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패션산업에서의 윤리적 패션 : 지속가능한 패션의 실천 사례를 중심으로

        유홍식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2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윤리적 패션의 기초연구로 지속가능한 패션 사례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사례연구로써 국내외 관련 서적과 논문 등의 선행 연구와 국내외 인터넷과 신문, 잡지와 같은 보도 자료 등의 자료들을 수집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스트(fast) 패션이 강세를 이루는 현 상황에서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자원 활용에 대한 노력과 지속가능한 환경실천에 대한 관심증대가 지속가능한 패션의 출현을 야기 시켰다. 둘째, 지속가능한 패션제품들은 제품의 설계에서부터 생산, 폐기 후 재사용에 이르기까지 생태계를 보호하고 다음세대를 위해 자연 순환과정에 순응하는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셋째, 지속가능한 패션은 디자인기획의 초기단계에서는 환경 친화적인 소재를 사용하고 있었다. 넷째, 지속가능한 패션은 제품의 생명주기를 연장하여 불필요한 자원낭비를 막아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재활용이 활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지속가능한 재활용 패션디자인은 그린디자인이나 환경 친화적 제품의 시스템에서 보여주는 재사용, 재생 등의 방법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다섯째, 오래되거나 낡은 소재의 재사용은 패션의류와 패션잡화에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연구 되어졌다. 여섯째, 다른 형태의 소재로 만들어 사용하는 재생은 아웃도어, 스포츠 웨어에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연구 되어졌다.

      • KCI등재

        에너지 하베스팅 패션제품 개발현황

        서성은,노정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7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7 No.4

        디지털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최근 자가발전을 통한 에너지 수확, 저장, 전환은 스마트 패션제품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방향성과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적용한 패션제품의 개발현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의류에 적용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의 대표적유형을 열전, 압전, 마찰전기, 광전, 전자기파의 5가지로 분류하고, 이를 구글과 네이버 및 관련 웹사이트에서한영 키워드로 검색하여 140여개의 상용화된 패션제품 사례를 도출, 유형 및 특징을 분석하였다. 현재 기술성숙도가 높고 가장 많은 상용화가 이루어진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태양전지로 의류 전반의 다양한 아이템에 적용·개발되고 있다. 압전 기술은 압전필름을 설치하여 소리파장에 의한 진동, 신체 움직임에서 발생하는 압력 등을 전기로 변환하는 제품, 열전은 주로 사람의 체온 변화를 감지하여 에너지로 변환이 가능한 손목시계나 밴드형에서 침낭, 신발 등, 마찰전기는 접촉대전 나노발전기를 삽입하여 사람의 불규칙한 신체 활동에서 수확한 에너지를 충전하는 제품 형태로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전자기파는 패션제품화가 비교적 낮으나주변에 버려지는 전자기파유도 에너지를 텍스타일 안테나나 손목밴드 등의 저장장치에 수확하여 사용하는제품으로 나타나고 있다. 에너지 하베스팅에 대한 기술적 관심은 국내외에서 매우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 본격적 상용화 개발은 미흡하기 때문에, 패션아이템으로서의 기능성과 실용성, 편리성, 그리고 무엇보다 트렌드 감각을 갖춘 심미성을 지닐 수 있는 기술적 접근과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개발이 중요하겠다. 패션커뮤니케이션의 확장으로써 패션 테크놀로지의 적용은 일상에서 친숙한 습관으로 다가오는 스마트 테크놀로지 트렌드, 일상의 건강과 웰빙을 추구하며 여가활동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부각된 에슬레져 트렌드, 그리고 친환경적 고부가가치의 그린디자인을 추구하는 지속가능 트렌드 등 시대적 메가트렌드에 부합하는 결과물로 도출되어야 할 것이다. With the advancement of digit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energy harvesting, storage, and conversion have played a major role in presenting a direction and vision for the smart fashion product developm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status of fashion products using energy harvesting technology. In previous research, the representative types of energy harvesting technology applicable to clothing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thermoelectric, piezoelectric, triboelectric, photovoltaic, and electromagnetic. We have searched for more than 140 commercialized cases in Google & Naver with both Korean and English keywords of energy harvesting fashion product, and analyz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Solar-cell energy, which has the highest technology maturity and commercialization, is being developed and applied to various items such as outdoor jackets, shoes, caps, headphones, bags, watches and jewelry. Thermoelectricity using the body temperature difference is being developed as a variety of products such as wrist band type, sleeping bags and shoes. Piezoelectricity is being applied to a product that installs a piezoelectric film to convert vibrations caused by sound waves, and pressure generated by body movements into electricity. Triboelectricity is being actively developed as a product type that charges energy harvested from human irregular physical activities such as walking, running, and finger movements by inserting a contact nano generator. Electromagnetic waves are relatively low in commercialization, but used in storage devices such as a textile antenna or a wrist band by harvesting induced energy, which is abandoned in the vicinity.

