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전 지역 6ㆍ25 전쟁 체험담의 유형별 특성과 존재 양상

        백민정(Baek Min jeong)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5 No.-

        이 논문에서는 현재(2012~2016년) 대전 지역에서 채록된 6ㆍ25 전쟁 체험담을 대상으로 유형별 특징과 존재 양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현존하는 대전 지역의 6ㆍ25 전쟁 체험담의 유형은 경험의 주체가 군인이었는가, 민간인이었는가에 따라 전투체험담과 민간인 전쟁 체험담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투 체험담은 경험의 주체는 군인이고, 주체와 갈등하는 객체는 적군으로 설정되어 6ㆍ25 전투에 참전하여 겪은 일들에 대한 담화이다. 민간인 전쟁 체험담은 피란민으로서 전쟁을 겪었느냐, 주거 지역에 잔존한 민간인으로서 전쟁을 겪었느냐에 따라 피란 체험담과 민간인 전쟁 체험담으로 나뉜다. 피란 체험담은 전쟁으로 인해 생존의 터전을 잃고 떠돌아다니며 고생한 경험을 이야기한 담화로서, 경험의 주체인 피란민과 갈등하는 객체는 전쟁 자체라 볼 수 있다. 민간인 전쟁 체험담은 전쟁이 나서 자신이 주거하고 있는 지역을 점령한 이가 이북 진영의 인민군인가, 이남 진영인 남한의 군인과 경찰인가에 따라 적군에 의한 피해담과 아군에 의한 피해담으로 나뉜다. 적군에 의한 피해담은 인민군이나 인민군에 협력한 이남 진영의 ‘지역 빨갱이’ 및 빨치산이 갈등의 객체로 설정되어 경험의 주체인 민간인을 죽이거나 고초를 가한 담화의 서사이다. 아군에 의한 피해담은 우리 군인 및 경찰이 특정 지역민을 빨갱이로 지목하여 이들을 죽이거나 고초를 가한 담화의 서사이다. 대전 지역 6ㆍ25 전쟁체험담의 존재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화롭던 어느 날 ‘갑작스럽게 전쟁이 발발했다’는 담화이다. 둘째 전쟁의 참상을 그리는 담화로서 주로 총칼이나 폭격으로 서로를 죽이고 죽는 전투의 참상, 굶주림의 참상으로 표현된다. 셋째 군인과 경찰에게서 받은 고초 담화로서 전쟁 직후 인민군과 지역 빨갱이 및 빨치산 등 이북 진영에게 받은 고초담, 수복 후 이남의 군인과 경찰에게 받은 고초담이 그것이다. 마지막으로 전쟁 중에 빛을 발하는 인간애로, 죽을 위기에 처한 이웃을 도운 미담들이 여기에 속한다. 대전 지역의 6ㆍ25 전쟁체험담은 강력한 담화 욕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차적으로 구비문학적 연구 가치를 지닌다. 또한 대전 지역에서 있었던 집단 학살 담화가 전승 집단 내에서 실제 지명과 함께 단편적으로라도 반드시 언급이 된다는 점과 이것이 일부 와전되어 담지되는 현상을 통해 경험담의 전설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구비문학적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After collecting and recorded stories about the Korean War experiences in the Daejeon area for a period from 2012 to 2016,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existence aspects of the stories according to their types. The types of stories about the Korean War experiences currently available in the Daejeon area can be divided into stories about combat experiences and stories about civilians’ war experiences according to whether the subjects of the experiences are soldiers or civilians. The stories about combat experiences are discourses on the experiences of battles in the Korean War, with soldiers being set as the subjects of the experiences, and enemy forces as the objects that came in conflict with the subjects. The stories about civilians’ war experiences are divided into stories about war experiences as refugees and stories about war experiences as civilians according to whether they experienced the war as refugees or civilians who remained in their residential regions. The stories about experiences as refugees are discourses on hardships during the war as wanderers leaving their homes due to the war, and it may be said that the object in conflict with refugees, who are the subjects of the experiences, is the very war itself. The stories about war experiences as civilians are divided into stories about damage by the enemy and stories about damage by our troops according to whether the occupiers of one’s own residential region were North Korean people’s army, or South Korean army or police. The stories about damage by the enemy are narratives in which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or ‘local commies’ and partizans in South Korea taking the side with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who are set as the objects of conflict, killed or imposed hardships on civilians, who are the subjects of experiences. The stories about damage by our troops are narratives in which our army and police killed or imposed hardships on residents of specific regions, pointing out them as commies. The existence aspects of stories about Korean War experiences in the Daejeon region are as follows: The first is discourses saying that one day ‘the war broke out suddenly.’ The second is discourses depicting the horrors of the war, such as hunger and mutual killing in battles with guns & swords or bombing. The third is discourses on hardships caused by army or police. They include stories about hardships inflicted by the North Korean camp such as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and local reds & partizans directly after the outbreak of the war, and stories about hardships inflicted by South Korean army and police after recapture. The last one is humanity having shone in the war. Beautiful stories about helping neighbors in peril of death fall under this. The stories about the Korean War experiences in the Daejeon region primarily have research value as oral literature in that they are based on strong desire for discourse. In addition, it may be said that they have value as oral literature because discourses on slaughter committed on a mass scale in the Daejeon region are surely mentioned within the transmission group, albeit partially, with actual place names, and the phenomenon of stories about the experiences being legendized is found from the phenomenon that some of the discourses are misrepresented and supported.

