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가 체육지도자 자격제도 개편에 따른 WTA 태권도 사범 교육과정 개정 방안

        손천택 ( Cheon Taik Son ),박정준 ( Jeong Jun Park ),고문수 ( Moon Soo Ko ),박정호 ( Jung Ho Park ) 국기원 2015 국기원태권도연구 Vol.6 No.3

        이 연구는 국가 체육지도자 자격제도 개편에 따라 WTA 태권도 지도자 교육과정에서 태권도사범 교육과정을 새롭게 정비하고, 태권도학 비전공자들을 위한 준 사범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교육과정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행 WTA 지도자 교육과정, 태권도 교육과정 선행 연구, 태권도학과 교육과정 분석과 전문가 면담으로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WTA 태권도 사범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1단계에서는 교육과정 개발 이론을 검토하여 WTA의 역할과 기능에 적합한 교육과정개발 모형을 선정하였다. 2단계에서는 WTA 태권도지도자 및 태권도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3단계에서는 1단계와 2단계의 분석을 토대로 준사범 교육과정, 국내·외 2급 태권도 사범 교육과정, 국내·외 1급 태권도 사범 교육과정, 최고사범 교육과정을 개발하였으며, 그 개정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과 현장을 연계하는 점이지대로서 실제적 패러다임을 지향하였다. 둘째, 태권도학의 이론과 실기를 바탕으로 교과목을 재구조화하였다. 셋째, 교육대상 및 수준에 따라 교육내용을 계열화하였다. 넷째, 교육시수를 확대하거나 현실에 맞게 축소하였다. 다섯째, 국가 체육지도자 자격제도 변경에 따라 태권도 사범의 급수를 1~2급으로 축소 조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se WTA Taekwondo instructor`` programs, develop curriculum for non-Taekwondo majors who are preparing to be associate instructors and improve effectiveness of referee and judge education that is operated in association with Taekwondo instructor education. In addition, in this study, a program for WTA subjects was designed. The Revised WTA Taekwondo instructor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literature review, open-ended questions, and expert consultation. Specifically, in the first stage, previous research on curriculum development was reviewed with respect to roles and functions of WTA, in order to select a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In the second stage, WTA Taekwondo instructors and department of Taekwondo studies curriculum were analyzed. In the third stage, based on analysis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four programs of associate Taekwondo instructor course, level-2 Taekwondo instructor course for Koreans and foreigners, level-1 Taekwondo instructor course for Koreans and foreigners, and top-level instructor course was developed considering five essential particulars. First, programs are developed on the basis of practical paradigm connecting department of Taekwondo studies with Taekwondo gymnasium. Second, subjects for each program are restructured on the basis of Taekwondo theory and practice. Third, educational contents are sequenced according to education targets and levels. Fourth, Lesson hours are increased or reduced in consideration of reality. Fifth, grades of Taekwondo instructors are reduced to 1~2 grade under the influence of reformed national coaching certification system.

      • KCI등재

        태권도장 지도사범의 긍정심리자본과 혁신적 업무행동의 관계: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

        양진영 ( Jin-yeong Yang ),손예슬 ( Ye-seul Son ) 대한무도학회 2022 대한무도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태권도장 지도사범의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주인의식, 혁신적 업무행동의 영향관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태권도장 지도사범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74부의 설문지가 본 연구에 활용되었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 및 단순회귀 분석 그리고 Process Macro 매개효과 검증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태권도장 지도사범의 긍정심리자본은 심리적 주인의식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태권도장 지도사범의 긍정심리자본은 혁신적 업무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태권도장 지도사범의 심리적 주인의식은 혁신적 업무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태권도장 지도사범의 심리적 주인의식은 긍정심리자본과 혁신적 업무행동 간의 관계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sychological ownership,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of taekwondo instructor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7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for a total of 300 people, centered on the instructors of Taekwondo studio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s analysis method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mediated effect verification. Firs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taekwondo instructors had a positive (+) effect on psychological ownership. Seco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taekwondo instructors had a positive (+) effect on innovative work behavior. Third, the psychological ownership of Taekwondo instructors had a positive (+) effect on innovative work behavior. Fourth, psychological ownership of taekwondo instructor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 KCI등재

