the meaning of courtesy and poetry from scholars belonging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of the Chinese Dynasty, which led to the production of political ideology. After the doctors of the Chinese Dynasty returned to his home country, Confucius's knowledge was continuously passed down by Chinese influences during the earlier period and spread widely to the ruling class and intellectuals. Later, by the early-mid 7th century, the Five Classics, the Hundred Schools of Thought, History were read in Baekje, and in <Heukchi Sangji Cemetery Name> and Japanese Seogi, Chunqiuzuoshichuan, the Analects of Confucius, Han Shu, Shiji, and Hou Han Shu were confirmed to have been read.

      • KCI등재후보

        百濟 熊津期 漢江流域支配 問題와 그에 대한 認識

        이도학 서울역사편찬원 2009 서울과 역사 Vol.- No.73

        Many researchers have a lot discussed who controlled the area of the Han River. What has been most important for that matter is that whether Goguryeo occupied this area after it collapsed Hanseong, the capital of Baekje on Sep. 475 A.D. <Samguk Sagi> says that at that time Baekje had still dominated Hanseong as well as the surroundings of the Han River and a battlefield between Baekje and Goguryeo in the era of Woongjin had also been formed in the northern Gyeonggi Province and Hwanghae Province as it had been in the Hanseong era (18 B.C~475 A.D.). In the light of the contents of <Samguk Sagi>, it could be found that Goguryeo didn't dominate the area of the Han River and Baekje also didn't lose it. The chapter for geographical features of <Samguk Sagi>, however, says that the administrative names of Goguryeo reached the area of the Asan Bay, confirming this historical fact from archaeological evidence. The chronicle part of the <Samguk Sagi> omits severely the history of Goguryeo but for the articles related to wars, the book introduces almost all the chronicle of Baekje, which means that any contents regarding the surroundings of the Han River shown on <Samguk Sagi> is just none other than the article of Baekje chronicle. A poor perception of such problematic view of history and resulting impartial recording has naturally led to the Han River area dominated by Baekje. And some suggestions of geographical name-transfer have been very poor in their arguments and revealed arbitrary interpretation as well. Furthermore, suggestions that concretely explained places to which the names were transferred were too much. I discovered that not only suggestions of Baekje's rule over the Han River area but name- transfer have all weak arguments and logical deficiency. The people of Baekje recorded as if they had continued to dominate the area of the Han River that had been associated with the legitimacy of the Royal Munyeong lineage which had tried to link it with King Gaero who was the last king in their Hanseong (the home of Baekje) era. In their view, history was real and was very important when the government tried to solve pending issues. Since the era of King Seong, Baekje has put its top priority on recovering the Han River area which had been taken by its neighboring Shilla. We could assume that for this, Baekje used both retaliatory attacks and political pressure against Shilla and as a countermeasure of it, Shilla demanded that they possessed the Han River area as a territory of Goguryeo, not of Baekje and Baekje would need to break such arguments made by Shilla. And for this, Baekje demanded that the Han River area had been their territory since the foundation of Baekje but deprived by Shilla 553 A.D. This shows that the Baekje people demanded their originality in the Han River area with their realistic and long desire. 한강유역의 지배권 문제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논의가 분분하였다. 논의의 요체는 475년 9월에 고구려가 백제의 왕도인 한성을 함락한 후 이곳을 영유하였는가의 여부였다. <삼국사기>에는 백제가 한성을 비롯한 한강유역을 여전히 확보하고 있었을 뿐 아니라 웅진시기의 백제와 고구려의 戰場도 한성시기(기원전 18년~475년)와 마찬가지로 황해도와 경기도 북부 일원에서 형성되었다. <삼국사기> 年代記만 본다면 고구려는 한강유역을 지배하지도 못했을 뿐 아니라 백제 역시 이곳을 상실하지도 않았다. 그러나 <삼국사기> 지리에는 고구려 行政地名이 아산만 일원까지 내려와 있다. 고고학적 물증 역시 이와 어긋나지 않았다. <삼국사기> 年代記 가운데 고구려 것은 기사 누락이 극심하였다. 관련된 전쟁 기사는 백제 연대기 내용을 거의 그대로 전재하고 있다. 그러니까 <삼국사기>에 보이는 한강유역 관련 기사는 백제측의 일방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백제 연대기 기사에 불과한 것이다. 이러한 사료의 기본적인 속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관계로 백제의 한강유역 지배라는 인식이 제기되었다. 이와 맞물려 있는 地名 移轉 주장의 경우도 논거가 몹시 취약할 뿐 아니라 恣意的인 해석임을 드러냈다. 더구나 그 위치를 구체적으로 제시한 주장의 경우는 强辯이 심하였다. 백제가 한강유역을 지배했다는 주장이나 지명이 이전되었다는 주장 모두 취신하기에는 논거 뿐 아니라 논리적인 결함이 크다는 것을 발견했다. 백제인들은 자국의 발상지이자 한성시기 마지막 왕인 개로왕과 연결 짓고자 했던 무령왕계 왕실의 정통성과 관련된 한강유역을 줄곧 확보한 것처럼 기록했다. 역사는 현실인 동시에 현안의 해결이 정권이 처한 焦眉의 관심이자 과제가 되는 것이다. 성왕대 이후 백제 왕실은 신라에 빼앗긴 한강유역 회복이 국가적 懸案이었다. 백제는 신라에 대한 보복 공격뿐 아니라 정치적 압박이라는 兩面에서 故土 返還을 요구했을 것이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신라는 백제가 아닌 고구려 영토인 한강유역을 점유했다는 논리를 내세웠을 법하다. 백제는 이러한 신라의 논리를 차단할 필요가 있었을 것이다. 그러한 차원에서 백제는 한강유역은 건국 이래로 자국 영역이었으나 553년에 신라에 빼앗겼다는 논리로써 대응했다. 백제인들은 현실적 숙원과 결부된 한강유역에 대한 오리지널리티를 주장한 것이다.

