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Study on the Preparednes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성창용,박경수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18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춘계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in its progressive form, and its effects are already being revealed throughout society. It has led to a variety of new technologies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big data, Internet of Things (IoT), robotics, cyber-physical systems, biotechnology, 3D printers, drones, and Uber. The winds of this revolution are expected to bring many changes to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low-growth global economy and a decline in productivity are prompting a 4th industrial revolution centered on Europe’s Germany, as it needed new growth engines. In Korea, manufacturing industries focused on labor and capital were the center of the industry. The goal was to pursue the first and second industrial revolution led by the developed countries, and to achieve what is called the “Miracle of the Han River”, “The Four Dragons for Asia”, and “The East Asian Miracle”. However, unlike the pas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not expected to bring about theoretical but substantial changes. The preparations and research in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ay seem to be ahead of the major countries, but unfortunately it is far behind the major ones. The United States, China, Germany and Japan are in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society, culture and economy in relation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Korea`s economy, however, is showing a decline in the growth rate, with the exception of technical hardware and equipment and telecommunication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n industry that requires highly specialized knowledge, information, and technology, and if it fails to respond to rapidly evolving technological changes and trends, it is bound to be relegated to the government's position. For small and medium sized manufacturers in particular, the longer the preparation is delayed due to poor environment, structural backwardness, lack of core competencies, and lack of innovation, the more likely they will adjust to social and technological changes caus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importance of prepar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take strategic approaches to enhance the sophistication of technologies and the autonomy of small and medium 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In this study, we intend to study the manufacturing-ready effects of manufacturing industries based on the level of perception of the company’s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is purpose, 122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companies were survey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bout four months from December 1, 2017 to March 31, 2018. In the case of small and medium 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a hypothesis was established on how the perception and preparation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affects the direct prepara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ree assumptions were presented depending on the level of percep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questionnaire. When comparing the data to the hypothesis,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companies should be able to determine the level of interest they have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f they are not prepared to do so, they should be able to invest in a certain extent.

