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경수로 선발된 제주 자생 왕벚나무 클론의 형태적 특성 및 유연관계 분석

        진언주,윤준혁,성창현,배은지,서연옥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0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4 No.6

        본 연구는 자생 왕벚나무 조경수 및 가로수 수종 개발 연구에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국내 선발된 9개 클론에서 개화기간 및 꽃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클론 간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꽃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클론 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JJ02 클론이 총 13개의 꽃 특성 중 7개 특성이 상위그룹에 속하여 큰 경향을 나타낸 반면, JJ52 클론은 7개 특성이 하위 그룹에 속하여 비교적 작은 경향을 나타냈다. 조경수로 식재되는 벚나무는 개화기간이 길며, 꽃이 크고 개화량이 높은 수종을 선호하므로 JJ02 클론의 경우 가장 적합한 클론으로 나타났다.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 1주성분은 24.3%의 설명력이 있으며 꽃받침통 너비(FHW), 화편 길이(PL), 화편 폭(PW) 순으로 높은 상관을 나타내어 클론 간 꽃의 형태적 차이를 설명하는 주요 형질로 나타났다. 총화경(LP) 및 소화경(LPI) 길이와 높은 상관을 보인 제 2주성분, 20㎝ 개화지 당 꽃수(NIPF)와 화서 당 꽃수(NFPI)와 높은 상관을 보인 제 3주성분, 암술대 길이(SL)와 높은 상관을 보인 제 4주성분을 2차원 공간상에 배열해 본 결과 JJ02 클론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 4주성분까지 설명력은 76.2%로 나타났다. 제 4주성분까지의 득점치를 새로운 변량으로 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 Ⅰ그룹인 JJ31 등 4개 클론, 그룹 Ⅱ은 JJ21 등 4개 클론, 그룹 Ⅲ은 JJ02 등 1개 클론으로 총 3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클론 간 형태적 특성에 의해 소그룹으로 구분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lowering period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lowers from 9 clones selected domestically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a clones in order to secur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native flowering cherry landscaping and street tree species.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lowers and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clones, JJ02 showed a large tendency with 7 characteristics among 13 belong to a upper group while the JJ52 clone showed a relatively small tendency, with 7 characteristics belonging to the lower group.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main components, the primary component has 24.3% explanatory power and showed relationship in the order of flower hypanthium width (FHW), petal length (PL) and petal width (PW), which showed the main characteristic that explains the difference in form between clones. As a result of arranging the second main component showing a high correlation with total flower stalk and total small stalk length, the third main components showing a high relationship with Number of flower per 20㎝ branch (NFPB) and Number of flower per inflorescence (NFPI), and the 4th major component showing a high relationship with the length of style(LS) on the 2 dimensional space, JJ02 proved to be excellent, the explanatory power until 4 major components is shown to be 76.2%. As a result of conducting group analysis with the scores until 4 major components as a new variable, Four clone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of I group including 4 clones such as JJ31, II group including 4 clones such as JJ21 and III group including 1 clone such as JJ02, and it was known that they can be classified into small groups according 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lones.

      • KCI등재

        경남 방언의 대화 시작말 ‘머꼬’에 대한 연구

        강우원 우리말학회 2013 우리말연구 Vol.33 No.-

        이 글에서는 경남 방언에 대화의 시작말로 자주 나타나는 ‘머꼬’ 의 문법적 특성, 담화기능적 특성, 문화적 특성에 대해 살펴본다. 문법적 특성에서는 형태적 특성과 통어적 특성에 대해 살피었는데, 형태적으로 ‘무엇+-고’가 ‘머꼬’로 굳어져 담화표지로서 대화 시작말이 되었고, 통어적 으로는 ‘머꼬’가 높임말과는 같이 쓰이지 않고, 모든 의향법 씨끝과 공기 관계를 형성하며, 단독으로 쓰일 경우에는 하나의 발화 역할을 하기도 하 는 특성이 있음을 살피었다. 담화적 기능에서는 들을이의 관심 획득의 기 능, 화제 도입의 기능, 감정 표출 강화의 기능, 기대 불일치의 기능, 시간 벌기의 기능, 의미 강화의 기능 등이 있다. 문화적 특성에서는 말할이가 들을이를 자신과 동일한 세계로 끌어들임으로써 ‘나’와 ‘너’를 구분하지 않 고, 들을이와 공통의 장을 가지고자 하는 동류의식의 문화적 특성이 나타 나고 있으며, 또한 ‘머꼬’는 말할이가 말의 내용을 들을이에게 묻는 형태 로 하여 들을이로 하여금 내용에 대해 좀 더 관여적으로 참여할 것을 유도하기 위해 쓰게 되는 표현으로, 상대방의 일에 참견하고 관심을 가지는 것을 친밀함으로 여기는 이 지역의 관여적 문화의 특성이 반영되어 있다 고 하겠다.

