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부산지역 특성화고등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자기결정효능감 및 취업준비행동 간의 관계 연구
황미영(Mi-Young Hwang),박종운(Jong-Woon Park),이광빈(Gwang-Bin Lee) 한국직업교육학회 2022 職業 敎育 硏究 Vol.41 No.1
이 연구는 전공만족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전공만족도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4차 산업혁명시대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생들이 지역인재로 잘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하였다. 또한 부산지역 특성화고등학교 학과개편과 학과재구조화의 이론적 근거와 기초자료가 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분석하였고 전공만족도와 취업준비행동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에 따른 특성화고등학교 3학년이 전공만족도를 살펴보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전공만족도 전체와 하위요인 일반만족, 인식만족, 교과만족, 관계만족에서 모두 높았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중 직업정보수집이 제일 높았다. 둘째,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취업(진로)준비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전공만족도 하위변인 중 일반만족, 인식만족, 교과만족, 관계만족이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주었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서는 직업정보수집, 목표설정, 계획수립이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만족도와 취업준비행동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를 밝혀 자신의 진로와 취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한다. 아울러 취업과 학생모집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특성화고등학교의 학과개편과 재구조화 정책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여 특성화고등학교가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on job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o serve as the theoretical basis and basic data for department reorganization and academic restructuring of graduate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o this end,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at influence the job preparation behavior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looking at the degree of majo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female students had higher major satisfaction, general satisfaction, perception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than male students, and job information collection was the highest.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ub-factors of job preparation behavior by region. Third, the higher the major satisfaction,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higher the employmen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help students in their careers and employment by illumin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at affects job preparation behaviors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help specialized high schools grow and develop by suggesting policies for department restructuring and restructuring of specialized high schools that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due to employment and student recruitment.
이명훈 한국기술교육학회 2017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ccupational view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 population was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sent by mail. The population sample for the study constituted 540 completed questionnaires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sis, Chi-Square test were emplo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generally recognized that all occupation is equally honorable. They believed making for living is the most important reason to have a job. They recognized that the job which corresponds with their aptitude is most ideal. They recognized that integrity is the most important virtue workers must have. They also recognized that integrity is the most important professional success factor. Second, school track (technical/commercial/other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affecting some of occupational view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But academic scores had no appreciable effect on occupational view of the students. Third, according to career decision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occupational views existed statistically. In other word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s of 'all occupations are equally honorable', 'the most important professional success factor' and 'the biggest reason why we must have a job', 'the most ideal occup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관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연구의 모집단은 특성화고 학생이며, 581명의 특성화고 학생들을 조사대상으로선정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54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 빈도와 백분율, 그리고 일반 특성에따른 특성화고 학생들의 직업관 차이, 진로결정수준에 따른 직업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특성화고 학생들은 대체로 직업에 귀천이 없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직업을 가져야 할 가장 큰 이유로 생계유지를 들었으며, 적성에 맞는 직업을가장 이상적인 직업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성실성을 직업인이 갖추어야할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가장 중요한 직업적 성공 요인으로도 성실성을 들었다. 둘째, 특성화고 학생들의 직업관 중 ‘가장 중요한 직업적 성공 요인’과 ‘가장이상적인 직업’에 대해서는 학교계열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며, 직업 귀천의식에대해서는 졸업 후 희망 진로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학생들의 학업성적에 따른 직업관의 차이는 없었다. 셋째, 특성화고 학생들의 직업관은 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진로결정수준이 높거나 중간인 학생들은 낮은 학생들보다 직업에 대한귀천 의식이 덜했다.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학력보다 전공능력을 더중요한 직업적 성공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중간이거나 낮은 학생들은 전공능력보다 학력을 더 중요한 직업적 성공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진로결정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연봉이 많은 직업보다 자아실현을 할 수 있는직업을 더 선호하고 있었으나 중간이거나 낮은 학생들은 자아실현을 할 수 있는 직업보다 연봉이 많은 직업을 더 선호하고 있었다. 또한, 진로결정수준이 중간이거나 낮은 학생들은 ‘직업을 가져야 할 가장 큰 이유’에 대하여 생계유지의비율이 다른 이유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으나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생계유지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지는 않았다.