        태권도 관장과 사범이 체감한 COVID-19의 이면 : 생활만족과 정신건강을 중심으로

        신종섭,권헌수 국기원 2022 국기원태권도연구 Vol.13 No.3

        목적 이 연구는 태권도 관장과 사범이 체감한 COVID-19의 이면을 생활만족과 정신건강을 중심으로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있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태권도 관장 및 사범 230명을 단순무작위표집법(Simple Random Sampling Method) 으로 표집하였다. 그리고 자료는 컴퓨터에 개별 입력(coding)시키고, jamovi 1.2.27 Version과 SPSS 21.0 Version을 이용하여기술통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태권도 지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생활만족은 지도자 유형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신건강은 지도자 유형, 연령, 지도경력, 혼인상태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둘째, 태권도 지도자의 유형에 따른 생활만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태권도 지도자의 유형에 따라 생활만족과 정신건강에 차이가 있다. 특히 태권도 관장은 사범에 비하여 더 비관적인인식을 하고 있다. 이는 자신의 사업체인 태권도장과 부양가족을 두고 있는 가장으로써 COVID-19라는 사회 속에서 더욱치열한 삶을 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일선 도장 검도사범의 지도체험에 관한 연구

        이가을(Ga-Eul Lee),김영학(Young-Hak Kim) 대한검도학회 2007 대한검도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일선 검도장 사법의 검도지도체험을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집단 심층 면담(focus group interview)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2개의 도장 2명의 사범을 대상으로, 집단 심층 면담(focus group interview), 비참여 관찰(nonparticipant observatiom), 관련 문서 수집(document analysis) 등의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귀납적 내용분석(inductive content analysis)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은, 첫째, 검도선수에서 검도사법으로의 변화에 있어서 연구대상자는 검도실력, 노력, 공부 기록, 전문지식 습득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검도 사범들은 학교운동부와의 차별화에 있어 흥미와 기초 및 기본교육, 그리고 예법을 중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선 검도사법들은 지도철학으로 예의, 겸손이라는 주제어로 나타났다. 넷째, 검도사범들이 지도자로서의 길을 걸으면서, 학교운동부에서의 생활과는 달리 지도하는 언어에 대한 정리, 프로그램의 개발, 지도자로서의 행동규범 등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사회교육의 일환으로 사회교육자 입장에 서 있는 점에서 수련생들에게 건강과 용기를 줄 수 있다는 것에 대해 물질적인 보상보다 크고 검도에 대한 열정에 보람과 성취감을 찾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일선 도장의 검도사범들은 직업으로서 급여가 낮고, 안정성이 부족한 직장이라는 점, 그리고 사회적인 인지도가 높지 않는 등 열악한 환경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studying the quality of Kumdo master experience by Kumdo School master. For the research, the focus group interview was done on 2 masters from 2 Kumdo school. As for the research, the focus group interview, non participant observation and document analysi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through inductive content analysis. The conclusion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 order for a Kumdo student to become a master, the research subject needs to have a Kumdo skill, show effort, study, and record and acquire professional knowledge. Secondly, the Kumdo master needs to bo differentiated from school sports unit by putting importance on the interest, basic skill, basic education and manner. Thirdly, the Kumdo masters emphasized the terms courtesy and humbleness. Fourth, the Kumdo masters realized that unlike school sports department, the coaching experience brought change in speaking, on developing program and in the behavior as the leader. Fifth, as the member of social education, the coaches experienced passion, worthiness and sense of accomplishment about Kumdo as they encouraged and improved the health of the students, which is far greater than a material reward. Sixth, it has been found that the Kumdo-school masters are in fragile situation because of their low pay, unstableness of the job and low acknowledgement by the society.

      • KCI등재

        국어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국어 교재연구 및 지도법" 강좌의 내용 구성

        임지룡 ( Ji Ryong Lim ),고춘화 ( Chun Hwa Ko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2 중등교육연구 Vol.60 No.1

