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화를 통해 본 포은(圃隱)의 충절과 그 인성 교훈

        김원준 ( Kim Won-jun ) 택민국학연구원 2019 국학연구론총 Vol.0 No.23

        본 연구의 일차적 작업은 포은 설화 가운데 그의 충절과 관련된 이야기만을 대상으로 하여 그의 충절이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밝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그가 보여준 충절이 우리 시대 인성 교육의 바람직한 모범일 될 수 있는 가치를 찾아 시대의 참교육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데 있다. 논의의 진행을 위해 충절의 의미를 밝히는 것이 우선이므로, 충절의 의미를 포은과 우리시대로 나누어 그 가치적 의미를 먼저 밝혔다. 다음으로 포은 설화 가운데 충절을 대변할 수 있는 대표적 설화를 중심으로 포은의 충절이 지닌 가치와 의미를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이어 논의된 포은 충절 설화를 바탕으로 우리 시대 인성 교훈적 측면으로 접근하였다. 대의명분과 사욕극복이란 철학적 삶의 바탕 위해서 보여준 포은 충절의 삶은 우리 시대의 인간다운 길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The primary focu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Poeun's loyalty was embodied only in his tales related to his loyalty. This work intended to find values of his loyalty that would serve as desirable models for today's personality education and make use of them in true education today. An examination into the meanings of loyalty should come before a discussion. The study thus first examined the value meanings of loyalty during Poeun's days and in the present day. The study then addressed specifically the values and meanings of his loyalty with a focus on his representative tales of loyalty. Based on his loyalty tales discussed in the study, the investigator developed an approach to personality lessons today. His life of loyalty, based on the philosophical grounds of advocating a great cause and overcoming selfish interests, shows what a human path is today.

      • KCI등재

        조선조 문천상의 충절에 대한 논의 연구

        안순태(An, SoonTae) 돈암어문학회 2021 돈암어문학 Vol.39 No.-

        본고는 조선시대 문인들이 문천상(文天祥)을 어떠한 방식으로 기렸는가를 시기별로 개관하고 조선 후기에 그의 충절에 대해 이루어진 논의의 특징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천상은 남송(南宋)의 재상으로 원나라가 송나라를 점령할 때 끝까지 항거하다 죽어 만고에 그 충절이 빛난다고 평가되는 인물이다. 그의 충절은 조선 초부터 조선 말까지 지속적으로 주목을 받았다. 왕조를 위해 절의를 지킨 정몽주, 전란 중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고경명, 일제에 항거하기 위해 의병을 일으킨 최익현 등을 기릴 때 어김없이 문천상이 충절의 표상으로 등장하였다. 조선 전기까지 문천상의 충절에 대한 언급 내지 논의는 단편적인 단계를 넘어서지 못했다. 조선 후기 연행(燕行) 과정에서 직접 문천상 사당에 방문할 기회가 많아지면서 문천상사당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동시에 그의 충절에 대한 논의도 보다 풍성해지게 되었다. 유몽인은 몽유록 양식을 빌려 충절이 천명(天命)보다 우선하는 가치임을 역설하는가 하면, 박지원과 김직연은 문천상이 순절하지 않았더라면 더 큰일을 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인식에 기반하여 문천상의 죽음을 안타까워하고 있다. 또 이덕무 등과 같이 문천상의 기개나 정취를 개인적으로 흠모하던 예도 흔히 발견된다. 이처럼 문천상에 대한 담론은 조선 후기로 올수록 다각적이고 심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writers of the Joseon Dynasty recognized Wen Tian-xiang文天祥, the symbol of loyalty, and, in particula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ussion about his loyal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n Tian-xiang, the prime minister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died in protest until the end when the Yuan Dynasty occupied the Song Dynasty. Therefore, he is a person who is evaluated for his long-lasting integrity. His loyalty continued to attract attention from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to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Wen Tian-xiang is always considered as a model of loyalty when commemorating Jeong Mong-joo, who kept his dignity for the Corea Dynasty, Go Gyeong-myeong, who gave his life for the country during the Imjin war, and Choi Ik-hyeon, who raised a righteous soldier to resist Japanese imperialism. Until the early Joseon Dynasty, mention or discussion of Wen Tian-xiang’s loyalty was fragmentary. However, as writers visited to China as envoy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had more opportunities to directly visit the shrine of Wen Tian-xiang, interest in the shrine of Wen Tian-xiang was heightened, and the discussion on the loyalty of Wen Tian-xiang became richer than before. In the early Qing Dynasty, foreigners were prohibited to enter the Shrine of Wen Tian-xiang. Then, after the Qianlong Emperor, the Qing Dynasty court gained confidence in its rule and no longer intervened in the entry of foreigners including envoys of Joseon. In addition, the shrine itself was not managed at all. The discussion of Wen Tian-xiang’s loyal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nt beyond the fragmentary dimension. The discussion on the integrity of Wen Tian-xiang was made more in-depth, both formally and in content, such as borro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 style of Mongyu-rok and considering the consciousness of civilization and history.

