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조선족 시의 문화적 위상

        윤의섭 한중인문학회 2011 한중인문학연구 Vol.32 No.-

        중국 조선족 시는 선택과 배제, 그리고 혼성성의 과정을 거쳐 오면서 특정 문화로서의 지 위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중국인으로서의 국적 취득, 반우파투쟁기, 문화혁명기, 개혁개방기 등 60여년의 질곡을 거치면서도 문화적 유산을 잃어버리지 않은 중국 조선족 시인들의 노고 가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다. 중국 조선족 시의 전개 과정은 말하자면 선택적 문화 전통의 계 승과 창조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 조선족 시의 특징은 문화적인 관점에서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우선 중국 조선족의 시가 한글로 쓰이고 있다는 사실이다. 다음, 한글 문학의 생산과 독자 수용의 연결 관계가 출판, 배급, 비판 활동 등의 문학 제도에 의해 견지되 고 있어 중국 조선족 문학계의 한글 문화가 견고한 생명성을 발현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중 국 조선족의 시가 보여주는 문화는, 토착된 환경 속에서 한글 문화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특수성을 보여준다. 문학을 통해 중국에서 전개되고 있는 중국 조선족의 한글 문화는 전 세계 를 염두에 두고 볼 때 거대한 문화 집단이 갖고 있는 문화적 공동체의 힘을 보여준다. 이때 우리는 근원적인 공유에서 출발한 문화의 연관성에 집착하기보다는 현재적 관점에서 다원적 으로 분포된 한글 문화끼리의 공시적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Korean Chinese poetry, after the process of selection and exclusion and mix, has now become a specific culture. This was possible only by the effort of Korean Chinese poets who hadn't given up their cultural legacy, despite the 60 years of suffering in becoming Chinese, anti-right wing struggles, th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periods of opening to other countries. The development of Korean Chinese poetry can be described as a process of keeping the selective cultural tradition and creativity. Korean Chinese poetry can be characterized by 3 aspects. First aspect is that Korean Chinese poems are written in Hangeul. Second, Hangeul culture in Korean Chinese literary world has a firm ground and vitality, being supported by publishing, distribution and critique which connect the producers with the readers of Hangeul literature. In addition, the culture presented in Korean Chinese poetry suggests a new direction for Hangeul culture within a settled environment. In a broader perspective of the world, Hangeul culture among Korean Chinese people developed in China through literature indicates the power of a cultural community within a large cultural group. Therefore, we should focus more on general association among different types of Hangeul cultures in a contemporary aspect, instead of cultural association based on a shared ground.

