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영어교사의 정체성 발전을 위한 교사교육 모형 개발 및 적용

        안경자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8 한국초등교육 Vol.29 No.1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acher education model for the identity development of primary English teachers. It also examines the effects of the model on th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when it was applied in a teacher education course. In addition, the teachers’ perceptions of English teacher identitie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ir identities were investigated. The participants were 18 graduate students registered in a class on second language teacher education taught by the researcher. Pre- and post-survey responses, autobiographic essays, and reflective journals were collec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pplication of the teacher education model helped the participants to understand the theory, practice, and research in English teacher education as well as to reflect on and develop their identities as English teachers. Also, the teacher education course facilitated the teachers’ awareness of primary English teachers’ role identities and field-based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Thus, the teacher education course provided the teachers with various professional development opportunities. Secondly, the teachers realized English teacher identities existed distinct from homeroom teacher identities and indicated that their English teacher identities changed and developed in their relationships with students, other teachers, and administrators within the context the teachers were located. Thirdly, the teachers revealed the identities of nonnative English teachers, teacher learners, teacher researchers, and English users as well as of primary English teachers. Lastly, the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ies were affected by factors connected with the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English and English instructional skills), institutions (whether they taught English as English subject teachers or as homeroom teachers, teachers’ relationships and co-teaching with native English teachers, learners’ proficiency levels and responses to teachers’ instruction, working conditions of the schools where the teachers were employed),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ey had participated in (program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tensive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other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the macro-structur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and English educational polici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eachers, teacher educators, and policy makers regarding English teacher education, development of English teacher identities, and English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초등영어교사들의 정체성 발전을 위한 교사교육 강좌를 개발하여 적용한 효과를 고찰하고, 초등영어교사들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했다. 모형이 적용된 강좌를 수강하는 초등교사 18명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조사 및 자서전적 에세이, 1, 2차 성찰일지 및 사후 설문조사로 수집된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영어 교사교육 모형을적용한 결과 교사들은 초등영어 교사교육의 이론, 실제 및 연구에 대한 인식을 고양하게 되었고, 초등영어교사 정체성을 성찰하고 발전시키게 되었다. 또한 초등영어교사 역할 정체성을 명시화하게 되었고, 초등영어교사들의 현장 기반 소통이 향상되었다. 이처럼 교사교육 모형이 적용되면서 초등영어교사들은 전문성 신장의 기회를 가졌다. 둘째, 교사들은 초등영어교사 정체성이 교사들이 처한 맥락 안에서 학생, 교사, 관리자와의 관계 속에서 확립되며 변하고 발전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담임교사 정체성과는 구별해 인식했다. 셋째, 교사들은 초등영어교사 정체성 이외에도 비원어민 영어교사, 교사학습자, 교사연구자, 영어사용자의 정체성도 드러냈다. 넷째, 초등영어교사 정체성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개인적 배경요인(교사의 영어능력 및 영어교수능력), 근무 학교(영어전담교사 여부, 원어민 교사 및 원어민 교사와의 협력수업, 학습자 수준 및 반응, 근무 학교 맥락), 교사교육 프로그램(대학원 프로그램, 심화연수 등 직무연수) 및 국가의 거시적 맥락(국가교육과정 및 영어교육정책)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결과는 영어 교사교육, 영어교사의 정체성 형성과 발달 및 전문성 신장과 관련해 교사, 교사교육가 및 정책입안자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영어교육 경력에 따른 영어교육 전문성 인식 연구