이명훈 대한공업교육학회 201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school dropou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interview for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10 adolescents who dropped ou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from December 8 to 23, 2018.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31 themes were extracted from interviews with 10 research participants. And 10 theme clusters were categorized from these. And these clusters were divided into 3 domains : 'before school dropout', 'causes & process of school dropout, feeling about school dropout', 'after school dropout'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adolescents who dropped ou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uffered from hard school life, disappointing lead from teachers, stereotypical lesson. And they committed misdeeds, and had psychological difficulties. Some of them kept up the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 teachers, parents, some of them did not. Some of them kept up the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 teachers and parents, while some of them did not. Second, they chose dropout due to various different causes. The procedures of school dropout proceeded with comparative ease. The effect of dropout prevention program is very limited. The feeling they felt at the time of school dropout varied individually. Some adolescents who dropped ou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were satisfied while others were stressed out, regretting their decision. Third, they lived diligently working part-time jobs or preparing General Equivalency Diploma (GED) test after dropout. They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in their daily lives after dropout. But sometimes they experienced various difficulties and negative changes. Most of them had their goals, and they were preparing for them. Their expectation was low that their life will succeed if they returned to school. They wanted people to understand their decision about dropout. And multiple institutions are supporting adolescents who dropped ou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y need practical support : Various information, activity for career experience, counseling etc.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학업중단자의 학업중단 이전의 생활, 학업중단의 원인과 과정, 학업중단 이후의 생활과 지원 등을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특성화고 학업중단자 10명과 2018년 12월 8일부터 23일까지 일대일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20개의 의미있는 진술을 추출하였으며, 이들을 31개의 주제로 범주화하였으며, 다시 이 주제들을 3개 영역의 10개 주제 묶음으로 유목화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특성화고 학업중단자들은 재학 중 고단한 학교생활과 답답한 분위기 속에서 기대에 못미치는 교사의 지도와 틀에 박힌 수업을 받는 것에 힘들어하거나 비행경험과 심리적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그리고 교우, 교사, 가족 관계가 좋은 학업중단자도 있었으나 그렇지 못한 학업중단자들은 원만하지 못한 관계로 인하여 힘들어 하였다. 둘째, 특성화고 학업중단자들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학업중단을 선택하였다. 특성화고 학업중단자들이 학업중단을 처음 생각한 시기는 매우 이른 경우도 있었으며, 학업중단 절차는 비교적 쉽게 진행되며, 그 과정에서 학업중단숙려제의 역할은 미미하였다. 그리고 특성화고 학업중단자들은 학교를 그만둘 때 개인에 따라 다양한 심정이었으며, 학업중단에 대해 만족하는 자도, 후회하거나 아쉬워하는 자도 있었으며, 학업중단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자도 있었다. 셋째, 특성화고 학업중단자들은 학업중단 이후 아르바이트나 검정고시 준비 등을 하며 열심히 생활하고 있었다. 그들은 학업중단 후 생활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겪었으며, 다양한 어려움과 부정적인 변화를 겪기도 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대부분 자기 나름의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한 준비를 하고 있으며, 복교에 대한 성공기대는 낮았다. 또한, 그들은 주변이 학업중단을 이해해주고, 믿고 지켜봐주길 바랐다. 현재 학교 밖의 여러 기관에서 특성화고 학업중단자들을 위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들을 위해 다양한 정보 제공, 직업체험 활동, 상담 복지 등에 관한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수업 몰입과의 관계
김영훈,이창훈 한국기술교육학회 2017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phone use in students of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s and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o prevent smart phone addiction and to enhance their academic engagement among the students. First, the students in the specialized high schools were lower than that of the general high schools in terms of risk of smart phone addiction. As for gend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boys (10.3%) and girls (12.5%) in addiction of smart phone, The lower the grade level, the higher smart phone addiction is (disturbance to daily living).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mart phone addiction according to major of students, students who were majoring in architecture and civil engineering had the highest level of addiction to smart phones. Second, the students in the specialized high schools showed an average level of academic engagement, cognitive engagement, and emotional engagement while they showed a high level of behavior immer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This study also found that as the students went to upper grades, their academic engagement decreas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engagement was found among study subjects; electrical and electronic. the highest, followed by machinery and followed by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the least. Along with smart phone addition. Thir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mart phone addition and academic engagement in the student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그들의 수업 몰입을 높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마트폰 중독 측정 도구(15문항)와 수업 몰입 측정 도구(21문항)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전국 5개 권역 13개교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1,01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위험군이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위험군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위험군은 여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비율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년이 낮을수록 스마트폰 중독 1요인(일상생활장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 수준은 건축·토목 전공 학생들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수업 몰입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행동 몰입은 높은 수준이었으며 인지 몰입, 감정 몰입은 보통 수준이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수업 몰입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수업 몰입 수준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에 따른 수업 몰입은 전기·전자 > 기계 > 건축·토목 순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수업 몰입은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수업 몰입은 부적 상관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에 따른 중재가 필요하다.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예정자의 취업능력과 개인특성, 가정특성 및 학교만족과의 관계
