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체육의 정상화 및 특성화

        김기홍 ( Ki Hong Kim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5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는 정상화 원리를 기반으로 특수체육의 특성과 체육과의 관계성을 재해석함으로써 특수체육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한편 특수체육이 한국에서 특성화되어 장애학생들의 신체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할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한국의 특수학교 현장에서 특수체육교사의 지위가 흔들리고 있다는것은 그만큼 특수체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장애학생들이 학교를 떠나서 사회인으로 살아가는 졸업 후 프로그램도 중요하다면 장애인신체활동은 그에 적합한 생애체육이라는 장기적 의미에 부합된다. 이러한 장기목표가 요구되기 때문에 특수체육교사의 전문성이 강조되지 않을수 없다. 미국장애인교육법(2004)에서는 특수체육을 특수교육의 한 구성요인으로 간주하지만 특수체육을 담당할 지도자는 보다 전문적인 소양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여 자격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특수체육교사는 체육교과의 내용을 장애학생에게 적절하게 적용하기 위하여 적합하고도 차별난 방법의 교과과정을 개발해야만 한다. 차별적 교육방법이란 별스러운 것이 아니라 양질의 교과내용을 토대로 장애학생의 수준에 맞추는 것이다. 특수체육에서 신체활동의 주체는 장애학생이다. 주체로서의 존재성을 체육에서 찾아볼 수 있기에 특수학교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장애인 스포츠사관학교를 제시하는 것으로 본연구를 매듭지었다. This study wa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by the re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adapted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based on the normalization, and to search for the specialization of special education by adapted physical activity. Now, the position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 is not stable at special school district in Korea which is a kind of proof of recognition lack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If the life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fter graduation is important, the adapted physical activity would be right fitted to the lifelong physical education in long term goal. Therefore, adapted physical educator should be very professional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DEA(2004), adapted physical education is regarded as a part of special education but the standard to be a teacher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is so strong connected with physical education professionalism. Adapted physical educator should know how to develop not the special teaching methods only but the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appropriate teaching means not special but high quality fit and proper to the level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is a student with disability. Therefore, the sport academy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s suggested to make the identity of the student with disability more firm than in special education school.

      • KCI등재

        특수체육 문헌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김재화 ( Jae Hwa Kim ),( Ron French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2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계량서지분석을 사용하여 특수체육 교육학과 관련된 문헌들의 패턴과 특수체육의 학문적속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계량서지분석에는 Bradford 법칙과 Price 법칙이 적용 되었으며, 1999년부터2009년까지 특수체육 교육학에 관련하여 게재된 영어논문 380편을 Microsoft Excel및 SPS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체육 교육학 문헌들의 패턴이 Bradford 법칙 조건을 충족하였으며, 핵심 학술지로는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Teaching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and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가 확인 되었다. 둘째, 특수체육 교육학 문헌들의 계량적 결과가 Price 법칙 조건 (총 논문의 수의 50 %가 총 저자 수 제곱근에 의해 생산된다)에 부합하지 않았으며, 이는 특수체육은 여전히 신흥 학문으로써 학자들과 현장 실무자들이 연구에 보다 많은 참여와 활동을 필요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a) to determine the patterns of literature related to school-aged adapted physical education pedagogy; and (b)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dapted physical education pedagogy has emerged as a field of study with the use of bibliometrics analyses (i.e., Bradford`s and Price`s Laws) to school-aged adapted physical education pedagogy literature during the 11-year period time between1999 and 2009. Based on the results, the literature conformed to Bradford`s Law and three major journals were identified in the field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Teaching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and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 However, the findings did not support Priceus Law. As reported by O`Conner et al. more than a decade ago, adapted physical education pedagogy is still an "emerging" field of study and professionals in the field need to contribute more to the literature. It was concluded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increased number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professors who are contributors to the literature.

