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만의 國語와 閩南語 코드전환 의도 연구 ―대만 시사토론 프로그램 중 코드전환 사례를 위주로

        염재웅 한국중국문화학회 2023 中國學論叢 Vol.- No.77

        In this study, through the data of code-switching between Mandarin and South Min diarect in a current affairs discussion program in Taiwan, we examined what intention the speaker uses code-switching in a situation where political positions are sharply divided. Among the 127 code-switching examples, excluding 7 cases with no particular code-switching intention, Therer are 120 code-switching examples that are divided three type, the first type is “speaker’s intention-centered code-switching” which the speaker tries to reinforce and persuade his argument, the second type is “listener’s intention-centered code- switching” which is carried out by the speaker for the purpose of stimulating or placating the listener, and the third type is the combined type of “speaker’s intention-centered code-switching” and “listener’s intention-centered code- switching”. “listener’s intention-centered code- switching” is used 86 times (72%), “speaker’s intention-centered code-switching” is used 28 times (23%), and “speaker’s intention-centered code-switching” and “listener intention-centered code-switching” type were used 6 times (5%). 본 연구에서는 대만의 시사토론 프로그램에서 발생되는 국어와 민남어의 코드전환 자료 통해 정치적 입장이 첨예하게 갈리는 상황에서 화자는 어떤 의도를 가지고 코드전환을 사용하는지 고찰해보았다. 127개의 코드전환 용례 가운데 특별한 코드전환의 의도가 없는 7개의 용례를 제외한 120개의 코드전환 용례를 화자가 자신의 주장을 강화하고 설득하려는 “화자의 의도가 중심이 되는 코드전환(화자 중심 의도)”과 화자가 청자를 자극하거나 회유할 목적으로 진행되는 “청자의 의도가 중심이 되는 코드전환(청자 중심 의도)”으로 분류하였는데, 상황에 따라서 “화자 중심 의도”와 “청자 중심 의도”가 결합된 용례도 발견할 수 있었다. 코드전환의 전체적인 사용 비율로 보면 “청자 중심 의도”는 86회(72%)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화자 중심 의도”는 28회(23%) 사용되었으며, “화자 중심 의도”와 “청자 중심 의도”이 복합적으로 사용된 경우는 6회(5%)로 가장 비중이 낮았다. 일반적으로 토론 형식의 발화라면 자신의 주장을 강조하는 것을 우선으로 삼을 것으로 예측할 것이다. 그러나 본고의 연구 대상은 친국민당 성향의 시사토론 프로그램에서의 발화 내용이다. 따라서 국어 코드를 주로 사용하는 친국민당 성향의 화자들의 숫자가 더 많은 이 프로그램에서 친민진당 성향의 청자를 자극하고 회유할 생각으로 상대방의 코드인 민남어 코드의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와 같은 이유로 “화자 중심 코드전환”보다 “청자 중심 코드전환”의 빈도가 3배 이상 높은 결과가 나온 것으로 유추해볼 수 있을 것이다.

