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스포츠클럽 참가 초등학생의 성과 스포츠인성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공감의 매개효과 분석

        고문수,곽은창 한국초등체육학회 2015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 클럽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생의 성, 인성 및 공감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 펴보는 한편, 인성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재학 중인 C, D, G초등학교 6학년 학생 620명으로 자기보고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성별에 따라 인성, 공감 및 친사회적 행동에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초등학생의 성 및 인성 과의 관계에서는 인성이 성별에 의해 공감능력에도 변화를 주고 있었다. 한편, 매개분석 결과 인성의 자기관리, 인내심이 도와주기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인지공감과 정서공감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협력하기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인성의 자기관리가 친절하기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인 지공감과 정서공감에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성과 인성 및 공감이 친사회적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을 밝히는 한편, 공감이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파악함으로 써 청소년기 친사회적 발달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s on the sport character.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620 4, 5, and 6th grades(308 males, 312 females) from elementary schools in Gyeongi-do and Incheon cit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ere relationships on the sport character,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s by sex. Secondly, there were correlations among all the subfactors. Thirdly, sport character affected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s, and empath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rosocial behaviors. Last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pathy acted as a mediator between sport character and prosocial behaviors. That is,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management of sport character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through experienced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their prosocial behaviors.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ort character and empathy in predicting adolescents'prosocial behaviors.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부모 및 형제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 : 부모애착, 부모 모니터링, 사회경제적지위 및 조망수용과의 관계

        C.P.Edwards,하영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1 No.1

        Data were collected from 310 6th, 7th, and 8th grade students and parents by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higher parents attachment and parents monitoring, the higher prosocial behavior towards parents and siblings, the higher perspective-taking, the higher prosocial behavior towards parents, and the higher socioeconomic status, the higher prosocial behavior towards siblings. More prosocial behavior toward parents was reported by girls than by boys. Prosocial behavior toward siblings did not show a gender difference. In the total group, high parent attachment and perspective-taking predicted prosocial behavior towards parents; high parent attach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predicted prosocial behavior towards siblings. In the boy group, high parent attachment and perspective-taking predicted prosocial behavior towards parents; high socioeconomic status predicted prosocial behavior towards siblings. In the girl group, high parent attachment predicted prosocial behavior towards parents and high parent attach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predicted prosocial behavior towards siblings. Discussion focused 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parents attachment, perspective-taking, and socioeconomic status in predicting early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 본 연구는 부모 및 형제에 대한 초기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관련변인으로 부모애착, 부모모니터링, 사회경제적 지위 및 조망수용 등을 탐색하여 가족맥락 안에서의 친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이에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 2학년 남녀 310명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적용하여 측정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초기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과 사회경제적 지위를 포함한 인구학적 배경은 부모용 응답지를 그리고 부모애착, 부모모니터링 및 조망수용은 청소년용 자기보고식 응답지를 이용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t-test와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첫째, 부모애착과 부모모니터링이 높을수록 부모와 형제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 수준이, 조망수용 수준이 높을수록 부모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 수준이 그리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가정의 청소년일수록 형제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 수준이 높았다. 둘째, 여아가 남아보다 부모를 향한 친사회적 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다회귀 분석결과, 전체 청소년의 부모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은 부모애착과 조망수용이, 형제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은 부모애착과 사회경제적 지위가 중요한 예언변인이었다. 성 차 구분에 의한 분석에서 남아의 경우, 부모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은 부모애착과 조망수용이, 형제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은 사회경제적 지위가 중요한 예언변인이었다. 여아의 경우, 부모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은 부모애착이, 형제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은 부모애착과 사회경제적 지위가 예언변인으로 나타나 성 차에 따른 관련변인의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또래집단의 영향력 검증

        김학령(Hak Lyoung Kim),김정화(Jeong Hwa Kim),정익중(Ick Joong Chu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11 한국아동복지학 Vol.- No.36