      • KCI등재

        특수체육 강의를 통한 예비체육지도자들의 통합체육에 대한 인식, 태도 및 판단의 변화

        김경진,김재화 한국특수체육학회 2018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hanges in perception, attitude, and judgment of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through intervention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lectures and to provide basic data and information for successful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208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were recruited in pre-lecture (105 participants) and post-lecture (103 participants) for physical education/activity major students who take adapted physical education lectures and the questionnaires of perception, attitude, and judgment were us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were used to determine and compar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re- and post-differences of perception, attitude, and judgment about inclusive adapted physical education using the SPSS 24.0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erived. First, the perception of inclusive adapted physical education of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showed a higher perception in the post-lecture than perception in the pre-lecture. Second, the attitude of inclusive adapted physical education of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showed a higher attitude in the post-lecture than attitude in the pre-lecture. Third, the judgment of inclusive adapted physical education of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showed a higher judgment in the post-lecture than judgment in the pre-lecture. 본 연구는 특수체육 강의 중재법을 통한 예비체육지도자의 통합체육에 대한 인식, 태도 및 판단의 변화를 알아보고, 성공적인 통합체육 수업을 위한 기초자료와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수체육 강의를 수강하는 체육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기 초(105명)와 학기 말(103명)에 총208부를 회수하였으며, 조사도구로 통합체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 태도 및 판단에 관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통합체육 인식, 태도 및 판단의 사전·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와 t-test를 SPSS 24.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특수체육 강의 중재법을 통한 예비체육지도자의 통합체육 필요성 인식에서 강의 전보다 후가 더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둘째, 특수체육 강의 중재법을 통한 예비체육지도자의 통합체육 태도에서는 모든 장애영역에서 강의 전보다 후가 더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셋째, 특수체육 강의 중재법을 통한 예비체육지도자의 통합체육 판단에서 강의 전보다 후가 더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 KCI등재

        특수체육 전공 초임 교사가 교직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대응 전략

        윤진주,박종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6

        목적 이 연구는 특수체육 전공 초임 교사가 교직에서 겪는 어려움을 분석하고, 특수체육을 전공한 교사로서 교직에 적응하기 위해서어떠한 대응 전략을 펼치고 있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례 연구로, 3년 이하 특수체육을 전공한 초임 교사 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약 6개월동안 심층 면담과 문서자료 수집을 통해 귀납적 범주 분석을 하였다. 분석한 자료는 그 안에 숨어있는 패턴을 찾으려고 노력하면서(Bogdan & Biklen, 2007) 글쓰기를 실시하였다. 질적 연구 경험이 풍부한 스포츠교육학 교수 1인, 스포츠교육학 박사 4인 등과함께 총 3회의 회의를 통하여 전문적인 검토를 받았다. 결과 특수체육을 전공한 초임 교사의 어려움으로는 교육실습에서 체육을 지도하기 열악한 환경, 배움과 다른 가르침, 행동 중재 적용의 늪, 전문성 결여된 업무분장이었다. 그 결과 환경적 맥락에 따라 각자가 펼치는 대응 전략은 다르게 나타났다. 첫째, 자신의 전공에 대해 비지지적 환경에서 근무하는 초임 교사는 특수체육에 대해 일시적으로 체념하였다. 둘째, 자신의 전공에 대해 지지적 환경에서 근무하는 초임 교사들은 특수체육교육에 대한 신념을 형성하고 특수체육 전공자라는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였으며, 어떠한 환경에서도 체육 교과를 가르치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체육을 전공한 교사를 위한 삶과 가르침이 일치한 포용적인 여건 마련 방안, 교직 경력이 있는 특수체육 전공 교사 연구를 통해 교직 적응을 위한 보다 종합적인 이해 방안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novice teachers who majored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in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o explore what response strategies they take to adapt to the teaching profession. Methods As a case stud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ee novice teachers majoring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for less than three yea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ductive category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document data collection for about six months. The analyzed data were written while trying to find the hidden pattern (Bogdan & Biklen, 2007). A total of three meetings were conducted with one professor of sports pedagogy with extensive qualitative research experience and four PhDs in sports pedagogy. Results The difficulties of novice teachers majoring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were poor environment to teach physical education in educational practice, teaching different from learning, swamp of applying behavioral intervention, and unprofessional work allotment. As a result, each teacher developed different strateg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ontext. First, teachers working in an environment unsupportive of their major temporarily gave up on adapted physical education. Second, teachers working in a supportive environment for their majors tried to form a belief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and establish their identity as adapted physical education majors, and they were endeavoring to teach their subject in any environmen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is study presented a plan to provide inclusive conditions that match life and teaching for teachers majoring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and a more comprehensive plan for adapting to teaching through the study of teachers who majored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with teaching experience.

