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시대 열녀 담론의 향방: 독립운동가 아내의 ‘순종(殉終)’과 그 맥락

        이상경 한국여성문학학회 2012 여성문학연구 Vol.28 No.-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life and suicide note of Yun Deok-gyeong, who killed herself by taking poison 40 days after the death of her husband Jeong-geon Hyeon, an independence fighter,and contemporaries’ news coverage and commentaries on this incident to explore the semantic context of “virtuous wives”(yeollyeo) and “sacrificial suicide” (sunjo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1910-1945). Born into a family of upper-class scholar-officials (yangban) and married to Jeong-geon Hyeon through an arrangement between the two families, Deok-gyeong Yun in fact was not able to lead a marital life with her husband. He immediately left home and immersed himself in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and, during this period, was romantically involved and lived with Gye-ok Hyeon, a former professional female entertainer (gisaeng). Although Deok-gyeong Yun went to Shanghai in search of her husband in the early days, she was sent back to Korea, where she received modern, Westernized education and worked as a teacher at one time as well. It was only after Jeong-geon Hyeon was arrested by the Japanese police, imprisoned, and released that Deok-gyeong Yun was able finally to be together, nursing him. However,Jeong-geon Hyeon died six months later, and she committed “sacrificial suicide.” Major newspapers and magazines that hitherto had reported the romance between Gye-ok Hyeon and Jeong-geon Hyeon now covered Deok-gyeong Yun’s death extensively. During Deok-gyeong Yun’s life, Gye-ok Hyeon was Jeong-geon Hyeon’s wife in the sphere of public discourse, and contemporary newspapers and magazines reported with ado that Deok-gyeong Yun had been Jeong-geon Hyeon’s wife only after Deok-gyeong Yun had chosen death. By thus “choosing” death, In that she was acknowledged as Jeong-geon Hyeon’s wife in the sphere of public discourse for the first time, Deok-gyeong Yun’s death can be seen as a “double suicide” (jeongsa), a form of “romantic love,” which is true to one’s own feelings, unlike the obedience of earlier times driven by “duty” (dori). In addition, nationalists who took an interest in Deok-gyeong Yun’s death at the time criticized her act as mere selfishness and argued that, with such passion, she should have lived on and become the wife and mother of the nation,continuing her husband’s work. This inversely signifies that Deok-gyeong Yun exercised self-determination neither as a virtuous wife nor as a mother of the nation but as a being outside such values of a community. It is thus that Deok-gyeong Yun’s “obedience” and tales of virtuous wives starring her came no longer to function as discourses of virtuous wives. 이 논문은 독립운동을 하던 남편 현정건(玄鼎健)이 죽은 지 40일 만에 뒤따라 음독자살한 윤덕경(尹德卿)의 삶과 그녀가 남긴 유서, 이 사건에 대한 당대인의 보도 및 논평 등을 분석하여 일제시대 상황에서 ‘열녀’와 ‘순종(殉終)’의의미 맥락을 살핀 것이다. 상층 양반집안의 딸로 태어나 현정건과 가문 결혼을 한 윤덕경은 실제로 남편과 결혼생활을 하지 못했다. 남편은 곧바로 집을 나가 독립운동에 투신했고그 기간 동안에는 기생 출신의 현계옥이란 기생과 애인이자 동지인 관계에 있었다. 초기에 윤덕경은 남편을 찾아 상해에 갔으나 남편은 윤덕경을 돌려 보내었고 돌아와서는 신식 교육을 받아 교사로 생활하기도 했다. 현정건이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르고 나온 후 윤덕경은 비로소 남편 곁에서 병수발을할 수 있었다. 그러나 6개월 뒤 현정건이 죽고 윤덕경은 뒤따라 ‘순종’했다. 그동안 현계옥과 현정건의 연애담을 전했던 유수한 신문 잡지는 이번에는 윤덕경의 죽음을 크게 보도했다. 윤덕경이 살아 있는 동안 공적 담론 공간에서 현정건의 아내는 현계옥이었고 윤덕경이 죽음을 선택한 뒤에야 당시의 신문 잡지는 윤덕경이 현정건의 아내였음을 대서특필했다. 또한 당시 윤덕경의 죽음에 관심을 가졌던 민족주의자들은 윤덕경의 죽음은 이기주의에 지나지 않으며 그 열정으로 살아서 남편의 사업을 잇는 민족의 아내, 민족의 어머니가 되었어야 했다고 비판했다. 이는 역으로 윤덕경이 열녀도, 민족의 어머니도 아닌 존재로, 그런 공동체의 가치에 속하지 않는 자기 결정권을 행사한 것임을 의미한다. 이렇게 죽음을 ‘선택’함으로써 윤덕경은 공적 담론 공간에서 처음으로 현정건의 아내임을 인정받게 되었다는 점에서 윤덕경의 죽음은 ‘도리(道理)’에 내어 몰린 이전 시대의순종’과는 달리 자기의 감정에 충실한 ‘낭만적 사랑’의 한 형태인 ‘정사(情死)’로 볼 수 있다. 이로써 윤덕경의 ‘순종’과 그녀를 주인공으로 하는 열녀전은 이제 더 이상 열녀 담론으로서의 기능을 하지 않게 되었다.