        본 연구는 청소년이 바람직한 사회구성원으로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로서 타인에 대한 배려와 돌봄의 행위인 친사회적 행동에 주목하였다. 또래집단의 영향이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또래영향모델과 개인특성모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보건복지부의 "아동청소년종합실태조사" 자료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은 친구의 친사회적 행동으로부터 긍정적인 영향을, 친구의 반사회적 행동으로부터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았다. 개인특성 요인인 자아존중감, 공감능력 변수를 포함한 모형에서는 공감능력, 자아존중감, 친구의 친사회적 행동, 그리고 친구의 반사회적 행동 순으로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또래영향모델과 개인특성모델이 모두 유효하나 개인특성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개인특성과 또래특성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이 높은 경우 친구의 친사회적 행동이 본인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더 크고, 공감능력이 높은 경우 친구의 반사회적 행동이 본인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또래집단의 영향력은 개인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또래영향모델과 개인특성모델은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에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긍정발달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논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adolescent prosocial behavior as one of the necessary elements for youth to grow as a healthy member of the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er group on adolescent prosocial behavior by comparing the peer influence model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model. For the study, we conduct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n Youth General Survey 2008, administer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sults show that friends` prosocial behavior had a positive impact, but friends` antisocial behavior had a negative impact on adolescent prosocial behavior. Wh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cluding self-esteem and empathy were analyzed simultaneously, empathy, self-esteem, friends` prosocial behavior, and friends` antisocial behavior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trength of association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dolescent prosocial behavior was greater than that of friends` behaviors. Als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 prosocial behavior and friends` behaviors were found. For example, the positive effect of friends` prosocial behavior on adolescent prosocial behavior increased as adolescent`s level of self-esteem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effect of friends` antisocial behavior on adolescent prosocial behavior decreased as adolescent`s level of empathy increased. Based on the findings, both the peer influence model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model were considered valid in explaining prosocial behavior of Korean adolescents. Finally,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positive youth development were discussed.

      • 조합원 되기: 사회적 배제 위험과 친사회적 행동

        조준형 ( Jun-hyoung Jo ),김신우 ( Shinwoo Kim ),이형철 ( Hyung-chul O. Li ) 한국감성과학회 2022 추계학술대회 Vol.2022 No.0

        집단에 소속되는 것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생존에 유리하다. 따라서 인간은 사회적 소속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 행동을 하게 되는데, 그 중 하나가 친사회적 행동이다. 친사회적 행동이란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모든 행동을 뜻한다. 친사회적 행동은 대체로 자기 자신에게 직접적으로는 도움이 되지 않으며, 사회적 관계를 통해 그 이득을 돌려받는다. 즉 친사회적 행동이란 단기적인 손해를 감수하고 장기적인 이득을 얻는 행동이다. 완전한 사회적 소속 상태를 이루지 못한 사회적 배제 위험 상태에서는 사회적 소속 지위를 회복하기 위해 친사회적 행동의 증가가 나타난다. 그런데 사회적 관계에서 친사회적 행동은 장기적인 이득을 얻기 위해 단기적인 손해를 감수해서라도 자신이 집단에 소속될 가치가 있음을 보여주는 행동이므로, 친사회적 행동 이외의 방법으로 자신에게 가치가 있음을 보여줄 수 있는 경우 친사회적 행동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 위험성과 개인의 가치를 조작하여, 사회적 배제 위험 상태에서 개인의 가치가 친사회적 행동 증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참가자들에게 컴퓨터를 사용한 집단 형성 게임에 참여하게 했다. 참가자들은 게임 도중 두 가지 변인에 대한 가짜 피드백을 받았고(사회적 배제 위험성 : 높음 대 낮음, 과제 수행 능력 : 높음 대 낮음), 이후 집단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그 결과 사회적 배제 위험성이 높더라도 과제 수행 능력 역시 높은 경우 친사회적 행동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사회적 배제 위험 상태에서 나타나는 친사회적 행동의 증가가 개인이 집단에 소속될 가치가 있음을 증명하려는 동기의 증가에 의해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 유아의 정서지능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예숙 인지발달중재학회 2012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3 No.1

