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논어』「학이」편을 통한 공자에 대한 평가

        모영환 인문예술학회 2017 인문과 예술 Vol.- No.4

        일반적으로 『논어』는 공자의 어록이라 할 수 있으며 서적 구성상의 특별한 체계가 없다고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처럼 두서없는 이야기들이 나열된 속에서도 일정한 편집상의 원칙이나 成書의 틀을 찾고자 하는 연구들이 없지 않았다. 특히 『논어』의 서두에 해당하는 「학이」편에 대하여는 그 편집체계의 독특함에 주목한 연구들이 있다. 이 글에서는 편집체계가 아닌그 내용에 주목하여 「학이」에 담긴 편집 원칙을 살펴보고, 이를 공자가 생애를 통해 이룬 성과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논어』 및 공자에 대한 또 하나의 새로운 이해가될 수 있을 것이다. 「학이」의 내용 분석은 고주와 신주를 함께 참고하였다. 이에 따르면 「학이」총 16개 장 중 제1장을 포함한 10개 장은 ‘교육’을 주제로 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중 6개장은 수신의 덕목들에 관한 내용으로 볼 수 있다. 또 총 4개 장은 ‘사상’에 관한 내용이며, 이는 다시 ‘孝’를 주제로 하는 2개 장과 ‘禮’를 주제로 하는 2개 장으로 나눌 수 있었다. 「학이」 의 나머지 2개 장은 ‘정치’에 관한 내용이었다. 이상을 종합하면 「학이」는 ①교육, ②사상(효와 예), ③정치라는 세 가지 커다란 테마를 담고 있다. 이는 교육가, 사상가 및 정치가라는 공자에 대한 세 가지 측면의 평가와 연관지어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편집체계 뿐 아니라 내용면에 있어서도 「학이」의 독특함 내지 대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Generally, 『論語』 can be said to be the quotation of Confucius. It is known to not have special system according to th structure of the book. However, even within these thoughtless stories, there were still some studies to find principles of constant editing. Especially, on 「Xue Er 學而」, which is the first chapter of 『論語』, there are studies that focused on the uniqueness of the editing system. In this context, ‘Context analysis of 『論語』「學而」’, the contents were focused rather than the editing system to look over editing principle by 「學而」. The content analysis of 「學而」 considered the footnote of modern and old times. According to this, 10 chapter including Chapter 1 from the total of 16 chapters from 「學而」is based on ‘education’. Also, 4 chapters are related to ideology, and this can be divided into two chapters based on ‘孝’ and two other chapters based on ‘禮’. The remaining two chapters of 「學而」are related to ‘Politics’. When combining the above, 「學而」has three big themes including ① Education, ② Ideology (孝 and 禮), and ③ Politics. This brings up evaluation in three aspects on the Confucius as an educator, ideologist, and politician. Thus, not only the editing system but in the context, the uniqueness and the representation of 「學而」can be identified.