        송미사 ( Mi Sa Song ),정혜영 ( Hye Young Ch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5 초등교육연구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영어교육 경력에 따른 초등교사들의 영어교육 전문성에 대한 인식차이를 알아보고자 초등교사의 영어교육 전문성에 대한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초등교사 영어교육 전문성 구성요소’를 언어적 유창성, 수업계획, 실천, 지식, 전문성 발달 노력의 5가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영어교육 경력 1~3년, 4~6년, 7~18년, 9~30년, 31년 이상으로 나누고 각 경력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초등교사의 영어교육 전문성의 경력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은 영어교육 경력이 높아질수록 ‘교사의 시각’에서 ‘학생의 상황과 눈높이’에서 수업을 바라본다. 둘째, 초등교사들의 영어교육 경력이 높아질수록 초등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은 ‘영어교육 중심’에서 ‘초등교육 중심’이 된다. 셋째, 초등교사들의 영어교육 전문성 발달을 위한 방법으로 초등 영어과를 기반으로 한 연구 활동 및 교사 간의 공식적, 비공식적 상호교류는 매우 중요하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초등교사들의 경력에 따라 영어 교육 전문성이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밝힌각 경력별 특징에 맞는 다양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t aspects of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n the good English teaching at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five developmental stages of their teaching experiences. For the research, total of 15 elementary teachers having English teaching experiences at school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in-depth.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od English teaching at elementary school were found as follows. First, as they``re having more teaching experiences their conceptions of good English teaching had been changed from teachers`` to children``s viewpoints. They attempted expanding and transferring the content from their focus on the English curriculum itself to more consideration of the elementary curriculum in general when they taught English. And it was very important and critical for teachers to involve in research activities and formal and informal mutual interchange among teachers since it helped to improve their English expertise.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reflecting upon their developmental stages in English teaching expertise they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areas of linguistic proficiency, lesson planning, teaching practice, knowledge, and staff development. It needs to provide the customized programs of staff development for teachers reflecting their developmental stages in English teaching expertise and to have further research on the area.

      • KCI등재

        농촌 초등 6학년 8명의 영어 미술 교과 통합수업에서 영어책 만들기 실행연구

        이경화(Lee, Kyounghwa),오마리아(Oh, Mari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최근에 초등 영어교육학계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내용 언어 통합 초등 영어교육을 농촌 초등학교 현장에서 수행한 실행연구이다. 영어학습 환경이 취약한 전라북도 농촌 초등학교에서 6학년 교사 겸 연구자가 담임반 학생 8명의 영어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2019년 가을학기에 영어와 미술 교과 통합수업을 시행하였다. 영어학습 흥미도와 자신감이 낮았던 학생 8명의 흥미도와 자신감 향상을 목적으로 수행된 본 실행연구의 연구 결과는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하는 동안 학생 8명의 영어학습 흥미도와 자신감이 소폭 향상되었다. 두 번째 결과는 학생 8명이 8가지 다양한 양상으로 활동에 참여하였고 교사는 학생마다 요구에 따라 보조자 임무를 수행하였다. 세 번째 결과는 학생들과 교사 모두 인쇄된 영어책을 받아보고 감격했지만 NH(가명)****는 자신의 책을 겨우 읽을 수 있고 친구들의 영어책은 읽을 수 없어서 마냥 기쁘지만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하는 바는 초등 6학년 학생들의 영어학습 흥미도와 자신감 신장 관련 연구는 최소한 한 학기 이상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 중에 초등학생들이 활용했던 온라인 통번역기와 온라인 포토북사이트 등을 초등 영어교육에 적극 활용하는 연구도 제언한다. 미래 인재 역량으로 매우 중요한 온라인 영어 의사소통 능력 개발을 위한 온오프라인 통합교과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온라인 번역기와 온라인 포토북 만들기 등 온라인활동을 통한 초등 영어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This is an action research study on 8 sixth graders’ online English book making at English and Fine Arts Integrated Class in J (pseudonym) elementary school in rural Jeollabuk-do. The main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report how a sixth grade homeroom teacher and researcher conducted a fine arts and English integrated class using an online photobook-making site in the fall semester of 2019 with her eight students. Thre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did the sixth graders in rural elementary school develop their interest and confidence in English learning while participating in online photobook-based English book making activities?; (2) How did eight rural elementary school sixth graders and their teacher participate in online photobook-based English writing activities? (3) How did the eight students and teachers respond to the printed English books they made?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est and confidence of eight students in English learning were slightly improved during the study. The second result was that eight students participated in activities in various ways, and the teacher became an individual assistant to meet the needs of each student. The third study result is that 7 students and teachers became so excited when they finally were able to read their printed English books, but NH became regrettable because she could not read her friends’ English books. The three results indicate that it takes much longer time than one semester to improve Korean rural-area primary school students’ interest and confidence in English learning. Based on the study results follow-up study topics are suggested for scholars who are interested in content and language integrated learning with Korean prim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온라인 초등영어 수업의 방향: 온라인 영어 수업에 관한 초등학습자들의 인식도 조사