      • KCI등재

        충절과 정절의 정치학―조선후기 절(節) 담론의 전개 양상―

        이숙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6 No.-

        This paper analyzes a discourse on doctrines of ‘loyalty’ (忠節) and ‘chastity’ (貞節), which was emphasized for the social integration after Byungjahoran on the basis of two particular events in the history of Joseon. dynasty in the 17th century. Firs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eath of Kim, Sang-young (1560-1638), who died by an accidental explosion at a powder magazine in Kang-Hwa island. Although the case was initially reported as accidental death, his family and people have fabricated the cause to make it looks a righteous death to keep his fidelity for his country against the Manchu invasion. By their untruthful report, Kim became known as a loyalist who wanted to show the pride of his country with the virtuous suicide. Since descendants whose ancestor gave up his life for the country could have advantages which would bring them political (as well as economical) benefits, it seem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y fabricated the cause of his accident to occupy the advantageous social position. Second, this paper also investigates the issue of the “returned captive women”. During the Manchu invasion, the troops of Qing have kidnapped many women of Chosen and have brought them to the land of Manchu. After the war, many of the women returned to their homeland. At that time, a number of their husbands asked for a divorce because of doubt of her sexual fidelity. These instances show us that many of the patriarchal men and families attempted to shift the blame on to the women who were the war sufferers, whereas the national policy was to protect them. In this context, it is noteworthy that the patriarchal men or families shared a common political agenda with the group of people who fabricated the cause of the death of Kim Sang-young for their political benefits.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doctrines of loyalty and chastity are similar psychological phenomenon which share the same roots. As the conclusion,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similarity between the two doctrines, loyalty and chastity, would be understood as a political characteristic of later Chosen dynasty. 병자호란 이후 사회통합의 이름으로 제기된 충절과 정절의 담론을 두 구체적인 사건을 통해 분석했다. 먼저 전란 시 강화도에서 화약고의 폭발로 죽은 김상용(1560-1638)이 충절지사(忠節之士)가 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사건 직후 사고사(事故死)로 보고된 그의 죽음이 사절(死節)로 결정되는 과정에는 특정 집단의 정치권력이 개입되었음을 주장했다. 특히 어떻게 죽든 죽음 그 자체에 의미를 부여하는 충절 개념과 충신의 후손에게 주어지는 정치⋅경제상의 특혜 등은 죽음을 과도하게 의미화하는 요인이라고 보았다. 이에 김상용 사절론이 안고 있는 논리적 오류를 드러내면서 반드시 논의되어야 했을 두 가지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했다. 하나는 김상용의 ‘자결’에 사용된 화약고의 군사적 의미를 따지는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그의 죽음이 사절(死節)이라면 곁에 있다가 의도하지 않게 죽은 수많은 죽음을 어떻게 볼 것인가의 문제다. 다음은 청군(淸軍)의 포로로 끌려갔다 돌아온, 속환녀(贖還女)를 둘러싼 담론에 주목했다. 당시 쟁점이 된 것은 속환 부녀와의 이혼 문제인데, 적에게 끌려갔던 여자에게 조상 제사를 맡길 수 없다는 이유였다. 전란의 피해자에게 도덕적 책임을 묻는 이런 방식의 주장은 여성 뿐 아니라 인간에 대한 인식의 근본적인 한계를 드러낸 것이다. 적에게 죽임을 당하거나 적에 대항하여 자결한 여성은 열녀가 되는 한편 천신만고 끝에 살아 돌아온 여성은 죄인이 되는 상황이었다. 환향녀 보호를 강조하는 국가 정책에 반발하며 그녀들을 정절을 잃은 부녀로 공식화한 정치 집단에 주목하여 김상용 충절론과의 연계성을 밝혔다. 충절과 정절이 병자호란이라는 구체적인 사건과 만나 어떻게 구현되고 해석되는가를 통해 정치권력과 젠더권력이 빚어낸 조선후기 사상의 특성과 한계를 논의했다.

