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성에서 ‘호오(好惡)’와 ‘앎(智)’의 문제

        강여울(Kang, Yoe-wool) 대한철학회 2016 哲學硏究 Vol.140 No.-

        우리의 도덕성 형성과 도덕적 실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 중 하나는 정서적, 인지적 작용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감정적 기제이다. 인간의 감정이란 어떠한 대상에 대한 좋아함과 싫어함, 즉 ‘호오(好惡)’의 반응을 기본으로 전개된다. 따라서 ‘호오(好惡)’에 대한 바른 이해는 도덕적 형성을 위해 어떠한 감정적, 인지적 요소에 주목해야 하는가를 제시할 수 있다. 유가와 불교는 모두 인간의 도덕성과 관련하여 ‘호오(好惡)’의 감정기제를 중요한 요소로 여긴다. 이 글에서는 ‘호오(好惡)’의 감정이 우리의 정서와 심리 작용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살펴 본 후, ‘호오(好惡)’에 대한 유가와 초기불교의 관점을 ‘앎’의 문제와 연결시켜 설명하고, ‘호오(好惡)’와 ‘앎’이 도덕적 실천에서 갖는 중요성을 논의한다. 이 과정을 통해 덕윤리 실천의 방법론을 위해 유교와 불교로부터 얻을 수 있는 도덕적 가치들에 대해 고찰해 볼 수 있다. One of the most significant elements in the formation of morality and the practice of moral acts is the mechanism of emotion in which sentimental and cognitive processes take place simultaneously. Human emotions are fundamentally based on ‘desire-aversion,’ the feeling of liking or disliking something. Therefore,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desire-aversion’ might suggest us which emotional and cognitive aspects are essential in the formation of morality. Confucianism and Buddhism both consider the emotional mechanism of ‘desire-aversion’ as critical to understanding human morality. This essay examines the role of ‘desire-aversion’ in our psychological processes, while it investigates the Confucian and Buddhist perspectives on ‘desire-aversion’ in relation to ‘knowledge’ and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the emotion of ‘desire-aversion’ and ‘knowledge’ in moral practice. Through these discussions, it suggests moral values that can be learned from both Confucianism and Buddhism for the practice of virtue ethics.

      • KCI등재

        중국 호악(胡樂)의 양상과 개념 변화

        장황패요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2023 동양음악 Vol.54 No.-

        In the relevant records of Chinese music, “Hu” is a concept that includes time and space. According to different periods, the geographical and ethnic ranges are also different, so the concept and form of “Hu-music” have also changed. Therefore, in this article, we understand how likes and dislikes unfold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in Chinese history. It is discussed whether the geographical category referred to by each era sign or the nationality applies to the word “Hu-music” unchanged, or what it would be like. This study is not only to confirm the term “Hu-music” in Chinese literature, but also to conduct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purported region and ethnic group, as well as the speculated records of musical culture related to it, such as instruments and music, according to different periods. Through these, we find out the change of “Hu-music” concep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Chinese history, Hu's concept experienced the development of “nationality → region → nationality”, and Hu Le experienced the development of “region → nationality + region → region → nationality”. When Hu-music's concept was not unified, two complementary cultural phenomena were formed.

