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들을 위한 시창·청음 교육에 관한 인식 조사

        함인아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6 음악교육공학 Vol.- No.29

        Sight singing and ear training are ones of the core preservice music teacher education courses and are regarded as fundamental competenc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music teachers’ perceptions towards the need, contents, and methods of sight singing and ear training as preservice music teachers education. The draft of questionnaire was first developed for the research, reviewed by three experts, revised a few times, and the questionnaire was completed,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need, contents, and methods of sight singing and ear training. A total 101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ut to music teachers for the survey, and 84 were returned back. Numerical data were stored using SPSS softwar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data revealed that high rate of those questioned agreed sight singing and ear training education as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courses were crucial. The current contents and methods of sight singing and ear training were not highly satisfied by those questioned. As a result, three suggestions are proposed. First,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materials need to be developed and improved. Second, education of sight singing and ear training is required to be conducted with other music courses. Third, sight singing and ear training need to be combined for integrated music curriculum. 본 연구는 예비음악교사들을 위한 시창·청음 교육의 필요성, 내용, 방법, 그리고 방향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전국의 10개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시창·청음 교육의 현황과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본 연구를 위한 기초 설문을 설계하였고, 전문가 3명의 검토를 거쳐 수정 후, 최종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현재 예비음악교사들은 교사자격 양성기관에서 제시하고 있는 시창·청음 교육의 방향을 비판적 사고 없이 따라가고 있을 수 있다는 판단 하에, 조사 대상을 현직 음악 교사로 정하였고, 2016년 열린 1급정교사 자격연수 과정에 참가한 총 101명의 음악 교사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84장의 설문지가 수거되어 83%의 수거율을 보였고, 통계 처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과에 대해 빈도분석과 교차분석(x2)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를 토대로 예비음악교사들을 위한 시창·청음 교육의 필요성, 내용, 방법에 대한 실태 분석과 인식, 그리고 실천적 방향을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예비음악교사들을 위한 다양하고 효율적인 시창·청음 교육의 교수법과 교재가 개발되어야 하고, 다른 음악과목과 연계한 시창·청음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시창과 청음의 통합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日本書紀 全濁上聲字의 去聲合流와 次淸音字의 去聲優位에 대하여

        이성근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2 비교일본학 Vol.54 No.-

        日本書紀 區分論과 관련해서 先行硏究에서 지적되어온 日本書紀 全濁上聲字의 去聲合流 와 次淸音字의 去聲優位에 대하여 재검토해본 결과 다음과 같다. 1) 森博達씨는 α群에서 全濁上聲이 去聲과 함께 기피되고 있는 것은 α群의 原音인 中國 北方音에서 全濁上聲字가 去聲으로 合流한 것을 반영한 결과라고 하고 있지만, β群에서도 全濁上聲字는 平聲・去聲에 비해 여전히 낮은 비율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全濁上聲의 기피 현상은 α群・β群에 모두 나타나는 공통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β群에서도 동일한 설명이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더 검토가 필요한 사항이다. 2) 高山倫明씨는 「β群의 去聲字優位에 대하여, α群의 上聲字優位」를 주장하였는데, 이 러한 주장은 매우 적절한 것으로 보이어진다. 3) 위 2)와 관련하여, 森씨의 1991년 논문에서는 「α群聲調表記者는 당시 中國原音의 去聲 이 현저한 上昇調이었기 때문에 이것을 기피하였다」는 설명을 하고 있다. 그러나 日本書紀 去 聲次淸音에서 나타나는 것을 a聲・b聲・c聲과 비교해 볼 때 c聲(上昇調)은 거의 없으며, a聲(低 平調)도 많이 보인다. 따라서 書紀에 나타나는 調値는 이것과는 아무런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書紀가 완성되기 이전의 것이 답습되어온 결과라고 할 수 있다. 4) 次淸音字의 경우 α群에서는 牙音에서만 나타나지만, β群에서는 牙音이 절대적인 우위 를 차지하고 있지 않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書紀α群은 中國原音에 있어서 牙音 次淸音字의 有氣性의 弱化를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朝鮮漢字音資料에서도 牙音에 한해서만 次 淸音인 「ㅋ(kʿ)」이 아닌 「ㄱ(k)」으로만 나타난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results of a study about the confluence of the sounds within Kyosho(去聲) in Zendaku-Josho(全濁上聲) as well as the superiority of Kyosho(去聲) in Jisei`on(次淸音) from Nihonshoki(日本書紀).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Japanese linguist, Mr. Mori Hiromichi stated that the avoidance of Zendaku-Josho (全濁上 聲) with Kyosho(去聲) in group-α was the result of the sound of Kyosho(去聲) from Zendaku- Josho(全濁上聲) joining at the northern region of China. However, there are a low proportion of Zendaku-Josho (全濁上聲) to Hjōsjō(平聲) in Kyosho (去聲) in group-β as well as group-α. This shows that the avoidance of Zendaku-Josho is a common phenomenon in both group α and β. Therefore, a closer study on group-β for the same explanation is recommended. 2) The conclusion reached by Mr. Takayama Michiaki about the superiority of Kyosho(去聲) in group-β and the superiority of Josho(上聲) in group-α seem likely and conclusive. 3) According to 2), Mr Mori’s thesis of 1991 “the speakers intonation in group-α avoided using Kyosho(去聲) in the Chinese original sound because of its prominent rise”. There are however, small C-sounds(上昇調) and multiple A-sounds(低平調) in comparison with the A・B・C -sounds within Nihonshokikyosho(去聲) and Jisēon(次淸音). Therefore, there is no relevance to Chyōchi(調値) or Shoki(書紀) sounds. 4) Jisei`on(次淸音) appears only as velar sounds in group-α. Therefore the velar sounds don`t get a dominant position in group-β. Group-α in Shoki(書紀) reflects the weakness of Jisei`on (次淸音) an aspirated velar sound, in the original Chinese sound.