      • KCI등재

        百濟 武王代 對新羅戰의 추진과 그 전략 -‘한강 유역 공격’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박종욱 고려사학회 2020 한국사학보 Vol.- No.78

        This paper is about the war strategy and process against Silla by king Mu(武王) of Baekje. In king Mu period, according to the records, most of the battles between Baekje and Silla took place between the Sobaek mountain chain and west of SungJu·Hapcheon. It can prove that king Mu tried to take away the territory around Gayagoji(加耶故地, ex-Gaya’s territory), like the previous studies. However, there is relatively little evidence of ‘battles around Han River basin’ or ‘Bukbanggoto(北方故土, lost territory of Baekje in northern area) recapture’, that was regarded as one of the main war strategy of Baekje in King Mu period. Compared with battles for occupying Gayagoji, the frequency of battles for capturing Bukbanggoto is significantly low. In addition, there were only three battles were mentioned as evidence of the ‘battles around Han River basin’: Gajamsung(椵岑城) battles, Neuknohyun(勒努縣) raid, and Woongjin (熊津) military st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considering each of those battles that mentioned as evidence of the ‘battles around Han River basin’ in detail and further identify whether those were actually related to the ‘battles around Han River basin’. The goal of the battles in Gajamsung has been known to restore the Han River basin and block traffic from Silla to China because many papers regarded that Gajamsung was located around Juksan in Ansung. However, according to recent papers that Gajamsung was located in Muju or Yeongdong, the goal of the Gajamsung Battle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To be specific, considering to the rebellion and suppression process of People in Bodeocksung(報德 城) recorded in the biographies of Kim Yung Yun(金令胤) in Samguksagi, it can be assumed that Gajamsung was located on traffic route east side of Iksan rather than on the Han River basin. As for the military station in Woongjin in 627, it is not possible to be cited as the main evidence of the battles around the Han River basin as there were no actual attacks. Moreover, given the records that Baekje carried out another invasion of Silla’s west side at the same time of Woongjin militaty stration, military station in Woongjin can be understood as a feint operation to divert Silla’s attention and a deceptive strategy to create tensions in northern region. Therefore in king Mu period, ‘Neuknohyun raid’ is the only battle taken place near the Han River. But, it is not enough to be assumed that ‘battles around Han River basin’ or ‘Bukbanggoto recapture’ is the strategy of war against Silla in kin Mu period. In conclusion, Baekje seems used the strategy focused on major transportation route to Silla with only creating military tension in the north or northeast area. This Baekje’s war strategy took into account Silla’s situation which must check Goguryeo in the north of Sinju(新州) and Baekje in the south of Sinju(新州) and Baekje’s situation that could arise after Baekje occupy the Han River basin. This strategy has made the battle point increased between Baekje and Silla, adding to the burden of Silla in terms of building defense systems and moving troops. As a result, Baekje got the upper hand in the war against Silla by unilaterally attacking toward Silla since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본고는 백제 무왕대 對新羅戰의 전략 구상과 그 수행과정을 살펴보기 위한 글이다. 무왕대 백제・신라의 전투 지점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전투가 소백산맥 일대부터 성주・ 합천 以西지역에서 벌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지적처럼 가야고지 방면으로 진출하기 위해 대신라전을 추진했던 경향이 뚜렷하게 파악된다. 반면 무왕대대신라전의 또 다른 軸으로 이해해왔던 ‘한강 유역 공격’ 혹은 ‘北方故土수복’ 관련 사건은 비교적 소략한 편이다. ‘가야고지 방면 진출’에 비해 전투의 발생 빈도나 시간적간격이 현저히 떨어지며, 그마저도 椵岑城전투・勒努縣습격・熊津주둔 등 일부 사건에 국한된다. 가잠성의 경우, 대체로 그 위치를 안성 죽산으로 이해해왔으나, 최근 전북 무주나 충북 영동 양산으로 비정한 견해가 주목된다. 특히 684년 報德城民의 반란및 진압 과정을 고려하면, 가잠성은 북쪽의 한강 유역 방면보다는 익산 동쪽 방면의 교통로상에 위치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627년 웅진 주둔의 경우, 실제 공격이 단행되지않았다는 점에서 한강 유역 공격의 주요 단서로서 큰 의미를 부여하기 어렵다. 오히려같은 달에 신라 서변 침공을 동시에 추진했던 사실로 볼 때, 당시 웅진 주둔은 북방 지역에서 군사적 긴장감을 조성하고 신라의 관심을 돌리기 위한 군사적 양동작전으로 이해된다. 결국 무왕대 한강 유역 방면 공격은 늑노현 습격 1회에 불과한데, 이를 근거로무왕대 대신라전의 전략으로서 ‘한강 유역 공격’이나 ‘북방고토 수복’을 상정할 수는 없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당시 백제는 북방・동북방 방면에서 군사적 긴장감만 조성하고실질적으로는 신라 왕경으로 향하는 주요 교통로를 집중 공략해나가는 전략을 구상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新州의 위아래로 고구려・백제를 방어해야 하는 신라의 상황및 한강 유역 장악 이후 예상되는 환경을 고려한 실리적인 정책이라 하겠다. 이에 기반한 무왕대 대신라전 수행은 확대된 전선을 모두 방어해야 하는 신라에게 군사적 부담을 가중시켰고, 그 결과 백제가 신라를 일방적으로 공격하면서 전쟁의 우위를 점할수 있게 되었다.

