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김현수,유기웅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2 敎育問題硏究 Vol.35 No.4

        This study seeks to explor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fo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graduates through analysis of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Korea. For this study, 57 papers related to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learning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among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including research for subjects, methods, and variabl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research in the field of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has been steadily published since 2017.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were being conducted in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lifelong ability and vocational education. Third, the research subjects were mainly conducted on learners, and among them, the most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student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topic, the research related to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was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 Fifth,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complementary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found to be far more frequent than qualitative research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Sixth, as a result of analysis of related variables, social suppor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corporate characteristics were the most frequent.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research directions related to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were present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간된 학술 논문 분석을 통하여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선취업 후진학 관련 연구 동향을 탐색하였다. 나아가 직업교육 분야 연구의 흐름을 이해하고 탐색 과정에서 도출된 결과의 해석을 통해 우리나라 직업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연구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12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관련 논문 57편을 대상으로 연구연도, 게재학술지,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관련변인을 분석의 틀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분야의 연구는 2017년부터 꾸준히 발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능력개발과 직업교육 관련 학술지 등에서 선취업 후진학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 대상은 주로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 졌고 그 가운데 선취업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주제를 분석한 결과 선취업 후진학 정책에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은 빈도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 방법에 따른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관련 연구는 양적연구가 질적연구보다는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관련 변인 분석 결과로 사회적지지, 개인특성, 기업특성이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관련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남순임,유형근,조용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2 敎員敎育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선정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12회기의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은 특성화고등학교 1학년 학생 중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를 희망하는 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24명 중, 12명을 실험집단에, 나머지 12명은 통제집단에 배치하고 실험집단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김아영, 박인영(2001)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통해 분석한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cademic self-efficacy for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nd test its effect on academic self-efficacy. For this research, the 24 students in the 1st grade of a specialized high school located in Gangwon-do, who wanted t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 ; 12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12 in the control group. The test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the academic self-efficacy (ASE) scale developed by Kim and Park (2001) for the students in 1st grade in high school. The data was submitted to SPSS/Window 12.0 for the mixed ANOVA. To compliment the limitation of reliability in quantitative study, the experience reports of the program participants and the observational data from the counselor were also analyzed, and their results were present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change in academic self-efficacy.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n the sub-scale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changes in preference for the task difficulty, self-efficacy in self-regulation and self-confidence. In addition,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n the experience reports and observational data showed that this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in the enhancement of academic self-efficacy for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변화몰입과 교사효능감, 학교풍토 및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의 인과적 관계

        조성웅,나승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among teachers's commitment to change, efficacy, school climate, an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was teacher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However, random sampling method could not be applicable becaus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been done since 1998 and changing circumstances in the school is different for each school. Therefore, this study was restricted to the target population as teachers who working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which recent changing. Especially, target population was set as the teachers working in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nvolved in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foster program by government departments.' The data were collected by mail survey. A Total of 366 out of 45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of which 343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To estimate parameters of proposed research model,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ere used.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18.0 and Amos 18.0 version. An alpha level of 5% was established prior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usal model of this study is suitable to empirical analysis on research variables. second, teachers' efficacy, school climate, an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direct effect on teachers' commitment to change. Thir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has indirect effect on teachers' commitment to change with partial mediation effect of school climate. However, teachers' efficacy has now indirect effect on it. Forth, school climat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has indirect effect on teachers' commitment to change with the medication effect of teachers' efficacy.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변화몰입과 교사효능감, 학교풍토 및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 간의 인과적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2010년 학교 체제가 개편 중에 있는 특성화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전체 교사이다. 단, 이미 학교체제 개편이 완성된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사들의 변화몰입을 측정하는데 제한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정부부처 특성화고등학교 육성 사업에 참여한 84개교(농림수산식품부 19개교 제외)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를 목표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43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Windows SPSS 18.0과 AMOS 18.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으며, 추리통계 결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은 .05를 기준으로 판단되었다. 이 연구의 결론으로는 첫째,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 및 학교풍토를 통해 교사의 변화몰입에 대한 직·간접적인 인과관계는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제외한 모든 인과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사효능감, 학교풍토 및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은 교사의 변화몰입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특성화고등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은 학교풍토를 매개하여 교사의 변화몰입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나 교사효능감을 매개하여 변화몰입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고, 학교풍토는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변화몰입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친다.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만족 변화유형과 변화 예측변인