      • KCI등재

        대학생의 특수체육 교육기부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이유민,김동한,이혁기 한국특수체육학회 2023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31 No.4

        This study examined college student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a 'donation for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Adapted Physical Education through narrative inquiry. Three participants were selected using purposive sampling,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Data analysis followed the 'narrative inquiry procedure'.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addressed the challenges and ways to overcome them in college students' experiences of 'donation for education' participation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had initial fears and concerns as it was their first time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y also faced difficulties in parent counseling. However, by adopting an approach that involved communicating at the students' eye level and providing feedback for correction, they were able to overcome the challenges of 'donation for education'. In addition, the lack of coaching experience, insufficient assistant teachers, and inadequate facilities for Adapted Physical Education as challenging aspects of the program.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they engaged in self-development through participation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studies, distributed tasks based on the student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made use of assistant teachers. Participant highlighted the existence of preconceptions about people with disabilities, leading to difficulties in forming rapport, unlike with non-disabled individuals. However, they were able to practice 'donation for education' through active greetings, physical contact, and a shift in perception from viewing differences as obstacles to embracing them as valuable characteristics. Second, the study focused on the significance of the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the 'donation for education' program for Adapted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considered their experiences as a time for self-reflection and a period for undergoing a change in their perceptions of disabilities. Lastly, after participating in the 'donation for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Adapted Physical Education, they expressed feelings of pride and accomplishment. 이 연구는 내러티브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들의 특수체육 교육기부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해 살펴보았다. 준거적 선택 방법을 통해 연구참여자 3명을 선정하였으며,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특수체육 교육기부 경험의 어려움과 극복에 관한 내용이다. 연구참여자들은 장애학생을 가르치는 것이 처음이라 두려움과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학부모 상담의 어려움마저 겪고 있었다. 그러나 눈높이 의사소통의 자세, 피드백을 통한 교정을 통해 교육기부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다. 또한, 지도 경험의 부족함과 보조교사의 인원이 부족, 열악한 특수체육 시설 등을 교육기부의 어려운 점이라고 하였다. 이를 해결하고자 특수체육 스터디를 통한 자기 계발, 장애학생의 신체적 특성에 따른 분배, 보조교사 활용을 통해 어려움을 극복하였다. 장애인에 대한 선입견으로 인해, 비장애인과는 달리 장애인은 라포 형성의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적극적인 인사와 스킨십, 틀린 것이 아니라 다른 것이라는 인식 전환을 통해 교육기부를 실천해왔다. 둘째, 특수체육 교육기부 경험의 의미에 관한 내용이다. 연구참여자들은 특수체육 교육기부 경험을 자기성찰의 시간으로 생각하고 있다. 또한, 특수체육 교육기부 경험을 장애에 대한 인식 변화의 시간으로 생각하고 있다. 끝으로 특수체육 교육기부 프로그램을 경험한 후에 ‘뿌듯함’을 느끼게 되었다고 하였다.

