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近畿南人學統의 展開와 星湖學의 形成

        윤재환 ( Jae Hwan Yoon ) 온지학회 2013 溫知論叢 Vol.0 No.36

        이 글은 근기실학파 혹은 근기남인계열의 대표 학자로 인정되는 성호의 학문이 형성된 과정과 근기남인계열 학맥 속에서 성호가 지니는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 서술된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근기와 실학 그리고 근기실학의 개념에 대한 논쟁거리를 추리는 것으로 시작하여 근기실학의 대표로 인정되는 성호의 학문이 형성된 과정과 그 과정에서 확인되는 문제점을 서술한 뒤 근기남인 학맥의 전개가 지니는 의미에 대해 정리해나가는 순으로 서술되었다. 흔히 알고 있는 근기남인계열의 학맥이 퇴계 이황 - 한강 정구 - 미수 허목 - 성호 이익으로 확정된 것은 번암 채제공에 의해서라고 생각된다. 번암은 근기남인계열의 존립을 위해서는 선명한 정치적 경향과 계보의 확립이 필요하다는 인식 아래 미수를 높이는 입장을 견지하였으며, 자기 계열의 학문적 정통성을 보다 공고히 하기 위해 퇴계에서 성호로 이어지는 근기남인계열의 학맥을 설정한 것이라고 보인다. 여기에는 당대 번암 스스로가 처해 있었던 정치적·학문적 처지 역시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 이렇게 본다면 퇴계에서 성호로 이어지는 근기 남인계열의 학맥에는 학문적 영향 관계보다 오히려 당대 근기남인계열이 처해 있었던 정치적 상황과 그 정치적 상황을 극복하고자 했던 학문 외적인 의도가 더 강하게 녹아 있다고 할 수 있다. 근기남인계열 학맥의 흐름에 작용한 정치적 영향은 성호 이후의 학맥 전승 과정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성호의 학맥은 邵南 尹東奎·順庵安鼎福·河濱愼後聃을 거쳐 下廬黃德吉, 性齋許傳에게 이어진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와 같은 성호 학통의 계승은 성호 학통의 다른 두 부류를 배제한 것이다. 배제된 하나의 계통은 鹿庵權哲身계통이고, 다른 하나는 貞山李秉休를 이어 가계 내 후손들에게 전해진 계통이다. 성호의 학맥이 이와 같이 세 부류로 나누어지지만, 그 가운데 후대 적통으로 인정되는 계열은 순암 안정복 계열이다. 세 계열 중 순암 계열이 적통으로 인정된 것 역시 이전까지 살펴본 것과 같은 당대의 정치적 역학관계에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고 보인다. 그것은 녹암 권철신 계열과 정산 이병휴 계열이 모두 후대 西學을 수용하여 상당한 정치적 탄압을 받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녹암 권철신 계열과 정산 이병휴 계열에 학맥의 정통성을 부여할 경우 성호의 학맥 전체, 혹은 근기남인 계열 학맥 전체가 정치적 탄압에 내몰릴 가능성 역시 적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점에서 현재 알려져 있는 근기남인계열의 학맥은 실질적인 학문의 계승 관계보다 숙종대 이후 청남계열의 정치적 입지 강화를 위해 시도된 다분히 정치적인 계보였다고 할 수 있다. 이 정치적인 계보가 영·정조대를 거치며 형성된 蕩平政局과 연계되면서 자신들의 정치적·학문적·사상적 정통성을 확정하여 정치적 위상을 견고히 하고자 했던 당대 근기남인계열 인사들의 의식과 결부되어 확정된 것이라 유추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학맥의 정립이 당대 사회에서 지니고 있었던 가치와 의미로 보아 이러한 학맥의 형성에는 정치적 의도뿐만 아니라 당대 근기남인계열 인사들의 기원과 의지라는 公議가 함께 담겨져 있다고 생각된다. This paper is written to examine the forming process of the study of Seongho who is recognized as the representing scholar of Geungi Silhak(近畿實學) or of Geungi Nam-in(近畿南人) and the meaning of Seongho within the academic lineage of Nam-in(南人). Thus, this paper begins with summarizing the debate topics about the concept of Geungi Silhak; discusses the forming process of the study of Seongho representing Geungi Silhak and the matters found in the process; and then organizes the meanings of the development of the academic lineage of Geungi Nam-in. It is believed that the widely known academic lineage of Geungi Nam-in from Toegye Lee Hwang - Hangang Jeong Gu - Misu Heo Mok to Seongho Lee Ik was confirmed by Beonam Chae Jegong. It seems that Beonam