        최가영 ( Choi¸ Gayoung ),윤택남 ( Yoon¸ Tecnam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코로나로 인하여 학교에서는 본격적인 온라인 수업에 돌입하게 되었고, 이에 교육계에서는 많은 혼란을 겪게 되었다. 특히 상호작용 활동이 배제된 상황에서 영어 교과의 경우 그 특성상 교사와 학생들은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영어 수업에 대한 초등학습자들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온라인 영어 수업의 실태와 개선점을 알아보고, 바람직한 온라인 영어 수업의 방안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강원도의 N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4~6학년 268명이 참여하였으며, 연구 도구로는 온라인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설문지는 온라인 수업 및 수업구성과 활동의 선호도, 온라인 영어 수업에 대한 만족도 및 난이도로 구성되었다. 결과는 자모비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양적으로 분석되었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습자들의 온라인 영어 수업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초등학습자들은 온라인 영어수업보다 대면 영어 수업을 훨씬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습자들이 온라인 영어 수업에서 선호하는 수업 구성은 영어 교사가 자체 제작한 수업 영상이었으며, 활동은 게임 활동으로 수업이 진행되는 것이었다. 셋째, 온라인 영어 수업 자체에서는 수업 구성 측면에서 대체로 만족하였으나, 난이도 측면에서는 ‘대체로 쉬웠다.’고 답하면서 적절하지 않다고 답하였다. 넷째. 성별 및 학년에 따른 온라인 영어 수업 만족도 및 난이도 차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영어 수업을 직접 수강하는 학습자의 관점을 반영하므로 미래의 감염병 상황에 대비하여 온라인 수업을 설계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영어 교과에서는 비대면이라는 한계를 극복하여 수업 효과를 극대화하며 양질의 온라인 수업을 확보하기 위한 교육 당국 및 관계자들의 많은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As COVID-19 made remote learning a new norm, every party involved has been going through trial and error in its implementation. To improve the situation calls for more scholarly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imary students’ perceptions on online English education and thereby to identify better approaches to this new mode of English learning. As for the methodology, researchers surveyed 266 students between grades four and six in 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angwon Province.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consisted of questions concerning satisfaction levels and difficulty levels in online English education, and preference between online and face-to-face learning. For the data analysis, the Jamovi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dminister the frequency and descriptive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as well as One-Way ANOVA. The finding are as follows: First, the survey takers far preferred face-to-face English learning to the online counterpart. Second, between the video instructions given by their own English teachers and those from outside sources, primary students preferred the former; and their favorite class activity was playing games. Third, they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online English learning as such but found it not difficult enough, not with difficulty levels. Forth, the personal variables of gender and grade did no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and difficulty levels in online English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se findings, as representing the views of learners themselves, will serve as an important resource for coping with the infectious disease-caused challenges of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e study could also clearly remind English teachers that they need to make every effort to give high-quality instructions even in the difficult reality of remote learning.