      • KCI등재

        긍정적 해체주의 패션에 나타난 디자인 특성 연구 - 2014년 이후 컬렉션을 중심으로-

        김소희,김윤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7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7 No.4

        최근 각종 부정적인 사건들로 인해 사회 전반적으로 공포와 불안감이 증가하고 있다. 대중들은 이전과다르게 일상의 위협에 대해 긍정과 희망, 즐거움을 표현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문화의영향을 받아 해체주의 예술 역시 보다 긍정적인 형태로 변화하여 표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방향으로변화하고 있는 긍정적 해체주의 패션의 사회・문화적인 발생배경과 디자인 표현 특성을 밝혀내고, 이를 통해긍정적 해체주의 패션이 가지는 내적의미와 변화하는 현 시대가 추구하는 가치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 연구와 사례 분석을 병행하였다. 긍정적 해체주의 패션은 사회 전반적으로 지속되는 부정적인사건으로부터 비롯되는 상실감과 불안감을 극복하는 방식에서 기존 해체주의 패션과 차이를 보이며 새롭게변화하여 등장하였다. 폐쇄적이고 부정적인 방향으로 사회・문화적 문제를 해소했던 기존 해체주의 패션에서 긍정적, 유희적 그리고 대중적인 방향으로 표현하며 해체주의 패션이 변화하고 있다. 우선 기존 해체주의패션의 특성을 기초로 긍정적 해체주의 패션에서 차별적으로 드러나는 특성을 도출한 결과, ‘긍정적・유희적방향성’, ‘유스컬쳐 표현성’, ‘일상성’이 연구되었다. 이러한 긍정적 해체주의 패션의 특성을 토대로 2014년이후의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긍정적 해체주의 패션디자인을 실루엣과 디테일, 컬러, 소재, 패턴으로 나누어디자인 특성을 고찰하였다. 실루엣과 디테일 측면에서는 ‘일상성’을 중심으로 강조하였고 컬러에서는 ‘긍정적·유희적 방향성’을 가장 뚜렷하게 표현하였다. 소재는 ‘일상성’을 중심으로 긍정적으로 유스컬쳐 감성을전달하였다. 패턴에서는 ‘유스컬쳐 표현성’을 강조하며 다소 반항적인 표현을 유희적으로 표현하였다. 이 연구는 국내・외 패션 브랜드들과 학생들의 디자인의 폭을 넓히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사회・문화적 흐름이 동일한 패션 사조 내에서도 패션의 표현 방법의 변화를 이끌어 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n recent years, fear and anxiety have been increasing in society in general. The public is turning into a way of expressing positive hope and joy against everyday threats. Affected by society and culture, deconstruction is also expressed in a more positive form.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as well as design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on fashion that is transitioning to the new direction, and to research the intrinsic meanings of positive deconstruction fashion and values pursued by the current changing era. The study method was combined with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Positive deconstruction fashion was a new transition from the existing deconstruction fashion to overcome a sense of loss and anxiety, which was originated from the continued negative accidents in the society at large. Deconstruction fashion, which had addressed the social and cultural issues in closed and negative ways, is now transforming itself by expressing fashion in positive, playful and popular ways. The study identified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positive deconstruction fashion, which wer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deconstruction fashion, as ‘the positive and playful direction’, ‘youth culture expression’ and ‘everydayness’. Based on the features, the study contemplated the design features, which have appeared in fashion collections since 2014, in the categories of silhouette, detail, color, material and pattern. In terms of silhouette and detail, ‘everydayness’ was emphasized and color was most expressive of ‘the positive and playful direction’. The material delivered youth culture sensitivity positively, focusing on ‘everydayness’. The patterns playfully delivered somewhat rebellious expressions by emphasizing the ‘youth culture expression’. The present study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the design of fashion brands and student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social and cultural trends lead to a change in the way of expressing fashion even within the same fashion.