      • KCI등재

        중국 조선족 장편서사시에 나타난 역사적 체험의 특성

        김은영 한중인문학회 2006 한중인문학연구 Vol.19 No.-

        본 논문은 중국조선족 장편서사시에 담긴 역사적 체험 양상과 특성을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이주 초기 유이민적 삶과 만주지역 개척에 관한 이야기에는 19세기에 들어와 본격적으로 유입되기 시작한 이주 조선인들의 고달픈 삶과 고난의 역사가 담겨져 있다. 이는 연변 조선족들이 과거 어떠한 동기와 배경으로 이곳 만주지역에 이주해 왔는지를 우리 민족의 수난사와 개척사를 통해 구체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이주민족인 조선족의 기원과 형성과정을 드러내 주고 있다. 다음 항일무장 투쟁 및 중국 공산당과의 연계 내용은 중국 조선족 장편서사시가 정치적 투쟁의 수단화 즉 사회주의 문학방식에 의한 당위적 장르로서 갖는 특성을 가장 극명하게 보여준다. 만주지역에 정착한 이주 한인들이 봉건관료와 일제라는 이중의 압박과 수탈 속에서 항일의식을 고취하고 반제반봉건 타도를 외치며 항일투쟁에 참여하게 되는 과정이 1930-40년대 만주지역의 정세 변화 속에서 상세히 그려져 있다.끝으로 조선족 장편 서사시에는 민족적 정서 표출과 공동체적 삶에 대한 갈망이 담겨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장편서사시에는 사회주의적 혁명 완성과 이상실현이라는 당위적 장르로서의 주제의식만 있는 것이 아니라 민족적 정서를 바탕으로 한 공동체적 동질감과 민족의식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과거의 역사적 체험이란 ‘있어야 할 세계’ 이전에 ‘있었던 세계’를 형성하고 재현하는 ‘집단기억’의 산물로서 이들의 작품에는 사회주의적 이데올로기의 고무 찬양적 내용과 함께 민족의 고유한 정서와 의식이 반영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이한 민족과 국가라는 전제 속에서 자신들의 독자성과 정체성을 지속해오고 있는 이들에게 조선족 장편서사시는 중국 내 소수민족이라는 자신들의 정치사회적 특수한 상황과 생활상을 반영하는 역사의 증거물이자 문화적 기록물로서 의의가 있다.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Experience in Korean Chinese long epic poetry This paper examined three aspects of historial experiences and characteristics in Korean Chinese long epic poetry. Stories of lives and development of early migrants in Manchuria are about the history of hardship and suffering of Korean migrants start to flow in since the 19th century. It shows the origin and formation of Korean Chinese by presenting motive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Korean Chinese in Yanbian migrating to Manchuria. Description of anti-Japan armed struggle and association with Chinese Communist party clearly show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socialism in Korean Chinese long epic poetry. Koreans who settled in Manchuria imbued themselves with anti-Japan awareness under the double oppression of bureaucracy and Japanese regime, and participated in anti-Japan struggle claiming anti-imperialism and anti-bureaucracy; the circumstance and changes in Manchuria during 1930s and 40s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ieces. Lastly, Korean Chinese long epic poetry expresses the emotion of the race and wish for life as a community. It is because historial experience of the past is a product of 'mass memory' that forms and reproduces 'a world that was' instead of 'a world that should be' and reflects innate emotions and awareness of the race in the pieces. Therefore, in the premise of different race and country, Korean Chinese long epic poetry maintain its originality and identity is a significant historical evidence that reflects unique polit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and living as a minority group in China and a significant cultural record.

      • KCI등재

        개혁개방 이후 중국조선족 시문학비평 연구-『문학과 예술』을 중심으로-

        리해연,석추영 한중인문학회 2023 한중인문학연구 Vol.81 No.-

        『문학과 예술』은 중국조선족 문학예술에 대한 이론적 조명과 비평을 위한 전문지로서 1980년부터 2008까지 28년 동안 중국조선족 문학예술창작과 비평을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는 바 이는 국내외에 조선족의 역사와 문화를 바르게 알리고 조선족 문화유산의 발굴, 보전과 계승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 되며 조선족 문학예술발전사의 업적으로 된다. 따라서 이에 실린 문학비평은 조선족 문학비평의 대표적 성과로 되며 이에 대한 연구는 개혁개방 이후 중국 소수민족 문학 사료 정리 연구 및 한중수교 이후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 연구에 일정한 가치 부여가 된다. 중국조선족 시문학비평에 있어 1980년대는 창작에 대한 현실비판과 자아반성을 통해 자신을 정립해 나가는 시기였고 1990년대는 한중수교의 영향 하에서 자체로 발전방향을 모색하고 입지를 다지는 시기였으며 2000년대는 창작과 비평 모두 위기에 직면하면서 그에 대한 대안을 강구하고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는 시기였는 바 이 시기에 이르러 중국조선족은 디아스포라 공동체라는 결론을 내리면서 그 위상을 높였다. 그 어느 시기를 막론하고 창작과 비평은 마땅히 동시에 진행되어야 하는데 현재의 조선족 시창작과 그 비평은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21세기 조선족 문학창작과 문학비평을 위한 대안마련이 시급하다. “Literature and Art” is a specialized journal. It has made great efforts to create and criticize Korean-Chinese literature and art for 28 years from 1980 to 2008. Therefore, literary criticism published in this article is a representative achievement of Korean-Chinese literary criticism, and research on this is given a certain value to the study of the history of Chinese minority literature after reform and opening and the study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after Korea-China diplomatic relations. In Korean-Chinese poetry criticism, the 1980s was a time to establish oneself through reality criticism and self-reflection of creation, and the 1990s was a time to seek and establish its own development direction under the influence of Korean-Chinese diplomatic relations, and the 2000s was a time to seek alternatives and establish national identity while both creation and criticism faced a crisis. By this time, Chinese Koreans were a diaspora community, raising their status. The current Korean-Chinese poetry creation and its criticism are not balanced. At this point, it is urgent to prepare alternatives for the existence of Korean-Chinese literary creation and literary criticism in the 21st century.