이우성,나승일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16 직업과 자격 연구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school satisfaction variables, with employability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expected to graduat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o identify the levels of employability, To identify the predictabilities wheth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school satisfaction variables were related to employability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hich are expecting graduation. The target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111,773 students who wer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of senior-year who are expected to graduate, of which 1,021 students were selected as sampl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loyability and the related variables, descriptive statistic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for Window 20.0.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AMOS 22.0.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grades showed 4.03. career decision self-efficiency showed a higher level than the average. Also, household income levels, career supports from family, school life satisfacti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from school career guide and employment support program satisfaction variables showed a higher level than the average. Secondly,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employability depending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school satisfaction variables. Thirdly, for the explainability, all variables explained employability relatively well.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예정자의 취업능력과 개인특성, 가정특성 및 학교만족 변인과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예정자의 취업능력 수준을 구명하고, 취업능력 수준과 개인특성, 가정특성 및 학교만족 변인 간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특성화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졸업예정자인 3학년 학생들로서, 총 459개교 111,773명이었다. 표본은 유층화비율표집을 통해 1,021명을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for window 22.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와 t검증, 중다회귀분석 및 AMOS를 활용하여 확인적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개인특성 중 학교성적이 4.03등급 수준으로 나타났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평균보다 높은수준으로 나타났다. 가정특성 변인은 가구소득에 대해 학생들이 ‘중간’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가정의 진로지지는 평균보다 높은수준으로 나타났다. 학교만족 변인의 경우 학교생활만족, 학교진로지도 참여만족, 학교 취업지원 프로그램만족 모두 평균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예정자의 취업능력 수준은 평균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취업능력의 수준차이는 성별에 따라, 학교성적, 자격증 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희망전공 일치여부, 가구소득 수준, 가정의 진로지지, 학교생활만족, 학교 진로지도 참여 만족, 학교 취업지원프로그램 만족에 따라 나타났다.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예정자의 취업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들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학교생활만족, 학교성적, 가족의 진로지지, 희망직업 전공일치여부, 학교진로지도 참여만족, 성별 순 이였다. ※ 주제어 :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예정자, 취업능력,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가족의 진로지지, 학교만족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직업기초능력지도와 교사효능감, 학교풍토 및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의 인과적 관계
나승일,박영도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18 직업과 자격 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school climate, an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key competencies in teaching fo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eaching key competencies of teacher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was 3.46, on the average value, not a high value. There were differences by teacher's age, homeroom, career education, position, and subject matter. Second, the fit index of causal model among teachers’ teaching key competencies, teacher efficacy, school climate an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ere identified suitably. Third, teacher efficacy had positive influence to teaching key competencies and school climate. The factor loading for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not significant. Fourth, in a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key competencies and school climate, teacher efficacy,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a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key competencies an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 efficacy had a negativ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이 연구는 톡성화고등학교 교사의 직업기초능력지도와 교사효능감, 학교풍토 및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의 인과적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교사의 직업기초능력지도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3.46점(표준편차 0.698)으로 중간 이상이었다. 직업기초능력 이해, 수업활용, 평가반영의 3개 직업기초능력지도 관찰변인 가운데, 이해수준이 가장 높고, 평가반영 수준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또한 교사들의 직업기초능력지도 수준은 교사의 연령, 담임여부, 직무교육여부, 직급, 담당교과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나 성별, 근속년수, 학력, 학교설립유형, 학교계열, 학교소재지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특성화고 교사의 직업기초능력지도와 교사효능감, 학교풍토 및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 간의 인과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간의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셋째, 특성화고 교사의 교사효능감, 학교풍토는 직업기초능력지도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유의미하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은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성립되지 않았다. 넷째, 특성화고 교사의 직업기초능력지도와 학교풍토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없었으며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직업기초능력지도와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부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라기훈,임나영,이창훈 대한공업교육학회 201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support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specialization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and to find out ways to improve the level of desirable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level of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of special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Third, the resilience of resilience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support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special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to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of special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was investigated and the test tool was produced.