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가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과 루시안 프로이트 (Lucian Freud)의 작품세계에서 인체표현을 중심으로 한 비교연구

        최욱 유럽문화예술학회 2022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3 No.1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과 루시안 프로이트(Lucian Freud)는 영국을 대표하는 구상화가로전후 현대미술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작가들이다. 이들은 1979년 알 비 키타이(R.B.Kitaj)가 명명한런던스쿨(School of London)의 핵심적인 작가들로 인간 실존의 의미를 그들만의 독자적인 조형 언어로표현해냈다. 프로이트의 사후 10년이 지났지만 두 사람의 개별적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으나 두 작가만 따로묶어서 작품세계를 비교한 연구는 거의 없어서 이 글을 통해서 살펴보려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작가로서 두 사람의 관계와 작품세계를 비교 분석 하였다. 먼저 두 사람이 1945년에 처음 만나서 거의 1980년 까지 친교를 나누며 작가로서 교류한 관계를주목하여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았는지 찾아보았다. 19세기 대표적인 영국의 화가로 늘 함께 거론되는윌리엄 터너(Joseph Mallord William Turner)와 존 컨스터블(John Constable)처럼 베이컨과 프로이트는미술사적으로 같이 묶이기는 하지만 차이점도 분명히 있다. 공통점으로는 샤르트르와 실존주의의 영향을 받은 이들은 전후 사회의 우울하고 불안한 인간상에 대한 본질적인 리얼리티를 추구하였다. 프로이트가 에칭 작업을 병행하였지만 두 작가 모두 평생인물화 위주의 평면회화 작업에 천착했다. 또한 유화물감의 물성을 통한 몸과 ‘살(Flesh)’의 표현을중시했다. 그리고 차이점은 베이컨은 직관적인 방식으로 인체의 단순한 재현이나 심리묘사를 하기 보다는존재의 상태를 나타내려 하였고 프로이트는 냉철하게 대상을 분석하여 인물 자체의 심리적 표현에치중하였다. 베이컨은 우연성에 기대어 사진을 보고 빠른 속도로 작업하였고 프로이트는 실제 모델을앞에 두고 긴 시간에 걸쳐서 절제된 색채로 그림을 그렸다. 이 외에도 다양한 작품세계의 공통점과차이점을 찾아보았고 살을 통한 신체표현의 의미와 해석 방식을 비교분석 하였다. 이런 연구를 통해 서구 미술세계의 주변부에 불과했던 영국에서 동시대에 두 거장이 출현과 이들의예술적 성취가 20세기 후반 회화의 지평을 넓혀 오늘날 영국 현대미술의 발전에 공헌을 한 의미를생각해 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형상의 폭력에 표현된 까뮈의 ‘부조리 감성’ : 프란시스 베이컨 회화를 중심으로