      • KCI등재

        백제 유물에 표현된 문양의 조형성 및 미적 특성

        서서영(Seo-Young Suh) 한복문화학회 2015 韓服文化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orm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s expressed in Baekje relics in different eras according to capital city of Baekje, and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s of Baekje costume cultur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review literatures such as excavation reports, museum picture book and previous studies and Internet resource related to the Baekje. The data analyzed were animal, floral, and geometric patterns expressed on metal crafts and tiles of Baekj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nly a few patterns from relics of Hanseong era were identified. Patterns used most frequently were the geometric patterns of diamond shape on gilt bronze ornaments, and the tree patterns of coin tree shape on tiles. Patterns in Hanseong era showed aesthetics of simplicity, abstraction and modernity. Second, relics of Woongjin era of Baekje had more patterns than those of Hanseong era. Patterns used most frequently were fire-shaped honeysuckle patterns and hexagonal-shaped patterns. Patterns in Woongjin era had aesthetics of natural, sophisticated, luxurious and elegant characteristics. Third, relics of Sabi era of Baekje had the most diverse patterns among three eras. Patterns used most frequently were ornamental lotus pattern. Pearl rounded pattern and landscape painting were newly developed. Patterns in this period ha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rhythm, luxury, femininity and pictorial representation. Fourth, Baekje patterns showed changes in form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ifferent eras. From this, we were able to infer changing costume culture of Baekje, including changing patterns in Baekje relics. The geometric pattern in Hanseong era exhibited the most modernity among the three era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aesthetic qualities of Baekje culture, and can be applied to create a suitable pattern by each capital city for the restoration and reproduction of Baekje costume.

      • KCI등재

        백제 유물에 표현된 문양의 조형성 및 미적 특성

        서미영 한복문화학회 2015 韓服文化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orm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s expressed in Baekje relics in different eras according to capital city of Baekje, and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s of Baekje costume cultur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review literatures such as excavation reports, museum picture book and previous studies and Internet resource related to the Baekje. The data analyzed were animal, floral, and geometric patterns expressed on metal crafts and tiles of Baekj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nly a few patterns from relics of Hanseong era were identified. Patterns used most frequently were the geometric patterns of diamond shape on gilt bronze ornaments, and the tree patterns of coin tree shape on tiles. Patterns in Hanseong era showed aesthetics of simplicity, abstraction and modernity. Second, relics of Woongjin era of Baekje had more patterns than those of Hanseong era. Patterns used most frequently were fire-shaped honeysuckle patterns and hexagonal-shaped patterns. Patterns in Woongjin era had aesthetics of natural, sophisticated, luxurious and elegant characteristics. Third, relics of Sabi era of Baekje had the most diverse patterns among three eras. Patterns used most frequently were ornamental lotus pattern. Pearl rounded pattern and landscape painting were newly developed. Patterns in this period ha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rhythm, luxury, femininity and pictorial representation. Fourth, Baekje patterns showed changes in form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ifferent eras. From this, we were able to infer changing costume culture of Baekje, including changing patterns in Baekje relics. The geometric pattern in Hanseong era exhibited the most modernity among the three era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aesthetic qualities of Baekje culture, and can be applied to create a suitable pattern by each capital city for the restoration and reproduction of Baekje costume.