      • KCI등재

        초등 4학년 26명의 영어학습 흥미도 발달을 위해 모바일 앱 활용 영어활동 적용 실행연구

        오마리아,채송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3

        목적 본 실행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지방 초등학교 4학년 학생 26명의 영어학습에 대한 흥미를 높이기 위하여 담임교사가 수업에서모바일 앱 활용 영어학습 활동을 소개하고 지원할 때 학생들의 영어학습 흥미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많은 이론가와 학자들이 모바일 앱 기반 영어학습의 유망한 효과를 제시하고 있지만, 국공립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들의 모바일 앱 기반 영어학습을 돕는 현장 교사의 실행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이런 선행연구 공백을 메우기 위해 본 실행연구가 수행되었다. 방법 전형적인 질적 연구인 본 실행연구는 질적 연구방법론에 따라 계획되고 수행되었는데, 수업이 진행되는 전 중 후에 데이터가수집되고 분석된 후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2022년 봄학기 동안 남부지방의 초등학생 26명은 담임교사와 함께 정규 수업이 시작되기 전 매일 아침활동 시간 30분 동안과 일주일에 한 번 동아리 수업 40분 동안 모바일 앱 기반 영어학습 활동을 수행하였다. 교사가소개한 네 개의 모바일 앱을 자율적으로 활용하는 영어학습 활동을 학생들이 수행하는 동안과 영어학습 활동 전, 후에 기록된 교사관찰 보고서, 설문 조사 결과 및 인터뷰 데이터가 수집되었고 질적 연구방법론에 따라 분석되었다. 결과 첫 번째 결과는 26명의 학생 거의 모두가 Youtube 앱을 사용하여 영어 노래 부르는 영어학습 활동을 좋아했다는 것이다. 두번째 결과는 학생 대부분은 네 가지 영어학습용 앱 중에서 리틀팍스 앱의 Dino Buddies 시리즈와 Kahoot 단어퀴즈 앱을 가장 좋아하고, 영어학습 자율성이 낮은 학생들은 ‘FunEasyLearn’ 영어 단어 익히기 앱 활동을 제일 좋아했다. 세 번째 결과는 설문조사 데이터에서 26명 중 5명의 학생이 영어학습에 대한 흥미도가 연구 참여 중에 미미하게 개선되었으며 21명의 학생은 연구에 참여하는동안 영어학습 흥미도가 대체로 향상되었다는 것이다. 네 번째 결과는 모바일 앱 활용 영어학습에 대한 선호도가 영어학습 흥미도향상 정도에 따라 학생별로 매우 다양하였다는 것이다. 결론 한 학기 동안 모바일 앱 활용 영어학습을 수행한 26명의 학생들이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가 다양하게 발달하였고 모바일앱 활용 영어학습 활동에 대한 선호도가 다양했다는 연구결과는 모바일 앱 활용 영어학습 지도는 개인별로 매우 섬세하게 수행된다면 효과적일 것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모바일 앱 활용 영어교육은 학생 개개인의 학습자로서의 특징, 자율성, 성격, 영어 능력 수준 등에 맞추어 섬세하게 계획되고 시행된다면 학습효과가 극대화될 것임을 예견할 수 있다. 특히 영어 학습자로서의 자율성이 낮은 학생 대상으로 모바일 앱 활용 영어교육을 수행할 때는 개인별 학습 도우미나 보조교사로 필요하다고 할 수있다. 한국 초등학생 대상으로 모바일 앱 기반의 초등 영어 교육 전망은 위드코로나 시대에 매우 희망적이지만 언제 어떻게 활용되어야 더 효과적인지 모바일 앱 기반 초등 영어교육의 한계점은 무엇인지 등에 대하여 많은 연구자들의 다양한 연구가 절실하게 필요한분야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학습자 중심 영어과 수업을 위한 교육과정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제7차 초등 영어과 교육과정 적절성을 중심으로