        본 연구는 만 3, 4, 5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성과 연령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 고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유아의 정서지능, 어머니의 양육행동, 교사-유아 관계의 관계 및 이들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을 성에 따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 6개원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 410명과 그들의 어머니 및 교사 32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는 교사용 친사 회적 행동 검사(Doescher, 1986), 유아용 정서지능 척도(이병래, 1997),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박주희, 2007) 및 교사-유아관계 척도(Pianta, 1991)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 약하고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만 3세에서 만 5세 간에 차이가 없으며, 여아가 남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아와 여아의 친 사회적 행동은 자기정서인식, 자기정서조절, 타인정서인식과 타인정서조절의 정서지능 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여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어머니가 온정적인 양육행동 을 많이 보이고 통제적인 양육행동을 적게 보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그런데 남아는 어머 니의 온정적, 통제적 양육행동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아와 여아의 친 사회적 행동은 교사-유아의 관계가 친밀하고 갈등이 적으며 덜 의존적일수록 높게 나타 났다. 다섯째, 남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예측 변인은 타인정 서조절의 정서지능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정서조절의 정서지능, 교사-유아의 갈등과 친밀 관계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예측 변인은 자기정서조절의 정서지능으로 나타났으며, 타인정서조절의 정 서지능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써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만 3세와 5세간에 안정되며, 이 시기동안 여아가 남아보다 높다. 또한 남아와 여 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정서지능이 중요한 예측변인이며, 특히 남아의 경우 타인정서조 절의 정서지능이, 여아의 경우 자기정서조절의 정서지능이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남아의 경우 친사회적 행동에 교사-유아의 친밀관계는 긍정적 영향 을, 교사-유아의 갈등관계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여아의 경우 친사회적 행동

      • KCI등재

        친사회적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이지언(Ji Yeon Lee),정익중(Ick Joong Chung),백종림(Jong Leem Back),Batzolboo Byambaakhuu 한국아동복지학회 2014 한국아동복지학 Vol.- No.47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상이한 연구결과를 통합하여 아동 ?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의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을 동시에 비교 ?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상이한 연구결과를 통합하여 친사회적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의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을 동시에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친사회적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의 관련변인을 개인, 가족, 그리고 학교등의 영역별로 분류하여 영역 간 변인들의 영향력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친사회적 행동은 개인요인의 기본생활습관, 공감능력, 가족요인 중 어머니의 엄격한 훈육과 부모격려, 학교요인 중 친구지지, 교사지지와 같은 보호요인이 영향력을 크게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반사회적 행동은 개인요인의 낮은 자아통제력, 우울과 스트레스, 가족요인 중 부모폭력목격, 학교요인 중 학교폭력가해, 친구의 반사회적 행동 등 위험요인이 영향력을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사회적 및 반사회적 행동의 보호요인으로서의 공통변인은 자아존중감, 부모의 격려와 지도감독, 교사지지, 친구지지로 나타났다. 위험요인으로서의 공통변인은 우울, 스트레스, 친구의 반사회적 행동으로 나타났다. 둘째, 친사회적 및 반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을 개인, 가족, 그리고 학교 영역으로 유형화한 후 비교해 본 결과, 친사회적 행동에는 가족영역의 변인들이 가장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반면에 반사회적 행동은 개인영역의 변인들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한국 아동·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을 장려하고 반사회적 행동을 예방할 수 있는 실천지침을 제기하고, 친사회적 및 반사회적 행동과 관련된 공통 변인에 대한 동시적 개입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agnitude of standardized effect sizes of 44 variables that influence youth`s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s using meta-analysis. This study also assessed the impact of variables according to the categorization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domains. In addition, this study compared the protective and risk factors of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s. Meta-analysis was conducted using effect sizes obtained from a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published between 1990 to 2013.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tective factors, such as daily routine, empathy, mother`s strict monitoring, parents` support, teacher`s support, and peer`s support influenced prosocial behavior. The risk factors, such as low self control, depression, stress, witnessing marital violence, school bullying, and friend`s antisocial behaviors influenced antisocial behavior. Common protective factors between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s were self-esteem, parents` support and monitoring, teacher`s support, and peer`s support. The common risk factors were depression, stress, and friend`s antisocial behaviors. Second, focusing on the categorization of three major domains, variables in the family domain had the most powerful influence on prosocial behavior, while variables in the individual domain had the most powerful influence on antisocial behavior.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for youth welfare were discussed to provide guidelines for a simultaneous intervention focused on the common factors associated with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s to support prosocial behavior and prevent antisocial behavior.