        ``국어 교재연구 및 지도법`` 강좌는 예비국어교사의 수업능력과 전문성을 키워줄 수 있는 가장 실제적인 강좌이다. 이 글에서는 ``국어 교재연구 및 지도법`` 강좌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23개 대학의 강좌계획서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강좌의 성격과 목적을 분명히 하고, 대학별 강의내용의 우수한 점을 추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예비국어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강의 내용을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강의의 명칭, 목적, 운영 방식, 강의내용 및 평가 등의 항목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현장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실천적 지식을 예비국어교사들에게 가르쳐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 연계성이 강한 내용을 구성하는 것이 국어 수업능력 향상에 직접적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고, 이러한 의도를 강의 내용 구성에 반영하고 강의 계획서에 명시하였다. 그리고 강좌의 내용은 현장 교사의 수업 영상과 수업지도 안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예비국어교사들이 수업 참관록을 매시간 작성하고 자신의 수업을 녹취하여 분석하도록 구성하였다. 궁극적으로 ``좋은 국어 수업 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을 예비국어교사들 스스로 찾아보도록 계획된 것이다. 사범대학 국어과 교육과정의 발전 방안으로 이론과 경험의 통합, 임상적인 사례 연구를 통한 현장 연계성 강화 등은 이미 제기된바 있다. 국어 교육 이론이 실제 현장에서 힘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국어교사의 역할이 절대적이 다. ``국어 교재연구 및 지도법`` 강좌는 국어교사의 전문성 함양과 직접 관계된 강좌로 다양한 수업 사례 연구를 통해 수업 탐구 능력 및 실제 수업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course, ``Korean Textbooks and Teaching Methods`` is one of the most practical courses designed to improve the teaching ability and expertise of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urse proposals of 22 universities, to clarify the character and aim of the course, and to extract the excellent points of each course proposal in order to operate the course more effectively. Based on this, the contents of the course have been composed and presented here. As suggested by the title, aim, operating methods, teaching contents, and assessment methods of the course, it is assumed that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should be taught practical knowledge. Composing the contents of the course with emphasis on the classroom will therefore be of direct help in improving teaching ability, and this intention is clearly reflected in the course proposal. The course makes active use of video clips and lesson plans of existing teachers, and transcribes and analyzes their teaching approaches in order to improve the teaching ability of pre-teachers through the cultivation of practical knowledge. It is ultimately planned that Korean language teachers themselves should find an answer to the question, ``what constitutes good teaching practice in the Korean language class?`` Some possible answers are suggested here in terms of the combination of theory and experience and the strengthening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It is also proposed that case studies be carried out with a view to developing the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department of the teachers` college. In apply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teaching theory in class, the teachers` role is very important. The course, ``Korean Textbooks and Teaching Methods`` is related directly to the improvement of the expertis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so it should be composed of contents that improve the teaching exploration ability and practical teaching ability through a variety of case studies.

      • KCI등재후보

        집중보호관찰의 운영 실태 분석 및 실효성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정진연,이승원 한국보호관찰학회 2011 보호관찰 Vol.11 No.1