      • KCI등재

        백제금동대향로에 나타난 백제 복식과 콘텐츠

        라선정,정재윤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4 百濟硏究 Vol.59 No.-

        본 논문은 백제금동대향로 발굴 20주년을 맞이하여 백제금동대향로의 가치를 재조명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에 백제금동대향로에 부조된 각종 인물상의 복식을 살펴보고, 복식 속에 나타난 백제 문화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백제금동대향로와 백제금동대향로 속에 나타난 복식을 활용한 콘텐츠를 예시하여 다양한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백제금동대향로에 부조된 각종 인물상의 복식의 형태는 주변 국가와 유사한 이부식 구조이다. 여기에 절제된 화려함으로 검소함과 세련미가 깃든 백제적인 요소가 더해져 백제적인 특징이 드러난다. 각종 인물상 복식의 모든 선 장식은 주변 국가와 달리 모두 직선을 띠고 있다. 또한 드레이프성을 살려 인체와 옷 사이에 공간을 부여하여 부드럽게 표현하였다. 이러한 직선 형태의 의복을 착용하면 곡선 형태의 의복보다 편리성·실용성·안락성을 느낄 수 있고, 직물의 허실이 줄어들어 요척을 최소화 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렇듯 불필요한 것을 최소화 하려는 백제인의 지혜와 검소함이 스며들어, 보다 편리하고 실용적인 복식이 제작되었다. 여기에 드레이프성을 살려 늘어지는 것은 방지하면서 실제 보기에는 완만하고 자연스러운 율동성과 깔끔함을 강조한다. 이와 같이 백제 복식은 백제인의 미의식을 보여주는 최적의 표현이며 백제 복식만이 가진 백제적 요소라 할 수 있다. 백제금동대향로를 바탕으로 한 콘텐츠는 형태적·상징적인 측면을 활용하여 애니메이션이나 스토리텔링을 예시하였다. 이는 단순한 애니메이션이 아닌 문화의 친밀도와 연결되어 문화 상품의 판매, 나아가 이를 콘텐츠화한 상품의 전략적 판매까지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부조된 표현물을 캐릭터로 재창조시켜 각종 디자인·영상·게임물 등 부가적 상품으로의 활용이 가능하다. 직물지 개발을 통한 패션상품·장식용품·인테리어 상품 등 각종 문화상품, 교복·공무복·일상복으로의 활용도 가능하다. 여기에 실용성·기능성·심미성을 겸비한다면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좋은 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백제 문화 전반에 흐르는 백제인의 정신적 요소에 백제적 양식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를 백제스타일로 표현하는 것이 백제 문화 콘텐츠의 전제이다. 백제스타일화한 의복을 일상적으로 착용함으로써 백제를 바르게 이해하고, 백제 문화의 생활화를 통해 친숙한 이미지를 부각시킴으로써 백제 문화원형을 생활화·산업화·세계화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value of Baekje Gilt-Bronze Incense Burner on the occasion of the 20th anniversary of its excavation. Therefore, the characteristic of Baekje culture depicted in the relevant costumes was, in this study, analyzed by examining the costumes of various figures engraved on the Baekje Gilt-Bronze Incense Burner. Furthermore, various contents utilizing the Baekje Gilt-Bronze Incense Burner and the costumes depicted on it were illustrated. The costume form of various figures engraved on the Baekje Gilt-Bronze Incense Burner is two-piece style similar to that of neighboring countries, but the element of Baekje with the understated splendor, simplicity and sophistication can be found in it. All band decorations of costumes of various figures have form of straight line unlike those of neighboring countries. In addition to this, the softness is expressed by assigning a space between the human body and clothes showing off the drapability. The cloth in the form of straight line provides convenience, practicality and comfort more effectively than that in the form of curve, and it also minimizes the yield yardage by reducing the fabric waste and losses. Therefore, the Baekje costumes contain the wisdom and simplicity of Baekje people, who endeavored to minimize the unnecessary things, and their will to reduce the inconvenience in more convenient and practical activities. In addition to that, Baekje costumes stress the gentle and natural rhythmic character and dapperness while preventing drooping by showing off the drapability. Thus, it is the optimum expression of Baekje people's aesthetic and also the element of Baekje that is contained only in the Baekje costumes. Also, the animation or storytelling is, in this study, illustrated by utilizing the morphological and symbolic aspects of contents based on the Baekje Gilt-Bronze Incense Burner. It is not just an animation itself, and it can lead to the sale of cultural goods by connecting with the cultural intimacy and eventually to the strategic sale of cultural contents. Also, the use of additional products including various designs, images and games is possible by reinventing the engraved expressions into the characters, and it can be used for various cultual goods, school uniforms, official uniforms and everyday dresses consisting of fashion goods, ornaments and interior goods through the development of fabrics. By combining the practicality, functionality and aesthetic with it, the good contents that can raise value added will be created and utilized. The contents of Baekje culture is to express the combination of spiritual element of Baekje people in Baekje culture in general and Baekje style. We will be able to properly understand Baekje by routinely wearing the Baekje-stylized costumes and prepare the ground for the familiar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Baekje cultural archetype by improving the relevant image through the familiarization of Baekje culture.