      • KCI등재

        4차산업혁명 시대의 기독교교육 방향성 제고

        임창호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8 기독교교육논총 Vol.56 No.-

        The term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ecome hugely popular in Korean society, so popular that it now turns up in all aspects of society,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ety, religion, education, and culture. It is well known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s principal impact on life is to make all things faster and more efficient. One might even say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e dawn of a new era of hyper-connectivity and hyper-intelligence. Biotechnology, cloud computing, the Internet of things, business platforms, artificial intelligence (AI), self-driving cars, 3D printing, big data, and robotics are among the leading concep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Korea has already experienced firsthand the shocking potential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en “AlphaGo,” an AI computer program developed by Google affiliate “Deepmind,” defeated Sedol Lee, the world's best Go player, in a 4 (wins) to 1 (loss) Go match in March 2016. Becaus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radically alter life at all levels(from individuals and nations to societies and humanity), every field of study must pay close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this phenomenon. This research paper attempts to stud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rom a comprehensive Christian educational perspective, including from the perspectives of churches and Christian schools. It maps various directions that Christian education may develop into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ith commentary on how the form and substance of Christian education should be rethought and redesigned. The paper discusses, in order, the international reactions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onten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s rippling effect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s effects on education, domestic reactions from Secular and Christian Education circles in Korea, and additional considerations from a Christian Educational perspective. Finally, the paper explores, from a Christian educational perspective, the impact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on fundamental aspects of human education, including personality and character, creativity,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가 최근 들어 한국사회 전반에 걸쳐 폭넓게 통용되고 있다. 정치, 경제, 사회, 종교, 교육, 문화 할 것 없이 이 용어를 언급하지 않는 곳이 없다. 주지하는 바대로 4차 산업혁명의 특징은 삶의 대부분 영역을 빠른 속도로 바꾸어가고 있다는 데 있다. 이를 초연결, 초지능시대의 돌입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바이오,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비즈니스플랫폼, 인공지능(AI), 자율주행자동차, 3D프린트, 빅데이터, 로봇 등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끄는 대표적인 개념들이다. 2016년 3월, 딥마인드의 인공지능 알파고가 세계 최고의 바둑기사 이세돌과 대국하여 4대1로 이겼을 때, 이미 4차 산업혁명의 충격은 한국 땅에서도 경험한 바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전개가 개인과 사회와 국가뿐 아니라 가히 세계와 인류의 삶을 통째로 바꾸어가고 있는 메가톤급 영향을 발휘하고 있다는 점에서 모든 영역이 긴장하며 주목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렇듯 요동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전 앞에서, 교회와 기독교학교들을 포함한 모든 기독교교육 현장에서, 기독교교육의 내용과 형식을 어떻게 리디자인해야 할 것인지 고민하면서 그 방향성 제고를 시도한 연구이다. 글의 내용은 4차 산업혁명의 현상(국제적 반응, 용과 파급효과, 과제와 대책), 교육에의 영향, 국내 일반교육학계와 기독교교육학계에서의 반응, 그리고 기독교교육적 관점에서의 고민과 방향성 제고 등을 차례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간교육의 핵심으로 주목되고 있는 인성, 창의성, 소통, 협력 개념을 기독교 육적 관점에서 재조명하였다. (한글초록) 4차산업혁명이라는 용어가 최근 들어 한국사회 전반에 걸쳐 폭넓게 통용되고 있다. 정치,경제,사회,종교,교육,문화 할 것 없이 이 용어를 언급하지 않는 곳이 없다. 주지하는 바대로 4차산업혁명의 특징은 삶의 대부분 영역을 빠른 속도로 바꾸어 가고 있다는 데 있다. 이를 초연결, 초지능시대의 돌입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바이오,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비즈니스플랫폼, 인공지능(AI), 자율주행자동차, 3D프린트, 빅데이터, 로봇 등이 4차산업혁명 시대를 이끄는 대표적인 개념들이다. 2016년 3월, 딥마인드의 인공지능 알파고가 세계최고의 바둑기사 이세돌과 대국하여 4대1로 이겼을 때, 이미 4차산업혁명의 충격은 한국땅에서도 경험한 바 있다. 4차산업혁명의 전개가 개인과 사회와, 국가 뿐 아니라 가히 세계와 인류의 삶을 통째로 바꾸어가고 있는 메가톤급 영향을 발휘하고 있다는 점에서 모든 영역이 긴장하며 주목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렇듯 요동치고 있는 4차산업혁명 시대의 도전 앞에서, 교회와 기독교학교들을 포함한 모든 기독교교육 현장에서, 기독교교육의 내용과 형식을 어떻게 리디자인해야 할 것인지 고민하면서 그 방향성 제고를 시도한 연구이다. 글의 내용은 4차산업혁명의 현상(국제적 반응, 내용과 파급효과, 과제와 대책), 교육에의 영향, 국내 일반교육학계와 기독교교육학계에서의 반응, 그리고 기독교교육적 관점에서의 고민과 방향성 제고 등을 차례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4차산업혁명시대 인간교육의 핵심으로 주목되고 있는 인성, 창의성, 소통, 협력 개념을 기독교교육적 관점에서 재조 ...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의 대응을 위한 부패방지와 윤리규범 성찰