        1989년 보호관찰제도가 도입된 당시에는 소년범 위주의 한정된 보호관찰을 실시해왔으나 1997년 성인 형사범 확대를 계기로 보호관찰대상자는 매년 큰 증가세를 보여왔다. 2011년 현재 보호관찰은 죄질이 경미한 소년범에서부터 성폭력범, 살인범 등 특정범죄자에 대한 24시간 위치추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범죄자를 업무 대상으로 포함하고 있다. 이제는 보호관찰 등 집행을 통한 범죄자 성행 개선 수준을 넘어 국민의 안전과 생명보호 기능을 수행하는 형사사법의 핵심기관으로 그 위상이 강화된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집중보호관찰은 보호관찰 업무영역 확대와 재범고위험군 대상자 증가에 대응하여 한정된 인력을 효율적으로 배분, 선택과 집중의 보호관찰 실시를 목적으로 도입된 제도이다. 이제까지 법무부는 집중보호관찰제도의 안정적 정착을 위하여 「집중보호관찰실시에 관한 지침」을 제ㆍ개정하고, 재범고위험군 전담팀을 설치하여 운영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경주해 왔다. 또한, 집중보호관찰 지정 요건을 강화하기 위하여 재범위험성이 높은 가출소ㆍ가종료자에 대한 집중 지정을 확대하고 외출제한명령 및 전자감독 대상자를 필수 집중 대상자로 지정하도록 하는 등 그 대상을 확대하고 지도감독의 강도를 높이는 데 주력해 왔다. 하지만, 지난 10년간의 집중보호관찰 운영 실태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집중보호 관찰은 매년 그 실시인원의 증가와 지도감독의 강화에도 불구하고 제도 도입의 취지에 부합하기에는 아직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재범위험성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분류가 이루어지고 있는가와 대면접촉 횟수 외에 일반보호관찰대상자와의 지도감독 수준에 차별성이 있는가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가 제기되었다. 집중보호관찰제도가 그 도입 취지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재범위험성에 대한 과학적 평가와 함께 집중보호관찰대상자에 대한 차별화된 지도감독이 이루어져야 한다. 2011년 1월 전면 실시된 ‘성인 보호관찰대상자 재범위험성평가도구(K-PRAI)' 개발, 시행에 이어 소년 보호관찰대상자에게 맞는 재범위험성평가도구를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과학적ㆍ체계적인 근거에 따라 집중보호관찰을 지정하고 재범위험성 평가 결과 나타난 위험성에 맞도록 차별화된 지도감독을 실시해야 한다. 또한, 사범별 지도감독 매뉴얼을 개발하여 범죄내용 등 보호관찰대상자의 개별 특성에 따른 처우기법을 적용하고 면담 사전예약제를 통하여 지도감독의 내실화를 제고함은 물론, 법원 등과의 협의를 통해 특별준수사항 부과 확대 추진과 준수사항 유형별 이행감독의 강화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 집중보호관찰의 운영실태에 대한 객관적 평가와 이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수반되어야만 집중보호관찰을 통한 보호관찰의 실효성 확보가 이루어질 것으로 믿는다 Since expanding the Probation Supervision System to adult criminals in 1997, there has been increase in the subjects for the Probation Supervision System which was adopted in 1989 with limited scope of probation for minors. The current Probation Supervision System of 2011 covers minors with misdemeanor charges, certain offenders such as sexual offenders and murderers and uses 24 hour GPS tracking system. Thus currently the Probation Supervision System has increased its role from criminal corrections to being the essential institute of criminal justice system for safety of the general population and protection of life. Intensive Probation Supervision System was adopted in order to increase the scope of Probation Supervision System and efficientlyallocate limited personnel so as to select and focus on probation supervision in line with the increase of offenders at high risk of reoffending. Department of Justice has strived for stable establishment of Intensive Probation Supervision System in various ways by revising and amending the Guideline on Intensive Probation Supervision Program and establishing special unit for offenders with high risk of reoffending. Furthermore, Department of Justice has increasingly concentrated on designating offenders to the intensive probation supervision by designating offenders granted with provisional release from correctional facilities, curfew orders, and offenders under electronic monitoring in order to reinforce the requisitesfor designation of Intensive Probation Supervision System and to increase the designees and strengthening the correctional supervision. However, analyzingthe operations of the past 10 years of the Intensive Probation Supervision System showed that although the number of probationers and the correctional management has increased, problems still exist within the system to confirm to the objectives of the system when it was adopted. Especially the realistic problem of whether there are distinctions and differences between intensive probation supervision and the correctional management of general Probation Supervision System has been raised together with the scientific and systematic categorization of the risk of reoffending and the frequency of face-to-face contact. For the Intensive Probation Supervision System to confirm to the objectives of its adoption, it first needs scientific evaluation of the risk of reoffending with correctional management distinctive for the offenders under intensive probation supervision. With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Korean Probationers Risk Assessment Inventory (K-PRAI) from January 2011 and development of Risk Assessment Inventory for Probation Supervision of minors will allow distinctive correctional management with scientific and systematicbasis for designation of offenders for Intensive Probation Supervision and fitted on the basis of the risk that has been analyzed by the risk of reoffending. Furthermore, offender supervision manual on case by case basis need to be developed to apply case planning and management to mee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criminal act of the probationer and adopt prior arrangement system for interviews to stabilize and strengthen correctional management in addition to coordinating with the courts to impose special conditions and emphasizing reinforcing supervision for fulfillmentof such conditions imposed. The effectivenessof Probation Supervision via Intensive Probation Supervision can be achieved by objective evaluation of the operational realities of Intensive Probation Supervision and various efforts to improve the fundamentals.

      • KCI등재

        교직이수 학생들의 진로결정에 대한 인식 분석

        안재희(Ahn Jaehee),이숙정(Lee Sookje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범계열 및 비사범계열을 통해 교직을 이수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진로유형을 알아보고 그들의 진로유형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진로준비과정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을 분석하여 교직이수 학생들의 진로결정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117명의 4학년 교직이수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이 중 11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응답자의 58.1%가 교직분야로 진로를 결정한 상태였으며, 교직분야로 진로를 결정한 학생들의 66%가 중ㆍ고등학교 때 이미 자신의 진로를 결정했지만, 비교직분야로 진로를 결정한 학생들의 86.7%는 3~4학년 때 진로를 결정하였다. 교직이수자들의 진로유형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분석한 결과, 교직이수계열에 상관없이 개인적 요인보다 교육적 요인, 특히 교육활동 경험이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직이수자들이 진로준비 과정에서 직면한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직분야로 진로를 결정한 학생들은 교과지도의 경험 부족, 정보부족, 임용고시 준비를 학원에 의존해야 하는 어려움 등을 호소했으며, 비교직분야로 진로를 결정한 학생들은 자기탐색의 부족으로 인해 취업분야를 결정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범계열 출신에 대한 기업체의 편견에 직면하여 진로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교직이수 학생들의 진로결정과 진로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many students take a university course to become secondary school teachers, only a few of them became a secondary school teacher. Students care about their careers. With this in mi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reer choices made by student teachers, the determinant reasons for these choices, and the difficulty student teachers faced in their preparations for a career. In total, 117 students were surveyed,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leven student teacher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58.1% of respondents chose to enter teaching as a career and 66% of them had already made this choice when they were in secondary school. In contrast, 86.7% of respondents made their career decision when they were a senior at university. Regardless of their department, educational experience affected their career choice affirmatively, and the situation of employment affected their career types negatively. Regardless of career type, respondents faced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their careers. Students who chose to become a teacher had almost no experience in teaching their major subject, a lack of information, and were dependant o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to pass the educational recruitment examination.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were unsure of their vocational aptitude because they rarely have the opportunity for self-exploration and were often confronted with prejudice in the work environment by candidates who graduated from a college of education.