      • KCI등재

        순자(荀子)의 악(惡) 개념에 대한 철학적 분석

        구연상 ( Yeon Sang Gu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8 No.-

        이 글은 순자(荀子)의 악(惡) 개념을 심리적 차원, 윤리적 차원 그리고 사회적 차원에서 분석한다. 순자에게서 사람의 ‘성(性)’은 그것이 사람이 태어날 때부터 ‘본디 갖고 있는 마음결’로서 굽은 나무와 같고, 비뚠 줄과 같으며, 임금도 예의도 없이 다스려지는 나라와 같다는 점에서 본디 악하다. 심리적 악은 사람이 자신의 ‘[악한] 성, 정(情) 그리고 욕(欲)’을 그대로 따르려 하는 마음을 말한다. 윤리적 악은 사람이 자신의 ‘악한 심리’를 ‘예의’에 맞춰 똑바로 바꾸지 않은 채 다른 사람에게 적용하여 마침내 모든 사람이 제 몫부터 챙기고, 남이 잘 되는 것을 미워하며, 서로 다투고 빼앗는 일을 벌이는 것을 뜻한다. 사회적 악은 서로 사이의 ‘돌이킬 수 없는 피해’가 끊이지 않고, 이러한 악순환으로 말미암아 사회 전체가 무법천지가 되어 통치 자체가 불가능한 대혼란에 빠지게 되는 사태를 일컫는다. 이 글은 사람의 ‘성’이 그 자체로 악할지라도 그것은 심리의 차원에서만 이해되어야 하고, 그것이 윤리나 사회의 차원에서까지 인정되려면, 거기에는 ‘저지름과 당함’의 얼개, 말하자면, 실제의 행위와 그에 따른 피해가 함께 속해야 한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사람의 성이 악하다고 필연적으로 사람의 모든 행위가 악한 것은 아니며, 순자가 말하듯, 사람이 저마다의 악한 성을 예의에 맞춰 바로잡기만 하면 그의 행위가 모두 선한 것이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 글은 순자의 ‘성악(性惡) 개념’을 “호리(好利)와 질오(疾惡)”의 성정이라는 차원과 그러한 성정에 따라 제 몫부터 챙기기 위한 다툼과 싸움을 벌이는 차원, 그리고 법이 무너지고 도덕의 이치가 사라지며 사람들 사이에 폭력이 일상화되는 사회적 차원으로 나눠 분석하고자 한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Xunzi`s concept of evil in psychological, ethical and social aspect. First, the concept of psychological evil is based on Xunzi`s insistence that human nature, feeling and the desire are evil. Second, the concept of ethical evil is based on the insistence that when everyone start trying to take one`s own profit first and hating other`s success, conflicts and stealing inevitably occur, causing the ‘irretrievable damages’ to others. Finally, the concept of social evil is based on the insistence that such a vicious cycle make the whole society lawless, causing the social chaos, precluding even the possibility of the control. The study also aims to identify the reason why the human ‘nature’ itself is evil and what consequence would occur from the nature. First of all, Xunzi sees the nature as an innate flow of human mind, which is like crooked trees or strands, and like the world which is ruled without the kind or the courtesy. However, the nature does not consider or is composed of the courtesy. So the world can collapse and turn into the enormous chaos. Then everyone starts fighting to take his or her own portion first, following one`s instinctive nature of “pursuing one`s profit” and “hating others” and some even commit murders. Finally, the ‘enormous chaos,’ in which the law system collapses, the reason of ethics disappears and the violence prevails among people, occurs and becomes irretrievable.

      • KCI등재

        수(隋)·당대(唐代) 예악(禮樂) 속 악(樂)의 인식 변화

        배윤경 ( Bae Yun-kyoung ) 동국역사문화연구소(구 동국사학회) 2018 동국사학 Vol.64 No.-

        예악은 수당시대를 기점으로 큰 변곡점을 가진다. 樂이 예악에 부속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음악 자체로 전문 영역으로 인식되고, 실질적으로 사용되었다고 보는 관점이다. 이는 隋·唐代에 다양한 음악이 공급되어 인식 전환의 배경을 마련했다고 보았다. 즉 隋·唐代에는 다양한 민족의 음악들이 들어오게 되고, 이를 받아들이는 황제의 인식이 이전과 달라졌다고 보았다. 이러한 변화는 예악 속에 부속된 관념적 음악이 아닌 음악 자체의 독립적 인식을 의미한다. 황제가 음악을 음악 자체로서 즐기고 향유하는 변화를 가져왔다고 보았다. 이러한 음악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예제와 악제의 분리로 나타났다. 이는 악제의 쇠퇴를 의미하지 않는다. 隋·唐代는 어느 시대보다 음악이 발달한 시기이다. 음악이라는 예술 분야로서의 독립적 행보를 보인 것으로 음악 자체로 발전한 시기를 말한다. 隋·唐代는 다양한 음악, 서역 음악인 호악을 비롯하여, 민간에서 전래된 음악, 그리고 종교 음악이 다양하게 공급되는 시기이다. 이러한 공급은 隋·唐代 황제들의 취향이라는 수요와 만나서 커다란 시너지를 발휘한다. 즉 음악에 대한 인식이 변하면서 음악이 예악적이고, 정치적 기능이 아닌 실제 감정을 표현하고 예술로서의 음악으로 향유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인식은 隋·唐代 비약적으로 발전한 음악 전문 서적의 저술로 이어지고, 실제로 다양한 국가의 다양한 악곡, 악무, 음악 연출로 나타나게 된다. 예는 고정적인 개념이고 그것을 지키는데 의의가 있다면, 음악은 인간의 감정을 기본으로 삼기에 그것을 고정적으로 묶어 둔다는 것은 처음부터 불가능했을지도 모른다. 수당시대는 예악 속 음악에 대한 인 식의 전환으로 역사상 음악이 가장 발달하고 관념 속의 음악이 아닌 실제적 음악이 존재했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The rites and music changed greatly in the Sui and Tang Dynasties. The rites and music are independent from the ritual and music to the professional field. The emperor enjoyed the music, and the change began. This sentence separates the system of courtesy and music. This does not mean the decline of music. The Sui and Tang Dynasties are more developed than ever. Music is developed independently in the field of art. Sui and Tang Dynasties are Huyue, religious music and other performances are endless. Many kinds of music are in accordance with the interests of the Sui and Tang Dynasties. The understanding of music has changed. Music is no longer a political function. Having the function of music itself. This book inherits the works of the music books of the Communist Youth League.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kinds of music, music and dance, music performances. Courtesy is a fixed concept. It has the meaning of protecting it. But music may be based on human feelings, and it is bound to be impossible to bind it together. In the Sui and Tang Dynasties, the understanding of ritual music changed. So, music is the most developed in history. This period of time is not the music from the concept, but the period when the real music exists.