      • KCI등재

        전쟁을 사유하는 세 가지 방식 -미체험 세대를 중심으로-

        주지영 ( Ji Young Joo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2

        전쟁 미체험 세대 작가가 다루는 전쟁 소설이 이전의 체험 세대와 유년기 체험 세대의 그것과 뚜렷하게 변별되는 지점이 무엇이냐를 검토하는 것은 오늘날 미체험 세대의 전쟁에 대한 작가의식이 어떠하냐를 검토하는 일이면서, 동시에 현 단계 한국소설이 나아가야 할 전쟁 소설의 방향이 무엇인지를 검토하는 것과 맞물려 있다. 본고는 이러한 입장에서 미체험 세대가 전쟁을 사유하는 새로운 방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전쟁의 외연을 넓혀, 한국전쟁만을 다루는 작품을 넘어서, 한국 사회가 직, 간접적으로 관계를 맺은 베트남전쟁과 이라크 전쟁을 다루는 작품도 논의의 대상에 포함하였다. 방현석의「랍스터를 먹는 시간」은 베트남 전쟁과 이라크 전쟁과 관련하여 한국인과 베트남인의 다층적인 시선이 결합되어 있다. 이를 통해, 이 작품은 베트남 전쟁의 의미와 전쟁 이후 그 후유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의 삶을 여러 각도에서 조명해낸다. 그리고 전쟁을 보다 총체적인 시선에서 다각적으로 조망하면서 전쟁의 기억을 현재화시키고, 거대 담론에 침윤되어 국가의 논리와 자본의 논리로 재단되는 전쟁의 당위성을 비판한다. 그러면서 그러한 대립과 갈등,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인간의 품격’과 ‘나라의 품격’을 문제 삼으면서, 자연과 인간, 그리고 인간과 인간의 공존과 조화를 제시한다. 이와 같은 시선을 통해서이 작품은 기존 베트남 전쟁 소설에서는 보지 못했던 새로운 관점과 시각을 확보한다. 김연수의「뿌넝숴」는 한국전쟁을 다루고 있다. 이 작품은 한국전쟁당시 부상당한 인물의 ‘구술’을 통해 한국전쟁을 이데올로기 대립 내지국가의 요구 따위로 기술한 ‘기록된 역사’의 허구성을 비판하면서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을 문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남쪽과 북쪽의 전사(戰史)에서 자유로운 이름 없는 중국 인민해방군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것이다. 곧 이 작품은 한국전쟁을 거시사의 입장에서 바라보던 종래의 태도에서 벗어나 미시사의 입장에서 접근하여 거시사의 이면에 감추어진 비극적인 역사를 복원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이 작품은 미체험 세대 작가가 한국전쟁을 다룰 때, 체험 세대나 유년기 체험 세대가 이룩한 소설적 성과를 극복하기 위해서 취할 수 있는 새로운 창작방법과 관련해 그 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정미경의「무화과나무 아래」는 이라크 전쟁을 다루고 있다. 이 작품에서는 기존의 ‘사가’와는 달리, 정보사회의 ‘사가’는 일종의 상품 제작자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런 사가에 의해 미디어 이미지로 기록되는 전쟁은 돈벌이 수단, 혹은 유희용 게임, 관음증 유발 기제와 같은 것에 지나지 않음을 보여준다. 그러면서 이라크 전쟁은 강대국이 힘없는 이라크인들의 최소한의 행복을 빼앗은 전쟁으로 의미화된다. 이러한 강자에 의한 약자의 행복 빼앗기는 이라크 전쟁 같은 국가 단위의 전쟁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 곳곳의 일상에서 무한반복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반성적 성찰을 통해, ‘나’와 ‘너’가 아닌 ‘우리’라는 공동체의 행복을 추구함으로써 이라크 전쟁 식 폭력을 극복하고자 한다. 이들 작품에 나타난 전쟁에 대한 사유를 통해, 현 단계 전쟁 미체험 세대로서의 작가가 나아가야 할 전쟁 관련 소설의 방향이 무엇인지를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cognition of the war in the generation unexperienced the Korean War. Bang Hyeon-seok` no vel emphasizes the need for dignity of the human and nation to over come trauma of the Iraq War and the Vietnam War. Kim Yoen-su`s novel emphasizes that the history has been making record history in books as a virtual image. His novel is exemplified not that history c ould record but that could not say. Jung Mi-kyung`s novel emphasiz es an erroneous point of view the historian of the twenty-first centur y who records to Iraq War by mass media. Her novel is exemplified how the crime after the manner of Iraq War could be rampant in the whole world. Those novel show the potential for in-depth cognition o f the War novel written by the generation unexperienced the Korean War.