      • KCI등재

        玄鼎健의 생애와 민족혁명운동

        김영범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2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70

        이 글은 1920년대 항일민족전선 좌파의 독립운동가로 중국 상해에서 줄곧 활동했던 현정건의 생애와 활동내역을 추적하여 그 전모를 구명하고 성격과 의미 파악까지 시도해 본 연구작업의 결과물이다. 1893년 대구에서 중인가계의 지방관의 아들로 태어난 현정건은 1910년 결혼 당년에 상해로 가서 재종형 현상건의 후견 하에 영어를 공부하여 통관업자로 일하였다. 반일친러파 망명객이던 현상건이 일제에 굴복하여 점차 변절해가는 모습을 보임에 그와 관계를 끊은 현정건은 1919년에 독립운동의 장으로 들어섰다. 운동행로의 초기부터 현정건은 사회주의계열 조직들에 몸담아 활동하였다. 1920년 한국공산당에 가담하였고, 1921년 상해파 고려공산당 창당에 참여한 후 이동휘ㆍ김립의 측근이 되어 활동하였다. 1923년 국민대표회의에 참석하여 개조파 지도부의 일원으로 활약하였고, 1924년에는 좌우합작 조직인 청년동맹회의 위원급 간부가 되어 대동통일운동을 막후 지도하였다. 그 운동의 일환으로 진행된 임시정부개조운동에 주력하여, 관련 개혁안들을 임시의정원 의원으로서 발의했으며, 대한교민단 간부로도 활동하였다. 청년동맹회가 사회주의 운동노선을 재차 전면화시킨 1925년에는 그 선전계몽활동을 선도하였다. 1926년부터 전개된 민족유일당운동 국면에서도 그는 한국유일독립당 상해촉성회와 관내촉성회연합회의 집행위원으로 거푸 선임되면서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그는 1924년부터 고등보수학원, 삼일공학 등의 한인유학생 교양ㆍ지도기관에서 영어교사로 봉직했고, 1926~1927년에는 한인청년들의 중국 대학ㆍ군관학교 입학자격 심사 업무를 위임받아 주관했는데, 이는 독립운동의 후세대 간부 양성과 민족혁명운동의 한중연대 조성에 기여하는 성질의 일들이었다. 이렇듯 다방면으로 활동하던 현정건은 1928년 봄에 중국국민당 반공쿠데타 정권의 좌파탄압 형세를 이용한 일본영사관 경찰에 체포되어 국내 압송되었고,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3년 징역형이 선고되어 험한 옥고를 겪었다. 1932년 6월에 만기 출옥한 그는 그해 연말에 돌연 병사하여, 마흔 살 나이로 생을 마쳤다. 현정건은 자타 공인의 사회주의자였고, 상해지방의 민족전선 좌익 대오를 이끌고 간 중심인물군의 한 명이었다. 그런 중에도 그는 전일적 좌파조직보다 좌우합작 조직들에서 중책을 맡아 더욱 돋보이는 역할들을 수행하였다. “공산주의운동이 독립운동이요, 독립운동이 공산주의운동”이라는 신조로 그는 시종일관 꿋꿋한 혁명가적 자세와 행동을 보여주었다. 그러기에 현정건은 민족독립 달성과 근대국가 건설의 과제를 껴안고서 사회주의 사상과 노선에 기대어 분투했던 전형적 민족혁명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고, 그렇게 기억됨이 온당한 것이다. In this paper, the author tried to trace and clarify the overall life-course and activities of a Korean revolutionary, Hyun Jeong-gun, who had lived in Shanghai throughout 1920s and acted on the anti-Japanese national front. Several findings and their implica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Born in a middle-stratum family of Daegu in 1893, Hyun attended middle school in Seoul, and left for China in 1910. He studied English in Shanghai and got a job in customs clearance. Much disappointed with a pro-Japanese defection of Hyun Sang-gun, his cousin and a respected anti-Japanese exile, he entered the stage of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by himself in 1919. From the very beginning of a new career, Hyun joined successively the political organizations of explicitly or mainly a socialist line, such as the Korean Communist Party(1920), the Shanghai faction of that party(1921), the Kaezoh[Reconstructionist] group at the National Representatives Conference(1923), and the Korean Young Men’s Confederation in Shanghai(1924; KYMCS). In each case, he acted as an executive or a leader behind the curtain. Also in 1924, he tried with KYMCS’s comrades to realize a unification of the national front regardless of right or left wing affiliation. Thus he propelled, as a representative in the Korean Provisional Assembly, to reform the organization of the Government, looking forward to its really being transformed into the assumed supreme institution of the unified national front. In 1927, he was elected twice as an executive of the new organizations for building up of the one-and-only national party, and leadingly participated in that movement at least within the region of mainland China. And yet, he was unfortunately arrested by the Japanese police in 1928, and was sentenced to 3 years of jailing. At the end of the year of 1932, and six months after release from prison, he died of sudden illness, and thus ended his own life at the age of 40. Hyun Jeong-gun was certainly a recognized socialist, and was a member of some central figures who guided and led the leftist ranks of the national front in Shanghai. However, it was more in left-and-rightist joint organizations than in purely and fully leftist ones that he was entrusted with heavy responsibilities and took important roles. He maintained then consistently a firm posture and straight walks of action, with a belief that “the communist movement is national independence one, and vise versa.” In short, it is reasonable that he should be appreciated and memorized as a typical revolutionary who fought hard for achievement of national independence and modern state building through socialist visions and lines.