      • KCI등재

        디지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나는시간관 유형과 표현 특성 - 디지털 회화와 디지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비교를 중심으로 -

        고정민,이지현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7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다양한 디지털 매체를 수용하여 자유로운 시각 표현이 가능해진 디지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시간관을 중심으로 그 현황을 분석하고 표현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먼저 문헌고찰을 통하여 종교, 철학, 과학, 예술 분야에서의 시간에 대한 인식론을 바탕으로 시간관의 대표적인 유형을파악하였다. 그 결과 시간이 흐르는 방향성을 중심으로 각 분야에서 나타난 시간관의 유형은 직선적 시간관, 순환적 시간관, 나선형적 시간관, 파편적 시간관 등 총 네 가지 형태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디지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서의 시간관 표현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현재 다양한 시간관의 표현이 이루어지고 있는디지털 회화와의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 회화에서는 앞서 파악한 네 가지 유형의 시간관이 모두 표현되고 있었지만, 이와는 달리 디지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직선적 시간관, 순환적 시간관, 파편적 시간관 등의 세 가지 유형만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적극적인 디지털의 도입을 통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디지털 회화와는 달리 디지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서는 비교적 좁은 범위에서의 디지털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었다. 이로 인해 디지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다소 한정적 형태의 시각적 표현만이 가능하였고, 결과적으로 물리적인 시간의 변경을 통해 새롭게 시간이 창조되는 나선형적 시간관의 활용이 어려운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서의 보다 다양한 시간관표현을 위해 인터렉티브 콘텐츠를 활용으로 시간의 방향성을 생성하며 확장하는 나선형적 시간관의 표현을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디지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서 디지털에 대한 적극적인 수용이 이루어진다면 한정적 범주의 표현 영역을 뛰어 넘어 보다 넓은 새로운 영역으로의 확장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present situation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fashion illustration in order to present a new direction of digital fashion illustration which accepts various digital media and enables free visual expression. Firstly, a representative type of the time concept was identified based on the epistemology of time in religion, philosophy, science, arts through literature review. As a result, the types of the time in each field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namely, linear concept of time, cyclic concept of time, spiral concept of time, fragment concept of time.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mporal expression concept in the digital fashion illustration,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digital painting in which various expressions of time concept are presented is carried out. As a result of analysis, in digital painting, all four types of time concept were expressed, but in contrast, digital fashion illustrations showed only three types of linear concept, cyclic concept, fragment concept. This is due to the introduction of digital in a relatively narrow range in digital fashion illustration, unlike digital painting, which can be express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ctive digital. As a result, it was possible for the digital fashion illustration to make a limited visual representation only, hence it was analyzed that it is difficult to use the spiral temporal view in which the new concept of time is created through the change of the physical time. Based on this, it was proposed to express the spiral concept that generates and extends the direction of time by using interactive contents for more diverse time expressions in digital fashion illustration. In this way, if the digital fashion illustration is actively accepted, it will be possible to expand to a broader new area beyond a limited expressive category.