      • KCI등재

        창의적인 시창ㆍ청음 프로그램을 위한 교수ㆍ학습 전략 연구

        박영주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3

        본 연구는 창의적인 시창ㆍ청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학습자 중심의 시창ㆍ청음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다양한 교수ㆍ학습 전략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시창ㆍ청음에 대한 특징과 기존의 교수ㆍ학습 방법에 관해 비교ㆍ분석하였다. 이후 관련 내용의 특징들을 유목화하여 다음과 같은 의미 있는 전략 을 제안하였다. 첫째, 모둠별 활동을 통한 수업환경의 다양화 및 MyEarTraining과 Musescore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학습 환경을 구축하여 학생 중심의 수업환경을 제안하였다. 둘째, 다양한 교수ㆍ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시창ㆍ 청음 능력 향상은 물론 예비 교사로서 자질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수ㆍ학습 전략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창의적인 시창ㆍ청음 프로그램을 위한 구체적인 교수ㆍ학습 과정안 개발에 있어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써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to provid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o develop a creative sight-singing and ear-training program that aims to design student-centered education.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ght-singing and ear-training as well a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analyz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following meaningful strategies were derived. First, a student-centered teaching environment was promoted by diversifying the teaching environment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and establishing a sustainable learning environment using MyEarTraining and Musescore applications. Secon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were proposed to improve sight-singing and ear-training skills by applying for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cultivating the qualities of a pre-service teacher.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meaningful fundamental data in developing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for a creative sight-singing and ear-training program.

      • KCI등재

        淸吟石에서의 문학 활동 양상과 의미

        김선영 ( Kim¸ Sun-you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1 嶺南學 Vol.- No.79