        정동열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4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different school satisfaction trajectories and to examine predictors of those trajectories in Vocational High School. Data were form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KEEP), a longitudinal study of 442 students followed since 2005. Semi-parametric group based modeling were used for identifying the satisfaction trajectorie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s were used for finding the predictors of those trajectories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of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three trajectories. Second, during three years, the wave of Each trajectories were small. Third, the variable to identify the group was self-efficacy and major interest. Fourth, economic level of family was separated low level and another levels.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suggested: First, the intervention is needed for growth the school satisfaction. Second, it is needed to research that targeted more detailed and recent subjet of study.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만족 변화유형을 구명하고, 변화유형의 차이를 예측하는 변인을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분석은 한국교육고용패널(KEEP)의 2, 3, 4차년도 특성화고 학생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442명의 자료가 활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및 추리통계를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 0.05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잠재계층분석은 준모수적 집단중심모형을 SAS프로그램의 Proc Traj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예측변인분석은 SPSS 17.0의 다항 로지스틱 분석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만족은 크게 상·중·하위 집단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집단 내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만족의 변화가 미비하였다. 둘째, 변화 양상을 볼 때 모든 집단에서 변화량이 높지 않았다. 셋째, 유형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는 개인특성변인으로는 자아효능감과 전공흥미가 있었다. 넷째, 가정의 경제수준이 하위권과 중·상위권을 구분하는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를 통한 제언으로는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만족을 높이기 위한 학교 차원의 개입이 필요하다. 둘째, 보다 정확한 조사 대상 선정과 변인을 선정하여 패널데이터보다 심도 있는 분석이 필요하다.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예정자의 취업결정요인

        조규형,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4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ed variables and predictability of employment decision making determinant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enior students.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ing(HGLM) method was used in order to examine systematic differences of student-leve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school-level characteristics, and analyze their effects on employment decision making.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the 105,320 senior students attending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ccording to the 2013 record. The research carried out a stratified, cluster and proportional sampling considering gender, ratio of school location and studentsʹ major. Through this process, 640 students from 32 different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sampled.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decision making in employ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 seni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chools. Second, only considering school-level variables, employment supports from school, level of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work experience opportunities offered by school, whether the school was located in city area, and whether the school wa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 all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employment decision making of students. Third, at student-level, purpose of attending a vocational high school, career supports form family, social perception on workers who graduated a vocational high school, job-seeking efficacy, long-term part-time experience all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mployment decision making of students. Fourth, Career supports from family and social perception on workers who graduated a vocational high school were systematically different across schools on the employment decision making.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nd student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 effects of career supports from family and social perception on workers after graduating a vocational high school were almost consistent with previous findings. Purpose of attending a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al aspirations, and job-seeking efficacy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areer choice of studen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across schools.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예정자들이 취업결정 여부와 관련 변인 간의 관계를 구명하는 데에 있었다. 연구의 모집단은 전국의 특성화고 3학년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으로, 자료 수집은 설문지를 활용하여 총 32개 특성화고에서 64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3년 10월 20일부터 2013년 11월 15일까지 우편 및 e-mail을 통해 이루어졌다. 학생특성과 학교특성변인들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일반화 회귀분석(HGLM)을 활용하였으며, 총 622부의 유효한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 특성화고 졸업예정자의 취업결정에 대해 학교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에 따라 차이가 있는 변인 중에서 가정의 진로지원과 특성화고 졸업 후 취업자의 사회적 대우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학생들은 취업을 결정하는 경향이 높았다. 특성화고등학교 입학 동기가 취업이 아닌 학생의 경우, 학교에서 지속적인 취업지도를 실시하더라도 졸업할 때까지 취업을 결정을 하지 않는 경우가 충분히 있을 수 있다는 것이 학교마다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교육포부가 높은 학생들은 취업을 택하지 않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구직효능감은 학교에 따른 차이 없이 취업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교특성 중에서는 학교의 취업지원 및 현장실습 프로그램의 운영 시 학생참여비율이 높고, 학교가 수도권 지역 및 도시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학생들이 취업을 결정할 가능성이 높았다.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관에 관한 연구