      • KCI등재

        자연과학편 : 특수체육전공자들의 특수체육 전문성 인식이 장애학생의 도전행동에 대한 감정적 반응(ERCB)에 미치는 영향

        김대경(DaeKyungKim),박진우(JinWooPark),이현수(HyunSuLee) 한국체육학회 2015 한국체육학회지 Vol.5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체육 전공학생들의 특수체육 전문성 인식이 장애학생의 도전행동에 대한 감정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수체육교육 관련 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서울, 경기, 경남, 경북에 소재한 특수체육 관련 학과 재학생 2, 3, 4학년 재학생 41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권기홍(2008)과 한현정(2011)의 특수교사 전문성인식 설문지와 Oh, Seo & Kozub(2010)의 장애학생 도전행동에 대한 감정적 반응 설문지를 바탕으로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차이검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학년, 가족 장애유무, 친구 장애유무)에 따른 감정적 반응에 대한 분석 결과, 성별, 학년, 친구 장애유무는 감정적 반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특수체육 전문성인식이 장애학생의 도전행동에 대한 감정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특수체육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 중 생활지도 및 부모교육, 특수체육 특별활동은 감정적 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체육 공통지식, 교과지도, 장애별 교육지식은 감정적 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Majors’ perceived teacher competencies on the emotion reaction towards challenging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study, the data collected from 413 sophomores, juniors, and seniors currently studying adapted physical education in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 Gyeongnam, and Gyeongbuk, where they offer department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was analyzed. As a measuring tool, Kwon (2008) and Han (2011) questionnaire for adapted physical education educators’ perceived teacher competency and Oh, Seo & Kozub’s (2010) questionnaire on the emotion reaction towards challenging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revised, modified, and reconstructed. Data was processed using SPSS 21.0, an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difference verific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analysis of emotion reaction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x, grade, disability in the family, friends with disabilities), sex, grade, and friends with disabilities display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emotion reactions. Second, in terms of the effects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educators’ perceived teacher competencies on the emotion reactions on towards challenging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arental education and the special activities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perceived teacher competencies affected significantly on emotion reactions, whereas the common knowledge on adapt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lesson, and education knowledge by disability did not affect significantly on emotion reactions.

      • KCI등재후보

        특수체육교사 임용시험의 타당성 고찰

        김유환(Kim You-Hwan) 한국체육과학회 2006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5 No.1

        The Korean Adapted Physical Education Employment Tests is not measuring what it suppose to measure. There is no adapted physicale education questions in the test. The test only contain special education questions.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aise discussions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 competency testing contents and problems in its procedure. And also this paper discussed about the recongnition of Korean professionals' task performance abilities in the feild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Also, this paper discussed the American's National Standards: Adapted Physical Education. And this paper suggested that contents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area must be included in the Korean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 Emloyment Tests. In addition to the includings the adapted physical education area, in the test contents, wider and deeper interviews need to be conducted. Further, to find the Qualified teachers, the Korean adaptedphysical education teacher employment test should include teacher performance test in actual teaching situation although it spends more time and money.

      • KCI등재

        예비특수체육교사와 예비체육교사의 윤리적 민감성 및 가치정향 비교분석

        김혜민,이현수 한국특수체육학회 2017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tudents of different majors prioritize items related to value orientation, analyze the differences of ethical sensitivity and value orientation between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and Adapted Physical Educators comparatively,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ethical sensitivity on value orientation. To address the goal, 423 students were selected, 213 undergraduates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and 210 undergraduates of physical education. As a study tool, the questionnaire on ethical sensitivity and value orientation was employ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administration. Data collected went through analysis by using SPSS 23.0, and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With the process, this study has gained following finding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how students of different majors prioritize items related to value orientation, both Adapted Physical Educators and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put the highest value on ecological integration in terms of value orientation. Second, regarding differences between majors, Adapted Physical Educators indicate higher ethical sensitivity than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and about value orientation, Adapted Physical Educators show a higher learning process than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and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place higher value on social reconstruction than Adapted Physical Educators. Third, about gender differences, male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put higher value on ecological integration than female ones. Fourth, ethical sensitivity in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influences social reconstruction in value orientation significantly. 본 연구의 목적은 전공별 가치정향에 대한 우선순위와 예비 체육교사와 예비특수체육교사들의 윤리적민강성 및 가치정향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고, 윤리적민감성이 가치정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수체육교육전공 대학생 213명, 체육교육전공 대학생 210명으로 총 42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조사도구는 윤리적 민감성과 가치정향에 관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기평가기입법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Descriptive Statistics)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그리고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전공별 가치정향의 최우선순위에 따른 결과로 예비특수체육교사와 예비체육교사의 가치정향은 생태통합에 대한 가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에 따른 차이로 예비특수체육교사가 예비체육교사보다 윤리적민감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치정향은 예비특수체육교사가 예비체육교사 보다 학습과정이 높았고, 예비체육교사가 예비특수체육교사 보다 사회재건에 대한 가치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차이로 예비체육교사 중 남자가 여자보다 가치정향의 생태통합에 대한 가치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예비체육교사의 윤리적민감성이 가치정향의 사회재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예비특수체육교사들의 교직 선택에 있어서 문화적응 시기의 영향