        이원숙(Lee Wonso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본 연구는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1909~1992)이 해체하고 변형한 형상의 ‘폭력성’에 주목하여 이를 그로테스크로 읽고 ‘부조리’의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한다. 우선 ‘고깃덩어리’로 묘사되는 형상과 색채의 ‘잔인함’과 ‘폭력성’은삶에 내재한 비극적 유한성, 불안과 고통을 수용하는 베이컨의 실험적 태도의 결과이다. 이러한 베이컨의 무규정적 형상이 제시하는 충격과 당혹스러움은 은폐된 인간의 본질과 예측 불가능한 삶의 불투명성을 표현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고통과 무의미함으로 가득한 삶의 부조리에 주목한 까뮈(Albert Camus,1913~1960)의 논의로 연결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그로테스크적 형상으로 표현된 베이컨회화의 ‘잔인함’과 ‘폭력성’, 즉 기괴한 변형의 표현이 인간과 삶에내재한 고통을 있는 그대로 묘사함으로써 직시하고 수용하여 극복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이를 까뮈가 말하는 ‘부조리의감성’으로 연결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그로테스크의 미학적 의의는 불편한 낯섦과 충격을 정면으로 마주함으로써인간을 재해석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을 만들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부조리로 가득한 삶을 이해하고 포용하는데 도움이될 수 있다는 데 있다. 부조리한 삶 한 가운데 외롭지만 견뎌내고 버텨낸다는 그 자체만으로 인간은 위대하다고 말하는까뮈, 그로테스크한 형상으로 인간의 숨겨진 본성, 본질을 인정하고 바라볼 수 있는 용기를 주는 베이컨은 모두 ‘그럼에도 삶은 기꺼이 살아갈 만 하다는 것’을 각자의 영역에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This study draws attention to the ‘violence’ of Francis Bacon’s deconstructed and deformed shapes, reading them grotesque and interpreting them in terms of ‘absurdity’. First of all, the ‘cruelty’ and ‘violence’ of the shapes and colors described as ‘meatballs’ are the result of Bacon’s experimental attitude to embracing the tragic finite, anxiety and pain inherent in life. The shock and embarrassment presented by this non-normative shape of Bacon can be said to express the hidden nature of man and the opacity of unpredictable life. This can be linked to Camus’s discussion of the absurdity of a life filled with pain and insignificance. So this study interprets the ‘cruelty’and ‘violence’ of Bacon’s paintings, expressed in grotesque shapes, that is, the expression of bizarre transformations, as they face, accept and overcome the pain inherent in human and life, and connects it with the ‘sensibility of absurdity’ that Camus speaks of. The aesthetic significance of these grotesques lies in the fact that by facing uncomfortable strangeness and shock, they can create a new perspective that can reinterpret humans, and that can help them understand and embrace absurdity-filled lives. Camus, who says that man is great by himself, who is lonely in the midst of an absurd life, and Bacon, who gives him the courage to recognize and look at the hidden nature and essence of man in grotesque shapes, all show in their own realms that ‘Life is willing to live nevertheless.’

      • 베이컨에 대한 페미니스트들의 비판과 베이컨의 수사학

        이종흡(Jong-Heup Lee) 한국수사학회 2006 수사학 Vol.0 No.4

        This essay examines a series of feminist criticism against the Baconian project of "Great Instauration" whose main target has been on the so called 'Baconian masculine violence of Nature'. With general emphasis on Francis Bacon's idea of 'fact' or factual knowledge in its historical formation, my arguments are put forward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the feminists' criticism can be considered as a result of their misinterpretation of Baconian juridical metaphors. Second, Bacon's juridical metaphors were the rhetorical devices to have contemporary readers understood his new idea of fact or factual knowledge. Third and finally, the feminist critics properly pinned out Bacon's responsibility of feminization of 'passions' but missed the unique meaning of his identification of an intrinsic drive to utility as a dominant passion. To make up for this missing point, I propose a new conception of 'rhetoric of utility' by which I mean a long-term Western political strategy of harnessing all the other violent passions with a persuasive and strong but calm and nonviolent passion for 'utility'. This conception inspired from Quentin Skinner's study on Thomas Hobbes can be supported by the 16th-17th century common use of a figure, 'paradiastole.'