      • KCI등재

        『학산초담(鶴山樵談)』 재고찰 : 이본의 계열과 선본 문제에 대하여

        임미정(LIM, Mi-Jung)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96 No.-

        허균(許筠, 1569~1618)이 1593년에 집필한 『학산초담』은 조선 중기 시단(詩壇)의 동향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시화(詩話) 자료이다. 이 『학산초담』은 허균의 저작으로 일찍이 알려졌고, 책의 내용과 성격에 대한 분석도 이미 제출되었다. 그러나 보다 많은 시화 자료가 발굴된 현시점에서 『학산초담』의 성격과 위상은 재론될 필요가 있으며, 텍스트 분석에 앞선 문헌 검토도 요청된다. 이 글은 현전하는 『학산초담』의 여러 이본들을 재확인하면서 계열 정리를 시도하고, 이를 통해 각 이본의 위치와 성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학산초담』은 오랜 기간 허균이 편집했던 원본(原本) 계열의 이본만이 존재하다가, 김려(金鑢, 1766~1821)가 『학산초담』의 오자를 수정하고 주석을 붙여 『한고관외사(寒臯觀外史)』에 수록하면서, 원본과는 다른 편집본이 등장하게 되었다. 김려의 편집본을 포함한 후대본 계열은 모두 3종이다. 하버드대 소장 『한고관외사』에 수록된 『학산초담』을 장서각 소장 『한고관외사』 가 그대로 필사하였고, 이 장서각본을 토대로 영남대학교 소장 『패림(稗林)』에 있는 『학산초담』 이 만들어졌다. 3종 이본을 대비한 결과, 하버드대 소장 『한고관외사』가 선행본이자 완성도 높은 선본임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김려의 작업이 전혀 반영되지 않은 원본 계열의 이본도 살펴보았다. 원본 계열의 이본은 성균관대 소장 『청구패설(靑丘稗說)』에 수록된 『학산초담』, 장서각 소장 『청강소설(淸江小說)』에 묶인 『학산초담』과 규장각에 소장된 『학산초담초(鶴山樵談抄)』 3종을 확인하였다. 이 3종의 이본을 대비하여, 『청강소설』합본이 가장 완성도가 높은 이본이자 원본에 가까운 모습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앞으로의 『학산초담』 연구는 원본 계열의 이본 중에서 장서각 소장 『청강소설』에 수록된 『학산초담』을 기준으로 하되, 김려가 오자를 수정하고 주석을 붙였던 하버드대 소장 『한고관외사』의 『학산초담』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the excavation and introduction of the 『Haksanchodam』 and rearrange and redefine the existing Ebon of the 『Haksanchodam』. With 『Haksanchodam』 existing only of its Ebon of the original version line, Kim Ryeo worked on the comments on 『Haksanchodam』 and refined its writings, and then list the same on 『Hangogwanoisa』 to make two lines of Ebon. The later version line that had the edited version of Kim Ryeo as the base version for a total of 3 types, and through contrasting these 3 types of 『Hangogwanoisa』 that is the original version and earlier version that is kept by Harvard University would be the most complete Ebon. In the meantime, the Ebon of the earlier version and original version line without reflecting the later works of edited version at all is confirmed of 3 types now. As a result of contrasting these Ebons, the combined version of 『CheongangSoseol』 kept in Jangseogak is presumed to be the Ebon with the highest level of completion as well as the closest one to the original version. Studies on 『Haksanchodam』 in the future would be based on 『Haksanchodam』 that is listed on 『CheongangSoseol』, and it would be prudent to actively facilitate 『Hangogwanoisa』 that Kim Ryeo corrected type-error and supplemented the comments which is kept in Harvard University.

      • KCI등재후보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속성에 대한 정책 이해관계자들의 인식 탐색

        박소연(So-Youn Park),홍성만(Sung-Man Hong),임채홍(Chae-Hong Lim) 한국문화교육학회 201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6 No.4

        본 연구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정책 공동체 구성원들의 주관성에 근거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인식을 파악하여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실천적, 현실적 발전방향을 도출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Q방법론을 활용하여 학교문화예술교육 정책 이해관계자를 중심으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속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속성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공통된 인식을 분석한 결과,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가장 핵심적인 개념적 속성으로 감수성, 창의성, 자아정체감이 자리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속성에 대한 인식에서 유의미한 특징적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 세 가지의 인식 유형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식유형은 “사회발전정책으로서의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 학교문화예술교육을 건전하고 역량 있는 자주 시민을 양성하는 정책수단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는 정책적 관점의 유형이다. 둘째 인식유형은 “개인역량개발 교육으로서의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 학교문화예술교육을 통해서 개인의 삶이 풍요로워 질 수 있으며, 개인이 아름다움을 느끼고, 다양성속에 자신을 표현하는 역량을 개발하는 교육적 기능을 갖는다는 교육적 관점의 유형이다. 셋째 인식유형은 “교감 기반을 다지는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 학교문화예술교육이 문화예술의 측면에서 다름 사람과의 교감이라는 본질적 속성을 지닌 것이라는 점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는 문화예술적 관점의 유형이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할 때, 향후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정책추진과 관련하여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개념과 목적을 보다 명확히 정립하고 이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학교문화예술교육이 가진 융합적 속성을 고려한 정책기획 및 실행이 요구된다. 또한 학교문화예술교육에 대해 구성원들이 추구하는 바를 주지한 정책기획 및 실행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ttributes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Q method was adopted to explore and set out the perception of policy community members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Q sample was composed of 40 statements and 25 policy stakeholders were selected to P sample. As a results of Q sorting, the attributes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were categorized in 3 types. Type 1 was named a social development policy approach so that 8 policy stakeholders of type 1 perceived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would be policy means to develop mature civic awareness of citizen. Type 2 was named individual competency development education approach so that 11 policy stakeholders of type 2 perceived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would help individuals to enjoy an affluent and beautiful life and to enhance self-expression. Type 3 was named art and cultural sensibility development for communing together approach so that 6 policy stakeholders of type 3 perceived nature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would be art and culture so it should focus on communication feelings and emotions. Sensitivity, creativity and self-identity were common perception to all 3 types.