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70 items including personal characteristics (1 items), parent support (22 items), career decision level (22 items), and resilience (27 item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850 students in the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s in the National Industrial Technology Area and 689 piec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for the questionnaires of non - respondents and untrue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by grades. Also, parental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were highly correlate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 support and career decision level,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 level, and emotional support and verbal encouragement were more than 50% of the career decision level. In terms of mediating effect, the effect of parent support on career decision level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by overall resilience and sub - factors such as control, positive, and socialit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er guidance counseling, a program linked to the school and the home should be conducted considering both domestic factors and internal factors. Especially, as the grade increases, it should be preceded by education that can form positive parent support and resilience by utilizing emotional and linguistic aspects.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가정과 학교가 연계된 바람직한 진로지도·상담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문제로는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의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가로 설정하여 구명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에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검사도구를 제작하였다. 설문지는 개인특성(1문항), 부모지지(22문항), 진로결정수준(22문항), 회복탄력성(27문항)으로 총 70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전국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8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무응답이나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지를 제외한 689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년별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각각 보통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하위요인별로는 부모지지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과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모지지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와 언어적 격려가 진로결정수준에 50%이상의 설명력을 보였다. 매개효과 측면으로는 부모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회복탄력성 전체와 하위요인인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이 모두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진로지도상담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가정적요인과 학생 내적요인을 모두 고려한 학교와 가정이 연계된 프로그램이 진행되어야 하며 특히 정서적, 언어적인 측면을 활용하여 학년이 올라갈수록 긍정적인 부모지지와 회복탄력성을 형성할 수 있는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술적 사고성향 연구
최완식 대한공업교육학회 201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4 No.1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basic pedagogical resources to the specialized and meister high school related educational settings in either constructing educational contents suitable for the students’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or fortifying the disposition required for the students.. A tool of secured validity and reliability has been used to test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for the specialized and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Followings are the major results of the survey analysis for the subjects. 1.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with the most component ratio for the specialized & meister high school was turned out to be Technological Operating Disposition(TOD). The second most was Technological Planning and Reflecting Disposition(TPRD). Technological Curiosity Disposition(TCD), Technological Problem Identifying and Resolving Disposition(TPIRD), Technological Analyzing Disposition(TAD), Technological Creativity and Expressing Disposition(TCED) were in sequence. 2. In comparing the technological disposi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ith that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the statistical test showed no evidence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 3. Statistical comparison test for the gender difference in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has also been performed for the students of specialized and meister high school. The result showed that the magnitude of difference between the component ratio of TCD and TPIRD for the boy students was bigger than that for the girl students. In the TPRD, the component ratio for the disposition of the girl students was bigger than that of the boy students on the other hand. 4. For the comparison test of the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between boys and girls only for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e same different component ratio results as the results of the test for the specialized and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5. For the gender difference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 for the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there was no statistical evidence supporting the difference. 이 연구는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교 학생들의 기술적 사고성향을 알아보고 그 결과를 통하여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교의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기술적 사고성향에 맞는 교육내용을 구성하거나 필요한 기술적 사고성향을 강화하는데 기초지식을 제공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타당성과 신뢰성이 확보된 기술적 사고성향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전국의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교 학생 117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교 전체 학생의 기술적 사고성향의 구성은 기술적 조작 성향(TOD)을 보이는 학생이 무려 38.9%를 차지할 정도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기술적 계획 및 성찰 성향(TPRD)을 보이는 학생이 22.46%, 기술적 호기심 성향(TCD)이 17.59%, 기술적 문제파악 및 해결 성향(TPIRD)이 10.33%, 기술적 분석 성향(TAD)이 6.49%, 기술적 창의 및 표현 성향(TCED)이 5.04%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고 학생들과 마이스터고 학생들 사이에 기술적 사고성향의 구성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검증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특성화고 학생이나 마이스터고 학생 모두 비슷한 구성의 기술적 사고성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셋째,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교 전체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기술적 사고성향 구성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검사에서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기할 점은 남학생들의 기술적 호기심 성향(TCD) 구성과 기술적 문제파악 및 해결 성향(TPIRD)이 여학생들 같은 성향 구성 비중 보다 각각 7.4%, 4.4% 가량 더 크게 나타났다. 