      • KCI등재

        隋·唐代 禮樂 속 樂의 인식 변화

        裵允暻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8 동국사학 Vol.64 No.-

        예악은 수당시대를 기점으로 큰 변곡점을 가진다. 樂이 예악에 부속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음악 자체로 전문 영역으로 인식되고, 실질적으로 사용되었다고 보는 관점이다. 이는 隋·唐代에 다양한 음악이 공급되어 인식 전환의 배경을 마련했다고 보았다. 즉 隋·唐代에는 다양한 민족의 음악들이 들어오게 되고, 이를 받아들이는 황제의 인식이 이전과 달라졌다고 보았다. 이러한 변화는 예악 속에 부속된 관념적 음악이 아닌 음악 자체의 독립적 인식을 의미한다. 황제가 음악을 음악 자체로서 즐기고 향유하는 변화를 가져왔다고 보았다. 이러한 음악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예제와 악제의 분리로 나타났다. 이는 악제의 쇠퇴를 의미하지 않는다. 隋·唐代는 어느 시대보다 음악이 발달한 시기이다. 음악이라는 예술 분야로서의 독립적 행보를 보인 것으로 음악 자체로 발전한 시기를 말한다. 隋·唐代는 다양한 음악, 서역 음악인 호악을 비롯하여, 민간에서 전래된 음악, 그리고 종교 음악이 다양하게 공급되는 시기이다. 이러한 공급은 隋·唐代 황제들의 취향이라는 수요와 만나서 커다란 시너지를 발휘한다. 즉 음악에 대한 인식이 변하면서 음악이 예악적이고, 정치적 기능이 아닌 실제 감정을 표현하고 예술로서의 음악으로 향유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인식은 隋·唐代 비약적으로 발전한 음악 전문 서적의 저술로 이어지고, 실제로 다양한 국가의 다양한 악곡, 악무, 음악 연출로 나타나게 된다. 예는 고정적인 개념이고 그것을 지키는데 의의가 있다면, 음악은 인간의 감정을 기본으로 삼기에 그것을 고정적으로 묶어 둔다는 것은 처음부터 불가능했을지도 모른다. 수당시대는 예악 속 음악에 대한 인식의 전환으로 역사상 음악이 가장 발달하고 관념 속의 음악이 아닌 실제적 음악이 존재했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The rites and music changed greatly in the Sui and Tang Dynasties. The rites and music are independent from the ritual and music to the professional field. The emperor enjoyed the music, and the change began. This sentence separates the system of courtesy and music. This does not mean the decline of music. The Sui and Tang Dynasties are more developed than ever. Music is developed independently in the field of art. Sui and Tang Dynasties are Huyue, religious music and other performances are endless. Many kinds of music are in accordance with the interests of the Sui and Tang Dynasties. The understanding of music has changed. Music is no longer a political function. Having the function of music itself. This book inherits the works of the music books of the Communist Youth League.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kinds of music, music and dance, music performances. Courtesy is a fixed concept. It has the meaning of protecting it. But music may be based on human feelings, and it is bound to be impossible to bind it together. In the Sui and Tang Dynasties, the understanding of ritual music changed. So, music is the most developed in history. This period of time is not the music from the concept, but the period when the real music exists.

