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휘발성유기화합물 관련 조항 고찰 및 개선

        김종원(Kim, Jong-Wo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1 환경법과 정책 Vol.27 No.-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발암물질로 분류되는 다수의 특정대기유해물질과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오존전구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철저한 관리가 필요한 물질이다.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대기환경보전법에서는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 및 배출시설을 중심으로 규정하고 있다. 대기환경보전법에 명시되어 있는 휘발성유기화합물 관련 조항은 지속적으로 개정되어 오고 있으며 현행의 조항은 2021년 7월 14일에 시행되었고 2021년 10월 14일에 새로운 개정안이 시행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철저한 관리를 위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관련 조항과 새로 시행될 개정안을 검토 및 고찰하여 새로 시행될 개정안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개선사항에 대해 그 필요성과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총 5가지 항목으로 먼저는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억제시설에 의해 포집되거나 회수된 휘발성유기화합물에 대한 처리이며, 두 번째는 도료의 휘발성유기화합물 함유기준으로 함유기준 미표시 또는 거짓 표시에 대한 관리 및 처리에 대한 사항이다. 세 번째는 공동주택 및 공용시설의 휘발성유기화합물에 대한 규제로 공동주택 및 공용시설이 도심 및 주변지역에 위치해 있으면서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시설 신고의무 대상이 아니기에 신고대상으로 포함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네번째는 주유소의 휘발성유기화합물로 주유소는 전국 각지 도심 지역 및 주변 지역에 많이 위치해 있으면서도 배출시설 신고의무 지역 외에 대해서는 신고 의무 대상이 아니기에 신고 대상에 포함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에 대한 사항으로 측정시기 및 위치 등에 대한 사항이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아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 및 관리의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배출시설 주변 및 인구밀집지역에서의 측정을 규정화해야 한다. VOCs containing a number of specific harmful substances classified as carcinogens and ozone precursors affecting climate change require strict management.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VOCs, the Clean Air Conservation Act stipulates discharge and facilities of VOCs. The articles relating to VOCs specified in the Air Conservation Act have been constantly revised and the current articles have been implemented on 14 July 2021 and a new amendment will be implemented on 14 October 2021. Accordingly, the relevant articles currently in place for thorough management of VOCs and newly implemented amendments were reviewed and improvements not included in the newly implemented amendments were presented. First of all, treatment of VOCS captured or recovered by emission control facilities. Second, the management and treatment of nonindicated or false indications of VOC paint. Third, it was proposed that the articles on VOCs in multi-family housing and public facilities should be included as reporting targets because they are located in urban and surrounding aress and are tno subject to reporting of VOC emissions. Fourthly, it was suggested that gas stations should be included in the reporting list because they are located in many urban and surrounding areas of the country and are not subject to reporting obligations other than emission facilities. Lastly, the measurement of VOCs should be defined to prevent blind spots in the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VOCs, as the measurement of VOCs is not legally defined.

      • 해양산업시설 주변해역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분포

        조천래(Chonrae Cho),이용화(YongHwa Lee),성기탁(KiTack Seong),성진(Jin Sung),민병규(Byeong Kyu Min),Mai Duc Hung,김현중(Hyeon Jung Kim),주미조(Mi jo Ju),고운이(Uni Ko),대금향(Keumhyang Dae),오상우(Sangwoo Oh),이문진(Moonjin Lee)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본 연구는 광양만과 울산연안의 해양산업시설 주변해역에서 위험유해물질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잔류 특성을 파악하고, 해양산업시설로부터 해역으로 유입되는 특성을 파악하기위해 유입하천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를 확인하였다. 46종의 휘발성유기화합물에 대하여 유입하천에서 잔류농도를 조사한 결과 각각 10종과 11종의 물질이 검출되었으며, 주변해역에서는 각각 14종과 10종의 물질이 검출되었다. 총 휘발성유기화합물의 검출농도는 광양만 유입하천에서 0.05~0.21 mg/L, 울산연안 유입하천에서 0.45~2.07 mg/L, 광양만에서 0.07~1.18 mg/L, 울산연안에서 1.07~5.15 mg/L의 범위로 검출되었다. 주변해역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었으며, 검출물질은 주로 알코올류와 탄화수소류로 탄소의 수가 6개 내지 9개에 이르는 저분자량으로 확인되었다. 배출구의 전수조사를 통해 해양환경으로 유입되는 시설에 대한 현황파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의 결과는 해양산업시설 필수 배출 위험유해물질 배출기준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residual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mong Hazardous Noxious Substances in the waters around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along the Gwangyang Bay and Ulsan coast, and confirmed the concentr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inflow stream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sidual concentration in the inflow streams for 46 typ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10 and 11 substances were detected, respectively. 14 and 10 substances were detected in the surface seawater around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respectively. The total concentr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was detected in the range of 0.05~0.21 mg/L in the inflow stream of Gwangyang Bay, 0.45~2.07 mg/L in the inflow stream of Ulsan Bay, 0.07~1.18 mg/L in Gwangyang Bay, and 1.07~5.15 mg/L in the coast of Ulsan. The concentr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was relatively high in the seawater around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and the detection material was mainly alcohol and low molecular hydrocarbons(C6~C9).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current status through a full survey of facilities discharged into the marine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tandards for discharging hazardous substances essential for discharging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 반휘발성 유기화합물(SVOCs)의 노출: 방출량 측정의 중요성