      • 자연 방임수분 상태에서 한국잔디류의 개화기간, 유전특성 및 타가수분율

        최동근,양근모,최준수,Choi, Dong-Keun,Yang, Geun-Mo,Choi, Joon-Soo 한국잔디학회 2008 한국잔디학회지 Vol.22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breeding of zoysiagrass synthetic varieties. For estimation of flowering periods, genetic characteristics, and cross-pollination rate, 5 combinations of zoysiagrass breeding lines were compared. Days to stigma emergence and anther exertion were observed in the field to calculate overlapping dates for cross-fertilization. Harvested seed from cross breeding combinations were planted to compare genetic characteristics using morphological traits of progenies. These data were used for determination of 7 phenotypic inheritance types with 8 morphological traits. Cross-pollination rates in 3 combinations of zoysiagrasses were estimated by using lower part color of grass shoots. Cross-pollination rates of zoysiagrass ranged from 11.3$\sim$48.9%, which indicated that zoysiagrass is an allogamous plant. When zoysiagrass breeding lines are properly combined, they may result in valuable synthetic cultivars. 한국잔디류의 교배조합 계통간 자웅성기관 발육의 차이를 구명하고, 형질의 유전특성을 파악하여, 자연 방임수분 조건에서 타가수분율을 추산하여, 자연방임조건의 교배를 이용한 한국잔디류의 합성품종의 육성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국잔디류 중 형태적으로 특성이 있는 5개 종 및 품종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교배조합을 포장에 식재한 후에 암술과 수술의 개화시기를 조사하였으며, 종자를 수확하여 육묘한 후에 후대들의 형태적 특성을 이용하여 형질의 유전특성을 조사하였다. 형태적 특성중 줄기의 기부색을 이용하여 타식률을 조사하였다. 자연방임수분 후대들의 형태적 특성을 이용한 유전특성 비교에서 잎털의 유무, 초장, 분얼경수는 변이의 폭이 크게 나타났고, 엽폭은 종자친의 형질을 많이 따랐으며, 전체적으로는 종자친과 화분친의 영향 없이 한쪽의 모본에서 영향을 받은 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모본간의 중간특성을 많이 나타낸 기부색은 각 개체들의 교배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었다. 기부색을 이용한 타가수분율 추정은 자웅성기관의 개화시기가 비슷하고 양친의 특성에 차이가 있어 교배를 확인할 수 있는 조합에서 가능하였고, 교배 조합간에 타가수분율에 차이를 보였으나 본 실험에서는 타가수분율이 11.3-48.9(로 추산되어 타식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한국잔디가 방임수분을 통한 합성품종 육성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경남 방언의 대화 시작말 ‘있다아이가’류에 대한 연구

        강우원 우리말학회 2012 우리말연구 Vol.30 No.-

        이 글은 경남 사람들이 대화에서 자주 표현하는 대화 시작말 ‘있 다아이가’류의 형태적, 담화기능적, 문화적 특성에 대해 살펴본다. 형태적 특성은 기본 형태와 부가 형태, 반복 형태로 나누어 살필 수 있는데, 기본 형태에는 줄기 ‘있-’에 여러 씨끝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형태와 ‘있제’에 뒷 가지가 결합된 형태, ‘어찌씨(안)+있나’의 형태가 있으며, 부가 형태에는 기본 형태에 ‘거’와 같은 담화표지가 앞뒤로 결합된 형태가 있고, 반복 형 태에는 특정 형태가 반복해서 나타나는 형태가 있다. 담화기능적 특성에 서는 이의 공통 기능과 개별 기능을 살펴보는데, 공통 기능에는 다음 말 을 꺼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화제 도입의 기능, 생산자의 발화를 주목하게 하는 주의 집중의 기능이 있다. 그리고 개별 기능은 화용적 전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먼저 생산자 중심의 기능으로는 다음에 말할 발화 를 정리하고 생각하기 위해서 하게 되는 발화 지연의 기능, 화제를 바꿀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는 화제 전환의 기능이 있고, 수용자 중심의 기능 으로는 수용자로 하여금 다음 발화를 들을 준비를 하도록 하는 완충의 기 능, 다음 발화의 표현을 부드럽게 약화하여 수용자로 하여금 잘 이해하도 록 하는 유연화의 기능을 들 수 있다. 문화적 특성은 표현 양상과 관련지 어 살펴볼 수 있는데, ‘있다아이가’와 같은 관여적 표현에는 생산자가 수 용자를 자신과 동일한 세계로 끌어 들임으로써 ‘나’와 ‘너’를 구분하지 않 고 수용자와 공통인식의 장을 가지고자 하는 공유의식의 문화적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 KCI등재