      • KCI등재

        재외 이주민 정체성의 불확정성과 이중성의 의미 -재일동포와 중국 조선족의 한국어 시를 중심으로-

        윤의섭 한중인문학회 2009 한중인문학연구 Vol.27 No.-

        본고는 재외 이주민의 한국어 시를 통해 그들의 정체성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민족 언어에는 민족에 대한 정체성을 드러내는 표지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는 그들이 거주하는 국가의 여러 요인에 의해 순일한 정체성을 유지하지 않고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는 데 있다. 즉 대개의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은 이중적 성격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은 ‘불확정성 원리’의 특징에 따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은 어느 한쪽의 정체성적 양상만을 파악하고자 할 경우 다른 한쪽의 정체성에 대한 특징은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본고는 재일동포의 한국어 시와 중국 조선족의 한국어 시를 통해 이들 정체성이 갖는 특징을 파악하고자 했다. 재일동포의 시와 중국 조선족의 시에 나타난 정체성은 국가 정체성과 민족 정체성으로 대변할 수 있는 이중적 양상을 동시에 보이고 있다. 그런데 우리가 만약 그들의 민족적 성격을 염두에 두고 민족 정체성의 양상만을 강조할 경우에는 그들의 국가 정체성이나 다른 성격의 정체성에 대해선 제대로 파악하기 힘든 것이다. 그만큼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은 다양한 양상을 함께 갖고 있다. 이러한 정체성의 이중적 양상은 모순적으로 보이지만, 오히려 그들 정체성의 현재적 위상을 보여주는 현상으로 보아야 한다.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은 복합적이면서도 이질적인 정체성이 함께 결합하면서 또 다른 개념의 이주민 주체로서의 정체성으로 생성되어 가는 과정을 거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재외 이주민의 한국어 시에 나타난 그들 정체성의 특성은 결국 민족이나 국가와 같은 기존의 정체성 요인만이 아니라 그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체성 형성의 요인을 동시에, 그리고 서로를 배제하지 않는 상태에서 바라보아야 분명하게 파악되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through their poetry in Korean. It is because national language shows the sign that reveals national identity. Identity issue among Korean emigrants lies in the complexity without a fixed, single identity because of various factors and situations in the countries in which they reside.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in most cases, is characterized by its duality. Such identity among Korean emigrants should be examined by ‘uncertainty principle’. When one aspect of identity examined, the other aspect of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can be hardly verified.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the identity through poetry in Korean by Korean Japanese and Korean Chinese. Identity in poetry by Korean Japanese and Korean Chinese demonstrates duality that represents identity of a country and a nation. When national identity emphasized with national characteristics in mind, it is hard to grasp their identity of a country or other aspects.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has various aspects to that extent. Although such duality in identity seems contradictory, it should be considered as a present state of their identity.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is complex, combined with heterogeneous identities and experiences the process to become another identity of emigrants with another concept. Therefore,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shown in poetry in Korean can be understood clearly by simultaneous awareness of various factors of identity without any exclusion in any way.