        김종철(Jongchul Kim),박가영(Ga-Young Park),김종운(Jongwoon Kim) 환경독성보건학회 2021 한국독성학회 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Vol.2021 No.5

        WHO의 기준에 의하면 끓는점이 240-260°C 부터 380-400°C까지의 유기화합물질을 반 휘발성 유기화합물(Semi-volatile organic compounds, SVOCs)로 분류한다. 이 물질들은 제품에 주로 첨가제(additive)로 사용되며 지속적인 제품으로부터의 누출이 보고되고 있다. 그 중 프탈레이트계 가소제(phthalate plasticizer), 브롬화 난연제(brominated flame retardant), 과불화화합물(perflorinated compound)등의 유해성이 알려지며 노출 평가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반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의 제품에 의한 경구 /경피 인체 전이량은 공정 시험법에 의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반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제품에 의한 노출보다는 일단 환경 중에 방출된 후 먼지에 흡착 혹은 식품을 통한 섭취의 노출 기여도가 더 큰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환경 거동을 고려하였을 때, 노출량 측정에 가장 중요한 제품으로부터의 반 휘발성 유기화합물 방출량 측정은ISO 16000-25 방법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sink effect 때문에 널리 사용되지는 않고 있다. 낮은 휘발성과 높은 흡착 성질을 지닌 반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은 기존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방출량 측정 방식을 사용하였을 때 매우 긴 측정 시간(DEHP의 경우 150일 이상)과 낮은 정밀도를 보이는 단점이 관찰되었다. 기존 문헌에서는 반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방출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방출 뒤 벽면에 흡착되는 sink effect, 주입되는 공기에 의한 convective mass transfer를 지목하며, 방출량의 정확하고 신속한 측정을 위하여 두 가지 요인의 효과적인 배제를 지속적으로 시도하였다. Sandwich like chamber 기법, SPME (solid-phase microextraction)을 활용한 sealed chamber 기법 등 최신 반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방출량 측정 기법들을 검토하여 측정 기법의 개선 방향과 활용 방안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