        국내 주요 자생 벚나무류의 꽃 형질 및 화분형태 특성 비교

        진언주,윤준혁,성창현,배은지,현화자,정수영,서연옥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0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4 No.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close relationship status among species and species breeding through a phylogenetic analysis of morphological traits of flower and pollenological characteristics with a focus on Prunus sargentii, Prunus yedoensis,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Prunus serrulata var. pubescens and Prunus pendula, the family of cherry trees valued as landscaping trees. The results of multivariate analysis of the 5 species for 12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lower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quantitative trait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howed 65.2% explanatory power for up to the third main component. In analyz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clones and in identifying the close relationship among species from flower characteristic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length of the digestive system, flower width, petal width, total flower length, and petal length were revealed to be important traits with a high level of contribution. Additionally,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 cherry trees can be primarily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ollen among the species of cherry trees revealed that the species only showed a difference in the form of germination, and they were otherwise identical form among species. 조경수로 널리 쓰이고 있는 벚나무속 중 산벚나무(Prunus sargentii), 왕벚나무(Prunus yedoensis), 벚나무(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잔털벚나무(Prunus serrulata var. pubescens), 올벚나무(Prunus pendula)을 중심으로 꽃 형질 및 화분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수종 간 근연관계및 품종육성을 위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5 수종에 대한 꽃의 형태적 특성 12형질을 조사하여 다변량분석을 한 결과, 모든 정량적형질특성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주성분 분석 결과 제 3주성분까지 65.2%의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꽃 형질 특성으로부터 종간 유연관계를파악하는데 있어서는 소화경 길이, 꽃 폭, 꽃잎 폭, 총화경 길이, 꽃잎 길이 등이 중요한 형질로서 높은 기여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군집분석 결과 벚나무류꽃의 형태적 특성에 의해 크게 3개의 group으로 구분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벚나무류 종간 화분의 외부형태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발아구의형태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수종 간 동일한 모두 유사한 형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한반도에 자생하는 한국잔디류(Zoysia spp.)의 분포 및 형태적 특성

        배은지,박남참,이광수,이상명,최준수,양근모,Bae, Eun-Ji,Park, Nam-Chang,Lee, Kwang-Su,Lee, Sang-Myung,Choi, Joon-Soo,Yang, Geun-Mo 한국잔디학회 2010 한국잔디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는 국내 해안 및 도서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한국잔디류를 지역별로 수집하여 형태적 특성 및 지역별 변이 정도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으며, 수집된 유전자원 보존 평가할 수 있는 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목적이다. 16개시 군 단위에서 159개체 자생 한국잔디를 수집하였으며, 이들의 초장, 엽폭, 엽장, 엽각도, 종자길이, 종자폭, 종자길이와 폭의 비 및 화수당 종자수 등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Z. japonica류, Z. sinica류, Z. macrostachya류, Z. matrella류 등은 수집된 지역에 따라 초장, 엽장, 엽각도, 화수당 종자수 등에서 큰 변이를 보였다. 반면에 엽폭, 종자길이, 종자폭, 종자길이와 폭의 비율 등에서는 큰 변이를 보이지않았다. 중간적 형태를 보이고 있는 hybrid zoysiagrass류는 조사 형질 간에 다양한 변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상기 형태적 특성 조사 결과 및 수집된 유전 자원들은 앞으로 고품질 잔디육종을 위한 귀중한 자료로 활용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s level in native zoysiagrasses from costal regions and islands in South Korea. In addition, this were collected to conserve germplasm for the breeding of zoysiagrass. One hundred fifty-nine of native zoysiagrasses were collected from 16 different cities and districts. There were morphological evaluations, including plant height, leaf width, leaf length, leaf angle, seed length(SL), seed width(SW), SL/SW ratio and number of seed per spike in native zoysiagrasses. Type of Z. japonica, Z. sinica, Z. macrostachya and Z. matrella showed significant variations in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angle and number of seed per spike depending on where they were collected from. On the other hand, little variation were found in leaf width, seed length, seed width and SL/SW ratio. We have discovered a variety of variations among the investigated traits in hybrid zoysiagras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ment of zoysiagrass breeding.