      • KCI등재

        남철심 시 텍스트에 나타난 타자성-현대문학 이론에 기초하여-

        이문철 ( 李文哲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8

        남철심은 중국 조선족 3세 시인이다. 시작(詩作) 활동을 개시한 지 20여 년, 이미 100여 편의 한글로 쓴 시를 발표했지만 남철심의 시는 중국 연변 문단에서 주목받을 뿐, 한국문단에 널리 알려지지 않고 있다. 그는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들려고 최선을 다하는 용기와 올곧음, 정직함을 지닌 시인이다. 그에게 시작(詩作)은 고통을 덜거나 감내하기 위한 것이라 기보다 무상의 슬픔을 유상의 즐거움으로 바꾸는 행위의 일환이다. 남철심의 시 세계에 대한 관심과 주목은 한국학계에도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오늘날 여전히 한글로 창작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조선족 시인 혹은 소설가들이 설 자리는 점점 좁아지고 있다. 이들의 작품활동은 탈경계적인 사유방식과 생활체험을 동반한다. 중국 조선족 문단의 움직임에 대한 학문적 접근과 이해는 한국학계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현시점에서 조선족 문단의 전모를 파악하고 특히 지금까지 관심과 주목을 크게 받지 못한 시인 혹은 작가들에 대한 발굴작업은 더욱 큰 의의를 지니고 있다. 언어적 혹은 정서적 공동체 내부의 인간적 결속 및 유대감 증진, 그리고 해외 한국학 연구의 다원적 가치체계의 확립을 위하여 한국 내 ‘중국조선족문학’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고는 현대문학 이론에 기초하여 남철심의 시 텍스트에 나타난 타자성에 대해 짚어보려고 한다. 南鉄心は中国朝鮮族3世の詩人である. 詩作活動をはじめてから20年余りの歳月が立ち, 既にハングルで書かれた100篇以上の詩を発表してきたが, 中国延辺文壇で注目される一方, 韓国ではあまり知られていない. 南は, 不可能を可能に努める勇気と実直さの持ち主であり, 真面目な詩人でもある. 彼にとって詩作とは苦痛を減らしあるいは乗り越えるための道具というよりは, 無償の悲しさを有償の楽しさに変貌させる行為の一環であると読み取ることができる. 南鉄心の詩の世界に対する注目は, 韓国の学界でも必要であると考える. 今日になって, 依然としてハングルを用いた創作活動を営む朝鮮族詩人あるいは小説家たちに許される「活動の場」は次第に狭くなりつつある. 彼らの作品活動はボーダーレスな思考方法と生活体験を伴うゆえに, 中国朝鮮族文壇の変化に対する学問的なアプローチと理解は, 十二分重要な研究課題であるはずである. 現時点において, 朝鮮族文壇の全貌を把握し, 特にこれまでにそれほど関心や注目を浴びられなかった詩人あるいは作家たちに対する発掘作業はより大きな意味を持つ. 言語的あるいは情緒的に共同体内部の人々の結束と絆の強化, そしてグローバル韓国学研究の多元的な価値体系の確立のためにも, 韓国内における中国朝鮮族文学に対する体系的な研究が必要ではないかと思う. 本論は現代文学理論に基づき, 南鉄心の詩テクストに表われる他者性について論じようとする.

      • KCI등재

        중국조선족 초(初) · 고중학교(高中學校) 시교육(詩敎育)에 대하여-북한(北韓) 고등중학교(高等中學校) 시교육(詩敎育)의 영향과 관련하여-

        윤영천 ( Yoon Young-cho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0 No.4

        本稿는 현 단계 북한문학 및 北韓文學敎育 硏究의 중요성이 統一文學史 記述을 위해서도 매우 긴요하다는 問題意識 아래, 그 迂廻的 方法의 일환으로 북한문학과 중국조선족문학의 相互關聯性 또는 그 影響 관계를 주로 詩敎育 分野에 한정하여 논하였다. 한국의 中·高等學校 敎育課程에 해당하는 북한 高等中學校(6年)와 중국조선족 初·高中學校(各 3年) 『국어』·『문학』 등의 敎科書에 수록된 近現代 詩作品들의 대체적 傾向을 간략하게 檢討한 결과, 1957년까지는 北韓 詩敎育 內容이 중국조선족 文學敎育에 거의 그대로 반영되었으나, 특히 ‘文化大革命 時期’(1966~1976)를 거치면서 그 영향이 현격히 감소하는 傾向을 보이다가 1978년의 ‘改革開放’을 계기로 남한 작품까지도 수용하는 개방적·발전적 방향, 즉 北韓 詩敎育의 過度한 階級的 偏向 또는 單線的인 정치주의의 한계를 克服하는 긍정적인 面貌를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Given that the study of the current North Korean literature and its teaching is highly significant to the description of the unified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is paper discussed some aspects of the mutual relations or influences between North Korean literature and Chinese-Korean literature, focusing mainly on the field of poetry teaching. The present work roughly examined the general tendency in modern poems cited in the textbooks for “Korean” and “Literature”, taught in secondary North Korean and Chinese-Korean schools that correspond to secondary South Korean schools. It then found that the content of the North Korean poetry teaching had been kept almost intact in the Chinese-Korean literature teaching until 1957, and that its influence tended to dramatically decrease, especially after the Cultural Revolution(1966~1976), and finally that with the open-door policy in 1978 as a momentum, the Chinese-Korean literature teaching has taken a liberal and unbiased course, namely, the positive attitude with which to overcome the excessively ideologically prejudiced poetry teaching of North Korea or the limitation of singleminded politics, which allowed even South Korean works to be cited.