        길형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3 No.2

        정규과목으로서의 영어교과가 제 7차 교육과정으로 개편되면서, 초등 영어가 학습자 중심의 교육에 더욱 초점을 맞추면서 학습자의 개인차를 중시하고 의사소통능력을 중시하며, 활동중심, 과업중심의 영어교육, 창의력을 중시하는 영어교육으로 방향을 맞추게 되었다. 이 같은 방향에 따라 제 7차 초등영어교육의 목표는 수준별 학습(심화․보충형 수준별 수업), 의사소통기능, 언어기능, 문화 영역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며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내용 체계를 담고 있다. 내용 체계에서는 언어기능이 이해기능과 표현기능으로 구체화되었고, 의사소통기능에 관한 포괄적인 내용이 제시되었으며, 언어 재료를 통해서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위한 문화와 가치관 등을 포함한 소재, 음운 변화, 어휘, 단일문장의 길이 등에 관한 사항이 진술되어 활동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이제는 이러한 내용 체계를 근거로 교과서가 제작되어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학습자 및 교사들의 지역적인 특수성, 학습자의 다양한 수준,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 그리고 학습자나 교사들의 요구들이 잘 반영되어 있는지,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가 현장 적용시 제반 문제점은 없었는지 검토하는 일이 필요한 시기다. 이는 앞으로 개정될 교육과정에서는 교사와 학습의 주체인 학생들의 요구 사항이 잘 반영되어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는데도 필요한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 초등 영어과 전반에 걸쳐 면밀한 분석을 하고자 하는데, 그 영역은 크게, 교육과정의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부분이며, 교재 분석과 더불어 제7차 초등 영어 교육과정에 대해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견해와 요구 사항을 설문 조사를 통해 알아보고, 교육현장의 현실과 여건을 반영한 새로운 초등영어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 fold: to evaluate the relevance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retrospectively and to cast a forward look at the possible revision of the curriculum as to what to teach, how to teach, and how to assess the achievement of curriculum objectives. To attain the goals of study,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survey teachers\ and students\ opinions on the contents, methods and assessment of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English curriculum via textbooks and teacher\ s guide they have used at least one year. 150 teachers and 667 students have responded to the survey, and the results of closed questionnaires are analyzed statistically and open questionnaires are classified qualitatively. The findings for each field are as follows: (1) content area ① The distribution of communicative functions needs to be balanced to achieve the communicative objectives. ② Number of words exposed to students needs to be better graded so that students are able to master new words appeared in each lesson. ③ Cultural tips provided in teacher\ s guide need to b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lesson material for a given class hour. ④ Achievement standards need to be reduced in its number of items and its abstract statement. Instead, they need to be more detailed so that they are observably adequate. (2) method area ① Lessons should be introduced with motivational elements relevant to the lesson objective. ② Role play types need to be expanded in its variety so that they can provide opportunity for meaningful communicative practices. ③ Groupings need to be diversified to cope with each lesson objective. ④ Supplementary learning materials need to be provided in separate kit instead of being attached to the textbook which make the materials one time use only. (3) Assessment area ① Assessment guidelines need to be presented with examples and evaluation criteria. ② Performative evaluation was encouraged to assess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but most teachers felt that it\ s difficult to apply the performative evaluation for large classes.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 영어 공교육이 학생들의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진경애,한종임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2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started in 1997, and it has been evaluated as being successful. As the enthusiasm for English education increases due to globalization, the possibility of providing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for first and second graders (English education currently starts in the third year) has recently been examined. However, this early introduction of English to students has been criticized for introducing a foreign language that could affect the identity of the learners. Therefore, the current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early English education on the national and language identity of learners. The 1,664 students in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surveyed with regard to national and language identity before and after the semester, and only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posed to English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dent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is indicates that early introduction of English does not affect the learners' identity. 1997년 초등영어교육이 공교육에서 처음 도입된 이후 학생들의 영어 능력 및 흥미도와 관련하여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힘입어 최근 국제화와 함께 영어교육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 보다 높고 사교육비 중 영어가 차지하고 있는 비율이 높은 환경에서 정부에서는 영어 공교육 강화 정책의 하나로 초등 1, 2 학년 영어 교육 도입에 관한 검토를 한 바 있다. 정책 검토 과정에서 조기 영어 교육 (초등 1,2학년 영어교육)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는 측에서는 조기 영어 도입이 학생들의 정체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기 영어 교육이 초등학생들의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교과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연구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학교와 협력학교 학생들 총 1,664명을 대상으로 조기 영어 교육 전후에 학생들의 국가에 대한 정체성과 모국어에 대한 정체성에 변화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설문을 통한 정체성에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조기 영어 교육에 학생들의 국가 및 언어에 대한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대상 영어-SW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사전 연구