      • KCI등재

        프란시스 베이컨 회화의 리얼리즘 연구

        李旼修(Lee Minsoo) 미술사연구회 2009 미술사연구 Vol.- No.23

        The theme of the painting of Francis Bacon is the figure of the humans. However, that figure is torn out and distorted like the body afflicted with the violence, so that its vivid color and tangible feeling of living flesh always attracts the eyes of the viewers, not to mention of the strong sense of horror. Very surprise for that distorted figure is to keep the relation of analogy with the object, which is distant from the representation in the traditional paintings. Nonetheless, those characteristics of the Bacon’s painting once made him to be recognized as a painter just in line with the traditional figurative paintings, or as an expressionist who participated in the suffering of the age and the pain of the existence after the World War II. However, he would reject any analysis about his works and refuse himself to be classified into any category from the critics. So the art-historical study of his painting has been thoroughly performed in the biographical perspective or through the interviews with the painter himself. Among the various scholars of his painting, a common point has been established regarding the coexisting characteristic of two opposite elements, such as figurative vs. non-figurative, or traditional vs. nontraditional. The origin of my thesis is to affirm and enrich this coexisting dualistic characteristic of the Bacon’s painting, now widely admitted in the art-historical field. This is ultimately related to identifying the meaning of what is the‘analogy distant from the representation’in the images of Bacon. He put great emphasis on the responsibility of the contemporary paintings to re-invent the reality through a new way, breaking the representative and illustrative images in the traditional paintings. What is in the world the new way Bacon keeps emphasizing and what is the reality he pursues with his works?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us, my thesis examines not only the major art-historical issues but also the philosophical studies about the Bacon’s painting. This is a new attempt to see the duality and its reality of his painting in a wider perspective, which relatively lacked in the traditional art-historical studies.

      • KCI등재

        렘 콜하스의 실내공간과 질 들뢰즈 회화론의 유사점 연구

        김석영(Suk-Yo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0

        현대에 이르러 공간디자인 분야에 나타난 의미 있는 시도는 공간구축과 담론의 교차점을 찾으려 시도한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현대 철학자인 질 들뢰즈가 프란시스 베이컨의 회화를 분석하여 자신의 담론을 전개한 문헌에서 공간적 단서를 찾아 현대 공간디자인과의 공통적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들뢰즈의 분석에 따르면 베이컨의 회화는 골격-배경(아플라), 형상-형태(형상) 그리고 윤곽-한계(트랙)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분된다. 이러한 회화의 세 요소로부터 ‘형상-사건의 발생’, ‘트랙-감각의 장소’, ‘아플라-배경과의 상호작용’이라는 공간적 분석어를 추출했다. 그리고 이 분석어로 렘 콜하스의 최근 작품을 분석했다. 렘콜하스의 작품에서 확인되는 들뢰즈 공간론은 사용자와 공간 사이에 발생하는 사건 중심, 사건 발생을 유도하는 장소, 사용자와 공간 또는 공간과 대지 사이의 차이생성이란 방식의 적용이다. 결과적으로 현대 담론과 공간디자인 모두는 생명 운동에 의한 ‘차이’로서 이해된다는 공통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cently, significant tries appeared in the spatial design field were appreciated as tries to find crossing between space formation and discourse. This study is to find spatial clues from Gilles Deleuze, the modern philosophers literature where he developed his discourse analyzing paintings of Francis Bacon, and reveal common characteristics with the contemporary spatial desig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Deleuze, Bacons paintings are separated into frame-aplat, shape-figure, and contour-track. From these three elements, I extracted spatially analyzing languages of occurrence of shape-accident, space of track-sense, and interaction of aplat-background. Then with these analyzing languages, I analyzed latest works of Rem Koolhaas. Deleuze Space Theory confirmed in works of Rem Koolhaas is the application of accident-focused occurred between the user and space, the space that induces accident, and differentiation between the user and space or space and site. As a result, I could confirm the common characteristic that both modern discourse and spatial design are understood as difference from life and movement.

      • KCI등재

        복식과 회화에 표현되는 몸의 재현 프란시스 베이컨의 -작품과 레이 카와쿠보의 컬렉션을 중심으로-

        임은혁 ( Eun Hyuk Yim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13 패션 비즈니스 Vol.17 No.4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and art which are intimately interrelated, the body is a suitable subject in that it is the common object of represent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and compares the images of the body in Francis Bacon`s paintings from 1940s to 1970s and the formative aspect and aesthetic value of the abstract body images in Rei Kawakubo`s designs since 1980s. The figures in Bacon`s paintings are confusingly and atypically deformed as well as distorted, which are the combinations of the anatomies without references, not so much represented objects as experienced sense. Kawakubo`s designs attempt to deform the body, moreover, she transforms the body; represent abstract forms without association with any other figures that exist, emphasizing sculptural or architectural shapes of garment. She suggests extensive visual language of dress by challenging the norms of beauty. The body in Bacon and Kawakubo`s works is dispersive as well as complex in that the body images are deconstructed, fragmented, and exaggerated. Respectively, they articulate the perception of the body in postmodernism era by destroying the myth of subject; furthermore establish the aesthetics that transcend conventional ideals by reevaluating as well as refusing the standards of beauty.