      • KCI등재

        조선시대 문인들의 선죽교에 대한 인식과 시적 형상

        홍순석(Hong, soon seuk) 포은학회 2017 포은학연구 Vol.20 No.-

        이 논문은 개성의 선죽교를 탐방 조선시대 문인들의 선죽교에 대한 인식과 시적 형상을 정리한 것이다. 조선시대 문인들은 선죽교의 혈흔을 목도하고 그때마다 추모의 정을 담거나 비분강개의 뜻을 펼쳤으며, 순절의 의미를 되새겨 살신성인의 도를 후학에게 권려하였다. 그리고 당시의 심경을 시에 담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유형의 시를 ‘선죽교시’라 묶고 다양한 형상을 정리하였다 조선시대 문인들에게 선죽교는 단순히 포은이 격살당한 졸명지(卒命地)의 유적이 아니다. 포은의 충절을 상징하는 표상이며, 유교정치를 표방한 조선시대 강상(綱常)의 근원지이다. 조선후기 우국지사(憂國之士)들에게 선죽교는 국가 존망의 위기에서 결연히 충정을 다짐하던 성지(聖地)로 인식된다. 조선시대 문인들의 선죽교시에 표출된 시적 형상은 1)회고(懷古), 2)상심(傷心)과 애도(哀悼), 3)포은의 값진 죽음의 찬미, 4)충절(忠節), 5)강상(綱常) 등의 유형으로 구분해 살필 수 있다. 물론 이 같은 유형은 복합적인 양상으로 표출되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내용과 함께 해당하는 시편의 시어(詩語)를 중심으로 구분하였다. 1) 회고의 유형은 주로 조선 초기 문인들의 시편에서 나타난다. 선죽교 주변의 황폐한 들판과 석양을 통해 고려왕조의 시운을 탄식하는 양상이다. 2) 상심과 애도의 유형은 가장 일반적인 양상으로 선죽교와 읍비를 목도한 문인들이 포은의 죽음에 대한 슬픔과 애도의 정회를 표하는 양상이다. 3) 포은의 값진 죽음의 찬미한 유형에서는 포은을 고려왕조와 함께 천명(天命)을 다한 충신으로 인식하고, 포은의 죽음을 정 명(正名)사상에 근거하여 형상화하고 있다. 4)충절(忠節)의 유형에서는 포은을 고충(孤忠)·의사(義士)·열사(烈士)로 인식하고 주로 백이(伯夷)와 문천상(文天祥)에 비유하여 형상화하고 있다. 5)강상(綱常)의 유형으로 구분한 시편에서는 포은이 시운(時運)을 잘못 만나 순절하였지만 오히려 만고의 강상을 후학에게 끼쳤음을 칭송하고 있다. 포은이 우리나라 성리학의 조종으로 인식된 만큼 조선시대 문인들이 선주교시에서 강상을 주지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양상이다. 1)2)의 양상이 일반적이라면 3)4)의 양상은 주로 국난의 위기에 처한 때에 강조되고 있다. 특히 조선말기 우국지사의 시편에서 나타난다. 5)의 양상은 유학자들의 시편에서 강조되고 있다. 조선시대 문인들에게 선죽교는 고려왕조와 포은 정몽주를 연상시키는 유적이다. 정신적으로 충절과 강상을 표상하는 성물(聖物)이다. 특히 선죽교의 혈흔(血痕)은 포은의 죽음을 더욱 신성(神聖)하게 한다. 아울러 선죽교와 함께 읍비는 주군인 포은에 대한 녹사의 충정을 회상케 하는 매체로 형상화되고 있다. 조선시대 말기 혼란한 정황과 국가 존망의 위기가 닥쳤을 때 포은과 함께 선죽교는 더욱 주목 받았다. 이 당시 최익현·송병선·김윤식·조긍섭 등은 충절과 우국충정을 담아내는 매체로 선죽교를 형상화하는데 적극적이었다. This paper is to organize perception and poetic figuration of Sonjukkyo of Joseon dynasty s writers who visited Sonjukkyo in Gaeseong. Joseon dynasty s writers witnessed blood of Sonjukkyo, mourned, overwhelmed by feelings of grief and encouraged the next generation to bear doctrine of sacrifice in mind. Then they wrote poem with that feelings. These kinds of poems is so called Sonjukkyosi(善竹橋詩) and the various poetic figurations are arranged in this paper. For Joseon dynasty s writers, Sonjukkyo is not simply a historical site of Jolmyeongji(卒命地) where Poeun is knocked to death. The site is a symbol of allegiance and a home for Joseon dynasty s Kangsang(綱常) which is advocated Confucian politics. For patriots(憂國之士), Sonjukkyo is considered a sacred place(聖地) where they promised cordiality decisively in life and death for the nation. The poetic figuration exposed in Sonjukkyosi of Joseon dynasty s writers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parts: 1) Remembrance(懷古) 2) Lament(哀悼) 3) Praise for Poeun s valuable death 4) Allegiance(忠節) 5) Morality (綱常). That kind of part can be exposed in complex aspects as well. This paper is focusing on poetic words with the contents. 1) The type of remembrance appears mainly on the writer s psalms in the early years of the dynasty. This is the moaning aspect of the Koryo dynasty s fortune through the barren field and sunset around Sonjukkyo. 2) The type of broken heart and mourning is the most common aspect, which is writers who witnessed Sonjukkyo and Euppi(읍비) is expressing sorrow and mourning about Poeun s death. 3) In the type of praise for Poeun s valuable death, Poeun is recognized as a loyal servant who complete his life span with the Koryo dynasty and his death is embodied based on Jeongmyeong(正名) idea. 4) In the type of allegiance, Poeun is regarded as Gochung(孤忠), Euisa((義士), and Yeolsa(烈士) and is embodied comparing baekee(伯夷) and Wen Tianxiang (文天祥). 5) In the type of morality, Poeun is rather praised for affecting the morality of the immortality on the next generation even if he died for the loyalty from having in the wrong century. It is natural aspect that Joseun dynasty s writers know the morality in Sonjukkyosi since Poeun is recognized as an ancestor of Neo-confucianism. 1) and 2) are general aspects and 3) and 4) highlight largely national crisis. It appears on patriot s psalms on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5) is highlighted in the psalms of confucianist. Joseon dynasty writers regard Sonjukkyo as a historial site where it reminds the Koryo dynasty and Poeun Jung Mongju. Sonjukkyo is a sacred treasure which presents allegiance and morality spiritually. The blood of Sonjukkyo makes the Poeun s death more sacred. Euppi is embodied as a medium which recalls Noksa s loyal towards a master Poeun with Sonjukkyo. Sonjukkyo is even more noted when chaotic circumstances and national crisis hit the end of the Josenon dynasty. At that time, Choi Ikhyun, Song Byeongseon, Kim Yunshik, and Jo Geungseop are active in embodying Sonjukkyo as a medium which involve the patriotic spirit.