      • KCI등재

        매체분석을 통해 본 노라노 패션과 한국 패션 고찰 (2) -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노라노 관련 자료를 중심으로 -

        박신미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7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디자이너 노라노 소장 자료와 연구자 수집 노라노 관련 매체자료를 분석하여 노라노 패션과 한국 여성 패션의 현대화 양상을 객관적 자료에 근거해 고찰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학술지 논문의 지면 제한으로 2편으로 나누어 연구를 구성한다. 2016년 진행된 연구 (1)에서는1950년대 중반부터 1960년대 중반까지의 노라노 영화의상을 분석하여 탈전통화기의 트렌드를 고찰하였다. 연구 (1)의 결과, 노라노는 최지희를 팜므파탈의 여신으로, 엄앵란을 한국의 오드리 헵번으로 만드는 등 여배우들의 스타일을 통해 국외의 트렌드를 국내에 전파시켰다. 당시 여배우들의 스타일은 20세기 중반 한국 패션 트렌드를 주도하였으며 한국패션의 서구화에 일조하였다. 본고는 연결논문의 두 번째 논문으로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의 노라노 관련 자료를 분석하여 현재까지 밝혀진 사실들을 검증하고 한국 여성 패션 현대화의 주요 사건들을 매체자료에 근거해 추출한다. 본 연구는 노라노 소장 자료, 연구자 수집 자료, 신문박물관 소장 자료 총 159편을 분석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에서는 노라노 작품이 미국적 특성이 강한 것으로 제시되고 있었으나, 매체자료 분석 결과 노라노는 미국 패션과 프랑스패션 모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사실을 검증한 결과 노라노의 1963년미우만백화점 패션쇼와 1964년 화신백화점 패션쇼는 개최되지 않았으며 최초의 디자이너 기성복 패션쇼는제10회 노라노 패션쇼인 1963년 11월 1일 오후 2시 워커힐 크로바 클럽에서 패션쇼로 조사되었다. 더불어노라노의 첫 양장점인 신당동 ‘노라노의 집’의 정식 오픈 시기는 1950년이며, 실제 디자인 시작 시기는 유학직후인 1949년 후반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modern phenomenon of Korean woman's fashion focusing on the designer Nora Noh through media materials from the 1950s to the 1990s. The research is divided into two parts and this paper is the second section, the research (2). The part of the research materials was possessed by Nora Noh and researcher also collected materials from the Presseum(museum of newspaper)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n. The first paper, the research (1) was to examine the post-traditional phenomenon of Korean modern fashion and analyse the movie costumes of Nora Noh from 1955 to 1966. The result was that the images of the movie stars were the bridges of the western fashion style into the public and became the key trend of Korean modern fashion in the mid twentieth centur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2) show that Nora Noh was affected both by the French haute-couture and pret-a-porte system as well as American ready to wear system. The eclectic style is a characteristic of Nora Noh fashion. The ready to wear fashion show held at the Miuman department store in 1963 and the Hwashin department store in 1964 has not founded through the references. The 10th Nora Noh fashion show in Wakerhill at 2 pm, 1st of November, 1963 is the first ready to wear fashion show in the history of Korean fashion designer. Also, Nora Noh opened the first boutique at Sindang-dong in 1950 but the designer started design work in 1949 after she returned from the United States.

      • KCI등재

        몽골 패션산업의 현황과 발전 방향 - 캐시미어 산업을 중심으로 -

        봉상처그보 남채렌,최수아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7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7 No.2