        본고는 李滉(1501~1570)이 ‘청음석’이라 명명한 장소와 그곳에서의 활동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청음석은 李堣(1469~1517)가 노닐며 시를 남긴 도계의 반석인데, 이황이 차운 시를 남긴 이후로 현재까지도 유의미한 장소로 기능한다. 이황은 ‘숙부 이우’와 ‘시인 이우’에 대한 공감의 정서로써 청음석을 아꼈다. 이후로 청음석에서는 다음과 같은 활동이 이루어졌다. 첫째는 遊賞과 詩會 활동이다. 그 결과 향촌 사림들이 ‘시를 읊조리며 노니는 장소’ 경험이 공유되는 현장이 되었다. 둘째는 청음석 수계를 조직하여 결속력을 꾀하는 활동이다. 선대의 고사를 재현하고, 자취를 계승해 나가는 전통은 영남지역 사림들이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는 과정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셋째는 추숭 공간의 건립 활동이다. 청음석은 문중의 家物로 인식되면서, 도학의 연원이 되는 중요한 위상을 점하였다. 후손들은 청음석 언덕에 ‘도계정사’를 세우고 ‘청음헌’ 편액을 걸어 이우와 이황을 함께 기렸다. 이에 다음과 같은 의미가 도출되었다. 먼저, 문학 활동의 순기능을 살필 수 있다는 점이다. 이우와 이황, 후대 제현들의 문학 활동이 없었다면 청음석은 자연 대상물에 불과했을 것이다. 다음으로, 장소가 의미화되는 과정이 확인된다는 점이다. 이는 영남 유림들이 정신적 가치를 계승해 나가는 단서가 될 수 있겠다. 나아가 청량산이나 도산서당이 사적공간에서 공적 영역으로 의미화된 것처럼 청음석도 공적 영역으로 확장되었다는 데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is a review of the place named "CheongEum-seok" by Lee-Hwang(1501-1570) and literary activities. CheongEum-seok is a stone of Dogye, Lee-woo(1469-1517) did sightseeing. Since Lee-Hwang left a poem, it has still functioned as a meaningful place. Lee Hwang loved the CheongEum-seok as an empathy for “Uncle Lee-Woo” and “Poet Lee-Woo”. There were the following activities in the CheongEum-seok. The first, sightseeing and poetry gathering. It functioned as a site where the experiences of Hyangchon-Salim(鄕村士林)'s a place to recite poems and play are shared. Second, there pursued solidarity by organizing a CheongEum-seok gathering. Third, It is the construction activity of the respectful space. CheongEum-seok symbolized as the The origin of DoHak(道學) and It's be recognized as a important things in the house. As a result, The following meanings were derived. It’s check it out Positive function of literary activities and how a place becomes meaningful.

      • KCI등재

        淸陰 金尙憲 碑誌文 小考

        황만기 ( Man Ki Hwang ) 동방한문학회 2011 東方漢文學 Vol.0 No.46

        이 논문은 淸陰 金尙憲의 碑誌文에 대해서 다루었다. 청음의 문집 속에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연구된 사례가 없음에 주목하여 관심을 두게 되었다. 비지문은 한 인간의 죽음을 두고 찬술된 것이다. 비록 저승과 이승이라는 이질적 상황에 처해 있더라도 산 자가 죽은 자의 살아생전의 모습과 행적들을 비지문이라는 매개체를 통하여 영원히 기억할 수 있는 장치인 것이다. 청음의 비지문은 한유의 것과 많이 닮아 있다. 표현기법에 있어서도 그렇거니와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군데군데 한유의 문장을 그대로 옮겨 놓고 있다. 청음의 비지문 전체를 두고 단언할 수 없지만 청음은 비지문을 찬술함에 있어서 대화체의 수법을 사용하거나 일화를 삽입함으로 인해 『사기』와 같은 역사서에서 느껴지는 무거운 분위기가 아닌 다소 서정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그리고 비지문 찬술에 있어서 매우 엄정한 글쓰기를 하고 있다. 비록 청탁자와 다소 친밀한 관계에 있더라도 비지문 찬술에 있어서는 청탁자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고 亡者의 행적을 매우 엄정하고도 객관적인 입장에서 찬술하고 있다. 또한 청음은 망자와의 親疎를 떠나 의리와 관계된 부분에 있어서는 사실을 바탕으로 직서하면서 망자의 의리적 행동을 높이 드러내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 표현에 있어서도 매우 곡진하고 완곡한 표현을 쓰고 있다. This paper dealt with the epitaphs or "Bijimun" written by Kim Sang-heon (pen name: Cheong Eum). Although they occupy a fairly large part of his literary collection,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them. Through Bijimun, the living can remember the figure and deeds of the dead in his lifetime. The epitaphs written by Cheong Eum are similar to those of Han Yu, one of eight greatest prose masters of Tang and Song dynasty of ancient China, in that he used the same expression techniques and quoted the passages intactly. He used a dialogical style or inserted anecdotes, although this may not be the case for some epitaphs, so then the atmosphere of his epitaph is to be lyric without creating a heavy atmosphere, which can be felt in the Chinese history book such as "Sagi". Cheong Eum wrote the epitaph in a strictly fair manner. Despite somewhat close relationship with the requester, he hadn`t complied with the demand of the requester, but written the activities of the deceased keeping objective and strictly impartial position. Apart from the close or estranged relationship with the deceased, Cheong Eum had described their loyalty based on the facts to reveal the deceased`s faithful behavior clearly. Furthermore, Cheong Eum had used very careful and sincere yet euphemistic expressions.