      • KCI등재

        재중 동포 시(詩)에 나타난 언어학적 분석과 전쟁, 고국, 망향, 통일과 관련된 표현 연구

        서승현 한국보훈학회 2021 한국보훈논총 Vol.20 No.1

        This study analyzes the letters sent by Korean Chinese to KBS Social Education Broadcasting to find their blood or relatives. The data of the study includes 150,000 letters of Korean Chinese over the 18 years from 1974 to 1992 befor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 Korea and China, which is undigitalized and unstructured big data. The 150,000 letters contain 452 poems. The study analyzes these poetic words in the poems based on phonology, morphological vocabulary changes and syntax in linguistic aspects, and examines how the mourning of the Korean Chinese in the poetic expression appeared in terms of war, homeland, homesickness and unification. Chapter I mentions the need for the study and the data to be studied. Chapter II highligh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 in Chinese Korean language from a sociolinguistic perspective and diachronic/synchronic linguistic ones. Chapter III analyzes the linguistic changes in the poetic words of the letters by Korean Chinese in the respect of phonology, morphology and syntax, citing various examples in the letters. Finally, chapter IV examines how the poetic words related to war, homeland, homesickness and unification are expressed. The differences between Chinese Korean language and Korean reveal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help each other in communication between languages and clearly show the linguistic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and Korean to learners who learn Chinese Korean language or Korean. Furthermore, it is hoped that the study will be used as basic reference data for establishing language policy for homogeneity of Korean language in preparation for the unification era. Moreover, while we may need to better understand the nature and scope between language and knowledge, between language and culture, the more important fact is that losing someone's language heritage implies losing the knowledge, faith and values that the language interprets and delivers. In the sense that it is for the preservation of such language, it is meaningful to prevent the indiscriminate change of Chinese Korean language which has been undergoing many changes over the past 150 years and to study the preservation of the language through it. 본 논문은 중국 조선족들이 자신들의 혈육이나 친척을 찾기 위해 KBS사회교육방송에 보낸 편지들을 분석 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 자료는 1974년부터 1992년 한중 수교 이전까지 18년간 재중동포 서신 15만여 통으로서, 디지털화되지 않은 비정형 빅데이터이다. 이 15만여 통의 편지에 452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시들에 표현된 시어(詩語)들을 언어학적인 측면에서 음운론, 형태학적 어휘 변화, 통사론을 바탕으로 분석해 보고 전쟁, 고국, 망향, 통일과 관련하여 시어에서 나타나는 재중동포의 애절함이 어떤 표현 방식으로 나타났는지 살펴본다. I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대상 자료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II장에서는 중국조선어 변화의 특징을 사회 언어학적 관점과 공시적(Synchronic)통시적(Diachronic) 언어학적 관점에서 조명하였다. III장에서는 조선족 서신 시어에 나타난 언어학적 변화를 다양한 예를 들어가며 음운론, 형태학, 통사론적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IV장에서는 전쟁, 고국, 망향, 통일과 관련한 시어들이 어떻게 표현되어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하여 드러난 중국조선어와 한국어의 차이점들이 언어 간 소통에 서로 도움을 주며 한국어 또는 중국조선어를 배우는 학습자에게 한국어와 중국조선어의 언어학적 차이점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데 의의가 있고 나아가서 통일 시대에 대비해 한민족 언어의 동질성을 위한 언어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적인 참고 자료로 쓰였으면 한다. 더욱이, 우리가 언어와 지식, 언어와 문화 사이의 본질과 범위를 더 잘 이해해야할 필요가 있겠지만, 더 중요한 사실은 누군가의 언어 유산을 잃는다는 것은 그 언어가 해석하고 전달하는 지식, 믿음, 가치관을 잃는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러한 언어 보존을 위한다는 의미에서, 지난 150년간 많은 변화를 겪고 있는 조선족 언어의 무분별한 변화를 막고 그를 통한 중국조선어의 보존을 위한 연구 작업은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한중수교 이후 중국조선족 시문학의 전개 양상

        김정훈 ( Jeong Hun Kim ),김영미 ( Young Mee Ki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2