        김경동(Kim, Kyung Dong 한국부패학회 2021 한국부패학회보 Vol.26 No.1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을 위하여 부패방지와 윤리규범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4차 산업혁명은 급격한 변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적절한 대응을 위하여 부패방지와 윤리규범에 대한 설정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1-4차 산업혁명의 변혁적 특성을 고찰하고, 코로나19 펜데믹의 여파를 통하여 사회변혁과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미국, 일본, EU와 한국정부의 대응책을 간략하게 다루었다. 이 과정에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주요국의 대응과 한국정부의 대응이 경제적 관점과 기술적 차원에 머물러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윤리적 차원의 대응 역시 빅데이터 활용이나 정보교환과정에서 발생하는 개인정보 보호문제에 한정되는 상황을 재인식하였다. 동일선상에서 4차 산업혁명을 둘러싼 문제들은 (1) 인간의 존엄성 문제, (2)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수용성 문제, (3) 윤리규범의 설정과 부패방지 문제 등으로 제시된다. 이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4차 산업혁명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이 인간의 존엄성 훼손에 대한 우려와 심리적 불안감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정리된다. 특히, 인간의 존엄성 문제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간의 욕망과 변혁적 특성에 기인한다. 애초에, 1-4차 산업혁명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의 효용과 편리성을 극대화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다만, 1-3차 산업혁명은 인간의 효용과 편리성을 극대화하는 과정에서 과학기술이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서 과학기술이 인간을 점진적으로 대체하고 있다. 어느시점부터, 인간의 노동력 자체가 비효율로 취급되어 인간이 기계로 대체되는 심리적 불안감과 우려는 지속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인간의 존엄성 훼손은 피할 수 없게 되어 4차 산업혁명을 관통하는 문제의 본질이 된다. 4차 산업혁명을 둘러싼 수용성 문제는 국가주도의 정책개입으로 인해 논란을 일으킨다. 결국, 이러한 일련의 흐름은 4차 산업혁명에 우리가 대응하기 위해 부패방지와 윤리규범을 성찰하게 한다. 본 연구가 후속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길 바라며, 연구를 종결한다. This study researched to respond anti-corruption and ethical standard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esults of this study, becaus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rings about drastic changes, In order to respond appropriately, anti-corruption and establishment of ethical standards are required. To this end, this study exmined considering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the 1st-4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the aftermath of the Corona19 pendemic. And, this study briefly looked at the countermeasures of the US, Japan, EU, and Korean governments in respons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ponses of major countries and the Korean government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emained in the economic and technical dimensions. In addition, it was recognized that the ethical response was also limited in term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using big data or exchanging information. On the same line, the problems surround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presented as (1) the problem of human dignity, (2) the problem of acceptabilit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3) the establishment of ethical norms and the problem of anti-corrup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ppear to be due to concerns about the loss of human dignity and psychological anxiety that the problems arising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Especially, the problem of human dignity stems from human desire and transformative characteristic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t first, the ultimate purpose of the 1st-4th industrial revolution starts from maximizing human utility and convenience. Merely in the first and third industrial revolutions, science and technology played an auxiliary role in maximizing human utility and convenience. In contrast, science and technology are gradually replacing human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t some point, the psychological anxiety and concern that human labor itself is treated as inefficiency and humans are replaced by machines inevitably persist. Therefore, the damage to human dignity is inevitable and becomes the essence of the matter penetrat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ssue of acceptability surround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ouses controversy due to state-led policy intervention. In the end, this series of trends makes us reflect on anti-corruption and ethical norms in order to respon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 hope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subsequent studies, and I conclude the study.

      • KCI등재

        일본종합상사의 4차 산업혁명 대응 사업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박영곤,정무섭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경영컨설팅연구 Vol.20 No.3

        This study analyzed how Japanese general trading companies are responding to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follow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evelopment of major innovative technologies that lea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change the industry paradigm and affect not only manufactures that directly use them, but also trading companies who are doing business in various industries. Nevertheless, existing studies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es on defining the concep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types of innovative technologies, and predicting future changes accordingly. On the other hand, the case study of the companies’ respons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r the study on strategic directions that can give implications to the business activities of the companies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s of countermeasures agains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f domestic trading companies through case study on Japanese general trading compan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irst implication is that in oder to respond in a timely to the chang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obtain business opportunities, it is necessary to induce information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each sales department through a dedicated organizations or committees at an enterprise level. The second implication is to increase the efficiency and profitability by applying innovative technologie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ie the existing business area, while using it as an opportunity to innovate the business model or create new business in the long term. In particular, it is also a good implication for domestic trading companies that Japanese general trading companies make new business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utilizing cross-industry insights obtained through business experience in various industries. Innovative technologies that lea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ay increase the connection and sharing between suppliers and consumers, and there is a risk of weakening the intermediary function of traders as a middleman. It is also a good implication that Japanese general trading companies are actively 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and enhancement of functions and roles in respons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in the changes in the industrial paradigm such as the pas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revolution. 본 연구는 일본 종합상사의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사업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 현황을 분석하였다.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주요 혁신기술들의 발전은 산업패러다임을 변화시켜 이를 직접 활용하는 제조업체뿐 아니라 다양한 산업군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무역업체들에도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이 기업의 경영과 비즈니스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큼에도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4차 산업혁명의 개념적 정의와 혁신기술의 종류 및 그에 따른 환경변화를 예측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기업의 대응 현황에 대한 사례분석이나 경영활동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전략 방향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무역업체들이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사업환경 변화에 어떻게 대응해 나갈지 일본 종합상사들의 사례를 통해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 국내 무역업체들에 대한 주요 시사점으로는 첫째, 4차 산업혁명의 변화에 적기에 대응하고 사업기회를 얻기 위해서는 초기에는 전사적인 차원에서의 전담 조직이나 전사 위원회를 통해 각 영업부서 간 정보교류와 협력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로는 사업 추진방식에 있어서 단기적으로는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혁신기술을 보유한 유망 기업에 대한 투자나 동 분야와 유관한 관계사 및 자회사와의 협력을 통해 기존 취급품목이나 사업 분야에서 효율성과 수익성을 높이는 한편, 장기적으로는 비즈니스모델을 혁신하거나 신규사업을 창출하여 새로운 수익사업을 창출해 나가는 전략이 유효하다는 것이다. 특히 신사업을 창출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사업경험을 통해 얻는 종합상사만이 가지는 종합력을 발휘하여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하여 새로운 분야를 찾는 것도 국내 무역업체에 주는 좋은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혁신기술들은 공급자와 수요자 간의 연결과 공유를 확대케 하여 무역업체들의 미들맨으로서의 중개 기능을 약화시킬 위험도 있으나, 일본 종합상사의 경우 과거 정보통신 기술 혁명 등의 산업패러다임 변화 때와 같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도 기능과 역할을 발전시키고 제고해 나가면서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는 점도 국내 무역업체들에 주요 벤치마킹 포인트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4차산업혁명에 대한 인식과 소비자교육 책임 기대