        현재 몽골 내수 패션산업의 발전이 미비하여 경쟁력과 생산성이 떨어짐에 따라 기업들은 현상 유지를 하거나 더 이상의 발전을 하지 못하고 파산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는 유행하는의상에 많은 관심이 있어 패션산업의 내수 브랜드의 개발 품종의 다양화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몽골 패션산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게 두 개의 방향으로진행되었다. 첫째, 몽골 패션산업의 시작부터 현대까지 변화를 분석하여 현대 패션산업 및 캐시미어 산업의현황을 파악한다. 둘째, 몽골 패션산업의 현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몽골 내수 시장에 적합한 발전 방향을모색하여 제안한다. 몽골 패션산업의 현황 파악을 통한 발전 방향의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몽골의 국내캐시미어와 가죽산업은 그 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자체 브랜드를 개발하여 적극적인 국내·외 시장에 대한 마케팅을 전개해야 한다. 둘째, 몽골 정부는 장기 경제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각 단계별 전후방 연관 산업의발전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또한, 몽골 정부에 투자로 제조 과정의 국제 표준 도입, 수출 및 금융 지원 정책을 일관성 있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오래 동안 발전하지 못하는 봉제 분야의 집중적 발전의 가능성을 도모할 수 있다. 몽골 패션산업 약점을 보완하고 위협 요소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최우선적으로 불공정무역행위 제품의 유통을 근절하기 위해 정부 및 민간 차원의 국내시장 정화 노력을 강화하고, 기술, 디자인, 마케팅 분야의 인력 육성과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지원과 국내·외 관련 기관과의 교류를 확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몽골 패션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와 전문가의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전통적 자원인 캐시미어, 가축·피혁 등 관련 분야로의 투자가 필요하다. Mongolia, a landlocked country located in Central Asia, borders Russia to the North and China to the South. Mongolia bordering China and Russia, the two economically big markets in the world, has the 10th largest reserve of undeveloped natural resources in the world. In 1990, there was a democratic revolution in Mongolia. After then, the country pursued economic transformation and an opening policy, and has enjoyed economic and political stability since 2000. These changes influenced a lot of transformation and innovation in every field including the social and the economic. Mongolian fashion industry, however, did not keep pace with a global trend and faced a serious crisis because of its poor competitiveness. Though the country fashion industry changed greatly in its formation, and many factories and salons were opened by many domestic and foreign investors, still import goods are sold very largely in the country. That is why clothing stores are selling Chinese products with cheap price but poor quality. As the Mongolian fashion industry has poor competitiveness and productivity to address the domestic demand, local companies do not sustain and develop continuously, and many of them go bankrupt. Many fashion brands made of cashmere, a Mongolian traditional material, are actively exported to foreign countries, and most of leather and wool are distributed in domestic markets, which is very helpful to domestic economy. But its fashion industry still relies on imported goods. Nevertheless, as consumers usually get much interested in hot fashion, various kinds of fashion brands need to be developed for the domestic market.

      • KCI등재

        위르겐 텔러의 패션 광고사진에 나타난 예술적 표현

        범서희,임은혁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7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7 No.4

        패션업체에서 브랜드의 이미지나 광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독특하고 차별화된 이미지로 패션 촬영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기술과 예술의 두 가지 속성을 가진 사진은 그 속성들을 발휘하여 이미지를 조작해서 패션 이미지를 미디어를 통해 투사한다. 최근 대중 패션잡지에서 영향력 있는 패션 브랜드들의 광고는 예술사진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으며, 예술사진작가들은 상업 사진 기술을 차용하고 있다. 주류 미술관과 갤러리에 전시되는 예술사진작가인 위르겐 텔러는 매 시즌 해외 유명 패션 브랜드 광고사진을 촬영해 왔으며, 패션 광고사진을 현대 예술사진으로 끌어올린 작가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진작가 텔러의 패션 광고사진에 나타난 표현양식을 알아봄으로써 패션 광고사진의 예술적 표현이 시사하는 바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이는 패션과 예술의 관계가 모호해지고 있는 현시점에서 그 접점에 서있는 사진을 고찰함으로써, 상업적인 패션과 예술적 가치가 있는 사진의 간극을 인정하고 매개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연구방법은 문헌을 통해 현대 예술사진 및 패션 광고사진에 관해 고찰하고, 현대 사진작가 중 패션과 예술의 경계선상에서 가장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텔러의 2000년대부터 현재까지 상업적인 미디어 중 하나인 패션잡지『Vogue』 속 텔러의 대표적인 패션 광고사진을 조사한 후 광고에 나타난 예술적 표현에 대해 밝혀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분석한 텔러의 패션 광고사진에 나타난 예술적 표현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냅 사진에서 볼 수 있는 홈 스냅샷의 미학이다. 둘째, 수용자에게 낯설고 복잡한 이미지의 비유기적 파편화를 들 수 있다. 셋째, 영화적 내러티브의 매체 간 차용이다. 넷째, 기존의 광고사진과는 달리 소품으로서 묘사된 패션이다.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brand image and advertising in a fashion market, it has made a lot of efforts in filming with a differentiated image of its own. A photograph with two characteristics, technology and art, display its attributes and operates an image to project the image of the footage through the media. The influential advertising of fashion brands in recent popular fashion magazines is changing the direction into art photography and it is exhibited in main museums and galleries. Juergen Teller, an artistic photographer, is taking photographs of famous seats of overseas famous fashion bra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how the artistic expression of advertising photographs suggests the knowledge of the expressive form shown in photographers' terrestrial photographs. This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hotograph and art. At present,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significance to recognize and mediate the gap between the photographs with commercial and artistic values. As for the method of research, it examines one of the commercial media from the 2000s to the present day of the most vigorous activity on the boundary between contemporary photographers of fashion and art. After investigating the photographs of typical fashion advertisements in the middle column of the fashion magazine, it makes an attempt at clarifying the artistic expressions displayed in the『Vogue』advertisements. Findings of this study on the features of the artistic expression in Teller's fashion ad photography are as follows. Firstly, the aesthetics of the home snap shot that can be seen in the snap photograph. Secondly, the metaphoric miracle fragmentation of the complex image that are unfamiliar to the user. Thirdly, it is borrowing between media of cinematic narratives. Fourthly, i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advertisement photograph in that fashion is represented as a small thing.