      • KCI우수등재

        한국 구화교와 중국 조선족의 문장 내적 코드 전환(intrasentential code-switching) 구조 양상과 특성

        김선효 ( Kim Sun-hyo ) 국어학회 2021 국어학 Vol.- No.100

        본 연구는 한국 구화교와 중국 조선족의 한·중 문장 내적 코드 전환(intrasentential code-switching) 구조를 바탕으로 하여 두 집단 간에 발생하는 코드 전환 양상을 비교하고 그 특징을 천착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한국 구화교는 1882년 조선과 청나라의 조약으로 조선반도로 유입하였고 중국 조선족은 19세기 중엽이나 말기에 동북지역으로 이주하여, 두 집단은 이주 시기도 비슷하고 한국어와 중국어를 사용할 수 있는 이중언어 집단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두 집단의 한·중 코드 전환 현상은 매우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첫째, 문장 내적 코드 전환은 구화교가 조선족보다 적극적으로 실현하였다. 둘째, 구화교는 단어 내적 코드 전환과 단어 외적 코드 전환이 모두 적극적으로 나타났으나, 조선족은 단어 외적 코드 전환이 주를 이루었다. 문장 내적 코드 전환 양상에서 이런 차이를 보이는 원인은 두 집단의 사회적 요인과 밀접하다. 구화교는 코드 전환된 표현이 비문법적이거나 어색하더라도 수용되고 화교식 변이구조로까지 발전하였으나, 조선족은 조선어의 위세가 점진적으로 약화되고 있고 무엇보다 중국어가 사회적으로 더 중요한 지배 언어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조선족은 중국어와 조선어가 모두 규범 언어로 작용하면서 비문법적 표현을 덜 사용하게 된 것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purposed to compare the patterns of intrasentential code-switching(CS) occurring between Older Overseas Chinese in Korea(OOCK) and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EKC), and explored those characteristics through their natural discourse. OOCK flowed to the Korean Peninsula in 1882 under the treaty between Joseon and Qing Dynasty, and the EKC migrated in the mid-19<sup>th</sup> century. The two groups have something in common as bilingual groups can speak Korean and Chinese, and migrated almost similar period. The CS phenomenon of the two groups showed a very clear difference. Firstly, the intrasentential CS occurred OOCK more than EKC. Secondly, both intraword CS and interword CS occurred in OOCK, but EKC were mainly occurred interword CS. The reasons what those things happened is close to social factors. OOCK society has accepted the code-switched structures, even if it was ungrammatical or awkward, and then it even developed into OCK variation structure. However, EKC showed a different phenomenon. Chinese language has become more socially an important dominant language, and the prestige of Korean is gradually on the verge of weakening and extinction. And since both Chinese and Korean are normative languages in their society, non-grammatical expressions have been used less.

      • KCI등재

        K-pop 노랫말의 코드 전환 양상 및 담화 기능

        강희숙 ( Kang Hui-suk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6 호남학 Vol.0 No.60

        2000년대 중반 이후 한국의 대중가요, 일명 K-pop에서는 이중 언어 또는 다중언어 공동체에서 나타날 수 있는 언어 선택(language choice)이 상당히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와 같은 사실을 전제로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간 인터넷 멜론월간 차트(http://www.melon.com)에서 상위 10위 안에 든 360곡 중 중복으로 순위에 오른 곡을 제외한 272곡을 대상으로 K-pop 노랫말의 언어와 언어 선택의 양상 및 그와 같은 언어 선택의 구체적인 모습으로서 코드 전환의 양상 및 기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곡인 272곡 가운데 코드 전환을 보인 곡은 171곡으로 63.9%의 비중을 차지한다. 특히,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72.8%가 코드 전환을 보여, 갈수록 코드전환이 활발해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대부분의 코드 전환이 한국어(기저언어)와 영어(삽입 언어) 간의 선택을 통해 이루어지는 가운데 펀자브어 또는 프랑스어가 선택되기도 하였다. 이는 세계화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K-pop에서의 언어 선택이 영어 외의 다른 언어로 확장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셋째, 코드 전환을 코드 혼용(code-mixing)과 좁은 의미의 코드 전환(codeswitching)으로 구분하였을 때, 코드 혼용과 함께 코드 전환을 보여주는 곡은 124곡으로 72.5%의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대부분의 K-pop 가사가 코드 혼용과 코드 전환을 동시에 보이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넷째, K-pop 노랫말에서 나타나는 코드 전환의 담화 기능은 음악적 기능과 의미적 기능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음악적으로는 `압운, 후렴, 추임새` 등의 기능을, 의미적으로는 `정체성 표현, 강조, 명확화, 완곡어법, 인용`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이 특징이다. The language choice, which usually appears in a bilingual or multilingual community, has been actively done on K-pop after mid 2000`s. On the assumption of this fact, targeting 272 songs among 360 songs which exclude overlaps in recent three years monthly chart on `Melon`, this research examined the language, language choice, and the aspects and functions of code-switching as specifics of K-pop lyrics. The summary of result is as follows. First, 171 songs, which consists 63.9% of 272 subjecting songs showed the code-switching, especially 72.8% showed code-switching on 2015, implying code-switching is on the rise. Second, while most code-switching is done with Korean(base language) and English(insertion language), also Panjabi and French had been chosen. This reflects the aspects of globalization, which suggests possibility that language choice of K-pop can be expanded to other languages besides English. Third, when divide code-switching into code-mixing and narrow sense of code-switching, 124 songs(72.5%) showed code-mixing with code switching. This shows most of K-pop lyrics is showing code-switching and code-mixing at the same time. Fourth, code-switching`s discourse function appears on K-pop lyrics can be subdivided into musical and meaning functions. Musical function includes `rhyme, refrain, rejoinder`, meaning function includes `expression of identity, emphasis, clarification, euphemism, quotation`.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investigation of recent aspects and functions of language selection and code-switching. Especially it is distinguished among existing researches in that it embodied function of code-switching by dividing it into two separate functions-musical and meaning.