        김시월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1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대학생 소비자를 대상으로 4차산업혁명에 대한 인식, 관심 및 추천의도를 알아보고, 소비자교육에 대한 책임의 기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4차산업혁명에 대한 긍정적 인식 요인은 경제적 이익창출, 신뢰성과 안전성, 효율성과 편이성으로 명명하였고, 경제적 이익창출, 효율성과 편이성, 신뢰성과 안전성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4차산업혁명에 대한 부정적 인식 요인은 일자리 감소 및 양극화, 소비자의 소외, 시스템 불안정 및 사 생활 침해 등으로 나타났으며, 4차산업혁명에 대한 관심과 추천의도는 긍정적이었다. 4차산업혁명 관련 소비자교 육에 대한 책임 기대 요인은 정부 책임 교육 기대, 기업 책임 교육 기대로 나타났고, 4차산업혁명 관련 소비자교 육 책임 기대의 차이는 주관적 견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4차산업혁명에 대한 인식 요인별 4차산업혁명에 대 한 관심 및 추천의도, 소비자교육 책임 기대의 인과관계를 살펴본 결과, 일자리 감소 및 양극화와 시스템 불안정 및 사생활 침해를 제외한 모든 요인이 관심 및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쳤고, 이것이 소비자교육에 대한 책임 기대 를 더 높였다. 주목할 것은 4차산업혁명 관련 인식 요인 중에서 소비자 소외는 관심 및 추천의도에 부적인 영향 을 주어, 젊은 소비자의 소외 측면에서 관심 및 추천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은 노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교육의 당위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젊은 세대도 4차산업혁명 관련 소비자교육 책임 기대를 인 지하고 요구한 점, 4차산업혁명 관련 인식 요인 중에서 소비자 소외는 4차산업혁명 관심 및 추천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준다는 면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4차산업혁명 관심 및 추천의도는 4차산업혁명 관련 소비자교육 책 임 기대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소비자별 4차산업혁명 관심 및 추천의도를 객관적으로 잘 인식하게 하고, 명 확한 정보 및 지식 전달이 중요하다. 4차산업혁명의 기술적 변화를 고려하였을 때 취약계층 소비자들에 대한 소 비자교육이 필수적이며, 사회교육으로서 소비자교육의 중요하다. 이러한 면을 고려한 위드 코로나 시대에 4차산 업 혁명 관련 소비자교육의 지향점에 대한 재인식을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college student consumers, and examined the expectations of responsibility for consumer education. As a result, positive factor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named economic profit creation, reliability and safety, efficiency and convenience, and were found to be high in the order of economic profit creation, efficiency and convenience, reliability and safety. Negative factors of percep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job loss and polarization, alienation of consumers, system instability, and privacy infringement, and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positive. Responsibility expectations for consumer education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ppeared as government responsible education expectations and corporate responsible education expectations, and differences in consumer education expectation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iffered according to subjective view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nsumer education responsibility expectations, all factors except job loss, polarization, system instability, and privacy infringement affected consumer edu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among the recognition factor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nsumer alienation negatively influenced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showing the justification of education for vulnerable groups such as the elderly. Focusing on these results, the younger generation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the expectations and demands for consumer education responsibility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mong the factor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nsumer alienation negatively affects the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Since the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closely related to the expectation of consumer education responsibility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important to objectively recogniz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Considering the technical chang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nsumer education for vulnerable consumers is essential, and consumer education is important as social education. Considering this aspect, we look forward to rerecognition of the direction of consumer education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With Corona era.