        김지나,진송화 한국정보교육학회 202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4 No.3

        본 연구는 초등 자녀를 둔 학부모들의 SW교육에 대한 인식·수요 조사를 기반으로 초등학생 대상 SW-영어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설계하기 위한 사전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자녀로 둔 학부모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학부모는 SW교육의 중요성 및 초등 5·6학년 대 상 SW 의무교육 지정에 대해서 높은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현행의 17시간의 의무교육 시수가 부족하 다고 인식하였으며, 동시에 저학년부터 SW교육이 시작되길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W-영어 융합교 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SW교육과 영어교육을 동시에 배우는 SW-영어 융합캠프에 대한 참여관심도가 높았다. 특히, 참여시 2주간의 교육 기간 선호와 SW교육과 영어교육 비율은 6(SW):4(영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지역별 분류에서도 저학년부터 SW교육 도입의 의견과 SW-영어 융합캠프 참여시 2주간의 교육 기간을 선 호와 일일 2시간 교육이 적당하다고 하였다. 한편, 지역별 SW교육 기관의 선호 측면에서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서울·경기지역은 초등학교 방과 후 수업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으며, 충청지방은 인근 대학 연계 SW교육을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각 교육기관 및 교육자들은 SW-영어 융합교육에 대한 프로그램 설 계 및 지역별 요구에 알맞은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parents in order to develop a softwar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convergence with English.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120 parents asking perceptions about SW education in schools and preferences about English-SW convergence programs for thei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results shows that the parents think the current 17 hours of SW education provided at elementary schools is not enough and also they hoped the education started at an earlier grade than the current 5th· 6th graders. Most parents perceived English is helpful in SW education and answered strongly for the need of English-SW convergence programs. A two-week program with the ratio of 6(SW):4(English) was the most preferred according to the study. As for regional differences, the par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anted SW education as after-school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s whereas, parents in Chungcheong Province expected SW education programs be provided from near-by universities. It is hoped that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ous English-SW education programs are developed and operated.

      • KCI등재

        초등학교 영어교과전담제 운영 실태 연구

        이도연 ( Lee¸ Do Yeon ),임희정 ( Ihm¸ Heejeo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영어교과전담제 운영 실태, 초등학교 영어교과전담제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현직 초등학교 교사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응답 결과를 빈도 분석, 카이스퀘어 검정, 변량 분석의 통계로 분석하였다, 또한, 영어교과전담 교사의 전문성과 자질, 초등학교 영어교과전담제의 문제점, 초등학교 영어교과전담제 개선방안 등을 면밀하게 조사하기 위해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대부분의 학교에서 영어교과전담제를 운영하고 있었으며, 영어교과전담 교사 배정의 기준으로 영어전담 경력이나 영어지도 전문성을 고려하기보다 외부적 요인을 고려하여 영어전담을 배정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역과 학교 규모에 따라 운영 실태가 다르고 일관적이지 않게 운영되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영어교과전담제에 대한 교사 인식을 조사한 결과 영어교과전담 교사를 선호하는 이유로, 담임 업무 경감, 교재연구 시간의 단축 등의 이유를 꼽았다. 또한, 영어교과전담 교사를 선호하지 않은 이유로 자신의 영어 전문성 부족을 이유로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영어교과전담 교사 배정 문제점으로 교과 전문성을 고려하지 않은 영어교과전담 교사 배정, 교재교구 및 전용시설 부족, 일정한 배정 원칙 없이 관리자가 임의로 영어교과전담 교사를 배치함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영어교과전담제 개선을 위해 교과전담교사 배치기준의 재정립, 교과전담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지원, 영어교과전담 업무에 집중 할 수 있는 수업 지원 등이 필요하다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 영어교과전담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나아가 후속 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 밝혀진 영어 교과전담제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영어교과전담 교사 배정원칙을 마련하여 초등영어 교육 현장의 발전에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English teacher system for elementary schools has been managed and to suggest improvements to develop the system.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o 110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respons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s of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d variance analysis. In-depth interview was also conducted to the teach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most of the schools have operated the English teacher system, and there was a problem in assigning English teachers in consideration of external factors rather than considering English-only experience or English teaching expertise as a criterion for assigning teachers in charge of English subjects. It could be inferred from the results that the operating conditions were different and inconsistent depending on the region and school size. As a result of examining teachers' perceptions of the English teacher system, the reasons for preferring a dedicated teacher were the reduction of the homeroom work and the shortened study time for textbooks. The result also pointed out that the lack of English proficiency was the reason teachers did not prefer to be dedicated to the subject. Lastly, as a problem with the assignment of teachers, there was a high rate of assignment of teachers in charge of English subjects that did not consider subject specialization, lack of teaching materials and dedicated facilities, and that administrators randomly assigned teachers in charge of English subjects without a fixed assignment principle.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re-establishment of the assignment criteria for subject teachers, support for training programs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subject teachers, and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