      • KCI등재후보

        코드전환의 동기와 기능에 대한 화자 중심적 관점

        양철준(YANG, Chul-Joon)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2015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Vol.38 No.-

        본 연구는 코드전환의 동기, 의도, 기능에 대한 화자 중심적 접근이다. 코드전환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나 저서는 주로 문법 구조적 특징이나 기능에 초점이 맞추어져왔다. 문법 구조적 특징에 대한 분석은 코드전환의 발생에 대한 제약이나 예측가능성을 목표로 하고 있고, 기능에 대한 분석은 코드전환의 의사소통적 의도나 사회적 동기를 분석하는데 집중되어왔다. 그런데 기능적 관점에서 행해진 코드전환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화자의 의도성 혹은 의도된 동기나 의미보다는 청자나 관찰자의 주관적 해석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코드전환은 맥락에 따라 그 의미와 기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맥락화도 요구된다. 본 논문은 화용론적, 기능주의적 관점에서 코드전환을 고찰하지만 관찰자의 관점이나 해석이 아닌 화자 중심적 관점에서 코드전환의 기능과 이를 유발하는 동기에 대한 고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관찰자의 주관적 판단에서 비롯되는 이해의 오류를 피함으로써 화자의 본래적 의도에 가까워질 수 있는 가능성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대화에 참여하고 있는 주체의 의도와 그의도에 대한 해석이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동기와 기능 위주의 분석이 내재하고 있는 문제점이 제기되어왔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바탕을 두고 본 논문은 연구자의 주관적 해석에서 탈피하여 화자중심적인 관점에서 코드전환의 기능을 분석하고 있다. This paper presents new approaches for the study of code-switching, which refers to the alternation between two or more codes in multilingual societies or immigrant communities. An analysis of grammatical constraints that prohibit speakers from producing a particular kind of code-switched sentence is principally intended to identify the matrix language which provides and determines the morpho-syntactic frame for the switched constituents. it is, by virtue of being based on this approach, claimed that a distinction can be made between the matrix language and the embedded language lexemes and islands. Furthermore, this approach has the most highly explanatory values in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code-switching. On the contrary, a functionalist approach which sees the instances of code-switching as a discourse strategy in a number of different kinds of conversational interactions focuses more on social and psychological motivations and intentions. This approach, its presumed merits notwithstanding, largely relies on the interpretive understanding of conversational interactions which may have a match or mismatch between what is said and implicated by a speaker and what is interpreted and understood by a hearer. This means that there may be a mismatch between the speaker"s intended meaning and the hearer"s interpretation. Therefore, it is of great importance to have a good grasp of what is actually intended or unwilled by speakers. The questionnaire used for the analysis consists of both open-ended and closed-ended questions in which part I and II are designed for investigating into allocation paradigm or domain model, and part III and IV are for delving into language attitudes, dispositions and codeswitching respectively. In a nutshell, this paper attempts to elucidate speaker-centered perspectives on the functions fulfilled by code-switching, which make it possible to make sense of speakers" motivations and intentions in actual conversational interactions. This approach will contribute to narrowing mismatches between speakers" intended meaning in codeswitching and their interlocutors" interpretation.

      • KCI등재

        한국어 문법 교수에서의 교사 코드 전환 양상 연구 -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초급 한국어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신현단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2 한국언어문화학 Vol.9 No.2