또 다른 특징은 기술적 계획 및 성찰 성향(TPRD)인데 이 성향에 대해서는 여학생들의 성향 비중이 남학생들의 성향 비중 보다 9.7%나 더 크게 나타났다. 넷째, 특별히 특성화 고교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성별에 따른 기술적 사고성향 구성에 대한 차이 검증에서도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구성의 차이를 보였는데, 앞서의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교 학생들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결과의 거의 같은 비중의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마이스터 고교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성별에 따른 기술적 사고성향 구성에 대한 차이 검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박지선(Park, JiSeon),김진희(Kim, Ji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의 재학 중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548명을 대상으로 진로장벽 척도, 진로준비행동 척도, 긍정심리자본 척도를 설문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후 Bootstrap검증을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진로장벽, 진로준비행동, 긍정심리자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장벽은 진로준비행동과 긍정심리자본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진로준비행동은 긍정심리자본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은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지각한 진로장벽을 낮추고 진로준비행동을 활발히 할 수 있도록 돕는 심리적 기제로 긍정심리자본이 작용됨을 확인하였다.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부족한 진로준비 기간을 보충하고 진로목표 성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긍정심리자본을 활용한 진로지도 및 상담,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relations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A sample of 548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3 scales for assessing career barrie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llected data is processed through SPSS 23.0 and AMOS 23.0 to analyze frequency, Description, and correlation. And the mediation analysis of Bootstrap Test was used to verify mediating effect. Results First, as for the correlation of the career barrie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y a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statistically. Perceived career barrier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hile perceiv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co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found to mediate parti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erceived by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enhanc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order to foster career preparedness for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ho perceive career barriers high. Also, it would be desirable that coaching and counseling programs utiliz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re applied for career educ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Conclusions It means that it is important for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ho perceive career barriers highly to increas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order to increas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programs us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hould be developed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폭력성향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박금녀,유형근,조용선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1
This study is aimed to design and apply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reduce school violence among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nd to test which effect it has on school violence tendency. For these purpose, this study is intended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ly, how will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be constructed to reduce school violence?; Secondly, does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is effective in reducing school violence among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3rd-grade students who had school violence tendency higher than one standard deviation from the mean of pre-violence tendency test in B specialized high school located in Chungcheongbuk-do.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o reduce school violence was based on the counseling program model developed by Park In-U (1995). This program consisted of total 12 sessions and was administered twice per week on after school. The test instrument was the modified school violence scale developed by Do Gie-Bong(2007) appropriately for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advisor of the present thesis. The study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school violence tendency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is group counseling program. In the sub-scales of the school violence scale, the changes in aggression, impulsivity, attitude toward use of violence and self-esteem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nts significantly differed from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ly, since this program is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ith high school violence tendency, it is required to administer counseling by combining it with individual counseling program in order to facilitate their particip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폭력성향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적용하여 학교폭력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폭력성향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둘째, 특성화고등학생의 학교폭력성향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생의 학교폭력성향 감소에 효과가 있는가? 충북 소재 B특성화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학교폭력성향 검사를 실시하여 전체 평균보다 1 표준편차 이상 높은 점수를 가진 학교폭력성향이 높은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학교폭력성향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박인우(1995)의 상담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총 12회기로 구안하였으며 1주에 2회씩 방과 후 시간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는 도기봉(2007)이 개발한 학교폭력성향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학교폭력성향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교폭력성향의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성향의 하위 영역별 분석 결과에서도 실험집단의 공격성, 충동성, 폭력사용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 영역에서의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폭력성향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