      • KCI등재

        백제의 대중국교섭(對中國交涉) 항로(航路) - 고구려의 해상 차단 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

        박종욱 ( Park Jong-uk ) 백제학회 2017 백제학보 Vol.0 No.19

        백제의 대중국교섭 항로에 대해서는 매우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어 있다. 이는 출발지·경유지·도착지가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는 사료의 속성에서 기인하는 바가 크다. 그런 측면에서 고구려의 해상 차단 관련 기록은 항로의 경로를 그나마 가장 객관적으로 추정해볼 수 있는 자료로서 높은 가치를 지닌다고 판단되는데, 이에 본고에서는 고구려의 해상 차단 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백제의 항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고구려의 해상 차단 관련 기록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백제가 중국과의 교섭에서 고구려 정벌을 요청하는 적극적인 외교를 펼쳤을 때, 고구려의 군사적인 대응과 아울러 해상교통로 차단 기사가 확인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고구려 정벌을 요청했던 백제의 외교정책 기조가 해상교통로 차단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고구려가 군사적인 대응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평소 활동범위를 넘어서 백제의 항로를 적극적으로 차단했던 것으로 이해해보았다. 아울러 해상교통로 차단과 관련된 사료를 검토해봄으로써, 해상 차단 이후에도 해당 항로를 지속적으로 사용했던 사례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해상 차단을 항로 개척의 절대적인 기준으로 삼는 것은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해상 차단 이후에도 해당 항로를 지속적으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좀 더 고려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고구려의 해상 차단 관련 기록이 고구려의 領海 혹은 그 인접한 곳을 경유하던 백제의 항로의 일면을 보여준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근거로 연안항로·횡단항로·사단항로의 가능성을 검토해보았다. 먼저 해상 차단 지점과 관련하여 사단 항로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는데, 사단항로의 출발지점과 해상 차단 지점의 큰 차이·해상 차단 전후의 대중국교섭 양상·사단항로 사용의 지속성 문제 등으로 볼 때 백제가 사단항로를 개척하고 활용했을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하였다. 한편 연안항로와 횡단항로의 문제에 대해서는 두 가지 모두 활용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현재로서 어느 하나로 단정하기는 어려운 상황이었다. 다만 고구려와 백제의 대립관계를 고려할 때 연안항로는 사용되기 어려운 상황이었으므로, 5세기 후반과 7세기 전반에 사용된 백제의 항로는 횡단항로로 추정해보았다. 아울러 구체적인 경유지는 고구려의 영해 혹은 인근 지역이라 할 수 있는 황해도 연안 혹은 백령도 일대였으며, 기존의 논의로 볼 때 대체로 4세기 말에서 5세기 초에 이르러 횡단항로가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파악해보았다. There are many theories about Baekje(百濟)`s sea routes of diplomatic contact with China.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is controversy is the uncertainty in historical records about the departure, stops and destination. In regard to this issue, the record related to Koguryo(高句麗)`s maritime interdiction has a significant value to provide evidence for relatively objective demonstration about Baekje`s sea routes. This paper will analyze Baekje`s sea routes through these records about Koguryo`s maritime interdiction. First of all, this paper examined the record about Koguryo`s maritime interdiction. By analyzing this record, it confirms that there was militaristic maneuver with maritime interdiction when Baekje requested China to subjugate Koguryo through active diplomatic negotiations. In other words, the keynotes of Baekje`s diplomatic policies that urged China to subjugate Koguryo provoked Koguryo`s maritime interdiction. In the process of interdiction, Koguryo expanded their usual sphere of action and actively interfered Baekje`s sea routes. Additionally, by examining the records about the interdiction, it could be suggested that Baekje continuously used sea routes even after Koguryo`s maritime interdiction; this phenomenon indicates that maritime interdiction does not concretly decide the availability of a sea route,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Baekje continuously used maritime routes even after the maritime interdiction. Secondly, this paper evaluated the possibility of the costal route(沿岸航路), traverse route(橫斷航路), and linear line route(斜斷航路; Satanhangro, a sea route that half of the course sails through the costal route, and then diagonally sails across the Yellow Sea), considering the records about Koguryo`s maritime interdiction implies Baekje`s sea routes passed through Koguryo`s territorial waters, or somewhere close to them.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 linear line route in relation to the place of maritime interdiction, this paper examined throu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place of Baekje`s departure and Koguryo`s maritime interdiction, phenomena in diplomatic contacts with China before and after the interdiction, and durability of the linear line route; conclusively, it is unlikely that Baekje used the linear line route. For the matter of the costal and traverse route, as the possibility that both of the routes were operated still exists, it is impossible to predicate any of them was used by Baekje at this point. Still, taking into account the unlikelihood of the linear line route because of the hostility between Koguryo and Baekje during this period, it is more likely Baekje used traverse route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late 5th century and the early 7th century. Also, the specific course of the route was arguably the area around the coast of Hwanghae Province(黃海道; Hwanghaeto), or Paengryung Island(白翎島; Paengryungdo). Considering the previous researches, Baekje started to use the traverse route by the period between the late 4th century and the early 5th century.