      • KCI등재

        기생에서 혁명가로, 玄桂玉의 사랑과자기해방의 고투

        김영범 부경역사연구소 2019 지역과 역사 Vol.- No.45

        Though the story of 'consciousness-raised kisaeng' Hyun Gye-ock seems to be widely conceived, the related narratives have been one-sided and partial ones centered on yellow interest. Then this article is aimed to restore her life history as fully as possible by the biographical method, and furthermore to investigate its social historical and cultural meanings. Born in 1896(estimated) in Miryang of the Gyeongsang Province, Korea, as the first daughter of an official musician with humble origin, Hyun Gye-ock was educated by father to become a performance kisaeng at the age of 17 in Daegu, where she fell in love with a married youngman, Hyun Jeong-gun. After having gone to Seoul about in 1914, she ascended to the rank of top class kisaeng owing to outstanding singing-and-dance skills added to the Kaya harp craftsmanship. Nonetheless, she shook off that fame and comfort to escape abroad via Manchuria in 1919, seeking for liberty and perfection of love. Eventually she realized her own wish to become the actual wife and comrade of the independence activist Hyun Jeong-gun in Shanghai, China. There she entered the Eui′yeoldan by means of continuous begging, and acted with competence in manufacture and transportation of bombs and weapons which would be used in attacking the Japanese colonialist institutions. Since late 1925 she moved to and joined the ranks of the national revolution movement on the socialist line, and argued successively on the women's liberation by publishing a feminist magazine. However, husband’s being suddenly arrested and domestic imprisonment in 1928 made her to go after all to Moscow in 1931, where she trained herself at the Communist University, and was sent to Outer Mongolia probably as a secret agent of the Comintern. Hyun Gye-ock’s such walks might be a typical case of some bitter story of ‘Love and Revolution.’ But there remains something to say more than it, that is, all of her life history implied multifaceted meanings, showing a Korean underlayer woman’s own class and gender awakening followed by a dramatic path of self-emancipation and subject(ivity) formation, as well as a social status rising which could be realized on the background of social change tangled with a transition to modernity and the deepening colonialization. ‘사상기생’ 현계옥의 이야기는 널리 알려져 있는 것 같지만 실은 흥미 위주의 일면적·부분적 서사로 그쳐왔다. 그 점을 염두에 두고 이 글에서는 전기적 방법으로 그녀의 생애사를 최대한 복원함과 아울러 그 사회사적 의미도 고구해본다. 1896년(추정) 경남 밀양에서 악공의 장녀로 태어난 현계옥은 17세 때 대구에서 기생조합 소속의 예기가 되고, 그 얼마 후 기혼청년 현정건과의 사랑에 빠졌다. 상경하여 빼어난 가무와 가야금 실력으로 최고기생의 반열에 오른 그녀는 명성과 안락을 뿌리치고 1919년 국외 탈출을 감행하여, 중국 상해에서 독립운동가 현정건의 ‘제2 부인’이자 동지가 되었고 한인사회의 인정도 얻어냈다. 의열단에 간청 가입하여 거사용 폭탄의 제조·운반 등을 도우며 활약하던 그녀는 1926년부터 사회주의 노선의 민족혁명운동 대오로 옮겨가 잡지 발간을 주관하며 그 나름의 여자해방론을 주창하였다. 현정건의 돌연 피체 후 혼자되어버린 그녀는 1931년 모스크바로 가서 공산대학에서 수학한 후 외몽고에서 활동했는데, 코민테른 특파원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극빈가정 출신인 유명기생에서 최전선의 혁명가로 전신해간 현계옥의 행보는 고투어린 ‘사랑과 혁명’ 스토리의 한 전형이 될 것이다. 그러나 그 이상으로 그녀의 인생행로 전체는 근대로의 전환과 식민체제화가 겹치던 시기의 조선의 사회변동 속에서 가능해진바 사회적 지위 상승의 한 실태만 아니라, 여성 고유의 계급적 및 젠더적 각성, 그것에 터해 기해간 자기해방 및 주체(성) 형성의 극적인 경로도 보여주는 다면적 의미의 것이었다.