      • KCI등재

        『논어』에서 學의 의미

        임헌규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5 동방학 Vol.33 No.-

        學의 綱領으로 시작하는 『논어』는 15세에 學에 뜻을 두고, 평생 好學者로 자임했던 공자의 學問論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논어』 및 공자의 學字에 대한 연구는 그 용례를 識, 效, 覺 등으로 분석하면서 讀書와 篤行으로 크게 나누어 제시하고 있다. 이 글은 기존의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하면서, 하나의 보완의 측면에서 학문의 분화와 그 대상과 연관하여 學의 의미를 다시 구성해 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즉 『논어』에서 말하는 學이란 그 대상과 목표와 연관하여 볼 때, 技術知의 획득을 목표로 하는 器學, 교양과 인격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인문학, 그리고 궁극적인 도의 인식과 체득을 목표로 하는 道學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器學이란 인간이 자연 가운데 삶을 영위하는데 일차적으로 요구되는 衣食住를 공급하기 위해 발전시켜 온 기술로서, 공자는 여기에 해박하였지만 그 한계를 명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논어』에 오늘날 인문학으로 규정할 수 있을 성질의 學의 의미가 있는데, 그것은 곧 六經 혹은 六藝의 인식과 체득으로 인간적인 도리를 함양 훈육하는 것이다. 공자는 주로 이러한 학에 종사하고(六經刪定), 이러한 학으로 제자들을 가르쳤다. 그런데 공자가 궁극적으로 추구한 학은 궁극자(道 혹은 天)의 인식과 체득을 목표로 하는 것이었는데, 공자는 평생 이러한 궁극적인 학은 좋아한다고 말하였다. 『논어』에 나타난 이러한 여러 학들은 인간의 삶과 연관한 총체성 속에서 수단-목적이라는 상관개념으로 함께 논의할 때 그 본래적 의미와 한계가 명확히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s aim is to articulate The Meaning of science(or learning:學)' in analects. Confucius said, " Is it not pleasant to learn with a constant perseverance and application?"(1:1). and also said, "at fifteen, I had my mine bent 'learning(or Science:學)'on learning, At thirty, I stood firm, ... At seventy, I could follow what my heart desired, without transgressing what was right." Confucian analects's key concept is jen(仁). Confucius's concept of human path is realization of humanness. Confucius reestablished jen as universal Virtue. The Meaning of learning(Science) in analects have 1) acquiring new knowledge, 2) humanitas (paideia, artes liberales), and 3) 'learning to become a sage(聖學)'. Confucius believe in reality of the human mind & it's nature. What Heaven has conferred is called the human nature. An accordance with this human nature is called path of human duty. Confucian analects's aim is to articulate the ideas and methodology of 'learning to become a sage' based upon his saying. Confucius believe in reality of the human mind & it's nature. What Heaven has conferred is called the human nature. An accordance with this human nature is called path of human duty. Confucius's concept of human path is realization of humanness.