      • KCI등재

        초등학생의 마음가짐(mindset), 성취목표성향과 친사회적행동의 관계 : 또래관계의 조절효과

        이영주,김덕진 한국초등체육학회 2020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는 무용수업 환경에서 초등학교 학생들의 마음가짐과 친사회적 행동을 살펴보고 추가로 마음가짐, 친사회적 행동 및 성취목표성향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J도 초 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243명(남자: 127, 여자: 116)을 대상으로 마음가짐, 친사회적 행동, 성취목표성향 및 또래관계 의 척도를 초등학생들에 맞게 수정하여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SPSS Process Macro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인 과제목표성향 이 마음가짐의 하위요인인 성장마음가짐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음가짐 (성장, 고정)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또래관계의 조절작용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음가짐(성장, 고정)이 성취목표성향(과제, 자아)을 통하여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또래관계에 의해 조절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학생들이 교우 및 환경과 맺어진 유대는 또래 친구들과 관련한 마음가짐에도 영향을 미치며, 친사회적 행동에 또래관계의 질은 고정마음가짐을 가진 학생들도 어느 부분에서는 성장마음 가짐으로 바뀔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를 논하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mindset and prosocial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nce class environment, and additionally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peer relationships in relations among mindset, prosocial behavior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total 243(127 males, 116 females)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Jdo elementary school were to answer the scale of the mindset, prosocial behavior,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peer relationships by modifying the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e self assessment entr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on the complied data by using Spss18.0 and SPSS Process Macro statistical program, the task goal orientation which is subfactor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partly plays a role of mediator in the relation between growth mindset which is subfactor of mindset and prosocial behavior, and the influence which mindset(growth, fixed) affect on prosocial behavior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odulation of peer relationships. Also, the mediating effect which mindset(growth, fixed) affect on prosocial behavior through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ask, self) is controlled by peer relationshi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bond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aged in making friends and environment affects the belief related to peers,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on social behavior allows the students with fixed mindset to be changed into ones with development mindset in some parts. Hereupon, with theoretical implications being discussed, the proposal on following works was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계획된 행동 이론에 기초한 대학생의 친사회적 행동 예측모형 분석

        김수인,신택수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6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model of prosocial behavior based on Ajzen(1991)'s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Through two pilot tests and main survey, contents of prosocial behavior construct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followings indicate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path of prosocial behavior was well explained by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mportantly, intention partially mediated between perceived control and prosocial behavior. Second, among subjective norm, “supports by others” caused prosocial behavior, but motivation to conform did not have strong impact on prosocial behavior. Third, a sense of community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on prosocial behavior. Fourth, both gender and faith in religion do not affect prosocial behavior. This study raise the issu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university education. Also the limitation and contribution of the study were described. 본 연구의 목적은 Aizen(1991)이 제시한 계획된 행동 이론을 통해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태도와 신념이 실제 행동 수행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 이론에 기초한 친사회적 행동 예측 경로를 공동체의식과 인구사회학적 요소의 통제변인을 포함한 인과관계 구조모형 하에서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2차에 걸친 예비조사와 본조사 후 친사회적 행동주제에 적합한 계획된 행동 이론 측정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전국의 대학생 46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계획된 행동 이론에 근거하여 친사회적 행동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계획된 행동 이론에 따라 지각된 통제 행위가 친사회적 행동 의도를 부분 매개로 하여 친사회적 행동 수행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규범으로 주변사람들의 지지는 친사회적 행동 수행을 예측하였으나, 순응 동기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통제변인으로 본 공동체의식은 친사회적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과 종교유무 모두 친사회적 행동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마지막으로 고등교육에서 대학생의 친사회적 행동 실천을 함양할 수 있는 제언과 논문의 한계점 및 의의를 기술하였다.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행동빈도와 자녀성숙행동기대가 유아기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혜순(Kim Hye-Soo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4