      • KCI등재

        문인-기자로서의 현진건

        박현수 ( Hyun Soo Park ) 반교어문학회 2016 泮橋語文硏究 Vol.0 No.42

        동명 , 시대일보 에 발표한 작품은 「나들이」, 「발(簾)」, 첫날밤 등에 불과했다. 여기에는 동명 , 시대일보 등의 근대문학에 대한 인식의 문제와 함께 언론사가 처했던 경제적인 문제가 놓여 있었다. 선행 논의에는 현진건이 < 시대일보사 >를 그만둔 후 동아일보 의 기자가 된 것으로 되어 있지만, 그 사이 1년 정도 < 조선일보사 >에서 일했다. < 조선일보사 >, < 동아일보사 >에서 근무할 때는 거의 작품 활동을 하지 않았는데, 그것은 기자로 근무하는 미디어에 작품을 싣는다고 해서 따로 원고료가 책정되지 않았던 점, 당시에는 기자의 월급만으로도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 때문이었다. 현진건이 1933년 12월 20일부터 6개월 가까이 이어간 赤道 의 연재는 현정건의 투옥, 사망 등과 관련되어 있었다. 현진건이 ‘일장기 말소 사건’으로 알려진 사건이 계기가 되어 < 동아일보사 >를 그만둔 것은 1936년 9월 25일이었다. < 동아일보사 > 퇴사와 함께 이루어진 활발한 작품 활동은 흔히 문인-작가라고 불리는 존재들의 작품 활동과 언론사 생활의 관계를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Hyun, Jin-geon(현진건)’ activity of the letters-journalist. There are various opinions about Hyun, Jin-geon’ life of studying abroad. The order of studying abroad is controversy in his life. Hyun, Jin-geon entered Jo-Seon newspaper(조선일보) around November 1921. He published serially 「Pervaya lyubor(초련)」, Rudin(부운) , 「Early morning fog(효무)」 and White hair(백발) . At that time Jo-Seon newspaper felt difficulty to fill up paper because of publishing company’s financial problems. After Hyun, Jin-geon quitted Jo-Seon newspaper , he also worked as a journalist at Dong- myeong(동명) and Si-dae newspaper(시대일보) . Hyun, Jin-geon published only three works at the moment. After he quitted Si-dae newspaper , he worked as a journalist for one year at Jo-Seon newspaper again. After that Hyun, Jin-geon entered Dong-A newspaper(동아일보) . But in those days he was rarely making artwork. Hyun, Jin-geon published serially The equator(적도) at Dong- A newspaper , and the novel was involved in Hyun, Jeong-geon``s death. Hyun, Jin-geon quitted Dong-A newspaper on 25th September 1936 beacause of Erasure of Japanese National Flag. Hyun, Jin-geon``s whereabouts shows the method of activity of the letters-journalist.

      • KCI등재

        현진건의 문학적 후견인과 개인적 재능 - 「희생화」, 「지새는 안개」를 중심으로 -

        남상권 ( Nam Sang-kwon ) 한민족어문학회 2020 韓民族語文學 Vol.0 No.90