praised Misu in order to clarify the political tendency and lineage for the viability of Geungi Nam-in, and that he confirmed the academic lineage of Geungi Nam-in from Toegye to Seongho in order to solidify the academic legitimacy of his own lineage. It is understood that Beonam`s such actions was more or less influenced by the political and academic situations he was facing. With such understandings, it can be said that Geungi Nam-im`s academic lineage from Toegye to Seongho more strongly implied the political situations Geungi Nam-in members were facing at the time and their will to overcome them than the academically influential relationship itself. The political influences in Geungi Namin`s academic lineage are found in the process of the academic succession after Seongho. Even though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 Seongho`s academic lineage ran through Sonam Yoon Donggyu·Sunam Ahn Jeongbok?Habin Shin Hudam to Haryeo Hwang Deokgil and Seongjae Heo Jeon, that lineage excludes the other two lineages of Seongho school. In the excluded two lineages, Rog-am Gweon Cheolshin`s lineage is one, and the other ran through Jeongsan Lee Byeonghyu to descendents in the family. Although Seongho school can be sorted into the three lineages as such, the lineage which was recognized as the direct heir is Sunam Ahn Jeongbok`s lineage. It seems that the recognition of Sunam`s lineage as the direct heir was also influenced by political dynamic relationship as mentioned above. It is because Rog-am Gweon Cheolshin`s lineage and that of Jeongsan Lee Byeonghyu were later politically suppressed as both of those lineages`s descendents accepted ‘Seohak(Christianity)’. Therefore, if Rog-am Gweon Cheolshin`s lineage and that of Jeongsan Lee Byeonghyu had been given the school`s academic legitimacy, the entire Seongho school or the entire Geungi Nam-in could have been driven into severe political suppression. Indeed, it can be said that the currently known academic lineage of Geungi Nam-in was more likely for the very political attempt for strengthening Cheongnam lineage`s political position than for the real academic succession. It can be analogized that this political lineage was confirmed as it was related with ‘Tangpyeong-jeongguk(蕩平政局)’ during the reigns of Yeongjo and Jeongjo, and as Geungi Nam-in members of the time attempted to clarify their political position through their political, academical and philosophical legitimacy. However, when the values and meanings of such confirmation of academic lineage at the time are considered, it is thought that the formation of such academic lineage contained not only the political intentions but also the collective wish and will of Geungi Nam-in members of the time.