      • KCI등재

        안동체류기에 있어서 청음 김상헌의 활동과 문학

        황만기(黃萬起) 한국국학진흥원 2012 국학연구 Vol.0 No.20

        본 논문은 청음 김상헌이 안동에 우거하면서의 활동상황과 그의 문학적인 측면을 살펴본 논문이다. 청음이 안동에 머물렀던 기간은 약 7년이다. 체류한 시기는 두 차례로 확인된다. 첫 번째는 1618년 광해군이 인목대비를 폐해야 한다는 북인정권의 혼정에 모든 것을 단념하고 어머니 이부인을 모시고 풍산으로 낙향하여 1621년 봄 양주 석실로 돌아가기까지 3년간 체류하였다. 이때 청음은 청원루에 기거하면서 삼구정이나 주변의 경치나 인물들을 탐방한 것으로 확인된다. 두 번째는 병자호란이 발발한 지 한 달 만에 인조가 성하지맹城下之盟을 맺고 남한산성을 나갈 때 그는 병든 몸으로 하직인사를 고하고는 마침내 정축년(1637) 2월 7일 풍산으로 낙향한 것이다. 이듬해 서미동 목석거로 은거해서 1640년 11월 심양으로 압송되기 전까지 3년 9개월간의 생활이다. 문학적 활동은 두 번째 시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두 번째 시기에서 청음은 북벌에 대한 의지를 다지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형식적으로는 은거생활을 지향한 것으로 보이지만, 실상은 청에 대한 복수심을 불태우는 시간이었다. 이후 청음은 1640년 12월 심양으로 압송되어 그곳에서 6년간 억류되어 있으면서 북벌에 대한 집념은 더욱더 확고하게 된다. 그리고 심양에서 돌아온 이후부터는 북벌에 대한 구체ㅈ거인 행동실천방안을 모색하게 된다. 이런 그의 북벌사상은 효종의 국가통치이념과 맞물려 한층 더 급물살을 타게 된 것이다. 그러나 북벌의 꿈을 이루기 전에 청음은 세상을 떠난다. 비록 생전에 꿈을 성취하지는 못했지만, 그의 이런 사상은 문인인 우암 송시열을 통해 최고조의 상황까지 도달하게된다. 이 북벌사상이 연암시대에 와서는 국제성세의 흐름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는 등 북벌 자체가 가지는 한계도 있었지만, 독립국가체제형성을 위한 격분의 아우성이었음을 감안하면 소홀히 취급할 수 없는 부분이다. 결국 이 북벌北伐 사상이 한 세기 뒤에 와서는 북학北學사상으로 변화된 것이다. 왜냐하면 18세기 연암의 시대에는 청이 국제적으로 우수한 문화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청은 더 이상의 복수의 대상이 아니라 선진문물을 본받아야 할 모태가 된 것이다.

      • KCI등재

        청음 김상헌의 공부론 연구

        강동호 한국교육사상학회 2022 敎育思想硏究 Vol.3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Gongbu theory of Cheongeum Kim Sang-heon—who lived during a period of upheaval in the Joseon Dynasty—to promote an understanding of his life and thoughts. Cheongeum Kim Sang-heon made 'Joncheonligeoin-yog(存天理去人欲)' the essence and purpose of his study. Regarding methods of study, he emphasized the fundamentals through 『Xiao-xue(小學)』 and 『Book of Rites(禮記)』. He pursued the study of maintaining peace of mind through poetry and slience, and by praising Seon-hyeon—who lived a life of loyalty all his life—he made them a guide for life. Furthermore,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orientation toward discussion and mutual learning. In this way, Kim Sang-heon's Gongbu theory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from other Confucian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Cheongeum’s Gongbu theory could be confirmed in the details of the study contents and methods, such as the emphasis on 『Book of Rites(禮記)』, the study of cultivation through poetry, respect for historical figures, and emphasis on discussion and mutual learning. This study strives to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thought and life of the Royalty Spirit(義理思想). 본 연구는 조선의 격변기를 살아간 청음 김상헌의 공부론을 탐색하여 그의 삶과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청음 김상헌은 ‘존천리거인욕’을 공부의 요체이자 목적으로 삼았다. 존덕성 공부의 일환으로 『소학』과 『예기』를 통한 근본을 강조하였으며, 시를 통한 함양과 고요함 속의 공부론을 추구하였다. 도문학 공부는 평생 의리적 삶을 살아온 선현(先賢)을 추존함으로써, 그들을 삶의 지침으로 삼았다. 그리고 토론과 상호학습을 지향하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볼 때 청음 김상헌의 공부론은 조선시대 다른 유학자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소학』을 중시하면서도 ‘경’을 두드러지게 드러내지 않은 점과 『소학』의 ‘예학적’ 면모를 중시한 점 등은 청음 공부론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예기』의 강조, 시를 통한 함양 공부, 역사 인물에 대한 존숭, 토론과 상호학습의 강조 등 공부 내용과 방법의 세밀한 부분에서도 청음 공부론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음은 이러한 공부론을 바탕으로 앎과 실천을 일치시키기 위해 노력했으며 이는 병자호란 등 국난기에 실천적 의리사상으로 구체화된다. 본 연구가 청음의 사상과 삶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었기를 기대해본다.