        이 글은 현진건의 어린 시절을 보냈던 대구와 작가로 성장하는 데 기여한 인물[후견인]들에 대해 자전적 소설을 토대로 논의했다. 주 논의 대상으로는 단편소설 「희생화」와 「지새는 안개」이다. 현진건의 첫 소설 「희생화」는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가족사적 비극을 내포한 작품이다. 「희생화」는 <개벽사> 문예부장이던 당숙 현희운의 주선으로 <개벽>지에 발표되었다. 이 소설에서 독립운동가였던 셋째 형 현정건의 결혼 파탄의 시초와 해외 망명의 동기를 추정케 한다. 「지새는 안개」에서는 현진건이 기자로서 취업하게 되는 과정에서의 후원자를 얘기하고 있다. 「지새는 안개」를 통해 그간 알려져 있지 않았던 현진건과 숙부 현영운의 관계를 엿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희생화」, 「지새는 안개」는 현진건 형제와 서울 친척들 간의 긴밀한 유대가 드러난 작품으로 논의한다. 이 두 소설의 등장인물에게는 대구가 고향이라는 의미와 함께 가족사의 위기를 내포한 공간이다. 하지만 현진건이 개인적 재능과 성공한 작가로서 뒤돌아 본 대구는 빼앗긴 땅, 빈곤의 땅으로서 민족사의 비극을 담아내는 공간이기도 하다. 현진건의 수필 「여름과 맨발」을 통해 현진건의 빈곤 소재 작품에 나타는 빈곤층에 대한 체험적 통찰과 연민을 살필 수 있다. This study discusses Daegu, where Hyeon Jin-geon spent his childhood, and the contributors patrons who contributed to his growth as a writer based on his short stories “Sacrificial Flowers” and “Overnight Fog.” . His first short story, “Sacrificial Flowers,” involves a mysterious tragedy in the history of his family. It was published in Gaebyeok thanks to the arrangement made by Hyeon Hee-woon, his uncle and the head of the literature department at Gaebyeoksa. This story hints at the beginning of the failed marriage of his third brother, Hyeon Jeong-geon, who was an independence activist and his motivation for going into exile overseas. “Overnight Fog” depicts Hyeon Jin-geon's employment as a reporter. This story also reveals the whereabouts of Hyeon Yeong-woon, another uncle of his, who had been unknown to the public. Both the stories show the close relationships and solidarity among his brothers and relatives in Seoul. Daegu is not only the author's the home town, but it also symbolizes the crisis of their family history to the characters of the stories. Looking back on the city as a successful writer , however, Hyeon Jin-geon saw Daegu as a land that had been taken away, a town of poverty, and a placeholder for the tragedy of Korea's national history. He expresses his experiential insight into and compassion for the poor in his essay “Summer and Bare Feet” as well as in other works.