      • KCI등재후보

        허영헌법학의 계보와 발전적 계승

        조소영 ( So Yong Cho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4 法學硏究 Vol.24 No.3

        허영 헌법학의 등장은 국내 헌법학계의 새로운 바람이었고, 그 바람은 일순(一瞬)이 아닌 명맥있는 흐름이 되어 현재에도 헌법학 내에서 존속·발전되고 있다. 이 글은 ‘공법학 원로와의 대화’ 중 헌법학교수로서의 허영 교수의 일생을 조감하는 자리에서 그 하나의 내용으로 “새로웠던 그 학문적 바람”이었던 허영 헌법학의 계보가 어떻게 존재하는지 그리고 그 이론은 어떻게 발전적으로 계승되고 있는지에 대해서 생각해 본 것이다. 때문에 이 글에서의 계보분류의 기준과 계승내용에 대한 판단은 저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한 것이었으며, 그로 인해 본의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생략되거나 약술된 부분이 있을 수 있고 이에 대한 걱정은 여전히 남아 있다. 허영 헌법학의 계보와 계승에 관한 고찰의 시점(始點)은 당연히 허영 헌법학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이기 때문에, 단순한 독일이론의 수입에 그친 것이 아니라 그 연구방법까지 도입하여 이론생산적인 연구자로 평가받는 허영 헌법학의 중심적인 내용을 네 가지로 분류하여 살펴보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나서 허영 헌법학의 계보를 고찰함에 있어서는 허영 헌법학의 영향을 받았고 그의 지도를 받았던 학문의 주체를 중심으로 제1세대와 제2세대, 그리고 법조인군과 그 외 연구자들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허영 헌법학의 발전적 계승에 관한 고찰은 허영 헌법학의 계승으로서의 공통분모를 바탕으로 하되 각 연구자들의 독자적인 방향성과 색깔을 지니고 각자의 연구 및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후학들의 학문적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후학들의 자성적(自省的)인 고찰은 허영 헌법학의 계승이 발전적인 계승으로 평가받을 수 있도록 계속해서 노력하는 또 하나의 계기가 될 수 있었다. This article will be prepared for a session of “A Dialogue with the Veteran of Public Law Academic -Professor, Young Huh-”. The appearance of Young Huh` constitutional academic was a new wave of domestic constitutional academic, the wind is still being continued and has been developed in korean constitutional academics. This article is one study to examine the meaning of this existence and development. There is only one thing which I wish to tell, the standard of classification and judgement of inherited contents in this article is due to the subjective of mine as a author. For this study is starting from Young Huh` constitutional academic, first I classified the central contents of his works in four and considered them. And then I traced his academical lineage. That was determined by subject who was affected by Young Huh` constitutional academic and was under his academical guidance: the first generation, the second generation, lawyers and other researchers, and. Next, I examined with respect to progressive succession of Young Huh` constitutional academic by junior scholars. This examination was based on the academical common factors and mainly of their academic contents with their own academical direction and colors.

      • KCI우수등재

        Strategies for sustaining and enhancing nursing students’ engagement in academic and clinical settings: a narrative review

        Mohammad Reza Ghasemi,Hossein Karimi Moonaghi,Abbas Heydari 한국의학교육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32 No.2

        Students’ engagement in academic-related learning activities is one of the important determinants of students’ success. Identifying the best teaching strategies to sustain and promote nursing students’ engagement in academic and clinical settings has always been a challenge for nurse educators. Hence, it is essential to provide a set of strategies for maintaining and enhancing the academic engagement of nursing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explore and summarize the strategies that nurse educators use to sustain and promote nursing students’ engagement in academic and clinical settings. A narrativ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CINAHL (nursing content), ProQuest, Medline, the Cochrane, Google Scholar, and Scopus were searched. Of 1,185 retrieved articles, 32 teaching strategies were identified and extracted from the nursing literature. We used thematic analysis approach to organize these strategies into five main categories as follows: technology-based strategies (15 articles), collaborative strategies (10 articles), simulation-based strategies (two articles), research-based strategies (two articles), and miscellanea learning strategies (three articles). As a general comment, these strategies have the potential to promote nursing students’ engagement. Among the strategies discussed in this review, the use of technology, particularly the response system and online learning, was more common among nursing educators, which is in line with today’s advances in smart technologies. The collection presented in this review can be used as a starting point for future research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n educational intervention on the academic engagement of nursing students. Nevertheless, due to the lack of experimental studies, the optimal strategies remain to be elucidated through future high-quality experimental study.

      • KCI등재

        자녀의 학업적 성공을 위한 어머니의 교육적 실천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한국의 곰 엄마들

        김경리,김영천,조재성 한국질적탐구학회 2022 질적탐구 Vol.8 No.2

        본 연구는 자녀의 뛰어난 학업성취를 위해 노력하는 어머니의 교육적 실천과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했다. 어머니와 그들의 자녀 총 20명을 연구 참여자로 모집하여 질적사례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어머니는 가정 내 공부 환경을 물질적·심리적·생활적으로 조성하면서 자녀들이 자연스럽게 공부의 가치를 내면화할 수 있도록 유도했다. 둘째, 효과적인 공부 방법을 전수했다. 특히 다양한 학업적 상황에 직접 부딪혀 본 경험을 토대로 자녀에게 점수를 올리고 지식을 이해하는 방법을 가르쳐주었다. 셋째, 사교육에 집중적으로 투자했다. 어머니는 자녀들의 시기와 필요에 따라 사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희생했다. 마지막으로 어머니는 입시 정보, 학교 정보, 사교육 정보를 수집했다. 자모회, 학교 및 사교육 교사,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유용한 정보를 얻고 선별하여 자녀에게 핵심을 전달했다. 본 연구는 학업적 성공의한 가지 원인으로서 어머니를 살펴본다. 그리고 그들이 자녀를 학업적으로 성공시키기 위한 여러 행동이 자녀에게 큰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이러한 어머니의 지혜와 희생을 단군신화의 곰에 비유한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어머니의 교육적 실천이 학자들에 의해 개념화되고, 더 나아가 한국 학생들의 학업적 성공의 원인을 규명할 수 있는 사례들이 발굴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의 사회적응력 함양에 관한 연구