      • KCI등재

        들뢰즈의 선험적 실재주의와 체도(體道)의 예술론

        맹혜영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9 미술과 교육 Vol.20 No.3

        본 글은 들뢰즈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칸트의 선험적 감성론을 수용하고 비판하며, 그의 선험적 경험론에 이르렀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재현과 비재현적인 닳음의 차이를 프란시스 베이컨의 회화와 정선의 진경산수화를 통해서 설명하고자 하는 글이다. 들뢰즈와 과타리가 도(Tao)를 어떠한 초월적인 기준과도 무관한 “내재성의 장(field of immanence)”으로 언급한 것에 근거하여, 선험적 내재면과 노장의 최고의 예술개념인 체도를 연결함으로써 들뢰즈의 철학이 선험적 경험론이라면 그의 예술론은 선험적 실재주의 미학이라는 논리를 펼친다. 선험적 실재주의 미학에서 회화는 재현의 영역을 떠나서 선험적 내재면에 위치하며, 강도적인 감각의 블록으로서 마주침의 대상이 된다. 이 글에서 들뢰즈의 철학 개념인 배치 기계가 서로 이질적인 동서양의 예술과 철학을 묶고 비교분석하기 위한 비교철학 연구의 방법론으로 사용되어 졌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전통적인 한국화가 비재현적인 무기교의 기교와 사의성(寫意性)으로 특징지어지는 반면에, 서구의 모더니즘에 파생된 재현의 논리를 적용하여 근대 한국화를 구상과 추상의 형식으로 나누어 논의하는 데에 근본적인 이의를 제기한다. 결과적으로 들뢰즈의 선험적 실재주의 미학을 통해서 한국미의 특질인 사의성과 진경산수화가 회화의 형식적 구분 이전의 순수잠재성인 도를 닳은 창조적 사유인 “비재현적 닳음”으로 재인식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linical difference between “representation” and “non-representational resemblance” in Korean True-view Landscapes and Francis Bacon's paintings. This difference is elucidated through the transforming process of the transcendental, from Kant’s transcendental aesthetic to Deleuze’s transcendental empiricism. Deleuze's transcendental empiricism was reinvented as the aesthetics of transcendental realism which integrates a plane of immanence with the aesthetics of following Tao. This is based on Deleuze and Guattari's comments on Tao as “a field of immanence” which cannot be linked to any transcendent criterion. In transcendental realism, art leaves the domain of representation and becomes a truly transcendental encounter with intensity as a bloc of sensation in the plane of immanence. Deleuze's concept of “Agencement machine” is used as a method of a comparative analysis on Deleuze's transcendental empiricism and the aesthetics of Tao. Through this investigation, this paper challenges the Western modernist approaches to painting, dividing painting forms into abstract and figurative paintings stemming from the notion of representation. This formal division has created unnecessary boundaries and restrictions since it was adapted in modern Korean painting. This division is opposite to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painting as an “artless art” and expression of “the aesthetics of View from Tao”. As a result, I attempt to reinvent Literati painting spirit and Korean true-view realism as an experimental artistic spirit of non-representational resemblance, which resembles pure virtuality of “Tao” prior to formal distinctions of art through Deleuze’s transcendental realism.