        2000년대 들어 중국조선족 시문학은 개혁개방 정책과 ‘자본주의’ 한국과의 교류가 본격화되면서 전혀 다른 상황을 맞이한다. 더욱 가속화된 산업화 및 도시화 진행으로 인한 민족공동체의 해체, 시장경제 체제로의 전환, 다수 조선족의 국내외 이주 등의 급격한 상황 변화로 기존의 사회주의 체제하에서의 안정되고 다소 여유로웠던 창작활동과는 전혀 다른 형태의 창작을 해야만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새로운 시대를 맞이한 조선족 시문학의 대응은 초기에는 고국으로서의 한국을 재인식하며 민족동질성을 환기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후 점차 코리아 드림과 대규모 이농ㆍ이주로 인해 중국조선족 사회에서 일어나는 각종 사회현상과 문제점을 작품에 반영한다. 이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두 가지이다. 첫째는, 조선족이 처한 이중적 소외상황을 직시하고 그 가운데 새로운 삶의 방식을 찾아 나가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작품들이다. 현재는 ‘성 밖’에 소외된 존재로서의 조선족에 대한 인식에 집중하고 있지만, 협소한 민족의 틀을 벗어나 같은 ‘성 밖’에 머무는 이들에게까지 시야가 확대되면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는, 한국이나 중국 내 연안 대도시의 화려한 삶에 대한 동경과 그곳에서 충족되지 않은 욕망에 대한 아쉬움과 불만을 토로하는데 그치지 않고, 자신들이 살아왔고 현재도 살고 있는 곳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면서 자존감 회복과 함께 남북 분단의 현실을 타개할 수 있는 가능성의 공간으로 새롭게 자리매김하는 작품들이다. The Chinese-Koreans entered a new era called ``the second diaspora`` after normalization of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1992.8) with the capitalism of Korea. The Chinese-Korean society maintains a stable agricultural ethnic community after the establishment of a new government of China. But soon the Chinese-Koreans was faced with two difficult problems, the advent of capitalism and the reestablishment of ties with Korea. The Chinese-Korean poetry faithfully embodies the confusion after normalization of relations between Korea and their in the works. After the reinstatement of mutual exchange between the two nations, the predominant theme of Chinese-Korean literature was about admitting Korea as home nation of Chinese-Koreans and cherishing memories. This type of poetry, which can be found easily within the elder poets who left Korea as a young child, focus on rebuilding the personal bond with their home country. It can thus, be said that reminiscences are the very foundation of these works. The second and third generation of poets focus on finding homogeneity as Koreans through ethnic spirits that can be seen in people``s daily life, the hardship of Chinese-Koreans, and their reinstallation of the history of emigration. Also it depicts the destruction of Chinese-Korean society caused by rural exodus and diaspora. Recently, the Chinese-Korean presents many works that are dealing with a sense of alienation and resignation of the reality. Furthermore, they presents a lot of work of improving the meaning of their residence actively not just identifying their figure as a marginalized group.

      • KCI등재

        중국 조선족 시에 나타난 '고향'의 의미

        김은영 한중인문학회 2006 한중인문학연구 Vol.18 No.-

        본 연구는 1949년부터 1992년까지 발표된 중국 조선족 시작품을 대상으로 시대변화 속에 구현된 ‘고향’의 모습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중국 사회주의체제 하에서의 차별과 억압, 동화와 적응의 과정을 겪으며 창작된 조선족 시에 드러난 ‘고향’의 의미는 중층적 의미망을 형성한다. 먼저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초부터 문화대혁명이 끝나기까지 ‘고향’의 의미는 중국이라는 국가체제에 속한 소수민족으로서 생존을 위한 변화와 수용, 동화와 적응의 표상으로 양식화되었다. 1976년 문화대혁명이 끝나고 개혁 개방기 이후의 작품에서 보이는 ‘고향’의 모습은 역사적 기억의 복원과 향토, 음식, 풍물 등으로 상징되는 풍속의 재현을 통해 집단적 동질감과 정체성을 확인하고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들의 작품에 나타난 고향의 변화된 모습과 의미는 한민족이라는 동일한 민족적혈통적 요소를 가지면서도 중국 내 소수민족의 하나로 존재하는 중국 조선족의 특수한 상황과 집단성에 기인한다. 따라서 조선족 문화와 정체성은 중국과 조선이라는 두 개의 문화와 정체성이 융합되어 형성된 특수한 문화 공동체로서 바라봄이 필요하다. 아울러 이들의 작품에 드러난 ‘고향’의 모습은 역사적문화적 특수성이 내재된 공동체적 공간으로 자리하며 구체화되고 활성화된 기억의 저장소로서 의미를 갖는다. Meanings of 'Home' in Korean Chinese Poetry Kim, Eun-young This study examined images and meanings of 'home' in Korean Chinese poetry published between 1949 and 1992, which manifested within the change of time. Meanings of 'home', shown in Korean Chinese poetry, created under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by Chinese socialism regime and experiencing assimilation and adjustment, form multi-layered net of meanings. First, 'home' in the period between the foundation of the Republic of China and the end of the Cultural Revolution represented a symbol of change, assimilation and adjustment to survive as a minority within China. 'Home' shown in works since the open policy after the Cultural Revolution in 1976 tried to confirm and realize the sense of homogeneity and identity through revival of customs symbolized by restoration of historic memories, folk culture, food, and features. Changed images and meanings of home shown in these works share the same Korean element and blood line and yet depend on unique circumstances of Korean Chinese and community existed as one of the minorities in China. Therefore, Korean Chinese culture and identity should be considered as a unique cultural community formed by a mix of two cultures and identities; Chinese and Korean. In addition, image of 'home' shown in these works represents a space of the community with historic and cultural uniqueness, and a space to store realized and activated memories.