        이명훈 한국기술교육학회 2017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ccupational view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 population was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sent by mail. The population sample for the study constituted 540 completed questionnaires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sis, Chi-Square test were emplo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generally recognized that all occupation is equally honorable. They believed making for living is the most important reason to have a job. They recognized that the job which corresponds with their aptitude is most ideal. They recognized that integrity is the most important virtue workers must have. They also recognized that integrity is the most important professional success factor. Second, school track (technical/commercial/other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affecting some of occupational view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But academic scores had no appreciable effect on occupational view of the students. Third, according to career decision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occupational views existed statistically. In other word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s of 'all occupations are equally honorable', 'the most important professional success factor' and 'the biggest reason why we must have a job', 'the most ideal occup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관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연구의 모집단은 특성화고 학생이며, 581명의 특성화고 학생들을 조사대상으로선정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54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 빈도와 백분율, 그리고 일반 특성에따른 특성화고 학생들의 직업관 차이, 진로결정수준에 따른 직업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특성화고 학생들은 대체로 직업에 귀천이 없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직업을 가져야 할 가장 큰 이유로 생계유지를 들었으며, 적성에 맞는 직업을가장 이상적인 직업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성실성을 직업인이 갖추어야할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가장 중요한 직업적 성공 요인으로도 성실성을 들었다. 둘째, 특성화고 학생들의 직업관 중 ‘가장 중요한 직업적 성공 요인’과 ‘가장이상적인 직업’에 대해서는 학교계열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며, 직업 귀천의식에대해서는 졸업 후 희망 진로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학생들의 학업성적에 따른 직업관의 차이는 없었다. 셋째, 특성화고 학생들의 직업관은 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진로결정수준이 높거나 중간인 학생들은 낮은 학생들보다 직업에 대한귀천 의식이 덜했다.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학력보다 전공능력을 더중요한 직업적 성공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중간이거나 낮은 학생들은 전공능력보다 학력을 더 중요한 직업적 성공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진로결정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연봉이 많은 직업보다 자아실현을 할 수 있는직업을 더 선호하고 있었으나 중간이거나 낮은 학생들은 자아실현을 할 수 있는 직업보다 연봉이 많은 직업을 더 선호하고 있었다. 또한, 진로결정수준이 중간이거나 낮은 학생들은 ‘직업을 가져야 할 가장 큰 이유’에 대하여 생계유지의비율이 다른 이유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으나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생계유지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지는 않았다.

      • KCI등재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 준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D 공업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김수용,홍창남 한국교육행정학회 2023 敎育行政學硏究 Vol.41 No.3

        본 연구는, 최근 두드러지는 현상인 특성화고 학생들이 대학 진학 증가에 주목하여 특성화고 학생들이 학교 교육을 통해 자신의 진로와 관련하여 어떠한 준비를 하고 있는지를 심화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특성화고 재학생을 대상으로 진로 준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기과, 기계과, 건축토목과의 3개 학과로 구성된 D공업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6명, 3학년 6명으로 총 1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면담을 통해 특성화고 재학생의 진로 준비 사례를 탐색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로 준비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교육학 전반에서 특성화고 학생 지도에 있어서 이들의 진로 준비를 돕기 위해 무엇에 집중해야 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진로 준비 과정의 맥락에서 학생들의 특성화고 진학 선택 경험과 특성화고의 교육과정에서 겪은 경험에 대한 인식, 특성화고에서의 취업 및 진학 결정 경험이 가지는 의미와 가치를 재조명함으로써,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 준비 과정의 성숙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취업포부와 학생 및 학급 수준 변인의 위계적 관계