      • KCI등재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얼굴해체 -프란시스 베이컨 회화의 얼굴해체를 바탕으로-

        최정화 ( Jung Hwa Choi ),최유진 ( Yoo Jin Choi ) 한국의류산업학회 2013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15 No.6

        This study analyzes the visage in fashion illustration based on the deconstructed visage of Francis Bacon`s paintings as well as analyzes fashion illustration works since 2000. The deconstructed visages in Francis Bacon`s paintings are classified as blurring, elimination, distortion and division. The expressive methods and meanings in fashion illustration (according to categorization) are as follow. Blurring shows an ambiguous visage organ by the sweeping of the brush, removal of a boundary among the visage, body and clothes, gradation of organic line like visage shapes, stretching of the a plat combined to visage and fragmentation of visage. It represents an uncertainty of the fashion theme and image interpretation, impossibility of figure by ambiguity, fantastic effect and the induction of the uncanny. Elimination shows the background color`s painting of a photo-montage, overlap of a cutting of visage`s part and background of a plat, elimination of the visage and the elimination of eyes, nose or lips. It represents a weakened identity, the reinforcement of anonymity, creation of a violent image, and uncanny unfamiliarity. Distortion shows a distorted visage by free drawing, and unconscious drawing line, fluid digital body, combination of an unconscious curve, and an eccentric combination of the accidental. It represents the relief of specialty about realistic existence, hypothetical immateriality and fantasy. Division shows overlapped visages with different angles, the weird combination of a plural visage and different species and a plural breakaway of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several organs. It represents motion by power`s trace, non-territory of species, ambiguity and uncertainty and the uncanny.

      • KCI등재
      • KCI등재

        프란시스 베이컨 회화에 나타난 감각표현에 대한 연구 - 질 들뢰즈의 해석을 중심으로 -

        이명순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7 미술과 교육 Vol.18 No.2

        Human beings are getting accustomed, as they grow, to the theory of rationality, moderation, and generalization rather than instinct, intuition, sensation or value of individual’s diversity. Although creativity, innovation, and mental challenge are regarded as of significant value, it is a lot of hard work to teach or experience those requisites through school curriculum or social education.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are focusing on importances of the logic of sensation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and searching application plan for art education. To develop this argument, this article discusses Francis Bacon’s Painting based on Gilles Deleuze who creates a series of philosophical concepts, each of which relates to a particular aspect of Bacon’s paintings and Illuminates Bacon’s paintings, the nonrational logic of sensation, and the act of painting itself. Based on this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next section examines Bacon’s Paintings converge to the subject of sensation, suggests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and proper way to the art education. In conclusion, this research aims at contribute to establish rationale enable to extend the sensation-based art education and to invigorate the study about the specific educational plan from the viewpoint of a general logic of sensation. 인간은 성장해 감에 따라 본능이나 직관, 감각, 그리고 개인의 다양성보다는 이성과 절제, 상식과 일반화의 원리로 길들여지게 된다. 새로움과 창의성, 도전 정신은 항상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지만 학교나 사회 등의 교육과정에서 이를 가르치거나 체험하게 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미술 표현은 작가에게는 미지의 영역에 대한 탐구이고 감상자에게는 작가가 탐구한 세계와의 직접적 마주침을 통해 자신이 생각지 못했던 새로운 세계로의 확장을 이끌어주는 통로이다. 새로운 독립체(Martin Gayford. 2010)로서 예술 작품이 지닌 힘은 보편화 되어가는 인간의 감각을 일깨워 이 세상에 존재하는 단 하나의 고유한 특성을 지닌 개인으로 존재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 본 연구는 인간의 감각과 감각활동에 대한 고찰을 시작으로 감각표현이 어떤 양상을 띠는지, 자신의 감각을 표현하기 위해 작가는 어떤 사고와 과정을 거쳐 미지의 세계로 향하는 길을 찾는 지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의 그림과 질 들뢰즈(Gilles Duleze)의 해석을 기반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그에 이어 감각을 깨우고 연마하는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와 함께 감각 표현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에 대해 제안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