        부산 북항에서의 선박 배출물질 현황과 선속제한에 의한 배출량 감소 연구

        이보경,이상민 해양환경안전학회 2019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5 No.5

        In view of the numerous discussions on global environmental issues, policies have been implemented to limit emissions in the field of marine transport, which accounts for a major part of international trade. In this study, a ship’s emissions were calculated by applying the engine load factor to determine the total quantity of emissions based on the ship’s speed reduction. For ships entering and leaving the Busan North Port from 1 January to 31 December 2017, emissions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ship’s type and its speed in the reduced speed zone (RSZ), which was set to 20 nautical miles. The comparison of the total amount of emissions under all situations, such as cruising, maneuvering, and hotelling modes revealed that the vessels that generated the most emissions were container ships at 76.1%, general cargo ships at 7.2%, and passenger ships at 6.8%. In the cruising and maneuvering modes, general cargo ships discharged a lesser amount of emission in comparison with passenger ships; however, in the hotelling mode, the general cargo ships discharged a larger amount of emission than passenger ships. The total emissions of nitrogen oxides (NOx), sulphur oxides (Sox), particulate matter (PM),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were 49.4%, 45%, 4%, and 1.6%,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amounts of emission were compared when ships navigated at their average service speed, 12, 10, and 8 knots in the RSZ, respectively. At 12 knots, the reduction in emissions was more than that of the ships navigating at their average service speed by 39% in NOx, 40% in VOC, 42% in PM, and 38% in Sox. At 10 knots, the emission reductions were 52%, 54%, 56%, and 50% in NOx, VOC, PM, and Sox, respectively. At 8 knots, the emission reductions were 62%, 64%, 67%, and 59% in NOx, VOC, PM, and SOx,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emissions were effectively reduced when there was a reduction in the ship’s spe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limiting the speed of ships entering and leaving the port to decrease the total quantity of emissions. 최근 지구 환경문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국제 운송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해상운송에서도 배출물질 규제를 위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선속 제한에 의한 배출량의 감축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기관 부하율을 적용하여 선박의 배출물질을 수치계산하였다. 2017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부산 북항의 입출항 선박을 대상으로 선속제한구역 20마일권역을 설정하고 해당 구간에서의 선종별, 선속별로 배출량을 계산하고 분석하였다. 항행, 접·이안, 정박 중일 때를 모두 포함하여 가장 많은 배출물질을 발생시키는 선박은 컨테이너선 76.1%, 일반화물선 7.2%, 여객선 6.8%의 순으로 계산되었다. 항행 및 접·이안 모드일 때는 일반화물선이 여객선보다 배출물질이 적었지만 정박 모드일 때는 여객선보다 많았다. 총 배출물질은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입자상물질,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순으로 각각 49.4%, 45%, 4% 1.6%로 구성되었다. 선속 제한이 없는 경우와 선박 속도를 12노트, 10노트, 8노트로 제한시킬 때 배출물질을 비교하면 속도 12노트 제한의 경우 질소산화물 39%, 휘발성유기화합물 40%, 입자상물질 42%, 황산화물 38%의 감소효과가 있고, 10노트 제한일 때 질소산화물 52%, 휘발성유기화합물 54%, 황산화물 56%, SOx 50%의 감소효과가 있으며, 8노트 제한일 때 질소산화물 62%, 휘발성유기화합물 64%, 입자상물질 67%, 황산화물 59%의 감소효과가 있었다. 이처럼 선박의 속도 감소에 따라 배출물질 역시 크게 감소되는 연구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항만 배출물질 감소를 위해 선박의 속도를 제한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휘발성유기화합물 처리를 위한 고도산화법과 고분자 담체 바이오필터 결합시스템의 적용

        신승규(Shin Shoung Kyu),송지현(Song Ji Hyeon)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8 No.4B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생분해 기능한 화합물과 난분해성 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저감기술을 단독으로 적용해서는 효과적인 제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난분해성 물질이 혼합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자외선(UV) 광분해 장치와 미생물 고정화 복합고분자 담체가 적용된 바이오필터 기술을 결합한 통합시스템을 구성하고 반응 특성을 검토하였다. 대상 휘발성유기화합물로는 toluene과 TCE를 선정하였다. 자외선 광산화 단독실험결과 TCE는 99% 이상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으며 수용성 중간생성물 발생량도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toluene과 TCE를 혼합하여 유입시키면 자외선 광분해만으로는 유기화합물 제거율이 낮아졌다. 자외선 광산화와 바이오필터를 결합한 통합시스템 실험에서는 높은 toluene 제거효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전처리로 자외선을 조사한 후 toluene과 TCE의 처리효율도 함께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자외선에 의해 일부 산화된 toluene과 TCE가 미생물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분해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자외선 광산화 반응은 toluene이 상대적으로 적게 존재하는 상황에서 TCE 제거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본 실험에서 확인한 TCE 최대 분해능은 18.2 g/㎥/hr이었다. 그러나 toluene 유입농도가 높았던 조건에서는 toluene의 저해작용으로 인해 TCE 분해능 변화가 적었다. 다양한 운전조건에서 통합시스템의 반응효율과 운전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각 난분해성 물질 사이의 상호 저해작용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emitted from various industrial sources commonly consist of biodegradable chemicals and recalcitrant compounds. Therefore, it is not effective to employ a single method to treat such mixtures. In this study, a novel hybrid system coupled with a ultraviolet (UV) photolysis reactor and a biofilter in a series was developed and evaluated using toluene and TCE as model VOCs. When only TCE was applied to the UV reactor, greater than 99% of TCE was degraded and the concentration of soluble byproducts from photo-oxidation reaction in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the toluene and TCE mixture was not effectively degraded by the UV photo-oxidation standalone process. The hybrid system showed high toluene removal efficiencies, and TCE degradation at a low toluene/TCE ratio was improved by UV pretreatment.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UV photo-oxidation were effective for TCE degradation when the concentration of toluene in the mixture was relatively low. A restively high toluene content in the mixture resulted in an inhibition of TCE degradation. Thus, chemical interactions in both photo-oxidation and biodegradation need to be carefully considered to enhance overall performance of the hybrid system.