      • KCI등재

        백제의 금동대향로와 해양실크로드

        최광식 한국고대학회 2023 先史와 古代 Vol.- No.73

        The Maritime Silk Road was recognized as only a sea route from Rome to China. However, according to historical documents and artifacts,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a route that not only reached China through India and Southeast Asia, but also through the Korean Peninsula to Japan. In particular, Baekje connected China with various countrie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even transmitted culture to the Japanese country. In the early days of Baekje, foreign civilization was accepted with the help of Nakranggun and Daebanggun. When the Nakrang and Daebang armies were destroyed and Goguryeo took over maritime rights in the West Sea, King Geunchogo attacked Goguryeo, took control of the Hwanghae-do region, pioneered a trans-Yellow Sea route, and took control of maritime rights in the West Sea. However, when King Jangsu transferred the capital to Pyeongyang and captured Hanseong, it was difficult to use the trans-Yellow Sea route. But King Muryeong attacked Goguryeo and recovered the Han River basin, utilizing the trans-sea route again and carrying out active cultural exchanges with the Yang Dynasty of the Southern Dynasty in China. Therefore, becoming a powerful country again means that it has become a maritime power again by taking control of the maritime rights of the Yellow Sea. At this time, cultural relics were exchanged with the Bunam and Im-eup kingdoms in Southeast Asia and passed on to the Japanese kingdom, and direct exchanges began by dispatching the monk Gyeom-ik to India. When King Seong transferred the capital to Sabi in 538 and the Han River basin was taken over by Silla in 553, the Yellow Sea Slant Route was pioneered in the late 6th century, leading to direct exchanges with the Yang Dynasty. Direct exchanges with Southeast Asian countries could be confirmed through crocodiles and elephants among the animals from the southern region depicted on the Baekje gilt-bronze incense burner. And we were able to broaden our perspective by learning that the kings of Bunam and Im-eup were using gilt-bronze incense burners in their palaces, which were used during the Han Dynasty and not seen during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In addition, referring to the case of the incense burner that Emperor Seongmu of Japan used during his reign and contributed to the tomb after his death,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was also considered to have been used by King Seongmu and contributed to the tomb temple after his death. Therefore,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was considered to be between 523 and 554,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 and between 538 and 554 aft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Sabi. King Seong, who revived Baekje, wanted to show off the majesty of global Baekje by placing animals from not only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but also Southeast Asia, on the incense burner. A large amount of glass beads has been excavated from the Baekje region, and soda glass of various colors has been introduced since the 4th century. Considering that glass of various colors was excavated not only in Gongju and Buyeo, but also in areas close to the coast such as Hampyeong and Haenam, this shows that glass from Southeast Asia was continuously introduced into Baekje via the Maritime Silk Road. Baekje's navigation and shipbuilding skills, which enable such maritime activities, were discovered through the existence of the ‘Baekje Road’ and ‘Baekje Ship’, and the importance of the port and Tamna State on the southwestern coast could be confirmed. 백제는 중국과 한반도의 여러 나라를 연결시키고, 왜국에까지 문물을 전해주었다. 백제 초기에는 낙랑군과 대방군의 도움으로 외국 문물을 받아들였으나 낙랑군과 대방군이 소멸되고 고구려가 서해의 해상권을 차지하자, 근초고왕이 고구려를 공격하여 황해도 지역을 장악하고 황해 횡단항로를 개척하여 서해의 해상권을 장악하였다. 장수왕이 평양 천도를 하고 한성을 함락시키자 황해횡단 항로를 이용하기 어려웠으나 무령왕이 고구려를 공격하고 한강유역을 수복하여 횡단항로를 다시 활용하여 중국의 남조 양나라와 활발한 문물 교류를 행하였다. 따라서 다시 강국이 되었다는 의미는 황해의 해상권을 장악하여 해상의 강국이 다시 되었다는 뜻이라 하겠다. 이 때에 동남아시아의 부남국과 임읍국과 문물을 교류하여 왜국에 전해주기도 하였으며, 승려 겸익을 인도에 파견하여 직접적인 교류를 시작하였다. 특히 성왕이 538년 사비로 천도하고, 553년 신라에게 한강 유역을 빼앗기자 6세기 후반 황해 사단항로를 개척하여 양나라와 직접적인 교류를 하였다. 백제금동대향로에 부조된 남방지역의 동물들 중 악어와 코끼리를 통하여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직접적인 교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한대에 사용되고 남북조시대에는 보이지 않는 금동으로 만든 금동향로를 부남국과 입읍국 왕이 궁궐에서 사용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어 우리의 시야를 넓힐 수 있었다. 아울러 일본의 성무천황이 재위시 사용하다가 사후에 공헌한 향로의 사례를 참고하여 백제의 금동대향로도 성왕이 사용하다가 사후에 릉사에 공헌한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금동대향로의 제작 시기는 성왕의 재위기간인 523~554년 사이이며, 사비 천도 이후로 보아 538년에서 554년 사이로 보았다. 백제를 중흥시킨 성왕은 북조와 남조와 교류하였을 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와 교류하여 동남아시아의 동물들도 향로에 부조하여 글로벌 백제의 위용을 과시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백제지역에서는 유리구슬의 출토량이 많으며, 4세기 이후 다양한 색상의 소다유리가 유입되었다. 다양한 색상의 유리가 공주와 부여 뿐만아니라, 나주와 함평 등 해안가에 가까운 지역에서 출토되는 것을 볼 때 이는 동남아시아의 유리가 해양실크로드를 통해 지속적으로 백제에 유입되었다는 것을 말해 준다고 하겠다. 이러한 해상활동을 할 수 있는 백제의 항해술과 조선술을 ‘百濟路’와 ‘百濟舶’의 존재를 통해 알아보고, 서남해안의 항구와 탐라국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백제의 대왜(對倭)교섭과 항로(航路) - 5∼6세기를 중심으로