        본고는 초급 한국어 수업에서의 교사 코드 전환의 양상과 빈도,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이는 교수 내용, 교수 방법, 코드 전환을 주도한 주체의 세 가지 기준에 따라 분석되었다. 첫 번째로 교수 내용에 따른 분석은 문법 교수 내용이 형태, 통사, 의미, 담화 정보 중 어떤 것인지에 따른 것이다. 두 번째로 교수 방법에 따른 분석은 형태, 통사, 의미, 담화 정보 각각이 다양한 방법으로 교수될 수 있기 때문에, 그 교수 방법을 연역적 교수, 귀납적 교수, 연역적 교수와 귀납적 교수의 혼합 교수로 나누어 이를 기준으로 분석한 것이다. 세 번째로 코드 전환 주체에 따른 분석은 코드 전환을 주도한 주체가 교사인지, 학생인지에 따른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교사 코드 전환의 한계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교사 코드 전환은 교수 내용 및 학습자 변인에 따라 그 효과 및 한계가 드러나기 때문에 교수 현장의 여러 변인과의 관련성 안에서 계획되고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aspects, rates, effects of a teacher’s code-switching in Korean language instruction at an elementary level. These were analyzed by three measures: content, methods, and the subjects who initiate code-switching. The first criterion, content, was about what is taught, such as morphological,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information. The second criterion, methods, was set up because morphological,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information of grammatical elements can be taught by various methods, and code-switching can appear in connection with the methods. The third criterion, subjects, was about who initiate code-switching. When code-switching appears in the teaching of morphological, syntactic, or semantic, pragmatic information, the subject who initiates the code-switching can be a teacher, but sometimes the initiator is a student. The analysis in this study showed effects and limits of teachers’ code-switching. It showed that content and learner factors can bring about the code-switching and teachers can use code-switching effectively as an educational strategy. However, the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effects of code-switching are decided in relation to the features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at class. Thus, a teacher’s code-switching should be planned and used in relation to these factors.

      • KCI등재

        중국 조선족 인플루언서의 짧은 동영상 담화에 나타난 코드 전환 연구- 틱톡(TikTok) 계정 ‘연변 삼촌(延邊三翠)’사례를 중심으로 -

        손군군,강희숙 배달말학회 2022 배달말 Vol.70 No.-

        본 연구는 최근 들어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는 중국의 짧은 동영상 플랫폼 사용 현상과 관련하여 조선족 출신 인플루언서 ‘연변 삼촌(延邊三翠)’의‘틱톡’ 짧은 동영상에서 확인되는 코드 전환(code-switching) 양상을 살펴보는 데 관심을 두었다. 2020년 7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업로드된 짧은 동영상 가운데 총 30개의 영상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영상 내 담화 내용을 텍스트로 전사한 후 코드 전환이 발생하는 언어적 단위 및 기저 언어와 삽입 언어에 따라 코드 전환의 양상 및 특징을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총 30개의 표본 짧은 동영상을 텍스트로 전사한 후 집계된 691개 문장을 분석한 결과 ‘연변 삼촌’의 사용 언어가 조선어, 중국어, 영어, 일본어의 총 네 가지임이 확인되었다. 둘째, ‘연변 삼촌’에 출현할 수 있는 문장 내의 코드 전환을 12가지로 가정한 후 짧은 동영상의 실제 코드 전환 양상을 조사한 결과 문장 내 코드 전환은 11가지로 나타났다. ‘K[C/J]’, ‘C[E/K]’등과 같이 삽입 언어가 두 가지인 경우도 나타났는데 이는 기존에 이루어진 조선족 코드 전환 연구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매우 독특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문장 간 코드 전환은 41 가지로 나타났다. 애초의 가설보다 그 종류가 많지는 않지만 ‘K→C(K/J)’, ‘K(C/J)→C(K)’등 새로운 양상이 확인되었다. 문장 간 코드 전환을 다시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한 결과 하나의 언어로만 이루어진 문장과 문장 내 코드 전환이 일어난 문장 간의 전환이 제일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후보

        코드전환의 동기와 기능에 대한 화자 중심적 관점: 케냐 나이로비 케냐타대학교 학생들의 사례

        양철준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아프리카연구소 2015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Vol.38 No.-

        본 연구는 코드전환의 동기, 의도, 기능에 대한 화자 중심적 접근이다. 코드전환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나 저서는 주로 문법 구조적 특징이나 기능에 초점이 맞추어져왔다. 문법 구조적 특징에 대한 분석은 코드전환의 발생에 대한 제약이나 예측가능성을 목표로 하고 있고, 기능에 대한 분석은 코드전환의 의사소통적 의도나 사회적 동기를 분석하는데 집중되어왔다. 그런데 기능적 관점에서 행해진 코드전환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화자의 의도성 혹은 의도된 동기나 의미보다는 청자나 관찰자의 주관적 해석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코드전환은 맥락에 따라 그 의미와 기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맥락화도 요구된다. 본 논문은 화용론적, 기능주의적 관점에서 코드전환을 고찰하지만 관찰자의 관점이나 해석이 아닌 화자 중심적 관점에서 코드전환의 기능과 이를 유발하는 동기에 대한 고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관찰자의 주관적 판단에서 비롯되는 이해의 오류를 피함으로써 화자의 본래적 의도에 가까워질 수 있는 가능성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대화에 참여하고 있는 주체의 의도와 그 의도에 대한 해석이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동기와 기능 위주의 분석이 내재하고 있는 문제점이 제기되어왔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바탕을 두고 본 논문은 연구자의 주관적 해석에서 탈피하여 화자중심적인 관점에서 코드전환의 기능을 분석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Sociopragmatic Functions of Conversational Code-switching