      • KCI등재

        바이오필터의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특성 및 탄소물질수지를 이용한 생물반응의 양론적 해석

        김대근(Dae Keun Kim) 大韓環境工學會 2010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2 No.8

        본 연구는 바이오필터의 기질분해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을 대상으로 임계부하량과 기질특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탄소물질수지를 이용한 생물반응의 양론적 해석을 수행하였다. 반응기에 공급된 기질은 단일물질이며, toluene, styrene, MEK, MIBK를 선정하였다. 바이오필터의 기질임계부하량은 toluene은 46.9 g/m3·hr, styrene은 25.8 g/m3·hr, MEK는 96.3 g/m3·hr, MIBK는 66.5 g/m3·hr이었으며, 임계부하량은 옥탄올-물 분배계수(KOW)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기질부하량이 증가할수록 물질수지 중 CO₂에 의한 탄소회수율은 낮아졌고, 바이오매스에 의한 탄소회수율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생물양론적 해석을 통하여 추정된 biomass yield (g biomass/g substrate)는 기질부하량이 증가할수록 커졌으며, toluene은 0.31~0.57, styrene은 0.29~0.57, MEK는 0.08~0.56, MIBK는 0.14~0.53의 변화폭을 보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moval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n the gasphase biofilters, and to propose a stoichiometric analysis approach to characterize biological reaction through carbon mass balance. The VOCs studied were toluene, styrene, methyl ethyl ketone (MEK), and methyl isobutyl ketone (MIBK) as a single substrate for each biofilter. The critical loading rate was determined to be 46.9 g/m3·hr, 25.8 g/m3·hr, 96.3 g/m3·hr, and 66.5 g/m3·hr for toluene, styrene, MEK, and MIBK, respectively. The obtain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critical loading rate was well correlated the octanol-water partition coefficient. In the analysis of carbon mass balance, carbon recovery to CO₂ became relatively lower as substrate loadings increased, but higher for carbon recovery to biomass. Stoichiometric analysis revealed that biomass yield increased as substrate loadings increased, and its coefficient (g biomass/g substrate) varied from 0.31 to 0.57 for toluene, 0.29 to 0.57 for styrene, 0.08 to 0.56 for MEK, and 0.14 to 0.53 for MIBK.

      • KCI등재

        대구시 산단지역 대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

        김은경(Eun Kyung Kim),송희봉(Hee Bong Song),박민숙(Min Sook Park),임종기(Jong Ki Lim),권종대(Jong Dae Kwon),최수진(Su Jin Choi),박수경(Su Kyung Park),한개희(Gae Hee Han) 大韓環境工學會 2014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6 No.7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산단지역 대기 중의 휘발성유기화합물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단지역은 비산단지역에 비해 톨루엔, 에틸벤젠, m,p-자일렌, o-자일렌 순으로 높은 농도차를 보였고, 벤젠과 클로로포름은 지역별로 뚜렷한 농도차가 없었다. 측정계절별로는 산단지역은 하고동저형을 보였다. 특히 화학물질 사용 영향으로 인해 산단지역은 측정요일별로는 평일이 휴일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측정시간대별로는 가동시간을 포함한 오전, 오후 시간대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VOCs 물질간의 상관성은 산단지역이 비산단지역에 비해 유의한 상관이 많았고, 기상인자와는 풍속이 VOCs와 음의 상관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haracterize the ambient VOCs concentrations of industrial complex in Daegu city. VOCs concentrations of industrial complex area appeared to be higher than those in the non-industrial complex area as following order toluene > ethylbenzene > m,p-xylenes > o-xylene but benzene and chloroform were similar to each other sites. There was seasonal variation of VOCs concentrations in the industrial complex area, higher in summer and lower in winter. In particular the industrial complex area shows that higher on weekday than weekend and higher in the daytime than in the morning or nighttime because industrial complex area influenced by the chemicals.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VOCs were confirmed that VOCs of industrial complex area were more related to each other than those of non-industrial complex area and VOCs concentrations have shown generally negative correlation with wind speed.