        박자경,최수정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3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yment aspiration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tudent-level and classroom-level variables. To this end, a class-specific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ird-year students at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765 copies of data from a total of 38 classes were secur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 hierarchical linear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employment aspirations and student and classroom-level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total variance of emplyment aspiration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variance expla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classroom was 14.3%. Second, it was found that interest in specialized subject, average grades, and career support from fami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emplyment aspiration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level of emplyment aspirations by classroom vari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head teacher was the head teacher, the industry major of the classroom, and the degree of employment support. According to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accumulate empirical studies on the measurement of employment quality and employment aspiration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systematic career guidance considering employment aspirations should be provided. In addition, more research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homeroom teachers needs to be conducted, and additional analysis on the difference between school-level variables and classroom-level variables is needed.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취업포부와 학생 특성 및 학급 수준 변인의 위계적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특성화고등학교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급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8개 학급의 765부의 자료를 확보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취업포부와 학생 및 학급 수준 변인 간의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취업포부의 전체 변량 중 학급 간 차이로 설명되는 변량은 14.3%로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취업포부 수준에 전문교과 수업 흥미와 평균 성적, 가정의 진로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급별 평균 취업포부 수준은 부장교사 여부, 담당 학급의 계열(공업), 취업지원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론에 따라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취업의 질에 대한 측정 및 취업포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축적될 필요가 있고,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취업지도에 있어서 취업포부를 고려한 체계적인 진로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제언을 하였다. 또, 특성화고등학교 학생과 담임교사의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가 더 수행되어야 하고, 학교 수준 변인과 학급 수준 변인의 차이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인공지능 수학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직선의 방정식 중심으로

        박정인(Jeong In Park),김성백(Seong Baeg Kim)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2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6 No.1

        인공지능의 발달에 따라 인공지능의 원리를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한 교육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2021학년도 2학기부터 인공지능 분야에서 수학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학습할 수 있는 ‘인공지능 수학’ 과목이 진로선택 과목으로 개설되었다.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수학 기초 학력이 약하고 수학에 대한 이해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인공지능 수학을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요구된다. 하지만 인공지능 수학 교육방법에 대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 대상으로 한 연구가 아직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대상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인공지능의 원리 이해를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는 단순선형회귀와 서포트 벡터 머신 중심으로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수업을 통해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인공지능 수학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AI 가치 인식의 변화’, ‘AI 효능감의 변화’, 그리고 ‘수학의 가치 인식의 변화’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AI 가치 인식의 변화 등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인공지능 수학 교육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박지선(Park, JiSeon),김진희(Kim, Ji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의 재학 중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548명을 대상으로 진로장벽 척도, 진로준비행동 척도, 긍정심리자본 척도를 설문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후 Bootstrap검증을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진로장벽, 진로준비행동, 긍정심리자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장벽은 진로준비행동과 긍정심리자본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진로준비행동은 긍정심리자본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은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지각한 진로장벽을 낮추고 진로준비행동을 활발히 할 수 있도록 돕는 심리적 기제로 긍정심리자본이 작용됨을 확인하였다.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부족한 진로준비 기간을 보충하고 진로목표 성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긍정심리자본을 활용한 진로지도 및 상담,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relations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A sample of 548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3 scales for assessing career barrie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llected data is processed through SPSS 23.0 and AMOS 23.0 to analyze frequency, Description, and correlation. And the mediation analysis of Bootstrap Test was used to verify mediating effect. Results First, as for the correlation of the career barrie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y a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statistically. Perceived career barrier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hile perceiv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co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found to mediate parti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erceived by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enhanc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order to foster career preparedness for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ho perceive career barriers high. Also, it would be desirable that coaching and counseling programs utiliz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re applied for career educ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Conclusions It means that it is important for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ho perceive career barriers highly to increas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order to increas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programs us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hould be developed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