      • KCI등재

        여성 전쟁체험담의 역사적 트라우마 양상과 대응방식

        박현숙(Park, Hyeon Suk)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57 No.-

        이 논문의 목적은 여성 전쟁체험담에서 역사적 트라우마로 작용하는 보편적 서사 양상을 살펴보고, 참혹한 전쟁의 역사적 삶을 여성들이 어떠한 태도로 대응하고 극복해 나가는지 서사를 통해 살핌으로써 우리시대의 아물지 않은 전쟁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구원의 서사를 찾는 데 있다. 여성 전쟁체험담에서 여성들의 역사적 트라우마로 작용하는 서사는 세 가지로 그 양상을 살필 수 있다. 첫째, 남성이 부재한 전쟁의 후방에서 여성의 몸으로 가장의 삶을 감당해내야 했던 고난의 서사이다. 여성들은 결혼, 임신, 출산, 피난, 가족부양 등의 버거운 책임감으로 감당해 내야만 했던 고난은 전쟁의 기억에서 가장 많은 여성들이 몸서리를 치는 보편적 서사이다. 둘째, 소중한 가족을 잃는 아픔의 경험인 상실의 서사이다. 많은 여성들은 전쟁 상황에서 아무런 죄도 없는 선량한 아비가 누명으로, 피난 가던 어린 동생이 총격으로, 가족의 이념적 사상으로 자녀를 처참하게 잃은 경험을 가지고 있다. 그 아물지 않은 상흔은 전쟁체험 구술과정에서 가족의 억울한 죽음에 대해 한 서린 분노와 안타까움의 눈물로 표출된다. 셋째, 사선(死線)에서 직면한 죽음에 대한 공포의 서사이다. 이 서사적 경험은 예고된 죽음의 추상적 공포와 죽음과 직면한 사실적 공포가 있다. 공포의 서사는 여성 전쟁체험담 중 가장 극복하기 힘든 역사적 트라우마가 된다. 전쟁체험은 여성들에게 온갖 고통을 주며 깊은 상처를 남겼지만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해답도 전쟁 상황 속에서의 그녀들의 삶의 방식과 태도에서 찾을 수 있다. 여성들은 전쟁 상황에서도 가족을 부양하는 가장의 책임감으로 어떤 생명의 위협에도 삶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감내해 낸다. 이러한 희생적 삶은 곧 영웅서사가 되고, 트라우마를 극복해 나가는 힘의 원천이 된다. 또한 여성들은 분노와 원망의 사건들을 포용과 통합의 서사로 받아들임으로써 트라우마로 작용하는 많은 전쟁의 상흔을 자정적으로 치유해 내고 있다. 이와같은 서사의 건강성과 긍정성은 전쟁의 역사적 트라우마 치유서사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inding a narrative of salvation to heal the Korean war wounds of our time. For this, I researched into common aspect of narratives which work as a historical trauma in the stories of women’s war experiences, and checked how the women responded and overcame the miserable life in the war through the narratives. The narratives which work as a historical trauma in the stories of women’s war experiences may be divided into three aspects: (1) It is the narrative of hardship which the women had to support her family alone without husband because of the war. The women’s hardships that had to deal with great responsibilities for a marriage, pregnancy, childbirth, evacuation, family support are common narrative which make many women who had experienced the war shudder. (2) It is the narrative of loss about the grief which lost family member. Many women who had experienced the war have a experience which unjustly losing family members by the ideological conflict. Scars left by the war expressed as the storyteller’s tears and rage about their family member’s wrongful deaths in a process with dictated the war stories. (3) It is the narrative of the fear about the death which met in the war. This experience is divided into the abstract fear about the omened death and the realistic fear which directly face death. Thus, the narrative of the fear is related with the most difficult historical trauma to overcome in the stories of women’s war experiences. The war did deeply hurt the women, but we can find the answer to overcome this through a way and an attitude of the women’s life in the wartime. Many women had borne untold suffering and hardship as the head of the family, and were not giving up their life under any threats in the wartime. These sacrificial life became the heroic narrative and a source of power to overcome the trauma. In addition, the women are able to heal the wounds of the war trauma by themselves through their unceasing efforts accepting the anger and resentment as the narrative of integration and generosity. Healthiness and positiveness of these narratives show possibility that are able to heal the historical trauma of war.

      • KCI등재

        한국전쟁 체험의 구술과 세계관적 의미화 양상

        신동흔(Shin, Dong H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통일인문학 Vol.65 No.-