        YANG, Chul-Joon(양철준)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2015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Vol.37 No.-

        다언어사회의 구성원들은 일상의 대화에서 종종 코드전환을 한다. 하나의 언어 혹은 변이어에서 다른 언어나 변이어로 전환하는 것을 지칭하는 코드전환은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관찰할 수 있는 의사소통의 패턴이다. 언어적으로 동질적인 사회에서 대화행위에 참여하는 화자들의 시각으로는 다소 생경한 코드전환이 다언어사회에서는 다양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 일상의 양상이다. 코드전환에 사용된 개별 언어나 변이어는 특정한 대화상황과 맥락에서 특정한 의미나 가치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화자들은 언어나 변이어에 대한 공유된 인식을 바탕으로 자신들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사소통적 목적을 실현하려고 시도한다. 즉, 개별 언어나 변이어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공유된 가치나 인식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코드전환을 통해 대인관계를 재규정하고 사회적 권리나 의무에 대한 교섭을 행한다. 본 논문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대화상황을 녹취해서, 대화가 이루어지는 상황과 맥락에 대한 관찰을 통해 화자들이 어떤 동기로 코드전환을 하며 코드전환을 통해 실현되는 담화적 효과를 고찰하고 있다. 코드전환은 언어구사능력의 제한이나 한계에 기인한다기보다는 오히려 화자의 의도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능숙한 의사소통행위이자 목적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다언어사회에서의 코드전환은 언어적으로 동질적인 사회에서 관찰할 수 있는 스타일이나 언어사용역의 변화를 통해 새로운 상황과 맥락을 창출하고, 의도된 의미를 전달하려는 행위와 본질적으로 상이하지 않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다양한 상황과 맥락 속에서 관찰할 수 있는 대화에서의 코드전환이 어떤 화용론적 기능을 수행하며, 어떤 의도된 의미를 전달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맥락화 단서와 기능적 차원의 효과를 살펴보고 해석적인 방법으로 그 과정에 접근하고자 한다. The seemingly taken-for-granted commonsensical perception that code-switching occurs mainly due to language proficiency limitations has been wrongly understood as a given. However, a plethora of studies have proved that code-switching, which refers to the alternation between two varieties, does not take place as a haphazard activity but skilled performance (Myers-Scotton 1993b:47). The present study seeks to address the sociopragmatic functions code-switching fulfills in conversational interactions. Code-switching performs a number of sociopragmatic functions by virtue of the functions each language involved is presumed to fulfill. Sociopragmatic meaning-making functions of code-switching show the multifaceted nature of psychological motivations and generate a variety of discursive effects. This paper delves into what motivates speakers to engage in code-switching in naturally occurring conversation. Why and how do bilinguals switch languages? This is the question to be raised and answered. What motivates them to switch from one code to another in the same conversation?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sociopragmatic functions that derive from conversational code-switching, which is alternating two or more languages in bilinguals’ utterances.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discursive effects and sociopragmatic functions, grammatical and formal constraints, but without generally agreed-upon rules. Despite being eccentric, esoteric and even nonsensical from a monolingual point of view, code-switching carries out a number of sociopragmatic functions that are inseparably related to conveying the speaker"s intended communicative meaning. Why bilinguals switch from one language to another in conversational code-switching might be an unintelligible conundrum for monolinguals, but can be adequately deciphered by investigating the contextual cues and its functionality. In case of necessity, non-conversational types of code-switching such as political discourse are included to bolster the argument.