      • KCI등재

        순흥 錦城壇 관련 詩文에 나타난 충절의식

        이정화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60 No.-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poetry considering the sincerity of King Danjong. Kemsengdaegun and deceased patriots were a loyal subject. Kemsengdaegun and deceased patriots were a classical scholar as study of human nature, Confucian ideas. According to Kemsengdaegun, the classical scholar's consciousness is not a far cry from lifetime. the classical scholar's poetry emphasize a single-hearted devotion. The poetry of Kemsengdaegun and deceased patriots is framed to the two types; symbol of an allegiance to King Danjong, symbol of a classical scholar of high principle and firm will. The poetry of a single-hearted devotion to King Danjong on related Sunheng Kemseongdan of Kemsengdaegun and deceased patriots revealed a cultural heritage of a classical scholar. Their poetry poeticizes a sincere heart gaining mental training of life and Confucianism. They are composed of thought on a noble undertaking in this poetry. The poetry with Sunheng Kemseongdan expresses their poetical words suggest that they are wanted to honor the memory of King Danjong, Kemsengdaegun and deceased patriots 금성대군(錦城大君)이 이치(籬置)되어 살아갈 때 순흥 지역의 선비들은 그와 뜻을 같이 하여 단종 복위 의거를 도모하였다. 이로 인하여 순흥부는 “반역향(反逆鄕)”으로 피해를 입었으니, 관아와 민가는 모두 파괴되었다. 심지어 멸문(滅門)의 화를 입은 가문도 발생하였다. 순흥 땅은 인근 고을에 분속되었다가 차후에 도호부로 복설되는데, 이때부터 10년(1693년)이 지나서 금성단을 조성하게 되었다. 금성단은 단종 복위 의거에 연루되어 순절(殉節)한 영령들을 위해 제사지내는 공간이다. 1719년에 부사 이명희가 1차 개수를 한 이후 금성단은 1742년에 2차 개수를 마치고 봄가을마다 제향이 이루어짐으로써, 충절을 표상하는 유교 성지(聖地)가 되었다. 금성대군은 「제격의도(題擊衣圖)」 시를 지어 만 번 죽더라도 군주의 은혜에 보답하는 것이 곧 “충(忠)”의 실천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기채우담득기(寄蔡雩潭得奇)」 시는 백이(伯夷)와 숙제(叔齊)의 삶을 흠모한 금성대군의 작품이다. 금성대군에게 백이, 숙제는 시대를 뛰어넘는 그리움의 대상이었음을 보여준 것이 이 시의 핵심이다. 「순흥적중견매유감(順興謫中見梅有感)」 시는 신하의 마음을 매화에 감정이입하고 있는 기법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순흥의 선비문화는 죽계를 중심으로 하여 고려에서 조선 그리고 지금 이 시대로 계승되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산자수명(山紫水明)한 죽계의 “풍류”와 안향의 “학문” 정신이 고려시대 순흥 지역 선비문화의 핵심이고, 소수서원의 “학문” 정신과 금성단의 “충절” 의식이 조화를 이룬 것이 조선시대 순흥 지역 선비문화의 핵심이며, “제향(祭享)”을 통한 유교문화의 계승 및 충절 지사(志士)에 대한 “현창(顯彰)”이 오늘날 순흥 지역 선비문화의 핵심이다. 현재 이 지역 선비문화는 풍류보다는 충절로써 더욱 더 견고해진 것이어서 순흥 선비문화의 정신적 뿌리는 바로 금성단에 있다고 하겠다. 참판 김진상이 지은 「금성단유감(錦城壇有感)」 시는 금성단에 참배하는 감회를 시각, 청각, 그리고 촉각의 세 심상에 담아 표출하고 있다. 이 시에 등장하는 두견이는 단종의 시에 등장하는 자규(子規)와 심정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왜냐하면 이 시의 공간이 바로 단종 복위 의거로 순절한 영령의 넋을 위무하며 그들의 충절을 잊지 않고 봄가을마다 제향(祭享)하는 장소이기 때문에 더욱 그러한 것이다. 조덕상의 「등금성단유감(登錦城壇有感)」 시는 살육의 현장이었던 죽계만이 변함없이 있을 뿐이며 그 밖의 모든 것은 재로 변해버린 폐순흥(廢順興)을 시화하였다. 또한 단종 및 그 충신들의 복권을 보며 기쁨과 감개의 눈물을 흘릴 수밖에 없음을 토로한 것이다. “춘래고목(春回古木)”은 압각수(鴨脚樹)가 다시 살아난 것을 비유한 시어이다. 압각수는 금성대군을 위시한 단종 충신들의 충절을 상징하는 신목(神木)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금성단은 금성대군, 이보흠, 그리고 지사들의 충절이 서린 성지(聖地)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문학(文學)) : 순흥 금성단(錦城壇) 관련 시문(詩文)에 나타난 충절의식