        이홍민(Hongmin Lee),백승엽(Seung Yup Baek),안승옥(SEUNGOK AN)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3 교육발전 Vol.43 No.1

        본 연구는 예비특수체육교사들의 교직 선택에 있어서 교사사회화의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특수체육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생 3명과 대학원생 1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semi-structured) 질문지를 바탕으로 심층면담이 진행되었으며 문서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귀납적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소주제로 부호화(coding) 과정 후 포괄적인 주제로 범주화하였다. 연구 자료로부터 네 가지 주제가 발견되었다. 첫째, 적극적인 신체활동은 특수체육교사로 직업을 선택하는 동기로 작용하였다. 둘째, 체육교사는 특수체육을 직업으로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친척과 가족의 신체활동에 대한 관심과 참여는 직업선택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원봉사 활동 및 장애가족의 영향은 직업선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analyze the impact of teacher socialization of preservice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n choosing adapted physical education as a career.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consisted of one graduate and three undergraduate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The data were obtained from in-depth interviews based on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nd documents. This study used an inductive content analysis method based on coding sub-themes to comprehensive themes. Four key themes emerged from data: (1) active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motivated the participants' career choice to become an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 (2)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had an influence on choosing adapted physical education as a career, (3) it was found that the interests and active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and sports of relatives and family members influenced the participants' career choice, and (4) it was found that volunteer activities and family members with disabilities had influence on the participants' career choice.

      • KCI등재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건강)교육 실태 및 효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 - 통합 및 장애전담어린이집을 중심으로 -

        송호준 ( Song Ho Jun ),옥정달 ( Ok Jung Dal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1

        본 연구는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건강)교육 현황 및 실태와 효율적 운영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경북, 대구, 울산 지역 어린이집 교사(통합 및 장애전담어린이집) 1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은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건강)교육 실시현황 및 운영현황, 신체활동(건강)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신체활동(건강)교육 목표와 그 효율적 수행을 위한 중점개선사항 및 신체활동(건강)교육 전담교사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을 포함하였고, 그 결과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건강)교육은 필요하다고 나타났으며, 관련 자격으로 유아특수교사, 보육교사, 생활체육교사들이 신체활동(건강)교육을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부분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건강)교육은 실시하고 있지만 지도법, 경제적 부담 및 프로그램 부족으로 실시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건강)교육은 신체인식, 기본운동능력함양, 기초체력증진을 위하여 감각기관 활용, 신체인식, 신체활동 참여하기 등을 교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체활동(건강)교육의 어려움을 갖는바 체계적 신체활동(건강)교육을 위한 전담교사의 필요성과 유아에게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유아의 효율적 신체활동(건강)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유아특수체육 교과개설, 전문체육교사 양성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current physical activity education and its effective management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veral child care centers which are located in Seoul, Daegu and Ulsan. The study was based upon th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answered by 126 teachers who work for child care center.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measure teacher’s recognition of physical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teacher’s role in effective manage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secure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for each i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hysical activity education was crucial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rogram was executed b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hild care teachers, a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econd, physical activity education was mostly executed, but it had difficulty in applying the method of educational institution because of financial burden and shortage of a program for child care center. Third, the aims of physical activity education were the perception of body, basic exercise capacity and basic physical strength improvement.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sensory modulation, body-awakeness and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y education were u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have professional physical educators and programs development for systematic physical activity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the authors suggested that physical educator’s professional development should be equipped and the systematic physical activity education/ program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