      • KCI등재

        서브트렉션 커팅 방법을 활용한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 개발 - 면 저지 원단을 중심으로 -

        이영선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7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7 No.2

        현대사회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환경오염은 산업화에 따른 화학물질의 오남용과 물질만능주의로 인한 과잉생산이 주된 원인이다. 1990년대 이후 패션 트렌드에서 보이는 ‘덜차려입기(dress down)’와 ‘에코이슈(eco issue)’는 친환경 재료사용과 최소한의 가공 공정을 통한 생산 방식을 지속가능 패션의 해결책으로삼았으나 최근에는 이미 사용을 다한 폐기물을 활용하여 재생산하거나 폐기물이 되지 않도록 생산과정에서부터 계획하는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제로 웨이스트 패션은 디자인, 패턴제작 시점에서 버려지는 자투리원단을 고려하여 이를 최소화 하면서 디자인의 독창성을 살릴 수 있는 것으로 많은 디자이너에 의해 연구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제로 웨이스트를 위한 패션디자인 방법 중, 서브트렉션 커팅법(subtraction cutting)을활용하여 면 저지 소재로 다양한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는 신축성이 있어 실용적이며, 세탁이용이해 편리하며, 가격이 저렴해 경제적인 면 저지를 선택하여 제로 웨이스트 디자인 원피스 드레스 다섯점을 제작하였다. 주로 사용된 기법은 제로 웨이스트를 위한 재단 방법 중 평면의 원단을 접거나, 꼬는 방법으로 패턴을 구성하는 서브트렉션 커팅으로 저지 소재가 갖는 편안한 느낌과 어우러져 사각형의 원단 안에서 별도의 커팅 없이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을 개발 하였다. 완성된 의상은 플리츠에 의해 만들어진 자연스러운 드레이퍼리 장식으로 패션의 독창성을 표현하며 저지 소재의 신축성은 한 사이즈로 다양한 사이즈스펙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저렴한 원부자재 비용은 가격 경쟁력이 우수해 대량으로 상품화 할 수 있는긍정적 요소이다. 그러므로 면 저지 소재와 서브트렉션 커팅법을 활용한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은 대중에게 접근성이 우수한 지속 가능한 패션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현재는 소규모의 스튜디오에서 연구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관점의 변화를 통한 창의적인 디자인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지속 가능한 패션을 위한 긍정적 방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Dressing down’ and ‘eco issue’ have emerged as a fashion trend since the 1990s as a solution for sustainable fashion using eco-friendly materials and minimum processing process. But recently, effort is being made to find new ways so that the product does not go to waste, such as reproduction by utilizing waste materials or planning ahead from the production level. Zero-waste fashion is being researched by many designers as it can promote new levels of creativity while minimizing leftover pieces of fabric that are thrown away during the pattern manufacturing process. This research suggests diverse types of designs using cotton jersey and subtraction cutting method for zero waste. In this research, five pieces of zero-waste dresses were made, choosing cotton jersey as the key material because it is practical due to its elasticity, economical because it is relatively cheap and convenient for washing easily. Subtraction cutting was used as the main technique; folding and tying the fabric to form patterns for zero waste so that the comfort of jersey could be highlighted without the need for additional cutting of the fabric. The finished piece is natural drapery ornament with pleats that represents originality and the elasticity of jersey can cover different body sizes. Another positive element to note is the relatively cheap price of the raw material which enables to commercialize in bulks due to the excellent price competitiveness. Therefore, it is highly anticipated that zero-waste fashion design using cotton jersey and subtraction cutting will be the next sustainable fashion trend that would be well received by the public. Although it is currently being researched in a small scale, if more efforts are put into the creative design development through a change of perspective, it could become a well-established method for sustainable fashion.