        이정화 ( Jeong Hwa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60 No.-

        금성대군(錦城大君)이 이치(籬置)되어 살아갈 때 순흥 지역의 선비들은 그와 뜻을 같이 하여 단종 복위 의거를 도모하였다. 이로 인하여 순흥부는 "반역향(反逆鄕)"으로 피해를 입었으니, 관아와 민가는 모두 파괴되었다. 심지어 멸문(滅門)의 화를 입은 가문도 발생하였다. 순흥 땅은 인근 고을에 분속되었다가 차후에 도호부로 복설되는데, 이때부터 10년(1693년)이 지나서 금성단을 조성하게 되었다. 금성단은 단종 복위 의거에 연루되어 순절(殉節)한 영령들을 위해 제사지내는 공간이다. 1719년에 부사 이명희가 1차 개수를 한 이후 금성단은 1742년에 2차 개수를 마치고 봄가을마다 제향이 이루어짐으로써, 충절을 표상하는 유교 성지(聖地)가 되었다. 금성대군은 「제격의도(題擊衣圖)」 시를 지어 만 번 죽더라도 군주의 은혜에 보답하는 것이 곧 "충(忠)"의 실천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기채우담득기(寄蔡雩潭得奇)」 시는 백이(伯夷)와 숙제(叔齊)의 삶을 흠모한 금성대군의 작품이다. 금성대군에게 백이, 숙제는 시대를 뛰어넘는 그리움의 대상이었음을 보여준 것이 이 시의 핵심이다. 「순흥적중견매유감(順興謫中見梅有感)」 시는 신하의 마음을 매화에 감정이입하고 있는 기법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순흥의 선비문화는 죽계를 중심으로 하여 고려에서 조선 그리고 지금 이 시대로 계승되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산자수명(山紫水明)한 죽계의 "풍류"와 안향의 "학문" 정신이 고려시대 순흥 지역 선비문화의 핵심이고, 소수서원의 "학문" 정신과 금성단의 "충절" 의식이 조화를 이룬 것이 조선시대 순흥 지역 선비문화의 핵심이며, "제향(祭享)"을 통한 유교문화의 계승 및 충절 지사(志士)에 대한 "현창(顯彰)"이 오늘날 순흥 지역 선비문화의 핵심이다. 현재 이 지역 선비문화는 풍류보다는 충절로써 더욱 더 견고해진 것이어서 순흥 선비문화의 정신적 뿌리는 바로 금성단에 있다고 하겠다. 참판 김진상이 지은 「금성단유감(錦城壇有感)」 시는 금성단에 참배하는 감회를 시각, 청각, 그리고 촉각의 세 심상에 담아 표출하고 있다. 이 시에 등장하는 두견이는 단종의 시에 등장하는 자규(子規)와 심정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왜냐하면 이 시의 공간이 바로 단종 복위 의거로 순절한 영령의 넋을 위무하며 그들의 충절을 잊지 않고 봄가을마다 제향(祭享)하는 장소이기 때문에 더욱 그러한 것이다. 조덕상의 「등금성단유감(登錦城壇有感)」 시는 살육의 현장이었던 죽계만이 변함없이 있을 뿐이며 그 밖의 모든 것은 재로 변해버린 폐순흥(廢順興)을 시화하였다. 또한 단종 및 그 충신들의 복권을 보며 기쁨과 감개의 눈물을 흘릴 수밖에 없음을 토로한 것이다. "춘래고목(春回古木)"은 압각수(鴨脚樹)가 다시 살아난 것을 비유한 시어이다. 압각수는 금성대군을 위시한 단종 충신들의 충절을 상징하는 신목(神木)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금성단은 금성대군, 이보흠, 그리고 지사들의 충절이 서린 성지(聖地)이다.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poetry considering the sincerity of King Danjong. Kemsengdaegun and deceased patriots were a loyal subject. Kemsengdaegun and deceased patriots were a classical scholar as study of human nature, Confucian ideas. According to Kemsengdaegun, the classical scholar`s consciousness is not a far cry from lifetime. the classical scholar`s poetry emphasize a single-hearted devotion. The poetry of Kemsengdaegun and deceased patriots is framed to the two types; symbol of an allegiance to King Danjong, symbol of a classical scholar of high principle and firm will. The poetry of a single-hearted devotion to King Danjong on related Sunheng Kemseongdan of Kemsengdaegun and deceased patriots revealed a cultural heritage of a classical scholar. Their poetry poeticizes a sincere heart gaining mental training of life and Confucianism. They are composed of thought on a noble undertaking in this poetry. The poetry with Sunheng Kemseongdan expresses their poetical words suggest that they are wanted to honor the memory of King Danjong, Kemsengdaegun and deceased patriots.