      • KCI등재

        시・도교육청의 학교평가 정책 변화에 대한 비판적 탐색: A 지역의 학교평가 편람을 중심으로

        도혜림 (Hye Lim Do),김종훈(Jonghun Kim) 한국교육정치학회 2024 敎育政治學硏究 Vol.31 No.1

        이 연구는 시・도교육청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학교평가와 관련된 정책의 변화를 비판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새로운 교육감의 취임에 따라 학교평가의 방향과 주요 지표에 변화를 보인 A 시・도교육청의 최근 학교평가 편람을 사례로 하여 시・도교육청의 학교평가 정책 변화의 주요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A 시・도교육청의 학교평가는 2023년을 기점으로 ‘학교 자율로부터 교육청 주관으로의 전환’, ‘평가지표의 정량화’, ‘학교교육 중심에서 교육청 정책 중심의 평가로의 전환’이라는 특징을 보인다. 이 연구는 이러한 A 시・도교육청의 학교평가 정책의 변화가 최근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개혁 및 미래교육 담론에 역행할 뿐만 아니라, 학교평가 본연의 취지와 목적을 퇴색할 우려가 있으며, 학교가 실적주의를 지향하고 성과 지향적인 조직문화를 만들 우려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상의 비판적 탐색을 토대로, 이 글은 시・도교육청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학교평가가 어떠한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하는지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policy changes related to school evaluation at a local level.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s the main features of changes in school evaluation policies in regional office of education using ‘the 2023 School Evaluation Manual’ which recently changed the overall direction and key indicators of school evaluation following the inauguration of a new superintendent. Beginning in 2023, school evaluation in this region characterized by a shift from school-autonomous to region-driven evaluation, quantification of evaluation indicators, and a shift from schooling to policy-oriented evaluation.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se changes in the school evaluation policy of regional office of education are not only contrary to the recent discourse on education reform and future education, but also have the potential to erode the purpose of school evaluation and create a performance-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in schools. Based on the above critical exploration, this study suggests how school evaluation at a local level should be improved.

      • KCI등재

        『論語』 ‘學’ 개념의 의학교육적 함의

        손보미 동양고전학회 2021 東洋古典硏究 Vol.- No.82

        본 연구는 의학교육에 공감교육이 필요하다는 제안에 따라, 『논어』의 ‘학(學)’과 의학교육에서 공감교육을 관련시켜 의학교육에서 공감교육 방안을 폭넓게 모색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를 위하여 『논어』에서 학의 의미와 학의 기본적 방법 그리고 의학교육에서 공감교육과 죠디 할펀(Jodi Halpern)의 임상적 공감(medical empathy) 논의를 고찰하였다. 고찰의 결과 공유 측면과 보완 측면을 밝혔다. 『논어』에서 학과 의학교육에서 공감교육의 공유 측면은 첫째, 배움의 방법 면에서 모델을 통한 배움을 효과적 교육방법으로 인정한다. 둘째, 『논어』에서 학과 죠디 할펀이 제안하는 임상적 공감 논의는 적어도 두 가지 점을 공유한다. 먼저, 양자에서 배움은 배움의 과정에서 주체의 자각을 요청하는 배움이다. 『논어』에서 학은 문자의 의미 자체에 배우는 주체의 “깨달음[자각]”을 포함하고 있고, 죠디 할펀이 제안하는 임상적 공감은 환자의 정서적 상태에 대한 의사[주치의]의 인지로, 이는 의사의 자각으로 얻어진다. 그다음, 양자에서 배움은 실천과 연습으로 배움의 완결성을 도모한다. 『논어』에서 학은 실천과 연습의 과정으로, 이 과정에서 배움의 완성을 도모한다. 죠디 할펀에서 임상적 공감은 의사가 실천과정에서의 시행착오와 부단한 연습을 통하여 습득하는 능력이다. 그러나 『논어』에서 학이 포괄하는 배움의 내용은 매우 광범위하나, 임상적 공감에서 배움의 내용은 환자의 정서적 상태의 이해와 인지에 국한된다는 차이가 있다. 그리고 보완 측면은, 죠디 할펀에서 환자의 좋음을 지향하는 임상적 공감이 정확성(accuracy)과 타당성(appropriateness)을 결여할 수 있다는 제한점을 보완하는 방법을 『논어』에서 찾아보았다. 『논어』 학이 의학교육에서 공감교육 및 임상적 공감 논의와 공유 측면 및 보완 측면이 있다는 점에서, 『논어』에서 학의 기본적 방법인 ‘본받음[效]’은 의학교육에서 공감교육의 한 방법일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suggestion that empathy skills are requested from medical professionals and that empathy education is needed in the medical curriculum. It is an attempt to find a wide range of instructional method in relation to ‘xue(學)’ in 『Analect』 and empathy education in medical education. To this end, I reviewed Jodi Halpern's discussion of the meaning of clinical empathy and the concept of emotional reasoning and basic method of ‘xue’ in 『Analects and empathetic education in medical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review, the sharing and complementary aspects were revealed. In terms of sharing, first, in terms of learning methods, learning through roll models is recognized a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Second, the clinical empathy discussion proposed by Jodi Halpern and ‘xue’ in 『Analects』 shares at least two points. One is learning in both is learning that requests the subject's awareness in the process of learning. The other is learning in both aims to complete learning through practice and practice. The next complementary aspect can be found in. In Jodi Halpern's discussion of clinical empathy and the concept of emotional reasoning have limitations that it may lack accuracy and appropriateness. The 『Analects』 provided a method to complement the accuracy and approprriateness of clinical empathy and emotional reasoning. Through the above, ‘xue’ in 『Analects』 sharing aspects with empathy education and clinical empathy discussion in medical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it proposes a metho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clinical empathy discussion. This paper propose that ‘xiao[效, imitate]’, the basic method of ‘xue’ in 『Analects』 is adopted as the basic method of empathy education in medical education.