      • 국내 잔디 주 생산지역에서 수집된 한국잔디류의 형태적 특성 및 생육속도

        최준수,양근모,오찬진,배은지,Choi, Joon-Soo,Yang, Geun-Mo,Oh, Chan-Jin,Bea, Eun-Ji 한국잔디학회 2012 한국잔디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국내 잔디 주 생산 단지인 전라남도 장성군 지역에 재배되고 있는 한국잔디의 형태적 다양성 평가 및 상기 지역에서 수집된 잔디의 생육속도 등 이용성을 평가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총 101개 개체를 수집하였다. 수집개체를 온실에 포트 상태로 생육시킨 후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형태적 특성으로는 엽폭, 초장, 잎각도, 잎집 길이, 털 유무, 포복경 길이, 엽색 등의 변이를 비교하였으며, 특이성 개체 7개를 선발하였다. 생육속도를 조사하기 위해 한국잔디 기존 대조품종 8개와 국내 주 생산단지에서 수집된 계통 7개 그리고 육종계통 3개를 비교하였다. 장성징역 수집 잔디 101개체의 평균 엽폭은 3.4 mm로 나타났으며, 잎각도는 45.8도, 초장은 21.6 cm, 최하위 엽의 높이는 5.0 cm 그리고 엽장은 14.1 cm의 특성을 보였다. 피복속도 조사결과 CY6097, CY6069 등이 스프리그 식재 5개월 후 각각 70%, 68.3%의 피복률을 나타내었다. 가장 느린 생육속도를 보인 금잔디의 31.7% 대비 약 2배 빠른 피복속도였다. CY6069의 경우는 피복속도가 안양중지 60.0% 보다 빠르면서도 마디간 길이가 5.1 cm로 짧게 나타나 고품질 계통으로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특성 평가를 통해 잔디재배 주 생산단지인 장성 지역에서 생육속도가 빠르며, 고품질의 계통의 대표종을 선발할 수 있었다.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rates of 101 medium-leaf type zoysiagrasses (Zoysia spp.) collected at the major sod production area (Jang Seong Gun) in South Korea. Collected lines with distinctive morphology and visual growth rate were planted in plastic pots and measur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under the plastic house conditions. Variation of leaf width, plant height, leaf angle, length of leaf sheath, trichome, stolon length, and color were measured. Six lines were selected by evaluating growth rates from one hundred one collected lines. Eight standard cultivars and three other superior lines previously collected were compared to 7 selected lines form Jang seong area by checking growth rate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verage leaf blade width was 3.4 mm, leaf angle was 45.8 degree, plant height was 21.6 cm, height of lowest leaf was 5.0 cm, and length of leaf blade was 14.1 cm. Ground cover rates of selected lines 'CY6097' and 'CY6069' were 70% and 68.3%, respectively. These are believed to be faster than 60% ground cover rate of zoysiagrass 'Anyang', and also, twice as faster than the 31.7% ground cover rate of Z. matrella. Selected line 'CY6069' showed fast growth rate with shorter internode length (5.1 cm) compared to zoysiagrass 'Anya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uld select useful fast growing zoysiagrass breeding lines from the major sod production area (Jang Seong Gun) in Korea.

      • KCI등재

        저층주거지 전면공간의 형태적 특성과 활용에 관한 연구

        박수경(Park, Su Kyoung),문정민(Moon, Jeong M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0 No.-