      • 명・청 교체기 국난극복의 주인공, 임경업의 영웅적 형상과 충절의식

        권혁래 용인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3 아시아문화학지 Vol.2 No.-

        임경업은 17세기 명・청 교체기라는 역사적 전환기에 충절의 삶을 실천 하여 조선과명 정부가 처한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려 한 인물이다. 이 논문에 서는 병자호란을 전후로 임경업의 실제 삶과 공적에 대해 살피고, 이를 고전소설 『임경업전』에 그려진 장수 형상과 대비해 살펴보았으며, 작품에 그려진 충절의식의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임경업은 충주 단월 출신이며, 의주 백마산성을 쌓아 전란에 대비하였고 병자호란 이후 명을 위해 싸웠으며, 나중엔 명에 망명하여 열정적으로 반청복명(反淸復明) 활동을 한 충절의 장수로 기억된다. <임경업전>은 임경업의 실전을 표방하고 있지만, 대부분 허구로 차 있다. 소설에서 임경 업은 호국에 맞서 명나라를 재건하려는 남명 정부의 구원장으로 그려진다. 임경업은 또한, 호국과의 전쟁이 일어나기 전에 성벽을 보수하여 무비(武 備)를 철저하게 했으며, 병자호란 때 볼모로 잡혀간 세자와 대군을 환국케 하는 임무를 완수함으로써 충절의 표상이자 국가적 영웅으로 승화된다. 임경업은 국가에 대한 충성심과 신념을 지키며 사는 삶의 최대치를 보여 주었지만, 현실을 변화시키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보여주기도 한다. <임경업전>에 그려진 임경업의 충절의식과 삶을 돌아보면서, 깨어 있는 개인은 현실의 변화를 살펴 진실을 찾으려 애쓰며, 자신과 가족의 삶을 지킬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생각하게 된다. In this paper, I examine the actual life and achievements of General Im Gyeong-eop, a figure who symbolizes the sense of loyalty in the Joseon Dynasty, and contrast this with the image of a general who opposed the Qing Dynasty and sought to restore the Ming Dynasty, a defender of the nation depicted in the classic novel Im Gyeong-eop-jeon. And, I looked at it and discussed the meaning of loyalty depicted in the work. Im Gyeong-eop-jeon is not a novel of Im Gyeong-eop's actual life, and is mostly filled with fiction. In the novel, Im Gyeong-eop is portrayed as the rescuer of the Nanjing Ming government, which is trying to rebuild the Ming dynasty against Qing Dynasty. Im Gyeong-eop also became a hero who preserved Joseon Dynasty by completing the mission of returning the Crown Prince and his brother who were captured to the Qing Dynasty during the Manchu War. Through this process of shaping, Gyeong-eop is sublimated into a symbol of loyalty and a national hero. Im Gyeong-eop showed the utmost in living a life of loyalty and belief in the country, but it shows that changing reality is difficult. As today's readers look back on the sense of loyalty and dedicated activities depicted in Im Gyeong-eop-jeon, need to think about that an awakened individual should be able to protect the lives of himself and his family by observing changes in reality and trying to find the truth.