      • KCI우수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콘텐츠와 문화콘텐츠

        김기덕 인문콘텐츠학회 2019 인문콘텐츠 Vol.0 No.52

        It can be said that it was around 2000 that the concept of contents and cultural contents emerged in Korean society including the Human Contents of Association. This period was in sync with the atmosphere of the times when digital technology spread on a full scale. The full-scale spread of this digital technology in this period is currently defined as the 3rd industiral revolution. Therefore, the emergence of such terms as contents, cultural contents and human contents and their social utility are closely related to the 3rd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attempted to discuss this relatedness from a perspective of the 'media'. That is, the full-scale spread of digital technology understood as the 3rd industrial revolution led to the diffusion of the media as its specific presentation, which is thought to have necessarily resulted in requiring contents contained in the media, and furthermore cultual contents and human contents. This study started by asking a question of 'how contents, cultural contents and human contents emerging in the 3rd industrial revolution will take shape if current technological development can be said to b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study, the cor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is thought to be the context. Technologies currently presented as the emblem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ctually the deepening of digital technology in the 3rd industrial revolution. Accordingly, there are arguments that negate its classification. But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not simply the extension of digital technology but also its intelligence. The core of intelligence consists in collecting and grasping the user's context and assisting in applying it. The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the heyday of the contents specialist. If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xtract the user's context, the importance of contents will also be presented in planning cultural contents based on it and the planning of cultural contents will be made even easier. More ardent discussion over the orientation of cultural content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expected to set the direction for cultural contents studies and human contents studies. In addition, the accurat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core of technogi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expected to make it easier to create contents in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and produce the more abundant outcome. 한국사회에서 콘텐츠, 문화콘텐츠 개념이 출현한 것은 2,000년이었다. 이 시기는 디지털기술이 본격적으로 확산되는 시대분위기와 맞물려 있었다. 이 시기 이러한 디지털기술의 전면적 확산을 현재 3차 산업혁명이라고 규정한다. 필자는 3차 산업혁명의 핵심을 ‘미디어’의 차원에서 정리하여 보았다. 즉 3차 산업혁명으로 이해되는 디지털기술의 전면적 확산은 그 구체적인 표상으로서 미디어의 확산을 가져왔으며, 그 결과 필연적으로 그 미디어에 담기는 콘텐츠, 더 나아가 문화콘텐츠·인문콘텐츠를 요청할 수밖에 없었다고 생각한다. 과연 3차 산업혁명시대에 출현한 콘텐츠, 문화콘텐츠, 인문콘텐츠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는 어떻게 될 것인가. 필자는 그것을 해명하기 위해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핵심은 컨텍스트(context)라고 보았다. 현재 4차 산업혁명의 표상으로 제시되는 기술들은 실제로는 3차 산업혁명시대 디지털 기술의 심화이다. 따라서 그 구분을 부정하는 주장도 나오는 것이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의 기술들은 단순한 디지털기술의 확장만이 아니라 지능화(intelligence)되었다는 점에 있다. 지능화의 핵심은 사용자의 컨텍스트(context)를 수집하고 파악하여, 그것을 응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점에 있다. 그렇다면 4차 산업혁명시대는 오히려 콘텐츠전문가의 전성시대가 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의 기술들이 이용자의 컨텍스트를 추출해준다면, 그에 기반한 문화콘텐츠 기획에서는 역시 콘텐츠의 중요성이 제기될 것이고, 또한 문화콘텐츠 기획이 더 용이해질 것이다. 마지막 장에서는 이러한 이해선상에서 연구와 교육을 수행하는 인문콘텐츠학회 구성원들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보았다. 그것은 기술친화적인 연구와 교육으로 압축될 수 있다. 아무쪼록 본 글을 계기로 4차 산업혁명시대 문화콘텐츠의 향방에 대한 보다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져서, 문화콘텐츠학에 대한 방향정립과 함께 인문콘텐츠학회가 이 시대 문화콘텐츠산업을 선도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이 문화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변재웅(Byun, Jae-Woong)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3