      • KCI등재후보

        淸陰 金尙憲의「羣玉所記」에 대한 篆刻美學的 硏究

        김현숙 한국서예학회 2011 서예학연구 Vol.19 No.-

        본 연구는 淸陰 金尙憲의 「淸陰集」, 「羣玉所記」에 기록된 내용과 그의 전각을 기본으로 하여 儒家의 관점에서 미학적 사유와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아울러 조선조시대에 실용이나 기술을 위주로 한 工人전각과 다른 미학적 성격을 갖춘 文士의 전각이 어떠한 양상으로 드러났는가를 규명함으로써 전각의 미학적 가치를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청음은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 조선조 최대의 국난기에 정치·사상·문학 등에서 독보적인 역할과 업적을 남겼을 뿐 아니라 전각에도 커다란 역할을 한 인물이다. 그는淸西派의 영수로서 斥和의 상징이며, 道學 위주의 학풍과 바른 인품을 함양해 節義를 지켰다. 文人士大夫인 그가 당시 기술의 말단으로 취급되었던 전각을 직접 창작하고 또 그것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그가 전각을 거침없이 창작하고 견해를 밝힌 것은 明·淸代 印風의 예술적 영향도 있었지만, 이보다는 전각을 도의한 방면, 즉 道文一致의 형태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淸陰集」「羣玉所記」에는 그가 새긴 전각의 형태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함께 전각의 미학적 사유와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군옥소기」에 나타난 전각미학적 특징은 크게 方圓規矩의 整合美·文以 載道的 品格美·儒家의 美學的 氣象란 측면으로 나타나 있다. 이 특징들은 청음이 전각에 도학자로서의 모습을 미학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유가의 공리성을 밝히고 있다. 「군옥소기」에 기록된 청음의 전각미학적 견해는 한국 문인전각의 단초를 열었으며, 전각예술의 독자성을 학문적으로 정립시켰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를 지닌다. 그가 남긴 전각에 대한 미학적 업적은 후대 문인들에게 영향을 주어 문인전각의 맥을 잇게 하였다는 점에서 역사적 공헌과 미학적 가치가 크다고 하겠다. The most significant change in history of seal engraving in Korea is to appear literati-seal engravers with artistic, aesthetic personality, different from artisan engravers served functional purpose around Japanese Invasion of the JoseonDynasty in 1592. Among them, Kim Sang-heon(Cheong-eum) left behind remarkable achievements and was devoted to his role in the field of politics, thought, literature, and especially seal engraving during the greatest national crisis. He was a prominent figure of the scholars who strongly argued against making peace with Qing dynasty and loyal to Neo-Confucianists’ principle developing a noble character. Although he was a literary nobleman, he wrote essays on seal engraving treated as a low-level craft and created seals. Because he considered seal engraving as a moral culture, not a handcraft, and was influenced by the trend of seal engraving of Ming and Qing, he could freely create seals and stated his view on them. Explaining forms of seal engraving he created, Kim revealed his aesthetic thoughts and distinct features of seal engraving in the collection of writings and the essay on seal engraving named Gunoksogi. The aesthetic features of seal engraving in the essay branches into three, beauty of conformity in square and circle, beauty of dignity in the view of seal engraving included with the way(Tao), and Confucianistic spirit of literati. These features tell us that he expressed East-Asian traditional custom as the aesthetic, made seal engraving contain ethical utility, and experienced a pleasure in those. Kim’s aesthetic view recorded in the essay became a lead for literati-seal engraving and academically founded artistic seal engraving’s identity. His aesthetic achievements influenced on later literati and made them continue the legacy of literati-seal engraving. Here are his historical devotion and aesthetic worth.