      • KCI등재

        사찰풍수의 문학적 반영과 그 의미

        김승호(Kim Seung Ho) 보조사상연구원 2017 보조사상 Vol.47 No.-

        시간을 거슬러 올라갈수록 자연에 대한 인간의 경외감, 공포감이 깊었던 것으로 드러나며 하늘은 물론 땅도 인간의 길흉화복을 재단하는 요소라는 인식이 바탕이 되어 풍수관념이 자리잡게 된다. 그것은 중세시기 삶을 지배하는 한 요소가 되다시피 했다. 원시인들의 사고에 가깝다 할 풍수관은 적어도 신라 말부터 한국인의 사유체계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불가에서도 피할 수 없는 관념이 되었던 것이다. 승려, 불자 사이에서도 땅의 기운을 살피지 않고 아무데나 절을 지으면 흉한 일에 봉착할 수 있다는 두려움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그런데 그와 반대의 경우도 생겼다. 다시 말해 사람들에게 액운을 가져오고 불행이 닥치게 하는 터라 할지라도 절을 세우고 신불에 정성을 다한다면 흉한 일을 방비할 수 있다는 사고가 생긴 것인데 이는 불가에서 발원한 것으로 파악된다. 본고에서 논의대상으로 택한 호압사는 이른바 사찰풍수 관념을 엿볼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조선 초부터 특이한 형세를 갖춘 호암산에 대해 갖가지 이설과 전설이 따라다녔는데 이는 시인과 문인들 사이에 흥미로운 소재가 되었다. 성리학적 시각을 앞세운 문인들은 풍수적 해석을 무지의 소치라 했으며 민중들은 풍수를 따져 절을 짓는 것이야말로 한양과 백성이 평안해지는 길이라 맹신했던 것으로 나타난다. 물론 풍수 관심대신 호암산, 호압사를 유람하면서 그 산과 절의 풍광을 전하는 작품들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호압사, 호암사를 소재로 한 시, 서사시, 산문, 전설들을 전체적으로 살펴볼 때, 담당주체에 따라 자연과 지형을 보는 시각이 퍽 달라지고 있음이 밝혀진다. 특히 불가에서는 풍수관념을 수용하되 창사, 축탑 등의 불사야말로 악한 터를 좋은 터로 전변시키는 단초가 된다는 점을 강조하는 쪽에 무게를 두고 풍수관련 담론을 생산했음이 드러난다. 호압사 창건의 이면에서 우리는 악지를 부처의 힘으로 비보한다는 사찰 풍수 고유의 관념을 읽어낼 수가 있다. Up the time, the nature of what turned out to be profound sense of awe, fear of humans and a factor for cutting the ground widely practiced by humans as well as the sky. In Asia, has become aware of geomancy will settle down. It s medieval times one factor that govern the life they re done. Primitive man of the accident near geomancy to Silla from the end of at least the Korean be inevitable in no sense and a big influence on private system. If any man anywhere without looking in the energy of the land among monks, Buddhist temples in something terrible happen to be free from fear didn t. But he and the converse is also sprung up. In other words, bad people and to visited by misfortune, even if something terrible happen if you try your best in the gods, and defense to build a temple can be an accident. Starting from a looking, is not considered in an accident. In the final announcement on the agenda with commendable hoapssa is a the idea of geomancy, the so-called Buddhist temple can be a typical example. Joseon since the beginning of the unique situation with many relocating and legends about hoamsan followed, became interesting materials in between writers and poets. Led by the supreme Neo-Confucian social value perspective, the writers is in ignorance of the interpretation of a feng shui theory, and people building a temple about the geomancy is the Han and the people being comfortable. Appears to be who have believed as the only way to make. Of course, interest instead of geomancy, hoamsan hoapssa a sightseeing trip and pass on its mountains and scenery of the temple, or the works appears to be no small. Hoamsa Temple Narrative, at a prose, legends as a whole, in accordance with the body in charge of nature and see the terrain that they see a very different. Yet to be revealed. In particular, to geomancy to accept the idea of Temple building is evil only the starting point to vicissitudes as a good site to site ready to act the fact that the weight. Has produced its own discourse about the geomancy is revealed. Mutual aid thinking of temple that to our badland the power of Buddha in the power of founder hoapssa a unique idea of geomancy can read.