        이상호 ( Sang Ho Lee ),김대군 ( Dae Gun Kim ),박균열 ( Gyun Yeol Park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5 윤리교육연구 Vol.0 No.36

        본 논문은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분석하고 사회적응력을 함양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논지를 전개하였다. 다문화가정 자녀의 경우 외국인 어머니가 한국어를 제대로 습득하지 않고 자녀를 양육하면 언어 습득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된다. 유치원에 입학하여 생활할 때는 학업에 필요한 언어를 습득하지 못해 학습 부진으로 이어진다, 가정과 의사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준비물을 제대로 챙겨올 수 없게 되고, 그러한 일이 반복되다 보면 같은 또래의 아이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하게 된다. 학년이 높아질수록 내용 또한 어려워진다. 기초 학습 능력을 보충해 주지 않으면 초·중·고등학교로 올라갈수록 학업을 지속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학습에 대한 성취도가 낮아지면 학교생활에 적응을 하지 못하게 되고, 자존감 또한 낮아지게 된다. 자존감이 낮아지게 되면 삶의 의욕을 상실하게 되고, 주변의 다른 친구들과 다른 자신을 낳아 준 부모를 원망하는 일도 있게 된다. 낮은 자존감과 부모에 대한 원망은 인간관계를 힘들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사회에 대한 불만으로 표출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자녀가 개인적 측면에서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 사회적인 측면에서 건전한 민주 시민으로 적응하여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정부에서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언어 교육 정책, 다문화이해교육, 다문화대안학교 설립 및 운영 등을 통해 다문화가정 자녀의 사회 적응력을 함양시켜주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처방은 되지 못하고 있다. 다문화가정 자녀의 사회적응력을 함양시켜 주기 위해서는 먼저 교육공동체 차원의 언어 교육을 함께 지원할 수 있는 폭넓은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하며, 다문화가정 자녀 자신의 자기 존중과 성공 경험의 축적이 필요하다. 다문화가정의 자녀가 자기 존중과 성공 경험을 축적하게 되면, 자신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사랑할 수 있게 되고 자기 존재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와 자긍심을 발달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자신의 존재해 주도록 한 부모의 은혜에 감사할 줄 알게 되고, 역경도 자신이 발전할 수 있는 기회로 삼을 수 있다. 교육공동체가 되기 위해서는 다문화가정 자녀는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언어, 인종, 민족, 문화적으로 다양한 유산에 대해 자신의 정체성의 일부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부끄러워하고 숨길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장점을 살릴 수 있는 긍정적인 자세가 필요하며, 일반 학생들은 모든 사람의 본마음은 서로 같다는 것을 인정하고 다문화가정 자녀와 입장을 바꾸어 생각할 수 있는 다문화 감수성이 필요하다. 물론 다문화 이해교육도 병행되어야 다문화가정 자녀의 사회적응력이 함양될 수 있다, This paper is unfolded with focus on measures for the cultivation of social adaptabil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fter analyzing their difficultie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ould be unable to acquire Korean properly if their mothers do not have a sound command of the language while they are engaged in parenting. When they enter kindergarten, they are supposed to have academic underachievement due to their poor language competence, they do not bring supplies frequently due to poor home communication, and with such events repeated, they are shunted aside by their peers. Learning contents get more difficult with their grade years advanced. If their basic learning ability is not made up, they have more difficulties in maintaining their learning with their advancement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hey are maladapted to school life with their low learning achievement, and their self-esteem also lowers. A child loses zest in life with its low self-esteem, and becomes to have a grudge against its surrounding peers and its blood parents. Low self-esteem and blame to parents are factors causing poor interpersonal relations, and are expressed often as complaints to society. Thus, it is necessary to help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ead a healthy life on their personal side, and live a happy life as healthy democratic citizens with good adaptation on the social side. Though the government make efforts to cultivate social adaptabil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ith policies for their language education, th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ism, and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s. In order to cultivate social adaptabil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side consensus should prevail to support language education in the dimension of educational community, and it is necessary to help them have self-respect for themselves and cumulate experiences of success. If they have cumulated self-respect and experiences of success, they become able to love themselves as they are, and have pride and positive consideration of themselves. As a result, they become grateful to their parents for making them exist, and take hardship as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mselves. In additio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need to naturally take their languages, races, ethnicities, and culturally diverse heritages as parts of their identity and have positive attitude in order to strengthen their merits. Their social adaptability can be cultivated when non-multicultural students are educated to recognize that all people have the same heart and to understand multiculturalism with empathic consideration.