      • KCI등재

        한국의 현대 패션과 젠더 가치관

        허예은,하지수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8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근대화 혹은 서구화 등 단편적인 관점으로 이해되는 한국 복식사에서, 젠더에 대한 이해를 통해 근현대 복식사를 고찰하여 한국 현대 패션의 문화적 특성에 대해 깊이 있는 통찰력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서구 사회에서 젠더 가치관에 따른 복식의 변화와 한국 젠더의 특수성 및 한국 근현대 복식사를 고찰하였다. 한국 젠더의 특수성으로, 이중적 구도와 복잡한 중층적 구조를 도출하였으며 개화기 이후 국가주의적 젠더 정치 하에 남성 및 여성 복식은 엄격한 사회적 통제를 받았고 한국전쟁 이후 국가의 통제를 벗어나면서 다양한 패션 스타일이 유행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문헌 연구 및 질적 연구를 병행하였으며, 한국의 젠더와 패션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20대, 30대의 남성 및 여성 총 2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횡단적 지표화 방식을 사용하였다. 한국의 젠더와 패션에 대한 인식을 고찰한 연구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거에 비해 성 역할 고정관념은 많이 허물어졌으나 가정에서 남성이 경제적 소득을, 여성이 출산 및 육아에 대한 책임을 분담해야 한다는 전통적 인 인식이 여전히 강하게 남아있었다. 또한 남성 및 여성의 성격, 행동, 역할 등을 구분하는 고정관념이 남아 있어 한국 사회에서 젠더 가치관은 성적 정체성의 표현뿐 아니라 인성 및 품격을 평가하는 윤리적 규범으로 서 인식되고 있었다. 둘째, 한국 젠더 가치관의 특징으로 강한 이분법적 고정관념과 다양한 젠더 가치관의 공존이 도출되었다. 셋째, 한국 사회에서 젠더 가치관이 윤리적 규범으로 인식되어 오면서 패션은 단순히 취향과 정체성을 표현하는 수단일 뿐 아니라 예의와 규범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다양한 젠 더 가치관이 공존하고 개인의 성향과 취향, 자율적 선택을 존중하는 문화가 확산되면서 자신의 만족을 우선 으로 하는 미적 태도 또한 중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현대 패션은 옷차림을 통한 규범적 가치를 중시 하는 한편, 다양한 패션 스타일을 단편적으로 경험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이중적인 패션 문화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ultural insight of Korean modern fashion by using a gender category.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it revealed that Korea’s fashion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gender value. Since 19th century, the Korean government has regulated the gender role while the dress code policy has been differently applied. However, as the gender value changed after 1970s, various fashion style appeare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gender perception of the Korean society. Interviewees were 11 men and 11 women in their 20s and 30s in order to examine their gender perception. As a result, it revealed that traditional gender value in the Korean society is not only a means of expressing sexual identity but also criteria of an ethical norm. However, the various gender values reflect that the importance of gender value has been weakened.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relation between gender value and preference for fashion style, it revealed that the attitude toward gender value had influence on a fashion style. Also, it has been found that fashion was not only a means of expressing their tastes and identities but also an important means of expressing courtesy and norms. However, aesthetic attitude prioritizing one's own satisfaction is also considered importa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gender and modern fashion in Korea through interviews.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the specificity of Korean gender values and cultural characteristic of Korean modern fash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conducive to future research on fashion culture study trying new interpretation of Korean fashion.