      • KCI등재
      • KCI등재

        장자(莊子) 「덕충부(德充符)」편의 정(情) 개념에 대한 새로운 해석

        김명석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2 철학논집 Vol.70 No.-

        In this essay, I critically examine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qing (情) that appears in the fifth chapter (“The Sign of Virtue Complete”) of the Zhuangzi as emotions, and argue that the concept of qing in that chapter rather means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human beings, primarily constituted by the judgments of right and wrong (shifei 是非) and the emotions of liking and disliking (haowu 好惡). The judgments of right and wrong literally refer to the acts of judging whether the thoughts, perspectives, or theories of one’s own or others’ are right or wrong, and such judgments are conceptually distinguished from the emotions such as liking, disliking, joy, anger, sadness, and pleasure. In Zhuangzi’s view, though, human beings are creature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features, just like the monkeys in the “three in the morning” anecdote from the second chapter (“Discussion on Making All Things Equal”) of the Zhuangzi: 1) misguided by inappropriate liking and disliking that fail to register the reality properly, human beings often make wrong judgments about and show inappropriate affective responses to various things; 2) based on self-consciousness and self-love, human beings tend to feel a strong attachment and hold fast to their own opinions, while cherishing enmity against their opponents; 3) self-conceited about their petty wisdom or limited virtues, human beings often look down upon others and feel jealous of those who excel themselves. In the chapter “The Sign of Virtue Complete,” Zhuangzi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sages who have shed the negativ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eings in response to Hui Shi’s 惠施 question, “How could there be human beings, by definition, who lack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eings?” As Zhuangzi sees it, sages are liberated from the bonds of inappropriate liking and disliking and other emotions through their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reality, and they are also free from the concept of the self, which is the ultimate source of perverted self-love, self-conceitedness, and jealousy toward others. 본고는 장자(莊子) 「덕충부(德充符)」편에 보이는 정(情) 개념을 감정으로 해석하는 입장의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덕충부」편의 정(情) 개념은 ‘감정’이라기보 다는 시비(是非) 판단과 호오(好惡)의 감정을 핵심 내용으로 하는 인간의 ‘특질’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는 점을 주장한다. 시비 판단은 말 그대로 자신 또는 다른 이의 생각이나 관점, 이론 등이 옳은지 그른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호오나 희로애 락과 같은 감정들과는 개념적으로 구별된다. 그러나 장자가 바라본 인간은 「제물론 (齊物論)」편의 조삼모사 우화에서 묘사되는 원숭이들과 마찬가지로 사태의 진상을 반영하지 못하는 부적절한 호오를 바탕으로 그릇된 판단과 정서적 반응을 보이는 존재이며, 또 자의식과 자기애를 바탕으로 자신의 의견에 애착과 고집을 형성하고 다른 의견을 지닌 상대에게는 반감을 품는, 그리고 나아가 자신의 작은 지혜나 덕 행에 자만하여 남들을 멸시하고 자신보다 뛰어난 이에게는 시기와 질투를 일삼는 존재이다. 「덕충부」편에서 장자는 ‘인간의 특질을 결여한 인간이 있을 수 있는가’라 는 혜시의 비판에 대해, 인간의 부정적인 ‘특질’을 탈각한 성인(聖人)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장자의 이상적 인간은 사태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부적절한 호오 및 그로부터 파생되는 다른 감정들로부터 해방된 자이며, 또 왜곡된 자기애와 자만 심, 남들에 대한 시기와 질투 등의 궁극적 뿌리인 자아 관념에서도 벗어난 자이다.