      • KCI등재

        현계옥 스토리 이면의 ‘또다른 신여성’ 윤덕경 연구 - 그 삶과 죽음의 여성사적 함의를 찾아서 -

        김영범 한국여성사학회 2020 여성과 역사 Vol.0 No.32

        Behind the story of Hyun Gye-ock who was a Korean ex-kisaeng revolutionary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was simultaneously a fighter for women’s liberation along with Hyun Jeong-gun, the same revolutionary and her ardent lover, there was an alienated life and sad end of Yoon Deok-gyeong(hereafter ‘Yoon’), the abandoned wife of the latter Hyun.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set as to restore the particulars of Yoon’s life path and ending suicide, and to explore and examine their contexts and meanings. Through that investigation, it is found that Yoon transferred into the rank of New Woman during the 1920s through educational and vocational careers. Moreover, her attitude and life style afterwards were likely a trailer of the Modernized Woman which would come to the fore in 1930s. It is assumed that she was meanwhile led to the field of New Women’s activities by intricate encounters with Jeong Chil-sung who had been the best friend of Hyun Gye-ock and was thereabout a dauntless fighter for women’s liberation. Nonetheless for all that, Yoon committed suicide in 1933 shortly after the death from a sudden illness of the husband Hyun who had been reunited with her before six months as an ex-prisoner. It cannot be seen as a self-sacrificing death(‘殉終’) from the sentiments of love and fidelity just as the evaluative commentaries by the mainstream society of the day including the conservative eyes of her brother-in-law Hyun Jin-gun. Rather, it should be seen as a kind of recognition struggle intended to recover fully and firm up her own status of lawful wife, also as a desperate protest against the frustration of a newly cherished dream of constructing a modern style of normal family. Thus Yoon left the world after having become a somewhat peculiar New Woman in her own manners followed by taking in advance a rising portrait of the Modernized Woman. Though seeming to be plain and ordinary at first sight, Yoon’s life and death would emit abundant meanings when connected to and piled up with the story of Hyun Gye-ock, futhermore implying some meanings which could not be missed in a broad context of the Korean women's history during the colonial period. 독립운동가 현정건과의 사랑을 꽃피우며 ‘기생 출신 혁명가’로 입신한 현계옥 스토리의 뒤안길에는 버림받은 아내 윤덕경의 소외된 삶과 슬픈 최후가 있었다. 그 점에 주목하여 윤덕경의 삶의 행로와 그 끝자락의 자살 경위를 가능한 한 복원해내고 그 맥락과 의미도 탐색하며 고구해보려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생애사적 고찰의 결과, 1920년대에 윤덕경은 교육과 직업활동을 통해 신여성이 되어갔고 삶의 태도와 방식은 1930년대에 대두할 ‘현대여성’의 예고편 같았음을 알 수 있다. 현계옥의 절친이었고 여성운동의맹장인 정칠성은 우연찮게 윤덕경과 대면교류하게 되면서 신여성적 활동의장으로 그녀를 인도해간 것으로 추론된다. 어렵게 재결합한 남편의 돌연사직후에 윤덕경이 결행한 자살은 시숙 현진건이 내세우고 싶어 한 보수적시각이나 당대 주류사회의 논평처럼 ‘순종’이었던 것이 아니라 본부인 됨의지위를 완전히 회복해 확정지으려는 의도의 인정투쟁이었다. 아울러, 정상가정 형성의 소망이 좌절되어버림에 대한 절망적 항의라는 의미도 내포했다. 그렇게 윤덕경은 그 나름의 지향점과 경로 속에서 나타난 ‘또다른 신여성’이었으며 ‘현대여성’ 상도 얼마간 선취해보이고는 세상을 떴다. 일견 소박·평범해 보이면서도 윤덕경의 삶과 죽음은 현계옥 스토리와 잇대질 때그 의미가 더 살아나며, 식민지시기 여성사의 큰 맥락에서도 놓칠 수 없는함의를 띤 것이었다.