      • KCI등재
      • 중학교 태권도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팀응집력 및 선수만족의 관계

        김진표+김길용 용인대학교 2006 용인대학교 논문집 Vol.24 No.-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team cohesion and player satisfaction according to leadership style of Taekwondo coach in the middle school having established a hypothetical model thereof based on the precedent works. To test this, Taewondo players of the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as of 2005 were selected as population and 304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 and sampled by Stratified Random Cluster Sampling. Cronbach's α; reliability of questionnaire used in this survey was .506~.815, so then it showed higher internal consistency. Analytical techniques used in this research work wer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s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dictatorial way of guiding and coaching, positive feedback, player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a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democratic way of coaching and guiding, social support, positive feedback, and team cohesion according to grade, a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drill and direction, dictatorial way of guiding and coaching, positive feedback, team cohesion, and player satisfaction according to players' athletic career. Second,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revealed that drill and direction, democratic way of coaching and guiding, social support, factors of positive feedback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s on team cohesion, and player satisfaction.

      • KCI등재

        사범대 특수교육과 학생들은 모두 교사를 꿈꾸는가?: 수도권 A대학 중등특수교육과 학생들의 진로결정 양상에 관한 연구

        강민수(Kang Minsoo),임소정(Lim Sojeong),최지혜(Choi Jihye)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특수교육과 학생들이 진로탐색 과정에서 겪는 경험을 토대로 특수교육과 학생들의 진로결정 양상을 근거이론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였다. 수도권에 소재한 A대학의 중등특수교육과 졸업생 및 재학생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반구조화된 질문을 활용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적 접근 방법에 따라 주요개념과 범주를 도출하고, 개념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코딩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육과 학생들의 진로결정 양상에서 나타난 중심현상은 ‘진로탐색 및 결정의 다원화’로 드러났으며, 이러한 현상을 초래하는 인과적 조건은 ‘진로에 대한 고민’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은 중재적 조건인 A대학 학생 및 진로지원의 특징과 맥락적 조건인 환경 및 제도적 요인과의 상호작용 결과로 발생하였다. 특수교육과 학생들의 진로결정 양상에서 나타난 중심 범주는 ‘특수교육과 학생들의 진로결정 과도기’였으며 이는 특수교사 양성이라는 분명한 목적이 있는 특수교육과에서 취업이 하나의 대안진로로 자리 잡기 시작한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과의 맥락에서 진로결정의 유의미한 변화 양상을 포착하고 그 의미를 해석했다는 것에 의의를 가지며, 향후 특수교육과를 비롯한 사범대 학생들의 진로결정에 있어 개인적, 맥락적 요인을 이해하고 적합한 진로지도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에 도움을 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change of career decision-making aspect in special education based on student experiences through a grounded theoretic approach. 10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s. Following the grounded theoric approach of Strauss & Corbin(1998), the main concepts and categories were derived, and the coding paradigm model was presented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concepts. As a result, the central phenomenon in the course of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in special education departments was found to be “diversification of career exploration and decision-making”, and the causal conditions leading to this phenomenon was “concerned about own careers”. The central phenomenon occurred as an outcome of interactions with intervening condition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A university students and career guidance and contextual conditions such as environmental and institutional factors. The central category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experiences during career decision-making was “the transition of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which means that getting a job has turned out to be an alternative career choice in the special education department maintaining a clear purpose of foster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s study is relevant that it captures and interprets meaningful changes of career decision-making in the context of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will help to understand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of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and give insight to set the proper direction of career guidance for students at the college and department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