      • KCI등재

        정약용의 靈體와 權衡 개념에 대한 재검토

        백민정 한국고전번역원 2021 民族文化 Vol.59 No.-

        This paper re-examines the concepts of the spiritual body (靈體, yeongche) and the faculty of deliberate self-direction (權衡, gwonhyeong; literally “weights and balances”) in theory of the mind (心論, simnon) of Jeong Yagyong (丁若鏞, 1762-1836; pen name: Dasan 茶山). “Spiritual body” is a term that Dasan coined to refer to the human mind. According to him, the spiritual body’s numinous clarity (靈明性, yeongmyeongseong) has important ontological significance in making possible the resonance between humans and the Highest Emperor (上帝, Shangdi). Dasan believed that the Highest Emperor’s numinous clarity and humans’ numinous clarity communicated, or were connected directly. In this respect, the Highest Emperor and humans as presumed by Dasan can be understood to possess the same ontological roots. In this study, I will first elucidate the basic structure and functions of the spiritual body. Moreover, I will explicate the reasons for Dasan’s strict distinction between the spiritual body, which he used to refer to the human mind, and the human body. The spiritual body that Dasan stressed was also called by other names including numinous knowledge (靈知, yeongji), numinous perception (靈識, yeongsik), and numinous perception of wisdom (靈知慧識, yeongjihyesik) and was considered to exist continuously both before and after humans’ lives. His description of the spiritual body makes it possible to surmise his perspective on the ways in which human souls existed after death. In Dasan’s view, the numinous clarity of the human mind matched the numinous clarity or spiritual clarity (神明, sinmyeong) of the Highest Emperor, and, after death, the numinous clarity of an individual human’s mind matched the numinous clarity not only of his or her ancestors but also, ultimately, of the Highest Emperor. Out of the abilities of the numinous and clear mind, Dasan revered intuitive likes and dislikes (好惡, hoo) regarding good, or intuitive moral tendencies to like good and dislike evil (嗜好性, gihoseong; i. e., human nature as a taste), as heaven-mandated nature (天命之性, cheonmyeongjiseong). In addition, he explicated the spiritual body’s ability for critical thinking through the concept of the faculty of deliberate self-direction. The faculty of deliberate self-direction possessed at once the two continuous functions of judgment and willpower. In this study, I will examine in detail the capacity of the faculty of deliberate self-direction for critical thinking and practical willpower. To this end, I will intensively analyze the points of argument between inferential sympathetic consideration (推恕, chuseo) and self-mastery (克己, geukgi) often used by Dasan. Finally, I will describe the formation and significance of the emotions of like and dislike between the self and others, or the moral emotions of ethically liking good and disliking evil in ethical human relationships, which Dasan emphasized. 본고는 정약용의 마음론에서 靈體와 權衡 개념의 의미를 재검토한 글이다. 영체는 다산이 인간의 마음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한 고유한 용어이며. 영체가 가진 靈明은 인간과 상제가 교감하게 하는 중요한 존재론적 위상을 갖고 있다. 이 글에서는 영체의 기본 구조를 밝히고 다산이 영체와 육체를 엄격히 구별했던 이유를 해명한다. 다산의 영체는 靈知․靈識으로도 불리며 생전과 사후에 존재하는데 다산은 궁극적으로 상제의 신명에 부합하는 인간의 영명을 상정했던 것으로 보인다. 다산은 영명한 마음이 가진 능력 중 선에 대한 직관적 好惡, 즉 도덕적인 기호성을 天命之性으로 존대했고, 영체의 비판적인 사유능력을 권형 개념을 통해 해명했다. 권형은 판단력과 의지력의 연속된 두 가지 직분을 가진 것이다. 이 글에서는 권형의 사유능력과 의지력을 推恕와 克己를 중심으로 분석하며, 인륜의 교제에서 다산이 강조한 自他 간의 好惡 감정의 형성과 의미를 논한다.

      • 『삼국사기』중의 신라악 재조명

        정화순 청주대학교 학술연구소 2020 淸大學術論集 Vol.35 No.-

        本研究为了阐明《三国史记·杂志》“乐”项中记载的新罗乐是对乡乐的记载、还是对代表千年社稷的国家音乐的记载这个问题,从新对《三国史记》“乐”项中记载的新罗乐进行了考察。通过本论文的各种研究,得出了以下几个结论。① 记录中由三竹、三弦、拍板、大鼓、歌、舞构成的新罗乐,不一定能代表整个新罗乐,而只是由三竹、三弦、拍板、大鼓和歌组成的二人舞形式。② 《三国史记·杂志》“乐”项中的新罗乐不仅仅只局限于对乡乐的记载,还优先记载了唐乐。③ 对于三弦、三竹的使用问题,可以认为玄琴和伽倻琴兼用于唐乐和乡乐之中,并且三竹和琵琶用于唐乐,而乡三竹和乡琵琶则用于乡乐。④ 在《三国史记·杂志》“乐”项的后半部所列举的新罗乐当中,统一新罗之前的新罗乐并不是乡人们享受的音乐,而应该属于统一新罗之前的宫廷乐舞。⑤ 在奈勿王时期创作的歌舞中出现的伴奏乐器“笳”,是新罗统一韩半岛之前就已经演奏的、韩半岛唯一的纵吹乐器。即,可以把新罗统一韩半岛之前的考古文物中出现的纵吹管乐器解释为“笳”。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