        본 연구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행동빈도와 자녀성숙행동기대가 유아기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북도 중소도시의 5곳의 유아교육기관 어머니-유아 222쌍이었다.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자녀에 대한 성숙행동기대는 어머니의 자기보고 질문지로 측정되었으며,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교사에 의해 평정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14.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주요변수에 대한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가 산출되었으며, 신뢰도 분석, t-test, ANOVA,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연령과 학력, 자녀수에 따른 양육행동빈도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어머니 학력과 자녀수에 따른 자녀성숙행동기대에서 차이가 있었고, 유아의 성과 연령, 형제수에 따른 친사회적행동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어머니 연령과 자녀수, 양육행동빈도, 자녀 성숙행동기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과 양육행동빈도, 그리고 자녀성숙행동기대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자녀성숙행동기대가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다. 어머니의 양육행동빈도는 유아에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 외에도, 자녀성숙행동기대를 매개로 해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간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frequency and parental demand for mature behavior on their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s. The subjects consisted of 222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who were enrolled in 5 kindergartens in Gyungsang-Do. The mothers filled out questionnaires on their parenting behavior frequency and parental demand for mature behavior. Preschoolers' teachers were asked to rate th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14.0 ver. Results showed that mothers' parental demand for mature behavior was the most predictable factor for the preschoolers' social behaviors. There were direct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frequency and parental demand for mature behavior on their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s individually. In addition,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 frequency had indirect effects on prosocial behaviors of preschoolers.

      • KCI등재

        마음의 이해와 공감이 독재자 게임에 나타난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권주현,박영신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6 No.3

        Age and sex differences i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knowledge of mental states, and empathy were examined during a dictator game. Participants were 132 children aged 4, 6, and 8 years. Children were asked to divide 10 candies between themself and an anonymous recipient. Knowledge of mental states was measured by first-order and second-order false belief tasks. Empathy was measured by The Index of Empath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Older children and girls engaged in more prosocial behavior, and 8 year olds offered significantly more candy to recipients than 4 year olds. In addition, first-order and second-order false belief understanding and empathy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social behavior. The greater a child’s understanding of mental states and empathy, the more he/she engages in prosocial behavior. Finally,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empathy significantly predicte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however, understanding mental states was not predictiv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is related more to emotional factors rather than cognitive factors. 본 연구에서는 4세, 6세와 8세 아동 132명을 대상으로 친사회적 행동이 연령과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마음의 이해와 공감이 친사회적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은 경제게임 가운데 하나인 독재자 게임으로 평가하였고, 마음의 이해는 일차순위와 이차순위 틀린 믿음 과제로 평가하였으며, 공감은 수정한 Bryant(1982)의 척도로 평가하였다. 학령전기 아동들도 친사회적 행동을 보였으나 친사회적 행동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특히 8세에 크게 증가하였다. 4세에는 여아들이 남아들보다 더 친사회적 행동을 보였으나 6세와 8세에는 차이가 없었다. 일차순위와 이차순위 틀린 믿음과 공감이 모두 친사회적 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여서 아동들이 타인의 마음을 잘 이해하고, 공감을 잘 할수록 더 친사회적으로 행동하였다. 그러나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연령과 성별의 영향을 통제하였을 때 공감만이 친사회적 행동을 설명하였고 틀린 믿음은 설명력을 상실하였다. 이는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는 다른 사람의 마음에 대한 인지적 이해보다는 다른 사람의 감정이나 정서에 대한 공감이 더 중요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