      • 학생부종합전형 쟁점 분석 : 학종 입학생들의 소득 수준 분석

        이광현,안선회,이수정 한국교육사회학회 2019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19 No.-

        본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을 둘러싼 논쟁 중의 하나인 소득계층의 원활한 대학입시 이동통로로서의 학종이 강조되는 것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수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재검토함으로서 실제로는 학생들의 노력과 능력이 직접적으로 반영되는 평가자료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먼저 고른기회전형은 입학사정관제-학종이 시행되기 이전부터 존재해왔던 전형으로서 고른기회전형 입학생을 제외한 순수한 일반 학종과 수능과의 입학생의 소득수준을 비교함으로서 과연 학종이 저소득층을 위한 혹은 저소득층이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잠재력을 보여주어서 대학에 입학하는 기회를 넓힌 전형인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학종이 저소득층에게 대학입학기회를 더 부여하는 전형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의 주요 3개 대학의 경우는 일반학종과 수능과 입학생들의 소득계층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지역균형선발전형을 실시하고 있는 서울의 A대학의 경우는 오히려 지역균형선발전형이 지역의 고소득층의 입학통로가 되었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수능이 고소득층에 유리한 전형이라는 입장에 대해서 학생의 학업역량에 영향을 주는 부모의 학력변수가 포함되었을 경우 가구소득 변수의 영향력이 사라지고 있으며 사교육시간은 수능점수에 거의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의 학습시간이 수능성적에 더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학종보다는 수능이 학생의 노력과 능력을 더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입시자료일 수 있음을 보여주며 현재 여론이 학종보다 수능전형 확대를 요구하는 근거일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 인성,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송이(Han Song 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과 그 요인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대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개인변인(성별, 학년, 입학방법, 전공, 학점), 자아존중감과 인성요인 그리고 학교생활만족도와의 상호 인과관계를 검토해 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으며, 설정 가설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대학생의 성별, 학년, 입학방법, 전공, 학점은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은 인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인성은 학교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결과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대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개인배경 변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해 본 결과, 성별, 입학방법(수시, 정시), 전공, 학점 수준 등은 인과적인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학년이 2학년 이상으로 올라가면서 학교생활만족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둘째,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만족도에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강하게 보여주고 있었다. 셋째, 인성요인은 자아존중감의 효과 크기보다는 작았지만 학교생활만족도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향후 개인변수와 함께 구조적 수준의 변수와 대학의 교육프로그램 변수 등을 포함하여 대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 결정요인이 무엇인지를 지속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factors that affect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level with their academic life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ose factors. In order to analyze the deciding factors in students’ academic life satisfaction, individual student variables(academic year, gender, grade, admission method and major), self-esteem, and character’s 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levels of students with academic life were investigat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for this study, with three main hypotheses: firstly, that students’ gender, academic year, admission method, major, and grade affect their academic life satisfaction; secondly, that self-esteem levels of student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character; and thirdly, that students’ self-esteem and character have significant effects on academic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e following: firstly, that individual student variables of gender, admission method(rolling versus regular admission), major, and grade do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cademic life satisfaction except for the variable of academic year, for which satisfaction level tends to drop from the second academic year onwards; secondly, self-esteem shows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academic life satisfaction; and thirdly, that while factors of character do not have as much influence on academic life satisfaction as self-esteem does, that they are nonetheless significant factors. Continued future research is needed that, in addition to individual student variables, also include facilities, services, and policy variables as determinant factors in academic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시·도 교육청 학교평가 편람 분석을 통한 한국의 학교평가 실행 현황과 발전 방향 탐색