      • KCI등재

        Development of A Graphic-based Digital Textbook on Biology Learning for Bangladesh Higher Secondary Students

        Firoz Ahmed,권용주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2022 Brain, Digital, & Learning Vol.12 No.4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a graphic-based digital textbook for for Bangladesh’s higher secondary level student’s academic success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biology learning. In Bangladesh, the teaching method is traditionally traditional like a ‘Jug and Mug’, called teacher-centered learning; the instructor is at the center of all learning, and students are merely a listener. In the study, the researcher made an interactive digital textbook using Canva on human eyes to facilitate an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 through various texts and activities to facilitate student-centered learning. Student-centered learning has not yet been introduced in Bangladesh. The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using the pretest-posttest control design. The researcher us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ologies in the experi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igital textbook is usable in the classroom despite of few infrastructural limitations and the experience digital textbook has been showed a high level of academic success.

      • KCI등재

        학업 최우수 대학생의 학습전략에 관한 질적 연구

        라영안 ( Ra Young-a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4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 높은 성적을 유지하는 학업 최우수 대학생의 학습전략이 무엇인지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한 대학교에서 두 학기 이상 평균 평점 4.0/4.3 이상인 대학생 총 45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고 있는 학업 성취 촉진 요인과 학습전략을 질문하였다. 인터뷰를 실시하여 전사한 면접 자료를 합의적 질적 분석(CQR) 방법으로 정리한 결과, 학업 성취 대학생의 학업성취 촉진 요인으로 인지전략, 자원관리전략, 동기화전략, 조절전략의 4개의 영역이 도출되고 각 영역별로 맥락적 노트필기, 시연을 통한 예습복습, 세밀한 시간관리, 적극적인 대인관계, 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수업몰입, 유연한 사고의 8개의 중심내용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학이 우수한 학업성취를 보이는 학생들의 학업성공 요인을 지각하고 그들의 학습전략이 성공적인 학업성취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탐색하고 해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일반 대학생들이 학업 최우수 대학생의 학습관련 생활태도 및 습관을 비교해 볼 수 있는 기회와 다양한 학습전략을 반영한 학습 프로그램을 구상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arning strategies influencing Korean top level college students’ academic success. To address this aim, 45 Korean students, all juniors in their Bachelors of Arts, who earned a GPA of above 4.0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 questions included: “What factors relate to your good GPA?” and “Wha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contributes to good GPA?” Student responses were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As a result, the 4 categories and 8 concepts of factors that influence Korean top level students among high achievers’ excellent GPA were found. Identifying these factors can be useful for college students, faculties, and higher education administrators in providing a helpful guide that will maximize the chances that college students will be successful.