        이 논문에서는 현지조사를 통해 수집한 6.25전쟁 체험담 자료에 대해 그 목록과 함께 주요 양상을 소개하였으며, 그 담론 특성을 살피고 이야기들속에 육화된 세계관적 신념을 조명해 보았다. 한국전쟁 체험은 노년층 세대의 구술현장에서 매우 중요한 화두를 이룬다. 사람들은 이야기 형태의 체험담을 통해 역사와 현실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면서 내면화한다. 그것은 경험적으로 체화된 신념의 성격을 지니며, 함께 겪은 역사를 기반으로 한 집단적 세계관의 성격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그 특징적인 국면을 일곱 가지 측면에서 가늠해 보았다. 첫째, 전쟁을 경험해 봐야 세상을 제대로 안다는 것이다. 전쟁을 겪으면서 인간과 세상의 밑바닥 맨얼굴을 보게 된다. 둘째, 총을 쏘면서 전투를 하는 일뿐 아니라 먹고사는 일을 비롯한 존재 자체가 전쟁이라는 인식이다. 셋째, 절박한 상황에서 사람은 본질적으로 자기 안위를 먼저 돌보게 돼 있는바, 자기 앞가림은 자기가 해야 한다고 하는 관념이다. 넷째, 가까운 사람이 더 무섭다고 하는 경험적 관념이다. 급박한 상황이 되면 ‘나’를 잘 아는 가까운 사람이 무서운 적이 될 수 있으니 조심하고 경계해야 한다. 다섯째, 어려울 때일수록 서로 도와야 하며, 그렇게 주고받은 도움이 평생의 힘이 된다는 것이다. 전쟁이라는 절박한 상황 속에서 인간과 세상에 대한 긍정적 관점을 지킨 경우다. 여섯째, 결국 힘없는 사람이 당하게 돼있는 것이 세상살이이니, 살기 위해서는 힘을 가져야 하고 ‘빽’이 필요하다는 인식이다. 전쟁이 끝난 뒤까지 오래도록 우리 사회를 움직여온 집단적 관념에 해당한다. 일곱째, 전쟁을 겪지 않은 젊은이들이 세상을 똑바로 보고 각성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북한의 호전성과 위험성을 가볍게 보면 안 된다고 하는 것은 이들 전쟁체험 세대의 두드러진 의식을 이룬다. 전쟁체험 세대를 이해하고 세대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경험적 이야기와 맞물려 있는 이러한 체화된 신념들에 대한 신중하고 진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여러 화두 각각에 대하여 문학적 · 역사적 관점을 연계한 보다 깊이 있는 고찰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troduces a list of materials on personal experiences and important conditions of the Korean War collected through site surveys,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s discourses, and illuminates on their convictions of world views made in those stories. Experiences of the Korean War make a very important conversation topic among the older generation engaged in oral discourses. People share and internalize their awareness of history and reality by speaking about their personal experiences in the form of conversation. Their statements contain conviction internalized by experiences, and based on history they shared, they develop collective world views. This study predicts those characteristics in seven aspects. First, only through experiencing a war, one can truly understand the world. While experiencing a war, he can see the bare face of man and the rock bottom of the world. Second, a war is not only being engaged in a battle involving shooting guns but also feeding oneself and living, an existence in itself. Third, in a desperate situation, man looks for his own safety first, therefore one must look after himself. Fourth, one can learn from experience that persons closest to him can be more dangerous. In a desperate situation, the person who knows “me” well can become the worst enemy, so one must be careful and remain alert. Fifth, when things are tough, people must help each other and such help can become the strength of a lifetime. It is a case where man and his world maintain a positive view in a desperate situation of a war. Sixth, in the end, life means it is the weak that loses all. So, in order to make a living, one must have power and connection. It is a collective thinking that has moved our society for a long time even after the war was over. Seventh, young people who did not experience a war need to see the world squarely and wake up. That belligerence and danger posed by North Korea should not be taken lightly uniquely makes up the consciousness of the generation that experienced the war. In order to understand the generation that experienced the war and to overcome generational conflict, there needs to be a careful and serious review on their internalized convictions. Thu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more in-depth research on literary and historical views in each of various topics suggested in this study.

      • KCI등재

        박완서 전쟁 체험 소설의 반복과 차이

        우현주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여성문학연구 Vol.45 No.-

        Park Wan-seo's novel, which is loved as a steady seller, is misunderstood by the same content and boredom due to the fact that the Korean War has been repeat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rasp the intention of the writer 's story by emphasizing the fact that Park Wan-seo's novel, which is based on the Korean war experience, has differences in repetition. Park Wan-seo's novel explores the meaning of the Korean War in depth by seeking interaction with readers and communication with the times when it is created. In the 1970s, Park Wan-seo's novels emphasized the logic of postwar recovery and modernization of the batters, and the logic of polt to strengthen the ranks of the batters by reproducing Others. In the 80s and 90s, the characters are divided into the war-experience generation, the childhood-experience generation, and the war-free generation. The generation of childhood war experience, who is the narrator, criticizes the generation of war-experience that considers postwar issues as their absolute experiences, or the generation of war-free experiences that bind with resignation and forgiveness. By the 2000s, the author declares that he will no longer testimony of the war against the public who are indifferent to the nation's armistice. By choosing to give up speach act, the author encourages active participation by the reader. Park Wan-seo shares the memory of the war with the public, repeats reproduction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war, and builds a narrative of difference to embrace the generational change of the reader. 전 세대에 걸쳐 넓은 독자층을 확보한 박완서 소설은 꾸준한 스테디셀러로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한국 전쟁의 반복되는 소재 속에서 계몽성과 동어반복적인 내용 구성으로 오해를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 지점에 착목하여 한국전쟁 체험을 소재로 하는 박완서 소설에 내재된 반복과 차이의 의미를 재구하고 작가의 서술 의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엇보다 박완서 문학의 특징은 소설의 동시대적인 현실과 병행되는 기억의 재현과 그 미묘한 변주에 내포된 한국전쟁의 의미를 재고하는 데에 있다. 전쟁 체험 소설에서 작가는 단순한 소재적 반복이 아닌 해당 텍스트가 창작되던 시대와의 상호작용 및 동시대 독자와의 소통을 추구하면서 전쟁의 일상을 재조명하는 반복과 차이의 의미 분화를 기획한다. 1970년대 박완서 소설은 전후 복구와 근대 산업주의 논리에 은폐되었던 전쟁 체험을 통해 전쟁의 결과로 탄생한 사회적 약자를 재생산하고 계급의 위계를 공고히 하는 공모의 논리를 고발한다. 이를 통해 작가는 부끄러움과 수치심이라는 전쟁 체험 세대의 수렴과 발산의 감각에 주목한다. 80-90년대 소설에서는 유년기 전쟁 체험 세대가 등장하여, 전후의 문제를 당사자적으로 극단화 하거나 혹은 체념과 용서로 봉합하는 전쟁 세대와 타자의 기억을 소비하고 억압하면서 외부자로 안도하는 미체험 세대를 모두 비판한다. 이 시기 소설에서 작가는 현실 논리에 압도된 전후의 기억을 복원할 필요성과 더불어 전쟁을 실감하는 세대 갈등을 예각화하며 공감의 난망을 드러낸다. 이후 휴전이 고착된 2000년대는 전쟁 체험 세대의 노년화와 전쟁 체험의 세대적 공백기의 특성을 보인다. 이 시기 박완서 소설의 전쟁 체험은 말년성의 갈등과 부조화를 감내하며 이를 저항의 동력으로 삼는다. 휴전 중인 당대 현실에 무관심한 대중을 향해 작가는 직설화법으로 증언하지 않을 권리를 선언한다. 발화의 포기 자체를 선택하는 작가의 능동성은 증언을 원하는 것과 원하지 않는 것, 발화 행위와 비행위, 부정과 긍정 사이의 모호함을 가시화하면서 전후 현실에 대한 독자의 책임 의식을 환기시킨다. 이로써 전쟁체험의 기억을 대중과 공유하고 전쟁의 재발을 막고자 하는 작가의 반전 의식이 소설적인 재현의 반복을 추동한다면, 정전의 물리적 거리를 실감하고 독자의 세대적 변화를 포용하는 작가의식은 차이의 서사를 구축함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전쟁 체험 양상별 시인 연구 - 김수영, 신동엽, 박인환을 중심으로