      • KCI등재

        일반 논문 : 중국 조선족 대화에서 나타난 표현 (expression)형 코드전환

        임형재 ( Hyung Jae Lim ) 한민족문화학회 2006 한민족문화연구 Vol.19 No.-

        다른 이유로 중국 조선족의 언어생활의 실재는 감추어지고 가려져 있다. 조선족의 언어생활 그중에서도 코드전환에 대한 연구는 시작이라고 말해야 한다. 이제 객관화된 시각으로 조선족 공동체의 언어생활을 관찰해볼 필요가 있으며 언어사용의 실재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조선족 화자의 두 언어 코드전환을 발화 상황별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 지역의 화자는 몇 가지 고정적인 상황에서 두 언어를 번갈아 사용하거나 상황인식에 따라 특정한 언어를 선택하기도 한다. 본문에서는 인용(Quotation), 청자구분(Addressee specification), 감탄(interjection), 반복(Reiteration), 전달내용(Massage Qualification), 발화의 공·사 구분 (personalizedvs objectivization) 이상 Gemperz(1972)의 6가지 발화상황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불확실성(uncertainty)을 가지 발화에 대한 것은 조선족의 언어사용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언어선택에 대한 예로 이를 포함하여 모두 7가지 상황으로 분석했다. 이 논문은 중국 조선족의 언어생활을 분석하고자 한 것으로 코드전환의 상황을 분석하고 전환을 이끌어오는 전환 동기를 화자의 발화의도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두 언어의 상용은 화자의 발화 전략이라는 관점 안에서 기술함으로써 조선어와 중국어 코드전환이 조선족 발화자의 표현기법을 더하기 위한 언어행위임을 밝혀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language life of a Chinese-Korean. Language of Chinese-Korean, as well as Chinese, .is studied with regard to interaction, algorism and expression. This study takes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phenomenon of bilingualism of Chinese-Korean racial minority group in China. Attention is paid to the existence of consistencies within code switching. Seven categories are identified: quotation; addressee identification(specification); interjection; reiteration; relative importance of sentence elements(Massage Qualification); personalized vs. objectivization; presumptive elements.

      • KCI등재

        《서유견문》코드전환 양상 일고

        조태련,정진강 한국중문학회 2020 中國文學硏究 Vol.0 No.79

        유길준의 대표작 《서유견문》은 근대 최초의 국한문혼용체 계몽서로서 한국어문발전사에 큰 영향을 준 작품이다. 본 고는 사회언어학적 측면에서 한국근대계몽기의 표기수단이 폴리글로시아(polyglossia) 현상을 띠고 있으며, 유길준이 국문과 한문을 혼용하여 표기한 수단을 택하게 된 것은 그가 다언어사용자로서 언어선택에 의해 이루어진 코드전환 현상이라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코드전환 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한 결과 《서유견문》의 국한문혼용체는 외재적으로는 한문과 국문의 배열이 정연한 양상을 띤 광의의 코드전환에 해당된다. 그러나 국한문혼용체의 내재적인 문법구조는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어 Poplack의 문장내적 코드전환의 이론과 Myers-Scotton의 MLF가설을 통하여 《서유견문》의 문법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언어 유형론적 측면에서 《서유견문》은 ‘기본언어(한국어)+교체언어(중국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복합유형에 속하였다. 본고에서는 교체언어의 양상을 필수적인 교체형, 수의적인 교체형과 변이형으로 나누어 귀납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Seo-Yu-Gyun-Moon(西遊見聞) written by Gil-Jun Yu, is the first Korean-Chinese mixed-use literature in the early modern period and has an indelible contribu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linguistics, the manuscript believes that the writing style of Korean modern enlightenment presents polyglossia. The mixed Korean and Chinese writing style is because of multiple languages using by Gil-Jun Yu, also it leads to the appearance of code switch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de switching theory, although the mixture of Korean and Chinese in Seo-Yu-Gyun-Moon(西遊見聞) shows that the regularization of Korean and Chinese marks belongs to a broad code switching on the surface, the internal grammatical structure is complex and diverse. To this end, the manuscript uses Poplack intra-sentential switching theory and Myers-Scotton’s matrix language framework model to analyze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de switching in Seo-Yu-Gyun-Moon(西遊見聞). In terms of the language type, Seo-Yu-Gyun-Moon(西遊見聞) is mainly composed of matrix language (Korean) + embedded language (Chinese). Finally, the style of the embedded language (Chinese) is analyzed and sorted out. The embedded language (Chinese) in Seo-Yu-Gyun-Moon(西遊見聞)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mandatory type, the random type and the variant 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