      • KCI등재
      • KCI등재

        광주지역 다중이용시설에서 실내공기질 농도와 상관성 분석

        이대행(Dae Haeng Lee),이세행(Se Haeng Lee),배석진(Seok Jin Bae),김난희(Nan Hee Kim),박강수(Kang Soo Park),김도술(Do Sool Kim),백계진(Ke Jin Paik),문용운(Yong Woon Moon) 大韓環境工學會 2010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2 No.11

        광주지역 다중이용시설 54개소와 공중이용시설 15개소에 대한 입자상물질(미세먼지, 석면), 가스상물질(CO₂, CO, NO₂, HCHO, Rn, VOCs), 총부유세균의 농도에 대해서 조사하고 각 항목간의 상관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미세먼지(PM10)는 실내주차장에서 평균 69.2 μg/m3로 가장 높았고, 이어서 보육시설, 대규모점포, 지하역사 순이었다. 일산화탄소는 실내주차장에서 평균 2.7 ppm으로 가장 높았고, 이산화탄소는 의료시설에서 604.1 ppm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산화질소는 실내주차장에서 0.036 ppm으로 가장 높았다. 포름알데하이드는 54개 전체시설에서 기하평균 3.6 μg/m3이었으며, 미술관은 631.8 μg/m3로 가장 높았다.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s)은 모든 시설에서 기하평균 24.14 μg/m3이었고, 이 중 톨루엔이 15.30 μg/m3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자일렌, 에틸벤젠, 벤젠, 스티렌 순으로 조사되었다. 총부유세균은 찜질방에서 평균 625.3 CFU/m3로 가장 높았고, 보육시설, 의료기관, 대규모점포 순이었다. 석면은 보육시설에서, 라돈은 미술관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보육시설에서 미세먼지와 총부유세균은 로그함수의 결정계수(R2) 0.5332로 양의 상관성을 보여주었고, 이산화탄소와 일산화탄소는 보육시설과 실내주차장에서 양의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휘발성물질간의 상관식은 모든시설에서 직선함수보다는 로그함수에 의해 잘 설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 levels of particle materials (PM10, asbestos), gas materials (CO₂, CO, NO₂, HCHO, Rn, VOCs) and total suspended colony (TSC), and the correlations among these materials in indoor air quality of 54 multiple-use facilities and 15 public-use facilities of Gwangju. The highest mean concentration of PM10 was 69.2 μg/m3 at indoor parking place, followed by childcare facilities, large commercial building and subway station building. The highest mean concentration of CO was 2.7 ppm at indoor parking place and that of CO₂ was 604.1 ppm at medical service facilities. The highest mean concentration of NO₂ was 0.036 ppm at indoor parking place. The geomean concentration of HCHO was 3.6 μg/m3 in all facilities and the highest was 631.8 μg/m3 at art gallery. The geomean concentration of VOCs (5 species) was 24.14 μg/m3 in all facilities and toluene was the highest material of 15.3 μg/m3, followed by xylene, ethylbenzene, benzene and styrene. The highest mean concentration of TSC was 625.3 CFU/m3 at jjimjilbang, followed by childcare facilities, medical service facilities and large commercial building. The highest of asbestos was 0.0072 each/cc at childcare facilities and that of radon was 1.41 pCi/L at art gallery. PM10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to TSC with R2 = 0.5332 by lognormal equation at childcare facilities. CO₂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to CO at childcare facilities and indoor parking place. Lognormal equation fitted to the VOCs data more than normal equation in all facilities.

      • KCI등재

        SIFT-MS를 이용한 울산지역 대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질 농도분포 특성

        유봉관(Bong-gwan Yu),탁경학(Kyung-hak Tak),이동욱(Dong-wook Lee) 대한환경공학회 2022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4 No.11

        목적 : 산업단지에서 배출되는 유해대기오염물질은 인근 주거지역까지 영향을 미치므로 사업장의 배출시설 관리가 필요하다. 방법 : SIFT-MS를 이용하여 도심지역, 비도심지역, 공단지역을 대상으로 대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농도분포를 파악하였다. 결과 및 토의 : 울산 대기 중 주요 VOCs의 연평균농도 분포는 공업지역인 여천동 지점이 가장 높았고, 도심지역의 경우 남풍 또는 남동풍이 부는 하절기 기상 특성에 의해 공단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그리고 공업지역인 여천동지점은 주간보다 야간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 공업지역의 배출시설 관리 및 VOCs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Objectives : Hazardous air pollutants emitted from industrial complexes also affect neighboring residential areas, so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emission facilities of the workplace. Methods : Using SIFT-MS,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the air was identified in urban areas, non-urban areas, and industrial complex areas. Results and Discussion : The distribution of the annual average concentration of major VOCs in Ulsan was highest in Yeocheon-dong, an industrial area, and in the case of urban areas, the industrial complex is highly influenced by the summer weather characteristics with south or southeast winds. And the Yeocheon-dong, which is an industrial area, showed a higher concentration at nighttime than daytime. Conclusion : Management of emission facilities in industrial areas and long-term monitoring of VOCs are continuously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