        유솔아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4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8 No.3

        이 연구는 최근 학교평가와 관련된 변화의 흐름 속에서 2013학년도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의 학교평가 편람을 토대로 한 문헌 분석과 학교평가 담당자 면담을 통해 한국의 학교평가 실행 현황을 분석하고, 학교평가의 효과적 실행을 위해 요청되는 향후 과제와 학교평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홀리스틱적 접근을 통해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이론적 탐색으로 우선 한국에 학교평가가 처음 도입된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학교평가를 특징에 따라 시기별로 구분하고, 학교평가의 역사 속에서 현재 학교평가의 법적 근거와 주요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나서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의 학교평가 편람을 중심으로 2013학년도 시·도별 학교평가 실행 현황을 평가단계, 평가주기, 평가방법, 평가영역 및 배점 그리고 평가결과의 공개 및 환류 차원에서 비교·분석하였다. 비교·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시·도교육청의 학교평가 담당자 대상의 FGI를 통해 한국의 학교평가가 효과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요청되는 과제와 나아가야 할 방향들에 대해 탐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suggest the projects and development direction required in order for future school evaluation in Korea to become implemented and settled successfully amongst the recent flow of changes in school evaluation. This was done by analyzing current school evaluation execution condition in 17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dditionally,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2013 school evaluation system was based on along with the current legal assessment of school evaluation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2013 school evaluation execution condition in 17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by classifying them into the criteria of tasks per evaluation stage, evaluation period, evaluation method, evaluation territory and distribution, and display and feedback of evaluation results. Lastly, focus was placed on differences between the school evaluation execution for each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displayed through the analysis and suggestion made about the requirements and measures needed to successfully implement school evaluation in Korea.

      • KCI등재

        학교평가 단계 중심의 메타평가 논리와 준거 탐색

        김순남 ( Soon Nam K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3 중등교육연구 Vol.51 No.1