        임수경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3

        Sigmund Freud theorizes that War experience becomes “underlying trauma” to the contemporary and affects their daily life, with variations and development as a defense mechanism. According to this theory, when the “ego” is under stress that it cannot handle, an individual uses a defense mechanism that is most rational and convenient to themselves as a psychological strategy to shelve the stres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transformation of the clock system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focusing on the defense mechanisms of poets Kim Soo-young, Shin Dong-yeop, and Park In-hwan, who each experienced different traumas, in order to compare the poetry world of poets who underwent the Korean War. In this study, Sigmund Freud’s “defense mechanism” theory and Anna Freud’s “defense mechanism type” were used in expressing the trauma experienced during the War. The analysis process followed a chronological order in which the poets experienced the War. Accordingly, the second chapter focused on the work theory of Kim Soo-young, who was forcibly conscripted into the North Korean Army, escaped and was locked up in Geoje Prison. The third chapter focused on the work theory of Shin Dong-yeop, who used to the reality of both camps as a propaganda director of the Democratic Youth Alliance and a soldier of the National Defense Forces. The fourth chapter focused on the work theory of Park In-hwan, who hid in the basement of Seoul at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was evacuated to Daegu, and joined the War writers’ group. As in this study, the Korean War and the subsequent individual experiences were an important part of research on poetry and poets at the time, but concerns that “it is problematic to fully return the Korean War to the ’level of content’” could exist. However, this study aimed to show the significance of aspects of a new approach to postwar literature study, such as the micro-approach analysis of the emergence of defense mechanisms for each aspect of war experience. 프로이드는 전쟁체험을 그 일대의 세대들에게 ‘근원적인 원체험’이 되어 어떤 변형,어떤 발전으로 각색되면서 사람들의 일상의 자장을 이루게 되는데,이 과정을 방어기제라 보았다.그의 이론에 따르면 자아가 감당할 수 없는 스트레스에 쌓일 때 일단 심리적으로 보류시키는 방법으로써 사람들마다 자신에게 가장 합리적이고 편리하다고 생각되는 방어기제를 사용한다. 이러한 배경으로,본 연구는 한국전쟁을 체험한 시인들의 시세계를 비교·고찰하기위해서 서로 다른 원체험을 체득한 시인 김수영,신동엽,박인환의 방어기제를 중심으로 전쟁전후의 시세계 변모 과정을 탐색하고자 했다.이때 전쟁 원체험과 이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프로이트의 ‘방어기제’ 이론과 안나 프로이드의 ‘방어기제 유형’을원용했다.그리고 분석과정은 시인별 전쟁체험을 습득하게 된 시간순으로 접근했다. 따라서 2장에서는 인민(의용)군으로 강제징집되었다가 탈출,거제도포로수용소에 수감되었던 김수영의 작품론을,3장에서는 민주청년동맹 선전부장과 국민방위군의 군인으로 양쪽 진영의 실상을 몸소 체험했던 신동엽 작품론을,4장에서는 한국전쟁 발발 시 서울 지하에 숨어있다가 대구로 피난간 후 종군작가단에 합류한 박인환 작품론을 다루었다. 물론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것처럼 한국전쟁과 그에 이어지는 분단체험이 그당시의 시와 시인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임에는 틀림없지만,‘한국전쟁을<내용의층위>로 온전히 환원한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우려도 있을 수 있다.그러나 전후시대의 문학연구에 있어서 새로운 접근방법의 필요적 측면에서 전쟁체험 양상별 방어기제의 발현이라는 미시적 접근분석으로 의의를 두고자 한다.