      • KCI등재

        김성휘 시에 나타나 ‘주체’의 변모 과정과 새로운 주체

        김은영 한중인문학회 2007 한중인문학연구 Vol.21 No.-

        본고는 조선족 시문학의 전개와 변화 과정을 체험하며 작품 활동을 지속했던 조선족 대표시인 김성휘 작품세계를 주체의 변모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김성휘 작품에서 논의되는 ‘주체’는 ‘시적 화자’ 즉 텍스트 내적 요인으로서 개별자적 주체와는 차이가 있다. 그의 작품에 드러난 시적 주체의 모습은 정치적으로 권력화 된 타자에 대한 의식의 반영체로서의 ‘주체’이자 ‘집단적 주체’로서의 모습을 드러낸다. 중국 내 소수민족으로서 민족의 고유 언어를 사용하며 현재까지 민족적 풍습과 전통을 지속해 오고 있는 조선족 삶의 모습이 반영된 김성휘의 작품 세계는 역사적 상황과 시대의 변화 속에서 소수민족으로 생존해야 하는 조선족의 정치적사회적 특성과 주체의식을 확인할 수 있게 해 준다. 조선족은 우리와 민족적 뿌리를 같이하며 동일한 문화적 전통을 공유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중국이라는 거대 타자의 국가적 결속 안에서 인정되고 향유되는 범주 내적 요소로 한정된다. 아울러 이민 집단으로 형성된 조선족의 주체 인식 내면에는 민족적 집단성을 넘어선 중국적이고 사회주의적인 특성이 자리 잡고 있다. 그의 작품에는 이와 같은 변화된 상황 속에서 조선족으로서 자신들의 정체성과 주체의식을 찾고자 하는 모색 과정이 드러나 있다. ‘주체’가 타자와의 상호관계 맺음 속에서 새롭게 형성되는 것이라고 할 때 이들의 주체 의식은 따라서 중국이라는 수용사회에 대한 타자인식 속에서 새롭게 채워 넣어져야 하는 ‘불확정적 주체’이자 ‘과정으로서의 새로운 주체’의 모습이라고 할 것이다.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Subject & new subject in the poems of Kim Seong Hwi Kim, Eun-young This manuscript researched on the poems of Kim Seong Hwi to experience the development & transformation process of Joseon Tribe's poetic literature & continue his literary activities as the representative poet of Joseon Tribe. The ‘Subject’ discussed in the works of Kim Seong Hwi differs from the ‘Poetic narrator’, in other words, individual subject as the internal factor of text. The poetic subject appeared in his works represents ‘Subject’ as the reflective body of consciousness to others having power politically & ‘Collective subject’. Joseon Tribe has the same ethnic root and shares the same cultural tradition with us. However, this is limited to the internal element of the category recognized & enjoyed within the national unity of the giant others so called China. In the internal subject recognition of Joseon Tribe as the group of emigrant, the Chinese & socialistic features exist beyond the ethnic collectivity. In the works of Kim Seong Hwi, there are groping processes for Joseon Tribe in the crisis of existence loss in the flow of the rapidly changed history to find their own subjectivity. After all, their identity or a sense of sovereignty can be said to be ‘Contingent subject’ & ‘Subject as the process’ which have to be filled newly in the recognition of others to Host Society of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