        4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루어낸 혁명시대를 지칭하는데, 규칙, 경제와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대단하다. 클라우드 슈밥 (2016)은 4차 산업혁명은 경제의 디지털화 AI의 영향이라는 관점에서 차세대 기계 세대라고 한다. 4차 산업혁명은 국가, 산업, 특히 문화산업에 미치는 영양이 크다. 소프트파워가 결국 문화파워이다. 소프트파워는 한 국가의 문화, 정치적 사상, 정책의 매력에서 생성된다고 Nye (2005)는 인식한다.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이 서비스산업인 문화산업과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분석한다. 먼저 2장에서 4차 산업혁명이 문화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제 3장에서 사례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이 기업(제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제 4장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각국 사례 연구와 한국 4차 산업혁명의 문제점과 시사점을 분석한 후, 마지막 5장은 결론을 각각 도출한다. 연구결과 한국은 많은 분야에서 타국에 비해서 4차 산업혁명의 준비가 미흡하여 과감한 규제개혁이 필요하다.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described as a fus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lso known as ICT, and impacts all disciplines, economies, and industries. Klaus Schwab(2016) addressed it with the "second machine age" from the viewpoint of the effects of economic digitalization known as AI.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ignificantly affects a country, an industry, and particularly a cultural industry. Soft Power is Cultural Power. Nye(2005) understands that soft power is ability to get what you want through attraction rather than coercion and payments. It arise from the attractiveness of a country’s culture, political ideas and policies. Thus, this paper analyzes the impac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n the cultural industry, also known as a service industry, and on an manufacturing industry. Section II will examine the impac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n cultural industry. Section III analyzes the impac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n manufacturing industry based on the case study. Section IV analyzes on the case studies of the USA, Germany, Japan, and China that lea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xamines Korea’s problems of the prepara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rovide implications. At last, section V concludes the analysis.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Korea is far behind the prepara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pared to USA, Germany, Japan and even China. Thus, it is necessary for Korea to deregulate many disciplines and regulations as soon as possible. 4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루어낸 혁명시대를 지칭하는데, 규칙, 경제와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대단하다. 클라우드 슈밥 (2016)은 4차 산업혁명은 경제의 디지털화 AI의 영향이라는 관점에서 차세대 기계 세대라고 한다. 4차 산업혁명은 국가, 산업, 특히 문화산업에 미치는 영양이 크다. 소프트파워가 결국 문화파워이다. 소프트파워는 한 국가의 문화, 정치적 사상, 정책의 매력에서 생성된다고 Nye (2005)는 인식한다.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이 서비스산업인 문화산업과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분석한다. 먼저 2장에서 4차 산업혁명이 문화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제 3장에서 사례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이 기업(제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제 4장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각국 사례 연구와 한국 4차 산업혁명의 문제점과 시사점을 분석한 후, 마지막 5장은 결론을 각각 도출한다. 연구결과 한국은 많은 분야에서 타국에 비해서 4차 산업혁명의 준비가 미흡하여 과감한 규제개혁이 필요하다.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described as a fus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lso known as ICT, and impacts all disciplines, economies, and industries. Klaus Schwab(2016) addressed it with the "second machine age" from the viewpoint of the effects of economic digitalization known as AI.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ignificantly affects a country, an industry, and particularly a cultural industry. Soft Power is Cultural Power. Nye(2005) understands that soft power is ability to get what you want through attraction rather than coercion and payments. It arise from the attractiveness of a country’s culture, political ideas and policies. Thus, this paper analyzes the impac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n the cultural industry, also known as a service industry, and on an manufacturing industry. Section II will examine the impac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n cultural industry. Section III analyzes the impac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n manufacturing industry based on the case study. Section IV analyzes on the case studies of the USA, Germany, Japan, and China that lea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xamines Korea’s problems of the prepara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rovide implications. At last, section V concludes the analysis.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Korea is far behind the prepara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pared to USA, Germany, Japan and even China. Thus, it is necessary for Korea to deregulate many disciplines and regulations as soon as possible.