      • KCI등재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학업성취요인 분석 및 전공실기성취도와 전체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최진호(Jin Ho Choi) 한국음악교육학회 2012 음악교육연구 Vol.4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대학 재학생들이〈N=195) 생각하는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전공살기성취도와 전제학업성취도간의 관계를 연구자가 직접 제작 한 Academic Success Inventory For Music Majors (ASIMM)를 통해 측정, 분석해 보 는 것이었다. 연구의 측정도구인 ASIMM은 교수, 동료집단, 타고난 환경, 개인성취능력, 학교 등 다섯 가지 요인을 바탕으로 총 34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높은 내적일관성신뢰도가 확인되었다(a=90). 본 연구 결과, 음악전공 대학생들은 스스로의 자신감, 성취욕 구, 충분한 전공실기 연습, 시간관리 둥 ``개인성취능력`` 과 관련한 요인들을 학업성취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지적하였다. 반면, 타고난 음악적 재능이나 지능0 등 ``타고난 환경``과 관련된 요인들은 상대적으로 학업성취에 영향을 적게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대학생의 전공실기성취도와 전제학업성취도를 비교한 결과, 두 변인 간 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r=62 p<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적으로 음 ``악 대학생들이 실기와 전체학업성취 간에 상관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과는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ived factors that influenced the academic succ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nd performance achievement as music majors in Korean universities (N195). The Academic Success Inventory for Music Majors (A SIMM) was developed for investigating the academic succ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nd performance achievement as music maj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personal-effort factors, such as self-confidence, the motivation to be successful, and the practice of performance were perceived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mpacting the academic success of music majors in Korean universities, while gifted factors, such as musical talents and IQ were perceived as the least influential factors, relatively. Also, the findings of this study pointed out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cademic and performance achievement among the music majors in Korean universities (r=62: p<0l). Recommendation and conclusion were provided for music majors in Korean universitie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성공지능의 발달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영만 ( Young Man Lee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6 초등교육연구 Vol.19 No.2

        이 연구에서는 Sternberg(1996)가 제안한 성공지능의 발달경향과 관련변인들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성별×학년별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년이 올라갈수록 성공지능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성공지능의 발달적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성공지능 및 관련 변인들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의 분석에서는, 네 개 교과의 학업성취도에 대해 성공지능이 가장 의미 있는 예언변인이라고 할 수 있으나, 학교생활 적응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력 역시 부분적으로 예언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성공지능의 하위지능만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에서, 국어과는 창의 지능이, 수학과는 실제 지능, 사회과는 실제 지능과 창의 지능, 그리고 과학과는 세 가지 하위지능 모두가 의미 있는 예언변인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업성취도에 대한 성공지능의 예언력이 선행연구들과는 차이가 있음을 의미하며, 성공지능검사와 학업성취도 검사의 유형을 고려한 체계적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끝으로, 성공지능이론의 교실 적용을 위해 필요한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tendency of successful intelligence, and to examine the relative potency of successful intelligence and other variables to influence the academic performance. The subjects were 878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y were 4~6th grade. The result of two-way(sex×grade) ANOVA showed that the upper grade students tend to score more higher than the lower grade students. These results were significant, and researcher could find the positive developmental tendency of successful intelligence, at least within the grou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n, in the multi-regression analysis about the relative potency of successful intelligence and other variables to the academic performance, successful intelligence was found to be a higher predict variable to the academic performance(i.e. Korean, Mathematics, Social-studies, & Science) than other variables(i,e.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chool adjustment). School adjust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also to be a good predic variables to some subjects matters. Among the sub-intelligences of successful intelligence, creative intelligence was a good predict variables to Korean, practical intelligence to Mathematics, practical and creative intelligences to Social-studies, and all the three kinds of sub-intelligences to Science.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ntradict to the results of other researches, mor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studies should be implemented by future researchers, especially focusing on the type of successful intelligence and academic performance tests. Finally, in order to apply the positive elements of successful intelligence theory to the elementary school class, more studies about the way to find ou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students, to place student into a proper study course, and to reconstruct the learning materials.

      • KCI등재후보

        농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성패 귀인 분석

        나승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ttributions for academic success and failure of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Author modified the Park's Academic Success and Failure Attribution Instrument (1989) and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population for the survey was students in agricultural high schools across the country. Data was collected from 868 students in 31 agricultural high schools randomly selected.Findings showed that most of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have higher motivation for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an average. They have a positive understanding of their ability to accomplish and they do not consider them as being bad scholars at school. They do not seem to strive for hard working but they have high interests in their grades. And the half of students wanted to go to the college after graduation. But most students had more experienced academic failure at the middle school than at the elementary school or the current high school life. Another conclusion was that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generally attributed their success and failure to 'level of task difficulty' and 'efforts', which could be analyzed to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controllability in properties of attributions. The attributions for students' academic success and failure depended upon their grade, school location, achievement motive, self-concept of academic ability, achievement record, reasons for school entrance, learning effort, concern about achievement, successful experience, positive feedback from teachers, career plan after graduation, and degree of academic success and failure by the type of schooling.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made some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