        박재용 ( Park Jae-yong ) 백제학회 2017 백제학보 Vol.0 No.19

        본고에서는 백제와 한반도남부 제국과의 관계변화 및 그 역사적 배경을 백제의 대왜교섭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백제의 대왜항로가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백제는 4세기 후반 근초고왕대 탁순국의 중개로 왜국과 교통로를 처음으로 확보하였고, 남부가야제국과 우호관계를 유지하며 왜국과 이어지는 안정적인 교역체계를 마련하였다. 5세기대에는 강진·해남을 비롯한 서해 남부지역으로 진출을 꾀하면서 영산강유역과도 긴밀한 관계를 맺기 시작했다. 당시 영산강유역을 비롯한 서남해 지역의 정치체들은 왜국과 독자적으로 활발한 교류를 전개하고 있었다. 백제의 진출 이후 대외교섭의 여러 거점지(기항지)가 점차 백제의 영역으로 들어가면서 백제-왜국 간의 교섭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6세기대에 들어와 한반도 남부의 정치적 변동과 함께 백제와 신라의 관계 악화, 신라의 가야지역 점령이라는 일련의 사건으로 백제와 왜국의 관계는 일시적으로 소원해졌다. 백제와 왜국 간의 항로는 크게 3가지 루트가 있었다. 먼저 3세기대 이래 한반도와 일본열도의 소국들이 안정적으로 이용해 오던 한-왜 항로이다. 이 항로는 백제가 탁순을 매개로 왜국과 교섭을 시작할 때도 이용되었다. 그 후 5세기 중반 단계에 영산강유역과 섬진강유역의 정치체들과 관계를 맺으면서 남쪽으로 제주도를 바라보며 동진하여 쓰시마를 거쳐 일본열도로 들어가는 두 번째 항로가 개척되었다. 이 항로에서는 고흥반도 혹은 여수반도를 기항지로 삼고 남해도를 외해하여 쓰시마를 거쳐 왜국으로 가는 루트도 가능하였다. 마지막으로 6세기 중반을 전후하여 신라와 관계가 악화되면서 더 이상 기존의 항로를 사용할 수 없게 된 백제는 서해 남부에서 제주도를 경유하거나, 그렇지 않고 오른쪽으로 외항하면서 큐슈 서북부 연안과 직접 연결되는 항로를 새롭게 개척하였다. 이렇듯 백제와 왜국의 교섭은 시대상황이나 루트상의 정치체들과의 관계변화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았지만, 양국 간의 교섭루트는 항상 변화하며 존재해 왔고, 점차 다양화되어 갔다. 백제의 여러 대왜항로의 개척은 한반도 남부의 관계변화에 따른 백제의 대외정책 변화와 함께 선박제조 기술 및 항해술의 발전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여겨진다. This aticl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the Southern countrie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historical background from the perspective of Baekje and Wa(倭) exchanges. Based on these results, I have examined in detail how the sea lanes form Baekje to Wa were changed according to period. In the late 4th century, Baekje was the first to secure sea lane with Wa through the intermediation of the Taksoonguk, it maintained friendly relations with the southern countries of Gaya and established a stable trade system with the Wa. In the 5th century, it began to establish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Yeongsan River coast, while trying to advance into the southern part of the west sea including Gangjin and Haenam. At that time, the political bodies of the southwest coast including the Yeongsan River coast were actively exchanged with Wa independently. After the entry of Baekje, various bargaining points(port of call) of foreign bargaining gradually moved into the territory of Baekje, and the negotiations between Baekje and Wa were more active. However, in the 6th century, the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Wa has become temporary due to a series of incidents such as the political change in the southern part of the peninsula, the deterioration of relations between Baekje and Silla, and the occupation of Gaya in Silla. There were three sea lanes between Baekje and Wa. Since the 3rd century, it has been used as Han(韓)-Wa(倭) route by small countrie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Islands. This sea lane was also used when Baekje began an exchange with Wa through the intermediation of the Taksoonguk. Then, in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the second sea lane was paved to the looking toward Jeju Island to the south, go east and go through Tsushima into the Japanese archipelago in connection with the political bodies of Yeongsan River and the Seomjin River coast. In this sea lane, it was possible to go to the southern coast through the Tsushima Island by taking the Goheung Peninsula or the Yeosu Peninsula as a port of call. Finally, in middle of the 6th century, Baekje became unable to use existing sea lane as relations with Silla deteriorated. After that, it newly opened a sea lane that connects directly with the coast of the northwestern part of Kyushu, from the southern part of the west sea via Jeju-do or exiting to the right. Thus, the exchange of Baekje and Wa was influenced by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tuation of the times and the political figures on the route. However, the route of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always been changing, and has become increasingly diversified. It is believed that the pioneering of various sea lanes of Baekje was possible due to the development of shipbuilding technology and navigation along with Baekje`s foreign policy change due to the change of relation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백제 고분벽화 연구