      • KCI등재

        중학생의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 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기술교과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이용진,이종혁,유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01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2 No.3

        In modern society, which is rapidly changing throug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xperiences in high-tech core technology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the Internet of Things and autonomous car are being emphasized. However, in Korea's middle school education, it is only a superficial education such as explanation of related terms, and there is a lack of experience-oriented teaching-learning programs that can actually experience or design principles for th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program using the interlocking technology elemen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re technology and interlock proces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improv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literacy. The study procedure was progressed in four stages of literature reviews, study design,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rogram using the ASSURE model and completing the final teaching-learning program. Thus, in phase of the literature review, the core technology elemen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analyzed and the related study was analyzed. In the study design phase, Data sensing, Internet communication,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ere selected as the interlocking technology elemen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middle school technology education, and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technology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analyzed to develop the tools for examining interlocking technology literac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rogram phase, the ASSURE model was applied to develop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to improve interlocking technology literac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completing the final teaching-learning program phase,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interlocking technology literac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verified through actual application of the class, and as a result, the developed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interlocking technology literacy.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terlocking technology process area had a great effect on the sub-area. 4차 산업혁명을 통해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자동차 등과 같은 첨단 핵심기술에 대한 경험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중등 교육에서는 첨단 핵심기술의 용어 설명과 같은 피상적인 교육에 그치고 있으며, 실제로 첨단 핵심기술에 대한 원리를 경험하거나 직접 설계해 볼 수 있는 체험 위주의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교육에서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를 활용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중학생의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과 연동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의 활용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문헌 고찰, 연구 설계, ASSURE 모형 기반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최종 교수․학습 프로그램 완성의 4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 고찰 단계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요소를 분석하고 교육 분야에서 관련 선행 연구문헌을 분석하였다. 연구 설계 단계에서는 중학교 기술교육에서의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로 데이터 센싱, 인터넷 통신, 빅데이터, 인공지능을 선정하였으며, 기술교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학습내용을 분석하여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 활용능력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서는 ASSURE모형을 적용하여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 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최종 교수․학습 프로그램 완성 단계에서는 개발된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실제 수업 적용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 활용능력의 향상 정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 활용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 중 4차 산업혁명 연동과정 영역에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과 사이버네틱스-기계적 기술체계에서 자기조직적 기술체계로-

        문종만 ( Moon Jong Ma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科學 Vol.0 No.68

        2016년 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물결이 한국 사회를 강타했다. 스위스 다보스에서 개최된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의 의제로 ‘4차 산업혁명의 이해’가 상정된 직후부터였다. 공교롭게도 이 시점은 2008년 미국의 글로벌 위기로 금융화 중심의 전 지구적 경제 기획이 몰락했지만 새로운 대안이 부재했던 위기 상황에서 새로운 타개책이 절실했던 때이기도 했다. 그 후부터 지금까지 4차 산업혁명은 한국 사회에서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2016년 커다란 관심을 한 몸에 받았던 4차 산업혁명은 2017년 하반기부터는 주요 언론을 중심으로 불투명한 미래를 대변하는 천덕꾸러기처럼 대접받고 있다. 1년 사이의 이런 온도의 변화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더 나아가 과연 4차 산업혁명은 향후 한국 사회 에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어낼 것인가? 4차 산업혁명을 이해하기 위해 본 논문은 역사적, 원리적 접근법을 제시한다. 이 접근법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이름 아래 수많은 요소가 난마처럼 얽혀 공진화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시점과 너무나 가까워서 역사적 회고나 성찰이 불가능한 상황 속에서 4차 산업혁명을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일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역사적, 원리적 관점을 바탕으로 패러다임의 전환과 기술체계의 변동을 비교·고찰한다. 17세기부터 19세기말까지 지배적 세계관이었던 뉴턴의 단순성 패러다임은 20세기 초 새로운 복잡성 패러다임으로 이행했는데, 이런 변화는 기술체계의 전환, 즉 기계적 기술체계에서 자기조직적 기술체계로의 전환을 동반했다. 이런 비교·고찰을 함으로써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의 급속한 기술 변동의 함의를 이해하고 미래의 방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할 것이다. This paper offers a new philosophical approach for explaining the system of technology of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Since 2016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has been one of the hottest topics in Korea. This in two ways; first, all the government agencies recognized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as a tremendous opportunity to overcome the current recession; second, people believed that one major role of it is to challenge the deepest assumptions which permeate our attempts to understand and explain the world. The expectation that technology will change everything has been amplified. What such claims mean and what their consequences will be considered throughout this paper. Its overall aim is to outline the era of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the challenges that it makes and the opportunities that it offers our society with regard to a specific set of problems and concerns. As opposed to the fact that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was a recent phenomenon, I aim to demonstrate that it has a history, as does the concept of technology. In doing so, I analyze the present state of rapid technological change surrounding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by comparing the transition of the paradigm of simplicity to the paradigm of complexity. The paradigm of simplicity means Newtonian science which is rooted in physics and mathematics. From the 17<sup>th</sup> century to the end of the 19<sup>th</sup> century, Newtonian science has shown us a world simple and predictable. When it comes to the laws of the motion, the core of the paradigm of simplicity suggests that the world is a well-behaved machine. It offers the promise of a law-abiding and predictable universe, a belief strengthened by the notion that relationships between cause and effect are simple, clear, and linear. And I regard as the core system of the paradigm of simplicity as a mechanical system of technology. The mechanical system of technology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1) human control, 2) components with different functions, 3) repeatability and permanence. But in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there was a shifting paradigms. Einstein’s theory of relativity, quantum mechanics, and non-equilibrium thermodynamics have completely changed the view of the world. As the science philosopher Hans Reichbach has mentioned, there was "transition from causal laws to probability laws". And then it has introduced the paradigm of complexity, a new achievement in philosophy and sciences in the second half of the 20<sup>th</sup> century. Regarding the paradigm of complexity, it has shown us a world far more complex and unpredictable than Newton’s physics can explain. And in this process, a new theory called Cybernetics was born. In 1948, invented by Nobert Wiener, this is the science of communications and automatic control systems in both machines and living things. To put it another way, the key words here are ‘entropy’, ‘feedback’, and ‘information’ as they indicate the interweaving of the notion of communication and control in both machines and living things. Cybernetics focuses on how systems use information and control action to steer towards and maintain their goals, while counteracting various disturbances. And this cybernetic feedback process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elf-organizing system of technology. The self-organizing system of technology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1) limited control, 2) cybernetics network, 3) autonomy and persistence. Departing from this distinction, I then focus on the implication of the technical system in the era of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ical system and cutting-edge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Self-driving Car, 3D printers, etc. And in order to explain the strained relationship between paradigm and system of technology, I use a historical and principle approach which is to view the current rapid technological changes such as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or digital transformation from a wider perspective. As a result, this study will show meaningful results on what the current meaning of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is and what the future direction will be.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한국 평생교육: 역할과 과제를 중심으로