      • KCI등재

        사운드 스펙트로그램과 심층신경망 기법을 사용한 패셔너블한 웨어러블 제품 디자인을 위한 테크놀로지

        김영언,김이경,박구만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8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8 No.2

        디지털 문화가 보급되면서 다양한 문화 양식과 사조를 공유하게 되었고, 새로운 장르의 스타일을 창조하 는 경향을 낳았다. 이러한 현상으로 패션과 기술이 융합된 디자인 개발도 폭넓게 전개되고 있다. 기존의 창작 과 미에 중점을 둔 스타일과는 다른 새로운 장르인 패션이 가미된 웨어러블 제품은 차세대 상품으로 많은 기대와 관심 속에 시장 도입이 되었다. 그러나 최근 웨어러블 제품의 시장 동향은 성장 없이 혼돈 속에 있으 며, 기술적 기능만을 중시한 상품 도입이 여러 부진 원인중의 하나로 분석되고 있다.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웨어러블 제품은 외부로 드러나는 착용형의 상품이므로, 사용자의 정체성을 표현할 패션이라 는 요소가 융합되고 자동 반응하는, 독자적인 가치를 갖는 디자인을 구현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패션과 인공지능 기술을 융합하여 웨어러블 제품에 장착된 디스플레이가 사용자가 자각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위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반응하여 사전 디자인에 따라서 패셔너블하게 디스플레이 되도록, 패션이 가미되어 디자인된 디스플레이를 갖는, 패션과 인공지능이 융합하여 자동으로 반응하는 웨어러블 제품에 사용할 테크 놀로지를 제안한다. 사운드 스펙트로그램으로 주위환경에서 입력된 소리의 특징을 추출하고 DNN의 Keras 기법으로 특성을 분류하여 레이블링한 후, 자동으로 반응하여 설정된 패션에 맞게 음향을 패션영상으로 변환 하여 패셔너블하게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것이다. 제안된 실험 시스템으로 채집된 소리 샘플을 실험한 결 과 –10 dB이내의 노이즈 환경에서 우수한 인식률을 나타내어 웨어러블 제품의 주위 환경에서 채집 가능한 소리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사용자의 사전 디자인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자동 반응하여 사용 자의 아이덴터티를 표현할 패셔너블한 웨어러블 제품의 디자인에 사용할 음향-패션영상 변환 맵을 제안하였 다. 실험에서 분류된 레이블로 음향을 패션영상으로 변환하여 패셔너블하게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가능함을 검증하였다. As digital culture became popular, various cultural styles and customs were shared. This has created a tendency to create new genre styles. As a result of this phenomenon,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which fuses fashion and technology is widely spread. Wearable products in new genres have been introduced into the market with much expectation. However, market of wearable products is in chaos. The introduction of products with an emphasis on technical functions has been analyzed as one of the reasons for the sluggishness. One of the ways to revitalize the market,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wearable products, worn as an outer wear, amalgamation of the fashion element, which expresses an identity of a user, and the unique value of design that enables the automatic rea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should be implemented. This paper proposes a technological system with a transformation map from sound to graphic image that can be used for designing auto-responsive and fashionable wearable products that amalgamate fash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stylishly designed display. The display will automatically react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show predefined fashionable display designs without users’ awareness. After the sound spectrogram extracts the characteristics of sound input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classify and label them through Keras method of DNN, it automatically reacts to covert the sound input into stylish graphic images and display them fashionably according to the user’s preset design.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with the proposed sound system has proved that the system is capable of recognizing and characterizing the sound inputs around the wearable products when the noise level of the environment is under –10 dB. The experiment has verified that inputted sound can be transformed into a graphic image according to classified labels and it is successfully put on displ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