      • <불굴가(不屈歌)> 연구 현황과 시사적 의의

        변종현 ( Byun Jong Hyun )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2021 加羅文化 Vol.30 No.-

        이 논문은 <불굴가>에 대한 기존 논의를 살펴보고, <불굴가> 관련 자료를 검토한 뒤, <불굴가>의 시사적 위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황패강의 <불굴가> 논문 발표 이후에 강전섭에 의해 반론이 제기되었으나, 학계에서는 대체로 대은의 <불굴가>를 인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비록 문헌 기록이 후손들의 세보(世譜)에 기록되어 전하기는 하나, 전해지는 기록을 소중하게 여겨 <단심가>와 더불어 고려말 충절을 드러낸 장시조로 인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불굴가>는 최초의 기록된 문헌이 1800년(정조 24)에 간행된 『경신보』잡록에 전하고 있다. 이 기록에는 <하여가>, <단심가>, <불굴가>를 다 함께 다루고 있다. 그러나 1617년(광해군 9) 심광세의『해동악부』에는 <하여가>와 <단심가>만 기록되어 있다. 포은이 순절 후 200여 년이 지난 후에 심광세가『해동악부』에 이방원과 정몽주가 시조로 자신의 의중을 드러내었다고 기록하였고, 다시 200여 년 뒤에『경신보』에 대은의 <불굴가>가 덧붙여진 채로 수록되어 있다.『경신보』에서는 성종 때 대은의 5세손 변희리의 <전가록>을 보고 기록했다고 하나 현재 <전가록>은 전하고 있지 않다. 만약 <전가록>이 나타난다면 대은과 포은의 사후 100여 년이 지난 후의 기록이기 때문에 세 시조 작품의 창작 배경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전하고 있는 시조들은 시조집에 전하는 대로 작자를 인정할 수 없는 작품들이 많다. 시조는 오래전부터 사대부 계층이나 기녀들에게 불려지다가 악부시집이나 시조집에 수록되었다. 이 과정에서 악부시집이나 시조 편찬자들은 구비전승되어 오던 시조의 작자를 수록하면서 오류를 범할 수 있고, 과거 역사에서 흥미 있는 이야기나 전해들은 이야기들을 재구성하여 수록하게 되었다고 여겨진다. 김저 사건은 고문을 통해 조작된 것이지만, 김저를 고문한 행위는 <불굴가> 형성 과정과 깊은 상관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즉, 변안열을 고문했다는 기록은 없지만, 변안열도 김저가 당했던 가혹한 고문 못지않게 가혹한 고문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고, 그런 과정에서 자신의 변함없는 충성심을 <불굴가>로 표현하였으리라 여겨진다. 대은의 <불굴가>와 포은의 <단심가>는 두 작품의 작가로 두 사람이 인정된다고 여겨지나,『해동악부』에 수록된 내용이나『경신보』에 수록된 내용은 좀 더 많은 자료를 바탕으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대은의 <불굴가>는 비록 한역되어 전하기는 하지만 장시조 형태로 전하고 있기 때문에 그 존재만으로도 획기적인 가치를 지닌 작품이다. <불굴가>는 문학사에서 장시조의 효시 작품으로 거론되고 있으며, 포은의 <단심가>와 함께 문무충절가(文武忠節歌)의 대표적인 시조로 문학사에 자리매김하고 있다. 즉, <단심가>는 짧은 노래(단시조)로 충절을 드러내었다면, <불굴가>는 긴 노래(장시조)로 충절을 드러낸 시조라는 것이다. 앞으로 <불굴가>에 대한 연구는 최초의 기록이 실려 있다고 언급된 <전가록>을 발굴하고, 관련 문헌들을 더 찾아내어 실증적인 자료를 통해 더 보완하여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 This paper looked at the existing discussion of "Boolgulga(不屈歌)", reviewed the data related to Boolgulga, and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Invincible". After Hwang Pae-gang's thesis on Boolgulga, Kang Jeon-seop raised a counterargument, but it can be seen that academia generally recognizes Dae-eun's Boolgulga" Although the records of the literature are recorded in the Sebo of the descendants, it can be seen that the transmitted records are valued and recognized as Jang Sijo(長時調). who revealed loyalty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Boolgulga is published in 1800 (the 24th year of King Jeongjo's reign) in the first recorded literature of the book, Gyeongsinbo(庚申譜). More than 200 years after Poeun's death, Shim Kwang-se recorded that Yi Bang-won and Jeong Mong-ju revealed their intention as a poet in the Haedongakbu(海東樂府), and again, more than 200 years later, Eun's Boolgulga was added to Gyeongsinbo. According to the Gyeongsinbo, it was recorded after seeing the Jeon Ga-rok(傳家錄) of Byun Hee-ri, the fifth-generation descendant of Dae-eun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 but the Jeon Ga-rok is not currently reported. If The Record of Jeon Ga-rok appears, it is the oldest record of the creation of the three sijo works because it is a record more than a hundred years after the death of Dae-eun and Po-eun. There are many works in which the author cannot be recognized as they are told in the collection of poems. Sijo has long been sung by the nobility and gisaengs, and has been included in Akbu poetry and sijo books. In this process, it is believed that the writers of Akbu poems and sijo compilers may make errors by containing the author of the old poem and reconstructing interesting stories and stories from past history. Dae-eun's Boolgulgal is believed to be a song sung by Byun An-yeol, who was involved in the Kimjeo incident, while being severely tortured. Dae-eun's Boolgulga and Po-eun's Dansimga(丹心歌) are considered to be recognized as two authors, but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Hae-dongakbu shinbo are considered to require empirical research based on more data. Dae-eun's Boolgulga has a significant value in its existence alone, as it is said to be in the form of Jang Shi-jo it is translated into Korean. Boolgulga is mentioned as a work of the filial piety of Jang Sijo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has established itself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s a representative poet of Moon Moo-chungjeolga(文武忠節歌) along with Po-eun's Dansimga showed loyalty with a short song, Boolgulga is a poem that reveals loyalty with a long song. In the future, the research on Boolgulga remains to be explored, found more related literature, and supplemented further through empirical data, which is mentioned as the first record.