        신미식 한국동북아학회 2019 한국동북아논총 Vol.24 No.1

        In the perio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Korea has gone through many rapid changes. In particular, education as an institute of fostering future human resources, is expected to undergo more fundamental and 'disruptive' changes becaus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ould demand different human resources from the ones in the previous Industrial Revolutions. In this context, more attention is paid to lifelong education in that school education has limitations in responding to rapid social changes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rought about. Lifelong education in Korea was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to rigidly and hierarchically structured school education. Since then, however, lifelong education in Korea has not been well developed to fulfill the expectation set at the beginning.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moving forward at the fast speed, lifelong education is asked to play the role of fostering human resources more actively. Nevertheless, in Korea, no serious discussion is taking place on what kind of human resources lifelong education should develop and what kind of approaches it should take to make the direc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ore human-oriented. In this study, as an attempt to initiate this discussion, the author investigates w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eans, what features it has, and what roles education should play in the perio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lso, the author examines what kind of human resources lifelong education should develop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n specific, what abilities and capacities lifelong education should emphasize, and how differently lifelong education should approach to it. Lastly, the author figures out what problems lifelong education has to act as an important form of educ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what changes are needed to resolve them.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한국 사회도 빠르게 변화해가고 있다. 특히 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미래의 인재를 키우는데 있어 중심적 역할을 담당해 온 교육은 무엇보다 훨씬 파괴적인 변화가 예견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시작으로 한국에서는 지금까지 학교교육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을 끌지 못했던 평생교육에 새롭게 관심을 보이고 있다. 즉 보수적이며, 수직적이고 폐쇄적인 학교교육 체제로는 빠르게 변화하는 제4차 산업혁명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상대적으로 변화에 좀 더 민첩하고,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는 평생교육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평생교육이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할지, 그리고 그러한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어떠한 준비가 필요한지 등에 대한 논의는 아직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논의의 시작으로 평생교육은 제4차 산업혁명을 위해 어떠한 인재를 키워야 할지, 또한 이러한 인재를 성공적으로 키우기 위해 평생교육이 해결해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를 알아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