        본 연구는 노후한 저층주거지의 재생을 위한 환경개선사업이 그 장소가 공적·사적인 공간의 접합부라는 특수성을 간과함으로써 주민 생활상의 불편을 초래한다는 문제제기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층주거지 개선사업에서의 실효성 있는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하기 위하여 주거지 전면공간에서 행해지는 사람들의 활동을 기저로 그 형태적 특성과 구체적 활용과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를 통해 저층주거지 전면공간 형태분석을 위한 구성요소를 설정한 후 대상지의 현황을 조사하여 형태적 특성을 탐색하고 대표적 유형을 설정하였다. 또한 전면공간에서 관찰되는 실제 활용현황과 구체적 공간특성을 해석하여 전면공간 형태적 특성과 활용유형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조사방법은 대상지 사진촬영, 지도검색, 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을 활용하였고 조사된 항목을 빈도와 상호 관계적 측면에서 교차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면형상은 주거지 전면공간의 활용성을 결정한다. 주택내부와 긴밀하게 연결된 외벽과의 사이공간은 외부활동을 위한 계기를 마련한다. 둘째, 연결공간의 형태는 전면공간 활용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내부/외부 전이공간의 역할을 하는 연결공간이 소규모일 때 사람들이 외부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려고하는 의지를 갖게 되는 반면, 계단참과 같은 직접 연결된 구조일 때에는 외부로부터의 보호를 위한 소극적 활용태도를 보인다. 셋째, 입면형상은 개구부가 크고, 많이 구성될수록 사적활용에 긍정적으로 관여하며, 창문아래, 출입구 주변은 사적 생활을 위한 환경조성에 유리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주거지 전면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공공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의 구축이 가능하고 주민이용행태조사의 관찰조사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is started from the problems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for rehabilitation of low-rise residential areas may cause Inconvenience in residents’ living as it was ignored that they were junctions of public and private spac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hape and specific use of the front-space in low-rise residential areas as a basic step of building an effective database for rehabilitation project of low-rise housing areas. Therefore, This study determined components for morphological analysis of the front-space based on bibliographical research, investigated conditions of the subject area and characteristics of shape and set up a representative type.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e and specific spatial characteristics observed in the front space and analysed the relation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shape and use type of the front space. The study used photography of the subject area, map retrieval, and land use regulation information system and conducted a crosstabs f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terms of frequency and correlations. The result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shape of a section determined usability of the front space of a housing area. The ‘in-between’ space of the outer wall which was closely connected to the interior space of a house provided a chance for outdoor activity. Second, the form of the connecting space had an influence on users’ attitude of the front space. When the connecting space as a transfer space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space was small, users tended to use the exterior space more actively. However, when it was directly connected to interior and exterior space such as stairs, users showed passive attitudes such as protection from the exterior space. Third, as the elevation had large and numerous openings, it was positively involved in private activity and ‘under the window’ and ‘around the exit’ were advantageous for the environment of private lif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basic data for diverse designs and used a as observatory method for behaviors of residents.

      • 아라타 이소자키 건축에서 나타나는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일형,서병진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8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8 No.1

        Arata Isozaki departed on a road to be a world architect from the outset by having whole world of culture as base. Isozaki has constantly asserted that architecture can be a philosophy in itself and an ideology with its own cultural legacy. In his national context, Isozaki's works can be seen as attempts to develop and indicate an appropriate direction for the rapidly changing Japanese architecture. Arata Isozaki has developed his architecture by six architectural concepts which contain Writing architecture, Process planning, Virtuality, City, Technique, Capital since 1960s. But his architectural concepts are difficult to understand easily because its interrelation and opaque entity. Therefore his architectural concepts need to arrange for apparent comprehension. Its appropriate solution is formal approach in researcher's opinion. Comparatively speaking, Arata Isozaki's works can be understood apparently by the formal characteristics. The kinds of forms is Hexahedron, Vault, Square cone, Cylinder, Ellipse, Indefinite form. The hexahedron is the first(35.2%) form and the vault is the second(27.8%) form which have applied to Arata Isozaki's architectural works.

      • 국내에서 수집된 버뮤다그래스의 입자환경 및 형태적 특성

        배은지,이광수,박남창,이상명,신현철,양근모,Bae, Eun-Ji,Lee, Kwang-Su,Park, Nam-Chang,Lee, Sang-Myung,Shin, Hyun-Cheol,Yang, Geun-Mo 한국잔디학회 2011 한국잔디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국내 해안 및 도서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버뮤다그래스를 지역별로 수집하여 입지환경에 따른 형태적 변이 정도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들 입지환경, 토양의 화학성과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생지에 따라 초장, 엽폭, 엽장, 잎털, 포복경 및 화수당 종자수 등에서 큰 변이를 보여 조사 형질 간에 다양한 변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엽과 세엽 특성의 버뮤다그래스가 존재하고 있었으며, 광엽형의 버뮤다그래스의 경우 열악한 환경에서의 적응성이 매우 높아 중 저관리의 잔디면에 이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입지 환경과 형태적 특성 조사 결과 및 수집된 유전자원들은 앞으로 유전자원으로서 보존 가치가 높으며, 유용유전자를 보존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s level by site environment of native bermudagrass (Cynodon spp.) from costal and island region in South Korea.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ant height, leaf width, leaf length, cotton on leaf blade, stolon, and number of seed per spike depending on where they were collected from natural habitat. We have discovered a variety of variation among the investigated traits in Korean native bermudagrass ecotypes. There were broad leaf and fine leaf types of native bermudgarass in S. Korea. Adaptability was in very high on inadequate environment in bermudagrass with broad leaf types, it has also been suggested that management worth in terms of use. These results may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bermudagrass breeding development and the collected types during this investigation would be worth being preserved as genetic resources for further breeding purpo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