      • KCI등재

        『남사록(南?錄)』에 나타난 청음 김상헌의교육적 태도와 그 의미에 관한 연구

        강동호 ( Kang Dong Ho ),양진건 ( Yang Jeon Gu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6 탐라문화 Vol.0 No.52

        본 연구는 청음 김상헌이 제주 안무어사 시 기록한 『남사록』을 토대로 그의 교육적 태도와 그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청음은 제주 안무어사로의 임무를 수행하면서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태도를 보임으로써, 훗날 제주의 유일한 사액서원인 귤림서원(橘林書院)에 제주오현의 한 사람으로 배향되어 제주 유림들에게 추숭(追崇)된다. 그가 보인 교육적 태도는 첫째, 제주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애민정신(愛民精神)이었다. 특히 제주사람들과 다양한 대화와 소통을 통해 제주인의 어려운 환경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점에서 참다운 지도자의 모습을 엿 볼 수 있었다. 두 번째는 그가 안무어사 임무의 일환으로 시행한 시재(試才) 실행과 관련된 내용이다. 조선조 제주 교육에서 별시(別試)에 의해 제주인들이 과거에 입격(入格)한 예는 청음의 시재 실행이 처음이었다. 그러므로 청음의 시재 실행은 제주의 유림들로 하여금 조정의 배려를 처음으로 경험하여 감흥(感興)케 하였고 이로써 학습동기가 증진되어 결국 제주의 사풍증진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은 그가 보인 제주의 역사·문화에 대한 명확한 인식의 태도이다. 그것은 그가 제주를 주체적이며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또 다른 모습이며 그의 역사관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더불어 충암 김정을 추숭하는 모습은 제주 유림들에게는 큰 모범으로 다가왔을 것이며, 사문(斯文) 형성에 도움을 주었을 것이다. 이러한 그의 교육적 태도로 인해 제주 유림들은 그를 귤림서원에 제주오현으로 배향하게 된 것이다. 본 연구는 청음 김상헌이 귤림서원에 배향된 이유를 제주에 끼친 교육적 영향의 측면으로 고찰해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다시말해, 청음의 귤림서원 배향은 그가 평생 동안 보여준 의리정신의 삶의 태도에 대한 숭모의 의미와 함께 제주에 끼친 교육적 영향이라는 양자(兩者)의 결과가 합해졌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제주오현 배향에 대한 제주교육사의 주체성이 다소나마 확립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했다고 여겨진다. This study aimed to consider Cheongum Kim Sangheon`s educational attitude and its meaning based on ``Namsarok`` when he was a Jeju Anmuesa. While he was performing his duties as a Jeju Anmuesa, he had showed educationally meaningful attitude so he was respected as one of the Jeju Ohyun in Gyulim Seowon where it is the only Saek Seowon in Jeju island and worshiped by Jeju Confusion scholars. First of all, educational attitude that he showed was the positive perception and love for the Jeju people. Especially, the image of true educational philosopher was showed by understanding and empathizing the difficult surroundings through various conversations and communications with Jeju people. Secondly, there is a meaning to practice material for poetry for his duty as an Anmuesa. It was the first example that Cheongum`s material for poetry was used to pass the exam. Therefore, by his practice, Jeju Confucian scholars experienced Josun dynasty`s consideration, and it contributed to make them study and enhance their spirits. Next, it was concrete attitude of awareness about Jeju`s history and culture. It was the attitude that he considered Jeju as a independent and positive island, and it could be a chance to consider his view of history. Furthermore, the aspect to respect Choongam Kim Jeong was the model among Jeju Confucian scholars, and helped to cultivate moral and religious development. Jeju Confucian people respected him as one of Jeju Ohyun due to his educational attitude in Gyulim Seowon. This study has a big meaning that it can consider the reason that Cheongum Kim Sangheon was canonized with educational effects on Jeju. In other words, Cheongum was canonized in Gyulim Seowon because he showed attitude of loyalty spirit and educational effects on Jeju as well. In this respect, it is considered that it offered the clue to establish identity of Jeju educational history.

      • KCI우수등재

        음정의 형상화를 이용한 재즈 코드 시창·청음 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김예슬,전윤한 한국음악교육학회 2018 음악교육연구 Vol.47 No.4

        본 연구는 실용음악 관련 학습자들의 시창·청음 수업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인식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음정의 형상화를 이용한 시창·청음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그 효과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인 감정이론과 색채와 감정효과를 활용하여 재즈 코드 시창·청음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약 16시간의 수업 과정을 거쳐 학습자의 변화 및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는 시창·청음 능력의 향상과 학습자들의 수업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 따라서 학습자들의 시창 청음 능력의 향상을 위해 재즈 음계에도 적용 및 보완하여 활용한다면, 보다 다양하고 창의적인 시창·청음 교수방법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