        전호태 부산경남사학회 2019 역사와 경계 Vol.112 No.-

        Baekje Mural Tombs Songsan-ri tomb No. 6 and Neungsan-ri tomb No. 1 (Donghachong) show the main movement of the 6th century Baekje culture. King Muryeong of Baekje sought to actively incorporate the sophisticated culture of the Chinese Southern Dynasties to advance Baekje culture and organize the royal family and the ruling class. That the brick constructed tomb of Songsan-ri tomb No. 6 presents the Four Deities is deeply related to the trend in the South Dynasty. The appearence of the Four Deities which relate to the beliefs in the Wu Xing(五行)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heavens and men in the early 6th century Baekje Tomb suggests that Baekje culture had joined the larger East Asian cultural movement. Neungsan-ri tomb No. 1, an exemplary Baekje stone chamber tomb, also focus on the Four Deities. Such murals provide a good example of how the Wu Xing belief positively influenced the public perception and visualization of the Four Deities. The late 6th century Baekho-White Tiger-of Neungsan-ri tomb No. 1 tomb blends well with the calm atmosphere of lotus blossoms and clouds on the ceiling. In contrast to its Koguryo counterpart that dynamically and oppressively ousts the evil spirits in the tomb murals of the 6th century Guknaeseong, Baekje’s guardian keeps a calm authority. The characteristic warm, stable and elegant atmosphere of Baekje art also resonates in the cosmic guardians, the Four Deities. No other mural tombs than Songsan-ri tomb No. 6 and Neungsan-ri tomb No. 1 can be found from Baekje sites. Such suggests that although the funerary art genre of tomb murals entered Baekje, it did not establish itself as part of the tradition. 백제의 벽화고분인 송산리6호분과 능산리1호분(동하총)은 6세기 백제문화의 주요한 흐름을 잘 보여준다. 백제의 무령왕은 중국 남조의 선진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백제문화를 선진화시키고 왕실과 지배세력의 결집을 도모하려 하였다. 전축분인 송산리6호분의 벽화 주제가 사신인 것도 중국 남조에서 유행하던 사신 인식과 표현과 관련이 깊다. 오행신앙 및 천인상관설과 관련 깊은 사신이 6세기 전반 백제 고분에 그려진 것은 백제문화도 동아시아문화의 큰 흐름에 합류하고 있었음을 뜻한다. 백제식 석실분으로 명명할 수 있는 능산리1호분 역시 사신이 주제인 사신도 벽화고분이다. 백제의 오행신앙이 사신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형상화도 가능하게 했음을 확인시켜주는 또 하나의 좋은 사례이다. 6세기 말 작품인 능산리1호분 벽화의 백호는 차분하고 안정된 분위기를 보이는 천장의 연꽃 및 구름 장식과 잘 어울리는 존재다. 6세기 고구려의 국내성 지역 고분벽화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격렬하고 위압적으로 邪鬼를 내쫓는 모습을 보이기보다는 위엄을 갖추되 차분하게 지키며 사귀를 물러가게 하는 백제식 수호신이라고 할 수 있다. 백제미술에 일관되게 흐르는 따뜻하고 부드러우며 안정적인 분위기가 우주적 수호신이 주인공인 사신도 고분에도 흐르고 있다고 하겠다. 백제의 유적에서 송산리6호분, 능산리1호분 외에 다른 고분벽화는 발견되지 않고 있다. 이는 백제에 고분벽화라는 장의미술이 소개되고 수용되었음에도 백제문화의 전통으로 자리 잡지는 못했음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