      • KCI등재

        朝鮮時代 冶隱 吉再에 대한 인식과 위상

        이경동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3 嶺南學 Vol.- No.84

        이 연구는 조선시대 야은 길재에 대한 인식과 위상 변화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시대적 의미를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선초기 길재는 고려에 대한 忠節을 지킨 인물로서 평가되었다. 길재는 정몽주와 함께 충절과 관련한 상징적인 인물로 표상되었다. 16세기를 전후로 사림에 의해 정몽주-길재-김숙자-김종직-김굉필-조광조로 이어지는 동방 도통의 계보가 확정되면서 길재는 충절자뿐만 아니라 도학자로서의 위상을 갖출 수 있었다. 이는 조광조로 대표되는 士林派의 정치적․학문적 정당성을 갖추어가는 과정 속에서 전개되었으며, 길재는 정몽주와 조선시대 학자들을 잇는 매개 역할을 하였다. 조선후기 길재에 대한 인식은 관련 지역의 현창, 행적에 대한 평가, 국가 및 민간 차원에서의 해석의 분화 등으로 요약된다. 善山, 仁同, 錦山 등 길재와 관련된 지역을 중심으로 書院이나 祠宇가 건립되면서 길재를 현창하는 활동들이 확인된다. 길재를 배향하는 金烏書院, 吳山書院, 淸風祠 등이 이 지역에 건립되었으며, 길재의 행적을 정리하는 문집 편찬 작업도 동시에 진행되었다. 이와 함께 길재가 고려말 관료로 활동했었고, 이후 조선에서는 출사를 거부했던 출처에 대한 논란도 발생했다. 이에 대한 논란은 길재의 행위를 비판하는 것에서 출발했지만, 최종적으로는 비판에 대한 재비판 과정에서 길재의 위상은 한층 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1738년 길재에게 ‘忠節’이라는 시호가 내려지면서 국가 차원에서 충절과 관련한 그의 위상이 공고화되었으나, 다른 한편에서는 충절로 국한된 평가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공존하는 등 길재에 대한 평가가 다채롭게 전개되어 갔다.

      • KCI등재

        소무蘇武의 충절의식이 한국문화에 끼친 영향

        장윤수(Jang, Yun-Su) 동양사회사상학회 2009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

        한국과 중국은 가까운 거리에서 오랜 시간 문자를 같이해 왔고, 사상을 같이해 왔다. 그러므로 한국인과 중국인은 그 누구보다도 문화적 상근성相根性을 확보하고 있으며 서로를 잘 이해하고 있다. 비록 최근 한 세기 동안 두 나라에 불어 닥친 엄청난 변화들로 인해 두 나라의 문화가 상당 부분 이질성異質性을 띠기도 했지만, 두 나라 사람들이 갖고 있는 전통문화는 여전히 서로를 잘 이해할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이 논문의 목적은 소무蘇武의 충절의식이 한국문화에 끼친 영향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소무는 중국이 자랑하는 충절지사忠節之士일 뿐만 아니라 전통사회 한국인들이 존숭하던 삶의 모델이기도 하다. 소무가 보여 준 빛나는 충절과 역경을 이겨내는 인내심은 분명 오늘에 있어서도 상당한 의의를 가지며, 특히 한․중 두 나라 사람들에게는 서로를 좀 더 가깝게 이해할 수 있는 문화적 계제階梯가 될 수 있다. Korea and China use equal character and shared similar thoughts for a long time as the adjoined country. Therefore, Korean and a Chinese are having more cultural similarity, and understand well each other than anyone. There were a lot of changes in the two country during last one century, culture of the two country also changed much so. However, traditional culture of two country people is still important channel that understand each other. As well as Su-Wu is person of loyalty that the China is proud of, it is model of life that tradition society’s korean people respect. The Spirit of Loyalty of Su-Wu and endurance which overcome adversity gives us a lot of impression today. Specially, Su-Wu is bridge which Korea and China two country people make each other intim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