      • KCI등재

        전쟁체험담 구술에서 ‘눈물’의 위상

        심우장(Sim, Woo Jang)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통일인문학 Vol.64 No.-

        본 연구에서는 전쟁체험담 구술에 나타난 정서 표현, 특히 ‘눈물’과 관련된 발화에 주목했다. 이는 전쟁체험담에서의 주된 정서가 ‘눈물’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전쟁이라는 경험은 감각적 자극의 수위가 매우 높은 특별한 것이기 때문에, 과거의 경험을 재현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정서적 반응에 의해 눈물이 자극되는 경우가 많다. 전쟁체험담에서 ‘눈물’ 관련 발화는 정서적인 차원에서 대표성을 지닐 수 있으며 따라서 이에 주목하는 것은 충분한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먼저, 전쟁체험담에서 찾을 수 있는 눈물을 유발하는 다양한 정서적 상황을 살펴보았다. 거기에는 공포와 참혹함이 있었고, 서러움과 안타까움과 미안함도 있었다. 슬픔과 관련된 이러한 정서적 상황 이외에도 안도감이나 고마움, 기쁨과 같은 상반된 정서적 상황과도 눈물은 잘 결합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이렇게 보면 전쟁체험담에서 ‘눈물’은 전쟁의 상황과 관련된 전형적인 정서들과 두루 결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눈물과 관련된 구술담화가 추구하는 정서적 대응 양상도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었다. 단순한 과거의 재현에서부터 이에 대한 해석을 거쳐, 과거와 현재의 복합적인 체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차원에서 정서적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체험담과 같은 구술담화의 의의는 ‘항상성’의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체험담에서의 과거(경험)는 현실과 분리된 채로 객관화될 수 없다. 과거(경험)는 현재와의 관련 속에서만 존재하기 때문에 과거는 곧 현재이기도 하다. 이런 차원에서 전쟁체험담의 현재성은 현재적 재현, 현재적 해석, 특히 현재적 체험으로서의 정서 표현과 이것에 대한 공감의 장을 마련함으로써 그 얼개를 구축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그 핵심에 다양한 정서와 연관되어 있는, 삶의 진정성을 드러내 보여주는 ‘눈물’이 존재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겠다.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emotion expressions, especially ‘tears’ in the oral statement of personal narratives about Korean War. Because ‘tears’ is involved in dominant emotions in personal narratives about Korean War. Experiences of war are unusual and so representation of those experiences frequently provokes excessive emotional reactions and brings tears to their eyes. Above all, we want a hard look at emotional conditions that arouse tears in the oral statement. There are a lot of emotional conditions, for example fear, cruelty, sorrow, deplorableness, sorriness and so on. As well, there are many emotional conditions irrelevant to sadness, for example a feeling of relief, thanks, and delight. And to conclude, we can understand that ‘tears’ in the oral statement of personal narratives about Korean War, are combined with various emotional typical conditions of war. We must view the oral statement of personal narratives from a homeostasis point of view. The past in personal narratives is not just the past. It can not be objectified disconnected with the present. The past is the present because the past exist only with relation to the present. So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emotional expressions as present representation, present interpretation and present experience, arrange a field of empathy. And ‘tears’ to show the veracity of life are right there.