        ``학교평가 단계 중심의 학교평가 준거체제 탐색``이라는 본 연구를 통해 30개의 준거체제를 설정하였다. 이 준거체제는 문헌 고찰을 통해 학교평가의 학교평가를 메타평가하기 위해 당위적 측면에서 설정한 것이다. 먼저, 학교평가의 단계를 기획 단계, 자체평가 단계, 방문평가 단계, 결과보고 단계 등으로 설정하였다. 각 단계별로 학교평가의 메타평가 준거를 설정하였다. 첫 단계인 기획 단계의 준거로 열 개의 준거를 설정하였다. 그 준거로는 평가자 양적 충족성, 평가자 전문성, 학교현황 진단의 충분성, 목적 설정의 타당성, 방법 설정의 적절성, 준거의 타당성, 기준 판단 근거의 명확성, 절차의 타당성, 연수 프로그램의 충실성 등이다. 이러한 기획단계의 메타평가 준거는 학교평가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평가 자원 요소와 평가 설계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평가 기획 단계를 평가할 수 있는 준거체제로 설정되었다. 일반적으로 학교평가 실제에서 평가 기획이 잘 되어야 다음 단계인 평가 수행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평가 기획 단계가 매우 중요하다. 평가 주관 기관에서 평가 기획단계가 끝나면 형성적 기획 단계의 메타평가를 통해 부족한 점을 보완하는데 이 준거가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단계인 자체평가 단계의 준거로 다섯 개를 설정하였다. 그 준거로는 자체평가 지원조성의 적절성, 자체평가 기획의 적절성, 자체평가 참여의 적절성, 자체평가의 정확성, 자체평가 활용의 적절성 등이다. 이러한 자체평가 단계의 메타 평가는 평가 주관 기관의 자체평가 유도 요소와 단위 학교의 자체평가 수행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두 기관의 기능이 적절한지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단위학교의 자체평가에 대한 기획, 운영, 활용에 대한 준거들이 설정되어 단위학교의 자체평가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준거체제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단계인 방문평가 단계의 준거로 일곱 개를 설정하였다. 그 준거로는 서면평가의 적절성, 학교 특성 분석의 충실성, 자료 요구와 출처의 명확성, 자료 수집 방법의 적절성, 평가 수행의 윤리성, 자료 수집의 적절성, 평가의 객관성, 평가의 공정성 등이다. 이러한 준거들은 방문평가의 삼 요소를 과정별로 학교 특성분석, 정보 수집 및 정보 판단으로 나누어 방문 단계의 평가가 얼마나 잘 이루어졌는가를 평가할 수 있도록 설정되었다. 넷째 단계인 결과보고 단계의 준거로 세 개를 설정하였다. 그 준거로는 평가 결과의 신뢰성, 학교간 결과 평정의 공정성, 보고서의 충실성 등이다. 이 준거는 평가 결과 요소와 보고서 요소로 구성되었다. 평가 결과가 신뢰로운 지, 학교간에 공정한 지를 평가하고 대해 보고서를 충실하게 작성하였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다섯째 단계인 활용 단계의 준거로 네 개를 설정하였다. 그 준거로는 평가 결과의 공개성, 평가결과의 활용성, 학생?교직원에의 영향성, 메타평가 활용의 적절성 등이다. 이는 평가 결과의 활용 요소와 메타평가 요소로 구분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설정된 학교평가 단계 중심의 메타평가 준거체제의 유용성은 첫째, 평가 주체자들이 평가수행의 과정에서 지켜야 할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둘째, 각 단계별 평가과정에서 실제로 학교평가를 메타평가 할 수 있는 준거로 이용될 수 있다. 셋째, 평가자체를 평가하는 ``메타평가 수행의 적절성``을 포함하므로 학교평가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넷째, 학교평가 활용 측면을 메타평가의 한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학교교육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본론에서 제시한 PSVRU 메타평가 모형과 준거체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설정된 학교평가의 메타평가 준거체제를 다른 프로그램 평가의 메타평가 준거와 비교해 볼 때, ERS 준거와는 단계별 준거체제라는 점에서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 4가지 이념별로 접근한 JC 준거와는 접근 방법상의 차이는 있지만 몇 가지 준거가 공통으로 설정되어 있다. 바로 ``메타평가의 적절성``이바로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앞에서 논의된 나머지 프로그램 평가의 메타평가 준거인 AEA 준거, JDRP 준거, OSE 준거, GAO 준거 등은 일부 영역만을 평가의 준거로 삼고 있어 본 연구의 준거와 달리 접근한 준거들이라 할 수 있다. 평가 활동 자체에 대한 평가인 메타평가는 이제 필연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아직 메타평가에 대한 논의는 실천적으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메타평가에 대한 활성화 작업이란 측면과 메타평가 준거의 탐색적 연구라는 측면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meta-evaluation criteria system for school evaluation. A literary study were preformed for the study. The model PSVRU as a school-evaluating model was chosen for establishing the criteria by steps. The meta-evaluation model PSVRU is consists of such evaluation-steps as planning step, self-evaluation step, visiting-evaluation step, reporting-result step and utility-evaluation step. In the school evaluating planning step, there are 10 criteria such as the sufficiency of evaluator group, the professionalism of evaluator, the sufficiency of finance, the sufficiency of school examination, the validity of purpose, the validity of evaluation standards, the clearness of judging the evaluation standards, the validity of establishing evaluation method, the validity of establishing procedure and the utility of evaluation program. The self-evaluating step which consists of 5 criteria includes the appropriateness of supporting the self-evaluation, the appropriateness of self-evaluating planning,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the accuracy of self-evaluation and the utility of the result of self- evaluation. The visiting-evaluating step have 8 criteria: the relevance of paper-evaluation, the truthfulness of analysing school situation, the clearness of information collect and resource, the relevance of evaluation-practicing method, the ethics of evaluation practice, the sufficiency of collecting information, the objectivity of evaluation practice and the impartialism of information judgement. The step of reporting result are the relevance of evaluation results, the impartialism of evaluation results rating, and the sufficiency of evaluation report. In the utilization step, there are the openness of evaluation result, the utilization of evaluation result, the effect of evaluation result and the property of meta-evaluation.(Kyungpook National Univ.)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