      • KCI등재

        玄濬健과 玄鎭健의 대구와 서울 -작가의 성장 공간과 활동 공간을 중심으로-

        남상권 한국어문학회 2018 語文學 Vol.0 No.142

        Hyeon Jin-geon(1900-1943) was born and also spent his adolescence in Daegu. He then moved to Seoul where he worked as a reporter and novelist. He was probably the first man from Daegu that earned his fame for his writing in the early days of modern literature. His father Hyeon Gyeong-woon was appointed to the Daegu office [Jusabu-panimgwan] in 1895, settling down in the city. He had no special ties with the city and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his personal history behind his settlement in the city. It is not widely known either that he became a community leader after settling down in Daegu and earned the reputation for his activities in the educational business of the city. Hyeon Jin-geon was his fourth son, being born and spent adolescence in Daegu. He also received education in the city until he got married and moved to Japan and China for further study. It was right after he returned from China that he became a foster son in the family register of Hyeon Bo-woon, his father's first cousin. Since then his life in Seoul continued as a newspaper reporter and writer. His memories of his life in Daegu became major motifs in his novels. His nostalgia for his family and hometown during the years when his inner world was built as a writer had impacts on his works.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how his family's settlement and ups and downs in Daegu were projected onto his works since his family was closely related to the national movement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that were developed in Daegu. 현진건(1900-1943)은 대구에서 나서 청소년기를 보냈다. 상경하여 기자와 소설가로 활동하였다. 근대 문학 초창기에 대구 출신으로 문명을 날린 이는 현진건이 처음일 것이다. 현진건의 부친 현경운은 1895년 대구부 관리[주사부판임관]로 부임하면서 대구에 정착하였다. 현경운은 대구와 특별한 연고가 없었지만 그가 대구에 정착하게 된 내력은 밝혀진 바가 없다. 따라서 현경운이 대구 정착과 함께 지역 유지로서 대구 교육 사업계에서 활동한 명망가라는 사실도 알려져 있지 않다. 현진건은 현경운의 넷째 아들로 대구에서 태어나 청소년기를 보냈고 결혼 후, 일본과 중국 유학을 가기 전까지 대구에서 교육을 받았다. 현진건이 당숙 현보운의 양자로 입적된 것은 중국 유학 직후이다. 이 시기부터 서울 생활을 하였고 신문기자와 작가로 활동하였다. 현진건의 대구 생활에 대한 기억은 그의 소설에 주요한 모티브가 되고 있다. 작가로서의 내면을 형성하던 시기에 가족과 고향에 대한 향수가 작가의 작품에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은 현진건 가계의 대구 정착 사실과 대구에서의 현진건 가계의 부침(浮沈) 과정이 작품에 어떻게 투영되고 있는가를 살펴본다. 이와 같은 사실은 근대 대구에서 진행된 민족운동 및 독립운동과 현진건 가계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