      • KCI우수등재

        베트남전쟁 체험 문학 연구 -1990〜2010년대 소설과 수필(수기)을 중심으로

        강소연 국어국문학회 2022 국어국문학 Vol.- No.198

        We are in the times advocating for denuclearization and the termination of war as we pursue world peace and harmonious coexistence. Thus research on literature incorporating experiences from war may hold some positivity to the field of public discourse as it reminds us the cruelty and misery of war. This study focuses on Korean autobiographical literature written by Vietnam War veterans in the past three decades from the 1990s to the 2010s. The study purposefully sheds light on the less examined field of Korean war literature. Primary sources include autobiographical fiction written by 14 authors such as Kwon Oh-hyung, Kim Bum-sun, Kim Soo Hwan, Kim Chang-dong, Kim Hyun-jin, Kim Hee-sang, Moon Soo-bong, Moon Yong-duk, Seo Kyung- rim, Ahn Jeong-hyo, Lee Yoon-ki, Jung Gun-young, Jung Myung-seok, Ji yo-ha. There are also nonfiction primary sources that include essays and memoirs. Although formalism was the basic framework to thoroughly examine the texts, the authors’ autobiographical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war were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in analyzing the texts. The work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novels, essays(memoirs), and a combination of both novels and essays(memoirs). For the case of novels, there were two major characteristics. First, is the narrative that seeks for healing and peace confronting the direct and indirect trauma from war in the process of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present and past. Second, is the narrative in which the authors seek to restore humanity by representing the ideal human being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war. In the case of essays(memoirs), which the authors wrote in freestyle based on their experiences of war, the works shared the commonality of personal reflection through deep contemplation on war and the human. In regard to the composition, there were two types. First, is the composition that combines poetry and prose that contains the content of combat experience and the interpretation of war. Second, is a journal-type composition written in chronological order.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works that were difficult to define its genre as both non-fictional and fictional elements were interwoven. Although these writers had participated as soldiers around the similar time, the works do not necessarily follow the official records of the Vietnam War and their current perceptions are revealed differently. Therefore, these literary works are diverse, and not only do they fill the void in Korean historic war literature but also less known authors were discovered through this study. However, there was a limitation in a couple of works that lacked in achieving verisimilitude due to the insufficient detail and coherence in the writing. The average age of these writers who had participated in Vietnam War are in their 70s to 80s. Considering that there is not much time left for them to present their war experiences as literary works, this study holds meaning as a mid-survey study on war literature of the Vietnam War generation. It will serve as a concrete basis by examining the representative method of the Vietnam War and the process of the writers’ changing consciousness. 전 세계가 공존과 화합을 위해 비핵화, 종전(終戰) 등을 논의해 가는 시대적 흐름을 생각할 때, 전쟁 체험을 소재로 한 문학 연구는 전쟁의 비극성을 환기함으로써 공론의 장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그래서 본고는 한국 전쟁문학사에서 후속 연구 과제로 남아 있던 범주의 작품들을 고찰하고자, 최근 30년간(1990〜2010년대) 발표된 베트남전쟁 체험 문학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참전 문인 14인(권오형, 김범선, 김수환, 김창동, 김현진, 김희상, 문수봉, 문용덕, 서경림, 안정효, 이윤기, 정건영, 정명석, 지요하)의 소설과 수필(수기, 회고록 포함) 작품을 살펴보았다. 텍스트에 충실한 연구를 위해 형식주의 방법으로 접근하되, 작가의 참전 이력을 참고하면서 작품을 분석하였고, 그 특징은 소설의 양상, 수필(수기)의 양상, 소설과 수필의 경계를 넘나드는 양상으로 분류되었다. 소설의 양상은 두 가지로, 첫 번째는 현재와 과거를 오가며 전쟁이 직간접적으로 남긴 상처들을 마주함으로써 치유를 모색하는 서사이고, 두 번째는 전쟁 당시를 재현하는 가운데 전장의 표상을 형상화함으로써 인간성 회복을 지향하는 서사이다. 수필(수기)의 양상은 개인 참전 일지를 토대로 자유로운 글쓰기를 선보이면서, 전쟁과 인간에 대한 사유를 통해 자기반성을 드러내는 것이 공통점이다. 구성 면에서 대별해 보면, 첫 번째는 전투 체험과 전쟁 해석이 담긴 산문에다 시를 섞은 구성이고, 두 번째는 시간(날짜) 순으로 서술한 일기식 구성이다. 한편, 논픽션과 픽션이 섞여 하나의 장르로 규정하기 어려운 작품들도 있었다. 모두 비슷한 시기에 군인으로 참전했던 작가들이지만, 베트남전쟁의 공식 기억에 전적으로 기대지 않고 현재적 인식은 각기 다르게 표출한다. 그만큼 다양한 문학적 성과물로 이어졌고, 이는 한국문학사에서 전쟁문학 부문의 빈자리를 채울 뿐 아니라 그동안 크게 알려지지 않았던 작가들까지 발굴하는 계기가 되었다. 다만, 몇 작품이 문학적 재구성의 미흡함으로 인해 작품의 완성도 면에서 아쉬움을 남긴 것은 한계로 지적된다. 베트남전 참전 세대 작가군의 현재 평균 연령을 70〜80대로 어림잡아 볼 때, 직접 체험을 서술하여 문학적 성과로 내놓을 수 있는 기간은 얼마 남지 않았다고 본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베트남전 참전 세대의 전쟁문학을 문학사적으로 체계화하는 데 있어 중반기 결산의 의의가 있다. 시대에 따른 베트남전쟁의 재현 방식과 작가 의식의 변모 과정을 고찰하는 데 구체적인 근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이데올로기와 체험적 현실을 넘어 -남한 분단소설의 흐름과 성격

        장수익 구보학회 2019 구보학보 Vol.0 No.2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low and property of ‘the division novels of South Korea’ from the late 1940’s until the early 2000’s as the historical novel types. The starting point of the division novels is the time when the trusteeship by UN was implemented after Korean Liberation. Following the anti-communism novels in the Korean War, the humanistic novels become the main flow of the divided novel after the war. This humanistic novels were intended to overcome the damage of war and division by restoring the collective memories of the nation, but anti-communism was still under the base of them. The composition of these humanistic novels collapses with the emergence of the ideological novels. The ideological novel that simultaneously criticized the ideology of North and South Korea stayed in criticism of the ideology in general. In the 1960s, the novel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war in childhood began full-blown literary activities. As a result, the division novels transformed into a stage of life after war, restoring war experiences. Until that time, the division novel, which mainly used 'innocent eyes', went beyond the dimension of the right side of the war to the point of balancing the left and right conflicts related to division and war, but in the end, It was a form that avoided handling. However, the division novels of the childhood war generation became the basis for producing novels that realistically symbolize division, war, and later life on a more objective level. Thus,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ideological confrontation in the division and the international relations at the time of the war were dealt with, and the origin of the divided reality based on the realization of the war experience could be carried out. In this sense, the history of division novels is a history of departure from the oppression of anti-communism, and restores war experience distorted or concealed in the atmosphere of oppressive period of war or just after the war to the dimension of objective fact from the level of subjective experience It can be said that it was the last one. The most important and obvious fact is that almost all the writers of Korean fiction have participated in the history of divided novels, not some writers, and most of the writers have agreed to the deviation from the anti-communism and the restoration of facts. Particularly, it is an important significance of the divided novels to deal with the issues that have been raised in the South Korean society such as criticism of dictatorship and democratization in connection with the problem of division. 이 연구는 해방 이후 신탁통치부터 2000년대 초까지의 분단 소설의 흐름과 성격을 역사적 소설유형을 바탕으로 살펴보려 한 것이다. 분단 소설의 출발점은 해방 이후 신탁통치가 실시된 때이지만 본격적인 출발은 한국전쟁 이후이다. 전쟁 당시의 반공주의 전시소설을 거쳐 전쟁 이후에는 휴머니즘 소설이 분단 소설의 주요한 흐름이 된다. 이 휴머니즘 소설은 민족의 공동체적 기억을 회복함으로써 전쟁과 분단의 피해를 극복하려는 것이었지만 그 기저에는 반공주의가 여전히 깔려 있었다. 이러한 휴머니즘 소설의 구도는 관념소설의 등장으로 붕괴된다. 남북한의 이데올로기를 동시 비판하는 관념소설은 이데올로기 일반에 대한 비판에 주로 머물렀다. 1960년대에 들어와 유년기 전쟁체험세대가 본격적인 문학활동을 하면서 분단소설은 전쟁 체험을 복원하면서 전쟁 이후의 삶을 그려내는 단계로 이행한다. ‘순진한 눈’을 주로 이용한 이 단계의 분단 소설은 그때까지 우익의 입장에서 전쟁을 그려내었던 차원을 넘어 분단과 전쟁에 관련된 좌우익의 대립을 균형 있게 그려내는 지점까지 나아갔지만 내적으로 이데올로기 자체를 정면으로 다루는 것을 회피한 형태였다. 그러나 이러한 유년기 전쟁 체험 세대의 분단소설은 분단과 전쟁 그리고 이후의 삶을 보다 객관적인 차원에서 사실적으로 형상화하는 소설들을 낳는 기반이 되었다. 그리하여 분단과 전쟁 당시의 국제관계에서 이데올로기 대립의 구체적 내용이 다루어졌으며, 전쟁 체험의 사실적 형상화를 바탕으로 한 분단 현실의 기원 탐구가 수행될 수 있었다. 이로 볼 때 분단 소설의 역사는 반공주의의 억압으로부터의 이탈의 역사이면서, 전쟁 당시 또는 전쟁 직후의 강압적인 시대 분위기 속에서 왜곡되거나 은폐된 전쟁 체험을 주관적 체험의 차원에서 객관적 사실의 차원으로 복원해 나가는 지난한 과정이었다고도 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하고도 당연한 사실은 분단 소설의 역사를 몇몇 작가가 아닌 우리 소설사의 거의 모든 작가가 참여하여 만들어 왔다는 점이며, 반공주의로부터의 이탈과 사실 복원에 그 작가들이 거의 대부분 동의해 왔다는 점이다. 특히 이후 독재 비판이나 민주화 등 남한 사회에 제기되었던 여러 문제들을 분단 문제와 연계하여 다룬 것도 분단 소설의 중요한 의의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유소년 전쟁체험 소설에 대한 시론

        牛林杰 한중인문학회 2007 한중인문학연구 Vol.21 No.-

        유소년 전쟁체험 소설은 한국 현대소설에서의 중요한 현상이다. 그러나 이 현상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유소년 전쟁체험 소설의 내용이나 형식상의 특징은 고사하고, 이에 대한 기초 작업인 개념의 정리도 공백상태이다. 본문에서는 하나의 시론으로 6편의 유소년 전쟁체험 소설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그 내용적 특징과 형식적 특징을 밝혀보고자 한다. 유소년 전쟁체험 소설의 내용적 특징으로 ①전쟁에 대한 유소년 주인공의 공포와 피해를 직접 표현한 것, ②어린 주인공의 눈을 통하여 어른의 피해를 표현한 것, ③어린 주인공의 시각을 빌려서 이데올로기를 비판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유소년 전쟁체험 소설의 형식적 특징으로는 ①회상의 방법을 사용한 것, ②서술거리를 활용하여 전쟁에 대한 직접적인 체험과 간적적인 체험을 나타낸 것 등을 들 수 있다. A Study of South Korean Novels on Teenager's War Experience Niu, Lin-jie The novels on teenager's war experience are an important part of South Korean modern novels. But little research was related to these novels in terms of its contents and styles, even there were no actual definitions of such novels. This study will explore the content characteristics and style features of the novels on teenager's war experience by analyzing six such novels. The content characteristics are: ① expressing teenager's fearof war; ② representing adult suffering torment during the war by teenager's angle of view; ③ criticizing the ideology by teenager's angle of view. The style features are: ① employing the narrative style of reminiscences; ② the narrative styles are divided into two forms ---direct war experience and indirect war 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